KR102020825B1 -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 Google Patents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825B1
KR102020825B1 KR1020180071225A KR20180071225A KR102020825B1 KR 102020825 B1 KR102020825 B1 KR 102020825B1 KR 1020180071225 A KR1020180071225 A KR 1020180071225A KR 20180071225 A KR20180071225 A KR 20180071225A KR 102020825 B1 KR102020825 B1 KR 10202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plate
measuring
value
measur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현
이향일
Original Assignee
강대현
이향일
주식회사 드림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현, 이향일, 주식회사 드림이노텍 filed Critical 강대현
Priority to KR102018007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5/21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for measuring radius of curv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반지름(R)값을 측정하게 몸체(110)에 절개부(12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측정판(300)과, 측정판의 이동을 알 수 있는 투시창(40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300)이 상,하부케이스(100, 200)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알 수 있는 것으로,
본발명은 상,하부케이스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이 상하부케이스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알 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 R-gauge for edge measurement }
본발명은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케이스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이 상하부케이스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알 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의 반지름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단순한 기계적 동작만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기존의 R 게이지의 경우 정확한 R 값을 구하기 위해 레이저 측정기를 이용할 경우, 가격이 수십만원대로 고가여서 쉽게 접근하기 힘들었다. 그 외 종래기술로서 도 1과 같이 모서리의 R 값을 R 게이지 칩을 일일이 빗대어 가며 측정하는 방식이다. 그 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공보 10-0318774호에는 반지름의 중심을 가리키는 센터조정용 이동블록이 장착되는 기준 프레임과, 상기 센터조정용 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눈금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측정바늘로 곡면을 가리키는 반지름 측정용 이동블록이 장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름 게이지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18774호에는 반지름의 중심을 가리키는 센터조정용 이동블록이 장착되는 기준 프레임과, 상기 센터조정용 이동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눈금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측정바늘로 곡면을 가리키는 반지름 측정용 이동블록이 장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름 게이지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측정이 복잡하거나 부정확하며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상,하부케이스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이 상하부케이스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알 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반지름(R)값을 측정하게 몸체(110)에 절개부(12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측정판(300)과, 측정판의 이동을 알 수 있는 투시창(40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300)이 상,하부케이스(100, 200)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하부케이스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이 상,하부케이스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알 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도면
도 2는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조립도
도 3은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분해도(스프링장착상태)
도 4는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분해도(스프링분리상태)
도 5는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상부케이스 저면도
도 6은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측정판 사시도
도 7은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하부케이스 평면도
도 8은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측정 실시례
도 9는 본발명 다른 실시례의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조립도
본발명은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반지름(R)값을 측정하게 몸체(110)에 절개부(12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측정판(300)과, 측정판의 이동을 알 수 있는 투시창(40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300)이 상,하부케이스(100, 200)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는 몸체(110, 210)가 서로 결합할 수 있게 대칭이며, 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부(120, 220)는 직각형상이며 전후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45도씩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채꼴형 몸체(110, 210)의 원호부분 끝단부는 직선으로 절개되어 손에 쥐고 사용시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판(300)은 부채꼴형이며 원호의 곡률반지름이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곡률반지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판(300)은 전후방향 중심선에서 대칭으로 스프링 고정구멍(3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좌우방향 끝단부에는 결합돌기(1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30)의 중심에는 나사홈(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좌우방향 끝단부에는 중심에 상부케이스(100)의 결합돌기(130)가 결합되는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고정돌기(2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31)의 중심에는 나사구멍(232)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200) 바깥으로부터 나사를 삽입하여 상부케이스(100)의 나사홈(131)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상부테두리(101)가 직각하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절개부(120)의 중심선부위에는 상부테두리(101)의 일부가 절개가 되고, 이와 맞닿게 하부케이스(200)에도 하부테두리(201)가 직각상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절개부(220)의 중심선 부위에는 하부테두리(201)의 일부가 절개가 되어 상,하부케이스(100, 200)가 서로 맞닿을 시 구멍부(500)가 형성되어 내부의 측정판(300)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일단은 측정판(300)의 스프링 고정구멍(301)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케이스(200)의 고정돌기(2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시창(400)은 상부케이스(100)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측정용 길이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300)이 상,하부케이스(100, 200) 내부에서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원호형의 둥근 후방부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200)의 절개부(120,220)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서 떼게 되면,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측정판(30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래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00) 중앙부에는 두 개의 좌우직선판(241, 242)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부(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판(300)의 하부에는 전후방 가이드돌기(302, 303)가 전후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측정판(300)이 전후방으로 이동시 전후방가이드돌기(302, 303)가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가이드부 (240)내부를 따라 안정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도면, 도 2는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조립도, 도 3은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분해도(스프링장착상태), 도 4는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분해도(스프링분리상태), 도 5는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상부케이스 저면도, 도 6은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측정판 사시도, 도 7은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하부케이스 평면도, 도 8은 본발명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측정 실시례, 도 9는 본발명 다른 실시례의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조립도이다.
본발명은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반지름(R)값을 측정하게 몸체(110)에 절개부(12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측정판(300)과, 측정판의 이동을 알 수 있는 투시창(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300)이 상,하부케이스(100, 200)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는 몸체(110, 210)가 서로 결합할 수 있게 대칭이며, 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부(120, 220)는 직각형상이며 전후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45도씩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채꼴형 몸체(110, 210)의 원호부분 끝단부는 직선으로 절개되어 손에 쥐고 사용시 편리한 것이다.
상기 측정판(300)은 부채꼴형이며 원호의 곡률반지름이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곡률반지름 보다 큰 것이다.
상기 측정판(300)은 전후방향 중심선에서 대칭으로 스프링 고정구멍(30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부케이스(100)의 좌우방향 끝단부에는 결합돌기(1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30)의 중심에는 나사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좌우방향 끝단부에는 중심에 상부케이스(100)의 결합돌기(130)가 결합되는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고정돌기(2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31)의 중심에는 나사구멍(232)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200) 바깥으로부터 나사를 삽입하여 상부케이스(100)의 나사홈(131)에 결합한다.
본발명의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상부테두리(101)가 직각하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절개부(120)의 중심선부위에는 상부테두리(101)의 일부가 절개가 되고, 이와 맞닿게 하부케이스(200)에도 하부테두리(201)가 직각상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절개부(220)의 중심선 부위에는 하부테두리(201)의 일부가 절개가 되어 상,하부케이스(100, 200)가 서로 맞닿을 시 구멍부(500)가 형성되어 내부의 측정판(300)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의 코일스프링(600)의 일단은 측정판(300)의 스프링 고정구멍(301)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케이스(200)의 고정돌기(230)에 결합된다.
상기 투시창(400)은 유리등의 투명재질로 제작되며 상부케이스(100)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측정용 길이 눈금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300)이 상,하부케이스(100, 200) 내부에서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원호형의 둥근 후방부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케이스(100,200)의 절개부(120,220)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서 떼게 되면,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측정판(30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래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200) 중앙부에는 두 개의 좌우직선판(241, 242)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부(240)가 형성된다. 이와 대응되게 상기 측정판(300)의 하부에는 전후방 가이드돌기(302, 303)가 전후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측정판(300)이 전후방으로 이동시 전후방가이드돌기(302, 303)가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가이드부 (240)내부를 따라 안정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곧 스프링의 탄성으로 전후로 움직이되, 가이드 부분 내에서 흔들리지 않게 조립되었다.
곧, 본발명의 접촉 방식의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는 측정하려는 모서리 부분에 기계를 접촉하기만 하면 R값을 측정할 수 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발명은 하부케이스(200)위에 측정판(300)과 상부케이스(100)가 조립된다.
측정하려는 측정대상의 모서리 부분을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ㄱ'자 홈)에 접촉시키면 측정판은 탄성에 의해 앞으로 나와 있다가 뒤로 밀리며, R 값이 측정 되며, 측정대상이 떨어지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온다.
측정값은 제품에 따라 20R, 30R*로 시작되며, 제품이 초기 상태시 20R 제품의 경우 20R 값에서 시작하며, 측정할 제품에 의해 모서리 부분이 눌러지면, 20R에서 0R 로 숫자 게이지는 변하며, 역으로 측정된다. (30R 제품은 30R 부터 값이 시작)
측정값은 측정판의 끝부분이 투시창 부분에 표시되며, 그 값을 읽어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8060896215-pat00001
형태의 R 값 측정. A부분이 튀어 나와있으면 R>20mm이며, 눌러지면서 측정값은, R게이지에서 20*10*1 로 계산 표시되어 지며, 읽을 수 있다.
R 값이 형성되는 모서리의 각을 측정한다. 90도 직각을 기준으로 -20도(70도) 가지 측정이 가능하다.
오목부 지름 측정보조판(700)은
Figure 112018060896215-pat00002
방향의 오목부 지름값을 측정하는 도구로, 일체로 결합된 측정판 부분이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며, 투시창 눈금을 통해 값을 읽을 수 있다. 각도 값은 양쪽으로 들어가므로, 투시창 눈금의 값은 두배로 계산되어 지며, 나타난다.
수평계가 직각으로 설치되어 수평 조절도 가능하다.
본발명은 멀티 R 게이지로, 접촉방식의 모서리 R 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서리의 각을 어느정도 읽을 수 있으며, 물체의 오목부 지름까지(20mm)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수평계를 이용할 수 있는 멀티 게이지이다.
그리고 내부 스프링 부분을 디지털 미터에 연결하여, 슬라이딩 되는 거리가 읽혀져, 바로 디지털화가 가능하여, 더 정밀한 값을 읽을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은 상기 측정판(300)후방 중앙에는 물체의 오목부의 지름을 측정하는 물체의 오목부 지름 측정보조판(700)이 형성된다. 오목부 지름 측정보조판을 측정하는 물체의 오목부에 강하게 누르면서 밀착하여 측정한다.
또한, 원통의 평탄도를 롤러로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축은 로드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일단과 연결되며,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홈주위에 고정되며, 상기 홈은 상부케이스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탑버튼에 의해 고정된다. 스탑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보조측정판의 롤러를 원통으로 누른 상태에서 수동으로 돌려가며 원통의 평탄도를 잴 수 있다.
상기 롤러와 스탑버튼 사이에는 눈금이 새겨진 보조투명창이 전후방향 중심선과 대칭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곧 원통에 롤러가 밀착되고 수동으로 돌리면, 보조측정판이 움직이며, 원통의 진원도도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측정시는 스탑버튼을 위로 당겨서 멈춤기능이 없게 하고 상기 롤러가 케이스 내부에 장입되게 밀어 넣는다. 평탄도를 측정할 경우에는 롤러의 일부가 측정을 위해 밖으로 나오게 당긴 후 스탑버튼을 눌러서 홈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홈과 스탑버튼은 제2홈과 제2스탑버튼을 직렬로 간격이 후방으로 이격되게 연결하여 각각 더 추가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측정시에 롤러가 케이스 내부에 장입되게 밀어 넣은 상태에서 흔들려서 다시 앞으로 돌출되지 않게 제2스탑버튼으로 제2홈에 고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발명은 수평계가 전후방향 중심선과 대칭으로 각각 형성되되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하부케이스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이 상하부케이스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알 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상부케이스 200 : 하부케이스
300 : 측정판 400 : 투시창
401 : 눈금
110, 210 : 몸체 120, 220 : 절개부
130 : 결합돌기 131 : 나사홈
230 : 고정돌기 231 : 고정돌기
232 : 나사구멍 240 : 가이드부
241, 242 : 좌우직선판 301 : 스프링 고정구멍
302, 303 : 전후방 가이드돌기
600 : 코일스프링
700 : 오목부 지름 측정보조판 800 : 수평계
900 : 롤러
1 : 스탑버튼 410 : 보조투시창

Claims (3)

  1.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반지름(R)값을 측정하게 몸체(110)에 절개부(12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 사이에 설치되는 측정판(300)과, 측정판의 이동을 알 수 있는 투시창(40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300)이 상,하부케이스(100, 200)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알 수 있는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는 몸체(110, 210)가 서로 결합할 수 있게 대칭이며, 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부(120, 220)는 직각형상이며 전후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45도씩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정판(300)은 전후방향 중심선에서 대칭으로 스프링 고정구멍(301)이 형성되며, 측정판(300)의 스프링 고정구멍(301)에 코일스프링(600)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케이스(200)의 고정돌기(230)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110, 210)의 원호부분 끝단부는 직선으로 절개되어 손에 쥐고 사용시 편리한 것이며,
    상기 측정판(300)은 부채꼴형이며 원호의 곡률반지름이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곡률반지름 보다 큰 것이며,
    상기 측정판(300)은 전후방향 중심선에서 대칭으로 스프링 고정구멍(301)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좌우방향 끝단부에는 결합돌기(1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30)의 중심에는 나사홈(131)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좌우방향 끝단부에는 중심에 상부케이스(100)의 결합돌기(130)가 결합되는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고정돌기(23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31)의 중심에는 나사구멍(232)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200) 바깥으로부터 나사를 삽입하여 상부케이스(100)의 나사홈(131)에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상부테두리(101)가 직각하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절개부(120)의 중심선부위에는 상부테두리(101)의 일부가 절개가 되고, 이와 맞닿게 하부케이스(200)에도 하부테두리(201)가 직각상방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되 절개부(220)의 중심선 부위에는 하부테두리(201)의 일부가 절개가 되어 상,하부케이스(100, 200)가 서로 맞닿을 시 구멍부(500)가 형성되어 내부의 측정판(300)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일단은 측정판(300)의 스프링 고정구멍(301)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케이스(200)의 고정돌기(230)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투시창(400)은 상부케이스(100)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측정용 길이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 접촉할 경우, 상기 측정판(300)이 상,하부케이스(100, 200) 내부에서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측정판의 원호형의 둥근 후방부 위치에 의해 측정대상의 모서리의 R값을 알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상,하부케이스(100,200)의 절개부(120,220)를 측정대상의 모서리에서 떼게 되면,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측정판(30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래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케이스(200) 중앙부에는 두 개의 좌우직선판(241, 242)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부(240)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측정판(300)의 하부에는 전후방 가이드돌기(302, 303)가 전후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측정판(300)이 전후방으로 이동시 전후방가이드돌기(302, 303)가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가이드부(240) 내부를 따라 안정하게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케이스(200) 위에 측정판(300)과 상부케이스(100)가 조립되는 것이며, 측정하려는 측정대상의 모서리 부분을 상,하부케이스(100, 200)의 절개부에 접촉시키면 측정판(300)은 탄성에 의해 앞으로 나와 있다가 뒤로 밀리며, R 값이 측정 되며, 측정대상이 떨어지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며,
    측정값은 측정판의 끝부분이 투시창 부분에 표시되며, 표시된 값을 읽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측정판(300) 후방 중앙에는 물체의 오목부의 지름을 측정하는 오목부 지름 측정보조판(700)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오목부 지름 측정보조판(700)은
    Figure 112019061468593-pat00012
    방향의 오목부 지름값을 측정하는 도구로, 일체로 결합된 측정판(300) 부분이 상,하부케이스(100,200) 내부로 들어가며, 투시창 눈금을 통해 값을 읽을 수 있으며, 각도 값은 양쪽으로 들어가므로, 투시창 눈금의 값은 두배로 계산되어 지며, 나타나며, 수평계가 직각으로 설치되어 수평 조절도 가능한 것이며,
    상기 오목부 지름 측정보조판(700)을 측정하는 물체의 오목부에 강하게 누르면서 밀착하여 측정하되, 원통의 평탄도를 롤러(900)로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롤러(900)의 회전중심축은 로드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일단과 연결되며,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홈 주위에 고정되며, 상기 홈은 상부케이스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탑버튼(1)에 의해 고정되고, 스탑버튼(1)을 누른 상태에서는 보조측정판의 롤러(900)를 원통으로 누른 상태에서 수동으로 돌려가며 원통의 평탄도를 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2. 삭제
  3. 삭제
KR1020180071225A 2018-06-21 2018-06-21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KR10202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25A KR102020825B1 (ko) 2018-06-21 2018-06-21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25A KR102020825B1 (ko) 2018-06-21 2018-06-21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825B1 true KR102020825B1 (ko) 2019-09-17

Family

ID=6807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225A KR102020825B1 (ko) 2018-06-21 2018-06-21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8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559A (en) * 1980-11-18 1984-03-06 Gerhard Lauer Tool for gauging the corners of workpieces of sheet metal or the like
JPH08170902A (ja) * 1994-12-19 1996-07-02 Daihatsu Motor Co Ltd 半月部の内径測定ゲージ
JP2011075350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Ltd Rゲージ
CN201993060U (zh) * 2010-12-29 2011-09-28 万载县江明精密量具有限公司 一种焊接检测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559A (en) * 1980-11-18 1984-03-06 Gerhard Lauer Tool for gauging the corners of workpieces of sheet metal or the like
JPH08170902A (ja) * 1994-12-19 1996-07-02 Daihatsu Motor Co Ltd 半月部の内径測定ゲージ
JP2011075350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Ltd Rゲージ
CN201993060U (zh) * 2010-12-29 2011-09-28 万载县江明精密量具有限公司 一种焊接检测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85048A2 (en) A pair of vernier calipers having a protractor
US5224274A (en) Contact gage
KR102020825B1 (ko) 모서리 측정용 r-게이지
US4493153A (en)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JP3318055B2 (ja) 内径測定装置
US1827093A (en) Measuring instrument
JPH045321B2 (ko)
JP2022091495A (ja) キャリパーゲージ
US3315369A (en) Measuring instrument for optical frames
US2124014A (en) Gauge
US211975A (en) Improvement in micrometer-screw gages
GB2128742A (en) Measuring feeler
US2387852A (en) Precision measuring apparatus
US3324561A (en) Micrometer caliper
US2348018A (en) Size gauge
US1144623A (en) Micrometer-calipers.
US2910781A (en) Dial hole gauge
US4428668A (en) Range indicating device
CN211317134U (zh) 一种深度测距仪
JP6923126B1 (ja) 塗工装置及びブレード測定器
CN209910564U (zh) 一种弧高测量工具
US2163023A (en) Measuring instrument
US820807A (en) Micrometer-calipers.
JPS63279111A (ja) 直径並びに曲率半径測定具
US20150355159A1 (en) Measuring apparatus,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