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599B1 -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 - Google Patents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599B1
KR102020599B1 KR1020170069786A KR20170069786A KR102020599B1 KR 102020599 B1 KR102020599 B1 KR 102020599B1 KR 1020170069786 A KR1020170069786 A KR 1020170069786A KR 20170069786 A KR20170069786 A KR 20170069786A KR 102020599 B1 KR102020599 B1 KR 102020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unit
emergency call
electric vehic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3161A (en
Inventor
최선형
Original Assignee
고구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고구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06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599B1/en
Publication of KR2018013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Abstract

본 발명의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는, 전동차의 객차 내 또는 전동차 주변에서 발생된 비상상황을 비상연락 단말을 통해 비상상황 관제서버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비상상황 관제서버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실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비상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비상통화 녹음장치로 전송하여 비상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명령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voice signal generated in a passenger car of a train or around the electric vehicle to an emergency control server through an emergency contact terminal, and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sends the voic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been analyzed, the technical feature is to provide an instruction to record the emergency call by transmit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train.

Description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

본 발명은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객차 내 또는 전동차 주변에서 발생된 비상상황을 비상연락 단말을 통해 비상상황 관제서버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비상상황 관제서버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실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비상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비상통화 녹음장치로 전송하여 비상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명령하는,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mergency signal generated in a passenger car of a electric vehicle or around an electric vehicle is transmitted to an emergency control server through an emergency contact terminal,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When the server analyzes the voice signal and determines that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transmits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to an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and instructs to record an emergency call.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열차의 운행 중 또는 정지 중에 객차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승객들 간의 다툼, 또는 응급환자의 발생 등과 같은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것에 대비해서 열차의 각 객차에는 승무원와 승객이 비상통화를 할 수 있는 비상통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In general,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 quarrel between passengers, or an emergency patient, such as during a train operation or a stop, an emergency call is available for each passenger on the train. A call device is provided.

따라서, 승객들은 비상통화 장치를 이용하여 객차 내의 비상상황을 승무원에게 통지하고, 승무원은 적절한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ccordingly, the passengers can use the emergency call device to notify the crew of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passenger car and the crew can take appropriate emergency measures.

그러나 종래의 비상통화 장치는 객차 또는 승강장에 고정 설치된 비상 통화 장치를 이용하여 비상사태를 통지함으로써, 승객이 비상 통화 장치가 구비된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비상 상황에 대한 신속한 전달 및 대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mergency call device is inconvenient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emergency call device is equipped by using the emergency call device fixed to the carriage or platform, so that the emergency call device is inconvenien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occur if not delivered and coped properly.

또한 종래의 비상통화 장치는 통화 내용이 녹음되지 않아, 비상상황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알기 어려워 차후에도 발생 될 수 있는 동일한 비상상황에 대해 예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mergency call device is not recorded the call, it is difficult to know the exact situation for the emergency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epared for the same emergency situation that can occur in the future.

또한 종래의 비상 통화 장치는 전동차 객실 내의 비상 상황에 대해서만 한정되었고, 기타 역사 및 승강장 등의 전동차 객실 이외의 장소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경우 이를 통보하고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mergency call device is limited only to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cabin of the train, the problem that can not be provided for the technology to notify and record the contents of the call when an emergency occurs in a place other than the train cabin, such as the history and platform There was thi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193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19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동차의 객차 내 또는 전동차 주변에서 발생된 비상상황을 비상연락 단말을 통해 비상상황 관제서버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비상상황 관제서버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실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비상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비상통화 녹음장치로 전송하여 비상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명령하는,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generated in the passenger car or around the train of the electric vehicle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through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analyzes the voic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electric vehicle to provide an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to instruct to record the emergency call contents.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는, 전동차의 객차 내 또는 전동차 주변에서 발생된 비상상황을 비상연락 단말을 통해 비상상황 관제서버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비상상황 관제서버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실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비상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비상통화 녹음장치로 전송하여 비상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명령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generated in the passenger car or around the electric vehicle of the electric vehicle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through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control server analyzes the voice signal and determines that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to an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and provides a command to record an emergency call.

본 발명은 객차 내에서 비상상황 발생시, 객차내의 승객과 운전자 사이의 비상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으므로, 비상 인터폰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또한 추후 비상시의 상황에 대해 정확한 유추가 가능하여 비상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및 대응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rd the contents of the emergency call between the passenger and the driver in the carriage when an emergency occurs in the carriag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mergency interphone, and also to accurately infer the future emergency situation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o ensure that appropriate responses and responses have been made to emergency situations.

또한 본 발명은 역사 및 승강장 등의 전동차 객실 이외의 장소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경우 이를 통보하고 통화내용을 녹음함으로, 추후 비상시의 상황에 대해 정확한 유추가 가능하여 비상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및 대응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ifie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place other than the electric car cabin, such as the history and platform, and recording the cal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nfer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properly respond to and respond to emergency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o confirm th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통화녹음장치와 주변 장치들 간의 관계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통화녹음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관제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an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통화녹음장치와 주변 장치들 간의 관계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an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and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비상통화녹음장치(100)와, 상기 비상통화녹음장치(100) 주변에 네트워크(10)를 통해 상호 간에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비상상황 관제서버(200) 및 비상연락 단말부(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100 and an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to an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10 around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100. Emergency contact terminal 300 is included.

비상통화녹음장치(100)는 전동차의 객차 내 또는 전동차 주변(역사, 승강장 등)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객차의 승객 또는 접근이 허용된 사용사와 운전자 간의 비상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장치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100 is a device for recording the emergency call content between the passenger or the driver allowed to access the driver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carriage of the train or around the train (historic, platform, etc.),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비상상황 관제서버(200)는 전동차의 객차 내 또는 전동차 주변에서 비상상황이 실제로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통화녹음장치(10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여 녹음을 하도록 명령하고, 기타 비상상황에 대한 이력 관리 등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actually occurs in a passenger car or around a train of an electric vehicle,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transmits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100 to record a signal, and other emergency. History management for the situation is perform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3.

비상연락 단말부(300)는 비상 인터폰(310) 및 사용자 단말(320)을 포함하여, 비상상황 발생 시 네트워크(10)를 통해 비상상황 관제서버(200) 및 비상통화녹음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300 includes an emergency interphone 310 and a user terminal 320 to communicate with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and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network 10 when an emergency occurs. Do this.

여기서 비상 인터폰(310)은 전동차의 객차 내에 발생된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해 전동차 각각의 객차에 설치되어, 송수화기를 승객이 들면, 음성신호 및 비상인터폰(310)이 위치한 전동차의 객차번호가 포함된 객차신호가 전용 채널을 통해 비상상황 관제서버(200)로 자동으로 전달되는데, 이 경우 전동차의 운전자는 비상상황 관제서버(200)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함으로 비상상황이 실제로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emergency interphone 31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assenger cars in order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generated in the passenger cars of the train, and if the handset is a passenger, the carriage including the voice signal and the passenger car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where the emergency intercom 310 is located The signal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through a dedicated channel. In this case,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to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has actually occurred.

사용자 단말(320)은 전동차 주변에서 발생된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해, 사전에 접근이 허용된 경우에 운행 중인 전동차 인근에 설치된 다채널 중계 장치(미도시)의 중계를 통해서만 음성 신호를 외부로 전송해 준다. The user terminal 320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outside only through a relay of a multi-channel repeater (not shown) installed near a driving electric vehicle in order to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around the electric vehicle in advance when access is permitted. give.

이를 부연하면, 사용자 단말(320)은 내부에 비상상황 대처용 어플리케이션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으며, 객실 이외의 장소 이를테면, 역사 및 승강장 등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비상상황 대처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서 해당 위치의 비콘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비상상황 관제서버(200)로 제공하는데, 이 경우 전동차의 운전자는 비상상황 관제서버(200)로 전송된 음성 신호를 분석함으로 비상상황이 실제로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In detail, the user terminal 320 has an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in the interior, and if an emergency occurs in a place other than a room, such as a history and a platform, the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is activated by activa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vid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through the beacon recognition of the location, in this case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analyzes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to determine whether the emergency actually occurred You will be judged.

여기서 비상상황 대처용 어플리케이션은 비상상황 관제서버(200)가 사전에 제공한 응용프로그램(앱)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320)은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로, 이를테면, 스마트 폰, 태블릿 폰, 태블릿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application for coping with emergency refers to an application (app) provided by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in advance, and the user terminal 320 is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hone, Tablet PCs and the like.

네트워크(10)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 모듈, RS-485, 전력선통신(PLC) 등의 유선통신 모듈, 또는 인터넷,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network 10 may use a wireless or wired network, such as Zigbee, RF, Wi-Fi, 3G, 4G, LTE, LTE-A, and 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dule, RS-485,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or the Internet,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like can be us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통화녹음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Figure 2 shows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통화녹음장치(100)는 전원관리부(110), 마이크 조정부(120), 스피커 조정부(130), 통신부(140), 메모리부(150), 데이터 변환부(160), 상태 표시부(170) 및 녹음장치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2,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anagement unit 110, a microphone adjusting unit 120, a speaker adjusting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memory unit 150, and a data conversion unit. 160, a status display unit 170, and a recording device controller 180.

전원관리부(110)는 전원부(111), 충전부(112), 서지 보호부(113) 및 정전상태 감지부(114)를 포함한다. The power management unit 110 includes a power supply 111, a charging unit 112, a surge protection unit 113, and a power failure state detection unit 114.

전원부(111)는 내부의 전기기기들에게 전력을 공급하여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작동하도록 해주는데, 이 경우 내부에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하여 동상 100V 직류전압을 5V의 직류 전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전기기기들로 공급해 준다. The power supply unit 111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internal electric devices to operate the electric devices. In this case, a converter (not shown) is provided therein to press the in-phase 100 V DC voltage to 5 V DC voltage to supply the electric devices. Supply to devices.

충전부(112)는 상기 전원부(111)에 비상시 보충적인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한 것으로, 이를테면 소모형 배터리 또는 재활용 충전기를 포함한다. The charging unit 112 is to supply supplementary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11 in an emergency, such as a consumable battery or a recycling charger.

이 경우 소모형 배터리는 사전에 일정한 전하량이 충전되고, 사용에 따라 충전량이 점차 소모가 되는 배터리 또는 재차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배터리로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sumable battery may be charg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charge in advance, and a rechargeable battery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as the battery.

재활용 충전기는, 이를테면 지하철 또는 전력선 주변에서 누설되는 누설전류 또는 과전류를 수집하여 전기 에너지로 저장한 재활용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의 충전을 하는 재활용 충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cycling charger may use a recycling charging method that charges a battery by receiving a current from a recycling energy storage device that collects leakage current or overcurrent leaking around a subway or power line and stores the electrical energy.

서지 보호부(113)는 이를테면, 전동차 주변의 외부통신망(PBX, 전화국 국선)을 통해 인입되는 낙뢰로 인한 서지(surge) 전류 및 서지(surge) 전압을 차단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해 준다. For example, the surge protection unit 113 protects the internal circuit by blocking surge current and surge voltage due to lightning induced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PBX, telephone station trunk line) around the electric vehicle.

정전상태 감지부(114)는 전동차 운행 중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요인으로 정전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정전감지신호를 녹음장치 제어부(180)로 전송해 주면, 녹음장치 제어부(180)는 제어명령을 통해 충전부(112)의 전력이 전원부(111)로 보충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When the power failure state detecting unit 114 detects whether a failure occurs or a power failure occurs due to an external factor while driving the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wer failure detection signal to the recording device controller 180, the recording device controller 180 Power of the charging unit 112 is supplementally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11 through a control command.

마이크 조정부(120)는 객차의 승객과 운전자 간의 비상통화 녹음 시에 입력되는 미약한 음성 신호를 자동으로 증폭시켜 주는데, 이는 차후에 녹음 된 내용을 보다 명확히 분석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The microphone adjuster 120 automatically amplifies the weak voice signal input during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between the passenger and the driver of the car, so that the recorded content can be more clearly analyzed later.

스피커 조정부(130)는 사전에 녹음된 비상통화 내용을 사후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경우 미약한 음성 신호를 자동으로 증폭시켜 준다. The speaker adjusting unit 130 automatically amplifies the weak voice signal when the pre-recorded emergency cal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afterwards.

통신부(140)는 비상상황 관제서버(200) 또는 비상연락 단말부(3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를테면, 외부에 설치된 철도차량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장치와 통신을 위한 RS-485, 전력선통신(PLC) 등의 유선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provides an interfa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or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300. For example, an external railway vehicle 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 or ATO (Automatic Train Operation) is provided. )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RS-485,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or Zigbee, RF, Wi-Fi, 3G, 4G, LTE, LTE-A, and Wireless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Internet).

메모리부(150)는 데이터 저장부(151) 및 비상통화 백업부(152)를 포함한다. The memory unit 15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151 and an emergency call backup unit 152.

데이터 저장부(151)에는 상기 비상연락 단말부(300)를 통해 송수신된 비상통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데, 상기 비상통화 정보는 이를테면 비상상황 발생 시 통화한 비상통화 내용(화재, 도난, 인명피해, 동작결함, 열차사고 등) 및 비상상황이 발생된 호차 정보(객차 번호), 비상상황이 발생된 시간정보(년/월/일/시간) 등을 저장하며, 저장방식으로 이를테면, 네트워크 통신으로 저장하는 네트워크저장매체(NAS), 슬롯에 탈착 가능한 메모리카드, HDD 등과 같은 외부저장매체, 또는 DVD, BLUE-RAY 등과 같은 미디어저장매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151 stores the emergency call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emergency call terminal unit 300 in real time. The emergency call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emergency call contents (fire, theft, human lif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Damages, malfunctions, train accidents, etc.) and emergency car information (car number), time information (year / month / day / time) where an emergency occurred, etc. Network storage media (NAS) to be stored as an external storage medium, such as a removable memory card, HDD, etc. in the slot, or a media storage medium such as DVD, BLUE-RAY and the like can be used.

이를 부연하면, 데이터 저장부(151)는 날짜, 시간 및 객차번호가 포함된 이름으로 파일명을 생성하여 음성신호를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ata storage unit 151 may generate a file name with a name including a date, time, and a passenger number, and store the voice signal in a folder.

이를테면, 녹음장치 제어부(180)가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와 같은 OS에 의해 제어될 경우, 음성신호가 2016년 6월 17일 22시 40분에 03호 객차로부터 전달되고, 녹음장치 제어부(180)에서 화재라는 폴더로 저장하도록 분류되면, 데이터 저장부(151)는 화재라는 폴더에 "2016_06_17_22_40_03.mp3"의 파일명으로 음성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cording device controller 180 is controlled by an OS such as Windows, Linux, or Android, a voi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03 passenger car at 22:40 on June 17, 2016, and the recording device controller 180 is controlled. When the data is classified to be stored in a folder called fire, the data storage unit 151 may store a voice signal under a file name of “2016_06_17_22_40_03.mp3” in a folder called fire.

비상통화 백업부(152)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151)와는 별도로 정전 등의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비상통화 데이터를 백업하는데, 백업을 위한 메모리로 이를테면, 비휘발성 메모리인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emergency call backup unit 152 backs up emergency call data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such as a power failure, separately from the data storage unit 151, and is a memory for backup, for example, a nonvolatile memory (MRAM). Can be implemented using

여기서 MRAM은 강자성체 간의 자화 방향에 따른 자기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비휘발성 고체 메모리로써, 자성 층의 자화 방향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0과 1의 정보는 자기 저항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분하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각 셀마다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배선에 전류를 흘려보내고, 이때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다. The MRAM is a nonvolatile solid state memory using a change in magnetoresistance according to the magnetization direction between ferromagnetic materials. The MRAM stores information using the magnetizat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layer. The information of 0 and 1 is distinguished by using a difference in magnetoresistance value. In order to store information, a current flows through two wires orthogonal to each cell, and a magnetic field generated at this time is used.

또한 비상통화 백업부(152)는 상기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하는 것 외에, 데이터의 비휘발성, 빠른 처리 속도, 데이터의 무작위적 접근(random access), 최소 전력 소비, 초소형, 안전성, 저렴한 가격 등 요구되는 장점들을 고루 갖춘 이상적인 메모리로 차세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FeRAM(Ferroelectric RAM), PRAM(Phase Change RAM), ReRAM(Resistance RAM), PoRAM(Polymer RAM),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등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to using the 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the emergency call backup unit 152 may use data non-volatile, fast processing speed, random access of data, minimum power consumption, ultra small size, safety, The next generation of memory can be used as an ideal memory with the required advantages such as low price, such as FeRAM (Ferroelectric RAM), Phase Change RAM (PRAM), Resistance RAM (ReRAM), Polymer RAM (PoRAM), and Nano Floating (NFGM). Gate Memory).

데이터 변환부(160)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A/D 컨버터(미도시)를 이용해 아날로그의 비상통화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또한 녹음된 내용을 출력할 때에는 D/A 컨버터(미도시)를 이용해 저장된 디지털의 비상통화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The data converter 160 converts an analog emergency call audio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using an A / D converter (not shown) when storing data in a memory, and also outputs the recorded contents. To convert the stored digital emergency cal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상태 표시부(170)는 녹음장치 제어부(180)의 동작 상태에 따른 알림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엘이디(LED)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status display unit 170 is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a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cording apparatus controller 180,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n LED or the like.

이를테면, 상태 표시부(170)는 녹색(G), 황색(Y), 적색(R)의 엘이디(LED)로 구비되어, 녹색(G) 점등의 경우에는 대기모드 상태, 황색(Y) 점멸(5Hz의 주기)은 녹음 중인 상태, 황색 점멸(10Hz의 주기)은 데이터 저장부(151)에 저장 중인 상태, 적색(R) 점등의 경우에는 시스템 에러 상태(이를테면, 저장장치 없음, 전류루프 결선에러, RS-485 에러 등)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atus display unit 170 is provided with LEDs of green (G), yellow (Y), and red (R). When the green (G) is lit, the standby mode state and the yellow (Y) blink (5 Hz). Cycle) is recording status, yellow blinking (10Hz cycle) is recording data storage unit 151, red (R) lighting system error status (e.g. no storage device, current loop wiring error, RS-485 error, etc.).

녹음장치 제어부(180)는 상기 전원관리부(110), 마이크 조정부(120), 스피커 조정부(130), 통신부(140), 메모리부(150), 데이터 변환부(160) 및 상태 표시부(170)를 제어한다. The recording devic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power manager 110, the microphone controller 120, the speaker controller 130, the communicator 140, the memory 150, the data converter 160, and the status display unit 170. To contro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관제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상황 관제서버(200)는 사용자 인증관리부(210), 통신부(22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30), 비상상황 판단부(240), 다채널 중계요청부(250), 비상상황 알림부(260) 및 서버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3,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communication unit 220, database management unit 230,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40, multi-channel relay request unit ( 250,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260 and a server control unit 270.

사용자 인증관리부(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320)을 통해 전동차의 운전자와 비상 통화를 시도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관리하는데, 이는 비상 상황 시 사전에 접근이 허락된 사용자 이외의 무분별한 통화를 제한함으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User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manages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who attempts to make an emergency call with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user terminal 320, which is confused by limiting indiscriminate calls other than the user who is allowed to access in advance in an emergency This is to prevent.

이를 부연하면, 사용자 인증관리부(210)는 비상상황 관제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상기 비상상황 대처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을 때에 작성된 인적정보(이를테면, 이름, 성별, PIN 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등), 로그인 정보(아이디, 패스워드 등) 및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하며, 이 때 권한 없는 자의 무단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인증 및 암 복호화 절차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user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is the personal information (eg, name, gender, PIN, phone number, email, etc.) created when downloading the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It manages the login information (ID, password, etc.)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and decryption procedure to prevent unauthorized access by unauthorized persons.

이 경우 전자서명과 해시(hash) 함수(이를테면, SHA-224, SHA-256, SHA-384, SHA-512 등)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구현할 수 있으며, ARIA(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등과 같은 경량 암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 복호화 절차를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authentication procedures can be implemented using digital signatures and hash functions (e.g., SHA-224, SHA-256, SHA-384, SHA-512, etc.), and the 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 (ARIA), ECC ( The arm decoding procedure can be implemented using a lightweight arm decoding algorithm such as an Elliptic Curve Cryptosystem.

통신부(22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320) 또는 비상통화녹음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를테면, 외부에 설치된 철도차량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장치와 통신을 위한 RS-485, 전력선통신(PLC) 등의 유선통신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20 provides an interfa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user terminal 320 or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100. For example, an external railway vehicle 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 ATO (Automatic Train Operation) )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RS-485,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or Zigbee, RF, Wi-Fi, 3G, 4G, LTE, LTE-A, and Wireless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Internet).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30)는 비상상황 발생 시에 비상 인터폰(310), 사용자 단말(320) 또는 비상통화녹음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 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The database manager 230 converts various types of data received from the emergency interphone 310, the user terminal 320, or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100 into a database DB and manages them systematically when an emergency occurs.

이를테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30)는 1)사용자 단말(32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정보, 2)비콘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 등을 포함하는 비콘 위치 정보, 3)비콘에 대응하여 가장 인접한 위치의 역무실에 대한 연락처를 포함하는 역무실 정보, 4)사용자 단말(320)과 비상상황 관제서버(200)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진 경우 비상 통화 일시 및 위치, 역무원 담당자명, 비상 내역 및 조치사항 등을 포함하는 비상 통화 이력 정보 및 5)비상통화 백업부(152)로부터 전송된 비상통화 관련 백업파일을 각각 저장 및 관리한다. For example, the database manager 230 may correspond to 1)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user terminal 320, 2) beac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stallation location for each of the beacons, and 3) beacons. Station room information, including contact information for the station office in the nearest location, 4) emergency call date and location, station attendant name, emergency history and measures when an emergency call is made between the user terminal 320 and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200; Emergency call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matters and the like 5) Emergency call-related backup files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call backup unit 152 stores and manages each.

비상상황 판단부(240)는 비상상황 발생 시에 비상 인터폰(310) 또는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하여 비상상황이 실제로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40 analyz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interphone 310 or the user terminal 320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actually occurs.

다채널 중계요청부(250)는 상기 비상상황 판단부(240)에서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분석한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320)을 소지한 사용자의 정당한 권한을 체크 한 후 지속적인 비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다채널 중계 장치(미도시)로 중계(relay)를 요청한다. When the multi-channel relay request unit 25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20 in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40, the user of the user having the user terminal 320 is duly authorized. After checking the authority, the relay is requested to the multi-channel relay device (not shown) for continuous emergency call.

이를 부연하면, 비상 인터폰(310)은 전용 채널을 통해 운전자와 통신을 구현할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320)은 사전에 접근이 허용된 경우에 다채널 중계 장치의 중계를 통해서만 운전자와 통신이 구현된다. In detail, the emergency interphone 310 may implement communication with the driver through a dedicated channel, but the user terminal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driver only through relaying of a multi-channel relay device when access is allowed in advance. .

비상상황 알림부(260)는 상기 비상상황 판단부(240)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비상상황 알림신호를 발생시킨 후 비상통화녹음장치(100)로 전송하여 녹음 개시를 명령하거나, 또는 외부 기관(소방서, 경찰서, 병원, 보험회사 등)에게 비상상황 알림신호를 전송하여 긴급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260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40,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100 to instruct recording start, or Emergency alerts are sent to external agencies (fire departments, police stations, hospitals, insurance companies, etc.) to ensure urgent action is taken.

서버 제어부(270)는 상기 사용자 인증관리부(210), 통신부(22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30), 비상상황 판단부(240), 다채널 중계요청부(250) 및 비상상황 알림부(260)를 제어한다. The server controller 270 controls the user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210,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230,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40, the multi-channel relay request unit 250, and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260. To control.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비상통화 녹음장치
200 : 비상상황 관제서버
300 : 비상연락 단말부
310 : 비상 인터폰
320 : 사용자 단말
100: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200: emergency control server
300: emergency contact terminal
310: emergency intercom
320: user terminal

Claims (8)

전동차의 객차 내 또는 전동차 주변에서 발생된 비상상황을 비상연락 단말을 통해 비상상황 관제서버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비상상황 관제서버는 상기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실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비상상황 알림신호를 상기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비상통화 녹음장치로 전송하여 비상 통화 내용을 녹음하도록 명령하며, 상기 비상통화 녹음장치는, 내부의 전기기기들로 1차적인 전력을 공급하며, 정전 상태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전기기기들로 2차적인 전력을 공급해 주는 전원관리부; 상기 비상연락 단말 또는 상기 비상상황 관제서버와 통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비상상황 알림신호를 전송 받은 이후에 상기 비상연락 단말을 통해 송수신된 비상통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정전의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비상통화 데이터를 MRAM을 이용하여 백업하는 비상통화 백업부; 및 비상 통화 내용의 녹음 진행 상태를 외부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고;
전원관리부는 내부의 전기기기들로 1차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전동차 운행 중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요인으로 정전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한 후, 정전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상태 감지부; 상기 정전상태 감지부에서 발생된 정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기기들로 2차적인 전력을 공급해 주는 충전부; 및 전동차 주변의 외부통신망을 통해 인입되는 낙뢰로 인한 서지 전류 및 서지 전압을 차단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해 주는 서지 보호부를 포함하고;
정전상태 감지부는 전동차 운행 중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요인으로 정전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정전감지신호를 녹음장치 제어부로 전송해 주면, 녹음장치 제어부는 제어명령을 통해 충전부의 전력이 전원부로 보충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충전부는 전원부에 비상시 보충적인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한 것으로 재활용 충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재활용 충전기는 지하철 또는 전력선 주변에서 누설되는 누설전류 또는 과전류를 수집하여 전기 에너지로 저장한 재활용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의 충전을 하는 재활용 충전 방식을 사용하고;
비상연락 단말은 전동차의 객차 내에 발생된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해, 전동차의 객실에 구비되어 전용 채널을 통해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비상 인터폰; 및 전동차 주변에서 발생된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해, 사전에 접근이 허용된 경우에 다채널 중계 장치의 중계를 통해서만 음성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은 내부에 비상상황 대처용 어플리케이션이 사전에 설치되어 있으며, 객실 이외의 장소인 역사 및 승강장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비상상황 대처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서 해당 위치의 비콘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비상상황 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이 경우 전동차의 운전자는 비상상황 관제서버로 전송된 음성 신호를 분석함으로 비상상황이 실제로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
When the emergency signal generated in the passenger car or around the electric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through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analyzes the voice signal and determines that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Send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to record the emergency call contents,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the primary power supply to the internal electrical equipment, the power outage A power management unit for supplying secondary power to the electric devices if detected;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to implement the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A data storage for storing emergency call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n real time; An emergency call backup unit for backing up emergency call data using an MRAM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of a power failure; And a status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recording progress state of the emergency call contents to the outside;
The power management un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rimary power to internal electric devices; A power failure state detection unit for generating a power failure detection signal after detecting whether a failure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or an external power failure; A charging unit configured to supply secondary power to the electric devices according to the power failur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failure state detection unit; And a surge protection unit that protects an internal circuit by blocking a surge current and a surge voltage due to lightning induced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round the electric vehicle.
The power failure state detection unit detects whether a failure occurs during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or an external power failure, and then transmits the detected power failure detection signal to the recording unit controller. The recording unit controller transmits the power of the charging unit to the power unit through a control command. To be replenished; The charging unit is to supply supplementary power to the power supply in an emergency, and includes a recycling charger. The recycling charger collects leakage current or overcurrent leaking around a subway or power line and stores current as a recycling energy storage device. Using a recycling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the battery;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may include an emergency intercom configured to transmit an audio signal through a dedicated channel provided in a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electric vehicle in order to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generated in a passenger ca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outside only through the relay of the multi-channel relay device when access is allowed in advance in order to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generated around the electric vehicle; The user terminal has an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in the history and platform other than a room, the user terminal activates the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and recognizes the user's current status by beacon recognition of the location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in this case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h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actually occurred by analyz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ontrol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비상통화 정보를 네트워크저장매체(NAS), 슬롯 탈착 형 메모리카드, 외부저장매체, 또는 미디어저장매체를 사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storage unit,
The emergency call record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emergency call information using a network storage medium (NAS), a slot removable memory card, an external storage medium, or a media storage mediu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통화 정보는,
화재, 도난, 인명피해, 동작결함, 열차사고 내용을 제공하는 비상통화 내용 정보;
비상상황이 발생된 객차 번호를 제공하는 호차 정보;
비상상황이 발생된 년/월/일/시간을 제공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mergency call information,
Emergency call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fire, theft, casualty, malfunction, train accidents;
Door-to-door information that provides the number of the car on which the emergency occurred;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time information that provides the year / month / day / time when the emergency occur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녹색(G), 황색(Y), 적색(R)의 엘이디(LED)를 구비하여, 각각의 색깔(G, Y, R)의 점등 또는 점멸에 따라 상기 녹음 진행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atus display unit,
Green (G), yellow (Y), and red (R) LED (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rding progress is visu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lighting or flashing of each color (G, Y, R)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는,
녹색(G) 점등은 대기모드 상태를, 황색(Y) 점멸은 녹음 중인 상태를, 적색(R) 점등은 시스템 에러 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ate display unit,
The green (G) lights up the standby mode, the yellow (Y) flashes the recording, and the red (R) lights up the system error.
삭제delete
KR1020170069786A 2017-06-05 2017-06-05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 KR102020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86A KR102020599B1 (en) 2017-06-05 2017-06-05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86A KR102020599B1 (en) 2017-06-05 2017-06-05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61A KR20180133161A (en) 2018-12-13
KR102020599B1 true KR102020599B1 (en) 2019-09-10

Family

ID=6467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786A KR102020599B1 (en) 2017-06-05 2017-06-05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59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94B1 (en) * 2014-07-02 2015-01-02 조규화 Emergency Call Data Recording Equipment for Electric Rail Ca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388A (en) * 2001-06-19 2002-12-31 김성기 Real-time monitoring system of train
KR20040053895A (en) * 2002-12-16 2004-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lackbox apparatus for a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50357B1 (en) * 2014-10-21 2016-08-24 주식회사 텔리아넷 Emergency call device and method including radio access unit for emergency call
KR101715208B1 (en) 2015-04-13 2017-03-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Emergency call system for tra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94B1 (en) * 2014-07-02 2015-01-02 조규화 Emergency Call Data Recording Equipment for Electric Rail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61A (en)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34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ng electricity to multiple loads based on a scheduler and ammeter measurements
US106829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multiple loads with current measurements
EP2556986B1 (en) Vehicle charging stations and methods for use in charging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CN103231958B (en) A kind of elevator safety operation monitored control system
KR101488357B1 (en) System for smart battery management
CN102239709A (en) Mobile tag local data reporting system
CN107554302A (en) Electric automobile intelligence supplying power for outsid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103247140B (en) A kind of intelligent dormitory control system based on microprocessor
CN109501751A (en) On-vehicle battery method for safely carrying out and system and platform, controller and storage medium
WO2023236439A1 (en) Vehicle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4417503A (en) Battery replacing system of electric car
KR102020599B1 (en) Emergency call recording device for train
CN103731275A (en) Battery energy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CN104091384A (en) Method for automobile high utilization rate and automobile remote control door opening system
US20200087107A1 (e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vator and an elevator system
CN202480890U (en) Vehicle accident automatic alarm system
CN108340867A (en) A kind of emergent rescu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ren from being left vehicle
CN104417505A (en) Battery replacing system for electric car
KR20150083544A (en) emergency notifying apparatus for elevator
CN206250575U (en) A kind of early warning reminding type power equipment anti-misoperation apparatus
JP5534077B1 (en) Command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command system
KR20070065855A (en) Emergency call recording system and method of recording the emergency call
CN205753538U (en) vehicle emergency power supply with automatic alarm function
CN203941596U (en) The emergent bag with locating alarming function
KR10142829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kneeling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