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583B1 -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 Google Patents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583B1
KR102020583B1 KR1020180084753A KR20180084753A KR102020583B1 KR 102020583 B1 KR102020583 B1 KR 102020583B1 KR 1020180084753 A KR1020180084753 A KR 1020180084753A KR 20180084753 A KR20180084753 A KR 20180084753A KR 102020583 B1 KR102020583 B1 KR 10202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solid aerosol
extinguisher
breathable tape
gas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구
Original Assignee
(주)서한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한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서한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8008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62C13/2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incendiary substances producing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2201/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는 내부에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이 수납되고, 이 소화약제(20)가 점화장치(30)에 의해 연소되며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형태의 소화성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10)를 갖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있어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내부에서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되어 축적되는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기성 테이프(50)가 복수의 배출구(40)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하나 이상이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GAS EXHAUST STRUCTURE FOR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USING BREATHABLE TAPE}
본 발명은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장시간 보관 중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내부에 쌓인 폭발성 가스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질산칼륨 등의 다양한 화학물질들이 혼합된 고체물질을 소화약제로 사용하여 고농도 소화성분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소화 성능이 할론 가스 소화기의 약 5배에 달할 만큼 매우 적은 소화약제량으로도 뛰어난 소화능력을 보여준다.
또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압력용기나 분사장치, 파이프 등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 비용부담이 적고 기존 가스식 자동 소화장치의 약 1/40 정도의 저장공간만 있어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가정뿐만 아니라 주요 산업시설의 배전반, 분전반 등과 같은 밀폐된 좁은 공간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화재 진압 후 잔존물이 남지 않으므로, 약제에 의한 2차 피해가 가스 소화기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고가의 장비를 갖춘 공장, 연구소와 같이 위험가스에 극히 민감한 특수 산업시설에도 널리 사용된다.
종래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소화약제는 소화기 제품조립 공정을 통하여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밀폐된 용기 내에 보관된다. 이때, 소화약제는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된 밀폐된 용기 내에 보관되지만, 제조과정에서 잔류된 가스나, 소화약제의 화학적인 반응에 의하여 발생된 가스가 제품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양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참고로, 소화약제의 주성분인 다수의 화학물질은 폭발의 위험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하여 대부분 환기가 잘되는 위험물 보관창고에 저장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 방출구(1)는 알루미늄 은박 테이프(2)를 사용하여 밀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화기 내부에 수납된 소화약제로부터 발생하는 폭발성 가스의 배출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폭발성이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진 가스가 종래의 밀폐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내에서 발생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화기 내부에 축적되므로, 화재 발생시 작동하는 소화기의 점화장치에 의하여 불꽃이 발생하며 소화약제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가 폭발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특히, 고체에어로졸 소화기가 널리 사용되는 밀폐된 좁은 공간이나 위험가스에 대하여 극히 민감한 특수 산업시설 등에서는 즉각적인 대피가 어려우므로 한번의 폭발로도 더욱 심각한 인명사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체불가능하거나 고가의 장비를 갖춘 곳이 많으므로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장시간 보관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의 내부에서 소화약제에 의해 축적되는 폭발성 가스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내부에서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되어 축적되는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런 목적은 본 발명의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신규한 가스배출구조가 축적된 폭발성 가스를 소화기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소화기 내부의 습기도 배출하도록 구성됨을 전제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이 수납되고, 이 소화약제가 점화장치에 의해 연소되며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형태의 소화성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를 갖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내부에서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되어 축적되는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기성 테이프가 복수의 배출구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하나 이상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서, 통기성 테이프는 각각의 배출구의 상하부면에 이중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서, 통기성 테이프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의 전면에 걸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서, 통기성 테이프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와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의 둘레 가장자리를 감싸는 소화기 본체 옆면의 연장부 사이에 끼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서,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는 이중으로 겹쳐진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통기성 테이프는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서, 통기성 테이프의 통기도는 150cc/cm2/sec 이상일 수 있다.
내부에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이 수납되고, 이 소화약제가 점화장치에 의해 연소되며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형태의 소화성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를 갖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서, 복수의 배출구에는 통기성 테이프가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화기 내부에서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에 의해 축적되는 폭발성 가스를 소화기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소화기 내부의 습기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체에어로졸 소화기가 널리 사용되는 밀폐된 좁은 공간이나 위험가스에 대하여 극히 민감한 특수 산업시설 등에서, 단 한번의 폭발성 가스의 축적으로 인한 폭발로도 초래될 수 있는 심각한 인명사고나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통기성 테이프가 쉽게 떼어지지 않도록 하고, 일부가 떼어지더라도 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가스 방출구가 알루미늄 은박 테이프로 밀폐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 테이프가 이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 있어서, 통기성 테이프가 복수의 배출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부착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 있어서, 통기성 테이프가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의 전면에 부착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기성 테이프가 이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내부에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이 수납되고, 이 소화약제(20)가 점화장치(30)에 의해 연소되며 발생하는 에어로졸 형태의 소화성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10)를 갖는다.
이와 같이,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이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내부에 수납되므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내부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폭발성 가스가 소화기 본체(10) 내부에 점점 축적된다.
이와 같이 축적되는 폭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기성 테이프(50)가 소화기 본체(10)의 복수의 배출구(40)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하나 이상이 부착된다. 도 3(a)는 통기성 테이프(50)가 복수의 배출구(40)의 상부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통기성 테이프(50)가 복수의 배출구(40)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통기성 테이프(50)는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11)(이하 '일측 플레이트(11)'라 함)에 복수의 배출구(40)에 배출구(4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면서 부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기성 테이프(50)는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구(40) 주변의 일측 플레이트(11)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통기성 테이프(50)만으로 배출구(40)를 감싸며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구(40)의 일부에는 통기성 테이프(50)가 부착되고, 다른 일부에는 알루미늄 은박 테이프와 같은 통상적인 밀폐구가 부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통기성 테이프(50)가 일측 플레이트(1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따로 부착되지 않고 일측 플레이트(11)의 제작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통기성 테이프(50)는 일반적인 테이프에 비해 통기성 및 투습도가 훨씬 뛰어나며, 물은 투과하지 못하는 방수기능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기성 필름, 통기성 합지로 이루어진 통기성 테이프 등의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기성 테이프(50)는 통기성 합지에 특수 접착제가 도포된 통기성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특수 접착제가 통기성 테이프(50)를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킨다. 한편, 통기도, 즉 바람이 통하는 성능지표는 150cc/cm2/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기성 테이프(50)의 재질은, 화재발생시 소화기가 작동하며 분출되는 소화성분의 압력과 열기에 의하여 통기성 테이프(50)가 충분히 떨어지면서 개구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기성 테이프(50)를 이용한 본 발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는 소화기 내부에서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에 의해 축적되는 폭발성 가스를 소화기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소화기 내부의 습기도 배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폭발성 가스가 소화기 본체(10) 내부에서 축적되어 폭발하지 않도록 하며, 습기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작동불량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체에어로졸 소화기가 널리 사용되는 밀폐된 좁은 공간이나 위험가스에 대하여 극히 민감한 특수 산업시설 등에서, 단 한번의 폭발성 가스의 축적으로 인한 폭발로도 초래될 수 있는 심각한 인명사고나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테이프(50)는 각각의 배출구(40)의 상하부면에 이중으로 부착될 수 있다. 통기성 테이프(50)가 하나만 부착될 때에 특수 접착제의 접착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져 떨어지게 되면, 일부의 배출구(40) 완전히 개구되어 버려 방수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며 이물질 및 벌레 등이 소화기 내부로 유입되어 소화기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기성 테이프(50)를 각각의 배출구(40)의 상하부면에 이중으로 부착함으로써, 한쪽 면의 통기성 테이프(50)가 떨어지더라도 소화기가 오작동하지 않게 하고, 폭발성 가스를 소화기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통기성 테이프(50)가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의 전면에 부착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통기성 테이프(50)가 복수의 배출구(40)를 덮어 부착하는 정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인 경우에는 일측 플레이트(11)로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약해져 떨어져버리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통기성 테이프(50)를 일측 플레이트(11)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통기성 테이프(50)가 일측 플레이트(11)상에 부착되는 접촉면적을 넓혀, 통기성 테이프(50)가 일측 플레이트(11)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에서의 통기성 테이프(50)의 직경은, 예를 들어, 일측 플레이트(11)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 전면의 직경과 유사하게 설정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배출구(40)만을 모두 덮을 수 있는 정도의 일정 면적을 가진 원형, 사각형 등의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통기성 테이프(50)의 부착부분에 특수 접착제가 도포되는 면적은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위한 임의의 면적으로서 정해질 수 있다.
도 4에서의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테이프(50)는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기성 테이프(50)가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의 하부면에 부착되거나,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부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일측 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통기성 테이프를 부착한 다음 이를 소화기 본체의 옆면(12)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소화기 본체(10)가 제조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테이프(50)가 쉽게 떼어지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통기성 테이프(50)는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와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의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된 소화기 본체의 옆면(12) 사이에 끼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기성 테이프(50)가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부착된다고 하여도 통기성 테이프(50)를 고정하는 부분이 없다면, 통기성 테이프(50)가 떨어질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를 확실하게 고정부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통상적으로, 소화기 본체의 옆면(12)은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의 하부면의 일부를 덮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통기성 테이프(50)를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와 소화기 본체의 옆면(12) 사이에 끼는 방식으로 고정부착시킴으로써, 통기성 테이프(50)가 외부의 힘을 받더라도 쉽게 떼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11)는 이중으로 겹쳐진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1, 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기성 테이프(50)는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1, 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1, 112)에 통기성 테이프(50)를 배치하여 고정부착한 상태로 이를 소화기 본체의 옆면(12)과 결합하여 소화기 본체(1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통기성 테이프(50)가 소화기 내부의 습기 또는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의 영향 및 소화기 외부 마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기성 테이프(50)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며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또는 변경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소화기 본체 11: 소화기 본체의 일측 플레이트
12: 소화기 본체의 옆면 12a: 소화기 본체 옆면의 연장부
20: 소화약제 30: 점화장치
40: 복수의 배출구 50: 통기성 테이프
111, 112: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Claims (7)

  1. 내부에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이 수납되고, 이 소화약제(20)가 점화장치(30)에 의해 연소되며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형태의 소화성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10)를 갖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내부에서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되어 축적되는 폭발성 가스 및 소화기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기성 테이프(50)가 상기 복수의 배출구(40)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하나 이상이 부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테이프(50)는 상기 각각의 배출구(40)의 상하부면에 이중으로 부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테이프(50)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상기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11)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의 전면에 걸쳐 부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테이프(50)가 쉽게 떼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기성 테이프(50)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상기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11)와 상기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11)의 둘레 가장자리를 감싸는 소화기 본체 옆면(12)의 연장부(12a) 사이에 끼어 배치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상기 소화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플레이트(11)는 이중으로 겹쳐진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1, 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기성 테이프(50)는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1, 112) 사이에 배치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테이프(50)의 통기도는 150cc/cm2/sec 이상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7. 내부에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이 수납되고, 이 소화약제(20)가 점화장치(30)에 의해 연소되며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형태의 소화성분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구(40)가 형성된 소화기 본체(10)를 갖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구(40)에는 통기성 테이프(50)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에 따라 부착되는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KR1020180084753A 2018-07-20 2018-07-20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KR102020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753A KR102020583B1 (ko) 2018-07-20 2018-07-20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753A KR102020583B1 (ko) 2018-07-20 2018-07-20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583B1 true KR102020583B1 (ko) 2019-09-11

Family

ID=6794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753A KR102020583B1 (ko) 2018-07-20 2018-07-20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1791A (zh) * 2021-02-08 2021-06-04 李双庆 一种便携式气溶胶灭火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392Y1 (ko) * 2006-09-20 2006-12-20 (주)인터포어 가스배출을 위한 통기성 병마개
KR20140046591A (ko) * 2012-10-08 2014-04-21 (주)서한에프앤씨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392Y1 (ko) * 2006-09-20 2006-12-20 (주)인터포어 가스배출을 위한 통기성 병마개
KR20140046591A (ko) * 2012-10-08 2014-04-21 (주)서한에프앤씨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1791A (zh) * 2021-02-08 2021-06-04 李双庆 一种便携式气溶胶灭火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78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uating an operating means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8413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dium azide based suppression of fires
RU2595990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ой систем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20130146603A1 (en) Fire containment case for portable battery operated electronic devices
Pekalski et al. A review of explosion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s suitable as ultimate layer of protection in chemical process installations
US3918526A (en) Fire-extinguishing device
RU20466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и объемного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дымообразующий состав
RU2695425C2 (ru) Система подавл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EP2916920A1 (en) Fire containment case for portable battery operated electronic devices
KR102020583B1 (ko) 통기성 테이프를 이용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의 가스배출구조
US20220016459A1 (en) Aerosol fire suppression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
DE202018005624U1 (de) Sicherheitsgerät zum sicheren Transport von defekten und oder auch verunfallten Elektrofahrzeugen mit Batterien
EP0483901B1 (en) Fire prevention and extinguishing device
RU2603573C1 (ru) Огнетушитель порошковый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й самосрабатывающий
EA03918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роса давления
KR102195334B1 (ko) 접철식 긴급소화장치
RU189242U1 (ru) Огнепреградитель
JP7505507B2 (ja) 消火体
US5503231A (en) Chimney fire safety system
KR101915103B1 (ko)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RU2401676C1 (ru) Кассетный огнепреградитель с радиальными каналами
GB2599419A (en) ASAFEAS- A Self-Activating Fire Extinguisher and Alarm System for appliances
CN212593633U (zh) 灭火贴
Joshi et al. Fire as a disaster: review of various prevention, protec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SU1437041A1 (ru) Огнепреград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