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536B1 -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536B1
KR102020536B1 KR1020170097003A KR20170097003A KR102020536B1 KR 102020536 B1 KR102020536 B1 KR 102020536B1 KR 1020170097003 A KR1020170097003 A KR 1020170097003A KR 20170097003 A KR20170097003 A KR 20170097003A KR 102020536 B1 KR102020536 B1 KR 10202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display
path
display module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052A (ko
Inventor
이승현
김세현
이한춘
정민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5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냉각 장치는, 전면(35)에 투과면이 마련된 함체(30); 상기 함체(30) 내부에 수용되며, 함체의 전면(35) 및 후면(36)과 이격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1폐순환경로(50)를 발생시키는 제1팬(51); 상기 함체(30)의 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2폐순환경로(60)를 발생시키는 제2팬(62); 및 상기 함체(30)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및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기 위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1개방유동경로(70)를 포함하는 측면 열교환기(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냉각장치{A Cooler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평판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대면적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상승하면 오동작을 일으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등의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이에 대한 냉각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디스플레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은, 주변 환경의 온도, 직사광선, 주변 환경이 밝아 디스플레이를 더 밝게 하면서 생기는 발열 등 다양하다. 특히 디스플레이가 대면적화 되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전면과 후면을 순환하는 공기 순환 경로를 만들고, 공기가 순환하면서 외부에 열을 배출하도록 하는 냉각 구조를 적용하였다. 순환하는 공기는 외부로 열을 배출하는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배출하게 된다.
상술한 순환 공기는 디스플레이 전면(front face)을 지나기 때문에 냉각을 하는 과정에서 순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섞이게 되면 디스플레이 전면에 이물질이 들어가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순환 공기는 외부의 공기와는 혼합되지 않도록 격리된 상태에서 순환하도록 설계된다. 순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교환기에서 열전도(heat conduction)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배출하게 된다. 종래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주변을 순환하는 폐순환경로의 공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과 측면, 그리고 후면을 순환하는 경로를 가지고 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주변을 둘러싸는 함체 내부는 다양한 열원에 의해 고온의 환경으로 변화하기 쉽다. 가령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은 주변 환경이 밝을 때 그만큼 밝게 점등되므로, 발열량이 일정하지 않고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전면(front face) 쪽으로 직사광선이 비추어 들어오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내장한 함체 내부 온도는 고온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 주변을 순환하는 폐순환경로의 경우, 함체 내부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냉각하지 못하고 함체 내부의 공간 전체를 냉각하는 구조로 운용할 수밖에 없다. 가령 함체 내의 다른 구성들은 발열량이 크지 않은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만 발열량이 큰 경우, 상술한 폐순환경로의 공기가 백라이트 유닛의 열은 함체 내부 전체로 전달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앞면에 대응하는 함체 내부 공간이 가열된 경우에도, 폐순환경로의 공기가 오히려 이러한 열기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뒷면에 대응하는 함체 내부 공간까지 전달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주변을 순환하는 순환 공기가 디스플레이 전면과 후면에 각각 대응하는 공간에 독립적으로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함체 내부에서 냉각이 필요한 공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각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 내부의 공간을 독립적으로 냉각하면서도, 이들의 열을 배출하는 경로를 함체 측면에 공유하여 열교환기가 차지하는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35)에 투과면이 마련된 함체(30); 상기 함체(30) 내부에 수용되며, 함체의 전면(35) 및 후면(36)과 이격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1폐순환경로(50)를 발생시키는 제1팬(51); 상기 함체(30)의 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2폐순환경로(60)를 발생시키는 제2팬(62); 및 상기 함체(30)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및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기 위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1개방유동경로(70)를 포함하는 측면 열교환기(4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팬(51)과 제2팬(52)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상기 제2폐순환경로(60), 및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는 함체(30)의 측면 테두리를 따르는 유동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서 열교환을 하는 제1폐순환경로(50)의 공기 유동과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 유동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서 열교환을 하는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 유동과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 유동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함체(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와 상기 제2폐순환경로(60)는,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1덕트(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는 상기 제1덕트(41)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덕트(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덕트(42)는 상기 제1덕트(41)와 접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와 제2폐순환경로(60)는 상기 제2덕트(42)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로부터 외향하며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로 노출되는 제1핀(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로부터 내향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또는 상기 제2폐순환경로(60)로 노출되는 제2핀(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핀(44)과 상기 제1핀(43)은 함체(30)에 설치된 핀 베이스(46)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핀(43)과 제2핀(44)은 한 장의 판을 절곡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냉각장치는, 상기 함체(30)의 후면(36)에 마련되며, 상기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가 함체(30) 외부의 공기와 접하여 열교환을 하는 후면 열교환기(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열교환기(20)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제2개방유동경로(80)는, 기 후면 열교환기(20)를 유동하는 제2폐순환경로(60)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체(30)는 제1측면(31), 상기 제1측면과 마주하는 제2측면(32),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3측면(33), 및 상기 제3측면과 마주하는 제4측면(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폐순환경로(50)는, 함체(30) 내부의 제1측면에서 중앙부를 가로질러 제2측면, 제3측면, 및 제1측면의 순서로 유동하는 제1-1폐순환경로(50-1)와, 함체(30) 내부의 제1측면에서 중앙부를 가로질러 제2측면, 제4측면 및 제1측면의 순서로 유동하는 제1-2폐순환경로(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50)는,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덕트(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는 상기 제1덕트(41)의 유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덕트(4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제1덕트를 가로지르는 관통부(45)를 구비하며, 상기 제2덕트(42)와 상기 관통부(45)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덕트(42)는 상기 제1덕트(41)와 접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는 상기 관통부(45)와 상기 제2덕트(42)를 지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41)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까지 확장된 유동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덕트(42)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까지 확장된 유동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과 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와 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는 백라이트 유닛(15)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15)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5)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LED 어레이와, 상기 LED 어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보강하는 하우징(16)을 포함하고, 상기 LED 어레이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하우징(16)을 거쳐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35)에 투과면이 마련된 함체(30); 상기 함체(30) 내부에 수용되며, 함체의 전면(35) 및 후면(36)과 이격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1폐순환경로(50)를 발생시키는 제1팬(51); 상기 함체(30)의 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2폐순환경로(60)를 발생시키는 제2팬(62); 및 상기 함체(30)의 외부 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및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와 인접 하는 개방유동경로(70, 8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방유동경로는 적어도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와 상기 함체(30)의 측면 부근에서 인접하게 되는 제1개방유동경로(70)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유동경로는 상기 제2폐순환경로(60)와 상기 함체(30)의 후면(36) 부근에서 인접하게 되는 제2개방유동경로(80)를 포함한다.
상기 폐순환경로(50, 60)와 개방유동경로(70, 80)는 상호 교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냉각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냉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내부의 제1 부위에서 발생한 열이 디스플레이 내부의 다른 부위에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내부의 공간을,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함체의 전방 공간과 함체의 후방 공간으로 나누어 냉각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량이 일정치 않은 부위의 열을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배치된 측면 열교환기를 통해 독립적으로 냉각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높이면서도 냉각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고정하는 하우징을, LED 어레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열전도 구조(heat spreader)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의 증가 없이 효율적인 방열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 3의 디스플레이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디스플레이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 ⊙ 표시는 공기가 도면의 종이를 뚫고 들어가거나 나오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면이 마련되는 전면(11), 상기 전면(11)에 대향하는 후면(12), 그리고 상기 전면(11)과 후면(12) 사이에서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슬림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은 두 장변과 두 단변을 포함한다. 상기 두 장변에는 백라이트 유닛(15)의 일부를 구성하는 LED 어레이가 배치된다. 이하 편의상 두 단변을 제1측면과 제2측면, 그리고 두 장변을 제3측면과 제4측면으로 지칭한다.
백라이트 유닛(15)의 LED 어레이는 하우징(16)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6)은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강성을 더 확보해 준다.
[함체]
함체(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내장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보다 더 체적인 큰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함체(30)는, 함체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주변을 순환하는 공기를 함체의 외부와 격리시킨다. 따라서 함체의 내부의 공기는 함체의 외부의 공기와 섞이지 않고, 이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함체(30)의 전면(35)은, 함체의 외부에서 함체 내부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11)을 볼 수 있는 투과면인 글라스를 포함한다. 상기 함체(30)의 전면(35)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11)은 약간 이격되어 있다. 함체(30)의 후면(36)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12)과 이격 배치되고, 이 공간에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어 및 전원 공급을 위한 PCB 등이 배치된다.
함체(30)의 측면은 제1측면(31), 상기 제1측면과 마주하는 제2측면(32),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하는 제3측면(33)과 제4측면(34)을 포함한다. 제1측면(31)과 제2측면(32)은 단변일 수 있고, 제3측면(33)과 제4측면(34)은 장변일 수 있다.
상기 함체(30)의 단변인 제1측면(31) 및 제2측면(32)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변인 제1측면 및 제2측면과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함체의 장변인 제3측면(33)과 제4측면(34)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변인 제3측면 및 제4측면과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30)의 전면(35)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11) 사이의 이격 공간에 마련된 제1폐순환경로(50)로 공기가 순환하고, 함체(30)의 후면(36)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마련된 제2폐순환경로(60)로 공기가 순환한다. 그리고 함체(30) 내에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와 상기 제2폐순환경로(60)는 별도로 마련된다. 즉 제1폐순환경로(50)와 제2폐순환경로(60)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함체(30)의 측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이 폐순환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반드시 이격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제1폐순환경로(50)가 함체의 측면에서 함체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기 위해, 상기 제1폐순환경로는 함체 내부의 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구간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제2폐순환경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함체(30)의 측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이 이격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함체(3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이 이격되는 것은, 함체 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측방, 후방을 순환하는 하나의 폐순환경로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물론 상기 제1폐순환경로의 공기와 제2폐순환경로의 공기가 서로 완전히 밀폐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이 일부 혼합되어도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냉각장치의 기능이나 작동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함체(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11) 및 후면(12)은 각각 함체(30)의 전면(35) 및 후면(36)과 이격 설치되어 있다.
함체의 전면(35)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11) 사이의 공간에는, 제1팬(51)에 의해 공기의 제1폐순환경로(5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팬은, 함체의 전면(35)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11) 사이의 직육면체의 공간 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코너 부분에 마련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방에 마련된 공간에서, 단변인 제1측면, 장변인 제3측면, 단변인 제2측면, 장변인 제4측면을 따라 순환하는 폐루프의 경로를 이룬다. 순환 공기는 도시된 폐순환경로(50)를 따라 이동하며 디스플레이의 전면(11)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는다.
마찬가지로, 함체의 후면(36)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2) 사이의 공간에는, 제2팬(52)에 의해 공기의 제2폐순환경로(60)가 형성된다. 상기 제2팬은, 함체의 후면(36)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12) 사이의 직육면체의 공간 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코너 부분에 마련되고,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제2폐순환경로(6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마련된 공간에서, 단변인 제1측면, 장변인 제3측면, 단변인 제2측면, 장변인 제4측면을 따라 순환하는 폐루프의 경로를 이룬다. 순환 공기는 도시된 폐순환경로(60)를 따라 이동하며 디스플레이의 후면(12)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는다.
도 2와 도 3에는 상기 제1폐순환경로와 제2폐순환경로가 디스플레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중첩되는 경로를 도면 상에 모두 시각적으로 도시하기 위해 폐순환경로를 디스플레이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표시한 것이다. 즉 제1폐순환경로와 제2폐순환경로의 정확한 경로는 도 1에 도시된 도면부호 50과 60의 경로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함체(30)의 측면에는, 상기 폐순환경로(50, 6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열을 전달받아 함체 외부로 배출하는 측면 열교환기(40)가 설치된다. 측면 열교환기(40)는 함체 내부의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2핀(44)과, 함체 외부의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핀(43)을 구비한다. 제1핀(43)과 제2핀(44)은 함체(3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구분하는 측면(33,34) 부분에 배치되는 핀 베이스(46)를 공유한다.
상기 제2핀(44)은 디스플레이의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제2핀(44)을 감싸고 상기 제2핀 주변을 유동하는 폐순환경로(50, 60)의 공기를 안내하는 덕트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2핀(44)은 덕트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물론 덕트 없이, 제1핀과 제2핀이 각각 함체의 외부와 내부로 노출되는 구조 역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및 상기 제2폐순환경로(60)의 구간 중 상기 측면 열교환기가 설치된 제3측면과 제4측면 부분을 지나는 구간의 공기는, 상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핀(44)을 수용하는 덕트 내지 상기 제2핀(44)은, 함체(30)의 측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과 접한다.
따라서, 덕트 내에 마련된 제2핀(44)들 중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의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의 공기와 접하는 제2핀은, 상기 제1폐순환경로의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의 공기를 냉각한다.
또한 덕트 내에 마련된 제2핀(44)들 중 상기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에서 상기 제2폐순환경로의 공기와 접하는 제2핀은, 상기 제2폐순환경로의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으며 상기 제2폐순환경로의 공기를 냉각한다.
또한 덕트 내에 마련된 제2핀(44)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의 제2핀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마련된 백라이트 유닛(15) 및 하우징(16)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으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15)을 냉각한다.
그리고 제2핀(44)에 전달된 열은 핀 베이스(46)를 거쳐 상기 제1핀(43)으로 전달된다.
제1핀(43)은 함체(3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핀(43)이 노출된 부위에는 제1개방유동경로(70)가 마련된다. 제1개방유동경로(70)는 상기 제1핀(43)을 둘러싸는 덕트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의 입구 또는 출구 또는 입구와 출구 모두에는, 외부의 공기가 덕트 내부에서 빠른 유속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가압하는 제3팬(미도시)이 설치된다. 제3팬은 덕트의 입구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덕트 내부로 강제로 불어 넣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팬은 덕트의 출구에 설치되어 덕트 내부의 공기를 덕트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는 함체(30)의 측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이다. 제1핀(43) 역시 제2핀과 마찬가지로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장되는 형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핀(43)은 함체(3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이며, 함체의 측면과 대향하는 덕트의 대향면에 도달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제1핀과 제2핀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상기 제2폐순환경로(60), 및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는 함체(30)의 측면 테두리를 따르는 유동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서 열교환을 하는 제1폐순환경로(50)의 공기 유동과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 유동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서 열교환을 하는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 유동과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 유동은 서로 평행하다.
아울러 상기 함체(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와 상기 제2폐순환경로(60)는,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는 장변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측면 열교환기가 반드시 장변 부분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변 부분에 설치되거나, 장변과 단변 부분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팬(51)과 제2팬(62)은, 함체 내에서,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의 공간과 후방의 공간의 공기를 각각 순환시킨다. 제1팬(51)에 의해 발생하는 제1폐순환경로의 공기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고, 아울러 직사광선이 함체의 전면(35)을 통해 함체 내부를 가열할 때, 상기 함체 내부를 냉각한다. 그리고 상기 제2팬(62)에 의해 발생하는 제2폐순환경로의 공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부근에 배치된 메인보드 등의 기판이나 전자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한다.
따라서 상기 제1팬과 제2팬의 작동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공간의 냉각의 필요성과 후방 공간의 냉각의 필요성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가령 직사광선이 강하게 내리쬐는 경우, 상기 제2팬과 독립적으로, 상기 제1팬이 빠르게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공간의 냉각이 더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 마련된 백라이트 유닛의 LED 어레이(15)는 집중 발열 부위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해당 발열 부위에서 발생한 열은 직접적으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 의해 냉각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백라이트 유닛(15)은 상기 폐순환경로(50,60)를 거치는 냉각 방식과 별도로 냉각될 수 있다.
종래에, 백라이트 유닛(15)에서 발생한 열은, 디스플레이 모듈 전후방 및 측면을 감싸며 순환하는 폐순환 경로에 의해 냉각되었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한 열이 디스플레이 모듈 주변의 모든 공간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15)에서 발생한 열은, 그와 인접하여 배치된 측면 열교환기(40)를 통해 즉시 함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는 상기 LED 어레이와 접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형을 지지하는 하우징(16)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6)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강성(stiffness)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재질의 하우징(16)은 열전도율 역시 뛰어난 재질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16)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과 후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 배치된 하우징 부분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부분은 LED 어레이의 열이 상기 측면 열교환기로 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열전달 경로가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핀(44)을 수용하는 덕트의 채널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채널들에는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의 공기가 유동하게 하거나, 상기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가 유동하게 할 수 있으며,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가 유동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함체(30)의 후면에는 함체 외부의 제2개방유동경로(80)의 공기와 상기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후면 열교환기(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개방유동경로(80)는 제4팬(미도시)에 의해 공기가 강제 유동하는 경로일 수 있다. 제4팬에 의해 공기가 강제 유동하는 방식으로 제2개방유동경로(80)가 형성되도록 할 경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열교환기에서 제2개방유동경로(80)에 대응하는 부분이 덕트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개방유동경로(80)는 자연 기류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자연 기류의 형성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덕트 형태를 가지지 않고, 함체(30)의 후면이 외부 공기에 노출된 형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기 후면 열교환기(20)는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열교환기(2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지 않고 생략된 경우에도, 함체(30)의 후면(36)에 대해 함체(30) 외부의 공기와 함체(30) 내부의 공기가 마주하고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서 함체(30)의 후면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면 열교환기(20)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제2개방유동경로(80)는, 기 후면 열교환기(20) 또는 함체의 후면과 접하여 유동하는 제2폐순환경로(60)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제2실시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측면 열교환기(40)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서의 측면 열교환기(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30)의 측면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제1덕트(41)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덕트(41)는 각각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가 유동하는 복수 개의 채널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덕트(41)는 함체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폐순환경로(50)의 공기는 상기 함체(30) 내에서 상기 제1덕트(41)와 접하여 유동하며 상기 제1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에 열을 방출한다.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도, 상기 함체(30) 내에서 상기 제1덕트(41)와 접하여 유동하며 상기 제1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에 열을 방출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에 마련된 백라이트 유닛(15)도 하우징(16)을 거쳐 상기 제1덕트(41)와 접하므로, 상기 제1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에 열을 방출한다.
[제3실시예]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와 대비하여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의 제1덕트(41)보다 안쪽에 제1폐순환경로(50)의 공기와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가 유동하는 제2덕트(42)가 더 구비된다는 것이다. 즉 상기 제2덕트(42)는 상기 제1덕트(41)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상기 제2덕트(42)는 함체(30)의 안쪽에, 그리고 상기 제1덕트(41)는 함체(30)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폐순환경로(50,60)가 제1개방유동경로(70)와 열교환하며 유동하는 채널을 형성하면, 열교환 효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폐순환경로(50,60)와 제1개방유동경로(70)가 각각 제2덕트(42)와 제1덕트(41)를 통과하는 것은, 제1실시예에서 상기 폐순환경로(50,60)와 제1개방유동경로(70)가 각각 제2핀(44)을 수용하는 덕트와 제1핀(43)을 수용하는 덕트를 통과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다만 제1실시예가 제1핀과 제2핀이 덕트 내에 수용되지 않은 구조, 즉 덕트가 생략된 구조로 구현된 경우도 포함함은 앞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제4실시예]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앞서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달리, 제4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이 함체(30)의 측면과 이격되고, 개방유동경로(70)를 구성하는 제1덕트(41)가 함체(30)를 관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 접하고 있다는 점에서, 첫 번째 차이가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폐순환경로(50)의 공기가 유동하는 제2덕트(42)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상기 제1덕트(41)보다 더 먼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덕트(41)와 제2덕트(42)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과 상기 함체(30)의 측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덕트(41)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방의 공간과, 상기 상기 제2덕트(42)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부(45)가 마련된다. 상기 제1덕트(41)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1개방유동경로의 공기와 상기 관통부(45)를 유동하는 제1폐순환경로의 공기는 서로 섞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4실시예는, 제1폐순환경로(50)가 두 개의 순환경로를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두 번째 차이가 있다.
함체(30) 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11)의 전방에 마련된 공간에는, 제1팬(51)에 의해 함체의 제1측면(31)에서 함체의 제2측면(32) 쪽으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1팬(51)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 부분과 접하며 이동하는 공기는 제2측면(32)에 다다른 후 제3측면(33)과 제4측면(34)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3측면(33)과 제3측면(34)에 각각 마련된 제2덕트(42)를 따라 다시 제1측면(31)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처럼 제1폐순환경로(50)는 제1-1폐순환경로(50-1)와 제1-2폐순환경로(50-2)를 포함하게 된다.
제1폐순환경로(50)가 위와 같이 제1-1폐순환경로(50-1)와 제1-2폐순환경로(50-2)를 포함하면, 제1폐순환경로(50)를 순환하는 공기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11)의 모든 면적과 전체적으로 접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 부분에서 냉각되지 않는 부위(소위 dead zone)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4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측면은 측면 열교환기(40)와 접하게 되고, 상기 제2폐순환경로(60)는 함체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와 접하고 함체의 후면에서 후면 열교환기(20)와 접하게 된다.
[제5실시예]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대비하여, 제2덕트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부분까지 더 확장된 형태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는, 제4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는 제1덕트(41) 부분만이 구비되고, 제2덕트(42) 부분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11)에 있는 공간의 측부에만 형성되어 있었던 것(도 9 참조)과 대비된다.
제5실시예의 구조에 따르면, 제2덕트(42)의 유동 단면적이 더 넓어지므로, 상대적으로 유동 단면적이 좁은 제4실시예의 제2덕트(42)에 비해, 제2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완화시킬 수 있고, 아울러 제1-1폐순환경로와 제1-2폐순환경로를 순환하는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폐순환경로(50, 50-1, 50-2, 60)와 상기 개방유동경로(70, 80)는 서로 인접하며 평행하게 유동하거나 교차 유동하며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열교환기(40, 20) 내에서, 상기 두 경로는 인접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디스플레이 모듈
11: 전면(화면)
12: 후면
15: 백라이트 유닛(LED 어레이)
16: 하우징
161: 순환공기 통과공
20: 후면 열교환기
30: 함체
31: 제1측면
32: 제2측면
33: 제3측면
34: 제4측면
35: 전면(투과면, 글라스)
36: 후면
40: 측면 열교환기
41: 제1덕트
42: 제2덕트
43: 제1핀(fin)
44: 제2핀
45: 관통부
46: 핀베이스
50: 제1폐순환경로
50-1: 제1-1폐순환경로
50-2: 제1-2폐순환경로
51: 제1팬
60: 제2폐순환경로
62: 제2팬
70: 제1개방유동경로
80: 제2개방유동경로

Claims (22)

  1. 전면(35)에 투과면이 마련된 함체(30);
    상기 함체(30) 내부에 수용되며, 함체의 전면(35) 및 후면(36)과 이격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1폐순환경로(50)를 발생시키는 제1팬(51);
    상기 함체(30)의 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2폐순환경로(60)를 발생시키는 제2팬(62); 및
    상기 함체(30)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및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기 위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제1개방유동경로(70)를 포함하는 측면 열교환기(4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팬(51)과 제2팬(52)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상기 제2폐순환경로(60), 및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는 함체(30)의 측면 테두리를 따르는 유동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서 열교환을 하는 제1폐순환경로(50)의 공기 유동과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 유동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서 열교환을 하는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 유동과 제1개방유동경로(70)의 공기 유동은 서로 평행한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와 상기 제2폐순환경로(60)는,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1덕트(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는 상기 제1덕트(41) 내로 유동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덕트(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덕트(42)는 상기 제1덕트(41)와 접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와 제2폐순환경로(60)는 상기 제2덕트(42) 내로 유동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로부터 외향하며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로 노출되는 제1핀(4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로부터 내향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또는 상기 제2폐순환경로(60)로 노출되는 제2핀(44)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핀(44)과 상기 제1핀(43)은 함체(30)에 설치된 핀 베이스(46)를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30)의 후면(36)에 마련되며, 상기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가 함체(30) 외부의 공기와 접하여 열교환을 하는 후면 열교환기(2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후면 열교환기(20)를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제2개방유동경로(80)는, 상기 후면 열교환기(20)를 유동하는 제2폐순환경로(60)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30)는 제1측면(31), 상기 제1측면과 마주하는 제2측면(32),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3측면(33), 및 상기 제3측면과 마주하는 제4측면(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폐순환경로(50)는, 함체(30) 내부의 제1측면에서 중앙부를 가로질러 제2측면, 제3측면, 및 제1측면의 순서로 유동하는 제1-1폐순환경로(50-1)와, 함체(30) 내부의 제1측면에서 중앙부를 가로질러 제2측면, 제4측면 및 제1측면의 순서로 유동하는 제1-2폐순환경로(50-2)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함체(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폐순환경로(50)는,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덕트(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유동경로(70)는 상기 제1덕트(41)의 유동 경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함체(3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덕트(4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제1덕트를 가로지르는 관통부(45)를 구비하며,
    상기 제2덕트(42)와 상기 관통부(45)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덕트(42)는 상기 제1덕트(41)와 접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는 상기 관통부(45)와 상기 제2덕트(42)를 지나는 경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41)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까지 확장된 유동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덕트(42)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까지 확장된 유동 단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과 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와 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에는 백라이트 유닛(15)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15)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측면 열교환기(40)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15)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LED 어레이와, 상기 LED 어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강성을 보강하는 하우징(16)을 포함하고,
    상기 LED 어레이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하우징(16)을 거쳐 상기 측면 열교환기(40)에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19. 전면(35)에 투과면이 마련된 함체(30);
    상기 함체(30) 내부에 수용되며, 함체의 전면(35) 및 후면(36)과 이격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상기 함체(3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 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1폐순환경로(50)를 발생시키는 제1팬(51);
    상기 함체(30)의 후면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제2폐순환경로(60)를 발생시키는 제2팬(62); 및
    상기 함체(30)의 외부 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제1폐순환경로(50) 및 제2폐순환경로(60)의 공기와 인접하는 개방유동경로(70, 8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개방유동경로는 적어도 상기 제1폐순환경로(50)와 상기 함체(30)의 측면 부근에서 인접하게 되는 제1개방유동경로(7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개방유동경로는 상기 제2폐순환경로(60)와 상기 함체(30)의 후면(36) 부근에서 인접하게 되는 제2개방유동경로(8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22.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순환경로(50, 60)와 개방유동경로(70, 80)는 상호 교차하는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0170097003A 2017-07-31 2017-07-31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020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03A KR102020536B1 (ko) 2017-07-31 2017-07-31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03A KR102020536B1 (ko) 2017-07-31 2017-07-31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52A KR20190013052A (ko) 2019-02-11
KR102020536B1 true KR102020536B1 (ko) 2019-09-10

Family

ID=6536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003A KR102020536B1 (ko) 2017-07-31 2017-07-31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6135B (zh) * 2022-10-28 2024-05-10 深圳市德智欣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结构的tft液晶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5125A2 (en) * 2007-11-16 2009-05-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ly controlling an electronic display
WO2011140179A2 (en) * 2010-05-04 2011-11-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image assembly
US9723765B2 (en) * 2015-02-17 2017-08-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erimeter ventilation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KR102132340B1 (ko) * 2015-12-10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052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147B2 (en) Display device
US10359659B2 (en)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EP3593606B1 (en) Display device
EP1717632A1 (en) Cooling arrangemen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US10317615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JP2006032890A (ja) 閉ループ循環式放熱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スクリーンモジュール
KR20110102140A (ko) 열분산 장치를 포함하는 lcd 장치
CN113056176B (zh) 散热架构和显示装置
CN106931356A (zh) 光照射装置
KR102052706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020536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543859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200337185A1 (en) Cooler for display,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2021554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CN112823310A (zh) 液晶显示装置
KR102334505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201901271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6602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347941B1 (ko)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6603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021657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061534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0373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37455A (ja) 電子機器
KR20180036244A (ko)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