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461B1 -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461B1
KR102020461B1 KR1020170137371A KR20170137371A KR102020461B1 KR 102020461 B1 KR102020461 B1 KR 102020461B1 KR 1020170137371 A KR1020170137371 A KR 1020170137371A KR 20170137371 A KR20170137371 A KR 20170137371A KR 102020461 B1 KR102020461 B1 KR 102020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tire
groove
protrusion
disposed
tr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4876A (en
Inventor
국화윤
최규남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461B1/en
Publication of KR2019004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8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8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 B60C23/19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for dissipat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60C2011/1361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with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groov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종그루브와 횡그루브가 형성된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벨트층과, 상기 횡그루브에 구비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neumatic ti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in which longitudinal grooves and lateral grooves are formed, a belt layer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and a protrusion provided in the lateral groove.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tire.

공기입 타이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입 타이어의 개구된 부분에는 림이 배치되어 림과 공기입 타이어의 개구된 부분이 결합할 수 있다. The pneumatic tire has a space formed therein, and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is opened. At this time, the rim is disposed in the opened portion of the pneumatic tire, so that the rim and the opened portion of the pneumatic tire can be combined.

이러한 공기입 타이어는 림과 함께 차량에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시 지면이나 도로 등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공기입 타이어는 지면이나 도로 등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다. The pneumatic tir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rim to move the ground or the roa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t this time, the pneumatic tire can rotat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ground or road.

공기입 타이어가 지면이나 도로 등의 표면에 접촉하여 지면이나 도로 등의 표면의 굴곡, 지면이나 도로 등의 표면에 배치된 이물질(예를 들면, 병, 캔, 금속, 돌 등)을 통과하는 경우 공기입 타이어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외력으로 인하여 공기입 타이어는 가열될 수 있으며, 특히 공기입 타이어의 내부의 부재에서 발열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a pneumatic tire contacts the surface of the ground or road, and passes through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ground or road, or other foreign matter (for example, bottles, cans, metals, stones, etc.)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or road, etc.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to the pneumatic tire. Due to this external force, the pneumatic tire can be heated, and in particular, heat can be generated in the member inside the pneumatic tire.

이러한 발열은 공기입 타이어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공기입 타이어가 변형되는 경우 차량 등의 주행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입 타이어의 내부 발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 이외에도 상기와 같은 발열이 발생하는 경우 공기입 타이어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Such heat generation may cause deformation of the pneumatic tire, and when the pneumatic tire is deformed, a problem may occur in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very important to discharge the internal heat of the pneumatic tire to the outside smoothly.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problems,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pneumatic tire when such heat generation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종그루브와 횡그루브가 형성된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벨트층과, 상기 횡그루브에 구비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neumatic tire including a tread portion having longitudinal grooves and a horizontal groove formed therein, a belt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horizontal groove.

또한, 상기 돌기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돌기부는 표면에 격자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have a groove having a lattice form on its surface.

또한, 상기 홈은 격자 형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ove may have a lattice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의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reinforce strength but also improve heat gener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long life by preventing damage to pneumatic tir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돌기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pneumatic tire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protrusion illustrated in FIG. 1.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돌기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pneumatic tire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protrusion illustrated in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돌기부(120), 사이드월(130), 비드부(140), 벨트층(150), 카커스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pneumatic tire 100 includes a tread portion 110, a protrusion 120, a sidewall 130, a bead portion 140, a belt layer 150, and a carcass layer 160. ) May be included.

트레드부(110)는 상부트레드(111a) 및 하부트레드(111b) 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트레드(111a)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트레드(111a)에는 블록(112) 및 그루브(113a,11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112)은 자동차의 구동 시 지면과 접촉하는 영역으로, 그루브(113a,113b)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그루브(113a,113b)와 이웃하는 다른 그루브(113a,113b) 사이에 블록(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113a,113b)는 트레드부(110)를 일주하도록 형성되는 종그루브(113a) 및 트레드부(110)의 폭 방향(예를 들면, X방향)으로 형성되는 횡그루브(113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13a,113b)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입 타이어(100)의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The tread part 110 may include an upper tread 111a and a lower tread 111b. The upper tread 111a may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hav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In more detail, blocks 112 and grooves 113a and 113b may be formed in the upper tread 111a. In this case, the block 112 is an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may be partitioned by the grooves 113a and 113b. That is, a block 112 may be formed between one groove 113a and 113b and another neighboring groove 113a and 113b. In addition, the grooves 113a and 113b may include the longitudinal grooves 113a formed to circumscribe the tread portion 110 and the horizontal grooves 113b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the X direction) of the tread portion 110. It may include. The number of grooves 113a and 113b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and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neumatic tire 100.

돌기부(120)는 횡그루브(113b)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돌기부(120)는 횡그루브(113b)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120)는 복수개의 돌기(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기(121) 사이에는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22)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홈(122)은 횡그루브(113b)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홈(122)은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서로 교차하는 홈(122)은 서로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돌기(121)의 평면 상의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으며, 각 돌기(121)의 상면은 평평할 수 있다. 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홈(122)은 격자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trusion 120 may be disposed in the horizontal groove 113b.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120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roove (113b). In this case, the protrusion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and a groove 122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The groove 122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groove 122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groove 113b. In another embodiment, the groove 122 may be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particular, the grooves 122 that cross each other may form a right angl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lane of each protrusion 121 may be a quadrangular shape, the top surface of each protrusion 121 may be flat. In this cas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groove 1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case formed in a lattice form.

상기와 같은 홈(122)은 깊이가 0.5mm이하일 수 있다. 홈(122)의 깊이가 0.5mm를 초과하는 경우 벨트층(150)이나 카커스층(160)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00)의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 또한, 홈(122)의 폭은 횡그루브(113b)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홈(122)의 폭은 1mm이하일 수 있다. 특히 홈(122)의 폭(W2)은 인접하는 홈(122) 사이의 거리(W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홈(122)의 폭(W2)은 돌기(121)의 폭(W1, 또는 세로, 가로)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groove 122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depth of 0.5 mm or less. When the depth of the groove 122 exceeds 0.5mm, the belt layer 150 or the carcass layer 16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mpairing the st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00.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groove 122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orizontal groove (113b).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groove 122 may be 1 mm or less. In particular, the width W2 of the groove 122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W1 between the adjacent grooves 122. That is, the width W2 of the groove 122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protrusion 121, or vertically or horizontally.

상기와 같은 돌기부(120)는 횡그루브(113b) 중 트레드부(110)의 외곽 측에 배치된 횡그루브(113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횡그루브(113b)는 사이드월(130)이 연결되는 트레드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돌기부(120)는 트레드부(1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횡그루브(113b)에는 배치되지 않고, 트레드부(110)의 외곽 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 the horizontal groove 113b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tread part 110 among the horizontal grooves 113b. In this case, the horizontal groove 113b may be disposed in the tread part 110 to which the sidewalls 130 are connected. That is, the protrusion 120 may not be disposed in the horizontal groove 113b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110, but may be disposed only at the outer side of the tread portion 110.

사이드월(130)은 트레드부(110)의 양단에서 연장된다. 비드부(140)는 사이드월(130)의 단부에 형성되어, 림(미도시)에 밀착된다.The sidewalls 130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110. The bead part 140 is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wall 1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 rim (not shown).

벨트층(150)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 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벨트층(15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elt layer 150 may improve dur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00 and form a skeleton. The belt layer 150 may be disposed below the tread portion 110 and may be formed by rolling a plurality of belt cords (not shown) made of steel or an organic fiber material with rubber.

카커스층(160, carcass)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카커스층(160)은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카커스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arcass layer 160 may form a frame of the pneumatic tire 100. The carcass layer 160 may be formed by rolling a plurality of carcass cords (not shown) made of steel or fiber organic material with rubber.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입 타이어(100)는 차량 등의 상기 림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등이 주행하는 경우 공기입 타이어(100)가 지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neumatic tire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upled to the rim, such as a vehicle. In this case, when the vehicle or the like travels, the pneumatic tire 100 may rotate in contact with the ground.

상기와 같은 경우 공기입 타이어(100)가 지면에 접촉하는 경우 차량 등의 빠른 주행과 하중에 따른 반복적인 스트레스가 벨트층(150)에 가해질 수 있다. 특히 트레드부(110)의 최외곽 부분에는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벨트층(150)을 가열함으로써 벨트층(150)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트레드부(110)의 외곽측에 배치되는 벨트층(150)의 끝단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로 인하여 벨트층(150)의 끝단의 트레드부(110)는 변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 In such a case, when the pneumatic tire 100 contacts the ground, repetitive stress due to rapid driving and load of a vehicle, etc. may be applied to the belt layer 150. In particular, stress may be concentrated in the outermost part of the tread part 110. This stress may generate heat in the belt layer 150 by heating the belt layer 150. In particular, a lot of heat may be generated at the end of the belt layer 150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tread part 110. Due to this heat, the tread portion 110 at the end of the belt layer 150 may be easily deformed. Such deformation may impair the st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00.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은 돌기부(120)는 벨트층(150)의 끝단에 발생된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벨트층(150)의 끝단에서 발생된 열은 트레드부(110)의 외곽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돌기(121)는 벨트층(150)의 끝단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돌기(121)는 벨트층(150)에서 발생한 열과 외기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냉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trusion 120 as described above may smoothly discharge heat generated at the end of the belt layer 150 to the outside. In detail, heat generated at the end of the belt layer 15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110. In this case, the protrusion 121 may transfer heat generated at the end of the belt layer 150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may increase the cooling effect by widening the contact area between heat generated in the belt layer 150 and the outside air.

뿐만 아니라 돌기(121)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벨트층(15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되는 경우 발열로 인하여 발생하는 벨트층(150)과 트레드부(110) 사이의 분리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벨트층(150)의 발열로 인하여 트레드부(110)가 변형되는 경우 돌기(121)는 횡그루브(113b) 내부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벨트층(150)이 발열하는 경우 돌기(121) 부분은 일정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횡그루브(113b) 부분이 부풀어 오르거나 변형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입 타이어(100)는 벨트층(150)의 발열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121 may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pneumatic tire 100. In detail, when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elt layer 150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ion phenomenon between the belt layer 150 and the tread part 110 generated due to heat generation may be suppressed. In addition, when the tread part 110 is deformed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belt layer 150, the protrusions 121 may contact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groove 113b. In addition, when the belt layer 150 generates heat, the protrusion 121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reby reducing the swelling or deformation of the horizontal groove 113b. In this case, the pneumatic tire 100 may be minimized to be deformed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belt layer 150.

또한, 홈(122)은 외부로 수분을 배출시키는 유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입 타이어(100)가 젖은 지면이나 도로 등에서 회전하는 경우 수분이 공기입 타이어(100)의 표면에 흡착될 수 있다. 이때, 종그루브(113a)와 횡그루브(113b)는 상기와 같은 수분을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횡그루브(113b)에는 복수개의 돌기(121)가 구비됨으로써 수분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횡그루브(113b)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홈(122)은 수분을 외부로 원활하게 안내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00)의 수분 배출을 도와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ove 122 may serve as a flow path for discharging moisture to the outside. Specifically, when the pneumatic tire 100 is rotated on the wet ground or road, moisture may b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pneumatic tire 100.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grooves 113a and the horizontal grooves 113b may guide the moisture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lateral grooves 113b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1, and thus may not smoothly discharge moisture. At this time, the groove 122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groove 113b may help to discharge the moisture of the pneumatic tire 100 by smoothly guiding moisture to the outside.

따라서 공기입 타이어(100)는 벨트층(15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00)는 변형을 저감시킴으로써 차량 등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100)는 수분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neumatic tire 100 can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pneumatic tire 100 by effectively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elt layer 150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pneumatic tire 100 can secure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by reducing the deformation. The pneumatic tire 100 can smoothly discharge moistur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돌기부
130: 사이드월
140: 비드부
150: 벨트층
160: 카커스층
100: pneumatic tire
110: tread section
120: projection
130: sidewall
140: bead part
150: belt layer
160: carcass floor

Claims (4)

종그루브와 횡그루브가 형성된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벨트층; 및
상기 횡그루브에 구비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표면에 격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0.5mm 이하이며,
상기 홈의 폭은 상기 돌기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홈의 폭은 1mm이하이고,
평면 상의 상기 돌기의 형상은 사각형이며,
상기 횡그루브는 상기 트레드부의 중앙 부분과 상기 트레드부의 외곽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횡그루브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트레드부의 외곽 부분에 배치되는 상기 횡그루브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횡그루브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돌기의 상면은 평평한 공기입 타이어.
A tread portion in which longitudinal grooves and lateral grooves are formed;
A belt layer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And
Includes; protrusions provided in the horizontal groove,
The protrusion is,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groove in the form of a grid,
The depth of the groove is 0.5mm or less,
The width of the groove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sion, the width of the groove is less than 1mm,
The shape of the protrusion on the plane is rectangular,
The lateral grooves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The protrusion is not disposed in the horizontal groov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but disposed in the horizontal groov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The protrusion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teral groov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is a flat pneumatic ti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37371A 2017-10-23 2017-10-23 Pneumatic tire KR102020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371A KR102020461B1 (en) 2017-10-23 2017-10-23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371A KR102020461B1 (en) 2017-10-23 2017-10-23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876A KR20190044876A (en) 2019-05-02
KR102020461B1 true KR102020461B1 (en) 2019-11-04

Family

ID=6658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371A KR102020461B1 (en) 2017-10-23 2017-10-23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4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145A (en) * 2002-12-19 2004-07-15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622B2 (en) * 1996-09-03 2001-03-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6145A (en) * 2002-12-19 2004-07-15 Yokohama Rubber Co Ltd:The Pneumatic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876A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883B1 (en) Pneumatic tire
EP3354486B1 (en) Three-dimensional tread kerfs of vehicle tire
KR101619381B1 (en) Tread Kerf of Snow Tire
US20090194213A1 (en) Pneumatic tire
US20090283189A1 (en) Snow tire
US20070151645A1 (en) Tire with tread pattern
US8960246B2 (en) Pneumatic tire
RU2671217C1 (en) Pneumatic tyre
US20180001709A1 (en) Pneumatic tire
US20160159161A1 (en) Pneumatic tire
CN105008149B (en) Pneumatic tire
KR102020461B1 (en) Pneumatic tire
US7188650B2 (en) Siped tire tread with high transverse stiffness
KR102070917B1 (en) Run flat tire
JP2006264455A (en) Pneumatic tire
US20160250897A1 (en) Pneumatic tire
KR102020460B1 (en) Pneumatic tire
RU2748524C1 (en) Pneumatic tyre
JP2014189037A (en) Pneumatic tire
KR100711621B1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KR102221732B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0573B1 (en) Kerf making blade of vulcanization mold for manufacturing tire, vehicle tire thereof and apparatus for tire vulcanixation
KR102018894B1 (en) Pneumatic tire
KR101972567B1 (en) Pneumatic tire
KR20070025783A (en)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