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832B1 - 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 Google Patents

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832B1
KR102019832B1 KR1020170059384A KR20170059384A KR102019832B1 KR 102019832 B1 KR102019832 B1 KR 102019832B1 KR 1020170059384 A KR1020170059384 A KR 1020170059384A KR 20170059384 A KR20170059384 A KR 20170059384A KR 102019832 B1 KR102019832 B1 KR 102019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water storage
shape
corn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3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8144A (en
Inventor
카즈히사 후지모토
타케시 마츠모토
미치오 이바
Original Assignee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1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8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40Other devices for confining, e.g. trenches, drain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쌓아 올린 블록체 충전재의 코너부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저수조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 상기 충전재를 덮는 차수 시트, 및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 및/또는 정점 부분과 차수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충전재의 변 부분 및/또는 정점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구비한 저수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저수 공법을 제공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stacked block body filler, which makes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tank more simple, the buildability is hardly influenced by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the cost of labor and the like is further reduced there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w water structure and a low water metho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shaped filler having a water storage gap, an order sheet covering the filler, and disposed between the side portion and / or apex portion of the filler and the order sheet, the side portion of the filler and Provided is a water storage structure having a corner shape shap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 vertex portion and a water storag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Description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in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지상을 주차장이나 정원 등 다른 용도로 이용하면서 지하에 우수(雨水)를 저장하여 두기 위한 저수조(貯水槽)나 저수지 등을 마련하는 저수 구조(貯水構造) 및 저수 공법(貯水工法)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보다 간편하게 저수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건비의 절약이나 공기의 단축이 가능함과 함께, 인적인 시공 실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ervoir structure and a reservoir method for providing a reservoir or reservoir for storing rainwater in the basement while using the ground for other purposes such as a parking lot or a gard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torage method, and in detail, it is possible to form a water tank more easily, to save labor costs and to shorten air, and to provide a water storage structure and a water storage method that can prevent human construction mistakes. will be.

일반적으로 지하에 대수층(帶水層)이 없는 토지나, 지하에 자연의 대수층이 있어도 대수층을 칸막이하는 것이 지질 상, 곤란한 장소 등 수자원이 부족한 토지에서는, 지하에 인공적인 저수조를 형성하여 수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 외에도, 대도시에서 방화용수나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지하나 공원ㆍ주차장의 지하 등에 인공적인 저수 공간을 가지는 저수조를 마련하여 우수가 효율 좋게 저수조에 흘러들어가도록 한 시스템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와 같은 저수조는, 저수 공간의 위를 주차장이나 공원 등으로 이용하므로, 위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뎌내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 이 때문에 저수 공간 내에 충전재를 배치 충전하여 강도를 높게 하고 있고, 충전재(充塡材)로서는 통상 자갈이나 쇄석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자갈이나 쇄석은 토지에 따라서는 충분한 양을 입수하는 것이 곤란한 곳도 있고, 가격적으로도 고가로 되는 경우가 많다. 또, 저수하기 위한 광대한 오목 장소가 있다고 하여도 자갈이나 쇄석을 이용하는 경우, 적어도 자갈이나 쇄석의 체적분은 저수량이 감소해 버리는 것으로 된다. 통상, 쇄석을 충전재로서 이용한 경우, 오목 장소 전체의 용적에 비하여 저수율이 40% 정도로 되어 버리고, 나머지 60%는 쇄석이 점유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In general, in a land without aquifers in the basement or in a land where water resources are insufficient, such as a geological or difficult place, even if there is a natural aquifer in the basement, an artificial reservoir is formed in the basement to secure water resources. It is done.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fire or industrial water in large cities, a reservoir with artificial storage space is provided in the basement of a building, a basement of a park, a parking lot, etc., to create a system in which rainwater flows efficiently into the reservoir. Since such a reservoir uses the upper part of a storage space for a parking lot, a park, etc., it must fully endure the pressure from the upper part. For this reason, a filler is arrange | positioned and filled in a water storage space, and intensity | strength is made high, and gravel and crushed stone are used frequently as a filler. However, some of these gravel and crushed stones are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depending on the land, and they are often expensive. In addition, even when there are extensive concave locations for water storage, when the gravel or crushed stone is used, the volume of the gravel or crushed stone at least decreases. Usually, when crushed stone is used as a filler, there exists a problem that low yield becomes about 40% compared with the volume of the whole recessed place, and the remaining 60% occupies the crushed stone.

특허문헌 1에는, 차수 시트(遮水 sheet)로 둘러싸인 저수 공간에, 블록체 충전재를 배치한 저수조를 형성하는 저수 공법에 있어서, 차수 시트를 미리 층상(層狀)으로 형성한 차수 성형체를 오목 장소에 배치하고, 그 후, 차수 성형체 내에 충전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하지(下地)에 차수 시트를 부설한 저수 공간에 충전재를 배치한 저수조에 있어서, 하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법면(法面)과 저면(底面)으로 이루어지고, 차수 시트를 부설한 저수 공간에는 블록체 충전재와 소사이즈(小size) 충전재를 병용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합성수지제의 저수 블록군(block群)을 피포체(被包體)에서 액밀(液密)로 피포하여 구성된 지하 저수조에 이용되는 피포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1, in the water storage method which forms the water storage tank which arrange | positioned a block body fill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enclosed by an order sheet, the order molded object which previously formed the order sheet in layered form was recessed. It arrange | positioned at and after that, The thing characterized by arrange | positioning a filler in order molding is disclosed. Moreover, in patent document 2, in the water storage tank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filler to the water storage space which installed the order sheet in the base formed in concave shape, the base consists of the norm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consist of inclined surfaces, In the water storage space in which the order sheet was attached, a water storage tank etc.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a block body filler and a small size filler together is described. In addition, Patent Document 3 describes a package to be used in an underground storage tank formed by encapsulating a water-block group made of synthetic resin in a liquid package in a package.

상술한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블록체 충전재는, 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로, 위로부터의 압력에 견딤과 함께, 저수하기 위한 오목 장소 전체의 용량에 비하여 저수율을 9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Block body filler a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1 to 3 is a molded articl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resin, which withstands the pressure from above and has a low yield of 90% compared to the capacity of the entire concave site for storing. It is possible to make the above.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1-27973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79737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1-4071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40719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 2013-79524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79524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갈이나 쇄석 대신에 블록체 충전재를 충전재로 하고, 이 블록체 충전재를 차수 시트 및 보호 시트로 싸는 저수 구조 및 공법(도 11 의 종래의 저수조 참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쌓아 올린 블록체 충전재를 차수 시트로 쌀 때에, 코너부(모서리 부분, 상세하게는 충전재의 변(邊) 부분이나 정점(頂点) 부분)에 있어서 차수 시트를 넣어두기 위해 차수 시트를 접어 구부린다든지 불요 부분을 절취한다든지 하는 경우가 있어, 품이 든다. 또, 차수 시트의 일부를 절취하는 것에 의한 누수의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2) 블록체 충전재를 쌓아 올린 것은, 측벽면이나 상면이 평탄한 면은 아니므로 차수 시트로 쌀 때에, 블록체 충전재가 어긋나는 것이 있어, 특히 코너부에 있어서의 시공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3) 쌓아 올린 블록체 충전재의 높이가 높은 때에는, 가부설(假敷設)한 차수 시트를 잡아 올려 블록체 충전재 측에 덮어씌우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이상과 같은 문제에 의해, 차수 시트 부설 시의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특히 코너부), 작업자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쉽게 되며, 또, 인건비가 더해질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torage structure and method (see the conventional water tank of FIG. 11) in which a block body filler is used as a filler instead of gravel or crushed stone and the block body filler is wrapped in an order sheet and a protective sheet (see the conventional water tank of FIG. 11) have the following problems. have. (1) When the stacked block-type filler is wrapped with an order sheet, the order sheet is folded in order to put the order sheet in the corner portion (in detail, the edge part or the vertex part of the filler material). I may bend it and cut an unnecessary part, and it costs. Moreover, there exist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water leakage by cutting off a part of order sheet increases. (2) The stacked block body filler is not a flat side wall surface or an upper surface, so that the block body filler may shift when the sheet is filled, and thus, construction at the corner portion becomes difficult. (3) When the height of the stacked block fillers is high, the work of picking up the temporary order sheets and covering them on the block filler filler side becomes difficult. Due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work at the time of placing the order sheet becomes difficult (particularly the corner portion), the build quality is easily influenced by the operator, and the labor cost will be added.

여기에서, 본 발명은, 쌓아 올린 블록체 충전재의 코너부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저수조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workability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stacked block fillers, which makes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tank more simple, and the buildability is hardly influenced by the skill of the operator,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labor and the like. It is aimed at provision of storage structure and storage method that can be done.

본 발명은,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를, 차수 시트로 덮어 저수조를 형성하는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변부분에, 이 변부분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corner形物)을 배치하고, 상기 코너형물이 배치된 상기 충전재를 상기 차수 시트에 의해 덮는, 저수 공법이다.In the water storage method which covers a block-shaped filler which has a water storage gap, and covers it with an order sheet | seat, and forms a water storage tank, the corner-shaped thing which made the shape which covers this side part in the side part of the said filler material (corner-shaped thing) ), And the water-storing method which covers the said filler in which the said corner shape was arrange | positioned with the said order sheet.

상기 공법에 의하면, 간극에 의해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의 변 부분에 당해 변 부분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충전재를 차수 시트에 의해 덮을 때에, 차수 시트가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의 변부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재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체 형상을 한 충전재의 변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켜, 저수조의 형성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the corner sheet having a shape covering the edge portion is dispos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filler having the unevenness by the gap, so that when the filler is covered by the degree sheet, the side of the filler having the unevenness is cove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rt from being caught, and to prevent the filler from slipping off. As a result, the workability of the edge portion of the block-shaped filler is improved, and the formation of a water tank is more simple, and the buildability is hardly influenced by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the cost of labor and the like can be reduced thereon. Do.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 삼고 형상(三股 形狀)을 가지는 삼고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water storage metho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orner-shaped object includes the three-shaped corner shape thing which has the three-sided shap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cover the vertex part with the said block-shaped filler.

상기 공법에 의하면, 삼고 코너형물에 의해,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세변(三邊)의 교점(交点))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의 정점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aid method, it is possible to cover the vertex part (intersection of three sides) with a filler by a simple construction procedure with a round shape.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vertex part of the block-shaped filler.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water storage method, in the said water storage method, it is a thing in which the said corner shape contains the L-shaped corner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t least one part of one side with the said block-shaped filler may have an L shape. desirable.

상기 공법에 의하면, 충전재가 있는 변 부분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의 변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aid method, it is possible to cover the edge part with a filler by simple construction procedure.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edge part of the filler which made the block shape.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n the said water storage metho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 where the said corner-shaped thing contacts the said order sheet is flat.

상기 공법에 의하면, 충전재를 차수 시트에 의해 덮을 때에, 코너형물은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재의 변 부분에서 차수 시트를 비키어 놓는다든지, 접어 구부린다든지 할 때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when the filler is covered by the order sheet, the corner shaped article has a flat shape in contact with the order sheet, so that the order sheet is folded or bent at the side of the filler.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또, 본 발명은,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 상기 충전재를 덮는 차수 시트, 및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과 상기 차수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구비한 저수 구조이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the shape which has a block shape filler which has a water storage gap, the order sheet which covers the said filler, and the edge part of the said filler, and the said order sheet, and covers the edge part of the said filler. It is a water storage structure with a corner shape.

상기 구조에 의하면, 간극에 의해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의 변 부분과 차수 시트와의 사이에 충전재의 변 부분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충전재와 차수 시트가, 충전재의 변 부분에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차수 시트가 충전재의 요철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by arranging a corner shape having a shape covering the side portion of the filler between the side portion of the filler having irregularities due to the gap and the order sheet, the filler and the secondary sheet are formed at the side portion of the filler. It is possible to avoid direct contact.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order sheet from being damaged by the unevenness of the filler.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 삼고 형상을 가지는 삼고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water storage structure, in the said water storag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orner-shaped thing includes the three-corner-shaped thing which has a triple shap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cover the vertex part with the said block-shaped filler.

상기 구조에 의하면, 삼고 코너형물에 의해,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세변(三邊)의 교점(交点))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의 정점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ver the vertex part (intersection of three sides) with a filler by a simple construction procedure with a round shape.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vertex part of the block-shaped filler.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water storage structure, it is a thing in which the said corner shape contains the L-shaped corner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at least one part of one side with the said block-shaped filler may have L shape is possible. desirable.

상기 구조에 의하면, 충전재가 있는 변 부분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의 변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ver the edge part with a filler by simple construction procedure.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edge part of the filler which made the block shape.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n the said water storag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 where the said corner-shaped thing contacts the said order sheet is flat.

상기 구조에 의하면, 충전재를 차수 시트에 의해 덮을 때에, 코너형물은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재의 변 부분에서 차수 시트를 비키어 놓는다든지, 접어 구부린다든지 할 때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filler is covered by the order sheet, the corner shaped article has a flat shape in contact with the order sheet, so that the order sheet is folded or bent at the side of the filler.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저수조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storage structure and a water storage method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more simple, and the build quality is hardly influenced by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the cost of labor costs and the like can be reduced thereon.

[도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저수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충전재의 설명도이다.
[도 3]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차수 시트 및 보호 시트의 부설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코너형물의 설명도이다.
[도 5]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충전재와 코너형물과의 설치 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6]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저수 공법의 플로우이다.
[도 7] 도 7은, 저수 공법에 있어서의 차수 시트의 접합에 관하여의 설명도이다.
[도 8] 도 8은, 저수 공법에 있어서의 충전재 조립공정에 관계되는 설명도이다.
[도 9] 도9는, 저수 공법에 있어서의 측면 시트 공정에 관계되는 설명도이다.
[도 10] 도 10은, 저수 공법에 있어서의 도로 메움에 관계되는 설명도이다.
[도 11] 도 11은, 종래의 저수조의 설명도이다.
FIG. 1: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water storage structure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FIG. 2: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fille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FIG. 3: is explanatory drawing about the installation of the order sheet and protective sheet which concern on this embodiment. FIG.
FIG. 4: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corner shape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FIG. 5: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installation aspect of the filler and corner shape object which concern on this embodiment. FIG.
FIG. 6 is a flow of the water stora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7: is explanatory drawing about the joining of the order sheet in the water storage method. FIG.
FIG. 8: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concerns on the filler assembly process in a water storage method. FIG.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related to the side sheet step in the water storage method. FIG.
FIG. 10: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concerns on the road filling in the water storage method. FIG.
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water tank. FIG.

(실시 형태)(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에 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water storage structure and the water storage method in the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which concern on this embodiment are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저수 구조 (1))(Water structure (1))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저수 구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2), 충전재(2)를 덮는 차수 시트(3), 차수 시트(3)를 보호하는 보호 시트(4), 충전재(2)의 변 부분이나 정점 부분과 차수 시트(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충전재(2)의 변 부분(25)이나 정점 부분(26)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5)을 구비하고, 충전재(2)에 유입시키는 관, 충전재(2)에 저수한 물을 이용하는 펌프 기구, 충전재(2)에 저수한 물이 오버플로우한 경우에 배출하는 관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저수 구조(1)는 지중에 매설되어, 우수를 내부에 축적하고, 필요 시에 축적된 우수가 취출되어 사용된다.As shown in FIG. 1,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has the block-shaped filler 2 which has a water storage gap, the order sheet 3 which covers the filler 2, and the order sheet 3 ) Is disposed between the protective sheet 4 and the side portion or apex portion of the filler material 2 and the order sheet 3 to protect the side sheet 25 and the apex portion 26 of the filler material 2. It is provided with a corner-shaped article 5 having a shape, and discharged when a pipe flowing into the filler 2, a pump mechanism using water stored in the filler 2, and water stored in the filler 2 overflow. The coffin is excreted. And this water storage structure 1 is embedded in the ground, accumulates rainwater internally, the accumulated rainwater is taken out and used when needed.

(충전재(2))(Filler (2))

충전재(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볼록 형상을 한 접어구부림부(23)(도 2에서는 4개)를 평행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홈부(24)(도 2에서는 3개)를 형성한 직방체의 블록체(22)를, 접어구부림부(23) 및 홈부(24)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다수 쌓아 올리는 것에 의해(도 2에서는 5개), 많은 간극(공극)을 확보한 중공 구조를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ller 2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convex folds 23 (four in FIG. 2) in parallel to form a plurality of grooves 24 (three in FIG. 2). By stacking a large number of block bodies 22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ed so as to hav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folds 23 and the grooves 24 (five in FIG. 2), a large gap (gap) is secured. It has a hollow structure.

블록체(22)는, 예를 들면 평면 형상이 300~4000mm, 바람직하게는 500~2000mm 사방형으로, 두께가 100~500mm 정도의 크기이다. 또, 블록체(22)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수지, 풀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열거되고, 물에 의해 부식하기 어렵게, 비교적 값싸고 경량인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록체(22)를 겹쳐 쌓아 올린 충전재(2)는,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간극(공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위로부터 10tf/㎡ 이상의 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이다.The block body 22 has a planar shape of, for example, 300 to 4000 mm, preferably 500 to 2000 mm square, and has a thickness of about 100 to 500 mm. Moreover, as a raw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block body 22, polypropylene, polyethylene, a vinyl chloride resin, a pulley ethylene terephthalate, etc. are mentioned, A polypropylene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lightweight is hard to corrode by water, and is preferable. The filler 2 stacked on the block 22 can secure a gap (void) of 80% or more, preferably 90% or more, and can withstand a load of 10 tf / m 2 or more from above. will be.

또한 충전재(2)의 형상은, 블록체(22)를 겹쳐 쌓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블록(직방체) 형상을 한 물체이면 좋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ller 2 is not limited to the stacking of the block bodies 22, and as mentioned above, the block (cuboid) shape which made it possible to ensure a clearance of 80% or more, preferably 90% or more. If one object is good.

(차수 시트(3))(Order sheet (3))

차수 시트(3)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가류(加硫)고무계, 열가소성엘라스토머계, 폴리에틸렌수지계, 에틸렌초산비닐수지계, 염화비닐수지계가 열거되고, 고강도이고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계가 바람직하다. 차수 시트(3)의 두께는 1.0mm~2.5mm의 범위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서는, 차수 시트(3)의 두께가, 1.0mm 미만이면 강도가 부족하여 시트가 용이하게 파단하는 것이 있고, 한편으로, 두께가, 2.5mm를 초과하면, 차수 시트(3)의 접합 개소에 있어서 단차가 크게 되어 버려 외관을 나쁘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As a raw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order sheet 3, a vulcanized rubber system, a thermoplastic elastomer system, a polyethylene resin system, a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system, and a vinyl chloride resin system are mentioned, and the polyethylene resin system which is high strength and excellent in weatherability is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order sheet 3 uses the thing of the range of 1.0 mm-2.5 mm. As the reason, when the thickness of the order sheet 3 is less than 1.0 mm, the strength may be insufficient, and the sheet may be easily brok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2.5 mm, the joining position of the order sheet 3 may be reduc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ep becomes large in order to deteriorate the appearance.

(보호시트(4))(Protection sheet (4))

본 실시 형태의 저수 구조(1)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수 시트(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 지면이나 측면에 보호 시트(4)를 부설한다. 보호 시트(4)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부직포, 혹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합성수지 등의 단체(單體) 혹은 복합재가 열거되고, 차수 시트(3)와 동일 고강도, 내후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보호 시트(4)의 두께는, 4.0mm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수 구조(1)에서는, 차수 시트(3)와 보호 시트(4)의 이층(2層)으로의 사용이 일반적이나, 차수 시트(3)나 보호 시트(4)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수 시트(3)와 보호 시트(4)가 복수매 겹쳐있어도 좋다.In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order sheet 3, the protective sheet 4 i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otective sheet 4 include polyester long fiber nonwoven fabrics, polyester short fiber nonwoven fabrics, or single or composite materials such as natural fibers, synthetic fibers, and synthetic resins. Polyester long fiber nonwoven fabric and polyester short fiber nonwoven fabric having high strength and weather resistance are prefer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sheet 4 uses 4.0 mm or more. Moreover, in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although the use of the order sheet 3 and the protective sheet 4 as two layers 2 is common, the number of sheets of the order sheet 3 and the protection sheet 4 is specifically limited Instead, the order sheet 3 and the protective sheet 4 may be stacked in plural numbers.

(코너형물(5))(Corner shape (5))

코너형물(5)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을 한 시트를 가공하여, 삼고(三股) 형상으로 형성한 삼고 코너형물(51)과, 평판 형상을 한 시트를 L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단면이 L자 형상을 한 L자 코너형물(52)의 2 종류가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rner-shaped article 5 is formed by processing a sheet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folding the flat-shaped sheet 51 and a sheet having a flat plate shape into an L shape. There are two types of L-shaped corners 52 that are bent and have an L-shaped cross section.

삼고 코너형물(51)은, 충전재(2)에 접촉하는 부분, 및 차수 시트(3)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고, 충전재(2)의 정점 부분(26)(세변의 교점)을 덮도록 배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삼고 코너형물(51)은, 충전재(2)의 8개의 정점 부분(26)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 삼고 코너형물(51)의 치수로서는, 예를 들면, 폭 c가 30~60mm, 폭 d가 150~500mm, 두께가 2~5mm이다. 또한, 삼고 코너형물(51)은, 충전재(2)의 정점 부분(26)의 전체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The corner 51 has a flat shape in which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filler 2 and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order sheet 3 are flat, and the vertex portion 26 (the intersection of three sides) of the filler 2 is formed. It is arranged to cover.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corner shape 5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eight apex part 26 of the filler 2, respectively. Moreover, as a dimension of the round corner 51, width c is 30-60 mm, width d is 150-500 mm, and thickness is 2-5 mm, for example. In addition, the round shape 51 does not need to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whole vertex part 26 of the filler 2. As shown in FIG.

L자 코너형물(52)은, 충전재(2)에 접촉하는 부분, 및 차수 시트(3)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고, 충전재(2)의 변 부분(25)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L자 코너형물(52)은, 충전재(2)의 12개의 변 부분(25)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 L자 코너형물(52)의 치수로서는, 예를 들면, 폭 a가 200~1200mm, 폭 b가 30~60mm, 두께가 2~5mm이다. 또한, L자 코너형물(52)은, 충전재(2)의 변 부분(25)의 전체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The L-shaped corner 52 has a flat shape in which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filler 2 and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order sheet 3 have a flat shape,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side portion 25 of the filler 2. Is placed.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shaped corners 52 are disposed at the twelve side portions 25 of the filler 2, respectively. Moreover, as a dimension of the L-shaped corner 52, width a is 200-1200 mm, width b is 30-60 mm, and thickness is 2-5 mm, for example. In addition, the L-shaped corners 52 need not be disposed in the entirety of the side portions 25 of the filler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차수 시트(3)와 같은 재질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즉,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가류(加硫)고무계, 열가소성엘라스토머계, 폴리에틸렌수지계, 에틸렌초산비닐수지계, 염화비닐수지계가 열거되고, 고강도이고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계가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as a raw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corner shape 51 and the L-shaped corner shape 52, the thing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rder sheet 3 is used. That is, as the materials forming the corner corner 51 and the L-shaped corner 52, vulcanized rubber series, thermoplastic elastomer series, polyethylene resin series,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series, and vinyl chloride resin series are listed. Polyethylene resins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re preferr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재(2)의 변 부분(25)이나 정점 부분(26)에 배치되고,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에 차수 시트(3)가 직접 접합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und corners 51 and the L-shaped corners 52 are arranged at the side portions 25 and the vertex portions 26 of the filler 2, as shown in FIG. The order sheet 3 is directly bonded to the mold 51 and the L-shaped corner 52.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과, 차수 시트(3)와의 접합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차수 시트(3)가 가류고무 등 고무계의 경우는 접착제(예를 들면, 부틸고무계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도 좋다. 또, 차수 시트(3)가 수지계의 경우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하여도 좋다.As a joining aspect of the corner shape 51 and the L-shaped corner shape 52 and the order sheet 3, for example, when the order sheet 3 is rubber-based, such as vulcanized rubber, an adhesive (for example, a butyl rubber system) May be bonded by an adhesive). In addition, when the order sheet 3 is resin type, you may join by heat fusion.

(저수 공법)(Storage method)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저수 공법에 관하여, 도6의 플로우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water stora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 in FIG.

(1 : 준비 공정)(1: preparation process)

건물의 지하나 공원ㆍ주차장의 지하 등에 상기 저수 구조(1)를 시공하는 것에 즈음하여, 장해물의 제거, 및 안전 대책을 세운다.In order to construct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in the basement of a building, the basement of a park, a parking lot, etc., obstacles are taken and safety measures are taken.

(2 : 굴삭 공정)(2: excavation process)

지면을 평면 형상이 구형상(矩形狀)이 되도록 파내려가 조성한다.The ground is dug up and formed so that a planar shape may be spherical.

(3 : 기초 공정)(3: basic process)

저면은 지반 표면을 다지거나, 혹은 콘크리트 시공에 의해 기초 평탄부를 형성한다.The bottom surface is grounded to form a foundation surface by compacting or concrete construction.

(4 : 저면 시트 공정)(4: bottom sheet process)

차수 시트(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최초에, 저면에 보호 시트(4)를 주름이 지지 않도록 부설하고 나서, 차수 시트(3)를 부설한다. 또한, 차수 시트(3)의 부설 면적이 큰 경우는, 차수 시트(3)끼리 접합시킨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수 시트(3)의 한 쪽에 프라이머(primer)를 붙이고, 다른 쪽의 차수 시트(3)에 조인트 테이프(joint tape)를 붙이고, 차수 시트(3)끼리 접합하고, 접합 부분을 핸드 롤러(hand roller)에 의해 전압(轉, rolling)한다.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order sheet 3, first, the protection sheet 4 is laid on the bottom so as not to wrinkle, and then the order sheet 3 is laid. In addition, when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order sheet 3 is large, the order sheet 3 is bonded toge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primer is attached to one of the order sheets 3, a joint tape is attached to the other order sheets 3, and the order sheets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Joining is carried out and a joining part is rolled by a hand roller.

(5 : 충전재 조립 공정)(5: Filler Assembly Process)

저면에 부설한 차수 시트(3)의 위에서, 충전재(2)(블록체(22))의 하측의 변 부분(25) 및 정점 부분(26)이 설치되는 위치에,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을 배치한다. 그 후, 배치된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의 위에, 블록체(22)를 접어 구부림부(23) 및 홈부(24)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소정 수 쌓아 올려, 충전재(2)를 성형한다. 충전재(2)를 성형했다면, 나머지의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을 충전재(2)의 변 부분(25) 및 정점 부분(26)에 설치한다(도8 참조). 그리고, 최후로 충전재(2)의 최상부에 스페이서를 집어 넣는다.On the order sheet 3 attached to the bottom, the corner shape 51 and the corner portion 51 at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side portion 25 and the apex portion 26 of the filler 2 (the block body 22) are provided. L-shaped corners 52 are disposed. After that, the block body 22 is folded over the arranged corner shape 51 and the L-shaped corner shape 52,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tacks 23 and the groove 24 are stacked so a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ller 2 is molded. When the filler 2 is molded, the remaining three corner shapes 51 and L-shaped corners 52 are provided on the side portions 25 and the vertex portions 26 of the filler 2 (see Fig. 8). Finally, the spacer is placed in the uppermost part of the filler 2.

(6 : 측면 시트 공정)(6: side sheet process)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에 부설한 차수 시트(3)를, 충전재(2)의 변 부분(25) 및 정점 부분(26)에 설치한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에 접합시켜, 싸 넣도록 충전재(2)의 측면에 부설한다. 차수 시트(3)의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에 대한 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차수 시트(3)가 수지계의 경우는 열 융착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수 시트(3)가 고무계의 경우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보호 시트(4)를 차수 시트(3)의 외측을 싸 넣도록 부설한다(또한, 보호 시트(4)는 차수 시트(3)에 접합시키지 않는다).As shown in FIG. 9, the corner sheet 51 and the L-shaped corner 52 are provided with the order sheet 3 attached to the bottom in the side portion 25 and the apex portion 26 of the filler 2. ) To the side of the filler 2 to be wrapped. As the joining method for the three corner shapes 51 and the L-shaped corners 52 of the order sheet 3,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order sheet 3 is resin-based, it is preferable to join by heat fusion. When the sheet | seat 3 is rubber type, it is preferable to join by an adhesive agent. Next, the protective sheet 4 is laid so as to enclose the outside of the order sheet 3 (the protection sheet 4 is not bonded to the order sheet 3).

(7 : 상면 시트 공정)(7: top sheet process)

충전재(2)의 상면에, 차수 스트(3) 또는 투수 시트(부직포)를 부설하고, 충전재(2)의 측면에 부설한 차수 시트(4)와 접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저수조(1)로 되는 부분이 완성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ler 2, an order strip 3 or a permeable sheet (nonwoven fabric) is placed, and the order sheet 4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ller 2 is joined. Thereby, the part used as the water storage tank 1 is completed.

(8 : 도로 메우기)(8: fill the road)

측면으로부터의 토압에 의한 이동이나 차수 시트(3) 및 보호 시트(4)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무거운 돌 대신에 상면에 밸런스 좋게 객토를 하고, 한 방향으로부터의 편하중(偏荷重)이 작용하지 않도록 사변 균등하게 외주부를 도로 메운 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를 소정의 높이까지 도로 메운다. 이것에 의해, 건물의 지하나 공원ㆍ주차장의 지하 등에 상기 저수 구조(1)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rder to prevent movement due to earth pressure from the side surface and misalignment of the order sheet 3 and the protective sheet 4, the upper surface is well-balanced instead of heavy stones, and the unloading load from one direction acts. After filling the outer periphery evenly on a quadrilateral basis,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part is fill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reby,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can be constructed in the basement of a building, the basement of a park, and a parking lot.

(효과)(effect)

상기 저수 공법 및 저수 구조(1)에 의하면, 간극에 의해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2)의 변 부분(25) 등에, 변 부분(25) 등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5)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충전재(2)를 차수 시트(3)에 의해 덮을 때에, 차수 시트(3)가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2)의 변 부분(25)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재(2)(블록체(22)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체 형상을 한 충전재(2)의 변 부분(25) 등의 시공성을 향상시켜, 저수조의 형성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water storage method and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the corner portion (5) having a shape covering the side portion (25) and the like on the side portion (25) of the filler (2) having irregularities due to the gap is provided. Thus, when the filler 2 is covered with the order sheet 3, the order sheet 3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y the side portion 25 of the filler 2 having the unevenness and the like, and the filler 2 (block body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ation of 22. This improves the workability of the edge portion 25 of the filler 2 in the form of a block body, and the formation of a water tank is more convenient, and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operator. It is difficult to build, and on top of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such as labor costs.

또, 상기 저수 공법 및 저수 구조(1)에 의하면, 삼고 코너형물(51)에 의해, 충전재(2)가 있는 정점 부분(26)(세변(三邊)의 교점(交点))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2)의 정점 부분(26)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ter storage method and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vertex part 26 (intersection of three sides) with the filler material 2 by the corner shape 51 is simple. It is possible to cover by.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vertex part 26 of the filler 2 which made the block shape.

또, 상기 저수 공법 및 저수 구조(1)에 의하면, 충전재(2)가 있는 변 부분(25)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2)의 변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Moreover, according to the said water storage method and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it is possible to cover the edge part 25 with the filler 2 by a simple construction procedure. Thereb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side part of the filler 2 which made the block shape.

또, 상기 저수 공법 및 저수 구조(1)에 의하면, 충전재(2)를 차수 시트(3)에 의해 덮을 때에, 코너형물(5)은 차수 시트(3)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재(2)의 변 부분(25)이나 정점 부분(26)에서 차수 시트(3)를 비키어 놓는다든지, 접어 구부린다든지 할 때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ater storage method and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 when the filler 2 is covered with the water sheet 3, the corner 5 has a flat shape in which the part contacting the water sheet 3 is fla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when the order sheet 3 is folded or bent at the side portion 25 and the apex portion 26 of the filler 2.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의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것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tailed also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 it is clear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orrections and changes can be added without deviating from the mind and range of this invention.

본 출원은, 2016년5월13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 2016-097323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the JP Patent application 2016-097323 of an application on May 13, 2016, The content is taken in here as a reference.

1. 저수조 2. 충전재
22. 블록체 23. 접어구부림부
24. 홈부 25. 변 부분
26. 정점 부분 3. 차수 시트
4. 보호 시트 5. 코너형물
51. 삼고 코너형물 52. L자 코너형물
1. reservoir 2. filling material
22. Block body 23. Folding part
24. Groove 25. Side
26. Vertex Part 3. Order Sheet
4. Protective sheet 5. Corner shape
51. Sango corner shape 52. L-shaped corner shape

Claims (10)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를, 차수 시트로 덮어 저수조를 형성하는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다수의 볼록 형상을 한 접어구부림부를 평행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홈부를 형성한 직방체의 블록체를, 접어구부림부 및 홈부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다수 쌓아 올리는 것에 의해, 간극을 확보한 중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에, 이 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배치하고, 상기 코너형물이 배치된 상기 충전재를 상기 차수 시트에 의해 덮고,
상기 차수 시트가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해 직접 코너형물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저수 공법.
In the water storage method which covers the filler of the block shape which has a water storage gap with an order sheet, and forms a water tank,
The fill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vex folded portions formed in parallel to form a block body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are formed, so that the folding portions and the groove portions are stacked so that the directions of the folded portions and the groove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secure a gap. Has a hollow structure,
A corner shape having a shape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side portion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ller, and the fill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ller to cover the filler;
The water storage method, wherein the order sheet is bonded directly to a corner shape by an adhesive or heat we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 삼고 형상을 가지는 삼고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공법.The water storag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ner shape includes a three-corner shape having a triangular shape disposed to cover a vertex portion having the block-shaped fi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공법.The said water storage method of Claim 1 in which the said corner shape contains the L-shaped corner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at least one part of one side with the said block-shaped filler may have L shape is possi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공법.The said water storage method of Claim 2 in which the said corner shape contains the L-shaped corner shape whose cross section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at least one part of one side with the said block-shaped filler may have an L shap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는, 상기 저수 공법.The said water storage method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4 in which the said corner-shaped thing has the flat shape in the part which contacts the said order sheet. 저수 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볼록 형상을 한 접어구부림부를 평행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홈부를 형성한 직방체의 블록체를, 접어구부림부 및 홈부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다수 쌓아 올리는 것에 의해, 저수가능한 간극을 확보한 중공 구조를 가지는 충전재,
상기 충전재를 덮는 차수 시트, 및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과 상기 차수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구비하고,
상기 차수 시트가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해 직접 코너형물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저수 구조.
In the reservoir structure,
Hollow structure that ensures a water storage gap by stacking a plurality of convex-shaped folding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to form a block body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so that the directions of the fol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illing material,
An order sheet covering the filler,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edge part of the said filler and the said order sheet, Comprising: The corner shape formed in the shape which covers at least one part of the side part of the said filler is provided,
The water storage structure, wherein the order sheet is bonded to the corner shape directly by adhesive or heat weld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 삼고 형상을 가지는 삼고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구조.The water storag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rner shape includes a triangular shape having a triangular shape disposed to cover a vertex portion having the block-shaped fil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구조.The said water storage structure of Claim 6 in which the said corner shape contains the L-shaped corner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at least one part of one side with the said block-shaped filler may have L shape is possi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구조.The said water storage structure of Claim 7 in which the said corner shape contains the L-shaped corner shape whose cross section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at least one part of one side with the said block-shaped filler may have an L shape.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는, 상기 저수 구조.The said water storage structure of any one of Claims 6-9 in which the said corner-shaped thing has the flat shape in the part which contacts the said order sheet.
KR1020170059384A 2016-05-13 2017-05-12 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KR1020198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7323 2016-05-13
JP2016097323A JP6563852B2 (en) 2016-05-13 2016-05-13 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in underground water t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144A KR20170128144A (en) 2017-11-22
KR102019832B1 true KR102019832B1 (en) 2019-09-09

Family

ID=6030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384A KR102019832B1 (en) 2016-05-13 2017-05-12 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63852B2 (en)
KR (1) KR102019832B1 (en)
CN (1) CN107366346B (en)
TW (1) TWI637096B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121A (en) * 1999-09-20 2001-04-03 Shinichiro Hayashi Underground water tank for storing fire fighting water
JP2001279737A (en) * 2000-01-25 2001-10-10 Mitsuboshi Belting Ltd Water storing method and water storing structure
JP2007009509A (en) * 2005-06-30 2007-01-18 Takiron Co Ltd Groundwater tank packing material and pack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5933B2 (en) * 1996-07-15 2006-03-15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A fixing material for fixing a waterproof sheet at an entrance / exit corn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terproof sheet at an entrance / exit angle using the accessory
JP2001040719A (en) * 1999-07-28 2001-02-13 Mitsuboshi Belting Ltd Water storage tank and water storage method
JP2002206257A (en) * 2001-01-10 2002-07-26 Shinichiro Hayashi Tank
JP4686655B2 (en) * 2001-04-11 2011-05-25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Structure
JP2006009565A (en) * 2004-05-21 2006-01-12 Mitsuboshi Belting Ltd Accessory for installing waterproof sheet
JP4695461B2 (en) * 2005-08-26 2011-06-08 タキロン株式会社 Filling material and filling structure of underground water tank
KR100658971B1 (en) * 2006-01-17 2006-12-19 주식회사 뉴보텍 Jointed facilities keeping rainwater using block having an inclin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t
TWM320580U (en) * 2007-01-12 2007-10-11 Ulin Internat Dev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frame for rainwater-collection system
CN202248081U (en) * 2011-05-21 2012-05-30 魏宝军 Combined underground reservoir integrally formed by pouring
JP5808216B2 (en) 2011-10-04 2015-11-10 秩父ケミカル株式会社 Enclosure used for underground water tank unit and underground water tank unit
KR101197024B1 (en) * 2012-06-07 2012-11-06 (주)한동알앤씨 Construction Method of Rainwater Storage and Rainwater Permeating System through the Ground
CN204551713U (en) * 2015-03-02 2015-08-12 黄云清 A kind of fast-assembling reservo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121A (en) * 1999-09-20 2001-04-03 Shinichiro Hayashi Underground water tank for storing fire fighting water
JP2001279737A (en) * 2000-01-25 2001-10-10 Mitsuboshi Belting Ltd Water storing method and water storing structure
JP2007009509A (en) * 2005-06-30 2007-01-18 Takiron Co Ltd Groundwater tank packing material and pack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66346A (en) 2017-11-21
JP6563852B2 (en) 2019-08-21
CN107366346B (en) 2021-04-13
TW201739988A (en) 2017-11-16
JP2017203351A (en) 2017-11-16
KR20170128144A (en) 2017-11-22
TWI637096B (en)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0289B2 (en) Composite for geotechnics, building and the like, with impermeable layer
US8182179B2 (en)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tructure
WO2006001139A1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US20140248085A1 (en) Modular, scalable, portable and reusable primary and secondary spill containment lining systems and method of assembling, shipping and installing such systems
JP2012057388A (en) Assembly for rainwater storage permeation facility and rainwater storage permeation facility using the same
JP2005320845A (en) Rainwater reservoir tank
KR102019832B1 (en) 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RU2679150C1 (en) Multilayer protective panel and system for basement walls
KR102211197B1 (en) Seepage control method using spraying,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CN111305152A (en) Construction method for ecological protection of stepped three-dimensional reinforced abutment conical slope
CN104220679A (en) Structural member used for rainwater storage laminated structure
JP2012057442A (en) Rainwater storage tank and rainwater storage tank filling structure
JP2006007756A (en) Rubber made waterproof formed body
US11585065B2 (en) Vadir barrier: a concrete slab underlayment with all-in-one void form, air barrier, drainage plane, insulation and radon protection
JP2006063563A (en) Reinforcing soil structure
JP4445892B2 (en) Lightweight embankment water storage structure
KR200469568Y1 (en) The green Haejoo of saltpan structure by carvel built type
JP2000073418A (en) Filling member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JP2004092334A (en) Spatial structure
JP2023076931A (en) Method for laying water-shielding sheet in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CN220451051U (en) High-support beam column integrated pouring molding underground water filling structure
JP6777831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ainwater storage facility and rainwater storage facility
JP2009150215A (en) Rainwater storage tank
JP2005002620A (en) Underground reservoir and/or infiltration tank
JPH0667535U (en) Slope protection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