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792B1 - 바이오리듬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 조명 제어 - Google Patents

바이오리듬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 조명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792B1
KR102019792B1 KR1020160182239A KR20160182239A KR102019792B1 KR 102019792 B1 KR102019792 B1 KR 102019792B1 KR 1020160182239 A KR1020160182239 A KR 1020160182239A KR 20160182239 A KR20160182239 A KR 20160182239A KR 102019792 B1 KR102019792 B1 KR 10201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biorhythm
ligh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381A (ko
Inventor
윤용익
박신우
박혜빈
조하나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7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특정 장소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에 맞춰 다양한 조명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명 기구와 상기 단말기가 페어링되면, 상기 서버에 대해 바이오리듬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조명 기구를 상기 바이오 리듬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오리듬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 조명 제어{CONTROL OF SMART LAMP BASED ON BIORHYTHM ANALYSIS}
본 발명은 스마트 조명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 및 바이오리듬 분석을 이용하여 사용자 감성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스마트 조명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빛은 사람의 생활 속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조명을 통해 빛을 공급받는다. 집에서도 방마다 하나씩 있고 밖을 나서도 식당이나 대중교통, 학교 등 모든 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밀접하게 닿아 있는 조명이 수명이 거의 다해 조금만 어두워지면 금방 알아차릴 정도로 사람들은 예민하게 반응한다. 그런 점을 이용하여 조명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를 인테리어 하는데 쓰는데 조명 자체 모양을 꾸미는 방법도 있지만 색깔이나 조도 등에 신경을 써 다양한 연출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을 착안하여 스마트 조명은 사용자들 스스로의 감성을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나와있는 스마트 조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명의 전원을 키고 끄고 할 수 있고, 직접 색을 바꾸거나 밝기를 조정하는 등의 수동적인 방법만이 상용화되어 있다.
‘Emotion Lamp’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스마트 조명의 기본적인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이나 조도를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바이오리듬과 걸음 수, 날씨 등을 활용하여 직접적인 제어 없이도 현재 감성을 보완하거나 극대화할 수 있는 색과 조도를 조명을 통해 제공한다.
종래에 제시되고 있는 스마트 조명 기술을 간략히 설명한다.
필립스 사의 Hue는 대표적인 스마트 조명으로, 스마트폰으로 조명의 조도와 1600만 가지의 색을 조정할 수 있는데 특히 색 같은 경우, 직접 제어할 수도 있지만 원하는 색을 찍거나 스마트폰 안에 있는 사진을 가져와서 색을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의 전원을 키고 끄는 것도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Hue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언어로 말을 하면 인식하여 지정된 동작이 실행되게 하여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샤오미의 이라이트(Yee Light)는 Hue와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스마트 조명으로서, 스마트폰으로 조명을 키고 끌 수 있으며 조도도 조정 가능하다. 핫핑크, 블루, 그린, 오렌지, 레드 등의 기본 컬러들이 합쳐지면서 총 1600만 가지의 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조명 자체에서도 색채 조절이나 밝기 조절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비교적 Hue에 비해 이라이트 조명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많은 기능이 들어가 있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보인다.
LG전자의 스마트 램프는 국내 기업 중 스마트 전구를 처음 내보인 결과물이다. 기본적으로 앞의 두 스마트 조명처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명을 키고 끌 수 있으며 조명의 밝기를 조절 할 수 있지만 전구에 색을 나타내는 기능은 갖고 있지 않다. 또 한가지 다른 점은 조명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여러 모드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기상모드, 독서모드, 놀이모드 등 총 9가지의 각각의 모드들에서 밝기를 조절하여 모드마다 여러 가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바이오리듬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생활주기로 신체, 감성, 지성이 각각 23일, 28일, 33일의 주기를 가지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정한 현상이다. 최근 바이오리듬은 산업재해 사고의 예방과 능률을 향상 시키기 위해 쓰이고 있으며, 운동선수들의 컨디션을 조절하기 위해서 쓰이는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스마트 조명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존의 조명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단순 제어 및 조작에 불과하고, 특히 바이오리듬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에 맞춰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번호 제1,258,6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동으로 사용자의 환경이나 상태를 인식하여 조명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단순히 스마트 폰을 통한 제어에 추가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조명을 사용자 감성에 맞춰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제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특정 장소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에 맞춰 다양한 조명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명 기구와 상기 단말기가 페어링되면, 상기 서버에 대해 바이오리듬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조명 기구를 상기 바이오 리듬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는 블루투스 기반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하루 걸음걸이 및 활동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날씨 정보, 미세 먼지 정보 및 재난 정보를 포함하는 공공 데이터일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리듬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에 맞춰 다양한 조명 상태가 자동적으로 제어되거나, 상기 바이오리듬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표시되어, 사용자가 조합 상태를 선택하면 그에 맞춰 조명 기구의 조명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 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경보나 특보사항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조명 기구를 붉은 조명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특정 장소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제어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에 맞춰 다양한 조명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명 기구와 상기 단말기가 페어링되면,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조명 기구를 상기 바이오 리듬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저장 장치와,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며, 상기 저장 장치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감성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특정 장소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이용하여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에 맞춰 다양한 조명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명 기구와 상기 단말기가 페어링되면, 상기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조명 기구를 상기 바이오 리듬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는 블루투스 기반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바이오리듬 및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하여 조명 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되는 기술을 적용하여, 스마트 폰을 통해 조명을 제어하는 실제 양태를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기술의 제어 흐름 및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조명 기구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블루투스 연동을 위한 UUID 코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만보 데이터 수집을 위한 가속도 센서 코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걸음 수 변화에 따른 바이오리듬 조명이 바뀌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 예컨대 조명 기구 자체의 구성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되는 기술을 적용하여, 스마트 폰을 통해 조명을 제어하는 실제 양태를 구현한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기술의 제어 흐름 및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블루투스 기반의 일반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로 모바일을 통해 조명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인 조명의 다양한 빛과 밝기 조절 등의 수동 조작이 가능한 리모컨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드웨어의 성능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구현하며 사용자의 직관에 맞게 UI를 구성한 조명 제어 기능을 갖추고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조명을 제어하거나 조작 할 수 있다. 조명의 현재 상태는 모바일과의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상시 파악하며 새로운 명령을 모바일을 통해 받도록 한다.
사용자 정보에 입력된 데이터는 서버를 통해 분석 및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서버에서는 감성조명과 추천 조명을 위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감성조명수치 및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램프를 제어 할 수 있도록 모바일로 명령을 내린다.
서버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이외에도 공공 API를 이용한 자료를 통해 다양한 수치를 가지고 사용자의 환경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날씨 및 환경 정보와 국민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재난관련 정보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리듬 분석을 통한 감성 조명을 제공하는 바, 도 3에는 이러한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바이오리듬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 없이 자동적으로 서버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조명을 밝혀준다. 이는 현대인들의 번거로움과 수고로움을 덜고 좀 더 편리한 조명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에 부합된 기능이다. 일일이 조명을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분석된 본인의 바이오리듬과 수집되는 생활 패턴 및 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바이오리듬을 자동으로 인식, 이에 따른 빛을 제공함으로써 조명을 통해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감성 자체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감성에 미치는 외부 요인을 반영하여 조명을 제어한다. 즉 신체 지수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의 하루 일과에 영향을 미치는 날씨 특보와 및 미세먼지, 재난 정보 등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다. 경보나 특보사항이 있을 시 붉은 조명으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바일로는 PUSH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인의 바이오리듬과 연관된 생활패턴 및 환경변화를 분석하여 감성적인 조명을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 날씨 및 재난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환경을 조금 더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고자 참고하게 된 데이터이며 이는 다양한 각도로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객관적인 데이터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제 구현예를 설명한다.
1. 개발 환경
본 발명의 'Emotion Lamp'의 개발 환경은 다음과 같다. 서버는 Linux Ubuntu 서버에서 Node.js Express Framework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Database는 서버와 모바일 내부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며, 서버 데이터베이스는 Mysql로, 모바일은 SQLite, Sugar ORM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모바일 통신 모듈은 Retrofit 2.0 라이브러리를 사용, 서버 내에서 구동되는 알고리즘은 Javascript로 구현한다. 안드로이드 SDK를 설치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Android 4.1을 이용하여 갤럭시 노트에 적용시켜 개발한다.
2. 클라이언트 구현
2-1. 블루투스 연동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조명의 블루투스 모듈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연동하는 기능이다. 조명과 블루투스 연동을 하기 위해서는 모바일의 블루투스 기능을 켜놓아야 하며, 모바일에서 조명을 검색 완료하면 연결 가능한 리스트에 업로드 시킨다. 업로드 된 조명과 연동 성공 시 밝은 하얀 조명을 제공한다.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소켓 객체에서 필요한 값으로 UUID를 통해 클라이언트 소켓과 서버 소켓을 연결하도록 한다. 연결이 완료될 경우 모바일을 통해 해당 조명의 자동 및 수동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조명제어를 위한 블루투스 수동 연결이 아닌 블루투스 범위내에서 자동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수동 조작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사용자가 조명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자동으로 조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과 실용성을 높임으로써 해당 조명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블루투스 연동을 위한 UUID 코드가 도시되어 있다.
모바일은 서버와 램프를 연결해주는 중간 역할로 해당연구 개발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주요 환경이다.
바이오리듬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다. 애플리케이션 최초 접속 시 메인 화면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야만 감성 조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는 환경 설정에서 띄우기 위하여 모바일 내부 DB에 저장되고, 최초 입력 시 및 수정 시 서버로 전송되어 바이오리듬을 계산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환경설정에서는 활동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만보기기능을 비롯한 PUSH 알람, 날씨 정보 알람 등을 켜거나 끌 수 있다.
2-2. 이동거리 및 신체 활동량 정보 수집
사용자가 하루 동안 이동한 거리는 기존 만보계와 마찬가지로 하루 걸음걸이 및 활동량을 측정 하도록 한다. 보급된 스마트폰의 센서 중 가장 보편적인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상하좌우의 좌표 값을 계산하여 그 값을 수취화한다. 이 값은 하루에 움직인 거리 및 활동량을 도출, 서버에 전달하여 바이오리듬 분석에 이용한다. 수시로 사용자의 활동량 정보를 수집하여 활동량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였을 때를 사용자의 현재 어떤 상태인지를 인식한다. 수집된 이동거리 및 활동량(걸음걸이 수) 정보는 바이오리듬의 신체 지수에 반영된다. 도 5에는 만보 데이터 수집을 위한 가속도 센서 코드가 도시되어 있다.
2-3. 바이오리듬 조명 제공
계산된 오리지널 바이오리듬 정보에 기온 및 습도, 미세 먼지 농도와 같은 기상정보와 이동 걸음 수의 값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바이오리듬 조명을 제공한다. 이 때 계산된 바이오리듬에서 신체, 감성, 지성마다 고조기와 저조기로 나눠 사용자에게 추천해줄 조명을 세분화 한다. 표 1 및 도 6은 걸음 수 변화에 따라 바이오리듬의 신체 부분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고 그에 따른 바이오리듬 조명이 바뀌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112016129027305-pat00001
<바이오 리듬 정보에 따른 조명>
3. 서버 구현
사용자가 처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사용자의 모바일이 조명과 블루투스 페어링이 되면 클라이언트는 자동적으로 서버에 바이오리듬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서버는 요청 받은 내용을 토대로 사용자의 생년 월일, 활동량, 현재의 날씨와 미세먼지 량을 이용해 바이오리듬을 분석하고 클라이언트에 결과값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3-1. 사용자 정보 관리
userinfo
name cell year month day
<사용자 정보 DB>
추후 사용자가 새로운 기기를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다시 깔았을 때, 그리고 중복 가입 방지 등을 대비하기 위해 서버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서버에서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는 최초 로그인시 필요한 바이오리듬 관련 정보와 사용자 식별을 위한 휴대전화 번호와 출생 정보이다. 추후 재 로그인 하거나 중복 가입 검사를 위해서는 휴대전화 번호로 식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출생 정보인 생년 월일 정보는 바이오리듬을 계산하는 과정에서도 사용된다.
3-2. 공공데이터포털 대기 정보 수집
바이오리듬을 계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기상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은 서버는 request모듈을 이용해 공공데이터 포털의 대기오염정보서비스에 접속해 필요한 정보를 받게 되고, 결과를 얻은 후 redirect로 다시 라우팅한다. 대기오염정보를 토대로 다시 라우팅 된 서버는 기상청이 제공하는 동네 예보 RSS 정보를 파싱 하게 된다. 모든 정보는 JSON 형식으로 처리되며, 필요한 정보만 추출한 기상 정보는 바이오리듬 알고리즘으로 보내지게 된다. 표 3에는 대기정보 수집 코드가 예시되어 있다.
Figure 112016129027305-pat00002
3-3. 바이오리듬 알고리즘
바이오리듬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자의 생년월일, 대기오염정보, 기상정보, 활동량이 사용된다. 사용자의 생년월일은 전달받은 휴대전화 번호 정보를 DB와 비교해 선택하고, 그 외정보는 클라이언트에서 전달 받는다.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기준날짜를 통해 그날까지 사용자가 살아온 총 날짜를 계산하게 된다. 계산된 총 날짜를 이용하여 신체, 감성, 지성에 맞는 주기로 바이오리듬 지수를 만든다. 이 지수에 대기오염 정보, 기상정보, 활동량 정보를 이용해 추가적인 계산을 한다. 각 정보들은 지성을 제외한 신체와 감성에만 영향을 미친다.
계산한 바이오리듬 정보는 JSON 형식으로 클라이언트에 response해 준다. 추가적으로 계산된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조명 정보 제공을 위해 다시 한 번 라우팅 된다.
표 4에는 바이오리듬 알고리즘 코드가 예시되어 있다.
Figure 112016129027305-pat0000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오리듬을 이용한 조명 자동 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감성, 지성 지수에 따른 조명의 자동 제어를 제안하였다. 특히,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분석 후 그에 따른 조명 컬러를 제안함으로써 컬러테라피 효과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비과학적인 바이오리듬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영향을 끼치는 날씨와 미세먼지, 이동 거리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생체 정보를 분석해낸다. 이로써 현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에 따라 조명을 비추고, 단순 심신 안정을 벗어나 감성 상태의 조절을 돕기 위해 이를 완화하거나 고양시킬 수 있는 컬러를 제안한다. 또한 분석된 바이오리듬을 그래프로 확인하여 자신의 현재 상태와 익일의 바이오리듬, 과거의 바이오리듬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스마트 조명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바이오리듬 분석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컬러 조명으로서 심신의 안정, 건강 관리, 사고 예방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버를 통해 외부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바이오리듬을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4)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특정 장소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시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하루 걸음걸이 및 활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에 맞춰 다양한 조명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명 기구와 상기 단말기가 페어링되면, 상기 서버에 대해 바이오리듬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활동 정보와,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되는 날씨 정보, 미세 먼지 정보 및 재난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분석하여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바이오리듬 계산시 먼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 감성 및 지성에 맞는 주기로 바이오리듬 지수를 계산하고, 이 바이오리듬 지수에 상기 날씨 정보, 기상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이용한 추가 계산을 수행하여 상기 바이오리듬 지수 중 신체 및 감성 지수를 변화시킨 바이오리듬을 계산하는 것인, 상기 바이오리듬 계산 단계와;
    상기 계산된 바이오리듬과, 상기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된 환경 정보와, 상기 계산된 바이오리듬을 설명하는 바이오 리듬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계산된 바이오리듬, 상기 바이오 리듬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환경 정보 및 바이오 리듬 메시지를 함께 상기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바이오 리듬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조명 상태를 세분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명 기구를 상기 바이오 리듬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맞춰 조명 기구의 조명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는 블루투스 기반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경보나 특보사항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조명 기구를 붉은 조명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특정 장소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실행시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하루 걸음걸이 및 활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에 맞춰 다양한 조명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조명 기구와 상기 단말기가 페어링되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활동 정보와,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되는 날씨 정보, 미세 먼지 정보 및 재난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바이오리듬을 분석하여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바이오리듬 계산시 먼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신체, 감성 및 지성에 맞는 주기로 바이오리듬 지수를 계산하고, 이 바이오리듬 지수에 상기 날씨 정보, 기상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이용한 추가 계산을 수행하여 상기 바이오리듬 지수 중 신체 및 감성 지수를 변화시킨 바이오리듬을 계산하는 것인, 상기 바이오리듬 계산 단계와;
    상기 계산된 바이오 리듬, 상기 바이오 리듬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감성 및 지성의 각 조합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바이오리듬을 설명하는 바이오 리듬 메시지를 함께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바이오 리듬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조명 상태를 세분화하여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조명 기구를 상기 바이오 리듬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맞춰 조명 기구의 조명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조명 기구는 블루투스에 기반하여 페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경보나 특보사항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조명 기구를 붉은 조명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82239A 2016-12-29 2016-12-29 바이오리듬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 조명 제어 KR10201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39A KR102019792B1 (ko) 2016-12-29 2016-12-29 바이오리듬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 조명 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39A KR102019792B1 (ko) 2016-12-29 2016-12-29 바이오리듬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 조명 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81A KR20180078381A (ko) 2018-07-10
KR102019792B1 true KR102019792B1 (ko) 2019-09-10

Family

ID=6291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239A KR102019792B1 (ko) 2016-12-29 2016-12-29 바이오리듬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 조명 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7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237B1 (ko) * 2010-12-30 2012-10-18 전자부품연구원 지리/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58640B1 (ko) 2011-04-26 2013-04-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인식을 통한 led 감성 조명 시스템
KR101353195B1 (ko) * 2011-12-26 2014-01-20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101687412B1 (ko) * 2015-05-20 2016-12-19 주식회사제이엘텍코퍼레이션 스마트폰과 sns를 이용한 감성 조명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81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ques et al. Indoor air quality assessment using a CO2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4427715B (zh) 通信终端的控制方法、照明控制系统及照明设备
EP2894948B1 (en) Control method for mobile device
US8982217B1 (en) Determining states and modify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states
EP289022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Program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WO2016155021A1 (zh) 环境控制系统
EP3152981B1 (en) Light scene creation or modification by means of lighting device usage data
KR101353195B1 (ko)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JP2014071117A (ja) 地球測位システム
EP3417681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5320183A (zh) 智能调节照明气氛的灯具系统及实现调节气氛的方法
CN110235525A (zh) 用于照明系统的推荐引擎
CN107787026A (zh) 用于识别位置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装置
KR20180110472A (ko) IoT기반 입체 감성조명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083022A (zh)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计算机存储介质
KR102019792B1 (ko) 바이오리듬 분석에 기초한 스마트 조명 제어
Capodieci et al. Dynamically adapting the environment for elderly people through smartwatch-based mood detection
JP2021125876A (ja) スマート画像キャプチャ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72840A (ko) 패턴기반 감성조명 시스템
CN104601717A (zh) 通信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5698057A (zh) 具有数据管理及社交互动功能的智能护眼灯
KR102529808B1 (ko) 원단의 색상 정보를 결정하는 원단 측정 장치
CN110430640A (zh) 一种控制智能灯的方法及智能灯
JP6703863B2 (ja) 照明システム、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照明制御方法
CN105026900B (zh) 用于个人背景环境的分光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