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343B1 - 유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343B1
KR102019343B1 KR1020180085858A KR20180085858A KR102019343B1 KR 102019343 B1 KR102019343 B1 KR 102019343B1 KR 1020180085858 A KR1020180085858 A KR 1020180085858A KR 20180085858 A KR20180085858 A KR 20180085858A KR 102019343 B1 KR102019343 B1 KR 102019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fluid
reflector
buoyanc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희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B67D2001/1263Fluid level control devices the level being detected electric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저장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저장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체의 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의 빛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한다.

Description

유체 공급장치{Fluid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수위가 낮아지면 유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 기름 등의 각종 유체는 수조와 같은 저장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에 따라 배출된다. 사용자는 유체의 수위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며 유체를 모두 사용하면 저장부에 유체를 다시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의 유체의 사용에 따라 수위를 측정하고,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유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9946호 (2011.07.11.) 등록특허공보 제10-0912422호 (2009.08.10.)
본 발명은 저장부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고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저장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저장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체의 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의 빛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한다.
상기 유체 공급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반사부가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부력몸체 및 상기 부력몸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부력몸체와 상기 반사체를 연결하고 상기 반사체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반사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조절부는, 상기 부력몸체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반사체와 연결된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부재를 분리할 수 있게 연결하는 분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저장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저장부에 위치하며, 유체의 수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력몸체, 상기 부력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가 발광부의 빛을 감지하면 공급부 작동으로 유체가 자동으로 저장부에 공급되므로 저장부에 유체가 항상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동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사용자가 유체의 수위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어 유체 사용에 따른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 에 도시한 유체 공급장치 설치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반사부와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부력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반사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반사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반사체와 제1 센서가 마주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반사체와 제2 센서가 마주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유체 공급장치 동작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체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반사부와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3)는 물, 기름, 약품 등의 유체가 저장될 수 있는 수조, 탱크 등(이하, 저장부라 함.)에 설치되어 유체 사용으로 수위가 설정 이하가 되면 저장부에 자동으로 유체가 공급되도록 한다.
저장부(1)는 적어도 한 면이 개방된 구조이거나 내부가 밀폐된 구조일 수 있다. 저장부(1)에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2) 및 유체 사용에 따라 배출되는 배출부(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 공급부(2)가 저장부(1) 하부측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공급부(2)는 저장부(1)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급부(2)의 위치는 저장부(1)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체 공급장치(3)는 센서부(31), 반사부(32), 레일(33), 발광부(34) 및 제어부(35)를 포함한다.
센서부(31)는 제1 센서(311) 및 제2 센서(312)를 포함한다. 제1 센서(311)와 제2 센서(312)는 저장부(1)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1 센서(311)는 저장부(1)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제2 센서(312)는 저장부(1)의 상부측에 위치한다.
도 2에서 센서부(31)가 저장부(1) 외부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서부(31)는 저장부(1)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의 배치 위치는 저장부(1)의 형상,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센서(311) 및 제2 센서(312)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조도센서(Cd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311) 및 제2 센서(312)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광 센서(photo sensor)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사부(32)는 부력을 가지면 저장부(1) 내부에 위치하여 유체에 뜰 수 있으며 입사되는 빛을 센서부(31)를 향해 반사한다. 반사부(32)는 부력몸체(321) 및 반사체(323)를 포함한다.
부력몸체(321)는 부력이 있어 유체에 뜰 수 있다. 부력몸체(321)는 발포 스타이렌 수지,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력몸체(321)가 플라스틱의 경우 내부는 빈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력몸체(321)는 유체에 뜰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부력몸체(321)가 유체의 겉면(수면)을 따라 이동할 때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저장부(1)의 내부면에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일(33)이 형성되어 있다
부력몸체(321)의 적어도 일부분은 레일(33)과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저장부(1)의 내부면에 별도의 부재가 배치되어 레일(33)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레일(33)은 저장부(1)의 내부면이 직접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레일(33)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부력몸체(32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력몸체(321)는 제1 부재(321a) 및 제2 부재(321b)를 포함한다. 제1 부재(321a) 및 제2 부재(321b)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부력몸체(321)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부력몸체(321)를 2개 층으로 도시하였으나, 부력몸체(321)는 제3 및 제4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들의 적층 개수에 따라 부력몸체(3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부력몸체(321)의 높이는 제1 센서(311)가 저장부(1)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부재(321a)와 제2 부재(321b)사이에는 분리 결합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 결합부(322)는 결합돌기(322a) 및 결합홈(322b)을 포함한다. 결합돌기(322a)가 결합홈(322b)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면 제1 부재(321a)와 제2 부재(321b)는 서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반사체(323)는 부력몸체(321)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센서부(31)를 향해 반사한다. 센서부(31)가 배치된 저장부(1)의 내부 일면과 마주하는 반사체(323) 일면은 상부측에서 하부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경사면은 저장부(1)의 내부 일면 및 상면과 마주한다. 경사면의 경사각도(D)는 반사체(323)의 상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60도 각도로 경사져 있다. 반사체(323)의 경사면 각도는 빛의 입사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사체(323)의 경사면에는 반사층(323a)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층(323a)은 거울, 알루미늄 등과 같이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반사부(32)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조절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조절부(324)는 고정부재(324a) 및 조절부재(324b)를 포함하며 빛의 입사 각도에 따라 각도를 반사체(323)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다.
고정부재(324a)는 부력몸체(3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조절부재(324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고정부재(324a)를 관통하여 반사체(323)와 연결되어 있다. 조절부재(324b)와 고정부재(324a)가 접하는 부분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부재(324b)를 회전시키면 반사체(323)가 조절부재(324b)를 따라 회전되어 반사층(323a)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반사체(323) 및 반사 조절부(324)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센서부(31)와 마주하는 부력몸체(321)의 적어도 일부분이 경사지고, 그 부분에 반사층(323a)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34)는 저장부(1)의 상면에 위치하여 반사체(323)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저장부(1)의 상면이 개방된 경우, 상면에 별도의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브래킷에 발광부(34)가 설치될 수 있다.
발광부(34)는 전원(전지)와 반도체 레이저를 갖추고 있으며 매우 얇은 저전력 레이저 빔의 가시광선을 발산한다. 이에 발광부(34)에서 발산된 빛은 보통 빛(전구, LED)에 비하여 파장이 일정하여 퍼지지 않고 곧바로 진행한다. 또한 세기가 강하고 단색을 띠며 멀리까지 나아갈 수 있다.
발광부(34)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35)는 센서부(31), 발광부(34) 및 공급부(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공급부(2)는 저장부(1)에 유체를 공급한다.
제어부(35)는 센서부(31)의 신호에 따라 공급부(2)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1 센서(311)가 빛을 감지하면 제어부(35)는 공급부(2)를 작동시켜 저장부(1)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한다. 제2 센서(312)가 빛을 감지하면 제어부(35)는 공급부(2)의 작동을 정지시켜 저장부(1)에 유체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유체 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 및 도 9를 참고하면, 저장부(1)에 유체가 없는 경우 반사부(32)의 부력몸체(321)는 저장부(1)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 반사체(323)와 제1 센서(311)는 서로 마주한 상태가 된다. 반사체(323)는 발광부(34)에서 발산된 빛을 제1 센서(311)로 반사한다. 제1 센서(311)는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35)에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35)는 공급부(2)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저장부(1)에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에 유체가 공급되면 부력몸체(321)는 부력에 의해 유체의 겉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부력몸체(321)는 레일(33)에 의해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다.
부력몸체(321)의 이동으로 제1 센서(311)에 반사된 빛은 제1 센서(311)를 벗어날 수 있다. 제어부(35)는 제1 센서(311)가 반사된 빛을 감지하지 않더라도 공급부(2)에 작동신호를 계속 인가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부력몸체(321)의 이동으로 반사체(323)와 제2 센서(312) 마주하면 발광부(34)에서 발산된 빛을 제2 센서(312)로 반사한다. 제2 센서(312)는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제어부(35)에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35)는 제2 센서(312)의 신호를 받으면 공급부(2)에 정지신호를 인가하여 공급부(2)가 정지하도록 한다. 공급부(2)의 정지로 유체는 저장부(1)에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
유체의 사용으로 수위가 낮아지면 부력몸체(321)가 유체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반사체(323)와 제1 센서(311)가 다시 마주하게 되면서 발광부(34)에서 발산된 빛이 다시 제1 센서(311)로 반사될 수 있다. 제1 센서(311) 신호를 받은 제어부(35)는 공급부(2)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저장부(1)에 유체가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센서(311)가 빛을 감지하면 저장부(1)에 유체가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유체는 저장부(1)에 항상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동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사용자가 유체의 수위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어 유체 사용에 따른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3)는 센서부(31), 부력몸체(321), 발광부(34) 및 제어부(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1), 부력몸체(321), 발광부(34) 및 제어부(35)는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부력몸체, 발광부 및 제어부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반사체를 생략하며 발광부(34)는 부력몸체(321)에 결합되어 있다. 발광부(34)에서 조사되는 빛은 센서부(31)의 제1 센서(311) 및 제2 센서(312)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유체 공급장치가 유체 사용 분야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유체 공급장치 적용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체, 고형물 등 사용 분야에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유체 사용 분야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유체, 분체, 고형물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저장부 2: 공급부
3: 유체 공급장치 31: 센서부
311: 제1 센서 312: 제2 센서
32: 반사부 321: 부력몸체
321a: 제1 부재 321b: 제2 부재
322: 분리 결합부 322a: 결합돌기
322b: 결합홈 323: 반사체
323a: 반사층 324: 반사 조절부
324a: 고정부재 324b: 조절부재
33: 레일 34: 발광부
35: 제어부

Claims (7)

  1.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저장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저장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체의 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부의 빛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반사부가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부력몸체; 및
    상기 부력몸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부력몸체와 상기 반사체를 연결하고 상기 반사체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반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조절부는,
    상기 부력몸체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반사체와 연결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부재를 분리할 수 있게 연결하는 분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7.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저장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저장부에 위치하며, 유체의 수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부력몸체;
    상기 부력몸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KR1020180085858A 2018-07-24 2018-07-24 유체 공급장치 KR102019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58A KR102019343B1 (ko) 2018-07-24 2018-07-24 유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58A KR102019343B1 (ko) 2018-07-24 2018-07-24 유체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343B1 true KR102019343B1 (ko) 2019-09-09

Family

ID=6795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858A KR102019343B1 (ko) 2018-07-24 2018-07-24 유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34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1809A (ja) * 1985-03-27 1986-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水量制御装置
JPH0777452A (ja) * 1993-06-28 1995-03-20 Mitsubishi Chem Corp 変位量測定装置及び無水式ガスホルダー用ピストンの傾斜測定装置
JPH09229531A (ja) * 1995-12-12 199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蔵庫用自動飲料補充装置
KR20000026204A (ko) * 1998-10-19 2000-05-15 김덕중 수위 조절장치
KR100912422B1 (ko) 2009-01-16 2009-08-14 정종덕 배관용 부유물 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049946B1 (ko) 2009-03-27 2011-07-20 최지영 전반사를 이용한 수위 조절 장치
KR20170050428A (ko) * 2015-10-30 2017-05-11 한현관 수위조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경재배장치
KR20180052383A (ko) * 2016-11-10 2018-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및 블록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1809A (ja) * 1985-03-27 1986-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水量制御装置
JPH0777452A (ja) * 1993-06-28 1995-03-20 Mitsubishi Chem Corp 変位量測定装置及び無水式ガスホルダー用ピストンの傾斜測定装置
JPH09229531A (ja) * 1995-12-12 199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蔵庫用自動飲料補充装置
KR20000026204A (ko) * 1998-10-19 2000-05-15 김덕중 수위 조절장치
KR100912422B1 (ko) 2009-01-16 2009-08-14 정종덕 배관용 부유물 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049946B1 (ko) 2009-03-27 2011-07-20 최지영 전반사를 이용한 수위 조절 장치
KR20170050428A (ko) * 2015-10-30 2017-05-11 한현관 수위조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경재배장치
KR20180052383A (ko) * 2016-11-10 2018-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및 블록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0672B2 (en) Fluid sterilization apparatus
US6759671B2 (en) Method of measuring the movement of a material sheet and optical sensor for performing the method
US9541445B2 (en) Optical level sensor for reflective liquids
US9976724B2 (en) Lighting device construction
ATE533188T1 (de) Optische anordnung mit einem optischen element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KR102019343B1 (ko) 유체 공급장치
JP2005305815A (ja) 収容物検出装置、容器、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102565802A (zh) 反射型光电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102501444B1 (ko) 통합된 배플을 갖는 광 엔진 프레임
KR20070009078A (ko)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레벨 검지장치
US20020138996A1 (en) Laser beam irradiation device
JP2017111114A (ja) 多面測定レインセンサー
KR20190050692A (ko) 3d 프린터의 자동정렬시스템
KR102663215B1 (ko) 차량의 라이다 통합 램프 장치
KR101912708B1 (ko) 태양전지패널 표면 오염측정장치 및 오염을 측정하는 태양전지패널
CN112023073A (zh) 一种变角度杀菌灯及其控制方法
KR102044854B1 (ko) 광집적모듈 및 이를 적용한 3d 프린터
KR101907034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액체레벨 수위 센서
KR101821983B1 (ko) 근원거리 겸용 라이다
EP0448421B1 (fr) Dispositif de commande d'un robinet par détection optique
KR100781576B1 (ko) 경사 감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사 감지장치
JP2022057613A (ja) 液体残量検知装置
KR101262713B1 (ko) 원단의 라인검출센서
JP6810480B2 (ja) 水準器
JP2004198376A (ja) 液面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