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260B1 - A door of a cook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A door of a cook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60B1
KR102019260B1 KR1020130021912A KR20130021912A KR102019260B1 KR 102019260 B1 KR102019260 B1 KR 102019260B1 KR 1020130021912 A KR1020130021912 A KR 1020130021912A KR 20130021912 A KR20130021912 A KR 20130021912A KR 102019260 B1 KR102019260 B1 KR 10201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xhaust port
grill
door pan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7840A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60B1/en
Publication of KR2014010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8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기기의 도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는,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패널에 형성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에 위치되어, 상기 배기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1 차단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는, 도어 패널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 및 상기 공기 유로의 토출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그릴을 구비하는 그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릴 중 하나 이상의 그릴은,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차단부;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의 제조 방법은, 하나의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제 1 배출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출 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일부분의 양측 및 하측을 절개하여, 제 2 배출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개된 부분을 전방으로 절곡하여 제 1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과정을 통하여 마련된 그릴 유닛을 도어 패널에 형성되는 배기구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의 냉각 유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을 위하여 도어를 분해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f a cooking applian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door panel forming a front surface; A door frame forming a rear surface; An exhaust port formed in the door panel; A first guide part positioned in the exhaust port and guiding air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And a first block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guide portion to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or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oor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es an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a door panel and a door frame; And a grill unit provided at a discharge side of the air flow path, the grill unit having a plurality of grill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rills includes: a guide unit configured to gu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flow path; A block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guide part;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an extension part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a lower end of the inclined part.
According to an asp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es cutting a portion of one plate to form a first discharge hole; Cutting both sides and a lower side of the por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discharge hole to form a second discharge hole; Bending the cut portion forward to form a first guide portion; And arranging the grill unit provided through the process at an exhaust port formed in the do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oreign matters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oling passage of the door, hygiene may be kept clean.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to disassemble the door for clean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Description

조리 기기의 도어{A door of a cooking equipment}A door of a coo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조리 기기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f a cooking appliance.

조리 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 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The cooking apparatus is one of home appliances for cooking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Such cooking apparatuses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heat sources or types used and types of fuels used.

상기 조리 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 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조리 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상기 개방형 조리 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 밀폐형 조리 기기 및 개방형 조리 기기가 결합된 복합형 조리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When the cooking apparatu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cooking food, the cooking apparatus may be classified into an open type and an enclosed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pace in which the food is placed. The hermetic cooking device includes an oven, a microwave, and the like, and the open cooking device includes a cooktop, a hop, and the like. Recently, a hybrid cooking device in which the hermetic cooking device and the open cooking device are combined has been develop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89767호에는, 쿡탑부와, 오븐부를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 기기가 개시된다. 상기 문헌에는, 상기 오븐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공기 유로를 형성한 도어가 개시된다.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9767 discloses a hybri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cooktop part and an oven part. The document discloses a door in which an air flow path is formed to cool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oven portion.

종래의 조리 기기의 경우, 상기 쿡탑부에 놓인 조리 용기로부터 국물 등의 조리 대상이 넘쳐흐르게 될 경우, 상기 배출구로 조리대상이 흘러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세척을 위하여 상기 도어 전체를 분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ooking apparatus, when a cooking object such as soup overflows from the cooking vessel placed on the cooktop, the cooking object flows into the discharge port. In this case,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disassembling the entire door for cleaning.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냉각을 위한 공기 유로의 배출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그릴 유닛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도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grill unit which blocks foreign matters from entering an outlet of an air flow path for cooling the do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는, 조리 기기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배기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그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가 상기 도어 패널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구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고 상기 도어 패널의 전면 상측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그릴 유닛은 상기 배기구의 직후방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세워지고, 상기 그릴 유닛은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다수의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그릴 각각은,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공기 유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하단에서 상기 도어 패널 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패널 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경사부와 오버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l1)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경사부의 끝단까지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door panel for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an exhaust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door frame coupled to the door panel to form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a grill unit disposed inside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haust port, wherein the exhaust port has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air rising along the air flow path formed inside the door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door panel. It has a height and is vertically form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door panel, the grill unit is built in the interior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immediately after the exhaust port, the grill unit is spaced up and down spaced along the air flow path A plurality of grills for guiding rising air to the exhaust port, each of the plurality of grills including: a blocking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to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air passage through the exhaust port; A guide pa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part toward the door panel; An inclined port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door panel; And an extension part that is bent from the end of the inclination part toward the door frame and overlaps the inclination part, and the length l1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to the other end is the length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to the end of the inclination part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horter than l2).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의 냉각 유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oreign matters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oling passage of the door, hygiene may be kept clean.

또한, 세척을 위하여 도어를 분해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to disassemble the door for clean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릴 유닛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그릴 유닛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gril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gril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of an element means that the elem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에는 쿡탑 유닛(20), 오븐 유닛(30) 및 컨트롤 패널(50)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ooking applian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abinet 11 forming an appearance. In addition, the cabinet 11 may include a cooktop unit 20, an oven unit 30, and a control panel 50.

상기 쿡탑 유닛(20)은, 상기 캐비닛(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쿡탑 유닛(20)의 상면은 탑 플레이트(21)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1)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지지하는 그레이트(25)와, 공기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켜서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26)와, 상기 버너(26)의 조작을 위한 조작 노브(2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oktop unit 20 is provided above the cabinet 11. The top surface of the cooktop unit 20 is formed by the top plate 21. The top plate 21 includes a great 25 for supporting a container in which food is contained, a burner 26 for burning a mixed gas mixed with air to generate a flame for heating the food, and the burner 26. It may include an operation knob 27 for the operation of).

상기 오븐 유닛(30)은, 상기 쿡탑 유닛(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오븐 유닛(30)에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3)과, 상기 조리실(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 도어(1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리실(13)의 내부에는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가열원, 예를 들면, 브로일 버너, 베이크 버너 및 컨벡션 장치 중 적어도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oven unit 30 may be located below the cooktop unit 20. The oven unit 30 may include a cooking chamber 13 in which food is cooked and an oven door 10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13. Although not shown, a heating source for heating food, for example, a broil burner, a bake burner, and a convec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13.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캐비닛(1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쿡탑 유닛(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 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오븐 유닛(3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오븐 유닛(3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5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1. For example, the control panel 50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1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cooktop unit 20. The control panel 50 may receive a signal for operating the oven unit 30 and display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oven unit 30.

한편, 도시한 것과 달리, 상기 조작 노브(27)가 상기 컨트롤 패널(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50)이 상기 쿡 유닛(20)의 전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llustration, the control knob 27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50.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50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cook unit 2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100)는, 상기 도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110)과, 상기 도어 패널(110)에 구비되는 프론트 윈도우(120)와, 상기 도어 패널(110)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도어 핸들(130)과, 상기 도어(100)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140)과, 상기 도어 프레임(140)에 구비되는 리어 윈도우(160)와, 상기 도어(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그릴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110) 및 도어 프레임(140)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100)의 냉각을 위하여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기 유로(P)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oo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panel 110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door 100, and a front window 120 provided in the door panel 110. And a door handle 130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panel 110, a door frame 140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100, and a door frame 140. The rear window 160 may be included, and the grill unit 170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door 100. An air flow path P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formed between the door panel 110 and the door frame 140 to cool the door 100.

상기 도어 패널(110)은, 상기 도어(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도어(100)의 전면 및 외측 테두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패널(110)의 테두리부 내측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140)의 외측 테두리부가 삽입될 수 있다.The door panel 110 may form front and outer edge portions of the door 100 corresponding to portions of the door 100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door frame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edge portion of the door panel 110.

상기 도어 패널(110)은, 상기 도어 패널(110)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되는 제 1 투시 개구(111)와, 상기 공기 유로(P)의 입구측에 해당되는 흡기구(112)와, 상기 공기 유로(P)의 출구측에 해당되는 배기구(113)와,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를 고정하는 고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panel 110 includes a first see-through opening 111 that is opened at an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of the door panel 110, an intake port 112 corresponding to an inlet side of the air flow path P, and the air flow path. An exhaust port 113 corresponding to the outlet side of (P) and a fixing portion 115 for fixing the front window 120 may be included.

상기 제 1 투시 개구(111)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조리실(1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구멍이다.The first see-through opening 111 is a hole opened to allow a user to check the state of the cooking chamber 13 from the outside.

상기 흡기구(112)는 상기 도어 패널(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기구(112)는 상기 도어 패널(1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let 112 may be formed under the door panel 110. For example, the inlet 11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panel 110.

다만, 상기 흡기구(112)의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기구(112)는 상기 도어 패널(110)의 전면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과 달리 상기 도어 프레임(140)의 하측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흡기구(112)는 상기 도어 프레임(14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과 달리 상기 도어 패널(110)의 하측과 도어 프레임(140)의 하측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흡기구(112)는 상기 도어 패널(110)의 하측 및 상기 도어 프레임(140)의 하측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으로 규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흡기구(112)는 상기 도어(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However, the position of the inlet 112 is not limited. The inlet 112 may be formed under the front side of the door panel 110. In addition, unlike the draw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ame 14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inlet 112 may be provided below the door frame 140. In addition, unlike the drawing, when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110 and the lower side of the door frame 14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inlet 112 is the lower side of the door panel 110 and the door frame 140. It may be defined as a space spaced between the lower sides of the. That is, it is sufficient that the inlet 112 is provided below the door 110.

상기 배기구(113)는 상기 도어 패널(1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기구(113)는 상기 도어 패널(1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기구(113)의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기구(113)는 상기 도어 패널(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exhaust port 113 may be formed above the door panel 110. For example, the exhaust port 113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panel 11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exhaust port 113 is not limited, and the exhaust port 113 may be formed at the side of the door panel 110.

상기 고정부(115)는 상기 제 1 투시 개구(11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의 적어도 일측 테두리부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115)는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의 테두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 회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5)는 상기 도어 패널(110)과 일체이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도어 패널(110)에 고정될 수도 있다.The fixing part 11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perspective opening 111 and supports at least one side edge of the front window 120. The fixing part 115 may be bent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front window 120 can be inserted. The fixing part 115 may be integrated with the door panel 110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fixed to the door panel 110.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는, 상기 제 1 투시 개구(111)에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는 상기 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는 상기 조리실(13)의 열기가 상기 제 1 투시 개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는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3)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The front window 120 is provided in the first perspective opening 111. The front window 120 may be fixed to the fixing part 115. The front window 120 prevents the heat of the cooking chamber 13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perspective opening 111. The front window 1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Accordingly, the user may observe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3 through the front window 120.

상기 도어 핸들(130)은 상기 도어 패널(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00)가 상기 도어(100)의 하측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도어 핸들(130)은 상기 도어 패널(110)의 전면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핸들(130)은 상기 배기구(113)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door handl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panel 110. For example, when the door 100 is rotated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of the door 100, the door handl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door panel 110. For example, the door handle 130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exhaust port 113.

상기 도어 프레임(140)은, 상기 조리실(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수 회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140)은, 상기 도어 프레임(140)의 중앙에 개구되는 제 2 투시 개구(141)와, 상기 리어 윈도우(16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1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frame 140 may be bent a plurality of time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oking chamber 13. The door frame 140 may include a second perspective opening 141 that is opened at the center of the door frame 140, and a fixing frame 145 for fixing the rear window 160.

상기 제 2 투시 개구(141)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조리실(1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구멍이다. 상기 제 2 투시 개구(141)는 상기 제 1 투시 개구(111)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투시 개구(111)에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ee-through opening 141 is a hole opened to allow a user to check the state of the cooking chamber 13 from the outside. The second perspective opening 14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spective opening 111 or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spective opening 111.

상기 고정 프레임(145)은 상기 제 2 투시 개구(14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45)은 상기 리어 윈도우(16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외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다수 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45)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140)에 결합되거나, 상기 도어 프레임(14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fixing frame 145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erspective opening 141. The fixing frame 145 may be bent a plurality of times in a form recessed to the outside to fix the rear window 160. The fixing frame 145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door frame 140,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oor frame 140.

상기 리어 윈도우(160)는, 상기 제 2 투시 개구(141)에 구비된다. 상기 리어 윈도우(160)는 상기 고정 프레임(14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윈도우(160)는 상기 조리실(13)의 열기가 상기 제 2 투시 개구(141)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어 윈도우(160)는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 및 리어 윈도우(160)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3)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The rear window 160 is provided in the second see-through opening 141. The rear window 160 may be fixed to the fixed frame 145. The rear window 160 prevents the heat of the cooking chamber 13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perspective opening 141. The rear window 16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Accordingly, the user may observe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3 through the front window 120 and the rear window 160.

상기 그릴 유닛(170)는, 상기 그릴 유닛(170)은 상기 도어 패널(110) 및 도어 프레임(140)에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그릴 유닛(170)은 상기 도어(10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grill unit 170, the grill unit 170 may be located between the door panel 110 and the door frame 140. In other words, the grill unit 170 may be located inside the door 100.

상기 그릴 유닛(170)은, 상기 배기구(113)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고, 동시에 상기 배기구(113)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그릴 유닛(170)은, 복수의 그릴(180)(190)(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180)(190)(200)은 상기 배기구(113)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그릴(180)(190)(200)의 전면에는 상기 배기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180)(190)(200)은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제공되거나,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그릴(180)(190)(200)은 상기 도어(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grill unit 170 guides the air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13,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exhaust port 113. The grill unit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lls 180, 190, and 200. The grills 180, 190, and 200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port 113. In other words, the exhaust port 113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grills 180, 190, and 200. Each of the grills 180, 190, and 20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or may be provided in one piece. The grills 180, 190, and 200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door 100.

상기 그릴(180)(190)(200)은, 상기 그릴 유닛(17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그릴(180)과, 상기 그릴 유닛(17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3 그릴(200)과, 상기 제 1 그릴(180) 및 제 3 그릴(200)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그릴(1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과 달리 상기 제 2 그릴(19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제 2 그릴(190)은 하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grills 180, 190, and 200 may include a first grill 180 positioned above the grill unit 170 and a third grill 200 positioned below the grill unit 170. The second grill 19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rill 180 and the third grill 200. Unlike the drawing,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econd grills 190. Hereinafter, the case of one second grill 190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상기 제 1 그릴(180), 제 2 그릴(190) 및 제 3 그릴(200)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그릴(180), 제 2 그릴(190) 및 제 3 그릴(200)의 전단부는 상기 배기구(113)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구멍으로 구획할 수 있다.The first grille 180, the second grille 190, and the third grille 200 may be elong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front ends of the first grill 180, the second grill 190, and the third grill 200 may divide the exhaust port 113 into a plurality of holes that are form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제 1 그릴(180)은 상기 도어 패널(110)의 상측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그릴(180) 및 도어 패널(110)의 상측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 1 배출 홀(172a)이라고 할 수 있다.The first grill 180 may be spaced apart from an upper inner wall of the door panel 110.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grill 180 and the upper inner wall of the door panel 11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scharge hole 172a.

상기 제 2 그릴(190)은 상기 제 1 그릴(18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그릴(190) 및 제 1 그릴(18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 2 배출 홀(172b)이라고 할 수 있다.The second grill 19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ill 180.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grill 190 and the first grill 18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discharge hole 172b.

상기 제 3 그릴(200)은 상기 제 2 그릴(19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그릴(200) 및 제 2 그릴(19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 3 배출 홀(172c)이라고 할 수 있다.The third grill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ill 190.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hird grill 200 and the second grill 190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discharge hole 172c.

상기 제 1 배출 홀(172a), 제 2 배출 홀(172b) 및 제 3 배출 홀(172c)을 통칭하여 배출 홀(172)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그릴 유닛(170)은 상기 배출 홀(172)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hole 172a, the second discharge hole 172b, and the third discharge hole 172c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ischarge hole 172. The grill unit 170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discharge hole 172.

상기 그릴 유닛(170)의 하측에는 상기 흡기구(11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홀(171)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홀(171)은 제 3 그릴(200)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side of the grill unit 17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hole 171 for guiding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112. In detail, the guide hole 171 may be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third grill 200.

상기 그릴 유닛(170)은, 상기 도어 패널(11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174)와, 상기 도어 프레임(140)에 결합되는 제 2 연결부(175)와, 상기 그릴 유닛(17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연결부(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74)(175)(176)에 의하여, 상기 그릴 유닛(170)은 상기 도어(1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74)(175)(176)는 상기 도어(100)의 내면에 접착물질로 고정되거나, 나사 결합 또는 후크 결합 등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grill unit 17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174 coupled to the door panel 110,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75 coupled to the door frame 140, and an upper side of the grill unit 170.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necting portion 176 extending to. By the connecting parts 174, 175, and 176, the grill unit 170 may be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100. The connection parts 174, 175, and 176 may be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100 with an adhesive material, or may be detachably provided by screwing or hooking.

상기 제 1 연결부(174)는 상기 배기구(113)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도어 패널(110)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패널(110) 및 그릴 유닛(17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74 is positioned below the exhaust port 113 and is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panel 11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between the door panel 110 and the grill unit 170. do.

상기 제 2 연결부(175)는 상기 제 1 연결부(174)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기 공기 유로(P)를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연결부(175)의 하측 공간을 제 1 공간(S1)이라고 하고, 상기 제 2 연결부(175)의 상측 공간을 제 2 공간(S2)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171)은 상기 제 2 연결부(175)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75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174 and may partition the air flow path P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lower sp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75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space S1, and the upper sp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75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space S2. The guide hole 171 may be a ho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75.

상기 제 3 연결부(176)는 상기 제 1 그릴(180)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결부(176)는 상기 제 1 그릴(180), 제 2 그릴(190) 및 제 3 그릴(200)의 후측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그릴(180)의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그릴(180), 제 2 그릴(190) 및 제 3 그릴(200)은 상기 제 3 연결부(176)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제 3 연결부(176)는 상기 제 2 공간(S2)의 좌측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공간(S2)은, 상기 제 3 연결부(176), 상기 제 2 연결부(175) 및 상기 도어 프레임(140)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결부(176) 및 상기 도어 패널(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 3 공간(S3)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2 공간(S2)의 공기를 상기 제 3 공간(S3)으로 배출하는 상기 배출홀(17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76 may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rill 180.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76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ides of the first grill 180, the second grill 190, and the third grill 200, respectively, and may extend upward of the first grill 180. . In other words, the first grill 180, the second grill 190, and the third grill 200 may be connected by the third connector 176. Referring to FIG. 2, the third connection part 176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pace S2. In other words, the second space S2 may be defined as a space partitioned by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76,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75, and the door frame 140.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76 and the door panel 110 may be defined as a third space S3. The thir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the discharge hole 172 for discharging air in the second space S2 to the third space S3.

한편, 상기 도어 프레임(140)은, 상기 도어 프레임(140) 및 도어 패널(110)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 플레이트(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frame 140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on plate 147 provided between the door frame 140 and the door panel 110.

상기 단열 플레이트(147)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투시 개구(111) 및 제 2 투시 개구(141)에 대응되는 제 3 투시 개구(14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147)의 일측은 상기 도어 프레임(14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 패널(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147)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14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도어 프레임(14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A third perspective opening 148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spective opening 111 and the second perspective opening 14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eat insulation plate 147. One side of the heat insulation plate 147 may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140, and the other side thereof may be coupled to the door panel 110. Although the insulation plate 147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to the door frame 140, the insulation plate 14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oor frame 140.

상기 단열 플레이트(147)는 상기 도어 프레임(140) 및 도어 패널(110) 사이의 형성되는 공간을 두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열 플레이트(147) 및 도어 프레임(1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 1 단열 공간(149)으로 규정될 수 있다. The insulation plate 147 may separate a space formed between the door frame 140 and the door panel 110 into two spaces. In this case,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ion plate 147 and the door frame 140 may be defined as a first heat insulation space 149.

상기 제 1 단열 공간(149)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3)의 열기가 상기 도어 패널(110) 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heat of the cooking chamber 13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oor panel 110 by the first heat insulating space 149.

또 한편, 상기 프론트 윈도우(120) 및 리어 윈도우(160) 사이에는 이너 윈도우(150)가 개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145)은 상기 이너 윈도우(15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다수 회 절곡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ner window 15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window 120 and the rear window 160. In this case, the fixing frame 145 may be bent a plurality of times in a form recessed outward to fix the inner window 150.

상기 이너 윈도우(150)는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윈도우(150)는 상기 고정 프레임(145)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145), 이너 윈도우(150) 및 리어 윈도우(16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제 2 단열 공간(155)으로 규정할 수 있다.The inner window 15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The inner window 150 may be fixed to the fixed frame 145. In this case, the space formed by the fixed frame 145, the inner window 150, and the rear window 160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heat insulation space 155.

상기 제 2 단열 공간(155)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13)의 열기가 상기 도어 패널(110) 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second heat insulating space 155,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heat of the cooking chamber 13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oor panel 11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릴 유닛의 측면도이다. 3 is a side view of a gril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릴 유닛(170)은, 제 1 그릴(180), 제 2 그릴(190), 제 3 그릴(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grill unit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grill 180, a second grill 190, and a third grill (see FIG. 2).

그리고 상기 제 1 그릴(180)은, 상기 공기 유로(P)를 통과하여 상기 배기구(113)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82)와, 상기 가이드부(18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차단부(184)와, 상기 가이드부(182)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186)와, 상기 경사부(186)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10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88)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grill 180 includes a guide part 182 for guid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passage P and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13, and a block projecting upward from the guide part 182. A portion 184, an inclined portion 186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guide portion 182, and an extension portion 188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186 and extending into the door 100. ) May be included.

상기 제 2 그릴(190)은, 상기 제 1 그릴(180)과 마찬가지로, 가이드부(192)와, 차단부(194)와, 경사부(196)와, 연장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Like the first grill 180, the second grill 190 may include a guide part 192, a blocking part 194, an inclined part 196, and an extension part 198. .

상기 가이드부(182)는, 상기 배출홀(17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113)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18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기구(113)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상기 경사부(186)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부(182) 전체가 상기 배기구(113)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시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guide unit 182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172 to the exhaust port 113.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part 18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xhaust port 113.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186 may be referred to as the inclined portion 186. Of course, the entire guide portion 182 may be tilted downward toward the exhaust port 113.

상기 차단부(184)는 상기 배기구(113)를 통하여 유입되는 국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배출홀(17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차단부(184)는, 상기 가이드부(18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84)는 상기 가이드부(18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184 preven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up from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exhaust port 113 into the discharge hole 172. The blocking unit 184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unit 182. The blocking part 184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part 182.

상기 경사부(186)는, 상기 배기구(113)를 통하여 유입되는 국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배출홀(172)을 향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경사부(186)는, 상기 가이드부(182)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86)는 상기 가이드부(18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경사부(186)는, 상기 차단부(184)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경사부(186)는, 상기 가이드부(182)의 일부분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82)의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82)가 경사부(186)일 수도 있다.The inclined portion 186 prevents foreign matter, such as soup,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ort 113 from flowing toward the discharge hole 172. The inclined portion 186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ortion 182. The inclined portion 186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ortion 182. In other words, the inclined portion 186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locking portion 184.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portion 186 may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guide portion 182. When the whole of the guide part 182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guide part 182 may be an inclined part 186.

상기 연장부(188)는, 상기 경사부(186)의 하면을 따라서, 국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장부(188)는, 상기 경사부(186)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14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88)는 상기 가이드부(182)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차단부(184)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장부(188)의 일단은 상기 배기구(113) 상에 위치되고, 상기 연장부(188)의 타단은 상기 도어(10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188 prevent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up,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ation part 186. The extension 188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86 and may extend toward the door frame 140. The extension part 188 may overlap the guide part 18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not overlap the blocking part 184. One end of the extension 188 may be located on the exhaust port 113,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188 may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100.

또한, 상기 연장부(188)의 타단은, 상기 제 2 그릴(190)의 가이드부(192)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부(188)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l1)는, 상기 연장부(188)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배기홀(172)까지의 길이(l3)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88)는 상기 제 2 그릴(190)의 가이드부(192)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 2 그릴(190)의 차단부(194)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188 may overlap the guide portion 192 of the second grill 19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length l1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188 to the other end is shorter than the length l3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188 to the exhaust hole 172. The extension part 188 may overlap the guide part 192 of the second grill 19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not overlap the blocking part 194 of the second grill 190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경우, 상기 연장부(188)와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상기 연장부(188)를 따라 유입되는 국물 등의 이물질은, 상기 제 2 그릴(190)의 가이드부(192) 위에 낙하되므로, 상기 배기홀(17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In this case, foreign matter, such as soup, introduced along the extension part 188 by the surface tension with the extension part 188 falls on the guide part 192 of the second grill 190, so that the exhaust It does not flow into the hole 172.

더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188)의 타단은, 상기 제 2 그릴(190)의 경사부(196)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부(188)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l1)는, 상기 연장부(188)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경사부(186)의 끝단까지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188)를 따라 유입되는 국물 등의 이물질은, 상기 제 2 그릴(190)의 경사부(196) 위에 낙하되므로, 상기 제 2 그릴(190)의 경사부(196)를 따라서, 상기 배기구(113)로 토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188 may overlap the inclined portion 196 of the second grill 19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length l1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188 to the other end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2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188 to the end of the inclined part 186. . In this case, foreign matters, such as soup, introduced along the extension 188 fall on the inclined portion 196 of the second grill 190, and thus, the inclined portion 196 of the second grill 190 may be removed. Therefore, it may be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13.

상기 제 1 그릴(190)에 관한 설명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이상 상기 제 2 그릴(190)에 차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first grill 190 may be borrowed from the second grill 190 unless otherwise described.

상기 제 1 그릴(180)의 가이드부(182), 차단부(184), 경사부(186), 연장부(188)는, 각각 제 1 가이드부(182), 제 1 차단부(184), 제 1 경사부(186), 제 1 연장부(188)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2 그릴(190)의 가이드부(192), 차단부(194), 경사부(196), 연장부(198)는, 각각 제 2 가이드부(192), 제 2 차단부(194), 제 2 경사부(196), 제 2 연장부(198)라고 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182, the blocking part 184, the inclined part 186, and the extension part 188 of the first grill 180 are respectively the first guide part 182, the first blocking part 184,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inclined portion 186 and the first extended portion 188. The guide part 192, the blocking part 194, the inclined part 196, and the extension part 198 of the second grill 190 are respectively the second guide part 192, the second blocking part 194, I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inclined portion 196, a second extension portion 198.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그릴 유닛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grated gril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그릴 유닛(170)은, 상기 제 1 그릴(180)과, 제 2 그릴(190)과, 제 3 그릴(200, 도 2 참조)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릴 유닛(170)은, 상기 제 1 배출 홀(172a), 제 2 배출 홀(172b), 제 3 배출 홀(172c), 제 1 그릴(180), 제 2 그릴(190), 제 3 그릴(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integrated grill unit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ill 180, the second grill 190, and the third grill 200 (refer to FIG. 2) are integrated. Is formed. The grill unit 170 may include the first discharge hole 172a, the second discharge hole 172b, the third discharge hole 172c, the first grill 180, the second grill 190, and a third grill. 200 may be included.

먼저, 하나의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제 1 배출 홀(172a)을 형성할 수 있다. First, a portion of one plate may be cut to form the first discharge hole 172a.

상기 가이드부(182)는 상기 제 2 배출 홀(172b)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배출 홀(172a)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일부분의 양측 및 하측을 절개하여, 상기 제 2 배출 홀(172b)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된 부분을 전방으로 절곡하여, 상기 가이드부(182)를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182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as forming the second discharge hole 172b. Specifically, the second discharge hole 172b may be formed by cutting both sides and the lower side of a por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discharge hole 172a. The guide portion 182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cut portion forward.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82)의 일부를 하향 경사지게 절곡하여, 상기 경사부(186)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86)의 일부를 상기 제 2 배출 홀(172b)을 향하여 절곡시켜 상기 연장부(188)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부(188)는, 상기 가이드부(182)의 일부를 후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188)의 끝단은 상기 가이드부(182)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82 may be bent downwardly inclined to form the inclined portion 186. A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86 may be bent toward the second discharge hole 172b to form the extension 188. In other words, the extension part 188 may be understood to b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guide part 182 backward. At this time, the end of the extension 188 may overlap the guide portion 182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상기 제 1 배출 홀(172a) 및 제 2 배출 홀(172b)의 사이에 위치되는 절개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차단부(184)로 정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uncut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hole 172a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172b may be defined as the blocking part 184.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그릴(190)은, 상기 제 3 배출 홀(172c)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그릴(190)의 가이드부(192), 차단부(194), 경사부(196), 연장부(198)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그릴(180)의 가이드부(182), 차단부(184), 경사부(186), 연장부(188)를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Similarly, the second grill 190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third discharge hole 172c. The guide part 192, the blocking part 194, the inclined part 196, and the extension part 198 of the second grill 190 may be formed by the guide part 182 of the first grill 180. The blocking part 184, the inclined part 186, and the extension part 188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의 냉각 유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을 위하여 도어를 분해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oreign matters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oling passage of the door, hygiene may be kept clea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to disassemble the door for clean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o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not possible that are not illustrated abo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조리 기기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배기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그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가 상기 도어 패널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구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고 상기 도어 패널의 전면 상측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그릴 유닛은 상기 배기구의 직후방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세워지고,
상기 그릴 유닛은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로 안내하는 다수의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그릴 각각은,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공기 유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하단에서 상기 도어 패널 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패널 쪽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경사부와 오버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l1)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경사부의 끝단까지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도어.
In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A door panel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having an exhaust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door frame coupled to the door panel to form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A grill unit disposed inside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haust port,
The exhaust port is formed vertically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panel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so that the air rising along the air flow path formed inside the door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door panel,
The grill unit is built up inside the door corresponding to immediately after the exhaust port,
The grill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lls spaced up and down to guide the air rising along the air flow path to the exhaust port,
Each of the plurality of grills,
A blocking unit extending vertically to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air passage through the exhaust port;
A guide pa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part toward the door panel;
An inclined port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door panel; And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toward the door frame and overlapping the inclined portion,
The length (l1)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l2)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to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저면에는 흡기구가 형성되는 조리 기기의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inle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그릴들 중 어느 하나의 연장부와 다른 하나의 경사부는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nsion of any one of the grilles adjacen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inclined portion of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overlapp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유닛에는 배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 홀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그릴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grill unit,
The discharge hole is a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etween the adjacent grill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유닛은, 상기 도어 패널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도어 프레임에 접촉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ll un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in close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door panel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in contact with the door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21912A 2013-02-28 2013-02-28 A door of a cooking equipment KR1020192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12A KR102019260B1 (en) 2013-02-28 2013-02-28 A door of a cook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12A KR102019260B1 (en) 2013-02-28 2013-02-28 A door of a cook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40A KR20140107840A (en) 2014-09-05
KR102019260B1 true KR102019260B1 (en) 2019-09-06

Family

ID=5175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912A KR102019260B1 (en) 2013-02-28 2013-02-28 A door of a cook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07906A (en) * 2018-07-27 2020-02-16 日商夏普股份有限公司 Cook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7341A (en) 1959-05-21 1962-10-09 Tappan Co Built-in oven
US5819722A (en) 1993-07-22 1998-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Oven door construction
JP2009119943A (en) * 2007-11-13 2009-06-04 Kinki Sharyo Co Ltd Exhaust port structure for rolling sto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87285B (en) * 1985-07-15 1987-12-23 Zanussi Elettrodomestici DOOR FOR OVEN, IN PARTICULAR OF THE VENTILATED TYPE
JPH0654891U (en) * 1992-12-26 1994-07-26 積水ハウス株式会社 Building venti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7341A (en) 1959-05-21 1962-10-09 Tappan Co Built-in oven
US5819722A (en) 1993-07-22 1998-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Oven door construction
JP2009119943A (en) * 2007-11-13 2009-06-04 Kinki Sharyo Co Ltd Exhaust port structure for rolling st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40A (en)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903B2 (en) Oven door
KR101646399B1 (en) Over the range having function of air fri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466867B2 (en) Oven
US11846431B2 (en) Cooking apparatus
EP3680555B1 (en) Cooking appliance
CA2606955C (en) Doo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US11391468B2 (en) Cooking device
KR101276498B1 (en) Drawer unit and electric oven comprising the same
EP3438552B1 (en) Oven
KR102019260B1 (en) A door of a cooking equipment
JP6694583B2 (en) Toaster oven
KR101656571B1 (en) cooking appliance
EP2068083B1 (en) Heating unit of an oven
KR101686304B1 (en) Over the rang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605617B1 (en) Multi electric oven
KR101674293B1 (en) Cooking appliance
KR101645038B1 (en) A built-in type cooker
KR102403973B1 (en) Electric rice cooker having air discharging structure
KR101531061B1 (en) Oven range including a heat isolation means
KR101751059B1 (en) Built-in type gas oven range
EP4050265A1 (en) Cooking appliance
JP6697671B2 (en) Toaster oven
KR100551489B1 (en) Wall 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100816926B1 (en) A fixing structure of cavity for oven
KR20220101532A (en)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