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749B1 -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 Google Patents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749B1
KR102018749B1 KR1020160118199A KR20160118199A KR102018749B1 KR 102018749 B1 KR102018749 B1 KR 102018749B1 KR 1020160118199 A KR1020160118199 A KR 1020160118199A KR 20160118199 A KR20160118199 A KR 20160118199A KR 102018749 B1 KR102018749 B1 KR 10201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plate
heat exchanger
air inle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1129A (en
Inventor
케이이치 키무라
미츠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0/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25B2400/0751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the compressor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이니셜 코스트와 러닝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를 제공한다.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실내에 배치된 공조기(1)에 공급되는 열교환용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트펌프(2)를 구비한다. 히트펌프(2)가 실외에 설치된 복수의 실외측 유닛(4)과, 실내에 설치된 하나의 실내측 유닛(5)을 구비한다. 실내측 유닛(5)이 냉매와 열교환용 물을 열교환하는 실내측 열교환기(6)와, 송수펌프(7)를 구비한다. 실외측 유닛(4)이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측 열교환기(8)와, 압축기(9)를 구비한다.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또한 실외측 열교환기(8)와 압축기(9)와 실내측 열교환기(6)에 냉매가 순환하도록 설치된 냉매배관(10)과, 실내측 열교환기(6)와 송수펌프(7)와 공조기(1)에 열교환용 물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물 배관(11)을 구비한다. It provides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which can reduce initial cost and running cost.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is provided with a heat pump 2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or heat exchanger su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1 disposed indoors. The heat pump 2 includes a plurality of outdoor side units 4 installed outdoors and one indoor side unit 5 installed indoors. The indoor unit 5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6 for exchanging a refrigerant and water for heat exchange, and a water feed pump 7. The outdoor unit 4 is provided with an outdoor side heat exchanger 8 for exchanging outdoor air and a refrigerant, and a compressor 9.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lso includes a refrigerant pipe (10) install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a compressor (9),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6) for circulating refrigerant, an indoor heat exchanger (6), and a water pump. (7) and the air conditioner 1 are provided with the water piping 11 provided so that the water for heat exchange may circulate.

Description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본 발명은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공기조화시스템은 열교환용 물의 열에너지에 의해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공조하는 공조기와, 공조기에서 사용하여 설정 수온에서 벗어난 열교환용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공조기는 실내에 설치되고,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실외에 설치된다.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공기-냉매 열교환기와, 냉매와 열교환용 물을 열교환하는 냉매-물 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여 공기-냉매 열교환기 및 냉매-물 열교환기에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이것들을 케이스 내에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열교환용 물은 물 배관과 송수펌프에 의해 히트 펌프식 열원 장치와 공조기를 순환한다.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s an air conditioner that cools or heats air by heat energy of heat exchanger water, and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that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water outside the set water temperature by using the air conditioner. 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doors, and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is installed outdoors.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includes an air-refrigerant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outdoor air and a refrigerant, a refrigerant-wate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refrigerant and water for heat exchange,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to circulate the air-refrigerant heat exchanger and a refrigerant-water heat exchanger. A compressor is provided and these are integrally installed in a case. The water for heat exchange circulates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nd the air conditioner by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pump.

일본특허출원공개 2007-205605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205605

고층 건축물이나 대형 건축물에서는 긴 물 배관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니셜 코스트가 높아지고 송수펌프도 대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러닝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In high-rise buildings and large buildings, the initial cost is high because long water piping is required, and the running cost is high because the water pump needs large capacity.

또한,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의 압축기는 고장예방 등을 위해 소정 출력 이상이 아니면 운전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소정 출력인 최소한계출력은 대능력의 압축기가 될수록 커진다. 따라서 중간기 등과 같이 공조부하가 작은 경우 압축기가 능력 과다가 되어 쓸데없이 에너지를 소비한다. 게다가 연간에 걸쳐 생각하면 공조부하가 최대가 아닌 시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열원 장치가 낭비하는 에너지 소비량이 매우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compressor of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ressor cannot be operated unless 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output for preventing a failure. The minimum output, which is this predetermined output, becomes larger as a compressor with a large capacity becomes. Therefore, when the air conditioning load is small, such as the intermediate stage, the compressor is overcapable and consumes energy unnecessarily. In addition, if the year-to-year thinking, most of the time is not the maximum air conditioning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heat source device is very large.

또한, 히트 펌프식 열원 장치의 공기-냉매 열교환기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입구가 있지만 이 공기 입구는 실외에서 노출된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공기-냉매 열교환기에 대해 겨울철에는 결상되기 쉽고, 비바람의 직접 들이침이나 여름철의 직사 일광에 의해 열교환 능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air-refrigerant heat exchanger of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has an air inlet in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but since the air inlet is exposed as it is outdoors, it is easy to form an image in the winter for the air-refrigerant heat exchang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heat exchange capacity is reduced by direct sunlight or direct sunlight in summer.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외에 설치된 복수의 실외측 유닛과, 실내 또는 상기 실내 부근에 설치된 하나의 실내측 유닛을 갖고 있으며, 상기 실내측 유닛이 냉매와 열교환용 물을 열교환하는 실내측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용 물을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에 설치된 공조기에 이송하는 송수펌프를 갖고, 상기 실외측 유닛이 실외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측 열교환기와, 상기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에 이송하는 압축기를 갖는, 상기 공조기에 공급되는 열교환용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실외측 열교환기 및 압축기와 상기 하나의 실내측 유닛의 실내측 열교환기에 상기 냉매가 순환하도록 설치된 냉매배관과, 상기 하나의 실내측 유닛의 실내측 열교환기 및 상기 송수펌프와 상기 공조기에 상기 열교환용 물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물 배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e 1st example of this invention has a some outdoor side unit installed in the outdoor, and one indoor side unit installed in the room or the said vicinity, The said indoor An indoor side heat exchanger in which a side unit heat-exchanges refrigerant and water for heat exchange, and a water pump for transferring the heat exchange water to the indoor side heat exchanger and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room, wherein the outdoor side unit includes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 heat pump configured to adjust a temperature of water for heat exchanger su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the refrigerant,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transferring the refrigerant to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side heat exchanger.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compressor of the side unit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of the one indoor unit. The refrigerant pipe, the indoor heat exchanger of the one indoor unit, and the water pipe installed to circulate the water for the heat exchanger in the water pump and the air conditioner is the main feature.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실내측, 즉 실내측 유닛과 공조기 사이에만 물 배관을 설치하면 좋으므로 배관이 짧아도 되어 이니셜 코스트가 저렴해진다. 배관이 짧아지는 만큼 송수펌프의 능력이 작아져 러닝 코스트가 저렴해진다. 또한, 각 실외측 유닛이 압축기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한대의 압축기로 냉매를 한대의 실내측 유닛의 실내측 열교환기 각각에 이송하는 구성에 비해 한대 분의 압축기 능력을 복수의 압축기에 분담하여 부담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압축기의 최소한계출력이 작아도 된다. 따라서 공조부하가 작은 경우 압축기가 능력 과다해지지 않고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가 없어져 에너지 절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외측 열교환기에서 하나의 실내측 열교환기를 공용하고 있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코스트가 저렴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ter piping may be provided only on the indoor side, that is, between the indoor side unit and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piping may be short and the initial cost becomes low. The shorter the pipe, the smaller the capacity of the water pump, and the lower the running cost. Moreover, each outdoor side unit is equipped with the compressor. Therefore,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transfers a refrigerant | coolant to each indoor side heat exchanger of one indoor unit with one compressor, 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allocates one compressor capacity to several compressor and bears. Therefore, the minimum system output of each compressor may be small. Therefore, when the air conditioning load is small, the compressor is not overpowered and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is eliminated, thereby improving energy saving.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outdoor side heat exchangers share a single indoor side heat exchanger,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cost is low. Therefore,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initial cost and running cost.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1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공조부하의 증감에 따라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의 시동과 정지를 전환하고 또한 출력을 증감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상기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시동시켜 출력을 증가 조절하는 경우, 시동이 앞선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시동이 늦은 상기 압축기의 시동시에, 그 시동이 늦은 압축기의 시동시의 출력분만큼 낮추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상기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 출력을 감소 조절하는 경우, 정지가 늦은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정지가 앞선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그 정지가 앞선 압축기의 정지시 직전의 출력분만큼 높이도록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switches the start and stop of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ir conditioning load and increases or decreases the output. And a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power, and when the control device sequentially starts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to increase and adjust the output,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prior to start-up is started. At the same time, the start of the compressor is controlled to be lowered by the output of the late compressor, and the outputs of the late compressor are stopped when the output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is sequentially stopped to decrease the output. When the compressor stops before the stop, the configuration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top is as high as the output immediately before the stop of the preceding compressor.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압축기의 출력 증감을 상쇄시켜 오버슈트와 언더슈트를 제거함으로써 열교환용 물의 온도 조절 과부족이 없어진다. 따라서 공조기에 온도 불균일이 없는 열교환용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쾌적 공조를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utput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plurality of compressors is canceled to eliminate the overshoot and the undershoot, thereby eliminating the lack of temperature control of the water for heat exchan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for heat exchange without temperature unevenness to the air condition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1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유닛의 상기 압축기마다 최소한계출력을 다르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inimum output is different for each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또한,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2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유닛의 상기 압축기마다 최소한계출력을 다르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inimum output is different for each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xample.

상기 구성에 따르면, 압축기마다 최소한계출력을 다르게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예를 들면 최소한계출력값 6과 4) 각 최소한계출력이 같은 구성의 경우(예를 들면 최소한계출력값 5와 5)에 비해 더 작은 최소한계출력의 제어(예를 들면 최소한계출력값 5보다 작은 4)가 가능해져 공조부하의 더욱더 넓은 변동폭에 대응하여 쾌적성과 에너지 절약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minimum output is different for each compressor (e.g., minimum output values of 6 and 4), each minimum output is smaller than the same configuration (e.g., minimum output values of 5 and 5).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inimum output (for example, 4 less than the minimum output value of 5), thereby ensuring comfort and energy saving in response to the wider fluctuation range of the air conditioning load.

본 발명의 제5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2 예 내지 제4 예 중 한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의 시동 또는 정지 순서를 다르게 한 복수의 운전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시동 또는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In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one of the second to fourth examples, the control device is a starting or stopping sequence of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to start or stop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by a plurality of operation patterns having different values.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압축기의 시동/정지 치우침을 줄여서 일부의 압축기만을 지나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공조기의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Life cycle cost)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운전패턴을 전환하기만 해도 좋으므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타이머 등 쓸데없는 기기가 불필요하고 코스트다운으로 이어진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fe cycle cost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start / stop bias of the plurality of compressors so as not to use only a part of the compressors excessivel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operation pattern by the control software, which can be easily performed, and unnecessary equipment such as a timer is unnecessary and leads to cost down.

본 발명의 제6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2 예 내지 제 4 예 중 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 각각의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이 적은 상기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우선적으로 시동시키는 동시에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이 많은 상기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우선적으로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In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of the second to fourth examples, the control device may have a total starting number or total operating time of each of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Is configured to start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having a low total startup number or total operating time by comparing the magnitudes of the two and to stop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having a high total startup number or a total operating time preferentially. It may be.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압축기의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 치우침을 제거하여 모든 압축기의 사용빈도 또는 사용시간을 균일화할 수 있으며 공조기의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의 대폭적인 절감으로 이어진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eliminating the total start-up frequency or the total operating time bias of a plurality of compressors, it is possible to equalize the use frequency or use time of all the compressors, leading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ife cycle cost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제7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5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실외측 유닛의 실외측 열교환기의 디프로스트(defrost)가 필요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시동 또는 정지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fth example, when the control device needs to defrost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the outdoor unit. The configuration may be controlled so as not to start or stop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sequentially.

또한, 본 발명의 제8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6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실외측 유닛의 실외측 열교환기의 디프로스트가 필요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시동 또는 정지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ixth example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device needs to defrost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the outdoor unit. The constitution may be controlled so as not to start or stop the compressor of the side unit sequentially.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실외측 유닛의 실외측 열교환기의 디프로스트 때에는 복수의 압축기가 모두 동시에 정지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난방운전이 중단되지 않고 불쾌하게 되지 않는다. 또한, 개별로 히터 등 쓸데없는 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plurality of compressors are not all stoppe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defros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the outdoor unit, the heating operation is not interrupted and it is not unpleasant.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nstall unnecessary devices such as heaters.

본 발명의 제9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1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는 면형의 공기 입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와 상기 공기 입구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고 있으며, 상기 실외측 유닛은, 상기 공기 입구가 차단되도록 또한 상기 실외 공기를 상기 공기 입구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된 정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류 부재가 상기 공기 입구에 대해 거리를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In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nin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has a planar air inlet and is introduced from the refrigerant of the heat pump and the air inlet. Heat-exchanging air, and the outdoor unit further includes a rectifying member installed to block the air inlet and to introduce the outdoor air into the air inlet, the rectifying member being spaced from the air inlet. The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the plate provided so that it may oppose.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정류 부재의 플레이트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의 공기 입구가 실외에서 노출된 상태 그대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겨울철의 실외측 열교환기에 대한 결상을 억제하고 비바람의 직접 들이침이나 여름철의 직사일광에 의한 열교환능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plate of the rectifying memb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in the winter season and to directly invade the weather or direct sunlight in the summ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crease in heat exchange capacity.

본 발명의 제10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1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는 면형의 공기 입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와 상기 공기 입구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고 있으며, 상기 실외측 유닛은, 상기 공기 입구가 차단되도록 또한 상기 실외 공기를 분류시켜 상기 공기 입구의 전역으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된 정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류 부재가 상기 공기 입구에 대해 거리를 두고 대향하고 또한 상기 공기 입구를 따라 인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입구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와, 서로 인접한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를 통해서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공기 입구로 유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In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ten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the outdoor heat exchanger has a planar air inlet and is introduced from the refrigerant of the heat pump and the air inlet. Heat-exchanging air, and the outdoor unit further includes a rectifying member provided to block the air inlet and to classify the outdoor air and flow it into the entire area of the air inlet, and the rectify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a plurality of plates facing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djacent to the air inlet, wherein the outdoor air is formed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plate and a gap formed between the adjacent plates. The plate may be arranged so as to flow into the air inlet.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정류 부재의 플레이트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의 공기 입구를 차단하면서 실외 공기를 공기 입구의 전역으로 유입시키므로 실외측 열교환기에 대한 결상 억제와 열교환능력의 감소 방지효과가 유지되면서 열교환 불균일이 없어져 열교환효율이 향상된다. 게다가 플레이트를 설치할 뿐인 단순 구조이므로 제조 코스트가 저렴해진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entire area of the air inlet while blocking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by the plate of the rectifying member, the heat exchange non-uniformity is maintained while the effect of suppressing image formation and preventing heat exchange capacity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is maintained. This eliminate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due to the simple structure of installing only plates.

본 발명의 제11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10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중 한쪽 플레이트와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공기 입구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에, 다른 쪽 플레이트의, 그 한쪽 플레이트 측 단부가 상기 한쪽 플레이트 및 상기 공기 입구 각각에 대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an eleven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pace according to the tenth example, wherein a gap is formed between one of a plurality of plates constituting the rectifying member and an air in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In the part, the one plate side end part of the other plate may be arrange |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each of the said one plate and the said air inlet.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한쪽 플레이트의 단부와 공기 입구의 간격부를 통과한 실외 공기와, 한쪽 플레이트의 단부와 다른 쪽 플레이트의 단부의 간격부를 통과한 실외 공기가 합류하여 난류를 일으키면서 실외측 열교환기의 공기 입구로 유입되므로 실외측 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는 실외 공기가 감소하여 열교환 효율이 높아진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end of one plate and the air inlet and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end of one plate and the end of the other plate cause turbulence to generate turbulent flow. Since it enters the air inlet, the outdoor air bypass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heat exchange efficiency.

본 발명의 제12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10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상기 공기 입구로 유입시키는 팬을 구비하며, 상기 정류 부재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서는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팬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면적비율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 6:4 ~ 7:3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공기 입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상기 팬에서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도록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a twelf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for introducing the outdoor air into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enth example. And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where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disposed such that the second plate is farther from the fan tha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area ratio of the two plate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 6: 4 to 7: 3, and the gap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air inlet and the second plate is far from the fan. The configuration may be arranged so as to widen depending on the.

또한, 본 발명의 제13 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상기한 제11 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상기 공기 입구로 유입시키는 팬을 구비하며, 상기 정류 부재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서는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팬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면적비율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 6:4 ~ 7:3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공기 입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상기 팬에서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도록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Further,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for introducing the outdoor air into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leventh example. The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and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second plate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fan tha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plate and The area ratio of the second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 6: 4 to 7: 3, and the gap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second plate is the fan. The configuration may be arranged to be wider as it moves away from.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면적비율이 6:4 ~ 7:3이기 때문에 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공기 입구의 중앙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기 쉽다. 또한, 플레이트와 실외측 열교환기의 공기 입구의 간격이 팬에서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므로 공기 입구의 중앙부에 실외 공기가 유입되기 쉽다. 이러한 상승효과로 실외측 열교환기의 공기 입구 전역의 풍량 분포가 균등화되어 열교환 효율 및 능력이 확실하게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area ratio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6: 4 to 7: 3, outdoor air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center portion of the air inlet even at a distance from the fan.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plate and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is widened as the distance from the fan increases, so that outdoor air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center of the air inlet. This synergistic effect equalizes the distribution of air volume throughout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which reliably improves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capacity.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이니셜 코스트 및 러닝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initial cost and running cost can be reduced as described above.

도 1은 빌딩 공조에 본 발명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외측 열교환기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4는 실내측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공조용 열교환기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6a는 압축기의 제어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압축기의 제어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외측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정류 부재의 구성을 변경한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정류 부재와 실외측 열교환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정류 부재의 구성을 변경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정류 부재의 구성을 변경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example using this invention for building air conditioning.
2 is a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of an outdoor side heat exchang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side heat exchanger.
5 is a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of an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control example of a compressor.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control example of a compressor.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outdoor unit.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mbodiment of FIG. 7.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rectifying member is changed.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mbodiment of FIG. 9.
FIG.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rectifying memb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FIG. 9.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rectifying member is changed.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rectifying member is chang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공조기(1)에 공급되는 열교환용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트펌프(2)와, 냉매공급관 및 냉매복귀관을 갖는 냉매배관(10)과, 물공급관 및 물복귀관을 갖는 물 배관(11), 제어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히트펌프(2)는 실외에 설치된 복수의 실외측 유닛(4)과, 실내 또는 실내 부근에 설치된 하나의 실내측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하나의 실내측 유닛(5)과 두 개의 실외측 유닛(4)을 세트로 하며, 3층 빌딩의 각 층마다 실내측 유닛(5)을 설치하고 옥상에 실외측 유닛(4)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실내측 유닛(5)은 실내의 기계실이나 베란다나 발코니 등 실내 부근에 설치된다. 1 and 2 show one embodiment of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includes a heat pump (2)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heat exchange water supplied to an air conditioner (1) installed indoors, a refrigerant pipe (10) having a refrigerant supply pipe and a refrigerant return pipe, a water supply pipe, and water The water piping 11 and the control apparatus 3 which have a return pipe are provided. The heat pump 2 includes a plurality of outdoor side units 4 installed outdoors and one indoor side unit 5 installed indoors or near the indoors. 1 is a set of one indoor unit 5 and two outdoor unit 4, the indoor unit 5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three-story building and the outdoor unit 4 on the roof. The installed example is shown. The indoor unit 5 is installed near a room such as an indoor machine room, a veranda or a balcony.

실내측 유닛(5)은 히트펌프(2)의 냉매와 열교환용 물을 열교환하는 실내측 열교환기(6)와, 열교환용 물을 실내측 열교환기(6) 및 공조기(1)에 이송하는 송수펌프(7)를 구비하고 있다. 실외측 유닛(4)은 실외 공기와 히트펌프(2)의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측 열교환기(8)와, 냉매를 압축하여 실외측 열교환기(8) 및 실내측 열교환기(6)에 이송하는 압축기(9)와, 팬(16)을 구비하고 있다. 공조기(1)는 공조용 공기와 열교환용 물을 열교환하는 공조용 열교환기(18)와, 팬(21)을 구비하고 있다. The indoor unit 5 is an indoor heat exchanger 6 for exchanging heat exchange water with the refrigerant of the heat pump 2, and water supply for transferring the heat exchange water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6 and the air conditioner 1. The pump 7 is provided. The outdoor unit (4) is an outdoor heat exchanger (8)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of the heat pump (2),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to be transferr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6). The compressor 9 and the fan 16 are provided. The air conditioner 1 is equipped with the air-conditioning heat exchanger 18 which heat-exchanges the air for air conditioning and water for heat exchange, and the fan 21.

냉매배관(10)은 복수의 실외측 유닛(4)의 실외측 열교환기(8) 및 압축기(9)와 하나의 실내측 열교환기(6)에 냉매가 순환하도록 설치된다. 물 배관(11)은 하나의 실내측 유닛(5)의 실내측 열교환기(6) 및 송수펌프(7)와 공조기(1)의 공조용 열교환기(18)에 열교환용 물이 순환하도록 설치된다. 냉매배관(10)과 물 배관(11)과 실내측 열교환기(6)는 하나의 실내측 유닛(5)의 실내측 열교환기(6)의 내부에서 열교환용 물과 복수의 실내측 유닛(4)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하도록 구성된다. The refrigerant pipe 10 is installed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in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8 and the compressor 9 and the one indoor side heat exchanger 6 of the plurality of outdoor side units 4. The water pipe 11 is installed to circulate water for heat exchange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6 and the water supply pump 7 and the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18 of the air conditioner 1 of the indoor unit 5. . The refrigerant pipe 10, the water pipe 11, and the indoor side heat exchanger 6 include water for heat exchange and a plurality of indoor side units 4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6 of one indoor unit 5. Refrigerants are configured to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히트펌프(2)는 순환냉매에 대해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공정 순서를 반복하고, 이 순환냉매와 열교환하는 공기나 물 등에 대해 냉매증발공정에서 흡열을 냉매응축공정에서 방열을 각각 하는 것이다. 히트펌프(2)는 순환냉매의 증발공정 및 응축공정인 서로 다른 공정을 담당하는 실외측 열교환기(8) 및 실내측 열교환기(6)와, 압축기(9)와, 순환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등의 감압기구(12)와, 실외측 열교환기(8) 및 실내측 열교환기(6)의 증발공정과 응축공정을 전환하기 위해 예를 들어 밸브 등으로 구성되는 전환 기구(13)를 적어도 구비하며, 이들 각부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배관 연결하여 구성된다. The heat pump 2 repeats the process sequence of compression / condensation / expansion / evaporation for the circulating refrigerant, and dissipates heat in the refrigerant condensation step for the endothermic heat in the refrigerant evaporation step for air or water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circulating refrigerant. . The heat pump 2 has an outdoor heat exchanger 8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6, a compressor 9, and an expansion to expand the circulating refrigerant, which are in charge of different processes such as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circulating refrigerant. In order to switch the evaporation process and the condensation process of the pressure-reduction mechanism 12, such as a valve,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6, at least the switching mechanism 13 comprised from a valve etc. is carried out at least. It is provided, and each of these parts is configured by pipe connection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측 열교환기(8)는 일반적인 플레이트 핀 코일처럼 전열판(14)에 전열관(15)을 삽입 고정하여 구성된다. 압축기(9)에서 전열관(15)의 내부로 냉매를 흐르게 하고, 팬(16)으로 전열관(15) 및 전열판(14)에 실외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전열관(15) 및 전열판(14)을 통해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한다. 2 and 3,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is configur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heat transfer pipe 15 to the heat transfer plate 14 like a general plate fin coil. The refrigerant 9 flows into the heat pipe 15 from the compressor 9 and the outdoor air is contacted with the heat pipe 15 and the heat plate 14 by contacting the outdoor air to the heat pipe 15 and the heat plate 14 with the fan 16.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측 열교환기(6)는 일반적인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처럼 내부를 복수의 전열판(17)으로 구획하여 구성된다. 요컨대 압축기(9)와 송수펌프(7)에서 송출된, 열교환용 물과 냉매의 흐름이 교호하도록 전열판(17)을 배치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이 전열판(17)을 통해 열교환용 물과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실내측 열교환기(6)는 열교환용 물이 흐르는 유로를 냉매가 흐르는 유로에 의해 끼워 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and Fig. 4, the indoor side heat exchanger 6 is configured by dividing the interior into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lates 17 like a general plate heat exchanger. In other words, the heat exchanger plate 17 is arranged to alternate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r water and the coolant, which is sent out from the compressor 9 and the water pump 7, and forms a flow path between the water and the heat exchanger through the heat transfer plate 17. Heat exchange at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indoor side heat exchanger 6 is comprised so that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ter for heat exchange may flow may be inserted by the flow path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도 2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용 열교환기(18)는 일반적인 플레이트 핀 코일처럼 전열판(19)에 전열관(20)을 삽입 고정하여 구성된다. 송수펌프(17)에서 전열관(20)의 내부로 열교환용 물을 흐르게 하고, 팬(21)으로 전열관(20) 및 전열판(19)에 공조용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전열관(20) 및 전열판(19)을 통해 공조용 공기와 열교환용 물을 열교환한다. 공조기(1)에 받아들인 공조용 공기는 공조용 열교환기(18)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되어 피공조 공간으로 급기된다. As shown in Fig. 2 and 5, the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18 is configur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heat pipe 20 to the heat transfer plate 19 like a general plate fin coil. The heat exchange water flows from the water supply pump 17 to the inside of the heat transfer tube 20, and the heat exchanger tube 20 and the heat transfer plate 19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tube 20 and the heat transfer plate 19 by the fan 21. Heat exchange the air for air conditioning and water for heat exchange. Air-conditioning air taken into the air conditioner 1 becomes cold air or warm air in the air-conditioning heat exchanger 18, and is supplied to the air-conditioning space.

제어 장치(3)는 공조부하의 증감에 따라 복수의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의 시동과 정지를 전환하고 또한 출력을 증감 조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압축기(9) 중 앞서 시동하거나 정지하는 압축기(9)를 압축기(9a)라고 칭하고, 시동 또는 정지가 압축기(9a)보다 늦은 압축기(9)를 압축기(9b)라고 칭하며 양자를 구별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3)는 복수의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를 순차적으로 시동시켜 출력을 증가 조절하는 경우, 시동이 앞선 압축기(9a)의 출력을, 시동이 늦은 압축기(9b)의 시동시에, 그 압축기(9b)의 시동시의 출력분만큼 낮추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device 3 switches start and stop of the compressor 9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4 and increases or decreases the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ir conditioning loa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ressor 9 that starts or stops earlier among the plurality of compressors 9 is called the compressor 9a, and the compressor 9 whose start or stop is later than the compressor 9a is called the compressor 9b. Distinguish between them. As shown in FIG. 6A, when the control device 3 sequentially starts up the compressors 9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4 and increases and regulates the output, the control device 3 starts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9a that has been started. At the time of starting this late compressor 9b, it controls so that the output may be lowered by the output at the time of the start of the compressor 9b.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3)는 복수의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 출력을 감소 조절하는 경우, 정지가 늦은 압축기(9b)의 압축기(9b)의 출력을, 정지가 앞선 압축기(9a)의 정지시에, 그 압축기(9a)의 정지직전시의 출력분만큼 높이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3)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각종 센서 등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압축기(9)는 고장예방 등을 위해 소정 출력 이상이 아니면 시동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소정 출력인 최소한계출력은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마다 다르게 하거나 같게 설정하거나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기(9)마다 최소한계출력을 다르게 한 구성의 경우(예를 들어 제1 압축기의 최소한계출력값을 6으로 하고 제2 압축기의 최소한계출력값을 4로 했을 경우), 각 압축기(9)의 최소한계출력이 같을 경우(예를 들어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의 최소한계출력값을 다같이 5로 했을 경우)에 비해 더 작은 최소한계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전자의 경우는 최소한계출력값 5보다 작은 최소한계출력값 4에 의한 출력 제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공조부하의 더욱더 넓은 변동폭에 대응하여 쾌적성과 에너지 절약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when the control device 3 sequentially stops the compressors 9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4 to decrease and adjust the output, the control unit 3 of the compressor 9b having a slow stop ( The output of 9b) is controlled to be increased by the output just before stopping of the compressor 9a when the compressor 9a stops. In addition, the control apparatus 3 may be comprised with a microprocessor, various sensors, etc. FIG. The compressor 9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ressor 9 cannot be started unless it exceeds a predetermined output for preventing a failure. The minimum output, which is the predetermined output, can be set differently or equally for each compressor 9 of the outdoor unit 4.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minimum output is different for each compressor 9 (for example, when the minimum output value of the first compressor is 6 and the minimum output value of the second compressor is 4), each compressor ( It becomes possible to control with a smaller minimum outpu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inimum output of 9) is the same (for example, when the minimum output values of the first compressor and the second compressor are set to 5 together). That is, in the former case, output control by the minimum output value 4 smaller than the minimum output value 5 becomes possible. Therefore, the comfort and energy saving can be reliably guaranteed in response to the wider fluctuation range of the air conditioning load.

제어 장치(3)는 복수의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의 시동 또는 정지의 순서를 다르게 한 복수의 운전 패턴에 의해 복수의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를 시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복수의 압축기(9)의 시동/정지의 치우침을 줄이고 일부의 압축기만을 지나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공조기(1)의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Life cycle cost)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패턴의 전환은 제어 장치(3)가 운전패턴을 규정한 제어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타이머 등 쓸데없는 기기가 불필요하고 코스트다운으로 이어진다. 또는 제어 장치(3)는 복수의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 각각의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이 적은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를 우선적으로 시동시키는 동시에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이 많은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를 우선적으로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복수의 압축기(9)의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의 치우침을 제거하여 모든 압축기(9)의 사용빈도 또는 사용시간을 균일화할 수 있으며 공조기(1)의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의 대폭 절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제어 장치(3)는 실외측 유닛(4)의 실외측 열교환기(8)의 디프로스트가 필요할 때에는 복수의 실외측 유닛(4)의 압축기(9)를 순차적으로 시동 또는 정지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 예를 들면 실외측 유닛(4)의 실외측 열교환기(9)의 디프로스트시에 있어서 복수의 압축기(9)가 모두 동시에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난방운전이 중단되어 실내에 있는 사람이 불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난방운전 정지시에 작동시키는 히터 등 쓸데없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도 없다. The control device 3 starts the compressors 9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4 by a plurality of operation patterns in which the order of starting or stopping the compressor 9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4 is changed. Or control to stop. In such a configuration, the life cycle cost of the air conditioner 1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bias of the start / stop of the plurality of compressors 9 and by not using only a part of the compressors excessively. For example, the switching of the driving pattern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3 reading out and executing the program of the control software that defines the driving pattern, and unnecessary equipment such as a timer is unnecessary and leads to cost down. Alternatively, the control device 3 compares the total number of start-up times or the total operation time of each of the compressors 9 of the plurality of outdoor-side units 4 to determine the total number of start-up times or the total operation time of the outdoor-side unit 4.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the compressor 9 is started first, and the compressor 9 of the outdoor unit 4 having a large total number of startups or a total operating time is preferentially stopped. In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qualize the frequency of use or the use time of all the compressors 9 by eliminating the bias of the total number of startups or the total operating time of the plurality of compressors 9, This leads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3 controls so as not to start or stop the compressors 9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4 sequentially when defrost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of the outdoor unit 4 is necessary. The configuration may be. In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urality of compressors 9 from all stopping at the same time wh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9 of the outdoor unit 4 is defrosted. Therefore, in the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ing in the room from being offended by a person in the room.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an unnecessary device such as a heater to operate when the heating operation is stopped.

도 7과 도 8은 실외측 유닛(4)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실외측 유닛(4)은 케이스(35), 히트펌프(2)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기, 팬(16), 및 정류 부재(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그리고 케이스(35) 내에는 히트펌프(2)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기인 실외측 열교환기(8), 압축기(9), 감압 기구(12) 및 전환 기구(13)가 설치된다. 정류 부재(31)는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가 차단되도록 또한, 실외 공기를 공기 입구(32)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된다. 정류 부재(31)는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에 대해 거리를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 평판형 플레이트(33)를 구비한다. 따라서 정류 부재(31)의 플레이트(33)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가 실외에서 노출된 상태 그대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겨울철의 실외측 열교환기(8)에 대한 결상을 억제하여 비바람의 직접 들이침이나 여름철의 직사 일광에 의한 열교환능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 이후의 각 도면에 있어서, 플레이트(33)와 실외측 열교환기(8)를 지나가는 파선 화살표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7 and 8 show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outdoor unit 4. The outdoor unit 4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se 35, a device constituting a part of the heat pump 2, a fan 16, and a rectifying member 31. In the case 35, an outdoor heat exchanger 8, a compressor 9, a pressure reduction mechanism 12, and a switching mechanism 13, which are devices that constitute a part of the heat pump 2, are provided. The rectifying member 31 is installed so that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8 is blocked and also introduces outdoor air into the air inlet 32. The rectifying member 31 has a flat plate 33 which is provided to face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at a distance. Therefore, since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plate 33 of the rectifying member 31, the imaging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in winter is prevented. By suppress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heat exchange capacity due to direct invasion of rainstorm or direct sunlight in summer. In addition, in each figure after FIG. 7, the broken line arrow which passes through the plate 33 and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8 shows the direction through which air flows.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류 부재(31)의 구성을 변경시킨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정류 부재(31)는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가 차단되도록 또한 실외 공기를 분류시켜 공기 입구(32)의 외부에서 중앙부에 이르는 전역으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된다. 정류 부재(31)는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에 대해 거리를 두고 대향하고 또한 공기 입구(32)를 따라, 인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평판형 플레이트(33)를 구비한다. 각 플레이트(33)는 공기 입구(32)와 플레이트(33)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와, 서로 인접한 플레이트(33)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를 통해서 실외 공기가 공기 입구(32)로 유입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정류 부재(31)의 플레이트(33)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를 차단하면서 실외 공기를 공기 입구의 전역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실외측 열교환기(8)의 결상억제와 열교환능력의 감소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불균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실외측 열교환기(8)의 열교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정류 부재(31)는 플레이트(33)를 설치할 뿐인 단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가 저렴하다. 9 to 11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rectifying member 31 is changed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rectifying member 31 is provided so that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is blocked and the outdoor air is separated and introduced into the whole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air inlet 32 to the center portion. The rectifying member 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at plate plates 33 facing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and along the air inlet 32. Each plate 33 is arranged such that outdoor air enters the air inlet 32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32 and the plate 33 and a gap formed between the plates 33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ly,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entire air inlet while blocking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by the plate 33 of the rectifying member 3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phase loss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and reducing the heat exchange capacity. In addition, since the heat exchange unevenness is eliminated, the heat exchange ability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can be improved. Furthermore, since the rectifying member 31 is a simple structure which only installs the plate 33, manufacturing cost is low.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33)(제1 플레이트(33a),제2 플레이트(33b)) 중 제1 플레이트(33a)와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에, 제2 플레이트(33b)의 제1 플레이트(33a) 측 단부가 제1 플레이트(33a) 및 공기 입구(32) 각각에 대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1 플레이트(33a)와 공기 입구(32)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를 통과한 실외 공기와, 제1 플레이트(33a)와 제2 플레이트(33b) 사이의 간격부 또는 제2 플레이트(33b)와 공기 입구(32) 사이의 간격부를 통과한 실외 공기가 합류하여 난류를 일으키면서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로 유입된다. 따라서 실외측 열교환기(8)를 바이패스(우회)하는 실외 공기가 감소하여 열교환능률이 높아진다. 9 to 11, the air inlet of the first plate 33a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of the plurality of plates 33 (the first plate 33a and the second plate 33b) ( At the gap formed between the 32 portions,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plate 33a side of the second plate 33b are dispos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plate 33a and the air inlet 32. And as shown in FIG. 11, the outdoor air which passed through the space | interval formed between this 1st plate 33a and the air inlet 32, and the space | interval part between the 1st plate 33a and the 2nd plate 33b, or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cond plate 33b and the air inlet 32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while causing turbulence. Therefore, the outdoor air bypassing the bypass of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8 is reduced,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ncreased.

팬(16)은 실외 공기를 플레이트(33) 측에서 실외측 열교환기(8)로 유입시키도록 실외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출구(34)보다 하류 영역이며 공기 출구(34)의 바깥쪽(도 9 또는 도 10의 예에서는 실외측 유닛(4)의 위쪽)에 설치된다. 정류 부재(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33a)와 제2 플레이트(33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제1 플레이트(33a)와 제2 플레이트(33b)에서는 제1 플레이트(33a)보다 제2 플레이트(33b)가 팬(16)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와 대향하는 제1 플레이트(33a)와 제2 플레이트(33b)의 면적비율이 제1 플레이트(33a): 제2 플레이트(33b) = 6:4 내지 7:3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33b)는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와 제2 플레이트(33b)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팬(16)에서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33a)와 제2 플레이트(33b)의 면적비율이 6:4 내지 7:3이 되기 때문에 팬(16)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공기 입구(32)의 중앙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기 쉬워진다. 요컨대 제1 플레이트(33a)와 제2 플레이트(33b)의 면적비율을 예를 들어 5:5로 하면 공기 입구(32)에 있어서 팬(16)에 가까운 측의 영역 부분으로 더 많은 용량의 공기가 흘러가버린다. 따라서 공기 입구(32)에서는 장소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량에 치우침이 발생한다. 하지만, 제1 플레이트(33a)와 제2 플레이트(33b)의 면적비율을 6:4 ~ 7:3으로 하면 공기 입구(32) 전체에 걸쳐 균등화된 유량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33b)와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팬(16)에서 멀어짐에 따라 넓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입구(32)의 중앙부에 실외 공기가 유입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상승효과로 실외측 열교환기(8)의 공기 입구(32)의 풍량 분포가 균등화되어 열교환 효율 및 능력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an 16 is a region downstream from the air outlet 34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in the flow of outdoor air to introduce outdoor air from the plate 33 side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It is provided in the outer side of 34 (upper of the outdoor unit 4 in the example of FIG. 9 or FIG. 10). As described above, the rectifying member 31 includes a first plate 33a and a second plate 33b. In the first plate 33a and the second plate 33b, the second plate 33b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fan 16 than the first plate 33a,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The area ratio of the first plate 33a and the second plate 33b facing the air inlet 32 of the first plate 33a: the second plate 33b = 6: 4 to 7: 3 do.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33b is configured to widen as the distance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and the second plate 33b increases away from the fan 16. Thus, since the area ratio of the first plate 33a and the second plate 33b is 6: 4 to 7: 3, outdoor air flows into the center of the air inlet 32 even at a distance from the fan 16. It becomes easy to be. In other words, if the area ratio of the first plate 33a and the second plate 33b is set to 5: 5, for example, a larger capacity of air is introduced into the area portion of the air inlet 32 close to the fan 16. Flows away. Therefore, the air inlet 32 is biased i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 according to the place. However, when the area ratio of the first plate 33a and the second plate 33b is 6: 4 to 7: 3, air can be introduced at a uniform flow rate over the entire air inlet 32. In addition, since the gap formed between the second plate 33b and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becomes wider as it moves away from the fan 16, Air enters easily. By this synergistic effect, the air volume distribution of the air inlet 32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is equalized, so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capability can be reliably improved.

또한,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부재(31)를 3개 이상의 플레이트(33)로 구성하거나 플레이트(33)의 길이방향이 배치되는 방향을 변경하고 인접하여 구성하거나 하여도 좋다. 요컨대 복수의 플레이트(33)의 길이방향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수평방향이 되는 배치(가로 쪼갬 배치)로 해도 좋다.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33)의 길이방향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수직방향이 되는 배치(세로 쪼갬 배치)로 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12 and 13, the rectifying member 31 may consist of three or more plates 33, or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by chang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s 33 are arranged. In other word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lates 33 may be a horizontal arrangement (horizontal splitting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2. Alternatively,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lates 33 may be a vertical arrangement (vertical splitting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3. Other configurations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실외측 유닛(4)이 두 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3개 이상 구비해도 좋다. 또한, 도 7, 도 9,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실외측 열교환기(8)와 정류 부재(31)를 쌍으로 한 것을 두 세트 설치하고 있지만 세트 수의 증감은 자유롭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For example, although the case of two outdoor side units 4 i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2, you may provide three or more. 7, 9, 12, and 13, two sets of pairs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8 and the rectifying member 31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sets can be freely increased or decreased.

1: 공조기 2: 히트펌프
3: 제어 장치 4: 실외측 유닛
5: 실내측 유닛 6: 실내측 열교환기
7: 송수펌프 8: 실외측 열교환기
9: 압축기 10: 냉매배관
11: 물 배관 31: 정류 부재
32: 공기 입구 33: 플레이트
1: air conditioner 2: heat pump
3: control unit 4: outdoor unit
5: indoor unit 6: indoor side heat exchanger
7: Water Pump 8: Outdoor Heat Exchanger
9: compressor 10: refrigerant piping
11: water piping 31: rectification member
32: air inlet 33: plate

Claims (13)

실외에 설치된 복수의 실외측 유닛과, 실내 또는 상기 실내 부근에 설치된 하나의 실내측 유닛을 갖고 있으며,
상기 실내측 유닛이, 냉매와 열교환용 물을 열교환하는 실내측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용 물을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에 설치된 공조기에 이송하는 송수펌프를 갖고,
상기 실외측 유닛이, 실외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측 열교환기와, 상기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에 이송하는 압축기를 갖는, 상기 공조기에 공급되는 열교환용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실외측 열교환기 및 압축기와 상기 하나의 실내측 유닛의 실내측 열교환기에 상기 냉매가 순환하도록 설치된 냉매배관과,
상기 하나의 실내측 유닛의 실내측 열교환기 및 상기 송수펌프와 상기 공조기에 상기 열교환용 물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물 배관과,
공조부하의 증감에 따라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의 시동과 정지를 전환하고, 출력을 증감 조절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상기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시동시켜 출력을 증가 조절하는 경우, 시동이 앞선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시동이 늦은 상기 압축기의 시동시에 상기 시동이 늦은 압축기의 시동시의 출력분만큼 낮추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상기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정지시켜 출력을 감소 조절하는 경우, 정지가 늦은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정지가 앞선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정지가 앞선 압축기의 정지시 직전의 출력분만큼 높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Has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installed outdoors, and one indoor unit installed indoors or near the indoors,
The indoor unit has an in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a refrigerant and water for heat exchange, and a water pump for transferring the water for heat exchange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room,
The outdoor unit has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transferring the refrigerant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or heat exchanger su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With a heat pump to regulate,
A refrigerant pipe installed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in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of the one indoor unit;
A water pipe installed to circulate the water for heat exchange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water pump and the air conditioner of the indoor unit;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device for switching the start and stop of the compressor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ir conditioning load, and increase or decrease the output.
The control device,
When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are sequentially started to increase and regulate the output,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prior to start-up is divided into the outputs at start-up of the compressor that is late start-up. At the same time,
When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are sequentially stopped to decrease and adjust the output,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having a slow stop is output, and the output immediately before the stop of the compressor preceding the stop when the compressor stops before the stop.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increase by a minu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유닛의 상기 압축기마다 최소한계출력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nimum output is different for each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의 시동 또는 정지 순서를 다르게 하는 복수의 운전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시동 또는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device is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tart or stop of the compressor of the plurality of outdoor-side unit in a plurality of operating patterns to change the start or stop sequence of the compressor of the plurality of outdoor-side unit.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 각각의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이 적은 상기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우선적으로 시동시키는 동시에 합계시동회수 또는 합계작동시간이 많은 상기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우선적으로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device compares the total number of start-up times or the total operating time of each of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side units to start the compressors of the outdoor-side unit with less total start-up times or total operating time and add up the total.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o stop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having a large number of start-up times or a total operating ti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실외측 유닛의 실외측 열교환기의 디프로스트가 필요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시동 또는 정지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control device controls not to start or stop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sequentially when defros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the outdoor unit is necessar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실외측 유닛의 실외측 열교환기의 디프로스트가 필요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실외측 유닛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시동 또는 정지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control device controls not to start or stop the compressors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sequentially when defros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of the outdoor unit is necessa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는, 면형의 공기 입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와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고 있으며,
상기 실외측 유닛은,
상기 공기 입구가 차단되도록 또한 상기 실외 공기를 상기 공기 입구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된 정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공기 입구에 대해 거리를 두고 대면하도록 설치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has a planar air inlet and heat exchanges the refrigerant of the heat pump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The outdoor unit,
And a rectifying member installed to block the air inlet and to introduce the outdoor air into the air inlet,
The rectifying member is a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provided so as to face a distance to the air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는, 면형의 공기 입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와 상기 공기 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고 있으며,
상기 실외측 유닛은,
상기 공기 입구가 차단되도록 또한 상기 실외 공기를 분류시켜 상기 공기 입구의 전역으로 유입시키도록 설치된 정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공기 입구에 대해 거리를 두고 대면하고 상기 공기 입구를 따라 인접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입구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와, 서로 인접한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를 통해서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공기 입구로 유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has a planar air inlet and heat exchanges the refrigerant of the heat pump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The outdoor unit,
And a rectifying member installed to block the air inlet, and to classify the outdoor air to flow into the entire air inlet.
The rectify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plates faced to the air inlet at a distance and adjacent to the air inlet,
And the plate is arranged such that the outdoor air flows into the air inlet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plate and a gap formed between the adjacent plat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중 한쪽 플레이트와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공기 입구 사이에 형성된 간격부에, 다른쪽 플레이트의 상기 한쪽 플레이트측 단부가, 상기 한쪽 플레이트 및 상기 공기 입구 각각에 대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one plate side end of the other plate is mutually provid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ne plate and the air inlet at a gap formed between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s constituting the rectifying member and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a distan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상기 공기 입구로 유입시키는 팬을 구비하며,
상기 정류 부재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서는,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면적비율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 6:4 내지 7:3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공기 입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상기 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fan for introducing the outdoor air to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The rectifying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second plate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fan than the first plate,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 6: 4 to 7: 3,
And the second plate is arranged such that a gap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second plate becomes wider as the distance from the fan increas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상기 공기 입구로 유입시키는 팬을 구비하며,
상기 정류 부재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서는, 상기 제1 플레이트보다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면적비율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 6:4 내지 7:3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공기 입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상기 팬에서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식 열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fan for introducing the outdoor air to the air inlet of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The rectifying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I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second plate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fan than the first plate,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 6: 4 to 7: 3,
And the second plate is arranged such that a gap form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second plate becomes wider as it moves away from the fa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18199A 2015-10-06 2016-09-13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KR1020187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8744 2015-10-06
JPJP-P-2015-198744 2015-10-06
JP2016101033A JP6151409B2 (en) 2015-10-06 2016-05-20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JPJP-P-2016-101033 2016-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129A KR20170041129A (en) 2017-04-14
KR102018749B1 true KR102018749B1 (en) 2019-09-05

Family

ID=5853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199A KR102018749B1 (en) 2015-10-06 2016-09-13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51409B2 (en)
KR (1) KR102018749B1 (en)
CN (2) CN206563379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1409B2 (en) * 2015-10-06 2017-06-21 木村工機株式会社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JP6207108B1 (en) * 2016-05-12 2017-10-04 木村工機株式会社 Air source heat pump unit
WO2019155506A1 (en) 2018-02-06 2019-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ing system
CN109373654B (en) * 2018-10-19 2020-11-06 山东雅士股份有限公司 Running control method of water chilling unit or heat pump unit
JP7209816B2 (en) * 2019-04-18 2023-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devices for air conditioners, outdoor units, repeaters, heat source units, and air conditioners
JP7038773B1 (en) 2020-09-18 2022-03-18 木村工機株式会社 Waste heat recovery adapt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528A (en) * 1999-07-28 2001-02-16 Hitachi Ltd Multi-unit air conditioner
JP2004020178A (en) * 2002-06-14 2004-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condition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2004085133A (en) * 2002-08-28 2004-03-18 Mitsubishi Heavy Ind Ltd Suction panel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JP2006052881A (en) * 2004-08-10 2006-02-23 Kimura Kohki Co Ltd Air heat source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KR100821568B1 (en) * 2006-11-06 2008-04-15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Air conditioner
WO2015025366A1 (en) * 2013-08-20 2015-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device
WO2015125863A1 (en) * 2014-02-20 2015-08-2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Heat source device
JP5805833B1 (en) * 2014-07-28 2015-11-10 木村工機株式会社 Heat pump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3645B2 (en) 2006-01-31 2011-06-01 東京電力株式会社 Air conditioning system
JP4376285B2 (en) * 2007-10-25 2009-12-02 木村工機株式会社 Mixed air conditioner
JP6151409B2 (en) * 2015-10-06 2017-06-21 木村工機株式会社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528A (en) * 1999-07-28 2001-02-16 Hitachi Ltd Multi-unit air conditioner
JP2004020178A (en) * 2002-06-14 2004-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condition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2004085133A (en) * 2002-08-28 2004-03-18 Mitsubishi Heavy Ind Ltd Suction panel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JP2006052881A (en) * 2004-08-10 2006-02-23 Kimura Kohki Co Ltd Air heat source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KR100821568B1 (en) * 2006-11-06 2008-04-15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Air conditioner
WO2015025366A1 (en) * 2013-08-20 2015-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device
WO2015125863A1 (en) * 2014-02-20 2015-08-2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Heat source device
JP5805833B1 (en) * 2014-07-28 2015-11-10 木村工機株式会社 Heat pump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14009A (en) 2017-08-04
JP2017072356A (en) 2017-04-13
KR20170041129A (en) 2017-04-14
CN107014009B (en) 2019-09-13
CN206563379U (en) 2017-10-17
JP6151409B2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749B1 (en) Heat pump type heat source device
JP5805833B1 (en) Heat pump air conditioner
US9562701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EP3258179B1 (en) Heat pump system
US20110214437A1 (en) Heat pump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13487A1 (en) Room temperature adjustment system
JP5043158B2 (en) Air source heat pump air conditioner
CN106152285B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595705B (en) Energy-saving swimming pool heat pump dehumidifier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11692640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defrosting control mode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608473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629341B1 (en) Heat exchange coil and air conditioning unit
CN106765571B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er indoor terminal applied to same
WO2015025585A1 (en) Hot water-type heating device
KR100712857B1 (en) Refrigerants Control Method For Dual Type Unitary Air Conditioner
JP4376285B2 (en) Mixed air conditioner
KR100585694B1 (en) Dual type unitary air conditioner
CN104344550B (en) Heat pump water heater group
CN211739391U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7199529B2 (en) Control device, air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air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211476147U (en) Swimming pool dehumidifier with condensation heat recovery
JPWO2017212571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repeater
KR20170070796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580796B1 (en) Refrigeration and 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 for ice rink using seawater
KR100682718B1 (en) Air conditioner having refrigerants distributor for bra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