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735B1 -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735B1
KR102018735B1 KR1020180158512A KR20180158512A KR102018735B1 KR 102018735 B1 KR102018735 B1 KR 102018735B1 KR 1020180158512 A KR1020180158512 A KR 1020180158512A KR 20180158512 A KR20180158512 A KR 20180158512A KR 102018735 B1 KR102018735 B1 KR 10201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 support
plate
bridg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찬
Original Assignee
태광중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중건설(주) filed Critical 태광중건설(주)
Priority to KR102018015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01D21/065Incremental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을 교각의 상단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는 연속압출공법으로 교량을 가설할 때 상기 교량상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받침롤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교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스윙플레이트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가 상기 제1 힌지부에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중분산부재; 상기 스윙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롤러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 상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지지대를 포함하는 롤러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롤러지지대에 롤러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량상판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입된 복수의 롤러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지지홈이 상기 각각의 롤러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 아래에서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낙하롤러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는 상기 교량상판의 무게로 인해 상기 롤러회전축이 파손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 상에 낙하하면 낙하한 롤러는 상기 롤러지지홈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A GUIDE ROLLER STEEL BOX GIRDER TO STEP FORWARDUSING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본 발명은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상판을 가이드하는 롤러가 파손되더라도 교량상판을 가이드할 수 있는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강교량의 연속압출공법(ILM: Incremental Launching Method)이란 철재로 이루어진 강상자형 주형의 세그먼트를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후 상기 세그먼트를 들어올려 조립한 후 압출장치에 의해 교축방향으로 진출시키면서 교량상판을 형성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가설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연속압출공법은 공장에서 강상자형 세그먼트를 사전에 제작하고, 이를 차례로 들어올려 조립한 후 압출장치에 의하여 교축방향으로 진출시켜 일체화하므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완성하여 나가므로 안전성이 높으며, 시공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시 외부 기후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교량의 가설공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의 연속압출공법을 통한 교량의 가설시 공장에서 제작된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을 별도의 압출장치에 의해 교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진출시킬 때, 진출되는 교량상판의 낙교를 방지하고 교각 상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각의 일측에는 횡방향 가이드를 구비하고, 교각의 상면에는 받침롤러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받침롤러장치로서 등록실용신안 20-0286115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가이드롤러장치"가 있다. 이 고안은 교량상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교량상판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롤러가 교량상판의 하중에 의해 롤러를 상부부재에 연결하는 회전축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롤러가 상부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며, 롤러가 낙하됨에 따라 교량상판을 가이드하는 롤러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교량상판이 진출하는 과정에서 교량상판의 하중으로 인해 롤러의 롤러회전축이 파손되어 롤러가 낙하하더라도 낙하롤러지지부재의 롤러지지홈 내에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으므로 항시 교량상판의 진출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을 교각의 상단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는 연속압출공법으로 교량을 가설할 때 상기 교량상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받침롤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교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스윙플레이트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가 상기 제1 힌지부에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중분산부재; 상기 스윙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롤러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 상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지지대를 포함하는 롤러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롤러지지대에 롤러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량상판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입된 복수의 롤러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지지홈이 상기 각각의 롤러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 아래에서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낙하롤러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는 상기 교량상판의 무게로 인해 상기 롤러회전축이 파손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 상에 낙하하면 낙하한 롤러는 상기 롤러지지홈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지지홈에 안착되는 낙하된 롤러의 외면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윤활유공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는 상기 각각의 롤러지지홈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노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공급부재는,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의 하면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고, 저장공간에 윤활유가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저장조; 및 원기둥 형상의 롤러몸체, 상기 롤러몸체를 감싸도록 상기 롤러몸체에 결합된 플렉시블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외면에 상기 튜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도포날개를 포함하는 윤활유도포부재, 및 상기 롤러몸체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저장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포롤러회전축을 포함하는 윤활유도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도포롤러는 상기 각각의 노치부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윤활유저장조 상에 구비되며, 상기 도포날개는 상기 노치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윤활유공급부재는 상기 도포날개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지지홈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도포날개가 상기 롤러의 외면에 충돌하여 상기 윤활유도포롤러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날개의 강성을 보강하는 날개보강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에 의하면, 교량상판이 진출하는 과정에서 교량상판의 하중으로 인해 롤러의 롤러회전축이 파손되어 롤러가 낙하하더라도 낙하롤러지지부재의 롤러지지홈 내에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으므로 항시 교량상판의 진출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롤러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롤러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낙하롤러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낙하롤러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롤러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롤러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낙하롤러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낙하롤러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베이스부재(110), 하중분산부재(120),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130), 복수의 롤러(140) 및 낙하롤러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10)는 베이스플레이트(111) 및 제1 힌지부(112)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1)는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며, 평면 형상이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제1 힌지부(112)는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수직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상면에 구비되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단축변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다.
하중분산부재(120)는 스윙플레이트(121) 및 제2 힌지부(122)를 포함한다. 스윙플레이트(121)는 테두리가 베이스플레이트(1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이다. 제2 힌지부(122)는 스윙플레이트(121)의 하면에 수직하도록 스윙플레이트(121)의 하면에 구비된다. 제2 힌지부(122)는 제1 힌지부(112)에 회전축(113)을 통해 결합되며, 스윙플레이트(121)는 제1 힌지부(112), 제2 힌지부(122) 및 회전축(113)을 매개로 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상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며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롤러지지부재(130)는 롤러지지플레이트(131) 및 한 쌍의 롤러지지대(132)를 포함한다. 롤러지지플레이트(131)는 테두리가 베이스플레이트(1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한 쌍의 롤러지지대(132)를 배치하기 위해 구비되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지지대결합부(1311) 및 한 쌍의 롤러지지대결합부(1311) 사이에 배치되되 한 쌍의 롤러지지대결합부(1311)에 수직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낙하롤러지지부재결합부(13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롤러지지대(132)는 스윙플레이트(121)의 상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130)는 롤러지지플레이트(131)의 한 쌍의 롤러지지대결합부(1311)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롤러지지대(132)는 한 쌍의 롤러(140)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롤러결합구멍(1321)을 포함한다.
한 쌍의 롤러(140)는 한 쌍의 롤러지지대(132)에 롤러회전축(14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각각의 롤러지지대(132)에 구비되는 롤러결합구멍(1321)에는 베어링(10)이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10)에 롤러회전축(141)이 결합되어 롤러(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롤러(140)는 교량상판의 하면과 구름 접촉한다.
낙하롤러지지부재(150)는 복수의 롤러(140)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입된 복수의 롤러지지홈(151)을 포함하며, 한 쌍의 롤러(14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롤러지지플레이트(131)에 결합된다. 즉, 롤러지지플레이트(131)의 낙하롤러지지부재결합부(1312)에 결합되어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1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140)의 아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롤러지지홈(151)은 한 쌍의 롤러(140)의 외면과 이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스윙플레이트(121)가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는 스윙동작을 통해 진출하는 교량상판의 하중을 분산시켜서 받침롤러장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최소화시키고 원활하게 교량상판이 진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량상판과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40)는 교량상판의 하중에 의해 롤러회전축(141)이 파손되어 롤러(140)가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낙하된 롤러(140)는 롤러(140) 아래에 위치하는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롤러지지홈(151) 내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교량상판이 진출하는 힘에 의해 롤러(140)는 롤러지지홈(151)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교량상판이 진출하는 과정에서 교량상판의 하중으로 인해 롤러(140)의 롤러회전축(141)이 파손되어 롤러(140)가 낙하하더라도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롤러지지홈(151) 내에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으므로 항시 교량상판의 진출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낙하롤러지지부재(150)는 상기 각각의 롤러지지홈(15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노치부(152)를 포함하고, 낙하롤러지지부재(150)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1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지지홈(151)에 안착되는 낙하된 롤러(140)의 외면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윤활유공급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윤활유공급부재(16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윤활유공급부재(160)는 윤활유저장조(161) 및 윤활유도포롤러(162)를 포함한다.
윤활유저장조(161)는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하면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12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고, 저장공간(161a)에 윤활유가 저장된다.
윤활유도포롤러(162)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몸체(1621), 상기 롤러몸체(1621)를 감싸도록 상기 롤러몸체(1621)에 결합된 플렉시블 튜브(1622a) 및 상기 튜브(1621a)의 외면에 상기 튜브(1621a)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도포날개(1622b)를 포함하는 윤활유도포부재(1622), 및 상기 롤러몸체(1621)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저장조(16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포롤러회전축(1623)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플렉시블 튜브(1622a)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도포날개(1622b)는 단면 형상이 상기 플렉시블 튜브(16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감소하도록 삼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께가 감소한 삼각 형상의 끝단부가 롤러(140)의 외면과 접촉하여 변형되면서 윤활유가 롤러(140)의 외면에 쉽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포날개(1622b)는 윤활유저장조(161)에 저장된 윤활유에 잠겨서 평상시 윤활유가 표면에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윤활유도포롤러(162)는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노치부(152)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윤활유저장조 상에 구비된다. 이때, 윤활유도포롤러(162)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노치부(152)의 양측에 베어링(10)을 구비하고, 그 베어링(10)에 도포롤러회전축(1623)을 결합하여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포날개(1622b)는 노치부(15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도포날개(1622b)의 튜브(1621a)의 원주방향으로의 배열 간격은 어느 하나의 도포날개(1622b)가 롤러(140)에 충돌하여 밀려나는 즉시 다음의 도포날개(1622b)가 롤러(140)에 충돌할 수 있는 간격일 수 있다. 따라서,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롤러지지홈(151) 상에 안착된 롤러(140)가 회전될 때 도포날개(1622b)의 끝단부가 롤러(140)의 외면과 접촉하여 윤활유를 롤러(140)의 외면에 도포할 수 있고, 롤러(140)의 회전력에 의해 도포날개(1622b)가 밀려나도록 하여 윤활유도포롤러(162)가 롤러(140)의 회전과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윤활유공급부재(160)는 날개보강심(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보강심(170)은 도포날개(1622b)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140)가 상기 롤러지지홈(151)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도포날개(1622b)가 상기 롤러(140)의 외면에 충돌하여 상기 윤활유도포롤러(162)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날개(1622b)의 강성을 보강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의 윤활유공급부재(160)가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롤러지지홈(151) 상에 낙하된 롤러(140)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롤러지지홈(151) 상에 낙하된 롤러(140)가 교량상판의 진출에 의해 회전되면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노치부(152)를 통해 노출된 윤활유공급부재(160)의 도포날개(1622b)가 롤러(140)의 외면에 충돌하여 수축 변형되면서 롤러(140)의 외면에 윤활유를 도포하게 되고, 이어서 롤러(140)의 회전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윤활유도포롤러(162)를 소정 반경 회전시키고, 이러한 과정은 각 도포날개(1622b)가 연속하여 진행되므로 윤활유의 도포 및 윤활유도포롤러(162)의 회전이 지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는 윤활유공급부재(160)에 의해 낙하롤러지지부재(150)로 낙하되어 롤러지지홈(151) 내에서 회전하는 롤러(140)에 윤활유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므로 롤러지지홈(151) 상에서의 롤러(14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의 낙하롤러지지부재(150)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캅토트리아졸, 페트롤륨술포네이트 및 머캅토벤조티아졸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의 롤러지지부재(130)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의 플렉시블 튜브(1622a) 및 도포날개(1622b) 제작을 위한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플렉시블 튜브(1622a) 및 도포날개(1622b)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플렉시블 튜브(1622a) 및 도포날개(1622b)의 수명이 증대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베이스부재 120 : 하중분산부재
130 : 롤러지지부재 140 : 한 쌍의 롤러
150 : 낙하롤러지지부재

Claims (3)

  1.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을 교각의 상단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는 연속압출공법으로 교량을 가설할 때 상기 교량상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받침롤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11)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힌지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가 상기 교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110);
    스윙플레이트(121)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121)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힌지부(122)를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122)가 상기 제1 힌지부(112)에 회전축(113)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중분산부재(120);
    상기 스윙플레이트(121)의 상면에 결합되는 롤러지지플레이트(131) 및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131) 상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지지대(132)를 포함하는 롤러지지부재(130);
    상기 한 쌍의 롤러지지대(132)에 롤러회전축(14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량상판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40); 및
    상기 한 쌍의 롤러(14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131)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140)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입된 복수의 롤러지지홈(151)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지지홈(151)이 상기 각각의 롤러(140)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140) 아래에서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131)에 결합되는 낙하롤러지지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150)는 상기 교량상판의 무게로 인해 상기 롤러회전축(141)이 파손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140)가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150) 상에 낙하하면 낙하한 롤러(140)는 상기 롤러지지홈(151)에 지지되어 회전되며;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150)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1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지지홈(151)에 안착되는 낙하된 롤러(140)의 외면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윤활유공급부재(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150)는 상기 각각의 롤러지지홈(15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노치부(152)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공급부재(160)는,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131)의 하면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12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고, 저장공간(161a)에 윤활유가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저장조(161); 및
    원기둥 형상의 롤러몸체(1621), 상기 롤러몸체(1621)를 감싸도록 상기 롤러몸체(1621)에결합된 플렉시블 튜브(1622a) 및 상기 튜브(1621a)의 외면에 상기 튜브(1621a)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도포날개(1622b)를 포함하는 윤활유도포부재(1622), 및 상기 롤러몸체(1621)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윤활유저장조(16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포롤러회전축(1623)을 포함하는 윤활유도포롤러(162)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도포롤러(162)는 상기 각각의 노치부(152)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윤활유저장조(161) 상에 구비되며,
    상기 도포날개(1622b)는 상기 노치부(15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2. 삭제
  3. 강상자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교량상판을 교각의 상단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는 연속압출공법으로 교량을 가설할 때 상기 교량상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받침롤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11)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힌지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가 상기 교각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110);
    스윙플레이트(121) 및 상기 스윙플레이트(121)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2 힌지부(122)를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122)가 상기 제1 힌지부(112)에 회전축(113)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중분산부재(120);
    상기 스윙플레이트(121)의 상면에 결합되는 롤러지지플레이트(131) 및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131) 상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지지대(132)를 포함하는 롤러지지부재(130);
    상기 한 쌍의 롤러지지대(132)에 롤러회전축(14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교량상판의 하면과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40); 및
    상기 한 쌍의 롤러(14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131)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롤러(140)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만입된 복수의 롤러지지홈(151)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롤러지지홈(151)이 상기 각각의 롤러(140)의 외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140) 아래에서 상기 롤러지지플레이트(131)에 결합되는 낙하롤러지지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150)는 상기 교량상판의 무게로 인해 상기 롤러회전축(141)이 파손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140)가 상기 낙하롤러지지부재(150) 상에 낙하하면 낙하한 롤러(140)는 상기 롤러지지홈(151)에 지지되어 회전되며;
    낙하롤러지지부재(150) 및 스윙플레이트(121) 사이에는 롤러지지홈(151)에 안착되는 낙하된 롤러(140)의 외면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윤활유공급부재(160)가 구비되고;
    윤활유공급부재(160)는 윤활유저장조(161) 및 윤활유도포롤러(162)를 포함하되, 윤활유저장조(161)는 낙하롤러지지부재(150)의 하면 및 스윙플레이트(12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고, 윤활유도포롤러(162)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몸체(1621)와, 롤러몸체(1621)를 감싸도록 롤러몸체(1621)에 결합된 플렉시블 튜브(1622a)와, 튜브(1621a)의 외면에 튜브(1621a)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도포날개(1622b)를 포함하는 윤활유도포부재(1622)와, 롤러몸체(1621)의 양단에 배치되고 윤활유저장조(16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포롤러회전축(1623)을 포함하며;
    상기 윤활유공급부재(160)는 상기 도포날개(1622b)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140)가 상기 롤러지지홈(151) 상에서 회전할 때 상기 도포날개(1622b)가 상기 롤러(140)의 외면에 충돌하여 상기 윤활유도포롤러(162)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날개(1622b)의 강성을 보강하는 날개보강심(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KR1020180158512A 2018-12-10 2018-12-10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KR10201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12A KR102018735B1 (ko) 2018-12-10 2018-12-10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12A KR102018735B1 (ko) 2018-12-10 2018-12-10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735B1 true KR102018735B1 (ko) 2019-09-04

Family

ID=6795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512A KR102018735B1 (ko) 2018-12-10 2018-12-10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5912A (zh) * 2021-03-11 2021-06-22 中交二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往复拽拉式超大吨位钢箱梁连续牵引装置及其使用方法
ES2913599A1 (es) * 2020-12-02 2022-06-02 Univ Salamanca Dispositivo de apoyo y deslizamiento de estructuras
KR102405028B1 (ko) * 2021-10-08 2022-06-02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강합성 연속교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817U (ja) * 1983-04-22 1984-11-07 山久チエイン株式会社 プレ−トコンベア
KR200286115Y1 (ko) * 2002-05-29 2002-08-21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가이드롤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817U (ja) * 1983-04-22 1984-11-07 山久チエイン株式会社 プレ−トコンベア
KR200286115Y1 (ko) * 2002-05-29 2002-08-21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가이드롤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3599A1 (es) * 2020-12-02 2022-06-02 Univ Salamanca Dispositivo de apoyo y deslizamiento de estructuras
CN113005912A (zh) * 2021-03-11 2021-06-22 中交二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往复拽拉式超大吨位钢箱梁连续牵引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05028B1 (ko) * 2021-10-08 2022-06-02 엘에스알스코 주식회사 강합성 연속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735B1 (ko) 연속압출공법의 교량 진출 받침롤러장치
AU2010246420B2 (en) Lift for transporting a load by means of a movable belt-like traction means
US20040184685A1 (en) Rolling element interference preventer and a guide device
NL9401234A (nl) Rollager met een bekleding met lage wrijving.
CH705350A1 (de) Zugorgan mit einer Kraftübertragungsoberfläche mit unterschiedlichen Reibeigenschaften.
CN110823740A (zh) 线缆测试平台
WO2015150161A1 (de) Wälzlager
US6945699B2 (en) Bearing having anodic nanoparticle lubricant
DE3313564A1 (de) Vorrichtung zur abdichtung des ringspalts zwischen behaelterwand und schwimmender abdeckung eines grossraumbehaelters
CN104018375B (zh) 一种钢丝绳
US6948850B2 (en) Bearing assembly
DE102016013778A1 (de) Fugen-Profilanordnungen mit dauerhafter Abriebsfestigkeit zur Abdeckung von Fugen und betriebsichere überwachungsarme Vorrichtungen zur Abdeckung derselben
DE3218845A1 (de) Waelzkoerperfuehrung
DE102013106029A1 (de) Kettenführungselement
DE102005028854A1 (de) Linearlagerführung
DE102010014482A1 (de) Wälzlager
EP1704338B1 (de) Gleitlager mit verschleissanzeige
CN220930416U (en) HDPE hollow wall winding pipe
RU218150U1 (ru) Опора трубопровода
CN215628970U (zh) 一种镀锌钢丝绳
CN215366518U (zh) 一种耐磨防水钢丝绳
EP1378466A2 (de) Rollenantriebseinheit
CN209892292U (zh) 一种镀锌机油尺
US11162457B2 (en) Turbine fan system and method
JPS63259247A (ja) テンタ−クリツプ用駆動チエンの連結ピ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