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730B1 - 수동 오일 펌프 - Google Patents

수동 오일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730B1
KR102018730B1 KR1020180088379A KR20180088379A KR102018730B1 KR 102018730 B1 KR102018730 B1 KR 102018730B1 KR 1020180088379 A KR1020180088379 A KR 1020180088379A KR 20180088379 A KR20180088379 A KR 20180088379A KR 102018730 B1 KR102018730 B1 KR 10201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umping
pair
pump body
pump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맹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비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비통상 filed Critical (주)케이지비통상
Priority to KR102018008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2/34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14/2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오일 펌프에 관한 것으로, 펌프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펌핑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는 펌프 본체의 펌핑 공간에 설치되는 펌핑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펌핑 부재는 펌프 본체의 펌핑 공간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되게 설치되는 구동축, 펌프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 구동축에 설치되어 펌프 본체의 펌프 공간에 위치하는 회전체, 및 회전체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펌핑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흡입 구멍과 배출 구멍을 교대로 개폐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용기 내의 오일을 흡입관에서 배출관으로 펌핑하는 한 쌍의 개폐 날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 오일 펌프{Manual oil pump}
본 발명은 오일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을 수동으로 돌려서 오일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펌핑하는 수동 오일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 등의 유체를 담고 있는 용기에서 오일을 다른 용기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오일 펌프가 사용된다. 오일 펌프 중 전기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사람이 손으로 핸들을 돌려서 오일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수동 오일 펌프는 작은 량의 오일을 이동시킬 때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수동 오일 펌프는 손으로 돌릴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된 펌프 본체와, 펌프 본체의 양측으로 오일이 흡입되는 흡입관과 배출되는 배출관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펌프 본체의 내부에는 외측 회전자 및 내측 회전자가 구비된다. 내측 회전자는 구동축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회전하며, 구동축은 핸들에 연결된다. 내측 회전자의 편심 회전에 의해 흡입관이 연결되는 흡입 구멍과 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 구멍을 교대로 개폐함으로써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오일을 흡입관에서 배출관으로 펌핑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수동 오일 펌프는 펌프 본체의 내부에 일정 두께로 외측 회전자가 설치되고, 외측 회전자의 안쪽에 내측 회전자가 구동축에 연결되어 편심 회전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외측 회전자와 내측 회전자로 인해서 펌핑할 수 있는 공간이 좁아 펌핑되는 오일 양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수동 오일 펌프는 오일 펌핑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넓은 펌핑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펌프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펌프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수동 오일 펌프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고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수동 오일 펌프를 핸들링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수동 오일 펌프는 펌핑할 오일이 담긴 용기의 상부에 위치시켜 펌핑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오일이 펌프 본체까지 올라오도록 핸들을 수차례 회전시켜주어야 하므로, 오일 흡입 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펌핑 후, 흡입관의 내부에 오일이 없을 경우에도 오일이 펌프 본체까지 올라오도록 핸들을 수차례 회전시켜주어야 하므로, 오일 흡입 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0300428호 (2003.01.14.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펌핑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동 오일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로부터 오일을 흡입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수동 오일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을 담고 있는 용기의 외측면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며, 내부에 펌핑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상기 펌핑 공간과 연결된 흡입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펌핑 공간과 연결된 배출 구멍이 형성된 펌프 본체;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펌프 본체의 흡입 구멍을 연결하는 흡입관; 상기 펌프 본체의 배출 구멍에 연결되는 배출관; 및 상기 펌프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에 담긴 오일을 상기 펌프 본체를 매개로 상기 흡입관을 통하여 상기 배출관으로 펌핑하는 펌핑 부재;를 포함하는 수동 오일 펌프를 제공한다.
상기 펌핑 부재는, 상기 펌프 본체의 펌핑 공간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되게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펌프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 본체의 펌프 공간에 위치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핑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 구멍과 상기 배출 구멍을 교대로 개폐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상기 용기 내의 오일을 상기 흡입관에서 상기 배출관으로 펌핑하는 한 쌍의 개폐 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 본체는 하부에 상기 펌핑 공간과 연결된 상기 흡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펌핑 공간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 본체의 펌핑 공간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펌핑 공간 보다는 작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중심은 상기 펌핑 공간의 중심에 대해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의 중심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개폐 날개가 설치되는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 구멍은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개폐 날개는, 상기 설치 구멍을 통하여 상기 회전체의 양쪽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날개; 상기 한 쌍의 날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를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되, 양단이 한 쌍의 날개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날개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펌핑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는, 상기 배출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는,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펌프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 본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 본체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되게 구동축이 설치되고, 구동축에 설치된 회전체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개폐 날개를 설치함으로써, 구동축에 연결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개폐 날개가 흡입 구멍과 배출 구멍을 교대로 개폐함으로써 오일을 펌핑한다.
이때 한 쌍의 개폐 날개가 회전체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면서 펌프 본체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펌핑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의 외측 회전체 및 내측 회전체를 사용하는 구조에 비해서 펌프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한 펌핑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본체는 가이드 부재를 통하여 용기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오일의 양에 따라서 상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펌핑하기 위한 핸들의 회전을 최소화함으로써, 오일 흡입 시간을 줄이고 사용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펌프 본체 및 펌핑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펌핑 부재가 설치된 펌프 본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펌핑 본체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100)는 펌프 본체(10)에 설치된 핸들(21)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용기(91)에 담긴 오일을 펌프 본체(10)를 매개로 흡입관(40)을 통하여 배출관(50)으로 펌핑하는 오일 펌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100)가 설치된 용기(91)로는 차량의 엔진 오일 교환 시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오일을 담일 수 있는 용기를 예시하였다. 용기(91)의 상부에는 연결관(95)을 매개로 오일 받이(93)가 설치된다. 연결관(95)에는 오일 받이(93)와 용기(91)의 연결을 개폐하는 밸브(97)가 설치된다. 연결관(95)은 상하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91)의 하부에는 용기(91)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바퀴(99)가 설치된다.
용기(91)에 일정 용량의 오일이 차게 되면, 복수의 바퀴(99)를 이용하여 용기(91)를 수거용 용기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100)를 동작시켜 용기(91)의 오일을 수거용 용기로 배출시킨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폐오일을 수거하는 용도의 용기(91)에 수동 오일 펌프(10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100)에 대해서 도 1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펌프 본체(10) 및 펌핑 부재(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펌핑 부재(20)가 설치된 펌프 본체(1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100)는 펌프 본체(10), 흡입관(40), 배출관(50) 및 펌핑 부재(20)를 포함한다. 펌프 본체(10)는 오일을 담고 있는 용기(91)의 외측면에 브라켓(60)을 매개로 설치되며, 내부에 펌핑 공간(11)을 가지며, 일측에 펌핑 공간(11)과 연결된 흡입 구멍(13)이 형성되고 타측에 펌핑 공간(11)과 연결된 배출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관(40)은 용기(91)의 바닥면과 펌프 본체(10)의 흡입 구멍(13)을 연결한다. 배출관(50)은 펌프 본체(10)의 배출 구멍(15)에 연결된다. 그리고 펌핑 부재(20)는 펌프 본체(10)에 설치되며, 용기(91)에 담긴 오일을 펌프 본체(10)를 매개로 흡입관(40)을 통하여 배출관(50)으로 펌핑한다.
여기서 펌핑 부재(20)는 구동축(23), 핸들(21), 회전체(25) 및 한 쌍의 개폐 날개(31)를 포함한다. 구동축(23)은 펌프 본체(10)의 펌핑 공간(11)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되게 설치된다. 핸들(21)은 펌프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며, 구동축(23)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회전체(25)는 구동축(23)에 설치되어 펌프 본체(10)의 펌프 공간(11)에 위치한다. 그리고 한 쌍의 개폐 날개(31)는 회전체(25)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펌핑 공간(11)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회전체(25)의 회전에 의해 흡입 구멍(13)과 배출 구멍(15)을 교대로 개폐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용기(91) 내의 오일을 흡입관(40)에서 배출관(50)으로 펌핑한다.
펌프 본체(10)는 펌핑 공간(11)을 가지며 한쪽이 개방된 본체(17)와, 본체(17)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 펌핑 공간(11)을 형성하는 덮개(19)를 포함한다. 본체(17)의 외측면에는 펌핑 공간(11)과 연결되는 흡입 구멍(13)과 배출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19)에 펌핑 부재(20)가 설치된다.
펌프 본체(10)의 펌핑 공간(11)은 원통으로 형성된다. 회전체(25)는 펌핑 공간(11) 보다는 작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체(25)의 중심은 펌핑 공간(11)의 중심에 대해서 이격되게 설치된다. 흡입 구멍(13)과 배출 구멍(15)은 동일 선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 구멍(13)과 배출 구멍(15)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펌핑 공간(11)의 중심에서 이격되어 있다.
펌프 본체(10)는 용기(91)에 설치될 때, 하부에 흡입 구멍(13)이 위치하고 상부에 배출 구멍(15)이 위치할 수 있도록 브라켓(6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흡입관(40)의 일단이 용기(91)의 바닥면에 연결되기 때문에, 흡입관(40)의 타단이 연결되는 흡입 구멍(13)은 용기(91)의 하부를 향하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흡입 구멍(13)의 반대편에 배출 구멍(15)이 위치하기 때문에, 배출 구멍(15)은 용기(91)의 상부를 향하게 위치한다.
브라켓(60)은 펌프 본체(10)를 용기(91)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한다. 펌프 본체(10)는 브라켓(60)에 의해 용기(91)의 외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펌프 본체(10)가 용기(9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과 비교하여 오일을 펌핑하기 위해서 핸들(21)을 회전시키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즉 펌프 본체(10)가 용기(91)의 상부 보다는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용기(91)에 담긴 오일의 수위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펌핑 부재(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축(23), 핸들(21), 회전체(25) 및 한 쌍의 개폐 날개(31)를 포함한다.
구동축(23)의 일단은 펌프 본체(10)의 덮개(19)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인출된 구동축(23)에 핸들(21)이 연결된다. 핸들(21)의 회전을 통해서 구동축(23)을 회전시킨다.
구동축을 매개로 회전체(25)와 한 쌍의 개폐 날개(31)는 덮개(19)의 내측면에 위치한다. 덮개(19)의 내측면이 본체(17)의 개방된 부분을 덮어 펌핑 공간(11)을 형성한다.
회전체(25)는 일단이 구동축(23)에 연결되며, 구동축(23)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체(25)의 타단은 본체(17)의 바닥면에 형성된 축홈(18)에 삽입되어 축지된다. 회전체(25)는 타단에 축홈(18)에 삽입되는 축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25)는 회전축의 중심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개폐 날개(31)가 설치되는 설치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설치 구멍(27)은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한 쌍의 개폐 날개(31)는 설치 구멍(27)의 밖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회전체(25)에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개폐 날개(31)는 한 쌍의 날개(33), 스프링(35) 및 가이드바(37)를 포함한다. 한 쌍의 날개(33)는 설치 구멍(27)을 통하여 회전체(25)의 양쪽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스프링(35)은 한 쌍의 날개(33)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날개(33)를 회전체(25)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바(37)는 스프링(35)에 삽입되되, 양단이 한 쌍의 날개(33)에 삽입되어 한 쌍의 날개(33)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 쌍의 날개(33)는 회전체(25)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되,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펌핑 공간(1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 쌍의 날개(33)는, 설치 구멍(27)이 슬릿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슬릿의 폭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된다. 한 쌍의 날개(33)는 펌핑 공간(11)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한 쌍의 날개(33)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펌핑 공간(11)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날개(33)의 끝단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폭이 좁게 형성된다.
회전체(25)는 펌핑 공간(11)의 중심에 대해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한 쌍의 날개(33)는 회전체(25)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25)의 설치 구멍(27)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면서 오일을 흡입 구멍(13)으로 흡입하여 배출 구멍(15)으로 배출하는 펌핑을 수행한다. 펌핑 공간(11) 내에 회전체(25) 및 한 쌍의 날개(33)만 설치되기 때문에, 펌핑 부재(20)가 펌핑 공간(11) 내에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펌프 본체(10)를 통하여 펌핑할 수 있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100)는 펌프 본체(10)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되게 구동축(23)이 설치되고, 구동축(23)에 설치된 회전체(25)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개폐 날개(31)를 설치함으로써, 구동축(23)에 연결된 회전체(25)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개폐 날개(31)가 흡입 구멍(13)과 배출 구멍(15)을 교대로 개폐함으로써 오일을 펌핑한다.
이때 한 쌍의 개폐 날개(31)가 회전체(25)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면서 펌프 본체(10)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펌핑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의 외측 회전체 및 내측 회전체를 사용하는 구조에 비해서 펌프 본체(1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한 펌핑 공간(11)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펌프 본체(10)가 브라켓(60)에 의해 용기(91)에 고정 설치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본체(10)는 용기(91)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펌핑 본체(10)가 가이드 부재(70)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200)는 펌프 본체(1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 부재(70)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70)를 제외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동 오일 펌프(도 1의 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7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이드 부재(70)는 브라켓(60)을 매개로 펌프 본체(10)에 연결되어 펌프 본체(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용기(91)에 담긴 오일의 양에 따라서 펌프 본체(10)의 상하 위치를 가이드 부재(70)를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70)로는 브라켓(60)의 양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펌프 본체(10)는 가이드 부재(70)를 통하여 용기(91)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용기(91)에 담긴 오일의 양에 따라서 상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펌핑하기 위한 핸들(21)의 회전을 최소화함으로써, 오일 흡입 시간을 줄이고 사용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펌프 본체
11 : 펌핑 공간
13 : 흡입 구멍
15 : 배출 구멍
17 : 본체
18 : 축홈
19 : 덮개
20 : 펌핑 부재
21 : 핸들
23 : 구동축
25 : 회전체
26 : 축돌기
27 : 설치 구멍
31 : 개폐 날개
33 : 날개
35 : 스프링
37 : 가이드바
40 : 흡입관
50 : 배출관
51 : 배출 밸브
60 : 브라켓
70 : 가이드 부재
91 : 용기
93 : 오일 받이
95 : 연결관
97 : 밸브
99 : 바퀴
100 : 수동 오일 펌프

Claims (10)

  1. 오일을 담고 있는 용기의 외측면에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며, 내부에 펌핑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상기 펌핑 공간과 연결된 흡입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펌핑 공간과 연결된 배출 구멍이 형성된 펌프 본체;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펌프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 본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상기 펌프 본체의 흡입 구멍을 연결하는 흡입관;
    상기 펌프 본체의 배출 구멍에 연결되는 배출관; 및
    상기 펌프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에 담긴 오일을 상기 펌프 본체를 매개로 상기 흡입관을 통하여 상기 배출관으로 펌핑하는 펌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펌핑 부재는,
    상기 펌프 본체의 펌핑 공간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되게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펌프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 본체의 펌프 공간에 위치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핑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 구멍과 상기 배출 구멍을 교대로 개폐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상기 용기 내의 오일을 상기 흡입관에서 상기 배출관으로 펌핑하는 한 쌍의 개폐 날개;
    를 포함하는 수동 오일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본체는 하부에 상기 펌핑 공간과 연결된 상기 흡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펌핑 공간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오일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본체의 펌핑 공간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펌핑 공간 보다는 작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중심은 상기 펌핑 공간의 중심에 대해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오일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의 중심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개폐 날개가 설치되는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수동 오일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구멍은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오일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 날개는,
    상기 설치 구멍을 통하여 상기 회전체의 양쪽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날개;
    상기 한 쌍의 날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를 상기 회전체의 외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되, 양단이 한 쌍의 날개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오일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펌핑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오일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오일 펌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오일 펌프.
KR1020180088379A 2018-07-30 2018-07-30 수동 오일 펌프 KR10201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79A KR102018730B1 (ko) 2018-07-30 2018-07-30 수동 오일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79A KR102018730B1 (ko) 2018-07-30 2018-07-30 수동 오일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730B1 true KR102018730B1 (ko) 2019-09-04

Family

ID=6795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379A KR102018730B1 (ko) 2018-07-30 2018-07-30 수동 오일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7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193U (ko) * 1995-07-27 1997-02-21 핸드 펌프
KR100304168B1 (ko) * 1999-09-17 2001-10-29 제주식 유류분배용 로타리 펌프
KR200300428Y1 (ko) 2002-09-10 2003-01-14 서봉덕 로터리펌프용 윤활유공급장치
KR20150040130A (ko) * 2013-10-04 2015-04-14 한국원자력연구원 핸드 펌프를 이용한 진공상태 조성장치
KR101869316B1 (ko) * 2015-06-30 2018-06-2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베인형 압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193U (ko) * 1995-07-27 1997-02-21 핸드 펌프
KR100304168B1 (ko) * 1999-09-17 2001-10-29 제주식 유류분배용 로타리 펌프
KR200300428Y1 (ko) 2002-09-10 2003-01-14 서봉덕 로터리펌프용 윤활유공급장치
KR20150040130A (ko) * 2013-10-04 2015-04-14 한국원자력연구원 핸드 펌프를 이용한 진공상태 조성장치
KR101869316B1 (ko) * 2015-06-30 2018-06-2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베인형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1416B (zh) 电动气泵
US4500269A (en) Integral tube-loading assembly for peristaltic pump
KR102018730B1 (ko) 수동 오일 펌프
EP3981311A1 (en) Cleaning device
EP3158196B1 (en) Rotary fluid pump
EA021180B1 (ru) Аэрозольно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205924B (zh) 封闭式压缩机的机油抽吸装置
KR20200067558A (ko) 왕복동 압축기
AU2010317594B2 (en) Fluid compressor or pump apparatus
US2436493A (en) Mechanical lubricator
KR20038372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CN106381632B (zh) 用于洗衣机的气泵和具有其的洗衣机
CN212337570U (zh) 一种机械真空泵
BR112020004076A2 (pt) bomba de pistão articulado para fluidos líquidos e gasosos, e, uso de uma bomba de pistão articulado.
CN219012866U (zh) 气缸、泵体组件、压缩机及空调系统
CN208169125U (zh) 旋片式真空泵用底板及旋片式真空泵
JPH0427788A (ja) 密閉形圧縮機
KR200248253Y1 (ko) 소형 에어펌프
KR102358880B1 (ko) 회전용적형 펌프용 실링장치
CN209621649U (zh) 端盖带排气阀的摩托车油泵
RU23697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ачивания высоковязких жидкостей
KR20024287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펌핑장치
KR101839526B1 (ko) 왕복동 정량 펌프
KR101648706B1 (ko) 양방향 토출 구조형 자동차용 연료펌프
CN109854517A (zh) 端盖带排气阀的摩托车油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