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333B1 - Shoe outsole with free deformation - Google Patents
Shoe outsole with free de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8333B1 KR102018333B1 KR1020170181142A KR20170181142A KR102018333B1 KR 102018333 B1 KR102018333 B1 KR 102018333B1 KR 1020170181142 A KR1020170181142 A KR 1020170181142A KR 20170181142 A KR20170181142 A KR 20170181142A KR 102018333 B1 KR102018333 B1 KR 102018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s
- weight
- mat
- shoe outsole
- outs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신발 아웃솔은, 발바닥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매트; 매트의 하면에 접착되며 다수의 블럭이 서로 밀착되어 소정의 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지면접촉부재;를 포함하며, 다수의 블럭은 지면접촉부재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절개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블럭 중 전단 블럭과 후단 블럭은 세로방향으로만 절개 형성되어 타 블럭에 비해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다수개의 분할된 블럭이 조합되어 아웃솔을 구성하며, 국소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해당되는 분할 구역만 기울어지거나 상승되고 그외 부위는 평평한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발목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어 부상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고 피로감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shoe outsole with a free strain is disclosed. Shoe outs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at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ole; A ground contact member bonded to the bottom of the mat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ock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plate shape,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s are formed by cutting the ground contact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The inci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blocks are formed in the incision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de of a wider area than the other blocks.
According to this, a plurality of divided blocks are combined to form an outsole, and the ankle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because only a corresponding partition can be inclined or rais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a local part and a flat shape can be maintained elsewhere.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the risk of injury and reduce fatigue.
Description
개시되는 내용은 신발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갑피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신발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 The disclosure relates to a shoe out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outsole firmly coupled to the upper and supported on the ground.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신발은 보행시 지면 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위험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에 착용한다. Shoes are worn on the feet to protect them from the dangers of walking or ground.
보행시 지면에 산재해 있는 가시나 돌, 유리, 못 등과 같은 위험물이나 추위 등과 같은 기상환경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신발 본연의 기능에 더하여 패션(fashion)기능, 웰빙(well-being)기능 및 스포츠기능 등 다양한 기능성을 구비한 신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While walking, it is worn to protect the feet from weather conditions such as thorns, stones, glass, nails, etc., and cold weather, but recently, in addition to the original functions of shoes, fashion functions and well-being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hoes having various functionalities such as being and sports functions.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도 신흥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저가의 보급형 신발과 경쟁하기 위하여서는 제품의 고급화와 기능화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enterprise, in order to compete with low-priced shoes imported from emerging developing countries, continuous atten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high-quality and functionalization of products are needed.
신발은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솔과, 아웃솔의 테두리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비되어 발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갑피로 구성된다. The shoe is composed of an outso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n upper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edge of the outsole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oot.
아웃솔은 쿠션기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나 대개는 평편하게 형성된다. The outsole is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but is usually flat.
따라서 작은 돌을 밟았을때 아웃솔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지면서 발목에 무리한 힘을 주게 되어 발목과 무릎에 그대로 전달되며, 발목의 꺾임이 많았기 때문에 관절부위의 손상을 유발함은 물론 피로감도 빨리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when you step on a small stone, the outsole is tilted as a whole, giving an unreasonable force to the ankle, and it is transmitted to the ankle and knee as it is. .
개시되는 내용은 다수개의 분할된 블럭이 조합되어 아웃솔을 구성하며, 국소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해당되는 분할 구역만 기울어지거나 상승되고 그외 부위는 평평한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발목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어 부상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고 피로감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ed is that a plurality of divided blocks are combined to form an outsole, and the external area is tilted or raised due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ocal area, and the other area can be maintained in a flat shape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ank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strain to prevent the risk of injury and reduce fatigue.
실시예의 목적은, 갑피가 부착되는 아웃솔에 있어서, 발바닥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매트; 매트의 하면에 접착되며 다수의 블럭이 서로 밀착되어 소정의 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지면접촉부재;를 포함하며, 다수의 블럭은 지면접촉부재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절개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블럭 중 전단 블럭과 후단 블럭은 세로방향으로만 절개 형성되어 타 블럭에 비해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embodiment, in the outsole to which the upper is attached, a mat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ole; A ground contact member bonded to the bottom of the mat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ock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plate shape, wherein the plurality of blocks are formed by cutting the ground contact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The inci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may be achieved by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degree in which only an incis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area is wider than other blocks. have.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분할된 블럭이 조합되어 아웃솔을 구성하며, 국소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해당되는 분할 구역만 기울어지거나 상승되고 그외 부위는 평평한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발목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어 부상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고 피로감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 plurality of divided blocks are combined to form an outsole, and the ankle deformation is prevented because only a corresponding partition can be inclined or rais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ocal area and the other area can be kept flat. It can be minimized to prevent the risk of injuries and reduce fatigue.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의 작용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의 작용을 나타낸 정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It does not mean.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의 작용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의 작용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view of the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ront sectional view show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은, 갑피(미도시)가 부착되는 아웃솔에 있어서, 발바닥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매트(100); 매트(100)의 하면에 접착되며 다수의 블럭(220)이 서로 밀착되어 소정의 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지면접촉부재(200);를 포함한다. 1 to 5, the shoe outsole having a fre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outsole to which the upper (not shown) is attached, the
지면접촉부재(200)는 쿠션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다수의 블럭(220)이 형성된다. The
바람직하게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절개되는 형상은 곡선형의 절개선으로 절개하여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블럭(220)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hape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by cutting in a curved incision line, a plurality of blocks 220 may be form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럭(220)은, 전단 블럭(220a)(발가락 부분에 대응됨)과 후단 블럭(220b)(발뒷꿈치 부분에 대응됨)이 양측에 형성되고, 그 중간에는 다수의 블럭(22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plurality of blocks 220, the
상기 전단 블럭(220a)과 후단 블럭(220b)은 세로방향으로만 절개 형성되어 타 블럭(220c)에 비해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The
설명의 편의상 세로방향이라 함은 발바닥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가로방향이라 함은 발가락에서 발뒷꿈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sole to the other side,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direction from the toes toward the heel.
여기서 발바닥의 아치부위에 대응되는 중앙 블럭(220d)은 타 블럭(220c)에 비해 길이가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Here, the
발바닥의 아치부위에 대응되는 을 면적이 넓게 형성함으로써 작은 돌을 밟았을때 발목이 꺽이는 부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By forming a lar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ch area of the foo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injury of the ankle bending when stepping on a small stone.
중앙 블럭(220d)은 발목과 근접된 부위이므로 이 부분이 쉽게 꺽이면 발목이 부상당할 위험이 높아지므로 이 부분에 대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타 부위 보다 블럭(220)의 크기를 크게 형성한 것이다. Since the
한편 타 부위의 블럭(220c)들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 블럭(220a), 후단블럭(220) 및 중앙 블럭(220d)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쉽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형상이 변형된다라 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형상 변형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이, 비틀리면서 상승하는 형상 변형을 의미한다. Here, as the shape is deformed, as shown in FIG. 4, an excessively bent shape deformation or as shown in FIG. 5 means a shape deformation that rises while twisting.
한편 상기 매트(100)는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성을 갖는 상층부(120)와, 상층부(12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부(140)로 이루어진다. Meanwhil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4, the
상기 매트(100)의 상층부(120)는 폴리우레탄 20~30중량%, 폴리에틸렌 20~30중량%, 폴리프로필렌 30~40중량%를 혼합하여 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The
폴리우레탄은 20중량% 미만이면 탄성력이 저하되고, 30중량% 이상이면 과 탄성상태가 되어 착용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If the polyurethane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elastic force is lowered, if it is 30% by weight or m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lasticity is over and the fit is reduced.
폴리에틸렌은 20중량% 미만이면 가공성이 저하되고, 30중량% 이상이면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If the polyethylene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workability is lowered, and if it is 30% by weight or more, the durability is lowered.
폴리프로필렌은 30중량% 미만이면 내구성이 저하되고, 40중량% 이상이면 경도가 높아 굴절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If the polypropylene is less than 30% by weight, durability is lowered, and if it is 40% by weight or more, the hardness is high and the refractive index is lowered.
그리고 상기 매트(100)는 공중합체 100중량에 대해 기능성 오일이 3~5중량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And the
상기 기능성 오일은 박하유, 오렌지 향료,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가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The functional oil is composed of peppermint oil, orange fragranc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지면접촉부재(200)는 네오프렌 20~30중량%, 폴리우레탄 30~40중량%, 부틸아크릴 20~3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The
네오프렌은 20중량% 미만이면 내냉성과 내굴곡성이 저하되고, 30중량% 이상이면 경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If the neoprene is less than 20% by weight, cold resistance and bend resistance are lowered, and if it is 30% by weight or more, the hardness is lowered.
폴리우레탄은 30중량% 미만이면 내마모성이 저하되고, 40중량% 이상이면 탄성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If the polyurethane is less than 30% by weight, wear resistance is lowered, and if it is 40% by weight or more, the elasticity is lowered.
부틸아크릴은 20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부식성이 저하되고, 30중량% 이상이면 과도한 탄성을 갖게되어 가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Butyl acryl has a disadvantage in that elasticity and corrosiveness are lowered at less than 20% by weight, and excessive elasticity at 30% by weight or more reduces workability.
한편 다수의 블럭(220) 각각은 외면에 원형의 돌출부(224)가 형성되어 접지력과 마찰력이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220 may have a
여기서 돌출부(224)는 블럭(220)의 재질과 동종이거나 이종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이종 재질인 경우 블럭(220)은 경질이고, 돌출부(224)는 연질로 이루어진다. 또는 블럭(220) 보다 돌출부(224)가 경질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heterogeneous material, the block 220 is hard, and the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s self explanatory.
100 : 갑피 200 : 상층부재
300 : 중층부재 320 : 홈
340 : 공동부 400 : 하층부재100: upper 200: upper layer member
300: middle layer 320: groove
340: cavity 400: lower layer member
Claims (7)
발바닥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매트;
상기 매트의 하면에 접착되며 다수의 블럭이 서로 밀착되어 소정의 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지면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블럭은 지면접촉부재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절개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블럭 중 전단 블럭과 후단 블럭은 세로방향으로만 절개 형성되어 타 블럭에 비해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발바닥의 아치부위에 대응되는 중앙 블럭은 타 블럭에 비해 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블럭 각각은 외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접지력과 마찰력이 향상되되,
상기 블럭은 경질이고, 돌출부는 연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 In the outsole to which the upper is attached,
A mat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ole of the foot;
And a ground contact member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ock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plate shape.
The plurality of blocks are formed by cutting the ground contact membe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incision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ar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other blocks.
The central block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sole has a wider area than other blocks,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has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improve the traction and friction,
And said block is hard and the protrusion is soft.
상기 매트는 방수성을 갖는 상층부와, 상기 상층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 is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st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layer portion having a waterproof and the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portion.
상기 매트의 상층부는, 폴리우레탄 20~30중량%, 폴리에틸렌 20~30중량%, 폴리프로필렌 30~40중량%를 혼합하여 된 공중합체이고,
상기 공중합체 100중량에 대해 기능성 오일이 3~5중량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layer part of the mat is a copolymer obtained by mixing 20-30% by weight of polyurethane, 20-30% by weight of polyethylene, and 30-40% by weight of polypropylene,
Shoe outsole having a free st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oil is mixed 3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상기 기능성 오일은 박하유, 오렌지 향료,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가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unctional oil is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strain, characterized in that peppermint oil, orange fragranc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지면접촉부재는 네오프렌 20~30중량%, 폴리우레탄 30~40중량%, 부틸아크릴 20~3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도를 갖는 신발 아웃솔. The method of claim 1,
The ground contact member is a shoe outsole having a free strain, characterized in that 20 to 30% by weight of neoprene, 30 to 40% by weight of polyurethane, 20 to 30% by weight of butylacry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142A KR102018333B1 (en) | 2017-12-27 | 2017-12-27 | Shoe outsole with free de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142A KR102018333B1 (en) | 2017-12-27 | 2017-12-27 | Shoe outsole with free deform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151A KR20190079151A (en) | 2019-07-05 |
KR102018333B1 true KR102018333B1 (en) | 2019-09-04 |
Family
ID=6722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1142A KR102018333B1 (en) | 2017-12-27 | 2017-12-27 | Shoe outsole with free de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833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3056B1 (en) * | 2019-10-11 | 2021-07-29 |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 Adhesion and desorption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target element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66427A1 (en) * | 2004-01-30 | 2005-08-04 | Nike International Ltd. |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ports |
JP4620677B2 (en) * | 2003-10-09 | 2011-01-26 | ナイキ・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ootwear having a stretchable upper and a segmented footwear bottom structure |
WO2016076432A1 (en) * | 2014-11-14 | 2016-05-19 | 株式会社アシックス | Outer sole and sho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0799U (en) | 1998-06-16 | 2000-01-15 | 박경태 | slipper |
US8393028B2 (en) * | 2009-04-23 | 2013-03-12 | Nike, Inc. | Method of manufacturing footwear having sipes |
-
2017
- 2017-12-27 KR KR1020170181142A patent/KR1020183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20677B2 (en) * | 2003-10-09 | 2011-01-26 | ナイキ・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ootwear having a stretchable upper and a segmented footwear bottom structure |
US20050166427A1 (en) * | 2004-01-30 | 2005-08-04 | Nike International Ltd. |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ports |
WO2016076432A1 (en) * | 2014-11-14 | 2016-05-19 | 株式会社アシックス | Outer sole and sho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151A (en) | 201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01593B2 (en) | Insole of footwear with impact dispersion function and rolling walking function | |
US7047672B2 (en) |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urfaces | |
US20150027004A1 (en) | Flexible Footwear With Puncture Resistant Sole And Reinforced Strap Mounting | |
US20130185955A1 (en) | Ergonomic footwear | |
EP3471570B1 (en) | High heel shoe | |
KR20180021241A (en) |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 |
US20140109444A1 (en) | Shoe outsole | |
WO2008146376A1 (en) | Shoe and insole for the same | |
KR102018333B1 (en) | Shoe outsole with free deformation | |
KR200428447Y1 (en) | Insole for the shoes | |
KR20100056052A (en) | The insole providing a soft cusion to men's shoes | |
KR200467057Y1 (en) | Insole of shoes | |
KR20130025050A (en) | Shoe sole | |
KR101075787B1 (en) | Mid-sole for a shoes with impact dispersion and round walking function | |
KR200438822Y1 (en) | Penetration-resistant insert for safety boots | |
KR101251586B1 (en) | a sole having shock absorbing and distributing function | |
EP3892147B1 (en) | Shoe | |
JP2002142802A (en) | Footgear | |
KR200408738Y1 (en) | Penetration-resistant insert for safety boots | |
KR200491968Y1 (en) | Outsole for shoe | |
CN213820077U (en) | Novel sole and shoe with same | |
CN220192336U (en) | Flick bubble outsole and shoes | |
KR102417098B1 (en) | Heel mid sole and the heel mid sole manufacturing method protecting the ergonomic walk and joint and reduces fatigue | |
KR102310154B1 (en) | Functional slipper | |
KR20130056814A (en) | Article of footwe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