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754B1 - Created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 - Google Patents

Created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754B1
KR102017754B1 KR1020180026888A KR20180026888A KR102017754B1 KR 102017754 B1 KR102017754 B1 KR 102017754B1 KR 1020180026888 A KR1020180026888 A KR 1020180026888A KR 20180026888 A KR20180026888 A KR 20180026888A KR 102017754 B1 KR102017754 B1 KR 102017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indow
drone
web ser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임
Original Assignee
박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임 filed Critical 박정임
Priority to KR102018002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7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web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 orthogonal image and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us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 dron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orthogonal image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by a drone and provides a web service synchronizing the orthogonal image with spatial information such as GIS and the like. Accordingly, inconvenience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purchase for generating an individual orthogonal image and knowing how to use the program can be improved and difficulty of spatial information overlap and data management related to the orthogonal image can be improved through the web service with regard to the orthogonal image.

Description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Created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Create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드론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정사 영상(Ortho Image)을 생성하고 이를 GIS(Geographic/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등의 공간정보로 동기화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rtho image is generated using an image taken by a drone and an ortho image is generated by using a photographed image of a drone to synchronize and provide the ortho image to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 Geographic /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IS). It is about web service method of creation an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일반적으로, GPS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GIS 등의 공간정보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이를 통해 공급되는 위치정보는 인간 생활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정보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In general, as th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GPS and the GIS based thereon develops day by day, the location information supplied through this is positioned as essential information used in human life.

그러나, GPS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해 출력하는 위치정보는 단순 수치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위치정보만으로는 자신의 위치를 가늠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that the GPS confirms and outputs the user's location is a simple value, the user cannot estimate his / her own location only by the location information.

이에 종래에는 드론 등 UAV를 활용해 지상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한 영상들을 합성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정사영상을 분석하여 식생, DEM 등 여러 분석결과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the ground can be taken by using a UAV such as a drone, and the images can be synthesized to generate an orthoimage. By analyzing the orthoimage, various analysis results such as vegetation and DEM can be derived.

또한, 사용자는 해당 정사영상을 배경으로 과거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변화를 지도상의 위치에서 추적할 수 있게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can track the change from the past viewpoint to the current viewpoint based on the orthoimage in the position on the map.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사 영상은 "Pix4Dmapper, Agisoft Photoscan, 기타 프리웨어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개인이 직접 구입한 후 이를 컴퓨터에서 구동하는 독립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어 지는 것이다.However, the ortho images can be obtained through programs such as "Pix4Dmapper, Agisoft Photoscan, and other freeware. These programs can be purchased by individuals and used in an independent manner to run them on a computer.

이에따라, 종래에는 개인 컴퓨터를 통해 정사 영상을 생성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when generating an orthoimage through a personal computer,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정사 영상이 지리정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GIS 기반의 공간정보와 동기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First, the orthoimage was not synchronized with the GIS-based spati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website.

둘째, 개개인이 구입한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 되는 정사영상은 다른 공간정보와의 융합이 어려우며, 데이터가 분산 되어 관리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에 대한 관리가 체계화 되기 어려웠다.Second, ortho-images generated by programs purchased by individuals are difficult to integrate with other spatial information, and data can be distributed and managed, making it difficult to organize data management.

셋째, 외부 프로그램을 통해 정사영상을 생성시, 사용자마다 프로그램에 대한 숙련도가 다르므로 같은 데이터를 입력하더라도 결과가 다르게 나올 경우가 생긴다.Third, when the orthoimage is generated through an external program, the user may have different proficiency with the program. Therefore, even if the same data is input, the result may be different.

넷째, 개인별로 생성한 정사 영상은 관리가 각자 다르게 이루어지므로 서로간의 공유에 대한 기회가 없거나 적었다.Fourth, since ortho-images created by individuals are managed differently, there is little or no chance for sharing with each other.

등록특허공보 제10-1124438호(등록일 2012.02.29)Patent Registration No. 10-1124438 (Registration date 2012.02.29) 등록특허공보 제10-1409188호(등록일 2014.07.0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09188 (Registration date 2014.07.02.) 등록특허공보 제10-1772210호(등록일 2017.08.2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72210 (Registration Date 2017.08.22) 등록특허공보 제10-1790997호(등록일 2017.10.23)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90997 (Registration Date 2017.10.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기초로 정사영상(Ortho Image)을 생성하고 이를 GIS(Geographic/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등의 공간정보로 동기화시키는 웹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generates an ortho image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drone and synchronizes it with spatial information such as Geographic /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IS). To provide a web service method to mak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개인별 정사영상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구매와 그 사용 방법 숙지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acquiring a program for generating an individual orthoimage 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정사영상에 대한 웹 서비스를 통하여 다른 공간정보와 융합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n opportunity to integrate with other spatial information through a web service for orthoimages,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manage data.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은, (a) 드론에 의해 촬영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영상들을 서비스 요청자의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단말을 통해 웹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웹서버는 업로드되는 상기 영상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오류 케이스를 검사하여 정사영상 생성에 필요한 메타정보들을 취합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웹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여둔 정사 영상 생성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취합되는 상기 메타정보들을 기반으로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생성된 정사 영상을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에 전송하여 특정 GIS 맵 영역과 매쉬업(mashup)하여 동기화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rtho-image gener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web service method using a photographed image of a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terminal having an image of location information photographed by a drone through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service network; Uploading to a web server; (b) the web server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ploaded images from step (a), examines an error case of a user, and collects meta information necessary for generating an ortho image; (c) step (b), wherein the web server starts an orthoimage generation program built in a database to generate an orthoimage based on the collected meta information; And (d) mashing up the orthoimage generated from the step (c) to a service requester's terminal to mash up with a specific GIS map area to perform synchronization; It will include.

또한, 상기 (a)단계에서 웹서버에 선택 영상을 업로드시, 상기 웹서버를 통해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의 화면에 업로드 설정창을 표시하되, 상기 업로드 설정창은 정사 영상이 보여지는 레벨 구간을 설정하는 가시레벨 설정창과, 업로드하는 이미지를 하나의 정사 영상으로 합성할 때 각 이미지가 배치되는 정확도를 설정하는 정밀도 레벨 설정창과, 정사 영상을 생성시 이미지 품질을 설정하는 품질 레벨 설정창, 그리고 제목 설정창과 영상 선택창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uploading the selected image to the web server in the step (a), the upload setting wind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through the web server, the upload setting window is a visual setting for the level section in which the orthoimage is shown Level setting window, precision level setting window for setting the accuracy of placing each image when compositing the uploaded image into one ortho image, quality level setting window for setting the image quality when generating ortho images, title setting window and image selection It includes a window.

또한, 상기 업로드 설정창에는 미리보기 체크박스창을 더 포함하며, 서비스 요청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보기 체크박스창(a6)을 체크시, 상기 웹서버에서는 상기 영상 선택창에 의해 선택된 영상들의 업로드 이미지에 대한 프리뷰(Preview) 화면을 서비스 요청자의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다.The upload setting window may further include a preview checkbox window. When the service requester checks the preview checkbox window a6 using a terminal, the web server uploads images selected by the image selection window. A preview screen for the image is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또한, 상기 업로드 설정창에는 DEM 체크박스창을 더 포함하며, 서비스 요청자가 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DEM 체크박스창을 클릭시, 상기 웹서버에서는 정사 영상을 생성할 때 그 생성되는 정사 영상에 수치 지형(DEM; Digital Elevation Model) 영상을 포함시키는 것이다.The upload setting window may further include a DEM check box window, and when the service requester clicks on the DEM check box window using the terminal, the web server generates an ortho image. (DEM; Digital Elevation Model) image is included.

또한, 상기 프리뷰 화면에는 스타트 업로드창을 표시하되, 상기 스타트 업로드창을 클릭시, 상기 웹서버에서는 서비스 요청자의 상기 단말에 업로드 후의 정사 영상 작업예상시간을 표시하는 알림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view screen may display a start upload window, and when the start upload window is clicked, the web server may provide a notification window that displays an expected video work time after uploading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정사 영상이 메쉬업되는 특정 GIS 맵 영역은 공개용 GIS 배경 맵인 것이다.In addition, in step (d), the specific GIS map area where the ortho image is meshed up is a public GIS background map.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는 상기 정사 영상 생성 프로그램은 Pix4Dmapper 또는 Agisoft Photoscan인 것이다.In addition, the ortho image generating program built in the database is Pix4Dmapper or Agisoft Photoscan.

또한, 상기 (c)단계에는, 메타정보들을 기반으로 정사 영상을 생성시 그 생성된 정사 영상을 분할하는 타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The step (c)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tile image that divides the generated ortho image when generating the ortho image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에 동일한 위치에 대하여 과거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Also, in the step (d), the web server provides a split screen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to compare the past data with respect to the same location.

또한, 상기 (a)단계에서, 서비스 요청자는 단말을 통해 웹서버에 가입하여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고, 드론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들을 사용자 계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업로드시 그 업로드되는 영상들은 작업목록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a), the service requester subscribes to the web server through the terminal to register the user account, and when the images taken by the drone are upload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user account, the uploaded images are a work list It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생성되는 정사 영상 또는 타일 영상은 상기 웹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등록 저장되면서, 인증절차를 거친 서비스 요청자의 요청에 따라 검색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rtho-image or tile image generated in step (c)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user account in the database of the web server, it is possible to search and download at the request of the service requester who went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특정 GIS 맵 영역에 정사 영상을 메쉬업시킬 때 그 메쉬업 상태는 서비스 요청자의 등록된 이메일 계정이나 단말에 SNS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메일 계정이나 SNS 통보는 서비스 요청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a)단계에서 선택시 전송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d), when the web server meshes up an orthoimage to a specific GIS map area, the mesh up state may further include notifying the registered e-mail account or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via SNS. E-mail account or SNS notification is sent when the service requestor selects in step (a) using the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드론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기초로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GIS 등의 공간정보로 동기화시키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개인별 정사영상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구매와 그 사용 방법 숙지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고, 정사 영상에 대한 웹 서비스를 통해 정사 영상에 대한 공간 데이터 중첩 및 데이터 관리의 어려움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 service for generating an ortho image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by a drone and synchronizing it with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 GI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discomfort according to familiarity and to improve the difficulty of superimposing spatial data and data management on ortho images through web services for ortho imag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을 보인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에 제공되는 정사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웹서버의 초기 화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2에 표시된 업로드 설정창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영상들에 대한 프리뷰 화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알림창 화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동일지점에 대하여 과거 한 시점의 데이터와 다른 한 시점의 데이터가 비교될 수 있도록 구현된 분할화면도.
1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orthoimage using a captured image of a drone and a web service using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itial screen diagram of a web server for generating an orthoimage provided to a terminal of a service requ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load setting window shown in FIG. 2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eview screen for the image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notification window scree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plit scree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data at one point in time and data at another point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same point;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disclose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include modifications of the required forms. For example, the region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schematic attributes, and the shape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is intended to illustrate a particular form of region of the devic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even if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Also, although reference numerals are not indicated,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을 보인 전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orthoimage using a captured image of a drone and a web service using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요청자가 운용하는 위치 기반의 GPS가 탑재된 드론(100)에서 촬영한 영상들이 메모리카드(101)에 저장될 때 그 메모리카드(101)에 저장된 영상들을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200)을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을 가지는 웹서버(300)에 업로드시킬 때, 상기 웹서버(300)에서 정사 영상 또는 분할된 타일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베이스 GIS 맵의 특정 영역에 메쉬업시키는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이를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an orthogonal image gener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web service method using a photographed image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100 equipped with a location-based GPS operated by a service requester. When the photographed images are stored in the memory card 101, the web server when uploading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card 101 to a web server 300 having a user account using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200. After generating the ortho image or the divided tile image at 300, the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to mesh up the specific image of the base GIS map and then provided to the service requeste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a)단계로서, 상기 드론(100)에 의해 촬영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영상들이 메모리카드(101)에 저장되면, 상기 메모리카드(101)에 저장된 영상들을 서비스 요청자의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단말(200)을 통해 웹서버(300)에 업로드하는 것이다.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the step (a), when the image ha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drone 100 is stored in the memory card 101, the image stored in the memory card 101 To upload them to the web server 300 through the terminal 20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rvice requester's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웹서버(300)에 영상들을 업로드시, 상기 웹서버(300)를 통해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200)의 화면에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 GIS 맵 정보는 물론 업로드 설정창(11)을 표시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서비스 요청자는 단말(200)을 이용하여 상기 업로드 설정창(11)에 포함되는 가시레벨 설정창(a1)을 통해 정사 영상이 보여지는 레벨 구간을 설정한다.At this time, when uploading the image to the web server 300, the base GIS map information as well as the upload setting window as shown in Figs. 2 and 3 attached to the screen of the service requester terminal 200 through the web server 300 (11) is displayed, and accordingly, the service requester sets the level section in which the orthoimage is shown through the visible level setting window a1 included in the upload setting window 11 using the terminal 200.

또한, 상기 업로드 설정창(11)에 포함되는 정밀도 레벨 설정창(a2)을 통해서는 업로드하는 이미지를 하나의 정사 영상으로 합성할 때 각 이미지가 배치되는 정확도를 설정하고, 품질 레벨 설정창(a3)을 통해서는 정사 영상을 생성시 이미지 품질을 설정하는 한편, 제목 설정창(a4)을 통해 제목을 설정하고, 영상 선택창(a5)을 통해서는 업로드가 이루어진 영상들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ccuracy level setting window (a2) included in the upload setting window (11) sets the accuracy of placing each image when synthesizing the uploaded image into a single orthoimage, and through the quality level setting window (a3) Sets the image quality when generating the ortho image, sets the title through the title setting window a4, and selects the uploaded images through the image selection window a5.

여기서, 상기 업로드 설정창(11)에는 미리보기 체크박스창(a6)과 DEM 체크박스창(a7)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서비스 요청자는 단말(200)을 통해 상기 미리보기 체크박스창(a6)을 체크하는 경우, 상기 웹서버(300)에서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영상 선택창(a5)에 의해 선택된 영상들의 업로드 이미지에 대한 프리뷰(Preview) 화면을 서비스 요청자의 상기 단말(200)에 제공하도록 하였다.In this case, since the preview checkbox window a6 and the DEM checkbox window a7 are displayed on the upload setting window 11, the service requester checks the preview checkbox window a6 through the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web server 300 to provide a preview screen for the upload image of the images selected by the image selection window a5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as shown in FIG. It was.

그리고, 서비스 요청자가 단말(200)을 통해 상기 DEM 체크박스창(a7)을 클릭하는 경우에는, 상기 웹서버(300)에서 정사 영상을 생성할 때 그 생성되는 정사 영상에 수치 지형(DEM; Digital Elevation Model) 영상을 포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ervice requester clicks on the DEM checkbox window a7 through the terminal 200, the digital terrain digital image is generated on the generated orthoimage when the orthogonal image is generated by the web server 300. Elevation Model) will be able to include the image.

다음으로, 서비스 요청자가 단말(200)을 이용하여 첨부된 도 4의 스타트 업로드창(a8)을 클릭시, 상기 웹서버(300)에서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서비스 요청자의 상기 단말(200)에 업로드 후의 정사 영상 작업예상시간을 표시하는 알림창(a9)을 표출시키게 된다.Next, when the service requester clicks the start upload window a8 of FIG. 4 attached using the terminal 200, the web server 300, as shown in FIG. The notification window a9 displaying the estimated time of ortho-image work after uploading is displayed.

그러면, 서비스 요청자는 상기와 같은 알림창(a9)을 통해 정사영상의 생성시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특정 시간 이후 단말상태가 오프라인이 되지 않는 한 사용자가 지도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service requester can easily recognize the creation time of the orthoimage through the notification window (a9)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on the map as long as the terminal state is not offline after a specific time.

이때, 서비스 요청자는 드론(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을 업로드하여 정사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제공받을 때, 단말(200)을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300)에 이메일 계정이나 SNS 통보를 요청할 수 있는데, 이메일 계정이나 SNS 요청시에는 정사 영상이 생성되었을 때 이를 바로 서비스 요청자에게 통보하는 것이고, 요청이 없을 경우 상기 웹서버(300)는 생성된 정사 영상을 데이터 베이스(301)에 등록 저장하여둠으로써, 추후 사용자 계정을 가진 서비스 요청자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301)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정사 영상의 열람이나 다운로드만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service requester may request an e-mail account or SNS notification to the web server 300 by using the terminal 200 when uploading the images taken by the drone 100 to generate an ortho image and receiving the image. In the case of an e-mail account or an SNS request, when an ortho image is generated, it is immediately notified to the service requester. If there is no request, the web server 300 registers and stores the generated orthoimage in the database 301. In the future, a service requester having a user account can only view or download the orthoimage generated by searching the database 301.

다음의 (b)단계로서, 상기 웹서버(300)는 업로드되는 상기 영상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오류 케이스를 검사하여 정사영상 생성에 필요한 메타정보들을 취합하는 것이다.In the following step (b), the web server 30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ploaded images, and collects meta information necessary for generating an ortho image by checking an error case of a user.

여기서, 상기 웹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01)에는 공개용 GIS 배경 맵으로서 베이스 GIS 맵 정보가 구축되고 이는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200)에 제공되는 것이다.Here, the base GIS map information is constructed in the database 301 of the web server 300 as a public GIS background map, which is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of the service requester.

다음의 (c)단계로서,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1)에 구축하여둔 공지의 정사 영상 생성 프로그램인 Pix4Dmapper 또는 Agisoft Photoscan을 가동시켜, 업로드되는 상기 영상들을 기초로 하여 취합된 메타정보들을 기반으로 하나의 정사 영상 및 이의 분할된 타일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301)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자의 사용자 계정에 등록 저장하여 두는 것이다.In the following step (c), the web server 300 runs Pix4Dmapper or Agisoft Photoscan, a well-known orthoimage generating program built in the database 301, and collects the meta based on the uploaded images. Based on the information, one orthogonal image and its divided tile image ar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301 in the user requester's user account.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301)의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정보들은 서비스 요청자의 인증절차를 거친 이후에, 검색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user account of the database 301 can be searched and downloaded after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service requester.

다음의 (d)단계로서,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c)단계로부터 생성된 하나의 정사 영상을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200)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200)에 표시되는 베이스 GIS 맵의 특정 GIS 맵 영역에 메쉬업(mashup)하는 동기화를 진행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following step (d), the web server 300 transmits one orthogonal image generated from the step (c) to the service requester's terminal 200, and the base GIS map displayed on the terminal 200. Synchronize to mesh up to a specific GIS map area.

이때,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웹서버(300)는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200)에 상기 베이스 GIS 맵의 특정 GIS 맵 영역, 즉 동일지점에 대하여 과거 한 시점의 데이터(B1)와 다른 한 시점의 데이터(B2)가 비교될 수 있도록 하는 분할화면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따라 서비스 요청자는 상기와 같은 분할 화면을 통해 특정 GIS 맵 영역에서 정사 영상의 메쉬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web server 300 is different from the data B1 of a past time point with respect to a specific GIS map area of the base GIS map, that is, the same point, in the terminal 200 of the service requester. A split screen is provided so that data B2 at one time point can be compared. Accordingly, the service requester can check the mesh up state of the orthoimage in a specific GIS map area through the split screen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서비스 요청자가 단말(200)을 통해 DEM 체크박스창(a7)을 클릭하여둔 경우, 상기 웹서버(300)에서는 특정 GIS 맵 영역에 생성된 정사 영상을 메쉬업시킬 때, 메쉬업되는 정사 영상에는 수치 지형(DEM) 영상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Here, in the step (a), when the service requester has clicked the DEM check box window a7 through the terminal 200, the web server 300 meshes up the orthoimage generated in the specific GIS map area. When the meshed up ortho image may include a digital terrain (DEM) image.

이에따라, 드론(100)을 통해 촬영이 이루어진 특정 지역에 대한 영상들이 상기 웹서버(300)를 통해 하나의 정사 영상으로 생성된 후 베이스 GIS 맵에 메쉬업되는 동기화가 이루어지므로, 서비스 요청자는 동기화되는 정사 영상을 배경으로 지형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다른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since the images for a specific region where the shooting is performed through the drone 100 are generated as one orthogonal image through the web server 300 and then synchronized up to the base GIS map, the service requester is synchronized. Based on the orthoimage, the terrain can be accurately understood and other analysis results can be deri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technical idea of an orthoimage generation using a photographed image of a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eb service method using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n accompanying drawing, which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드론
101; 메모리카드
200; 서비스 요청자 단말
300; 웹서버
301; 데이터베이스
100; drone
101; Memory card
200; Service requester terminal
300; Web server
301; Database

Claims (11)

(a) 드론에 의해 촬영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영상들을 서비스 요청자의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단말을 통해 웹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웹서버는 업로드되는 상기 영상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오류 케이스를 검사하여 정사영상 생성에 필요한 메타정보들을 취합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웹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여둔 정사 영상 생성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취합되는 상기 메타정보들을 기반으로 하나의 정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웹서버는 생성된 정사 영상을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에 전송하여 특정 GIS 맵 영역과 매쉬업(mashup)하여 동기화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에서 웹서버에 선택 영상을 업로드시, 상기 웹서버를 통해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의 화면에 업로드 설정창을 표시하되, 상기 업로드 설정창은 정사 영상이 보여지는 레벨 구간을 설정하는 가시레벨 설정창과, 업로드하는 이미지를 하나의 정사 영상으로 합성할 때 각 이미지가 배치되는 정확도를 설정하는 정밀도 레벨 설정창과, 정사 영상을 생성시 이미지 품질을 설정하는 품질 레벨 설정창, 그리고 제목 설정창과 영상 선택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a) uploading images having location information captured by a drone to a web server through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service requester;
(b) the web server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ploaded images from step (a), examines an error case of a user, and collects meta information necessary for generating an ortho image;
(c) step (b), wherein the web server starts an orthoimage generation program built in a database to generate an orthoimage based on the collected meta information; And,
(d) transmitting the orthoimage generated from the step (c)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and mashing up the specific GIS map area to perform synchronization; Including,
When uploading the selected image to the web server in the step (a), the upload setting wind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through the web server, the upload setting window is a visible level setting window for setting the level section in which the orthoimage is shown And a precision level setting window for setting the accuracy of placing each image when composing an uploaded image into a single ortho image, a quality level setting window for setting an image quality when generating ortho images, a title setting window and an image selection window. Web service method using orthogonal image gener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설정창에는 미리보기 체크박스창을 더 포함하며, 서비스 요청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보기 체크박스창을 체크시, 상기 웹서버에서는 상기 영상 선택창에 의해 선택된 영상들의 업로드 이미지에 대한 프리뷰(Preview) 화면을 서비스 요청자의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pload setting window further includes a preview checkbox window. When the service requester checks the preview checkbox window using a terminal, the web server previews the uploaded image of the images selected by the video selection window. Preview) Web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orthoimages us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dro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ing a screen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설정창에는 DEM 체크박스창을 더 포함하며, 서비스 요청자가 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DEM 체크박스창을 클릭시, 상기 웹서버에서는 정사 영상을 생성할 때 그 생성되는 정사 영상에 수치 지형(DEM; Digital Elevation Model) 영상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pload setting window further includes a DEM checkbox window, and when a service requester clicks on the DEM checkbox window using the terminal, the web server generates an ortho image, and the digital terrain (DEM) is generated on the generated ortho image. Digital Elevation Model) Web service method using orthogonal image gener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dron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ima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에는 스타트 업로드창을 표시하되, 상기 스타트 업로드창을 클릭시, 상기 웹서버에서는 서비스 요청자의 상기 단말에 업로드 후의 정사 영상 작업예상시간을 표시하는 알림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start upload window is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but when the start upload window is clicked, the web server provides a notification window for displaying an expected video work time after uploading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Web service method using orthogonal image gener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sing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정사 영상이 메쉬업되는 특정 GIS 맵 영역은 공개용 GIS 배경 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d), the specific GIS map area in which the ortho image is meshed up is a public GIS background m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는, 메타정보들을 기반으로 정사 영상을 생성시 그 생성된 정사 영상을 분할하는 타일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c), generating the ortho image based on the meta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tile image for dividing the generated ortho image; Ortho image generation using the photographing image of the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web service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서비스 요청자의 단말에 동일한 위치에 대하여 과거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d), the web server generates a orthoimage us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drone, and the web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split screen to compare the past data to the terminal of the service requester for the same location Service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서비스 요청자는 단말을 통해 웹서버에 가입하여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고, 드론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들을 사용자 계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업로드시 그 업로드되는 영상들은 작업목록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a), the service requester registers the user account by joining the web server through the terminal and uploads the images taken by the drone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user account, and the uploaded images are the work list in the database. Web service method using orthogonal image gener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stration and storag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생성되는 정사 영상 또는 타일 영상은 사용자 계정을 가진느 서비스 요청자의 요청에 따라 검색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상기 웹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등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rthoimage or the tile image generated in the step (c) may be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user account in the database of the web server to be searched and downloaded at the request of a service requester having a user account. Web service method using orthogonal image gener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sing drone's captured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웹서버는 특정 GIS 맵 영역에 정사 영상을 메쉬업시킬 때 그 메쉬업 상태는 서비스 요청자의 등록된 이메일 계정이나 단말에 SNS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메일 계정이나 SNS 통보는 서비스 요청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a)단계에서 선택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촬영 영상을 이용한 정사 영상 생성과 공간정보 활용 웹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d), when the web server meshes up an ortho image to a specific GIS map area, the mesh up state further includes notifying the registered email account of the service requester or the terminal to the SNS.
The e-mail account or the SNS notification is sent by the service requestor when the user selects in the step (a) by using the terminal image gener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web service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drone.
KR1020180026888A 2018-03-07 2018-03-07 Created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 KR102017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88A KR102017754B1 (en) 2018-03-07 2018-03-07 Created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88A KR102017754B1 (en) 2018-03-07 2018-03-07 Created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754B1 true KR102017754B1 (en) 2019-09-03

Family

ID=6795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88A KR102017754B1 (en) 2018-03-07 2018-03-07 Created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754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814A (en) * 2019-09-23 2021-03-31 (주)하이텍알씨디코리아 Drone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KR20210081042A (en) 2019-12-23 2021-07-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providing platform for transacting drone image onlin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399801B1 (en) 2021-12-22 2022-05-19 주식회사 유시스 Drone online matching service platform and method thereof
KR20220113072A (en)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엠지아이에스 Ortho image automation generating method of using network parallel processing
CN114942013A (en) * 2022-04-29 2022-08-26 浙江航冠工程设计有限公司 A remote sensing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opographic information gathers
KR20220118865A (en) 2021-02-19 2022-08-26 유대상 System and method for change management of facilities through recognition of structural objects and integration of multiple images
KR102444507B1 (en) 2021-12-22 2022-09-20 주식회사 유시스 Platform for Serving Drone Contents
KR102445296B1 (en) * 2021-10-14 2022-09-20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management systems of image by dron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660A (en)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hree-dimensional urban model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urban modeling method
KR101124438B1 (en) 2011-12-26 2012-03-21 중앙항업(주) System providing digital map data, ortho image and aerial oblique image of fire area using smart-phone equipped with aerial image and gps-module and communication-module
KR101409188B1 (en) 2013-12-09 2014-07-02 뉴비전엔지니어링(주) 3D image system synthesizing the private picture image in editting the digital aerial photography information
KR20160119990A (en) * 2015-04-07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20955A (en) * 2015-04-09 2016-10-19 네이버시스템(주) Module for multi diensional vedio information visualization
KR101762927B1 (en) * 2016-12-30 2017-07-2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of panorama auto labeling with dron captured image
KR101772210B1 (en) 2017-04-20 2017-08-28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Golf course sprinkler management system using drone photographing data and GIS analysis methods
KR101790997B1 (en) 2017-06-30 2017-10-30 대원항업 주식회사 Production systme of ortho image using aerial photograph and aerial imag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660A (en)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hree-dimensional urban model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urban modeling method
KR101124438B1 (en) 2011-12-26 2012-03-21 중앙항업(주) System providing digital map data, ortho image and aerial oblique image of fire area using smart-phone equipped with aerial image and gps-module and communication-module
KR101409188B1 (en) 2013-12-09 2014-07-02 뉴비전엔지니어링(주) 3D image system synthesizing the private picture image in editting the digital aerial photography information
KR20160119990A (en) * 2015-04-07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20955A (en) * 2015-04-09 2016-10-19 네이버시스템(주) Module for multi diensional vedio information visualization
KR101762927B1 (en) * 2016-12-30 2017-07-2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System of panorama auto labeling with dron captured image
KR101772210B1 (en) 2017-04-20 2017-08-28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Golf course sprinkler management system using drone photographing data and GIS analysis methods
KR101790997B1 (en) 2017-06-30 2017-10-30 대원항업 주식회사 Production systme of ortho image using aerial photograph and aerial imag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208B1 (en) * 2019-09-23 2021-04-20 (주)하이텍알씨디코리아 Drone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KR20210034814A (en) * 2019-09-23 2021-03-31 (주)하이텍알씨디코리아 Drone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KR20210081042A (en) 2019-12-23 2021-07-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providing platform for transacting drone image onlin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451558B1 (en) 2021-02-05 2022-10-06 주식회사 엠지아이에스 Ortho image automation generating method of using network parallel processing
KR20220113072A (en)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엠지아이에스 Ortho image automation generating method of using network parallel processing
KR20220118865A (en) 2021-02-19 2022-08-26 유대상 System and method for change management of facilities through recognition of structural objects and integration of multiple images
KR102445296B1 (en) * 2021-10-14 2022-09-20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management systems of image by drone
KR102444508B1 (en) 2021-12-22 2022-09-19 주식회사 유시스 Drone online matching service platform
KR102444507B1 (en) 2021-12-22 2022-09-20 주식회사 유시스 Platform for Serving Drone Contents
KR102399801B1 (en) 2021-12-22 2022-05-19 주식회사 유시스 Drone online matching service platform and method thereof
KR102459027B1 (en) 2021-12-22 2022-10-27 주식회사 유시스 Platform and Method for Serving Drone Contents
CN114942013A (en) * 2022-04-29 2022-08-26 浙江航冠工程设计有限公司 A remote sensing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opographic information gathers
CN114942013B (en) * 2022-04-29 2024-05-14 浙江航冠工程设计有限公司 Remote sensing unmanned aerial vehicle for collecting topographic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754B1 (en) Created of ortho Image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drone and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web service method
US10007798B2 (en) Method for managing privacy of digital images
US10015252B2 (en) Storing content items
JP5995520B2 (en) Image processing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hadow support method
US20140343984A1 (en) Spatial crowdsourcing with trustworthy query answering
US20110292231A1 (en) System for managing privacy of digital images
EP3226514B1 (en) Picture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CN105122789A (en) Digital platform for user-generated video synchronized editing
US20160004723A1 (en) Providing Geographically Relevant Information to Users
US92183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files based on an identification code
CN105630791B (en) Network album browsing method and device
US20150358390A1 (en) Method and system to share visual content across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to generate interest, support and funding for philanthropic and for social causes
US10681155B1 (en) Presenting user activity timeline in a colloquial style
Windarni et al. Using GPS and Google maps for mapping digital land certificates
JP2008269411A (en) Image keyword editing system, image keyword provision server and image keyword editing device
JP2009134333A (en) Digital photograph sharing system device
US107717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amera footage from a plurality of cameras in canvassing a scene
CN106570675B (en) Multi-user tim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10639224B2 (en) Message display apparatus, a message display method, and a message display program
CN113366827B (en) Imaging method and system
JP73590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N104462234A (en) Visible information system and visible information supply method
WO2016152483A1 (en) User interest estimation system an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20180357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 time processing of event images
JP5387246B2 (en) Content display device and content display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