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283B1 -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283B1
KR102017283B1 KR1020120043893A KR20120043893A KR102017283B1 KR 102017283 B1 KR102017283 B1 KR 102017283B1 KR 1020120043893 A KR1020120043893 A KR 1020120043893A KR 20120043893 A KR20120043893 A KR 20120043893A KR 102017283 B1 KR102017283 B1 KR 10201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s
application
background screen
execu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761A (ko
Inventor
김철주
김강태
김덕현
김은영
선광원
한종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283B1/ko
Priority to AU2013202944A priority patent/AU2013202944B2/en
Priority to US13/861,722 priority patent/US9477370B2/en
Priority to PCT/KR2013/003219 priority patent/WO2013162200A1/en
Priority to EP13165446.9A priority patent/EP2657831A3/en
Priority to CN2013101504190A priority patent/CN103376989A/zh
Priority to CN201910106710.5A priority patent/CN109814792A/zh
Publication of KR2013012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761A/ko
Priority to US15/280,288 priority patent/US103870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고, 이러한 실행에 기초하여 배경 화면을 확장하며,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고,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확장된 배경 화면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A DEVICE}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정하게는 배경 화면을 확장하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기의 발달로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content provider)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을 통하여 콘텐트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 기기의 데이터 처리량 및 처리 속도의 증가, 데이터 저장 능력의 증가는 기존에 비하여 사용자가 보다 많은 업무(task)를 한꺼번에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하였다. 즉, 이러한 향상된 능력의 전자 기기는 기기간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파일의 편집, 재생, 문서 편집 및 사진 촬영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다양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하여 이러한 업무 등을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래의 전자 기기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준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는 단계, 실행에 기초하여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배경 화면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단계는,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순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확장된 배경 화면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이동된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경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상응하게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 확장된 배경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부, 실행에 기초하여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화면 확장부,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배치부 및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배경 화면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 확장부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부는,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순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확장된 배경 화면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화면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이동된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배경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상응하게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 확장된 배경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을 이동됨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경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의 이동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변경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된다면, 현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보다 앞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은 대기 중인 상태로 머무르게 된다. 다시 말해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다른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실행이 중지(pause)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실행이 중지된 애플리케이션들, 다시 말해서 대기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은 중지 상태로 되기 전의 자신의 실행 화면의 스냅 샷 등을 디스플레이한 채로 실행이 중지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하려 한다면, 디바이스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중지 상태로 변경시키고 전환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 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업무의 지속성이 단절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중앙 처리 장치(CPU) 및 메모리 등의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개인휴대용단말기(PDA),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는 단계(S100), 실행에 기초하여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S200),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단계(S300) 및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된다는 것은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은 모두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은 동시에 실행 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순차적으로 또는 한꺼번에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배경 화면(300)은 후술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1)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30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S20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경 화면이 확장되는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단계(S300)는,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순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애플리케이션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만 실행 중일 때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1)만큼의 크기를 갖는 배경 화면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경 화면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됨에 따라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확장된 배경 화면(300)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킨다는 것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동작을 개시하고, 애플리케이션들 모두를 실행 중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된다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4)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30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301)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전체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300) 상에 배치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순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에 따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순서에 따라서, 배경 화면(3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영화, 음악 등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배경 화면의 특정 영역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영화, 음악 등의 감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배경 화면(30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배치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빈도 등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선호도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을 확장된 배경 화면(300)에 가장 먼저 배치하고, 이후의 선호도의 순위에 따라서 나머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을 이동됨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변경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300)의 이동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1)의 변경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500), 수신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확장된 배경 화면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600) 및 이동된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경 화면(3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상응하게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1)이 변경될 수 있다.
확장된 배경 화면(3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배경 화면(300)의 이동에 따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1)은 변경 가능하고, 확장된 배경 화면(300)의 이동만큼 배경 화면(30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200)들도 함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200)들은 확장된 배경 화면(300)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확장된 배경 화면(300)의 이동량만큼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전체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00)의 상단 부분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확장된 배경 화면(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실행 화면(200)의 상단 부분은 좌측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확장된 배경 화면(3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배경 화면(300)은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200)들을 포함하는 화면으로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1)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302)은, 확장된 배경 화면(300)이 이동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각각 변경 가능하고, 이와 함께 확장된 배경 화면(300) 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전체(200)가 완전히 디스플레이되거나, 실행 화면의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300)에 배치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000),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000), 수신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S3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 확장된 배경(300)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다.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00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외부 입력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터치, 키보드, 조이스틱, 마우스 등을 이용한 선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1.5초, 2초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인가되는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000)는, 외부 입력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인가되는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입력은 실행 화면에 대한 터치, 키보드, 조이스틱,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인가되는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입력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확장된 배경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위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 변경은, 예를 들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상단 부분을 더블 클릭함으로써, 실행 화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실행 화면의 25%, 75%, 100%로 다양한 비율로 크기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위치 변경은, 예컨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상단 부분을 드래그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확장된 배경 화면(30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위치를 변경(710에서 711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것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특정 부분을 클릭함으로써 종료시키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확장된 배경 화면(300)의 하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종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화면 상의 종료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확장된 배경 화면(300)의 하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9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90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부(910), 실행에 기초하여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화면 확장부(920),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배치부(930) 및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배경 화면(300)은 디스플레이부(940)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1)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302)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 확장부(92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301)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배경 화면(300)을 확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부(930)는,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확장된 배경 화면(30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순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900)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9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950), 수신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확장된 배경 화면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화면 이동부(9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940)는 이동된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배경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상응하게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900)는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970),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950), 수신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9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 확장된 배경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과 관련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이러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실행에 기초하여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
    상기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은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따라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선호도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배치한 후,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에 따라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된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경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상응하게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 상기 확장된 배경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부;
    상기 실행에 기초하여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화면 확장부;
    상기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에 배치하는 배치부; 및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에 따라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선호도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배치한 후,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에 따라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의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장부는,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배경 화면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순서,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외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확장된 배경 화면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화면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동된 확장된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배경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상응하게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향은 상, 하, 좌, 우,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 상기 확장된 배경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43893A 2012-04-26 2012-04-26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93A KR102017283B1 (ko) 2012-04-26 2012-04-26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13202944A AU2013202944B2 (en) 2012-04-26 2013-04-08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13/861,722 US9477370B2 (en) 2012-04-26 2013-04-12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PCT/KR2013/003219 WO2013162200A1 (en) 2012-04-26 2013-04-17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EP13165446.9A EP2657831A3 (en) 2012-04-26 2013-04-25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CN2013101504190A CN103376989A (zh) 2012-04-26 2013-04-26 显示多页、多个应用的方法及终端、运行多个应用的方法
CN201910106710.5A CN109814792A (zh) 2012-04-26 2013-04-26 显示多页、多个应用的方法及终端、运行多个应用的方法
US15/280,288 US10387016B2 (en) 2012-04-26 2016-09-29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893A KR102017283B1 (ko) 2012-04-26 2012-04-26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61A KR20130120761A (ko) 2013-11-05
KR102017283B1 true KR102017283B1 (ko) 2019-09-03

Family

ID=4985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93A KR102017283B1 (ko) 2012-04-26 2012-04-26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02944B2 (en) 2012-04-26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KR102016975B1 (ko) 2012-07-27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148543A4 (en) 2020-10-23 2024-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4055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20110078624A1 (en) * 2009-09-25 2011-03-31 Julian Missig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JP2011209824A (ja) * 2010-03-29 2011-10-20 Panasonic Corp 情報機器および携帯情報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64055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20110078624A1 (en) * 2009-09-25 2011-03-31 Julian Missig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JP2011209824A (ja) * 2010-03-29 2011-10-20 Panasonic Corp 情報機器および携帯情報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761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4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7688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list items and changing hierarchical level of display
TWI570580B (zh) 巡覽一瀏覽器中之複數個內容項目的方法、電腦系統及電腦程式產品
US7880728B2 (en) Application switching via a touch screen interface
KR100977385B1 (ko) 위젯형 대기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대기화면 제어 방법
US8386944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471197B2 (en) Category search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KR101433490B1 (ko) 터치 스크린 기기 잠금 해제
JP6153868B2 (ja) アイテムをディスプレー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20013552A1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control method for screen brightness thereof
KR101624157B1 (ko) 컨텐츠 탐색을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US100735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US20110145745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147849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ethod thereof
EP2224321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6223405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2015008221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user interface
EP2521025B1 (en) Component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user device
WO2015092489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700831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5009553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4141548A1 (ja) 表示制御
JP5840722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102017283B1 (ko)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30187860A1 (en) Regulation of navigation speed among displayed item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