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157B1 -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157B1
KR102017157B1 KR1020170127710A KR20170127710A KR102017157B1 KR 102017157 B1 KR102017157 B1 KR 102017157B1 KR 1020170127710 A KR1020170127710 A KR 1020170127710A KR 20170127710 A KR20170127710 A KR 20170127710A KR 102017157 B1 KR102017157 B1 KR 10201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live
detection sensor
control unit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902A (ko
Inventor
임혁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02J2007/006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에 부착되어 활선 경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10)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활선검출 센서카드(100)와; 상기 활선검출 센서(100)가 탈부착 가능한 슬롯(201)과, 상기 슬롯(201)에 장착된 활선검출 센서(100)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입출력포트(251)와, 상기 입출력포트(251)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제어부(202)와,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240)와, 상기 충전지(2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232)가 마련된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지(240)의 전원 공급에 의해 점등이 이루어지는 조명부(210)와; 상기 충전지(240)에서 상기 조명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조명버튼(233)과; 상기 몸체부(200)에 구비되어 안전모에 압입되어 조립이 가능한 고정구(2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Light Equipment for safety helmet with live wire alarm}
본 발명은 안전모에 부착되어 활선 경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나 변전소와 같은 전력공급설비의 송배전라인을 개보수하는 작업과정에서 감전과 같은 인적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안전모의 둘레 면에 활선접근경보기를 밴드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활선접근경보기는 경보기와 전계감지용 안테나로 구성되어 전계감지 안테나에서 전계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경보기가 작동되어 경보음을 발생한다.
또한 작업 환경(실내)에 따라서는 조명장치를 필요로 하여 안전모에 착용 가능한 조명장치가 나와 있으나, 활선접근경보기와 조명장치가 안전모에 따로 장착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안전모에 착용이 용이하지 않고 휴대가 불편하여 안전한 작업 여건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8984호(공개일자: 2009.06.29.)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 기능과 활선경보 기능의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여 휴대성을 개선하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특정 기능만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이하, "안전모용 조명장치"라 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조명장치는, 전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활선검출 센서와; 상기 활선검출 센서가 탈부착 가능한 슬롯과, 상기 슬롯에 장착된 활선검출 센서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입출력포트와, 상기 입출력포트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제1제어부와,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가 마련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지의 전원 공급에 의해 점등이 이루어지는 조명부와; 상기 충전지에서 상기 조명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조명버튼과;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안전모에 압입되어 조립이 가능한 고정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시험버튼과; 상기 제1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시험버튼의 조작에 의해 점등이 이루어지는 경고램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시험버튼의 조작에 의해 점등이 이루어지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램프와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제어부에서 발생된 경보 신호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는 절개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되어 몸체부 하부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충전포트는 USB포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조명장치는, 안전모에 끼움 고정이 가능하고 조명부가 일체로 구성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에 슬롯 형태로 삽입이 이루어져 활선 경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활선검출 센서로 구성되어, 조명 기능과 활선경보 기능의 두 가지를 모두 구비하여 휴대성을 개선하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활선 경보 기능을 위한 센서를 제거하여 조명 기능만으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의 (a)(b)(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조명장치의 정면, 우측면 및 좌측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조명장치의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a)(b)(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조명장치의 정면, 우측면 및 좌측면의 외관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안전모용 조명장치는, 전계를 검출하여 활선 감지하게 되는 카드 타입의 활선검출 센서(100)와, 조명등(210)과 고정구(220)가 구비되고 활선검출 센서(100)가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좌우 슬롯(201)이 형성된 몸체부(200)를 포함한다.
활선검출 센서(100)는 활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되며, 슬롯(201)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몸체부(200)는 내부에 충전지가 내장되며, 전방으로 조명부(210)가 구비되어 점등이 이루어지며, 조명부(210)는 고휘도의 LED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집광을 위한 렌즈가 부가될 수 있다.
몸체부(200)는 전방에 경고램프(211)가 부가될 수 있으며, 경고램프(211)는 활선 검출 또는 활선 경보 테스트 시에 점등(또는 점멸)될 수 있으며, 또한 충전지의 충전 시에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성 보조램프로 사용될 수 있다. 경고램프(211)는 다색 LED에 의해 제공되어 각 상태에 따라서 특정 색깔로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00) 하부에는 안전모에 압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는 고정구(220)가 마련된다. 고정구(220)는 횡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끼움홈(221)이 형성되어 몸체부(200) 하부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안전모에 돌출 형성된 차양에 끼움홈(221)을 끼워 넣어 몸체부(220)가 안전모에 고정된다. 고정구(220)는 안전모와 고정 시에 마찰력을 크게 하여 밀착 및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또는 홈을 만들어 오링, 고무판등을 추가할 수 있다.
몸체부(200)의 우측에는 스피커홀(231)이 형성되며, 몸체부(200) 내에 마련된 스피커의 출력은 스피커홀(231)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스피커는 활선 검출 또는 활선 경보 테스트 시에 경보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의 우측에는 충전포트로서 USB포트(232)가 마련될 수 있으며, USB포트(232)를 통해 충전지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충전지는 니켈 카드뮴(Ni-Cd), 알카라인 전지, 리튬 이온(Ni-ion) 또는 리튬 폴리머(Li-polymer)와 같은 주지의 충전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의 좌측에는 조명부(210)의 점등 조작을 위한 조명버튼(233)과, 활선경보의 동작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버튼(234)을 포함한다.
조명버튼(233)은 조명부(210)에 인가되는 충전지(240)의 전원을 단속하며, 조명버튼(233)의 조작에 의해 조명부(210)의 온/오프가 이루어진다.
시험버튼(234)은 경고램프(211)와 스피커(26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험버튼(234) 조작 시에 경고램프(211)와 스피커(260)의 작동이 이루어지며, 작업자는 시험버튼(234)을 조작하여 정상 작동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여 활선 검출 시에 경고램프(211) 또는 스피커(260)의 고장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경고램프(211), USB포트(232), 스피커홀(231), 조명버튼(233) 및 시험버튼(234)의 위치는 특정된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조명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활선검출 센서(100)는 전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10)를 포함한다.
검출부(110)는 주변에 전압이 인가된 선로 또는 설비와 발생된 전계를 감지하게 되며 감지된 전계 신호를 입출력포트(251)를 통해 제1제어부(120)로 전달하며, 제1제어부(120)는 검출부(11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입출력포트(251)를 통해 수신하여 활선 경보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활선검출 센서(100)는 몸체부(200)의 슬롯(201)에 장착되어 활성(active)되며, 구체적으로는, 입출력포트(251)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후에 충전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몸체부(200)는 전기적 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제1제어부(120)를 포함하며, 제1제어부(120)는 입출력포트(251)를 통해 전달된 활선 경보 신호에 의해 스피커(260)와 경고램프(211)를 작동한다.
한편, 조명부(210)는 사용자의 조명버튼(233)의 조작에 조작 신호가 발생되고 이 조작 신호는 제2제어부(250)로 전달되어 조명부(21)로 공급되는 충전지(240)의 전원 공급에 대한 단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제어부(250)는 제1제어부(120)와 구분된 구성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제1제어부(120)와 제2제어부(250)는 하나의 단일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제2제어부가 배제되고 조명버튼(233)의 조작에 의해 조명부(210)로 공급되는 충전지(240)의 전원 공급 단속이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충전지(240)는 USB포트(232)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제어부(120)는 충전지(240)의 충전 상태에 따라서 경고램프(211)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는 경고램프(211)의 상태(색깔)을 통해 충전지(24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시험버튼(234)는 제1제어부(120)와 연결되며, 시험버튼(234)의 조작 신호는 제1제어부(120)로 전달되어 스피커(260)와 경고램프(211)가 작동하여 스피커(260)와 경고램프(211)의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활선검출 센서 110 : 검출부
120 : 제1제어부 200 : 몸체부
201 : 슬롯 210 : 조명부
211 : 경고램프
220 : 고정구 221 : 끼움홈
231 : 스피커홀
232 : USB포트
233 : 조명버튼 234 : 시험버튼
240 : 충전지 250 : 제2제어부
251 : 입출력포트 260 : 스피커

Claims (6)

  1. 전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10)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활선검출 센서(100)와;
    상기 활선검출 센서(100)가 탈부착 가능한 슬롯(201)과, 상기 슬롯(201)에 장착된 활선검출 센서(100)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입출력포트(251)와, 상기 입출력포트(251)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제1제어부(120)와,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2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232)와, 상기 제1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시험버튼(234)과, 상기 제1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시험버튼(234)의 조작에 의하거나 활선검출 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260)와, 상기 스피커(260)의 출력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홀(231)과, 상기 제1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시험버튼(234)의 조작에 의하거나 활선검출 시 점등이 이루어지는 경고램프(211)가 마련된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지의(240) 전원 공급에 의해 점등이 이루어지는 조명부(210)와;
    상기 충전지(240)에서 상기 조명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조명버튼(233)과;
    상기 몸체부(200)에 구비되어 안전모에 압입되어 조립이 가능한 고정구(220)를 포함하며,
    상기 활선검출 센서(100)는 상기 슬롯(201) 내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입출력포트(251)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충전지(240)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활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경고램프(211)와 상기 스피커(260)는 상기 제1제어부(120)에서 발생된 경보 신호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경고램프(2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구(220)는 절개 형성된 끼움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00) 하부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표면이 고무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명부(210)는 빛의 집중도를 조절 가능한 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전포트(232)는 USB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27710A 2017-09-29 2017-09-29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KR10201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10A KR102017157B1 (ko) 2017-09-29 2017-09-29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10A KR102017157B1 (ko) 2017-09-29 2017-09-29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02A KR20190037902A (ko) 2019-04-08
KR102017157B1 true KR102017157B1 (ko) 2019-09-02

Family

ID=6616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10A KR102017157B1 (ko) 2017-09-29 2017-09-29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1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243A (ko) 2020-06-15 2021-12-22 한국전력공사 활선 경보 안전모 및 활선 경보 안전모 시스템
KR102361557B1 (ko) * 2021-02-22 2022-02-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통신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115B1 (ko) * 2020-04-20 2022-06-21 백우민 작업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83731B1 (ko) * 2021-09-01 2022-12-30 김영순 안전모용 활선 경보기
KR102502912B1 (ko) * 2022-10-18 2023-02-23 (주)케이이엔지 스마트 안전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734Y1 (ko) * 1999-08-27 2000-02-15 한국전력공사 램프 겸용 활선 접근 경보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80U (ja) * 1991-10-09 1993-04-30 株式会社トキメツク 警報装置用ヘルメツト
KR20090068984A (ko) 2007-12-24 2009-06-29 김기영 활선 접근 경보기
WO2014022155A1 (en) * 2012-08-02 2014-0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vapor sensor c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734Y1 (ko) * 1999-08-27 2000-02-15 한국전력공사 램프 겸용 활선 접근 경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243A (ko) 2020-06-15 2021-12-22 한국전력공사 활선 경보 안전모 및 활선 경보 안전모 시스템
KR102361557B1 (ko) * 2021-02-22 2022-02-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통신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02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157B1 (ko)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JP5826332B2 (ja) 安全監視システム、そのための疲労監視装置及びヘルメット
US5146209A (en) Self-contained apparatus for emergency lighting incorporating alarm systems for fire, gas and the like
US8103459B2 (en) Safety clothing
US20080180261A1 (en) Carbon monoxide and explosive gas shut off system
KR101663572B1 (ko)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작업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CN209311587U (zh) 特种车辆自动灭火器控制盒检测仪
US10559173B2 (en) Non-contact voltage detector
TWI743151B (zh) 可充電電池組
KR200454894Y1 (ko)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US20140354287A1 (en) Apparatus for testing an electromechanical relay
KR20190088846A (ko)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KR102055631B1 (ko)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KR101743059B1 (ko) 랜턴 겸용 다목적 비상상황 검출램프
KR102220372B1 (ko) 웨어러블 가스 검지기
CN111983396B (zh) 一种电气高压试验区域安全保护系统
EP3498093B1 (en) A fishing appliance and a fishing accessory
CN207514630U (zh) 一种消防led灯
CN204124095U (zh) 一种多功能汽车安全锤
KR20100005499A (ko) 분리형 비상조명등 점등 장치 및 방법
KR200490855Y1 (ko) 안전모 조명장치
AU644845B2 (en) Self-contained apparatus for emergency lighting incorporating alarm systems for fire, gas and the like
CH708729B1 (it) Sistema di telecontrollo per un apparecchio elettromedicale, in particolare un defibrillatore automatico esterno.
CN108389365B (zh) 地震报警装置
KR102155250B1 (ko) 시청각 안내 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내장형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