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139B1 -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 Google Patents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139B1
KR102017139B1 KR1020180132929A KR20180132929A KR102017139B1 KR 102017139 B1 KR102017139 B1 KR 102017139B1 KR 1020180132929 A KR1020180132929 A KR 1020180132929A KR 20180132929 A KR20180132929 A KR 20180132929A KR 102017139 B1 KR102017139 B1 KR 10201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device body
measuring device
movement
rol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진이엔티
Priority to KR102018013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vice to measure the abrasion of a rolling roll chal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ment device includes: a measurement device body part having a hollow inside; a body mounting combination part combined with the measurement device body part, and removably combining the measurement device body part with a rolling roll chalk; a pair of gauge parts supported by the measurement device body part and moved to become closer to or farther apar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of a liner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rolling roll chalk; a lateral gauge movement operation part supported by the measurement device body part, connected with the gauge parts, and moving the gauge parts to make the parts become closer to or farther apart; a distance measurement reference rod placed in the measurement device body part and including magnetic gradations formed on the outer edge surface; a magnetic sensor connected to the distance measurement reference rod to be able to be slid, connected to the gauge part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and a vertical gauge movement operation part placed in the lateral gauge movement opera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gauge parts to move the gauge parts in a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device is capable of quickly measuring how worn out a rolling roll chalk is.

Description

작업 편의성이 개선된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Abrasion measuring device of rolling roll choke with improved working convenience

본 발명은,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의 압연작업에 사용되는 압연롤에 연결된 압연롤 초크의 부식에 의한 마모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 measuring apparatus for a rolled roll choke, and more particularly, to abrasion of a rolled roll choke capable of measuring abrasion state due to corrosion of a rolled roll choke connected to a rolling roll used for rolling a steel sheet. It relates to a measuring device.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으로 구분된다. 열간압연은 가열로를 통해 배출된 고온의 슬라브를 1차 압연하여 판재형상으로 제조하는 공정이며, 냉간압연은 열간압연된 판재 형상의 후판을 상온에서 압연하여 수요자가 요구하는 폭과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는 공정이다.In general, the rolling process is divided into hot rolling and cold rolling. Hot rolling i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lab of high temperature slab discharged through a heating furnace into a plate shape, and cold rolling is manufactured to have a width and thickness required by a consumer by rolling a hot plate of hot-rolled plate shape at room temperature. It is a process to do it.

압연라인에는 여러 개의 압연롤이 강판의 진행방향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롤(1)의 양단은 초크(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초크(2)에는 초크(2)의 마모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너(3)가 삽입되는 라이너 삽입홈(2a)이 마련된다.Several rolling rolls are provided in the rolling lin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teel sheet,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both ends of the rolling roll 1 are supported by the choke 2. The choke 2 is provided with a liner insertion groove 2a into which the liner 3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wear of the choke 2 is inserted.

라이너(3)는 주로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며, 라이너(3)에는 초크(2)와 연결하기 위해 볼트(4)가 삽입되는 관통공(3a)이 형성된다. 압연과정에서는 냉각수가 사용되는데 압연과정에서 사용된 냉각수는 라이너 삽입홈(2a)으로 유입되어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부식(B)을 발생시킨다. The liner 3 consists mainly of carbon steel for mechanical construction, and the liner 3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a into which the bolt 4 is inserted to connect with the choke 2. Cooling water is used in the rolling process, and the cooling water used in the rolling process flows into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to generate corrosion B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이렇게 초크(2)에 발생되는 부식(B)을 보상하기 위해 초크(2)의 마모된 부분을 수리하는 수리과정이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orrosion (B) generated in the choke (2), a repair process is performed periodically to repair the worn part of the choke (2).

그런데 초크(2)는 대략 하나의 무게가 14톤에서부터 26톤까지의 매우 무거우며 크기 또한 1400mm에서부터 1700mm까지 대형이고 수리작업은 허용공차가 0.1 내지 0.2mm내 이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choke 2 is very heavy from 14 to 26 tons and the size is also large from 1400mm to 1700mm, and the repair work is very difficult for the worker to proceed manually because the tolerance is within 0.1 to 0.2mm. There is this.

또한, 초크(2)의 수리를 위해서는 압연라인을 정지시켜야 하는데, 긴 시간 동안의 압연라인의 정지는 생산성에 악영향을 유발하므로 수리시간을 최소한으로 단축해야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repair the choke 2, the rolling line has to be stopped. Since the stopping of the rolling line for a long time causes adverse effects on productivity, the repair time should be shortened to a minimum.

마모된 초크(2)의 수리작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초크(2)의 부식된 정도를 빠르게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종래기술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는 초크의 부식정도를 측정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horten the repair time of the worn choke (2), it is essential to quickly measure the corrosion of the choke (2), the wear measurement device of the rolling roll choke according to the prior art measures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choke There was a problem that took a long tim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1473호(2002.06.2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51473 (2002.06.2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연롤 초크의 부식정도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ear of a rolled roll choke capable of quickly measuring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rolled roll chalk.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 측정장치 몸체부;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를 압연롤 초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 착탈용 결합부;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에 지지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압연롤 초크에 형성된 라이너 삽입홈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게이지부;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게이지부가 연결되며, 상기 게이지부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자기눈금이 형성된 거리측정용 기준봉; 상기 거리측정용 기준봉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게이지부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기감지센서; 및 상기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에 마련되며, 상기 게이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게이지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easuring device body portion formed to be hollow inside; A body detachable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to detachably couple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to a rolling roll choke; A pair of gauge parts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and moved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direc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rolling roll choke; A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part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gauge part to move the gauge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uge part approaches and is spaced apart; A distance measuring reference bar disposed inside the body of the measuring device and having a magnetic scal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magnetic sensing sensor slidably connected to the distance measuring reference rod and connected to the gauge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And a gauge measuring device provided in the gauge horizontal movement driving part, the gauge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gauge vertical movement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gauge part to move the gauge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 쌍의 게이지부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와 게이지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압연롤 초크의 부식정도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gauge horizontal movement drive for moving the pair of gauges in the direction of mutual access and separation and a gauge vertical movement drive for moving the gauge up and down,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rolling roll choke.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measure quickly.

도 1은 압연롤에 사용되는 압연롤 초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가 도시된 사기도이다.
도 4는 도 3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몸체 착탈용 결합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olling roll choke used in a rolling roll.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3 is a fraud diagram showing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rolled roll chal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eft side view of FIG. 3.
5 is a plan view of FIG. 3.
FIG.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7 is a view showing the body detachable coupling portion of FIG.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gauge vertical movement driver of FIG. 3.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rolling roll choke of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가 도시된 사기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절개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몸체 착탈용 결합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도 3의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Figure 3 is a fraud diagram showing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rolling roll cho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eft sid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plan view of Figure 3, Figure 6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body detachable coupling of Figure 3,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gauge up and down movement drive of Figure 3, Figure 9 is a wear measurement device of the rolling roll choke of Figure 3 The operation state diagram of.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장치 몸체부(110)와,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결합되며 측정장치 몸체부(110)를 압연롤 초크(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 착탈용 결합부(120)와,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지지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압연롤 초크(2)에 형성된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게이지부(130)와,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지지되고 게이지부(130)가 연결되며 게이지부(130)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와,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자기눈금이 형성된 거리측정용 기준봉(150)과, 거리측정용 기준봉(15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게이지부(130)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기감지센서(160)와,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에 마련되며 게이지부(130)에 연결되어 게이지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Wea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rolling roll cho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3 to 9, is coupled to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and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lling roll choke 2 to the body detachable coupling part 120, and is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and moved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to the rolling roll choke (2) A pair of gauge portions 13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ed liner insertion groove 2a and the measuring device body portion 110 are supported and the gauge portions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gauge portions 130 are mutually approached and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unit 140 to move in the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the distance measuring reference bar 150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the magnetic circumference is formed, and the distance measuring reference bar ( 150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gauge unit 130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A magnetic sensing sensor 16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ooth (not shown) and a gauge horizontal movement driving unit 140 and connected to the gauge unit 130 to move the gauge unit 13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direction movement driver 170 is included.

측정장치 몸체부(110)는,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 메인 몸체(111)와, 메인 몸체(111)의 전면에 부착되는 자성체(112)를 포함한다.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includes a main body 111 formed to be hollow inside, and a magnetic body 112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도 3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111)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의 마련된다. 이러한 메인 몸체(111)의 내부는 중공되어 형성되며, 메인 몸체(111)의 하부 영역은 메인 몸체(111)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3 to 6, the main body 111 has a long bar shap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1 is formed to be hollow,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111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inside of the main body 111.

자성체(112)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몸체(111)의 전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자성체(112)는 철 재질로 마련되는 압연롤 초크(2)에 측정장치 몸체부(110)가 자기력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The magnetic body 112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s shown in detail in FIG. The magnetic body 112 allows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rolling roll choke 2 made of iron by magnetic force.

한편, 몸체 착탈용 결합부(120)는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몸체 착탈용 결합부(120)는 측정장치 몸체부(110)를 압연롤 초크(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measuring device body portion 110. The body detachable coupling part 120 detachably couples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110 to the rolling roll choke 2.

본 실시예에서 몸체 착탈용 결합부(120)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관통공(121a)이 형성된 결합부 몸체(121)와, 결합부 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며 결합부 몸체(121)의 내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용 이동블록(122)과, 착탈용 이동블록(122)에 결합되고 관통공(121a)을 관통하며 압연롤 초크(2)에 연결되어 압연롤 초크(2)를 측정장치 몸체부(110)로 가압하는 가압 바아(123)와, 일단부가 착탈용 이동블록(1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결합부 몸체(121)의 내벽에 연결되어 가압 바아(123)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24)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ody detachable coupling part 120,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7, the upper end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portion 110, the inside is hollow, the coupling body body (120) formed through holes 121a ( 121 and a removable moving block 122 disposed inside the coupling body 121 and slidably connected to an inner wall of the coupling body 121 and coupled to the removable moving block 122 and penetrate therethrough. The pressure bar 123 penetrates the ball 121a and is connected to the rolling roll choke 2 to press the rolling roll choke 2 to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and one end thereof is detachable to the moving block 122. It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body 121 includes an elastic body 124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pressure bar (123).

결합부 몸체(121)는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상단부에 고정 배치된다. 이러한 결합부 몸체(121) 내부는 중공되며, 결합부 몸체(121)의 전방 측벽에는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Coupling body 12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The inside of the coupling body 121 is hollow, and a through hole 121a is formed in the front sidewall of the coupling body 121.

착탈용 이동블록(122)은 결합부 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착탈용 이동블록(122)은 결합부 몸체(121)의 내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removable moving block 122 is disposed in the coupling body 121. The detachable moving block 122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body 121.

가압 바아(123)는 착탈용 이동블록(122)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 바아(123)는 관통공(121a)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바아(123)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 영역이 90도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압연롤 초크(2)의 전방 측벽에 연결된다. 이렇게 말단부 영역이 절곡되게 형성된 가압 바아(123)는 압연롤 초크(2)를 측정장치 몸체부(110)로 가압하여 측정장치 몸체부(110)가 압연롤 초크(2)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Press bar 123 is coupled to the removable block 122. The pressure bar 123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21a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bar 123, as shown in detail in FIG. 7, is formed such that the distal end region is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and connected to the front side wall of the rolling roll choke 2. The pressure bar 123 is formed such that the distal end region is bent to press the rolling roll choke 2 to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so that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is firmly coupled to the rolling roll choke 2. .

탄성체(124)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착탈용 이동블록(1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결합부 몸체(121)의 내벽에 연결됨으로써, 가압 바아(123)에 압연롤 초크(2)를 측정장치 몸체부(110)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7, the elastic body 124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removable moving block 12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part body 121, thereby rolling the roll to the pressure bar 123. It provides a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choke 2 into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즉, 상술한 탄성체(124)가 착탈용 이동블록(122)을 압연롤 초크(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착탈용 이동블록(122)에 연결된 가압 바아(123)가 압연롤 초크(2)를 측정장치 몸체부(110)로 가압할 수 있다.That is, the elastic body 124 described above elastically presses the removable moving block 12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lling roll choke 2, so that the pressing bar 123 connected to the removable moving block 122 is rolled The choke 2 may be pressed into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는, 측정장치 몸체부(110)를 압연롤 초크(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몸체 착탈용 결합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측정과정에서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 measuring apparatus of the rolling roll chok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body detachable coupling part 120 that firmly fixes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to the rolling roll choke 2, thereby performing the measurement proces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easurement accuracy by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한편, 한 쌍의 게이지부(130)는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지지된다. 이러한 한 쌍의 게이지부(130)는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압연롤 초크(2)에 형성된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게이지부(130) 사이에 압연롤 초크(2)가 배치된 후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에 의해 한 쌍의 게이지부(130)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 즉 압연롤 초크(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게이지부(130)가 압연롤 초크(2)의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gauge portion 130 is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The pair of gauge portions 130 ar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gauge portions 130 are approached and spaced apart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formed in the rolling roll choke 2. In detail, after the rolling roll chocks 2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auge parts 130,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gauge parts 130 approaches each other by the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part 140 is rolled. It moves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roll choke 2, and the gauge part 13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of the rolling roll choke 2. As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삽입홈(2a)은 압연롤 초크(2)의 4면에 마련되므로, 한 쌍의 게이지부(130)가 각각 접촉된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은 압연롤 초크(2)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iner insertion grooves 2a are provided on the four surfaces of the rolled roll chocks 2, so that the pair of gauge portions 130 contact each bottom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s 2a. The surface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which is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olling roll choke 2.

본 실시예에서 게이지부(130)는, 압연롤 초크(2)에 형성된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게이지 본체(131)와, 게이지 본체(131)가 장착되며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에 연결되는 게이지 장착부(136)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gauge unit 130, the gauge body 131 and the gauge body 13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formed in the rolling roll choke (2) is mounted, the gauge moves up and down And a gauge mounting part 136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170.

게이지 본체(131)는, 도 3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프로브(132)와, 프로브(132)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얼 게이지(133)를 포함한다.3 to 6, the gauge body 131 includes a probe 132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and a dial gauge to which the probe 132 is relatively movable. 133.

프로브(132)의 말단부에는,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에 의한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 시 프로브(132)이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대해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 롤러(미도시)가 마련된다.At the distal end of the probe 132, the probe 132 may be slid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when the gauge 13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gauge up / down movement driving unit 170. , A rotating roller (not shown) is provided.

다이얼 게이지(133)는, 프로브(132)에 연결되며 프로브(132)를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미도시)과, 프로브(132)에 결합되는 렉기어(미도시)와, 렉기어(미도시)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와, 피니언 기어(미도시)의 회전 중심축(미도시)에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미도시)와 함께 회전되는 표시지침(134)을 포함한다. The dial gauge 133 is connected to the probe 132, a spring (not shown) for pressing the probe 13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and a lex gear (not shown) coupled to the probe 132. ), A pinion gear (not shown) meshed with a lag gear (not shown), and a display guide coupled to a rotational central axis (not shown) of the pinion gear (not shown)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inion gear (not shown) ( 134).

이러한 게이지 본체(131)에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지침(134)의 회전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눈금판(미도시)이 마련된다. 또한, 게이지 본체(131)에는 표시눈금판(미도시)을 표시지침(134)에 대해 상대회전시켜 표시눈금판(미도시)의 영점을 표시지침(134)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영점조절부(미도시)가 마련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6, the gauge main body 131 is provided with a display scale plate (not shown) to easily identify the rotation amount of the display guide 134 with the naked eye. In addition, the gauge main body 131 rotates the display scale plate (not shown) relative to the display guide 134 to move the zero point of the display scale plate (not shown)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guide 134 ( Not shown) is provided.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에 의한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 시 프로브(132)는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의 부식 정도, 즉 바닥면의 굴곡에 따라 프로브(132)가 다이얼 게이지(133)에 대해 상대이동 되고, 이러한 프로브(132)의 이동량은 표시지침(134)의 회전에 의해 표시된다.When the gauge 13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gauge up / down movement driving unit 170, the probe 132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that is, the bending of the bottom surface. It is moved relative to the dial gauge 133, the movement amount of the probe 132 is displayed by the rotation of the display guide 134.

한편,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는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지지되고 게이지부(130)가 연결된다. 이러한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는 게이지부(130)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unit 140 is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and the gauge unit 130 is connected. The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unit 140 moves the gauge unit 130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는, 도 3 내지 도 6에 자시히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이 마련된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과,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에 결합되며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을 회전시키는 좌우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42)과,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에 각각 치합되며 게이지부(130)가 연결되는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부(143)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unit 14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as shown in FIGS. 3 to 6, and has a first left and right movement thread 14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And a left and right moving rotary bar 141 provided with a second left and right moving screw thread 141b, and a left and right moving operating handle 142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rotating rod 141 and rotating the left and right moving rotating rod 141.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moving parts 143 meshed with the first left and right moving threads 141a and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ing threads 141b, respectively, to which the gauge part 130 is connected.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은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의 외주면에는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이 마련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의 나사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마련된다.The rotating rod 141 for horizontal movemen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rod 141, a first left and right moving thread 141a and a second left and right moving thread 141b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screw direc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screw thread 141a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ement screw thread 141b are provided in opposite directions.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부(143)는,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에 각각 치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의 나사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마련되므로,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의 회전 시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부(143)는 상호 접근하는 방향 및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pair of left and right moving parts 143 are engaged with the first left and right moving threads 141a and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ing threads 141b,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crew direc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screw thread 141a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ement screw thread 141b are provided in opposite directions, a pair of left and right movements whe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otating rods 141 rotate. The unit 143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술한 좌우방향 이동부(143)에는 게이지부(130)가 연결되므로,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의 회전에 따라 게이지부(130)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 및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Since the gauge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unit 143 described above, the gauge unit 130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uge unit 130 approaches and spaces apart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rod 141 for horizontal movemen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는, 한 쌍의 게이지부(130)를 상호 접근하는 방향 및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좌우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42)의 조작만으로 한 쌍의 게이지부(130) 각각을 압연롤 초크(2)의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rolling roll chok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unit 140 for moving the pair of gauge portions 130 in the mutually approaching direction and the mutually spaced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ch of the pair of gauge portions 13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of the rolling roll choke 2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al movement operation handle 142.

본 실시예에서 좌우방향 이동부(143)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 각각에 치합되는 좌우방향 이동블록(144)과, 좌우방향 이동블록(144)에 결합되며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가 마련되며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를 지지하는 지지 몸체(145)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143, as shown in detail in FIG. 6, the left and right moving blocks engaged with each of the first left and right moving threads 141a and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ing threads 141b ( 144 and a left and right moving block 144 are provided with a gauge vertical movement driving unit 170 and includes a support body 145 for supporting the gauge vertical movement driving unit 170.

지지 몸체(145)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 이동블록(144)에 결합되며 좌우방향 이동블록(144)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몸체(145)는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의 후술할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 등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다.The support body 145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block 144 and is disposed below the left and right moving block 144, as shown in detail in FIG. 6.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ody 145 is hollow so that the up and down moving rotary rod 171 of the gauge up and down movement driving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disposed therein.

한편, 거리측정용 기준봉(150)은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마련되는 메인 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거리측정용 기준봉(150)의 외주면에 자기눈금(magnetic scale)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measuring reference bar 150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1 provided in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A magnetic sca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nce measuring reference bar 150.

자기감지센서(160)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측정용 기준봉(15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자기감지센서(16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게이지부(130)에 각각 연결되어 게이지부(130)의 이동과 함께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감지센서(160)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는, 자기감지센서(160)에서 감지한 정보를 전달받아 연산작업을 수행하는 연산처리부(미도시)와, 연산처리부(미도시)에서 계산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6, the magnetic sensor 160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bar 150 for distance measurement. These magnetic sensing sensors 160 are provided in pairs and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gauge units 130, respectively, and move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gauge unit 130.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ic sensor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includes a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agnetic sensing sensor 160 to perform a calculation operation,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which displays a result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City).

한 쌍의 게이지부(130) 각각이 압연롤 초크(2)의 중심에 대하여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 시 한 쌍의 자기감지센서(160) 상호 간의 거리가 자기감지센서(160)와 거리측정용 기준봉(150)의 상호작용에 의해 측정된다.Distance between the pair of magnetic sensing sensors 160 when each of the pair of gauge portions 13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olling roll choke 2. Is measured by the interaction of the magnetic sensor 160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reference bar 150.

측정된 자기감지센서(160) 상호 간의 거리는 연산처리부(미도시)에 전달된다. 또한, 게이지부(130)가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 시 프로브(132)가 다이얼 게이지(133)에 대해 상대이동된 거리(작업자가 표시지침(134)의 회전량을 확인하여 획득)가 작업자에 의해 연산처리부(미도시)에 입력된다.The distances between the measured magnetic sensing sensors 160 are transmitted to an operation processor (not shown). In addition, when the gauge unit 13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the distance that the probe 132 moves relative to the dial gauge 133 (the operator checks the rotation amount of the display guide 134) Acquisition) is input by the operator to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연산처리부(미도시)는 게이지부(130)가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 시의 자기감지센서(160) 상호 간의 거리와, 프로브(132)가 다이얼 게이지(133)에 대해 상대이동된 거리 및 미리 저장된 프로브(132) 말단부와 자기감지센서(160) 사이의 거리를 통합 계산하여 압연롤 초크(2)의 중심에 대하여 상호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렇게 연산처리부(미도시)에서 계산된 값은 표시부(미도시)로 전달되어 표시된다.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includes a distance between the magnetic sensing sensors 160 when the gauge unit 130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and the probe 132 is relative to the dial gauge 133.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located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rolled roll choke 2 by calculating the integrated dist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tored end of the probe 132 and the magnetic sensor 160.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processor (not shown) is transferred to the display unit (not shown) and displayed.

한편,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에는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가 마련된다. 이러한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는 게이지부(130)에 연결되어 게이지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gauge vertical movement driving unit 170 is provided with a gauge horizontal movement driving unit 140. The gauge vertical movement driving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gauge unit 130 to move the gauge uni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의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가 게이지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의 상하방향에 따른 부식정도의 측정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s the gauge vertical movement driver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moves the gauge uni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easurement time of the corrosion degre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may be shortened.

본 실시예에서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 이동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상하방향 이동용 나사산(171a)이 마련된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과,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에 결합된 제1 베벨기어(172)와, 좌우방향 이동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 베벨기어(172)에 치합되는 제2 베벨기어(173)와, 제2 베벨기어(173)에 결합되며 제2 베벨기어(173)를 회전시키는 상하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74)과, 상하방향 이동용 나사산(171a)에 치합되며 게이지 장착부(136)가 결합되는 상하방향 이동블록(175)과, 자기감지센서(160)에 연결되며 게이지 장착부(13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방향 이동용 가이드부(176)와,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회전을 제한하여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상하방향 이동 구속부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detail in FIG. 8, the gauge up and down movement driving unit 17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unit 143 and is provided for the up and down movement in which an up and down movement thread 171a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bevel gear 172 coupled to the rotating rod 171, the rotating rod 171 for vertical movement, and the second bevel gear 172 rotatab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moving portions 143 and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172. It is coupled to the bevel gear (173), the second bevel gear (173)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operation handle 174 for rotating the second bevel gear (173),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screw thread (171a) is fitted to the gauge mounting portion ( 136 is coupled to the vertical movement block 175, the magnetic sensing sensor 160, the gauge mounting portion 136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176 to be slidably movable, and the vertical movement rotary rod (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auge unit 130 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171 It includes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restraint for restraining the movement direction.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은 지지 몸체(14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 이동용 나사산(171a)이 마련된다.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하단부에는 상하방향 이동 구속부의 후술할 가압볼트(177)가 치합되는 나사홈(171b)이 형성된다.The rotating rod 171 for vertical movement is rotatably supported inside the support body 145.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 and down moving rotary rod 171 is provided with a thread for moving up and down (171a). A screw groove 171b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 and down moving rotary bar 171 to which the pressure bolt 177 to be described later is joined.

제1 베벨기어(172)는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과 함께 회전된다.The first bevel gear 172 is coupled to the up and down moving rotary bar 171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up and down moving rotary bar 171.

제2 베벨기어(173)는 좌우방향 이동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제2 베벨기어(173)는 제1 베벨기어(172)에 치합된다. The second bevel gear 173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unit 143. The second bevel gear 173 is meshed with the first bevel gear 172.

상하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74)은 제2 베벨기어(173)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하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74)은 제2 베벨기어(173)를 회전시킨다. The vertical movement manipulation handle 174 is coupled to the second bevel gear 173. The vertical movement manipulation handle 174 rotates the second bevel gear 173.

상하방향 이동블록(175)은 상하방향 이동용 나사산(171a)에 치합된다. 이러한 상하방향 이동블록(175)에는 게이지 장착부(136)가 결합된다.The vertical movement block 175 is engaged with the vertical thread for moving 171a. The gauge mounting part 136 is coupled to the vertical movement block 175.

상하방향 이동용 가이드부(176)는 자기감지센서(16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방향 이동용 가이드부(176)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몸체(145)에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하방향 이동용 가이드부(176)에는 게이지 장착부(13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레일(176a)이 마련된다.The vertical movement guide part 176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or 16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part 176 for vertical movemen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145 and is stably supported as shown in FIG. 8. The guide part 176 for vertical movement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176a to which the gauge mounting part 136 is slidably moved.

상하방향 이동 구속부는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회전을 제한하여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한다.The vertical movement restraint part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rotary rod 171 to restra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gauge part 130.

이러한 상하방향 이동 구속부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몸체(145)의 하부벽에 형성된 통과공(145a)을 관통하여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하단부에 치합되며 지지 몸체(145)의 하부벽을 가압하는 가압볼트(17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detail in FIG. 8, the vertical movement restraint part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5a formed in the lower wall of the support body 145 and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rotary rod 171 for vertical movement and the support body 145. It includes a pressure bolt 177 for pressing the lower wall of the).

본 실시예에서 가압볼트(177)의 볼트 몸체(177a,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는 통과공(145a)을 관통하여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홈(171b)에 치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olt body (177a,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bolt 177 is fitted into the screw groove 171b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145a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rod 171 for vertical movement.

가압볼트(177)의 볼트 헤드(177b)는 가압볼트(177)의 회전에 의해 지지 몸체(145)의 하부벽에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해 가압볼트(177)가 회전되어 볼트 헤드(177b)가 지지 몸체(145)의 하부벽에 밀착되어 볼트 헤드(177b)가 지지 몸체(145)의 하부벽을 가압하는 경우, 가압볼트(177)의 가압력 및 볼트 헤드(177b)와 지지 몸체(145)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회전이 구속되고 그에 따라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이 제한된다.The bolt head 177b of the pressure bolt 177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bottom wall of the support body 145 by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bolt 177. Therefore, when the pressure bolt 177 is rotated by the operator and the bolt head 177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wall of the support body 145, and the bolt head 177b presses the lower wall of the support body 145, the pressure is applied. The rotation of the rotary rod 171 for vertical movement is constrain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bolt 177 an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bolt head 177b and th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45, thereby restric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gauge unit 130. do.

가압볼트(177)의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하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74)을 손으로 잡아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에서 가압볼트(177)를 회전시킨다. In order to prevent the up and down movement rotating rod 171 from rotating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pressure bolt 177, the operator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up and down movement rotating rod 171 by hol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manipulation handle 174 by hand. Rotate the pressure bolt 177 in one stat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는,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상하방향 이동 구속부를 구비함으로써, 게이지부(13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하여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us,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rolling roll cho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vertical movement restraint portion for restrain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gauge portion 130, so that the gauge portion 13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measurement accuracy by restrain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ranch 130.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rolling roll cho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먼저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자성체(112)를 압연롤 초크(2)의 후면에 부착한다. 이후 가압 바아(123)를 당겨 가압 바아(123)를 놓아 가압 바아(123)가 압연롤 초크(2)를 측정장치 몸체부(110)로 가압하도록 한다.First, the magnetic body 112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11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olling roll choke 2. Then, the pressure bar 123 is pulled to release the pressure bar 123 so that the pressure bar 123 presses the rolling roll choke 2 to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다음, 좌우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42)을 회전시켜 게이지부(130)를 압연롤 초크(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게이지부(130)가 압연롤 초크(2)의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된 값을 읽어 압연롤 초크(2)의 부식정도를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Next, by rota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peration handle 142 to move the gauge unit 130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rolling roll choke 2, the gauge unit 130 is a liner insertion groove (2a) of the rolling roll choke (2) Contact the bottom of the After that, the operator can numerically check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rolling roll choke 2 by reading the valu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다음, 작업자는 상하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74)을 회전시켜 게이지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 시 프로브(132)는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의 부식 정도, 즉 바닥면의 굴곡에 따라 프로브(132)가 다이얼 게이지(133)에 대해 상대이동 되고, 이러한 프로브(132)의 이동량은 표시지침(134)의 회전에 의해 표시된다. 작업자는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과정에서 표시지침(134)의 값을 읽어 압연롤 초크(2)의 부식정도를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operator rotates the operation handle 174 for vertical movement to move the gauge portion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robe 132 is moved relative to the dial gauge 133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that is, the bottom surface bending, when the gauge portion 130 moves upward and downward. The movement amount of the probe 132 is displayed by the rotation of the display guide 134. The operator can numerically check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rolling roll choke 2 by reading the value of the indication guide 134 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gauge part 13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는, 한 쌍의 게이지부(130)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와 게이지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를 구비함으로써, 압연롤 초크(2)의 부식정도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rolling roll cho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vertically moves the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unit 140 and the gauge unit 130 to move the pair of gauge units 130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providing the gauge up-and-down movement drive unit 170 moving in the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quickly measure the degree of corrosion of the rolling roll choke (2).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descrip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2: 압연롤 초크 2a: 라이너 삽입홈
110: 측정장치 몸체부 111: 메인 몸체
112: 자성체 120: 몸체 착탈용 결합부
121: 결합부 몸체 121a: 관통공
122: 착탈용 이동블록 123: 가압 바아
124: 탄성체 130: 게이지부
131: 게이지 본체 132: 프로브
133: 다이얼 게이지 134: 표시지침
136: 게이지 장착부
140: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
141: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
141a: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
141b: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
142: 좌우방향 이동용 조작핸들
143: 좌우방향 이동부 144: 좌우방향 이동블록
145: 지지 몸체 145a: 통과공
150: 거리측정용 기준봉 160: 자기감지센서
170: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 171: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
171a: 상하방향 이동용 나사산 171b: 나사홈
172: 제1 베벨기어 173: 제2 베벨기어
174: 상하방향 이동용 조작핸들 175: 상하방향 이동블록
176: 상하방향 이동용 가이드부 176a: 가이드레일
177: 가압볼트 177a: 볼트 몸체
177b: 볼트 헤드
2: Rolled Roll Choke 2a: Liner Insertion Groove
110: measuring device body 111: main body
112: magnetic material 120: body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1: coupling part body 121a: through hole
122: removable block 123: pressure bar
124: elastic body 130: gauge portion
131: gauge body 132: probe
133: dial gauge 134: indication
136: gauge mounting
140: gauge movement direction left and right
141: rotating rod for horizontal movement
141a: first horizontal thread for movement
141b: second horizontal movement thread
142: left and right moving handle
143: left and right moving unit 144: left and right moving block
145: support body 145a: through hole
150: distance measurement reference bar 160: magnetic sensor
170: gauge up and down movement drive unit 171: up and down movement rotation rod
171a: thread for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171b: screw groove
172: first bevel gear 173: second bevel gear
174: operation handle for vertical movement 175: vertical movement block
176: guide part for vertical movement 176a: guide rail
177: Pressing bolt 177a: Bolt body
177b: bolt head

Claims (1)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 측정장치 몸체부(110);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를 압연롤 초크(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몸체 착탈용 결합부(120);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지지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압연롤 초크(2)에 형성된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게이지부(130);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지지되고 상기 게이지부(130)가 연결되며, 상기 게이지부(130)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자기눈금이 형성된 거리측정용 기준봉(150);
상기 거리측정용 기준봉(15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게이지부(130)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기감지센서(160); 및
상기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에 마련되며, 상기 게이지부(130)에 연결되어 상기 게이지부(1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하부 영역은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중공된 내부에 연통되도록 개구되며,
상기 게이지부(130)는,
상기 라이너 삽입홈(2a)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게이지 본체(131); 및
상기 게이지 본체(131)가 장착되며, 상기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에 연결되는 게이지 장착부(136)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지 좌우방향 이동 구동부(140)는,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이 마련된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
상기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에 결합되며, 상기 좌우방향 이동용 회전봉(141)을 회전시키는 좌우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42);
상기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상기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에 각각 치합되며, 상기 게이지부(130)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부(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a)과 상기 제2 좌우방향 이동용 나사산(141b)의 나사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는,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상하방향 이동용 나사산(171a)이 마련된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
상기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에 결합된 제1 베벨기어(172);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172)에 치합되는 제2 베벨기어(173);
상기 제2 베벨기어(173)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베벨기어(173)를 회전시키는 상하방향 이동용 조작핸들(174);
상기 상하방향 이동용 나사산(171a)에 치합되며, 상기 게이지 장착부(136)가 결합되는 상하방향 이동블록(175); 및
상기 자기감지센서(160)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지 장착부(13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방향 이동용 가이드부(176)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지 상하방향 이동 구동부(170)는,
상기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게이지부(1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상하방향 이동 구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하방향 이동 구속부는,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143)의 하부벽에 마련된 통과공(145a)을 관통하여 상기 상하방향 이동용 회전봉(171)의 하단부에 치합되며 상기 좌우방향 이동부(143)의 하부벽을 가압하는 가압볼트(177)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착탈용 결합부(120)는,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관통공(121a)이 형성된 결합부 몸체(121);
상기 결합부 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 몸체(121)의 내벽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용 이동블록(122);
상기 착탈용 이동블록(122)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121a)을 관통하며, 상기 압연롤 초크(2)에 연결되어 상기 압연롤 초크(2)를 상기 측정장치 몸체부(110)로 가압하는 가압 바아(123); 및
일단부가 상기 착탈용 이동블록(1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결합부 몸체(121)의 내벽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 바아(123)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24)를 포함하는 압연롤 초크의 마모 측정장치.
A measuring device body 110 formed to be hollow inside;
A body detachable coupling part 120 detachably coupling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110 to the rolling roll choke 2;
A pair of gauge parts 130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110 and moved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direc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formed in the rolling roll choke 2. ;
A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part 140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110 and connected to the gauge part 130 to move the gauge part 13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uge part 130 approaches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distance measuring reference bar 150 disposed in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and having a magnetic scal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magnetic sensing sensor 160 connected slidably to the distance measuring reference rod 150 and connected to the gauge unit 13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And
It is provided in the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unit 140, and is connected to the gauge unit 130 includes a gauge vertical movement driving unit 170 for moving the gauge uni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region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inside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The gauge unit 130,
A gauge body 131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er insertion groove 2a; And
The gauge body 131 is mounted, and includes a gauge mounting unit 136 connected to the gauge up and down movement drive unit 170,
The gauge left and right movement driving unit 140,
A rotation rod 141 rotatably supported by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and provided with a first horizontal movement screw thread 141a and a second horizontal movement screw thread 141b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left and right movement manipulation handle 142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otating rod 141 and rota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otating rod 141;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moving parts 143 meshed with the first left and right moving threads 141a and the second left and right moving threads 141b, respectively, to which the gauge part 130 is connected.
The screw direc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screw thread 141a and the second horizontal movement screw thread 141b are provid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gauge vertical movement drive unit 170,
A vertically movable rotary bar 171 rotatab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143 and provided with an up and down moving thread 171a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bevel gear 172 coupled to the rotary rod 171 for vertical movement;
A second bevel gear (173) rotatab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143) and engaged with the first bevel gear (172);
An operation handle 174 coupled to the second bevel gear 173 for rotating the second bevel gear 173;
A vertical movement block 175 which is engaged with the vertical movement thread 171a and to which the gauge mounting part 136 is coupled; And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or 160, the gauge mounting portion 136 includes a vertical movement guide portion 176 is connected to the sliding movement,
The gauge vertical movement drive unit 170,
It further includes a vertical movement restraint for restrain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gauge unit 130 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od 171 for vertical movement,
The vertical movement constraint,
Pressing bolts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hole 145a provided in the lower wall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143 and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up and down moving rotary bar 171 and pressurizing the lower wall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143. Including 177,
The body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20,
A coupling part body 121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measuring device body part 110 and having a hollow inside, and having a through hole 121a formed therein;
A detachable moving block (122) disposed in the coupling body (121) and slidably connected to an inner wall of the coupling body (121);
It is coupled to the removable moving block 122 and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21a and is connected to the rolling roll choke 2 to press the rolling roll choke 2 to the measuring device body 110. Press bar 123; And
One end of the rolling roll choke comprising an elastic body 124 is connected to the removable moving block 12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portion body 121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the pressure bar 123. Wear measuring device.
KR1020180132929A 2018-11-01 2018-11-01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KR102017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929A KR102017139B1 (en) 2018-11-01 2018-11-01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929A KR102017139B1 (en) 2018-11-01 2018-11-01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561A Division KR101928013B1 (en) 2018-05-30 2018-05-30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139B1 true KR102017139B1 (en) 2019-09-03

Family

ID=6795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929A KR102017139B1 (en) 2018-11-01 2018-11-01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13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473A (en) 2000-12-22 2002-06-29 신현준 Roll chock shift measuring device
KR20050014092A (en) * 2003-07-30 2005-02-07 주식회사 포스코 An apparatus for measuring wear of roll chock
KR100992064B1 (en) * 2009-09-10 2010-11-05 주식회사 정진이엔티 Attrition condition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473A (en) 2000-12-22 2002-06-29 신현준 Roll chock shift measuring device
KR20050014092A (en) * 2003-07-30 2005-02-07 주식회사 포스코 An apparatus for measuring wear of roll chock
KR100992064B1 (en) * 2009-09-10 2010-11-05 주식회사 정진이엔티 Attrition condition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175B1 (e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forwarding of a workpiece in a bending machine
KR101928013B1 (en)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KR102017139B1 (en) A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JPH0822443B2 (en) Roll axial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roll stand for shaped steel
KR101876265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pipe
KR101330838B1 (en) Hot rolling apparatus
US7779660B2 (en) Procedure for deep rolling crankshafts
CN106248036A (en) A kind of roll crown measurement apparatus
CN106767344A (en) Weaving bobbin-winding machine central shaft positioning rule linearity calibration equipment and method
KR20160070397A (en) Device for measuring deformation and abrasion of roll in continuous casting machine
US1808392A (en) Apparatus for grinding rolls
KR20140000334U (en) Apparatus for measuring wear
JP2021053661A (en) Method for aligning caliber center of roll caliber with guide center of roller guide
KR200193051Y1 (en) Ball depth measuring device
CN104924065A (en) High-precision withdrawal and straightening machine roller zero calibration device and method
JPH0460405A (en) General-purpose sensor between stands
CN206938777U (en) The wheel rim tread detecting instrument of train
KR100992064B1 (en) Attrition condition measuring equipment of rolling roll chalk
RU199618U1 (en) Beat measuring stand
CN213378577U (en) On-line length measuring device for cold-bending forming roller pressing line
KR100742885B1 (en) An apparatus for bending rolling roll capable of sensing bending volume
JP2009226440A (en) Press machine inspection device
JP7385905B2 (en) How to align the caliber center of the roll caliber and the guide center of the roller guide
CN208795102U (en) Constant width machine die clearance and alignment deviation measuring device
KR10085149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frictional wear of oil 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