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755B1 - 이차전지 폭 측정기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폭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755B1
KR102016755B1 KR1020130050645A KR20130050645A KR102016755B1 KR 102016755 B1 KR102016755 B1 KR 102016755B1 KR 1020130050645 A KR1020130050645 A KR 1020130050645A KR 20130050645 A KR20130050645 A KR 20130050645A KR 102016755 B1 KR102016755 B1 KR 102016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width measuring
unit
pressing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719A (ko
Inventor
백운성
김형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755B1/ko
Priority to CN201310484790.0A priority patent/CN104142104B/zh
Publication of KR2014013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폭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되, 이차전지가 위치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압부, 및 상기 경사부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폭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경사면을 따라 가압부를 이동시켜 폭 측정부로 가압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이차전지의 폭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폭 측정기{Apparatus for measuring width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 폭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이차전지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면서, 이에 따라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충방전하여 복수회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도 효과적이므로 그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또한, 전자 기기에 대한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면서, 이차전지에 대하여도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는 내부에 리튬 등과 같은 반응성이 큰 물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안전성을 이유로 소형화 및 경량화시키는데 제약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이차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차전지에는 각형과 폴리머형이 존재하는데, 최근에는 고용량, 슬림화, 대면적 대응이 가능한 폴리머형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머형의 경우 각형 대비 치수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치수관리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폴리머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특히 이차전지의 넓은 면에 대한 폭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폭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폭 측정기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되, 이차전지가 위치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압부, 및 상기 경사부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폭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차전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안착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착부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를 상기 안착부에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의 무게에 의해 상기 안착부에 근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에 설치된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경사부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 측정부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폭 측정부는 상기 가압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폭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 측정부는 상기 가압부의 상기 돌출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무게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지면에 대하여 1~89°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지면에 대하여 60°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상기 경사면은 다양한 높이에 위치한 다수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폭 측정부는 다양한 높이에서 상기 결합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 폭 측정기에 따르면, 가압부를 경사부의 안착부에 대하여 원근 이동시키면서 폭 측정부로 가압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이차전지의 폭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부가 경사면을 구비하여 중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동부 없이 가압부가 안착부에 근접해지도록 이동될 수 있는바, 경제적이고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폭 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차전지 폭 측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이차전지 폭 측정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는 지지부(110), 경사부(120), 경사부(120)를 따라 이동가능한 가압부(130), 및 가압부(13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폭 측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의 베어스가 되는 부재로서 경사부(120)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10)는 경사부(120)를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경사부(120)의 양측에 배면 방향으로 구비되어 경사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경사부(12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경사부(120)의 양측에 위치한 지지부(110)와 함께 경사부(1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경사부(120)는 지지부(11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며 경사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120)는 경사면(121)을 구비할 수 있는데 경사면(121)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고, 경사면(121)의 상에는 이차전지(2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이차전지(200)는 경사면(121) 상에서 중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부(120)에는 안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22)는 경사면(121)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122)에 의해 이차전지(200)가 경사면(121) 상에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122)는 지면에 인접하도록 경사면(12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22)는 이차전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121)과 대략 90° 경사질 수 있다.
한편, 경사부(120)의 경사면(121) 외측에는 단차가 질 수 있고 상기 단차진 영역에는 레일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부(123)는 이후에 설명될 가압부(13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가압부(13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경사면(12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21)의 상부에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24)에는 이후에 설명될 폭 측정부(140)가 위치될 수 있으며, 폭 측정부(140)는 다양한 높이에 위치한 결합홀(124) 중 일부에 결합됨으로써, 어느 결합홀(124)에 결합되는지에 따라 높이가 변동될 수 있다.
한편, 경사부(120)의 경사면(121)은 지면에 대하여 예를 들어 1~89°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60°로 경사질 수 있는데, 경사가 너무 완만한 경우 가압부(130)의 자중에 따른 중력을 이용할 수 없고 경사가 너무 급한 경우 이차전지(200)를 경사면(121)에 위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일 수 있다.
가압부(130)는 경사부(120)의 경사면(121)을 따라 이동가능한 부재로서 이차전지(20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30)는 경사부(120)의 레일부(123)를 따라 안내될 수 있으며, 레일부(123)가 경사면(121)의 양측에 구비됨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30)는 레일부(123)를 따라 안착부(122)에 근접해지도록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으며, 가압부(130)와 안착부(122) 사이에는 이차전지(2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30)와 안착부(122) 사이에 이차전지(200)가 위치되면 가압부(130)는 이차전지(200)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은 가압부(130)의 자중에 따른 것일 수 있다.
한편, 가압부(130)에는 가압부(13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31)는 안착부(122)와 예를 들어 동일한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31)는 경사면(121)과 평행한 가압부(130)의 상면으로부터 대략 90° 절곡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31)에는 폭 측정부(140)의 측정핀(142)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1)에는 무게추(분동)와 같은 무게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무게부재는 이차전지(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돌출부(131)에 추가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폭 측정부(140)는 가압부(13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차전지(200)의 폭을 도출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폭 측정부(140)는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체부(141)와 본체부(141)로부터 연장 가능한 측정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핀(142)은 본체부(141)로부터 신축 가능하며, 이에 따라 가압부(130)의 경사면(121)을 따른 이동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측정핀(142)은 가압부(130)의 돌출부(131) 상면에 접촉될 수 있고, 폭 측정부(140)는 측정핀(142)의 신축에 따라 가압부(130)의 돌출부(131)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차전지(200)의 폭으로써 도출할 수 있고, 이를 표시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폭 측정부(140)는 고정대(143)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고정대(143)는 경사부(120)의 경사면(121)에 위치한 다양한 높이의 결합홀(124) 중 어느 일정 높이의 결합홀(12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폭 측정부(140)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대(143)를 다른 높이의 결합홀(124)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의 가압부(130)에 안착부(1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압부(130)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은 경우 가압부(130)는 가압부(130)의 자중에 따른 중력의 영항으로 레일부(123)의 최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일부(123)의 길이가 충분히 하부 방향까지 연장된 경우 가압부(130)는 안착부(122)에 걸려 멈출 수 있고, 또는 레일부(123)의 길이가 충분히 하부 방향까지 연장되지 않은 경우 가압부(130)는 레일부(123)의 끝단에서 멈출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130)를 안착부(122)로부터 멀어지도록 힘을 가하면, 가압부(130)는 레일부(123)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30)가 충분히 안착부(122)로부터 멀어진 경우 안착부(122) 상에 이차전지(2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이차전지(200)의 폭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바, 이차전지(200)의 넓은 면이 경사부(120)의 경사면(121)에 맞닿도록 이차전지(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130)에 대한 힘을 해제하면 가압부(130)는 가압부(130)의 무게에 의한 중력의 영향으로 안착부(122)에 근접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30)는 낙하하다가 이차전지(200)와 맞닿게 되면 멈출 수 있으며, 이차전지(200)에 압력을 가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폭 측정기(100)는 가압부(130)의 무게에 따른 중력을 이용하는바, 이차전지(200)의 가압을 위한 별도의 구동이 필요치 않으므로 경제적이고 이차전지(200)의 폭을 측정함에 있어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차전지(2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충분치 않은 경우 가압부(130)의 돌출부(131)에 무게부재를 올려 압력을 올려줄 수도 있다. 또한, 폭 측정기(100)의 측정핀(142)은 가압부(130)의 돌출부(131)까지 연장되어 본체부(141)에서 돌출부(131)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이차전지(200)의 폭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폭 측정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지지부 120 : 경사부
121 : 경사면 122 : 안착부
123 : 레일부 124 : 결합홀
130 : 가압부 131 : 돌출부
140 : 폭 측정부 141 : 본체부
142 : 측정핀 200 : 이차전지

Claims (14)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되, 이차전지가 위치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압부; 및
    상기 경사부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폭 측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무게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차전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안착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안착부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를 상기 안착부에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의 무게에 의해 상기 안착부에 근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경사부에 설치된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경사부의 양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 측정부는 인디케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 측정부는 상기 가압부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폭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 측정부는 상기 가압부의 상기 돌출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지면에 대하여 1~89°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지면에 대하여 60°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상기 경사면은 다양한 높이에 위치한 다수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폭 측정부는 다양한 높이에서 상기 결합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폭 측정기.
KR1020130050645A 2013-05-06 2013-05-06 이차전지 폭 측정기 KR10201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645A KR102016755B1 (ko) 2013-05-06 2013-05-06 이차전지 폭 측정기
CN201310484790.0A CN104142104B (zh) 2013-05-06 2013-10-16 被构造为测量二次电池的宽度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645A KR102016755B1 (ko) 2013-05-06 2013-05-06 이차전지 폭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19A KR20140131719A (ko) 2014-11-14
KR102016755B1 true KR102016755B1 (ko) 2019-08-30

Family

ID=5185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645A KR102016755B1 (ko) 2013-05-06 2013-05-06 이차전지 폭 측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6755B1 (ko)
CN (1) CN1041421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56B1 (ko) * 2018-05-25 2018-07-03 세종기술 주식회사 소형 배터리 외관 검사를 위한 폭 치수 측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5546A3 (en) * 1998-07-21 2000-04-27 David L Oberg Measuring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417A (ja) * 1997-09-09 1999-03-2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長さ変化率等の測定用治具
KR101058388B1 (ko) * 2007-02-08 2011-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검사 장치
CN201548152U (zh) * 2009-10-30 2010-08-11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型通止规
CN202304693U (zh) * 2011-11-01 2012-07-04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检验电池外形尺寸的装置
CN202432960U (zh) * 2011-12-28 2012-09-12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式电池宽度检测工装
CN102645144A (zh) * 2012-04-16 2012-08-22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一种尺寸防呆夹具
CN102967225A (zh) * 2012-11-14 2013-03-13 无锡麦铁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重外径检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5546A3 (en) * 1998-07-21 2000-04-27 David L Oberg Measur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719A (ko) 2014-11-14
CN104142104A (zh) 2014-11-12
CN104142104B (zh)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02635A1 (en) External surface measur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athod using same
KR20140144425A (ko) 이차전지 두께측정기
TW201335591A (zh) 跌落測試機
CN101738299A (zh) 一种跌落测试装置
CN103178559B (zh) 连接设备及充电装置
KR102016755B1 (ko) 이차전지 폭 측정기
KR20190090291A (ko) 배터리 시험장치
US20130284876A1 (en) Antenna holding device for electromagnetic measuring
CN105783728A (zh) 脚垫检测装置及方法
CN105510133A (zh) 一种拉力测试装置
CN202433137U (zh) 一种全自动蓄电池极群压力测试机
CN104691944A (zh) 一种多向载物装置
CN102589868B (zh) 一种盒子测试装置
CN105300648B (zh) 摔落高度可调的双侧推件多角度手机抗摔损检测装置
CN205175648U (zh) 摔落高度可调的双侧推件多角度手机抗摔损检测装置
KR20190002947A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두께 측정장치
CN102798593A (zh) 一种光学测试系统
CN207742317U (zh) 一种适用于快速检测多种电池管理系统的装置
CN106352841A (zh) 一种电梯围裙板的平面度检测装置
CN104880292A (zh) 一种手机跌落试验装置
CN207488469U (zh) 一种用于电源半成品测试的多连板测试设备
CN206407459U (zh) 证卡传送限位机构
CN103090762B (zh) 推拉式尺寸核查仪
CN205943224U (zh) 高中力学轨道车实验装置
CN221056635U (zh) 一种变压器六角图快速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