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691B1 - Ship - Google Patents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691B1
KR102016691B1 KR1020170121396A KR20170121396A KR102016691B1 KR 102016691 B1 KR102016691 B1 KR 102016691B1 KR 1020170121396 A KR1020170121396 A KR 1020170121396A KR 20170121396 A KR20170121396 A KR 20170121396A KR 102016691 B1 KR102016691 B1 KR 10201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late
steering control
skeg
ship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2937A (en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91B1/en
Publication of KR2019003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은, 선미부의 저면에서 종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스케그와, 스케그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스케그에 대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동부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vessel is start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ssel includes a skeg which protrud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tern portion, a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which is disposed transverse to the skeg and movable to the port or starboard with respect to the ske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and the first driving unit for enabl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Description

선박{SHIP}Ship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일반적으로 조종성능 측면에서 불리한 선박의 경우 선미의 측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스케그(Skeg)를 부착하고, 타의 면적을 확대하여 조종성능을 확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조종성능이 불량한 선박이 존재한다. 특히, 선박의 조종성능이 국제해사기구가 명시한 기준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선박의 인도 자체가 불가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선박을 운행할 경우 큰 해양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을 위한 효율적인 조종성능 개선 장치가 요구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ship tha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teering performance, a skeg is attached to secure the stern side area and the steering area is secured by expanding the other area.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ships with poor steering capabilities. In particular, if the ship's maneuverability does not meet the criteria set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he delivery of the ship itself is impossible, and nevertheless, the operation of such ships can lead to major marine accid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fficient steering performance improving device for such a vessel.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9704호(2014. 02. 17.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9704 (published Feb. 17, 20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p that can improve the steering performance of the shi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미부의 저면에서 종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스케그와, 스케그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스케그에 대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동부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keg which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tern portion, a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which is disposed transverse to the skeg and movable to the port or starboard with respect to the skeg, and the first steering A ship is provided that includes a first drive that enables movement of the control plat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이때,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케그에 대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제1 구동부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스케그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may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keg about the first rotational axis, and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that rotates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to move the inside of the skeg. .

또한, 제1 구동부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래크 기어와, 래크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may include a rack gea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to rotate,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또한, 선박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에 대하여 각도가 가변되도록 스케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와,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가 스케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p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skeg such that the angle is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and a second drive unit allowing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keg. have.

이때,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은 스케그의 좌현 측면과 우현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ort side and starboard side of the skeg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직진시 선체 저항을 줄이고 선박의 선회시 보다 향상된 선회력을 확보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hip that can reduce the hull resistance when the ship goes straight and ensure a more improved turning force when the ship turns, the overall steering performance of the s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of the vessel shown in FIG.
3 and 4 ar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above the gravity direction.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does not only mean the case where the physical contact is directly between the components in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s, the components in the other components Use it as a comprehensive concept until each contact.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I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of the vessel shown in Figure 1 from the back, Figure 3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스케그(120)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와 제1 구동부(14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1 to 3, a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keg 120, a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a first driving unit 140, and a controller (not shown). Include.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선미부(110)의 선저면에서 종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스케그(120)에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를 구비한 선박이다.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는 스케그(120)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스케그(120)에 대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스케그(1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좌현 또는 우현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vessel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vessel having a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on a skeg 120 that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rn portion 110.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keg 120 is movable to the port or starboard with respect to the skeg 120, as shown in Figure 3 of the skeg 120 It is installed at the bottom and can move horizontally to port or starboard.

이와 같이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가 선미부(110)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케그(120)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선박의 직진성능뿐만 아니라 선박의 회전시 스케그(120)의 하단을 따고 반대쪽으로 넘어가려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여, 선박의 선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keg 12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tern portion 110 and moved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not only the straight performance of the vessel but also the scale during rotation of the vessel It serves to hinder the flow of the fluid to follow the lower end of the 120 to pass to the opposite si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hip.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박이 좌현으로 선회하고자 할 때, 스케그(120)의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도 좌현으로(도 4를 기준으로 좌측) 이동함으로써 스케그(120)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 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공간부(170)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공간부(170)의 압력이 상승하여 스케그(120)를 우현으로(도 4를 기준으로 우측) 미는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스케그(120)를 기준으로 좌현과 우현 간에 압력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압력이 높은 곳에서 압력이 낮은 곳으로 진행하려는 선회력이 발생한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ship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4, when the ship intends to turn to the port,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of the skeg 120 is also moved to the port (left side with reference to FIG. 4) so that the skeg 120 and the first A space portion 170 is formed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plate 130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uid,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space portion 170 to make the skeg 120 into starboard (based on FIG. 4). Right) Pushing may occur. That is,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port and the starboard on the basis of the skeg 120, and thus, a turning force is generated to move from the high pressure to the low pressure.

따라서, 선박의 선수부는 좌현으로 그리고 선박의 선미부(110)는 우현으로 선회하고자 하는 힘이 발생하고, 스케그(120)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 사이의 상기 공간부(170)의 크기를 확대할수록 보다 큰 선회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스케그(120)에 대하여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의 이동량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선박이 과도하게 선회하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orce of the ship to turn to the port and the stern 110 of the ship to the starboard is generated, and the space 170 between the skeg 120 and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The larger the size, the greater the turning performance. Of cours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with respect to the skeg 1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at the ship intends to turn excessively.

제1 구동부(140)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140)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구비되는 래크 기어(141)와, 이러한 래크 기어(141)에 치합되어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 기어(142)를 포함하며, 피니언 기어(142)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니언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er 14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driving unit 140 includes a rack gear 141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and a pinion gear 142 engaged with the rack gear 141 to rotate. It includes, and may further include a pinion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142.

제어부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구동부(140)의 피니언 모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박 내외부의 상황을 센서 등을 통해 피드백 받아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의 위치와 이동 여부 등을 결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i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inion motor of the first driving unit 14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feedback of the situation inside and outside the vessel through a sensor or the like to analyze the information and determine and control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accordingly.

한편, 선박이 직진하고자 할 때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가 스케그(120) 주변의 압력 회복을 방해하여 선체의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이 직진할 때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가 스케그(12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작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hip wants to go straight,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may act as a resistance of the hull by preventing the pressure recovery around the skeg 120. To solve this, when the ship is going straight,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operates to be accommod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keg 120.

이를 위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케그(120)에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미도시)이 형성된다. 슬롯은 스케그(120)의 측면에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는 제1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스케그(120)에 회전이 가능하다. 제1 회전축은 장방형의 슬롯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는 제1 회전축을 통해 스케그(120)에 대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이러한 회전에 따라 슬롯 내에 수용되거나 슬롯 외부로 돌출되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스케그(120)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the skeg 120 is formed with a slot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The slo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on the side of the skeg 120.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is rotatable to the skeg 120 through a first axis of rotation (not shown). The first axis of rotation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rectangular slot. Accordingly,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can rotat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keg 120 via the first rotational axis, and is accommodated in the slot or protrudes out of the slot according to the rotation, so that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can be rotated as shown in FIG. It may be disposed transverse to that 120.

또한, 제1 구동부(140)는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를 회전 가능한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부(140)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를 회전시켜 스케그(120)의 슬롯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mo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to rotate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Accordingly, the first driving unit 140 may rotate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about the first rotational axis to move into the slot of the skeg 12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직진 시 선체 저항을 줄이고 선박의 선회 시 보다 향상된 선회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hip that can reduce the hull resistance when the ship goes straight and to ensure a more improved turning performance when the ship turns, the overall steering performance of the ship.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상술한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에 더하여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와 제2 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ship 100 ′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and a second driving unit 160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have.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20)에 대하여 각도(θ)가 가변되도록 스케그(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은 스케그(120)의 좌현 측면 또는 우현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제2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는 스케그(120)의 우현 측면에 대해 제2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keg 120 such that the angle θ is vari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20.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is rotatably coupl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port side or starboard side of the skeg 120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151. For example,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may rotate 360 degrees about the starboard side of the skeg 120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151.

이와 같이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가 스케그(120)의 측면에 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각도(θ)를 가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케그(120)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부(170)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As such,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may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keg 120 and rotate to vary the angle θ. Accordingly, as shown in FIG.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space 170 between the control plate 130 may be directed in a specific direction.

도 6을 참조하면, 선박이 우현으로 선회하고자 할 때, 스케그(120)의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도 우현으로(도 6을 기준으로 우측) 이동함으로써 스케그(120)와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 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공간부(170)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공간부(170)의 유체압이 상승하여 스케그(120)를 좌현으로(도 6을 기준으로 좌측) 미는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가 선수 측에서 선미 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하강시켜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 상의 상기 공간부(170)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공간부(170)의 유체압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스케그(120)를 좌현으로(도 6을 기준으로 좌측) 미는 힘을 추가로 발생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ship intends to turn to the starboard,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of the skeg 120 is also moved to the starboard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 6) so that the skeg 120 and the first A space portion 170 is formed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plate 130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uid, which causes the fluid pressure of the space portion 170 to rise so that the skeg 120 is ported (see FIG. 6). To the left) push action may occur. In addition,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lowers the flow of the fluid flowing in the stern direction from the bow side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space 170 on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is reduced. By inducing it to increase the fluid pressure of the space portion 170 and as a result can further generate a force pushing the skeg 120 to the port (left side relative to Figure 6).

따라서, 선박의 선수부는 우현으로 그리고 선박의 선미부(110)는 좌현으로 선회하고자 하는 선회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스케그(120)에 대하여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와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의 이동량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선박이 과도하게 선회하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bow portion of the ship can improve the turning force to turn to the starboard and the stern portion 110 of the ship to the port. Of cours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first maneuver control plate 130 and the second maneuver control plate 150 with respect to the skeg 1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at the ship is excessively turning.

제2 구동부(160)는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구동부(160)는 제2 회전축(151)을 통해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와 연결되는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ive unit 16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driving unit 160 may include a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mo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through the second rotation shaft 151.

제어부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130)와 더불어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의 회전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2 구동부(160)의 모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박 내외부의 상황을 센서 등을 통해 피드백 받아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150)의 각도(θ)와 회전 정도를 결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together with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30. That is,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of the second driver 16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feedback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vessel through a sensor or the like to analyze the information and determine and control the angle θ 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0 according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상술한 특징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과 주요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hip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in structure of the shi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featur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tent Omit i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dds, changes, deletes, or adds a component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idea of this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 선박
110: 선미부
120: 스케그
130: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
140: 제1 구동부
141: 래크 기어
142: 피니언 기어
150: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
151: 제2 회전축
160: 제2 구동부
170: 공간부
100, 100 ': Shipping
110: stern
120: Skag
130: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140: first driving unit
141: rack gear
142: pinion gear
150: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151: second axis of rotation
160: second drive unit
170: space part

Claims (5)

선미부의 저면에서 종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스케그;
상기 스케그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스케그에 대해 좌현 또는 우현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케그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
상기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스케그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 모터를 포함하는 선박.
A skeg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tern;
A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disposed transverse to the skeg and movable to the port or starboard with respect to the skg,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keg about a first rotational axis;
A first driver to enable movement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The first driving unit, the ship comprising a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motor capable of rotating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to move into the interior of the sk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케그에 대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is capable of rotating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keg about the first axis of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는 래크 기어와,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모터를 포함하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riving unit
A rack gea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rotating;
And a pinion motor for rotating said pinion ge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종 제어 플레이트에 대하여 각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스케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가 상기 스케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skeg such that the angle is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teering control plate; And
And a second drive such that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ske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종 제어 플레이트는 상기 스케그의 좌현 측면과 우현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되는 선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steering control plate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ort side and starboard side of the skeg about the second axis of rotation.
KR1020170121396A 2017-09-20 2017-09-20 Ship KR1020166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96A KR102016691B1 (en) 2017-09-20 2017-09-20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96A KR102016691B1 (en) 2017-09-20 2017-09-20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37A KR20190032937A (en) 2019-03-28
KR102016691B1 true KR102016691B1 (en) 2019-10-21

Family

ID=6590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96A KR102016691B1 (en) 2017-09-20 2017-09-20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69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709A (en) * 2005-06-28 2005-10-13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Pod propeller vessel with propelling performance enhanc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693U (en) * 1984-05-25 1985-12-13 有限会社 船舶ジエツト推進研究所 ship
JPH08216992A (en) * 1995-02-09 1996-08-27 Nkk Corp Course stabilizing device for ship
KR20100084410A (en) * 2009-01-16 2010-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ship having wings for generating a lifting force
KR101259129B1 (en) * 2011-01-11 2013-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ift fin and ship including the same
KR20140019704A (en) 2012-08-07 2014-02-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win skeg vess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709A (en) * 2005-06-28 2005-10-13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Pod propeller vessel with propelling performance enhanc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37A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6236B2 (en) Marine electric steering system
US9315236B2 (en) Surf wake system and method for a watercraft
JP4303150B2 (en) Ship steering device
JP4938271B2 (en) Ship steering method and steering apparatus
JP4994007B2 (en) Ship steering apparatus and ship
JP4994005B2 (en) Ship steering device and ship
JP2005254848A (en) Electric steering gear
JP2015116847A (en) Ship propulsion system and ship equipped with the same
JP2005254849A (en) Steering gear of ship
JP5324053B2 (en) Propulsion and steering unit for watercraft
JP2005280572A (en) Steering device for small vessel
AU2020200724A1 (en) Active stabilizing device and method
KR102016691B1 (en) Ship
EP3494039B1 (en) Sailboat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a sailboat
US11945564B2 (en) Steering device
KR101757667B1 (en) Steering apparatus for watercraft
KR20130055875A (en) Controllerable area rudder for vessel
JP2006306176A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for vessel propulsion machine
JP2022146791A (en) Maneuvering system and ship
JP4303260B2 (en) Ship steering device
JP2004217180A (en) Steering gear of outboard motor
JP4688571B2 (en) Method for maneuvering a ship having a pod propeller propeller
KR102095259B1 (en) Rudder for ship
KR101430161B1 (en) Tunnel thruster
JP2006306175A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of vessel propuls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