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576B1 -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 Google Patents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576B1
KR102015576B1 KR1020190071557A KR20190071557A KR102015576B1 KR 102015576 B1 KR102015576 B1 KR 102015576B1 KR 1020190071557 A KR1020190071557 A KR 1020190071557A KR 20190071557 A KR20190071557 A KR 20190071557A KR 102015576 B1 KR102015576 B1 KR 102015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main
distribution line
arc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성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성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성감리
Priority to KR102019007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 전력구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조립이 쉽게 하고,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조립부에서의 씰링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우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함으로써 정전, 단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배전선의 산화방지에 따른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으면서 무엇보다도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upport with earthquake function}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 전력구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조립이 쉽게 하고,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조립부에서의 씰링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우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함으로써 정전, 단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배전선의 산화방지에 따른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으면서 무엇보다도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을 배선하기 위한 선로 공사방식은 크게 직매식과, 관로식, 전력구식 및 교량 첨가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에서 전력구식은 암거식 또는 동도식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전력구식에는 배전선로를 배열하기 위해 이를 보호하는 보호관과 선반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배전 전력구를 구성하는 종래 배전선로 보호관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관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10)과,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내설되는 선반(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선반(20)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좌우측 내벽면에 벽과 밀착시켜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떨어져 고정 배치되고, 이 선반(20)에 배전선들이 설치된다.
한편, 선반(20)들 사이에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전력구식 공사에서는 단순히 선반(20)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서 그 양측벽에 층을 이루면서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면 양 측벽에 설치된 선반(20)을 따라 수분이 이동하여 배전선을 적시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산화가 촉진되어 배전선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전선이 젖으면 지하의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그 특성상 쉽게 마르지 않아 작업이 불편한 문제도 있다.
이렇게 산화된 배전선은 산화된 부위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노출되는 가능성이 커지므로 정전 또는 감전사고 등의 전기사고의 발생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도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선반(20)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양측벽에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지진이나 진동이 발생하면 선반이 벽체로부터 분리될 뿐만 아니라 휘거나 절단되는 등 기타 선반이 파손이 야기된다.
특히, 도 2의 예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긴 통로를 만들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일단에 확경부(12)를 형성하고, 이 확경부(12)에 다른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타단이 삽입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 때문에 외경부 바닥에서는 높이차(단차)를 맞추기 위한 구조물을 별도로 가져야 하며 그로 인해 조립 설치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또한 확경부(12)에 조립되는 부분이 취약하여 우수(빗물)이 쉽게 침투하여 통로 내부가 침수되는 문제, 그로 인한 정전, 감전 사고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23609호(2018.11.23.)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배전 전력구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조립이 쉽게 하고,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조립부에서의 씰링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우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함으로써 정전, 단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배전선의 산화방지에 따른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으면서 무엇보다도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통 콘크리트(100)와,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지중 배전선로용 통로를 구현하는 연결 콘크리트(200)를 포함하며,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양단 내주면에는 일정폭의 단차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콘크리트(200)의 양단 내주면에는 상기 단차면(110)에 안착되어 서로 맞물리는 걸림편(210)이 형성되며;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양단과 간격을 둔 둘레에는 각각 주둘레홈(1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둘레홈(120)은 밴드형 주메쉬철망(130)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연결 콘크리트(200)의 외주면에는 연결둘레홈(2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둘레홈(220)은 밴드형 연결메쉬철망(230)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연결 콘크리트(200)의 걸림편(210)의 표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제1요홈(212)과 제2요홈(214)이 반원형상으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1요홈(212)에는 고흡수성 수밀링(240)이 끼워지며; 상기 제2요홈(214)에는 씰링테이프(250)가 끼워지면서 권취되되, 상기 씰링테이프(250)는 두께를 갖는 테이프상으로서 하면 중심에는 상기 제2요홈(214)에 삽입되는 끼움돌부(25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252)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편(210)에 면접 밀착되는 날개편(254)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부(252) 반대쪽인 날개편(254)의 중앙에는 끼움돌부(252)를 향해 일정깊이 요입된 접착액홈(256)이 형성된 배전 전력구에서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내주면 설치되어 배전선의 배선을 안내하는 지중배전선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지지대(300)는 호형 고정대(310)와, 상기 호형고정대(310)에서 수평하게 배열 고정된 배전선반(320)을 포함하며; 상기 호형 고정대(310)는 'ㄷ'형 단면을 갖는 내진가이드(330)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내진가이드(330)는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내진가이드(330)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트공(332)이 형성되고; 상기 호형 고정대(310)에도 상기 볼트공(332)에 대응되는 관통공(312)이 형성되며; 상기 호형 고정대(310)의 양측에는 그와 대등한 곡률을 갖는 한 쌍의 완충대(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대(340)에도 관통공(312)과 대응되는 체결구멍(342)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대(340)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우레탄폼으로 된 코어(CO)와, 상기 코어(CO)의 양측면에 부착된 메쉬망(NET)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대(340)는 호형 고정대(310)의 양측면에 면접 밀착되고; 상기 완충대(340)와 내진가이드(330)의 내벽면 사이에는 완충스프링(350)이 개재되며; 상기 볼트공(332), 완충스프링(350), 체결구멍(342) 및 관통공(312)을 관통하여 체결볼트(36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 전력구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조립이 쉽게 하고,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조립부에서의 씰링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우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함으로써 정전, 단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배전선의 산화방지에 따른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으면서 무엇보다도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 전력구의 예시적인 내부 사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 전력구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립시공예를 보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통 콘크리트 및 연결 콘크리트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주통 콘크리트와 연결 콘크리트의 계면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전력구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대 설치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전력구의 또다른 내진설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는 배전 전력구에 설치되며, 배전 전력구는 주통 콘크리트(100)와,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지중 배전선로용 통로를 구현하는 연결 콘크리트(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양단 내주면에는 일정폭의 단차면(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콘크리트(200)의 양단 내주면에는 상기 단차면(110)에 안착되어 서로 맞물리는 걸림편(21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단차면(110)과 걸림편(210)은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와 연결 콘크리트(200)를 각각 성형할 때 성형틀을 이용하여 아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주통 콘크리트(100)가 연결 콘크리트(200)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긴 지중 배전선로용 통로를 형성할 때 기존처럼 확경부나 외부측에서의 단차진 부위가 없기 때문에 외경 둘레가 동일 평면을 유지하므로 시공시 별도의 높이 조절부재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시공 편리성, 시공 정확성이 확보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우수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통상, 지중 배전선로용 통로는 지중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므로 외경 바깥 부분은 모두 메움재에 의해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양단과 간격을 둔 둘레에는 각각 주둘레홈(1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둘레홈(120)은 밴드형 주메쉬철망(130)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상기 밴드형 주메쉬철망(130)의 설치는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를 성형할 때 주둘레홈(120)을 성형하면서 밴드형 주메쉬철망(130)이 주둘레홈(120)에 얹혀진 후 걸쳐진 양단부가 주통 콘크리트(100)의 외표면에 매립 고정되도록 일종의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밴드형 주메쉬철망(130)의 메쉬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메움재(주로 토사)가 주둘레홈(120) 속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지만, 우수는 스며들기 때문에 이를 타고 흘러내리게 하여 주통 콘크리트(100)와 연결 콘크리트(20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사전에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주통 콘크리트(100)와 연결 콘크리트(200)의 외부는 시공 후 콘크리트 몰탈에 의해 틈새가 메워짐이 기본이다.
아울러, 상기 주둘레홈(120) 및 상기 밴드형 주메쉬철망(130)의 설치와 동일하게 상기 연결 콘크리트(200)의 외주면에도 연결둘레홈(220) 및 밴드형 연결메쉬철망(2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주통 콘크리트(100)와 연결 콘크리트(200)가 접합되는 경계는 그 좌,우측에 형성된 주둘레홈(120)과 연결둘레홈(220)의 존재로 인해 우수가 경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차단되므로 우수의 침투를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와 연결 콘크리트(200)의 경계를 이루는 안쪽에서는 보다 철저한 씰링이 이루어진다.
이를 테면, 도 5의 예시와 같이, 연결 콘크리트(200)의 걸림편(210)의 표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제1요홈(212)과 제2요홈(214)이 반원형상으로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요홈(212)에는 고흡수성 수밀링(240)이 끼워진다.
즉, 상기 걸림편(210)이 원통형상이므로 상기 고흡수성 수밀링(240)은 일종의 환 혹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요홈(212)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흡수성 수밀링(240)은 일반적인 고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수분 흡수력이 우수하여 급격한 팽창에 따른 수밀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우수가 접근시 물을 잔뜩 머금어 버려 부피가 일정 이상으로 팽창되게 하여 제1요홈(212)을 꽉 눌러채워 우수의 침입 자체를 차단하게 하는 역설적인 논리이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고흡수성 수밀링(240)이 무한정 팽창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팽창범위내에서 최대한 팽창되는 것(그렇지 않으면 경계부위가 뜰뜨면서 파손될 수 있으므로 그렇지 않는 범위까지만 팽창되게 조절된 것)이며, 이를 통해 물기를 머금은 것이 오히려 물기를 멀리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흡수성 수밀링(240)은 나트륨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15중량%와, ATO(Antimony doped Tin Oxide) 10중량%와, 폴리비닐알콜 5중량%와, 폴리아크릴산에 폴리비닐아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20중량%와, 탄산칼슘 2.5중량%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 10중량% 및 나머지 아크릴 에멀젼으로 조성된 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트륨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는 섬유상 고흡수성 재료이고, 상기 ATO는 내열성을 증대시키면서 차수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수재료이며,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대표적인 고흡수성 폴리머이고, 상기 폴리아크릴산에 폴리비닐아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은 수분 흡수력을 최대한 끌어 올려 일정 범위까지만 팽창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탄산칼슘은 필러이고,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는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고 균일한 분산성을 확보하여 방수와 차열 및 팽창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베이스 수지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고흡수성 수밀링(240)의 수밀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샘플 콘크리트 블럭에 홈을 만들고 이 홈에 상기 고흡수성 수밀링(240)을 끼운 후 두 개의 샘플 콘크리트 블럭을 견고하게 묶어 고정한 상태에서 경계의 5군데에 붉은색 물감을 탄 물을 주전자로 부었다.
그런 다음, 1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반대쪽으로 붉은색 물감이 새어나오는지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고흡수성 수밀링(240)이 흡수하여 반대쪽에서도 붉은색이 비치기는 했지만, 물이 새어나오거나 물방울이 전혀 떨어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 수밀성이 확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상기 제2요홈(214)에는 씰링테이프(250)가 끼워지면서 권취된다.
상기 씰링테이프(250)는 두께를 갖는 테이프상으로서 하면 중심에는 상기 제2요홈(214)에 삽입되는 끼움돌부(25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252)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편(210)에 면접 밀착되는 날개편(254)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부(252) 반대쪽인 날개편(254)의 중앙에는 끼움돌부(252)를 향해 일정깊이 요입된 접착액홈(2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액홈(256)에는 걸림편(210)을 삽입 시공할 때 줄눈 작업하듯이 에폭시수지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수지 60중량%와, 콜타르 10중량% 및 나머지 콘크리트몰탈로 이루어진 접착액을 발라준다.
여기에서, 접착액을 상기 수지들로 한정해야 하는 이유는 타 수지에 비해 콘크리트와의 교화성이 매우 좋아 접착안정성 및 수밀성을 완벽하게 유지하고,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시공 접합부인 경계에서의 씰링성이 완벽하게 확보되기 때문에 우수의 침투를 차단하고 배전선로 구축을 위한 긴밀한 통로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접착액을 포함한 씰링테이프(250)를 이용한 콘크리트 계면에서의 부착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부착강도측정기(Proceq DY-206)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본 발명 분야에서 요구하는 최소 부착력인 1.25N/㎟을 훨씬 초과한 2.05N/㎟로 계측되었다.
이것은 단순히 콘크리트 몰탈로 접합시킬 경우, 부착안정성을 높지만 공극 때문에 누수가 발생되어 우수 침투가 일어나지만, 본 발명처럼 폴리머를 포함한 콘크리트 몰탈을 사용할 경우에는 씰링성, 방수성과 함께 부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결과였다.
한편,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내주면에는 도 6의 예시와 같은 지지대(30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300)는 호형 고정대(310)와, 상기 호형고정대(310)에서 수평하게 배열 고정된 배전선반(320)을 포함한다.
그런데,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지진 문제는 본 발명이 속한 배전 전력구에서도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때문에, 배전선이 안전하게 배전선반(320) 상에 배선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내진설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호형 고정대(310)를 주통 콘크리트(100)의 내주면 직접 고정하던 종래 기술을 탈피하여 도 6 및 도 7과 같은 형태로 내진 구조를 갖추도록 지지대(300)를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호형 고정대(310)가 삽입되도록 'ㄷ'형 단면을 갖는 내진가이드(33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진가이드(330)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트공(33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호형 고정대(310)에도 상기 볼트공(332)에 대응되는 관통공(3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호형 고정대(310)의 양측에는 그와 대등한 곡률을 갖는 한 쌍의 완충대(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대(340)에도 관통공(312)과 대응되는 체결구멍(342)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완충대(340)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우레탄폼으로 된 코어(CO)와, 상기 코어(CO)의 양측면에 부착된 메쉬망(NET)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쉬망(NET)은 폴리아미드 수지로 만들어진 필라멘트가 직조된 것을 사용하는데, 폴리아미드 수지가 내진성이 좋게 때문이며, 메쉬망(NET)이 진동 등의 외력을 분산 흡수하게 하고, 코어(CO)에서 또다시 흡수완충하도록 하는 구조여서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대(340)는 호형 고정대(310)의 양측면에 면접 밀착되고, 이 완충대(340)와 내진가이드(330)의 내벽면 사이에는 완충스프링(350)이 개재되며, 상기 볼트공(332), 완충스프링(350), 체결구멍(342) 및 관통공(312)을 관통하여 체결볼트(360)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호형 고정대(310)가 상기 완충스프링(350)의 탄성지지력을 유지한 채 외력에 대해 좌우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볼트(360)는 양단 일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지진 등에 의해 외력이 전달되었을 때 호형 고정대(310)가 내진가이드(330) 속에서 탄성유동되면서 완충 흡수하고, 나아가 완충대(340)도 진동 흡수하여 외력을 분산 제거하기 때문에 그 만큼 내진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주통 콘크리트(100) 및 연결 콘크리트(200) 자체의 탄성 완충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갖추도록 최초 설계 시공단계에서부터 도 8과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주통 콘크리트(100)와 연결 콘크리트(200)를 시공하기 위해 바닥을 다질 때 바닥면에 받침콘크리트(400)를 더 설치하되, 상기 받침콘크리트(400)의 상면은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 및 연결 콘크리트(200)의 외경에 대응되게 호형상으로 가공되고, 그 표면에는 내진시트(410)가 부착되며, 상기 내진시트(410)의 상면에는 내진그물(420)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내진시트(410)는 에폭시수지로 만들어진 일정 두께, 바람직하게는 2cm 두께를 갖는 시트이며, 콜타르를 이용하여 받침콘크리트(400)의 표면에 접착된다.
또한, 상기 내진그물(420)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내진 특성이 있는 폴리아미드 섬유와 폴리우레탄 섬유를 서로 직조하여 만들어진 것을 접착제로 내진시트(410) 표면에 접착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받침콘크리트(400)에서 가장 기본적인 1차 내진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더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주통 콘크리트
200: 연결 콘크리트
300: 지지대

Claims (1)

  1. 주통 콘크리트(100)와,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 사이에 배치되고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지중 배전선로용 통로를 구현하는 연결 콘크리트(200)를 포함하며,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양단 내주면에는 일정폭의 단차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콘크리트(200)의 양단 내주면에는 상기 단차면(110)에 안착되어 서로 맞물리는 걸림편(210)이 형성되며;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양단과 간격을 둔 둘레에는 각각 주둘레홈(1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주둘레홈(120)은 밴드형 주메쉬철망(130)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연결 콘크리트(200)의 외주면에는 연결둘레홈(2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둘레홈(220)은 밴드형 연결메쉬철망(230)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연결 콘크리트(200)의 걸림편(210)의 표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제1요홈(212)과 제2요홈(214)이 반원형상으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1요홈(212)에는 고흡수성 수밀링(240)이 끼워지며; 상기 제2요홈(214)에는 씰링테이프(250)가 끼워지면서 권취되되, 상기 씰링테이프(250)는 두께를 갖는 테이프상으로서 하면 중심에는 상기 제2요홈(214)에 삽입되는 끼움돌부(25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부(252)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편(210)에 면접 밀착되는 날개편(254)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부(252) 반대쪽인 날개편(254)의 중앙에는 끼움돌부(252)를 향해 일정깊이 요입된 접착액홈(256)이 형성된 배전 전력구에서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내주면 설치되어 배전선의 배선을 안내하는 지중배전선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지지대(300)는 호형 고정대(310)와, 상기 호형고정대(310)에서 수평하게 배열 고정된 배전선반(320)을 포함하며; 상기 호형 고정대(310)는 'ㄷ'형 단면을 갖는 내진가이드(330)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내진가이드(330)는 상기 주통 콘크리트(100)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내진가이드(330)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트공(332)이 형성되고; 상기 호형 고정대(310)에도 상기 볼트공(332)에 대응되는 관통공(312)이 형성되며; 상기 호형 고정대(310)의 양측에는 그와 대등한 곡률을 갖는 한 쌍의 완충대(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대(340)에도 관통공(312)과 대응되는 체결구멍(342)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대(340)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우레탄폼으로 된 코어(CO)와, 상기 코어(CO)의 양측면에 부착된 메쉬망(NET)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대(340)는 호형 고정대(310)의 양측면에 면접 밀착되고; 상기 완충대(340)와 내진가이드(330)의 내벽면 사이에는 완충스프링(350)이 개재되며; 상기 볼트공(332), 완충스프링(350), 체결구멍(342) 및 관통공(312)을 관통하여 체결볼트(36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KR1020190071557A 2019-06-17 2019-06-17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KR102015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557A KR102015576B1 (ko) 2019-06-17 2019-06-17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557A KR102015576B1 (ko) 2019-06-17 2019-06-17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576B1 true KR102015576B1 (ko) 2019-10-21

Family

ID=6846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557A KR102015576B1 (ko) 2019-06-17 2019-06-17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987B1 (ko) * 2022-03-23 2022-11-30 주식회사 도영이앤지 위치변화 감시수단을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894B1 (ko) * 2006-04-25 2006-10-02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지중배선용 파형관 방수구조
KR100853674B1 (ko) * 2008-02-15 2008-08-25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416848B1 (ko) * 2014-03-17 2014-07-09 임상규 지중배전선 절연 탑재용 보호파이프
KR101923609B1 (ko) 2018-01-31 2018-11-30 이삼종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894B1 (ko) * 2006-04-25 2006-10-02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지중배선용 파형관 방수구조
KR100853674B1 (ko) * 2008-02-15 2008-08-25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416848B1 (ko) * 2014-03-17 2014-07-09 임상규 지중배전선 절연 탑재용 보호파이프
KR101923609B1 (ko) 2018-01-31 2018-11-30 이삼종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987B1 (ko) * 2022-03-23 2022-11-30 주식회사 도영이앤지 위치변화 감시수단을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11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 시스템
KR10205853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우수유입 방지 장치
KR101060708B1 (ko) 내진 보강용 철골 구조물 접합구조 및 접합공법
JP6535102B2 (ja) プレハブ竹複合管廊
KR101702990B1 (ko) 내진설계 및 안전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1524669B1 (ko) 가변성 마찰댐퍼
KR102015576B1 (ko)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 지지대
KR102471987B1 (ko) 위치변화 감시수단을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1820872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20150104845A (ko) 조립식 암거
JP2019516889A (ja) 建築部材間の隙間をシールするためのシールテープおよびこのシールテー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6916241B2 (ja) 管継手構造
KR20110122279A (ko) 지중 송·배전용 조립식 전력구 접합장치
KR101363984B1 (ko) 보호관이 구비된 배관
CN212866365U (zh) 一种电气工程用防震型预埋套管
KR101665909B1 (ko)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JP2010196258A (ja) 非常用止水構造
KR101548170B1 (ko) 내진완충용 패드가 구비된 조립식 pc암거
KR20150107545A (ko) 조립식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를 위한 지수용 탄성 접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접합 방법
CN210661789U (zh) 一种基于远程控制仪表阀门
KR100593172B1 (ko) 상수도관의 보호구조물
JP2849805B2 (ja) 構造物の免震工法
KR101441809B1 (ko) 방음터널의 천장부 누수차단구조
CN213448559U (zh) 一种市政管线隧道结构
KR101859611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