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528B1 - 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 Google Patents

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528B1
KR102015528B1 KR1020180000904A KR20180000904A KR102015528B1 KR 102015528 B1 KR102015528 B1 KR 102015528B1 KR 1020180000904 A KR1020180000904 A KR 1020180000904A KR 20180000904 A KR20180000904 A KR 20180000904A KR 102015528 B1 KR102015528 B1 KR 102015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upport
management device
injec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3235A (en
Inventor
임은모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528B1/en
Publication of KR2019008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2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를 지지하여 관리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갖는 본체부, 상기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통로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management device for supporting and managing a tire, the body portion having one or more through areas therein, a support portion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tire,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Disclosed is a tire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disposed between and having a passage area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n injection portion configured to supply a flow of fluid into the support portion.

Description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및 타이어 관리 방법{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및 타이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ire management device and a tire manufacturing method.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The vehicle that the users drive is composed of many parts, among which the tire substantially affects the driving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key parts for ensuring the safety of the user.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amount of automobile operation due to the increase of the movement of logistics and the increase of family life is increasing.

한편, 타이어 취급 센터, 타이어 판매점, 차량 서비스 센터 등에서는 타이어를 하나 이상 보관, 수납 또는 관리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store, store or manage one or more tires in a tire handling center, a tire retailer, a vehicle service center or the like.

타이어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있고, 크기 및 무게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타이어를 보관하기 용이하지 않고, 또한, 내부에 휠이나 림을 장착한 채로 보관 시 그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관리의 안정성 및 효율성이 감소한다.The tire has a space inside, and because of its size and weight, it is not easy to store one or more tires. Also, when the tire is stored with the wheel or the rim mounted inside, the weight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Decreases.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면서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Through this, there is a limit in stably managing the tire while preventing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타이어 관리의 안정성을 향상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및 타이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ire management device and a tir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ire management while reducing or preventing damage or deformation of a t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를 지지하여 관리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갖는 본체부, 상기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통로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management device for supporting and managing a tire, the body portion having one or more through areas therein, a support portion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tire,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Disclosed is a tire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disposed between and having a passage area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n injection portion configured to supply a flow of fluid into the support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 영역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jection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area.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주입부를 통한 유체의 흐름의 공급과 연결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주입 공간을 갖고, 상기 주입부를 통한 유체의 주입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가 팽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has an injection space formed therein to be connected to the supply of the flow of fluid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it may be formed to expand the support by injection of the fluid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된 유체는 상기 본체부의 관통 영역, 상기 연결 부재의 통로 영역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id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art may be injected into the support part through the through area of the body part and the passage area of the connection memb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가 구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distinguish.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의 거리가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관리하는 타이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갖는 본체부, 상기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통로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가 팽창하도록 하여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는 타이어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a tire by using a tire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tire management device is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main body unit having at least one through area therein; A support portion, a connection portion having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assage area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n injection portion configured to supply a flow of fluid into the support portion, the injection portion Disclosed is a tire management method of supporting a tire by causing the support to expand through a flow of fluid therethrough.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관리 방법은,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및 타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주입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re management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and the tire, arrang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inside the tire, and fluid in the support part through an injection por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injecting.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관리 방법은,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한 후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한 채, 상기 타이어를 보관, 수납 또는 관리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re management method may include storing, storing or managing the tire while arrang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inside the tire to support the tir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및 타이어 관리 방법은 타이어의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타이어 관리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tire management device and the tir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ire management while reducing or preventing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ti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타이어에 사용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타이어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타이어에 배치된 후 타이어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관리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타이어에 사용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타이어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타이어에 배치된 후 타이어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변형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4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변형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3 is a diagram for exemplarily describing a process of prepar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1 for use in a ti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1 disposed on a tir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1 supports a tire after being disposed on the tir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7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managing a tire by using a tir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8.
FIG. 10 is a diagram for exemplarily describing a process of prepar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8 for use in a tire.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8 arranged on a tire.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8 supports the tire after being disposed on the tire.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modifica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8.
1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XIV of FIG. 14.
FIG. 16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K of FIG. 15.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modifica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14.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terms including or having have meant that there is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ut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the reverse order of the described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는 본체부(110), 지지부(130), 연결부(120) 및 주입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 support 130, a connection 120, and an injection unit 101.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는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의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고, 타이어를 지지한 채 타이어의 보관 또는 적재를 진행할 수 있다.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ort a tire, for example, can support one tire, and can proceed with storage or loading of the tire while supporting the tire.

본체부(11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110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영역(110A)은 본체부(110)에 구비된 공간으로서 본체부(110)의 외부 표면과 구별되도록 속이 빈 형태의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to have one or more through regions 110A therein. The through area 110A is a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may correspond to a hollow space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본체부(110)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의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본체부(1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를 함유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플라스틱 기타 수지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body unit 1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contain a durable and light weight material,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 plastic or other resin-based material.

또한, 다른 예로서 본체부(110)는 금속, 유리,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of a metal, glass, ceramic, or the like.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는 후술할 연결부(120)의 연결 부재(121)에 연결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영역(110A)은 연결 부재(1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21 of the connection uni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through region 110A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21.

연결부(120)는 연결부(120)는 본체부(110)와 지지부(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120)의 일 영역은 상기 본체부(110)와 연결되고, 다른 일 영역은 후술할 지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30. As a specific example, one area of the connection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110, and the other area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연결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121)를 포함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연결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121, and in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121.

예를들면 도 1에 연결부(120)는 8개의 연결 부재(121)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다양한 개수, 즉 예를들면 2개, 3개 또는 기타 다양한 개수의 연결 부재(121)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FIG. 1, the connection part 120 includes eight connection members 121. However, as another example, it may include various numbers, for example, two, three or other various numbers of connecting members 121.

연결부(120)의 연결 부재(121)는 통로 영역(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0)의 통로 영역(121A)은 본체부(110)의 관통 영역(110A)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21 of the connecting unit 120 may include a passage area 121A. The passage area 121A of the connection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through area 110A of the main body part 110.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는 연결부(120)의 복수의 연결 부재(121)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을 갖고, 이를 통하여 본체부(110)의 관통 영역(110A)과 각각의 연결 부재(121)의 통로 영역(121A)이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in body 110 has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21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thereby connecting each of the through regions 110A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21. The passage area 121A of the member 121 may be connected.

연결부(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를 함유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플라스틱 기타 수지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2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include a durable and light weight material,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 plastic or other resin-based material.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부(120)는 금속, 유리,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ceramic, or the like.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120)의 연결 부재(121)와 본체부(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member 121 and the main body 110 of the connection unit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지지부(130)는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130 may be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tir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0)는 타이어의 영역 중 내부, 즉 림 또는 휠이 결합되는 타이어의 영역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upport 130 may be formed to support one of the regions of the tire, that is, the region of the tire to which the rim or wheel is coupl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0)는 타이어의 영역 중 노면을 향하는 트레드부와 중첩되고 트레드부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영역, 즉 타이어의 내측 영역의 일 영역과 접하면서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upport 130 may support the tire while overlapping a tread portion facing the road surface of the tire region and in contact with an area opposite to the region facing the tread portion, that is, one region of the inner region of the tir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0)는 연결부(120)와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121)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ppor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20, and in detail,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members 121.

지지부(130)는 내부에 주입 공간(1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130 may include an injection space 131 therein.

주입 공간(131)은 연결부(120)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21)의 통로 영역(121A)과 연결될 수 있다.The injection spac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passage area 121A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121 of the connection part 120.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0)의 주입 공간(131)은 하나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130)는 하나의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jection space 131 of the support 130 may be connected to one, for example, the support 130 may have a single tube shape.

다른 예로서 지지부(130)는 복수의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각 튜브 형태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21)의 통로 영역(121A)과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130 may have a plurality of tube shape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assage area 121A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121 for each tube shap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30)는 본체부(110) 및 연결부(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pport 1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main body 110 and the connection 120.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130)의 내부의 중앙을 포함하는 영역에 본체부(110)가 배치되고, 본체부(110)와 지지부(130)의 사이에 복수 개의 연결 부재(121)가 배치되어 연결 부재(121)가 지지부(130)와 본체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As one specific example, the main body 110 is disposed in an area including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13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121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130. The connection member 121 may connect the support 130 and the main body 110.

지지부(130)는 주입 공간(131)으로 주입된 유체의 흐름, 예를들면 기체의 흐름에 의하여 부피가 팽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130 may be formed to expand the volume by the flow of the fluid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131, for example, the flow of gas.

예를들면 지지부(130)는 수지 계열의 유연성이 있는 재질, 구체적 예로서 필름 형태의 외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130 may be formed to have a resin-based flexible material, specifically, an outer film in a film form.

주입부(101)는 지지부(130)의 내부, 즉 주입 공간(131)으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unit 101 may be formed to supply a flow of a fluid into the support 130, that is, the injection space 131.

일 예로서 주입부(101)는 본체부(110)의 일 영역,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110)의 중앙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njection unit 101 may be formed on one region of the main body unit 110, specifical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main body unit 110.

주입부(101)는 본체부(110)의 관통 영역(110A)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part 1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area 110A of the main body part 110.

이를 통하여 주입부(101)로 유체, 구체적 예로 공기와 같은 기체(AR)를 주입하면 본체부(110)의 관통 영역(110A), 연결 부재(121)의 통로 영역(121A)을 거쳐 지지부(130)의 주입 공간(131)으로 주입될 수 있다.When the fluid (eg, air) such as air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ortion 101, the support portion 130 passes through the through region 110A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the passage region 121A of the connection member 121. ) May be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131.

주입 공간(131)으로 기체(AR)가 주입되면 지지부(130)의 부피가 커지면서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 지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When the gas AR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131, the volume of the support 130 may be increased to stably support the tire. Details of such tire support will be described lat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입부(101)는 본체부(110) 대신 연결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injection unit 10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connection unit 120 instead of the main body unit 110.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타이어의 지지 및 이를 통한 관리에 대한 예시를 설명한다.An example of support of the tire us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nagement through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1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타이어에 사용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타이어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타이어에 배치된 후 타이어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diagram for exemplarily describing a process of prepar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1 for use in a tire,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1 disposed on a tire, and FIG. 5.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1 supports a tire after being disposed on a tire,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 및 이를 적용할 하나의 타이어(TR)을 준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and one tire TR to which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is applied may be prepared.

도 3은 구체적으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 및 타이어(TR)를 준비한 후의 단면도일 수 있다.3 may specifically be a cross-sectional view after prepar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tire TR.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를 화살표 방향으로 타이어(TR)의 내부 공간, 즉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 시 필요한 림이나 휠이 대응되는 내측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tire T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an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a rim or wheel required for mounting the tire on the vehicle.

도 4와 같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가 타이어(TR)에 배치되면 주입부(101)에 유체, 예를들면 기체를 주입할 공급부(APS)를 연결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급부(APS)와 주입부(101)의 사이에 연결관(APW)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is disposed on the tire TR, a supply unit APS for injecting a fluid, for example gas,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101.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re may be a connection pipe APW between the supply portion APS and the infusion portion 101.

공급부(APS)는 예를들면 공기 주입 펌프일 수 있다.The supply section APS can be, for example, an air injection pump.

도 4와 같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를 타이어(TR)에 배치한 후,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는 제1 폭(W)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폭(W1)은 예를들면 지지부(130)의 주입 공간(131)에 유체가 주입되지 않거나 최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장 거리의 폭일 수 있다.After arrang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on the tire TR as shown in FIG. 4,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may have a first width W. FIG. The first width W1 may be, for example, a width of the longest distance in a state in which no fluid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131 of the support 130 or is not introduced to the maximum.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급부(APS)를 통한 주입 공간(131)으로의 유체 주입 전에 지지부의 폭(W1)은 타이어의 내측면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width W1 of the support may be less than the width W2 of the inner side of the tire prior to fluid injection into the injection space 131 through the supply APS.

그리고 나서 공급부(APS)를 통하여 주입부(101)에 기체와 같은 유체를 주입하면 이러한 유체는 관통 영역(110A) 및 통로 영역(121A)을 거쳐서 주입 공간(131)에 주입이 되어 주입 공간(131)이 팽창할 수 있다.Then, when a fluid, such as gas,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ortion 101 through the supply portion APS, the fluid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131 through the through area 110A and the passage area 121A, thereby injecting the space 131. ) Can expand.

이를 통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가 용이하게 타이어(TR)를 지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may easily support the tire TR.

구체적으로 주입 공간(131)이 팽창하여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는 제1 폭(W)보다 큰 제2 폭(W2)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2 폭(W2)은 타이어의 내측면의 폭일 수 있다.In detail, the injection space 131 may expand so that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may have a second width W2 larger than the first width W, and the second width W2 may be the widt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Can be.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의 지지부(130)가 타이어(TR)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지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TR)의 양쪽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30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can be supported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TR, and can be supported, for example, in the direction to push out in both width directions of the tire TR.

이를 통하여 타이어(TR)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타이어(TR)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the tire TR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tire T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관리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managing a tire by using a tir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타이어(TR1, TR2, TR3)을 적재하여 관리 또는 보관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ires TR1, TR2, and TR3 are stacked and managed or stored is shown.

즉 복수 개의 타이어(TR1, TR2, TR3)의 각각의 내측에는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100)가 배치된 후 주입부(101)를 통한 주입으로 지지부(130)가 팽창하여 복수 개의 타이어(TR1, TR2, TR3)의 각각을 지지, 즉 타이어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타이어의 내측면과 서로 압력을 받으면서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다.That is, after the tire manag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tires TR1, TR2, and TR3, the support 130 is inflated by injection through the injection unit 101, and thus the plurality of tires TR1. , TR2, TR3) are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i.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while being pressuriz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이를 통하여, 림이나 휠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복수 개의 타이어 타이어(TR1, TR2, TR3)를 적층한 상태로 관리하거나 보관하여도 복수 개의 타이어(TR1, TR2, TR3)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This reduces or deforms or damages the plurality of tires TR1, TR2, and TR3 even when the tires TR1, TR2, and TR3 are not stacked or managed in a stacked state. You can prevent it.

본 실시예의 본체부, 이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연결부의 연결 부재는 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에 주입된 유체, 예를들면 공기와 같은 기체를 통하여 지지부의 주입 공간이 유체로 차게되면 지지부가 팽창하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양단의 폭이 늘어나서 타이어에 배치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용이하게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The main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injection space of the support is filled with fluid through a gas such as air, for example, air, the support expands and the width of both ends of the support increases, so that the tire management device disposed on the tire easily supports the tire. can do.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내부에 림이나 휠과 같이 무겁고 고가의 부품을 생략한 채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타이어를 지지하여 타이어의 형태의 변형이나 타이어의 손상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타이어의 보관, 수납 또는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tire management device to support the tire while eliminating heavy and expensive parts such as rims and wheels in the tire, thereby reducing or preventing tire deformation, tire damage, and the like. It can be done easily.

또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본체부, 연결부를 가벼운 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관통 영역 및 통로 영역으로 인하여 무게를 가볍게 하여 타이어 관리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can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light resin, and the weight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weight due to the penetrating area and the passage area therei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는 본체부(210), 지지부(230), 연결부(220) 및 주입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8 and 9,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210, a support 230, a connection 220, and an injection unit 201.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는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의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고, 타이어를 지지한 채 타이어의 보관 또는 적재를 진행할 수 있다.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ort a tire, for example, can support one tire, and can proceed with storage or loading of the tire while supporting the tire.

본체부(21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210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영역(210A)은 본체부(210)에 구비된 공간으로서 본체부(210)의 외부 표면과 구별되도록 속이 빈 형태의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210 may be formed to have one or more through regions 210A therein. The through area 210A may correspond to a hollow space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s a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본체부(210)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의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The main body 210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본체부(2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를 함유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플라스틱 기타 수지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2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contain a durable and light weight material,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 plastic or other resin-based material.

또한, 다른 예로서 본체부(210)는 금속, 유리,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main body 2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or ceramic.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는 후술할 연결부(220)의 연결 부재(221)에 연결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영역(210A)은 연결 부재(2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221 of the connection unit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through region 210A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221.

연결부(220)는 연결부(220)는 본체부(210)와 지지부(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220)의 일 영역은 상기 본체부(210)와 연결되고, 다른 일 영역은 후술할 지지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art 210 and the support part 230. As a specific example, one area of 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210, and the other area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연결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221)를 포함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연결 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221, and in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221.

예를들면 도 8에 연결부(220)는 8개의 연결 부재(221)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다양한 개수, 즉 예를들면 2개, 3개 또는 기타 다양한 개수의 연결 부재(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220 in FIG. 8 includes eight connection members 221. However, other examples may include various numbers, for example two, three or other various numbers of connecting members 221.

연결부(220)의 연결 부재(221)는 통로 영역(221A)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0)의 통로 영역(221A)은 본체부(210)의 관통 영역(210A)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221 of the connector 220 may include a passage region 221A. The passage region 221A of the connecto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through region 210A of the main body 210.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는 연결부(220)의 복수의 연결 부재(221)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을 갖고, 이를 통하여 본체부(210)의 관통 영역(210A)과 각각의 연결 부재(221)의 통로 영역(221A)이 연결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in body 210 has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21 of the connection part 220, and thus, each of the through areas 210A of the main body 2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assage region 221A of the member 221 may be connected.

연결부(2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를 함유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플라스틱 기타 수지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include a durable and light weight material,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plastic or other resin-based materials.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부(220)는 금속, 유리,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ceramic, or the like.

연결부(220)의 연결 부재(221)와 본체부(210)는 독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21 and the main body 210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independently.

복수의 연결 부재(221)은 본체부(210)와 구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210)의 복수의 영역과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의 연결 부재(221)가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21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main body 210, an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21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main body 210.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221)은 이동 방향(EX)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체부(210)와 지지부(230)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연결 부재(221)의 폭(PW1)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TR)을 지지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ng member 221 may be formed to move in the movement direction EX. Accordingly, the width PW1 of the connection member 221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230 shown in FIGS. 8 and 9 may be changed a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a tire. Can be extended to support TR.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220)의 연결 부재(221)의 두께는 본체부(210)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210)의 두께가 연결부(220)의 연결 부재(221)의 두께보다 두꺼워서 연결 부재(221)의 일단의 일 영역을 본체부(210)가 감쌀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체부(210)과 연결 부재(221)간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기체와 같은 유체의 흐름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member 221 of 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part 210.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part 210 may be the connection member 221 of the connection part 220. The body portion 210 may cover one region of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21 because it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 Through this,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main body 210 and the connection member 221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the efficiency of the flow of a fluid such as gas can be improved.

다른 예로서 본체부(210)의 두께보다 연결부(220)의 연결 부재(221)의 두께가 두꺼워서 연결 부재(221)의 일단의 일 영역이 본체부(210)의 일 영역을 감쌀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member 221 of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10 so that one region of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21 may cover one region of the body portion 210.

지지부(230)는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230 may be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tir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30)는 타이어의 영역 중 내부, 즉 림 또는 휠이 결합되는 타이어의 영역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230 may be formed to support one area of the inside of the tire, that is, the area of the tire to which the rim or wheel is coupl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30)는 타이어의 영역 중 노면을 향하는 트레드부와 중첩되고 트레드부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영역, 즉 타이어의 내측 영역의 일 영역과 접하면서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upport 230 may support the tire while contacting an area opposite to the tread portion facing the road surface and facing the tread portion, that is, one region of the inner region of the tir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30)는 연결부(220)와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221)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ppor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20, and in detail,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members 221.

지지부(230)는 내부에 주입 공간(2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230 may include an injection space 231 therein.

주입 공간(231)은 연결부(220)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21)의 통로 영역(221A)과 연결될 수 있다.The injection space 231 may be connected to the passage area 221A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221 of the connection part 220.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30)의 주입 공간(231)은 하나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230)는 하나의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jection space 231 of the support 230 may be connected to one, for example, the support 230 may have a single tube shape.

다른 예로서 지지부(230)는 복수의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각 튜브 형태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21)의 통로 영역(221A)과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230 may have a plurality of tube shape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assage area 221A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221 for each tube shap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30)는 본체부(210) 및 연결부(2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pport 2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main body 210 and the connection 220.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230)의 내부의 중앙을 포함하는 영역에 본체부(210)가 배치되고, 본체부(210)와 지지부(230)의 사이에 복수 개의 연결 부재(221)가 배치되어 연결 부재(221)가 지지부(230)와 본체부(210)를 연결할 수 있다.As one specific example, the main body 210 is disposed in an area including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23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221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230. The connection member 221 may connect the support 230 and the main body 210.

지지부(230)는 주입 공간(231)으로 주입된 유체의 흐름, 예를들면 기체의 흐름에 의하여 부피가 팽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230 may be formed to expand the volume by the flow of the fluid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231, for example, the flow of gas.

예를들면 지지부(230)는 수지 계열의 유연성이 있는 재질, 구체적 예로서 필름 형태의 외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230 may be formed to have a resin-based flexible material, specifically, a film-like shell.

주입부(201)는 지지부(230)의 내부, 즉 주입 공간(231)으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unit 201 may be formed to supply a flow of a fluid into the support 230, that is, the injection space 231.

일 예로서 주입부(201)는 본체부(210)의 일 영역,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210)의 중앙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njection unit 201 may be formed on one region of the main body 210, specifical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10.

주입부(201)는 본체부(210)의 관통 영역(210A)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part 2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area 210A of the body part 210.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입부(201)는 본체부(210)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기체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jection unit 201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210, thereby facilitating gas injection.

주입부(201)로 유체, 구체적 예로 공기와 같은 기체(AR)를 주입하면 본체부(210)의 관통 영역(210A), 연결 부재(221)의 통로 영역(221A)을 거쳐 지지부(230)의 주입 공간(231)으로 주입될 수 있다.Injecting fluid AR, such as air, for example, air into the injection portion 201, passes through the through region 210A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and the passage region 221A of the connection member 221, thereby supporting the support portion 230. It may be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231.

주입 공간(231)으로 기체(AR)가 주입되면 지지부(230)의 부피가 커지면서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 지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When the gas AR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231, the volume of the support 230 may be increased to stably support the tire. Details of such tire support will be described lat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입부(201)는 본체부(210) 대신 연결부(2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injection unit 20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connection unit 220 instead of the main body unit 210.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를 이용한 타이어의 지지 및 이를 통한 관리에 대한 예시를 설명한다.An example of support and management of the tire us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도 8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타이어에 사용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타이어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타이어에 배치된 후 타이어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exemplarily describing a process of prepar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8 for use in a tire,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8 on a tire, and FIG. 12.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8 supports the tire after being disposed on the tire.

도 10을 참조하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 및 이를 적용할 하나의 타이어(TR)을 준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and one tire TR to which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is applied may be prepared.

도 10은 구체적으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 및 타이어(TR)를 준비한 후의 단면도일 수 있다.10 may specifically be a cross-sectional view after prepar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and the tire TR.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타이어(TR)의 내부 공간, 즉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 시 필요한 림이나 휠이 대응되는 내측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ire T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the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im or wheel required for mounting the tire on the vehicle.

도 11과 같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가 타이어(TR)에 배치되면 주입부(201)에 유체, 예를들면 기체를 주입할 공급부(APS)를 연결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급부(APS)와 주입부(201)의 사이에 연결관(APW)이 있을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is disposed on the tire TR, the supply unit APS for injecting fluid, for example, gas,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201. In some embodiments, there may be a connection pipe APW between the supply portion APS and the infusion portion 201.

공급부(APS)는 예를들면 공기 주입 펌프일 수 있다.The supply section APS can be, for example, an air injection pump.

도 11과 같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를 타이어(TR)에 배치한 후,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는 제1 폭(W)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폭(W1)은 예를들면 지지부(230)의 주입 공간(231)에 유체가 주입되지 않거나 최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장 거리의 폭일 수 있다.After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is disposed on the tire TR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may have a first width W. FIG. The first width W1 may be, for example, a width of the longest distance in a state in which no fluid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231 of the support 230 or the fluid is not introduced to the maximum.

선택적 실시예로서 공급부(APS)를 통한 주입 공간(231)으로의 유체 주입 전에 지지부의 폭(W1)은 타이어의 내측면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width W1 of the support may be less than the width W2 of the inner side of the tire before fluid injection into the injection space 231 through the supply APS.

그리고 나서 공급부(APS)를 통하여 주입부(201)에 기체와 같은 유체를 주입하면 이러한 유체는 관통 영역(210A) 및 통로 영역(221A)을 거쳐서 주입 공간(231)에 주입이 되어 주입 공간(231)이 팽창할 수 있다.Then, when a fluid such as gas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unit 201 through the supply unit APS, the fluid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231 through the through area 210A and the passage area 221A, thereby injecting the space 231. ) Can expand.

이를 통하여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가 용이하게 타이어(TR)를 지지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2,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may easily support the tire TR.

구체적으로 주입 공간(231)이 팽창하여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는 제1 폭(W)보다 큰 제2 폭(W2)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2 폭(W2)은 타이어의 내측면의 폭일 수 있다.In detail, the injection space 231 may expand so that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may have a second width W2 larger than the first width W, and the second width W2 may be the widt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Can be.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의 지지부(230)가 타이어(TR)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지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TR)의 양쪽 폭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230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can be supported while contact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ire TR, for example, can be supported by the direction which pushes in both width directions of the tire TR.

이를 통하여 타이어(TR)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타이어(TR)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the tire TR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tire TR.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221)의 폭(PW1)이 신장되어 폭(PW2)을 가지면서 지지부(230)가 더 효과적으로 타이어(TR)를 지지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pport 230 may support the tire TR more effectively while the width PW1 of the connection member 221 is extended to have the width PW2.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전술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타이어(TR1, TR2, TR3)을 적층한 상태로 관리하거나 보관하여도 복수 개의 타이어(TR1, TR2, TR3)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illustrated,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to manage or store the plurality of tires TR1, TR2, and TR3 in a stacked state as illustrated in FIG. 7. TR2, TR3) deformation or damage can be reduced or prevented.

본 실시예의 본체부, 이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연결부의 연결 부재는 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에 주입된 유체, 예를들면 공기와 같은 기체를 통하여 지지부의 주입 공간이 유체로 차게되면 지지부가 팽창하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양단의 폭이 늘어나서 타이어에 배치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용이하게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The main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injection space of the support is filled with fluid through a gas such as air, for example, air, the support expands and the width of both ends of the support increases, so that the tire management device disposed on the tire easily supports the tire. can do.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내부에 림이나 휠과 같이 무겁고 고가의 부품을 생략한 채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타이어를 지지하여 타이어의 형태의 변형이나 타이어의 손상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타이어의 보관, 수납 또는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tire management device to support the tire while eliminating heavy and expensive parts such as rims and wheels in the tire, thereby reducing or preventing tire deformation, tire damage, and the like. It can be done easily.

또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본체부, 연결부를 가벼운 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관통 영역 및 통로 영역으로 인하여 무게를 가볍게 하여 타이어 관리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can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light resin, and the weight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weight due to the penetrating area and the passage area therein.

또한, 본체부와 구별되도록 연결부의 연결 부재가 형성될 수 있어서 본체부와 연결부의 효과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가 이동할 수 있게 하고, 폭을 연장시킬 수 있어 지지부를 통한 타이어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form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 addition, this allows the connecting member to move, and the width can be extended to effectively support the tire through the support.

또한, 연결부의 연결 부재의 폭을 조절하여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폭(W1) 또는 폭(W2)을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폭의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어 상이한 종류의 타이어에 대한 적재, 수납 또는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W1 or the width W2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ires of various widths can be supported to facilitate loading, storing or managing different types of tires. It can be done.

도 13은 도 8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변형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modifica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8.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는 본체부(210'), 지지부(미도시), 연결부 및 주입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210 ′, a support portion (not shown), a connection portion, and an injection portion 201 ′.

연결부는 복수의 연결 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221 ′.

본체부(21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210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10 ′ may be formed to have one or more through regions 210A ′ therein.

연결 부재(221')는 통로 영역(221A')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21 ′ may include a passage region 221A ′.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different points.

본 실시예는 연결 부재(221')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290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221'.

선택적 실시예로서 탄성 부재(290')는 각 연결 부재(221')의 일단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통로 영역(221A')에 인접하도록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일 영역은 본체부(210')의 일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astic member 290 ′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one end of each connecting member 221 ′, and for example, one or more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passage region 221A ′, and one region may be It may be connected to one area of the main body 210 '.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의 관통 영역(210A')과 인접한 영역에 돌출된 것과 같이 형성된 지지 영역에 탄성 부재(290')가 지지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astic member 290 ′ may be supported on a support region formed as protruding from a region adjacent to the through region 210A ′ of the body portion 210 ′.

이러한 탄성 부재(290')를 통하여 연결 부재(221')가 이동 방향(EX)으로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200')를 타이어에 배치한 후 기체와 같은 유체를 지지부(미도시)에 주입하여 지지부가 팽창하여 폭이 늘어나서 타이어를 지지하고 타이어의 내측면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연결 부재(221')가 이동 방향(EX)으로 이동하여 연결 부재(221')의 폭이 줄어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290')의 폭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rough the elastic member 290 ', the connecting member 221' can be easily moved in the movement direction EX. For example, after the tire management device 200 'is disposed on the tire, a fluid such as gas Injected into the support (not shown), the support expands and the width thereof is extended to support the tire, and the connection member 221 'moves in the movement direction EX by the press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221' The width may be reduced, and specifically, may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290 ′ is reduced.

또한, 타이어를 제거 시 연결 부재(221')의 폭이 늘어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member 221 ′ may increase when the tire is removed.

이를 통하여 폭이 상이한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다양한 타이어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하여 타이어의 보관, 수납 또는 관리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ires having different widths, and to improve support for various tires, thereby improving storage, storage, or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tires.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1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XIV of FIG. 14, and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K of FIG. 15. Schematic drawing.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는 본체부(310), 지지부(330), 연결부(320) 및 주입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14 to 16,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310, a support 330, a connection 320, and an injection unit 301.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는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의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고, 타이어를 지지한 채 타이어의 보관 또는 적재를 진행할 수 있다.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ort a tire, for example, can support one tire, and can store or load a tire while supporting the tire.

본체부(31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310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 영역(310A)은 본체부(310)에 구비된 공간으로서 본체부(310)의 외부 표면과 구별되도록 속이 빈 형태의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The main body 310 may be formed to have one or more through regions 310A therein. The through area 310A is a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310 and may correspond to a hollow space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선택적 실시예로서 관통 영역(310A)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연결 부재(321)에 연결되어 통로 영역(321A)과 연결될 수 있고, 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rough region 310A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321 to be connected to the passage region 321A as described below, and may have a tube shape.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연결 부재(321)가 이동 방향(EX)에 따라 이동함에 따라 길이가 변하도록 관통 영역(310A)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관 또는 접힘이 있는 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region 310A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changes as the connection member 321 moves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EX, for example, a flexible tube or a folded tube. Can be.

본체부(310)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의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The main body 310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본체부(3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를 함유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플라스틱 기타 수지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main body 3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contain a durable and light weight material,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plastic or other resin-based materials.

또한, 다른 예로서 본체부(310)는 금속, 유리,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ain body 310 may be formed of a metal, glass, ceramic, or the like.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는 후술할 연결부(320)의 연결 부재(321)에 연결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영역(310A)은 연결 부재(3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in body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321 of the connection unit 32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through area 310A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321.

연결부(320)는 연결부(320)는 본체부(310)와 지지부(3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320)의 일 영역은 상기 본체부(310)와 연결되고, 다른 일 영역은 후술할 지지부(33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3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art 310 and the support part 330. As a specific example, one area of the connection part 32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310, and the other area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연결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321)를 포함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연결 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2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321, and in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321.

예를들면 도 14에 연결부(320)는 8개의 연결 부재(321)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다양한 개수, 즉 예를들면 2개, 3개 또는 기타 다양한 개수의 연결 부재(321)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FIG. 14, the connection part 320 includes eight connection members 321. However, other examples may include various numbers, for example two, three or other various numbers of connecting members 321.

연결부(320)의 연결 부재(321)는 통로 영역(321A)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20)의 통로 영역(321A)은 본체부(310)의 관통 영역(310A)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21 of the connect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passage region 321A. The passage area 321A of the connector 320 may be connected to the through area 310A of the main body 310.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는 연결부(320)의 복수의 연결 부재(321)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을 갖고, 이를 통하여 본체부(310)의 관통 영역(310A)과 각각의 연결 부재(321)의 통로 영역(321A)이 연결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in body 310 has a plurality of area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321 of the connection part 320, thereby connecting each of the through areas 310A of the main body part 310 to each connection. The passage region 321A of the member 321 may be connected.

연결부(3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내구성이 있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를 함유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플라스틱 기타 수지 계열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2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may contain a durable and light weight material, and may specifically include a plastic or other resin-based material.

또한, 다른 예로서 연결부(320)는 금속, 유리, 세라믹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3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ceramic, or the like.

연결부(320)의 연결 부재(321)와 본체부(310)는 독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21 and the main body 310 of the connecting portion 320 may be formed independently.

복수의 연결 부재(321)은 본체부(310)와 구분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310)의 복수의 영역과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의 연결 부재(321)가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321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main body 310, an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321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main body 310.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21)은 이동 방향(EX)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 16에 도시된 본체부(310)와 지지부(330)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연결 부재(321)의 폭(PW1)은 변할 수 있고, 예를들면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연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member 321 may be formed to move in the movement direction EX. As a result, the width PW1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support 330 shown in FIG. 16 may be changed, for example, to extend or contract to support the tire. Can be.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320)의 연결 부재(321)의 두께는 본체부(310)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310)의 두께가 연결부(320)의 연결 부재(321)의 두께보다 두꺼워서 연결 부재(321)의 일단의 일 영역을 본체부(310)가 감쌀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체부(310)과 연결 부재(321)간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기체와 같은 유체의 흐름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of the connection part 320 may be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part 310.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part 310 may be the connection member 321 of the connection part 320. The body portion 310 may cover one region of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because it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 Through this,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connection member 321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the efficiency of flow of a fluid such as gas can be improved.

다른 예로서 본체부(310)의 두께보다 연결부(320)의 연결 부재(321)의 두께가 두꺼워서 연결 부재(321)의 일단의 일 영역이 본체부(310)의 일 영역을 감쌀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of the connection portion 320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310 so that one region of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may cover one region of the body portion 310.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21)의 단부에 형성된 서포트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관통 영역(310A)은 서포트부(322)의 단부에 연결되어 통로 영역(321A)에 연결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322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21, and the aforementioned through area 310A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pport part 322 to be connected to the passage area 321A. Can be.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포트부(322)는 본체부(310)내에 배치 시 연결 부재(321)보다 넓은 영역, 즉 도 16의 Y축 방향으로의 연결 부재(321)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upport part 322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connection member 321 when disposed in the main body 310, that is, larger than the connection member 321 in the Y-axis direction of FIG. 16.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포트부(322)를 통하여 연결 부재(321)이 이동 방향(EX)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기체와 같은 유체의 공급에 의하여 서포트부(322)에 압력을 가하여 서포트부(322)와 연결된 연결 부재(321)를 이동하게 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member 321 may move in the movement direction EX through the support part 322. For example,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art 322 by supplying a fluid such as gas to move the connection member 321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22.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입부(301)를 통한 기체(AR)의 주입을 통하여 서포트부(322)에 대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주입부(301)를 통한 주입의 선택을 위하여 선택 밸브(380)가 더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art 322 through the injection of the gas AR through the injection part 301. In this case, the selection valve 380 may be further disposed to select the injection through the injection unit 301.

다른 예로서 주입부(301)와 별도의 추가 주입부(미도시)를 통하여 서포트부(322)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 경우 선택 밸브(380)가 생략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art 322 through an additional injection part (not shown) separate from the injection part 301, in which case the selection valve 380 may be omitt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390)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 부재(390)는 본체부(310)내에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310)내에 서포트부(322)의 일면을 향할 수 있고, 서포트부(322)의 면 중 관통 영역(310A)과 연결된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n elastic member 390 may be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nnection member 321. The elastic member 390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310, and as an example, the main body 310 may be provided. It may face on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22,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connected to the through area 310A of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22.

이를 통하여 서포트부(322)에 압력이 가해져 이동 방향(EX)으로 이동하여 탄성 부재(390)에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서포트부(322)의 이동 방향(EX)으로의 복원도 진행될 수 있다.As a result,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pport part 322 to move in the movement direction EX to apply a load to the elastic member 390, and restoration of the support part 322 in the movement direction EX may also be performed.

지지부(330)는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330 may be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tir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30)는 타이어의 영역 중 내부, 즉 림 또는 휠이 결합되는 타이어의 영역의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upport 330 may be formed to support one of the areas of the tire, that is, the area of the tire to which the rim or the wheel is coupl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30)는 타이어의 영역 중 노면을 향하는 트레드부와 중첩되고 트레드부를 향하는 영역의 반대 영역, 즉 타이어의 내측 영역의 일 영역과 접하면서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upport part 330 may support the tire while overlapping a tread part facing the road surface of the tire area and in contact with an area opposite to an area facing the tread part, that is, one area of the inner area of the tir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30)는 연결부(320)와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321)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pport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320, and may be specif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members 321.

지지부(330)는 내부에 주입 공간(3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330 may include an injection space 331 therein.

주입 공간(331)은 연결부(320)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321)의 통로 영역(321A)과 연결될 수 있다.The injection space 331 may be connected to the passage area 321A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321 of the connection portion 320.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30)의 주입 공간(331)은 하나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330)는 하나의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jection space 331 of the support 330 may be connected to one, for example, the support 330 may have a single tube shape.

다른 예로서 지지부(330)는 복수의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각 튜브 형태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321)의 통로 영역(321A)과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330 may have a plurality of tube shape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assage area 321A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321 for each tube shape.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30)는 본체부(310) 및 연결부(3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pport part 3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main body part 310 and the connection part 320.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330)의 내부의 중앙을 포함하는 영역에 본체부(310)가 배치되고, 본체부(310)와 지지부(330)의 사이에 복수 개의 연결 부재(321)가 배치되어 연결 부재(321)가 지지부(330)와 본체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As one specific example, the main body 310 is disposed in an area including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33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321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support 330. The connection member 321 may connect the support part 330 and the main body part 310.

지지부(330)는 주입 공간(331)으로 주입된 유체의 흐름, 예를들면 기체의 흐름에 의하여 부피가 팽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330 may be formed to expand the volume by the flow of the fluid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331, for example, the flow of gas.

예를들면 지지부(330)는 수지 계열의 유연성이 있는 재질, 구체적 예로서 필름 형태의 외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330 may be formed to have a resin-based flexible material, specifically, a film-like outer shell.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330)는 타이어의 내측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타이어의 트레드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 사이드월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과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영역 별로 다른 형태의 외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pport part 330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inside of the tire. That is, the outer surface may have a different shape for each region so as to have a shape similar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tread of the tire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sidewall.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입 밸브(37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주입 밸브(370)는 지지부(330)의 주입 공간(331)과 연결 부재(321)의 통로 영역(321A)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n injection valve 370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injection valve 370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injection space 331 of the support 330 and the passage region 321A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

또한, 주입 밸브(370)는 지지부(330) 또는 연결 부재(3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321)와 지지부(330)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크기의 지지부(330)를 교체해가면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valve 37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330 or the connecting member 321, and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as another example. Through this, the connection member 321 and the support 33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can be used while replacing the support 330 having various shapes and various sizes.

주입부(301)는 지지부(330)의 내부, 즉 주입 공간(331)으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part 301 may be formed to supply a flow of the fluid into the support part 330, that is, the injection space 331.

일 예로서 주입부(301)는 본체부(310)의 일 영역,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310)의 중앙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njection unit 301 may be formed on one region of the main body 310, specifical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main body 310.

주입부(301)는 본체부(310)의 관통 영역(310A)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part 30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area 310A of the body part 310.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입부(301)는 본체부(310)의 일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기체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jection part 301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310, thereby facilitating gas injection.

주입부(301)로 유체, 구체적 예로 공기와 같은 기체(AR)를 주입하면 본체부(310)의 관통 영역(310A), 연결 부재(321)의 통로 영역(321A)을 거쳐 지지부(330)의 주입 공간(331)으로 주입될 수 있다.Injecting fluid AR, such as air, for example, air into the injection portion 301, passes through the through region 310A of the main body 310 and the passage region 321A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to support the 330. It may be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331.

주입 공간(331)으로 기체(AR)가 주입되면 지지부(330)의 부피가 커지면서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 지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When the gas AR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331, the volume of the support part 330 may increase, and the tire may be stably supported. Details of such tire support will be described lat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입부(301)는 본체부(310) 대신 연결부(3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injection part 30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connection part 320 instead of the main body part 310.

전술한 것과 같이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입부(301)를 통하여 서포트부(322)에도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입부(301)를 통하여 관통 영역(310A)으로 주입된 기체(AR)가 통로 영역(321A)로 전달 시 서포트부(322)에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별도의 유체 흐름(AR2)에 의하여 서포트부(32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s an optional embodiment,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art 322 through the injection part 301. To this end, the gas A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art 301 to the through area 310A is supported by a separate fluid flow AR2 so as not to pressurize the support part 322 when the gas AR is delivered to the passage area 321A.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portion 322.

즉, 주입부(301), 관통 영역(310A) 및 통로 영역(321A)을 거쳐 주입 공간(331)으로 주입되는 유체, 예를들면 기체의 흐름과 구별되는 유체 흐름(AR2)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fluid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331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301, the through area 310A and the passage area 321A, for example, a fluid flow AR2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flow of gas, can be formed. can do.

선택적 실시예로서 선택 밸브(380)를 주입부(301)과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선택 밸브(380)를 조절하여 주입부(301)를 통한 기체(AR)가 관통 영역(310A)을 통해 통로 영역(321A)으로 가게 하거나, 서포트부(322)에 압력을 가하는 유체 흐름(AR2)를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lection valve 38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injection portion 301, and the selection valve 380 is adjusted to allow gas AR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301 to pass through the passage region 310A. 321A, or a fluid flow AR2 that applies pressure to the support portion 322 can be formed.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를 이용한 타이어의 지지 및 이를 통한 관리에 대한 예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 example of support and management of the tire us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 및 이를 적용할 하나의 타이어를 준비할 수 있고,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를 화살표 방향으로 타이어의 내부 공간, 즉 타이어를 차량에 장착 시 필요한 림이나 휠이 대응되는 내측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That is,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and one tire to be applied thereto may be prepared, and the inner space of the tir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that is, the rim or wheel necessary for mounting the tire to the vehicle corresponds. It can be placed in the inner region.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가 타이어에 배치되면 주입부(301)에 유체, 예를들면 기체를 주입할 공급부를 연결하여 주입부(301)을 통하여 유체, 구체적 예로서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When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is disposed on the tire, the supply unit for injecting a fluid, for example, a gas, may be connected to the injector 301 to inject a fluid, for example, a gas such as air, through the injector 301. have.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는 제1 폭(W)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1 폭(W1)은 예를들면 지지부(330)의 주입 공간(331)에 유체가 주입되지 않거나 최대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최장 거리의 폭일 수 있는데, 공급부를 통한 주입 공간(331)으로의 유체 주입 전에 지지부의 폭(W1)은 타이어의 내측면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may have a first width W, for example, in which no fluid is injected or maximally introduced into the injection space 331 of the support 330. It may be the width of the longest distance in the state, where the width W1 of the support before the fluid injection into the injection space 331 through the supply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side of the tire.

그리고 나서 공급부를 통하여 주입부(301)에 기체와 같은 유체를 주입하면 이러한 유체는 관통 영역(310A) 및 통로 영역(321A)을 거쳐서 주입 공간(331)에 주입이 되어 주입 공간(331)이 팽창할 수 있다.Then, when a fluid such as gas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ortion 301 through the supply portion, such a fluid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331 through the through area 310A and the passage area 321A so that the injection space 331 expands. can do.

이를 통하여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가 용이하게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can easily support the tire.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부재(321)의 폭(PW1)이 신장되면서 지지부(330)가 더 효과적으로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s the width PW1 of the connection member 321 is extended, the support 330 may support the tire more effectively.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전술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타이어(TR1, TR2, TR3)을 적층한 상태로 관리하거나 보관하여도 복수 개의 타이어(TR1, TR2, TR3)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illustrated, the tire management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to manage or store the plurality of tires TR1, TR2, and TR3 in a stacked state as illustrated in FIG. 7. TR2, TR3) deformation or damage can be reduced or prevented.

도 17은 도 14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변형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modifica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FIG. 14.

본 실시예의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는 본체부(310'), 지지부(미도시), 연결부 및 주입부(301'), 추가 주입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re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310 ', a support (not shown), a connecting portion and an injection portion 301', and an additional injection portion 302 '.

본 실시예에서 주입부(301')를 통하여 서포트부(322')에도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주입부(301')를 통하여 관통 영역(310A')으로 주입된 기체(AR)가 통로 영역(321A')로 전달 시 서포트부(322')에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고, 이와 구별되는 별도의 기류에 의하여 서포트부(32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ortion 322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301'. To this end, when the gas AR injected into the through area 310A 'through the injection part 301' is delivered to the passage area 321A ',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support part 322', and is separated from this. It is to be able to apply pressure to the support portion 322 by the air flow.

즉, 주입부(301'), 관통 영역(310A') 및 통로 영역(321A')을 거쳐 주입 공간(331)으로 주입되는 유체, 예를들면 기체의 흐름과 구별되는 유체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선택 밸브(380')를 주입부(301')와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선택 밸브(380')를 조절하여 주입부(301')를 통한 기체(AR)가 관통 영역(310A')을 통해 통로 영역(321A')으로 가게 하거나, 서포트부(322')에 압력을 가하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fluid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331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301 ', the through area 310A', and the passage area 321A 'can be formed to form a fluid flow that is distinct from the flow of gas,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the selection valve 380 'may be connected to the injection portion 301', and the selection valve 380 'may be adjusted to allow gas AR to penetrate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301'. The passage 310A 'may lead to passage area 321A' or may apply pressure to support 322 '.

선택적 실시예로서 추가 주입부(302')을 통하여 추가 유체(AR'), 예를들면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서포트부(322')의 영역 중 관통 영역(310A')과 연결된 면의 반대면을 향하도록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dditional fluid AR ', for example, gas such as air, may be injected through the additional injection part 302', and through this, the penetration area 310A 'of the area of the support part 322'. Pressure may be provided to face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connected with the.

이를 통하여 서포트부(322')에 압력이 가해져 이동 방향(EX)으로 이동하여 연결 부재(321')가 이동 방향(EX)으로의 복원도 진행될 수 있다.As a result,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pport part 322 'to move in the movement direction EX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321' may be restored to the movement direction EX.

이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전술한 탄성 부재(390)가 생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forementioned elastic member 390 may optionally be omitted.

본 실시예의 본체부, 이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연결부의 연결 부재는 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에 주입된 유체, 예를들면 공기와 같은 기체를 통하여 지지부의 주입 공간이 유체로 차게되면 지지부가 팽창하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양단의 폭이 늘어나서 타이어에 배치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용이하게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다.The main bod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injection space of the support is filled with fluid through a gas such as air, for example, air, the support expands and the width of both ends of the support increases, so that the tire management device disposed on the tire easily supports the tire. can do.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내부에 림이나 휠과 같이 무겁고 고가의 부품을 생략한 채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가 타이어를 지지하여 타이어의 형태의 변형이나 타이어의 손상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타이어의 보관, 수납 또는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tire management device to support the tire while eliminating heavy and expensive parts such as rims and wheels in the tire, thereby reducing or preventing tire deformation, tire damage, and the like. It can be done easily.

또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본체부, 연결부를 가벼운 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관통 영역 및 통로 영역으로 인하여 무게를 가볍게 하여 타이어 관리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can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light resin, and the weight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weight due to the penetrating area and the passage area therein.

또한, 본체부와 구별되도록 연결부의 연결 부재가 형성될 수 있어서 본체부와 연결부의 효과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가 이동할 수 있게 하고, 폭을 연장시킬 수 있어 지지부를 통한 타이어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form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 addition, this allows the connecting member to move, and the width can be extended to effectively support the tire through the support.

또한, 연결부의 연결 부재의 폭을 조절하여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폭(W1) 또는 폭(W2)을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폭의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어 상이한 종류의 타이어에 대한 적재, 수납 또는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W1 or the width W2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ires of various widths can be supported to facilitate loading, storing or managing different types of tires. It can be done.

이 때, 연결 부재의 일 영역에 기체와 같은 기류를 통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포트부를 연결 부재의 일단에 형성하고 서포트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이를 완충하거나 복원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추가 주입부를 더하여 연결 부재의 길이를 자유롭게 제어하고 타이어에 대한 다양한 폭의 지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pply pressure through an air flow such as gas to one reg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 support par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ar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n elastic member for buffering or restoring it, or by adding an additional additional injection part to freely control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smoothly support various widths of the tire It can be don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the terms "the"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of the embodiments (particularly in the claims) and the like may be used in the singular or the plural. In addition,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ing inventions in which individual values fall within the above ranges (if not stated otherwise) is equivalent to describing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above range in a detailed description.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unless there is an explicit description or a contrary order to the steps.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escription order of the steps. For example, etc. "is merely intend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is defined by the claims. Unless otherwise describe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In addi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ppreciates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100, 200, 300: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110, 210, 310: 본체부
120, 220, 320: 연결부
130, 230, 330: 지지부
101, 201, 301: 주입부
100, 200, 300: tire management device
110, 210, 310: main body
120, 220, 320: connection
130, 230, 330: support
101, 201, 301: injection portion

Claims (10)

타이어를 지지하여 관리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갖는 본체부;
상기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통로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이어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 중 적어도 두 개의 연결 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타이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As a tire management device for supporting and managing tires,
A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through area therein;
A support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tire;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assage area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injection part configured to supply a flow of fluid into the support part,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tire,
And at least two connecting member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tire to support different regions of the suppo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 영역과 연결되도록 배치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jection por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주입부를 통한 유체의 흐름의 공급과 연결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주입 공간을 갖고,
상기 주입부를 통한 유체의 주입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가 팽창하도록 형성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has an injection space formed therein to be connected to the supply of the flow of fluid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nflated by the injection of fluid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된 유체는 상기 본체부의 관통 영역, 상기 연결 부재의 통로 영역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주입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uid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art is injected into the support part through a through area of the body part and a passage area of the connection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tire management device in which the said main body part and the said connection part were formed integral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가 구별되도록 형성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tire management device configured to distinguish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타이어를 지지하여 관리하는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갖는 본체부;
상기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통로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의 거리가 변하도록 형성된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As a tire management device for supporting and managing tires,
A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through area therein;
A support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region of the tire;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passage area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injection part configured to supply a flow of fluid into the support part,
The tire management device 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aid main-body part and the said support part may change.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관리하는 타이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갖는 본체부, 상기 타이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통로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로 유체의 흐름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가 팽창하도록 하여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이어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 중 적어도 두 개의 연결 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타이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관리 방법.
As a tire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a tire using a tire management device,
The tire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body part having at least one through area therein, a support part formed to support at least one area of the tire, and a passage area dispos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connection portion having a connection member and an injection portion configured to supply a flow of fluid into th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tire by causing the support to expand through a flow of fluid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tire,
At least two connecting member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tire to support different areas of the support por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관리 방법은,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 및 타이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의 주입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ire management method,
Prepar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and a tire;
Arrang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inside the tire; and
Injecting fluid into the support portion through the injecting portion of the tire management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관리 방법은,
상기 타이어 관리 디바이스를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배치한 후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한 채, 상기 타이어를 보관, 수납 또는 관리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tire management method,
And arranging the tire management device inside the tire to support the tire, and storing, storing or managing the tire.
KR1020180000904A 2018-01-03 2018-01-03 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KR102015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04A KR102015528B1 (en) 2018-01-03 2018-01-03 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04A KR102015528B1 (en) 2018-01-03 2018-01-03 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235A KR20190083235A (en) 2019-07-11
KR102015528B1 true KR102015528B1 (en) 2019-08-28

Family

ID=6725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904A KR102015528B1 (en) 2018-01-03 2018-01-03 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528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044B1 (en) * 2007-04-30 2009-07-3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Tire Shape retai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235A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318B2 (en) Non-pneumatic tire
CN103534105A (en) Annular structure having multiple reinforcement bands
CN101448650A (en) Variable stiffness spoke for a non-pneumatic assembly
KR102015528B1 (en) 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WO2013025223A1 (en) Inflation apparatus and methods
JP2018500222A (en) Rapid tire inflation system
US9333817B2 (en) Pneumatic tire comprising a hydraulic engine
JP5929459B2 (en) Puncture repair liquid container and puncture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KR102054377B1 (en) Device for managing tire and method for managing tire
US20110240153A1 (en) Low fuel permeation primer bulb
KR102360312B1 (en) Pneumatic tire with annular sidewall recess
CN104169069A (en) Flat-repairing device and flat-repairing method using same
CN103781640B (en) Tire for surface vehicle
JP5800753B2 (en) No-puncture tire and no-puncture tire assembly method
JP4555200B2 (en) Air spring stopper
US11486544B2 (en) High-pressure tank, vehicle including high-pressure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pressure tank
JP5935480B2 (en) Puncture repair liquid container and puncture repair method
US6969440B2 (en) Pneumatic ti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ody ply
JP2006327412A (en) Airbag for safety tire, and safety tire
KR100910044B1 (en) Tire Shape retain device
KR102361671B1 (en) Tire wheel and tire set
JP3631787B2 (en) Solid tire manufacturing method
KR200239972Y1 (en) Air storage tank have bicycle
KR20180005583A (en) Car tier and wheel
KR20210061443A (en) Pneumatic fen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