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435B1 -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 Google Patents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435B1
KR102015435B1 KR1020170169192A KR20170169192A KR102015435B1 KR 102015435 B1 KR102015435 B1 KR 102015435B1 KR 1020170169192 A KR1020170169192 A KR 1020170169192A KR 20170169192 A KR20170169192 A KR 20170169192A KR 102015435 B1 KR102015435 B1 KR 102015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shaft
roll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926A (ko
Inventor
김찬식
Original Assignee
김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식 filed Critical 김찬식
Priority to KR102017016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4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때, 바닥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용이하게 상쇄하여 안정적으로 구름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롤러들이 고정된 축봉은 2지점으로 분산하여 지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사용자가 발에 착용하게 되는 부츠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복수개의 롤러들을 공회전하도록 고정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판(板;plate)' 형상의 몸체를 가지는 롤러스케이트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너트홈에 나사결합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롤러가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축봉이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축공이 형성된 축관과; 상기 축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관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편에 대하여 10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체결관과; 상기 몸체의 저면에서 상기 너트홈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는 지지홈에 일단이 고정되거 타단은 상기 체결관에 체결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러스케이트 지지대{Supports for roller skates}
본 발명은, 상부에 신발이 고정되며 저면에 복수개의 롤러들이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바닥면에 대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때, 바닥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용이하게 상쇄하여 안정적으로 구름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롤러들이 고정된 축봉은 2지점으로 분산하여 지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스케이트는 신발과 유사한 부츠의 하측에 복수개의 롤러들이 공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후, 바닥면에 대하여 구름운동을 하도록 된 것으로, 기동성이 우수하고 스케이트와 스키, 하키 등 각종 실외 스포츠와의 폭넓은 교환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지방의 연소 효율이 높은 전신운동으로 건강에 관심이 많은 최근의 경향에 따라 높은 인기를 끌면서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롤러스케이트는, 사용자가 발에 착용하게 되는 부츠와, 전후로 공회전하는 롤러들을 지지하여 상기 부츠와 연결하는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부츠는 스키부츠와 유사한 형상으로 사용자의 발 전체와 발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발목 부위까지 상방으로 연장 성형된다.
또한, 상기 부츠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롤러들이 축결합되어 구비되는 롤러스케이트 지지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근자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때, 자체하중에 의해 바닥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용이하게 상쇄하여 안정적으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롤러스케이드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5-015740호(명칭: 엎-다운롤링 롤러스케이트/1995.06.1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신발 하부에 구비된 플레이트의 저면 전, 후방에 지지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베어링에 축착된 축부재를 설치하며, 축부재에는 전, 후 바퀴부재가 설치되는 롤러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지지부재에 회전 축지된 축부재의 양단에 축부재를 중심으로 편심회전하는 암부재를 각각 고정설치하고, 각 암부재에는 축부재의 중심과 편심되는 위치에 뒷바퀴부재를 각각 고정설치하여 된 롤러스케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19867호(명칭: 탄성체가장착된롤러스케이트/1999.05.1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경기자가 원하는 자세를 육상에서는 얼음보다 쉽게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체중을 받는 구두와 추진회전체체인 바퀴부위와의 사이에 탄성체를 삽입하여 탄성체의 반동력을 제2의 추진력으로 활용하게 하여 같은 힘으로 속도를 증가시키며 다양한 운동동작을 구현하도록 된 롤러스케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21982호(명칭: 충격방지용 롤러스케이트/2002.07.2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체결밴드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로울러를 착탈할 수 있는 고정용홀이 형성된 캐비넷이 구비되어 있는 신발과, 일단에는 체결홀이 형성된 상부브라켓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브라켓과 연결되며 권회설치된 스프링이 형성된 탄성부재와, 바퀴가 구비된 하부브라켓으로 지지되고 하부브라켓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고정하기 위한 지지요홈이 양단에 구성된 하우징을 구비한 로울러로 구성하되, 상기 탄성부재와 로울러는 권회설치된 스프링의 중앙을 관통하는 지지축으로 하우징의 지지요홈에 삽설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신발은 탄성부재의 상부브라켓의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신발의 고정용홀에 결합되어 이루어 진 롤러스케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07000호(명칭: 탄성프레임이 구비된 롤러스케이트/2005.03.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부츠와; 상기 부츠의 하방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지면과 마찰하면서 회전하는 바퀴와; 상기 다수개의 바퀴가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탄성프레임과; 상기 부츠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바퀴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바퀴를 제동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러스케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5-015740호(명칭: 엎-다운롤링 롤러스케이트/1995.06.14.)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19867호(명칭: 탄성체가장착된롤러스케이트/1999.05.13.) 3.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21982호(명칭: 충격방지용 롤러스케이트/2002.07.23.) 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07000호(명칭: 탄성프레임이 구비된 롤러스케이트/2005.03.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러스케이트들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때, 바닥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직각수직적으로 인가받아 상쇄하도록 되어 충격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안정적으로 탄성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구름운동을 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발 건강을 도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할 때, 바닥면에서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용이하게 상쇄하여 안정적으로 구름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롤러들이 고정된 축봉은 2지점으로 분산하여 지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는, 상부에는 사용자가 발에 착용하게 되는 부츠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복수개의 롤러들을 공회전하도록 고정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판(板;plate)' 형상의 몸체를 가지는 롤러스케이트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너트홈에 나사결합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롤러가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축봉이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축공이 형성된 축관과; 상기 축관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관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편에 대하여 10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체결관과; 상기 몸체의 저면에서 상기 너트홈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는 지지홈에 일단이 고정되거 타단은 상기 체결관에 체결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볼트에서 상기 체결편의 상부와 하부에는, 자체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링들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롤러로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상기 탄성링들이 흡수하여 제거하면서 상기 몸체로 인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는, 바닥면에서 직접적으로 충격하중을 인가받도록 된 롤러들에서 몸체로 충격하중들이 전달될 때, 탄성링들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쇄하여 전달하도록 됨으로써 사용자가 구름운동할 때, 안정적으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롤러들이 고정된 축봉이 몸체에 대하여 너트홈과 지지홈에 각각 연결되면서 2지점으로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롤러들에서 몸체로 충격하중들이 전달될 때, 충격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하여 상쇄할 수 있어, 더욱 안정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를 보인 개략 저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의 일 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1)는, 상부에는 사용자가 발에 착용하게 되는 부츠(2)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복수개의 롤러(3)들을 공회전하도록 고정하는 연결수단(20)이 구비된 '판(板;plate)' 형상의 몸체(10)를 가진다.
즉, 상부에는 상기 부츠(2)가 고정되고 하부에는 상기 롤러(3)들이 고정되어, 사용자의 발에 상기 부츠(2)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면에 대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1)에서, 상기 연결수단(20)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너트홈(11)에 나사결합하는 볼트(21)와; 상기 볼트(21)의 나사부가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된 체결편(23)과, 상기 체결편(23)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롤러(3)가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축봉(4)이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축공(24)이 형성된 축관(25)과; 상기 축관(25)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관(25)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편(23)에 대하여 10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체결관(26)과; 상기 몸체(10)의 저면에서 상기 너트홈(11)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는 지지홈(12)에 일단이 고정되거 타단은 상기 체결관(26)에 체결되는 연결링크(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롤러(3)들이 고정된 상기 축봉(4)이 상기 몸체(10)에 대하여 상기 너트홈(11)과 상기 지지홈(12)에 각각 연결되면서 2지점으로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안정성을 확보함은 물론, 상기 롤러(3)들에서 상기 몸체(10)로 충격하중들이 전달될 때, 충격하중을 안정적으로 2지점으로 분산하여 상쇄할 수 있어, 더욱 안정된 구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1)는, 상기 볼트(21)에서 상기 체결편(23)의 상부와 하부에는, 자체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링(28)들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롤러(3)로 인가되는 충격하중을 상기 탄성링(28)들이 흡수하여 제거하면서 상기 몸체(10)로 인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면에서 직접적으로 충격하중을 인가받도록 된 상기 롤러(3)들에서 상기 몸체(10)로 충격하중들이 전달될 때, 상기 탄성링(28)들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쇄하여 전달하도록 됨으로써 사용자가 구름운동할 때, 안정적으로 구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1)는, 하부에 상기 연결수단(20)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롤러(3)들이 공화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상기 부츠(2)가 고정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는 중에, 상기 롤러(3)를 통해 바닥면에서 전달되는 충격하중에 상기 체결편(23)과 상기 체결관(26)을 통해 2지점으로 분산되면서 상기 몸체(10)로 전달되어, 충격하중의 분산을 통한 저감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체결편(23)을 통해 상기 몸체(10)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은, 상기 탄성링(28)들을 경유하면서 탄성적으로 상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츠(2)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발에 현저히 저감된 충격하중이 인가됨에 따라, 구름운동을 더욱 안전되게 즐길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1)에서, 상기 지지홈(12)과 상기 연결링크(27)는,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되어, 상기 체결관(26)이 상기 지지홈(12)에 대하여 트림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홈(12)은 '반구'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끼움결합하는 상기 연결링크(27)의 단부는 '구' 형상의 돌부(29)가 구비되어; 회절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구름운동시에 발목의 꺽임에 따라, 상기 몸체(10)에서 상기 롤러(3)로 전달되는 편심된 하중을 상기 지지홈(12)과 상기 연결링크(27)의 회절(트림)운동을 통해 상쇄하여 안정되게 구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러스케이트 지지대(1)에서, 상기 체결관(26)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링크(27)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탄성스프링(5)이 배치되어, 상기 롤러(3)에 충격하중이 인가될 때, 상기 탄성스프링(5)을 통해 충격하중을 저감하면서 상기 연결링크(27)로 전달하도록 되어, 충격의 완화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2 : 부츠
3 : 롤러 4 : 축봉
5 : 탄성스프링 10 : 몸체
11 : 너트홈 12 : 지지홈
20 : 연결수단 21 : 볼트
22 : 관통공 23 : 체결편
24 : 축공 25 : 축관
26 : 체결관 27 : 연결링크
28 : 탄성링 29 : 돌부

Claims (1)

  1. 상부에는 사용자가 발에 착용하게 되는 부츠(2)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복수개의 롤러(3)들을 공회전하도록 고정되는 판(板;plate)'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너트홈(11)에 나사결합하는 볼트(21)와, 상기 볼트(21)의 나사부가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된 체결편(23)과 상기 체결편(23)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롤러(3)가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축봉(4)이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축공(24)이 형성된 축관(25)과, 상기 축관(25)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축관(25)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편(23)에 대하여 10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체결관(26)과, 상기 몸체(10)의 저면에서 상기 너트홈(11)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관에 체결되는 연결링크(27)를 가지어 상기 몸체(10)에 상기 롤러(3)들을 결합하는 연결수단(20);을 포함하여이루어지되;
    상기 볼트(21)에서 상기 체결편(23)의 상부와 하부에는, 자체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링(28)들이 각각 고정되는 롤러스케이트 지지대(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저면에는,
    상기 너트홈(11)과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어 상기 체결관(26)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링크(27)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홈(12)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홈(12)은,
    '반구'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홈(12)에 고정되는 상기 연결링크(27)의 일단부는 '구' 형상의 돌부(29)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홈(12)과 상기 연결링크(27)들이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KR1020170169192A 2017-12-11 2017-12-11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KR10201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92A KR102015435B1 (ko) 2017-12-11 2017-12-11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92A KR102015435B1 (ko) 2017-12-11 2017-12-11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926A KR20190068926A (ko) 2019-06-19
KR102015435B1 true KR102015435B1 (ko) 2019-08-28

Family

ID=6710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192A KR102015435B1 (ko) 2017-12-11 2017-12-11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348B1 (ko) * 2020-06-10 2021-02-04 김경민 보드에 장착되는 바퀴 부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9055B2 (ja) * 1988-04-08 1998-05-13 マランデル ジャン−ベルナール ローラースケート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740A (ko) 1993-11-19 1995-06-17 로버트 피. 말리 집적 반도체 장치를 봉입하기 위한 가열 이송 성형 방법
KR19990019867A (ko) 1997-08-30 1999-03-25 양재신 승용차의 루프 몰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9055B2 (ja) * 1988-04-08 1998-05-13 マランデル ジャン−ベルナール ローラースケート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926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261B2 (en) Skate
RU2595547C2 (ru) Крепление
US5566478A (en) Sports shoe having rotatable traction pad
KR102015435B1 (ko) 롤러스케이트 지지대
AU2007202774A1 (en) Roller Skate
US8556274B2 (en) Skate brake
WO2004078288A2 (en) Low profile roller skate
KR20110111586A (ko) 운동신발의 탄성장치
WO2011031885A1 (en) Wheeled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wheeled footwear
KR101336662B1 (ko) 스케이팅 운동기구
US20200164263A1 (en) Construction of skates
KR20080095752A (ko) 아이젠
KR101190777B1 (ko) 레저 스포츠기구용 무릎 지지기구
KR200219058Y1 (ko) 다기능 인라인 스케이트
WO2021101421A1 (en) Roller skis
KR100814085B1 (ko) 인라인스케이트
KR100976576B1 (ko) 스케이트 보드 겸용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67999Y1 (ko) 충격완화 인라인 스케이트
CN110582212A (zh) 具有赋能的鞋腰部分的鞋
US20060038363A1 (en) Damper device for in-line skate
KR200336022Y1 (ko) 롤러 스케이트
KR20060032166A (ko) 롤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발분리형 롤러 스케이트
KR200392888Y1 (ko) 탄성프레임이 구비된 롤러스케이트
US20080238008A1 (en) Spokeless Wheel Inline Skate
KR20070094715A (ko) 가속용 인라인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