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432B1 - 레저용 서핑 보드 - Google Patents

레저용 서핑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432B1
KR102015432B1 KR1020180025421A KR20180025421A KR102015432B1 KR 102015432 B1 KR102015432 B1 KR 102015432B1 KR 1020180025421 A KR1020180025421 A KR 1020180025421A KR 20180025421 A KR20180025421 A KR 20180025421A KR 102015432 B1 KR102015432 B1 KR 10201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motor
cap
handl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진
Original Assignee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정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정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35/79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70Accessori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type of board, e.g. paddings or buoyancy elements
    • B63B35/7926
    • B63B35/79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초보자의 서핑 강습시 수영장 등의 잔잔한 물에서도 용이하게 전진 또는 좌우회전시의 무게 중심 잡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고, 요구조자 발생시 요구조자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안전하게 요구조자를 구조할 수 있으며, 구조외의 서핑 활동시 손잡이 및 부력체 캡이 몸체의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삽입됨으로써, 손잡이 또는 부력체 캡에 의해 발이 걸리거나 물살의 저항을 받지 않는 레저용 서핑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부력을 갖는 유선형의 판 형상으로 물 위로 일부가 드러나 서퍼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 또는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 속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몸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저용 서핑 보드{Surfing board}
본 발명은, 레저용 서핑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초보자의 서핑 강습시 수영장 등의 잔잔한 물에서도 용이하게 전진 또는 좌우회전시의 무게 중심 잡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고, 요구조자 발생시 요구조자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안전하게 요구조자를 구조할 수 있으며, 구조외의 서핑 활동시 손잡이 및 부력체 캡이 몸체의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삽입됨으로써, 손잡이 또는 부력체 캡에 의해 발이 걸리거나 물살의 저항을 받지 않는 레저용 서핑 보드에 관한 것이다.
서핑은 바다에서 보드에 올라 파도를 타는 레저 스포츠로서 과거에는 외국에서 유행하였으나, 최근 국내에도 많은 사람들이 서핑을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서핑을 처음 배우는 초보자들은 보드에 올라타기가 무섭게 넘어지기 일쑤이며, 특히 파도가 너울대는 바다에서 중심잡는 법을 익히기가 매우 어려워 자칫 서핑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고 서핑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바다가 아닌 워터파크 등에 인공적으로 흐르는 물살을 만들고 보드에 올라타는 훈련법이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초보자가 흐르는 물 위에서 중심을 잡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였다.
한편, 서핑 또는 해수욕을 즐기던 와중 다리에 쥐가 나거나, 체력 고갈, 혹은 본인의 실력에 비해 강한 파도를 만난 경우 바다에 빠져 위험에 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조대가 달려가 수영을 하거나, 또는 보트를 타고 이동하기에는 요구조자의 입장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 요구조자까지 구명탄을 투하하고 던져진 구명탄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되어 구명용 튜브로 변경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명탄은 요구조자까지 도착한 후에 이산화탄소가 주입되어야 멀리 던질 수 있어 구명시간이 길고, 요구조자에 근접되게 투척하기 어려우며, 요구조자가 멀리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구명탄을 보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드론을 이용하여 공중으로부터 구조용 구명탄을 낙하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드론을 이용한 투하의 경우 공중에 위치한 드론과 해상에 위치한 요구조자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여 낙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고, 따라서 복수의 구명탄을 무작위로 투하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있는 측면이 있었고, 또한, 투하되는 구명탄에 요구조자가 맞아 부상이 발생하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초보자도 잔잔한 물 위에서 용이하게 서핑을 훈련할 수 있고, 또한, 요구조자 발생시 신속하게 요구조자를 구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1024595(등록번호) 2011.03.17.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초보자의 서핑 강습시 수영장 등의 잔잔한 물에서도 용이하게 전진 또는 좌우회전시의 무게 중심 잡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는 레저용 서핑 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구조자 발생시 요구조자의 위치까지 원격으로 이동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요구조자를 구조할 수 있는 레저용 서핑 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외의 서핑 활동시 손잡이 및 부력체 캡이 몸체의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삽입됨으로써, 손잡이 또는 부력체 캡에 의해 발이 걸리거나 물살의 저항을 받지 않는 레저용 서핑 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구조자가 발생할 수 있는 근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멀리 있는 요구조자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는 레저용 서핑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요구조자까지 구명수단이 접근하고, 다수의 요구자가 발생되더라도 충분한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레저용 서핑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력을 갖는 유선형의 판 형상으로 물 위로 일부가 드러나 서퍼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 또는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 속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몸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몸체의 상면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돌출되는 고정 돌기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단부로 제 1 고정핀이 출납되는 제 1 스토핑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토핑 액츄에이터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고정핀이 인출되어 상기 고정 돌기의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핀이 인입되어 상기 고정 돌기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스 공급시 팽창되는 보조 부력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부력체 캡과, 상기 부력체 캡의 일측에 돌출되는 캡 돌기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단부로 제 2 고정핀이 출납되는 제 2 스토핑 액츄에이터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채 캡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부력체 트리거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체 트리거가 당겨지면 상기 보조 부력체에 가스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토핑 액츄에이터는, 상기 부력체 캡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고정핀이 인출되어 상기 캡 돌기의 일측에 접촉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핀이 인입되어 상기 캡 돌기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또한, 본 발령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조향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조향 모터의 회전각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 속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의 전진시 상기 몸체의 전진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방향키의 회전각을 결정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초보자의 서핑 강습시 수영장 등의 잔잔한 물에서도 용이하게 전진 또는 좌우회전시의 무게 중심 잡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상면 상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요구조자 발생시 요구조자가 손잡이를 잡고 구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외측으로 팽창 가능한 보조 부력체가 구비됨으로써, 요구조자의 구조에 필요한 부력을 몸체가 감당하지 못할 때 몸체의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외의 서핑 활동시 손잡이 및 부력체 캡이 몸체의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삽입됨으로써, 손잡이 또는 부력체 캡에 의해 발이 걸리거나 물살의 저항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요구조자가 발생할 수 있는 근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멀리 있는 요구조자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요구조자까지 구명수단이 접근하고, 다수의 요구자가 발생되더라도 충분한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서핑 보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서핑 보드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서핑 보드의 손잡이의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서핑 보드의 부력체 캡의 사용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서핑 보드의 보조 부력체가 팽창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서핑 보드의 부력체 캡의 사용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서핑 보드의 보조 부력체가 팽창된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을 갖는 유선형의 판 형상으로 물 위로 일부가 드러나 서퍼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하단 또는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130)와,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 속에 위치되며 모터(130)에 의해 회전하여 몸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스크류(131)와, 몸체(100)에 내장되어 모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몸체(100)에 내장되어 모터(130)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몸체(100)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서퍼가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형성된 유선형의 판 형상으로 전방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후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몸체(100)의 선단은 뾰족하게 형성되고, 후단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몸체(100)의 선단과 후단이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물의 저항을 작게 받을 수 있다. 아울러 몸체(100)의 선단은 상부를 향해 완만하게 휘어지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몸체(100)는 선단과 후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서퍼가 밟고 올라서도 물 위로 일부가 드러날 수 있는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가벼운 나무나 EPS(에폭시), PE(폴리에틸렌), 또는 PU(폴리우레탄) 재질의 표면에 섬유유리가 덧입혀져 만들어진다. 몸체(100)는 길이, 너비 및 모양을 다르게 하여 롱보드, 펀보드, 피쉬보드, 숏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0)의 후단부는 도면에서는 평탄하게 도시하였지만, 서핑 보드의 용도에 따라 스쿼시 테일, 스퀘어 테일, 썸테일, 핀테일, 스왈로우 테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몸체(100)의 저면에는 물과 접촉되는 바텀부가 형성되는데, 바텀부는 몸체(100)의 바닥 모양으로, 도면에서는 평평한 모양의 플랫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서핑 보드의 용도에 따라 싱글 콘케이브, 더블 콘케이브, V 등의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0)는, 상면 일측에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손잡이(110)가 복수 개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몸체(100)는 상면 일측에 손잡이(110)의 설치를 위한 제 1 상면 인입부(101)가 복수 형성되며, 제 1 상면 인입부(101)의 상단에는 손잡이(110)의 돌출시 손잡이(1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손잡이(110)의 고정 돌기(112) 상단과 접촉되는 단턱(10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내측에는 제 1 스토핑 액츄에이터가 내장되어서, 제 1 상면 인입부(101)의 내측면으로 제 1 고정핀(113a)이 노출된다.
또한, 몸체(100)는, 상면 일측에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보조 부력체(120) 또는 보조 부력체(120)의 팽창을 실시하기 위한 부력체 트리거(123) 및 부력체 캡(121)의 설치를 위한 제 2 상면 인입부(102)가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내측에는 제 2 스토핑 액츄에이터가 내장되어서, 제 2 상면 인입부(102)의 내측면으로 제 2 고정핀(122a)이 노출된다.
그리고, 보조 부력체(120)가 구비되는 경우, 보조 부력체(120)는 제 2 상면 인입부(102)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부력체 트리거(123)를 당겼을 시 팽창되어 제 2 상면 인입부(102) 외부로 확장될 수 있으며, 또는, 보조 부력체(120)는 몸체(100)의 일측면 내측으로 구비되어서 부력체 트리거(123)를 당겼을 시 팽창되어 몸체(100)의 측면 방향 외측으로 팽창될 수 있다.
손잡이(110)는, 요구조자 발생시 요구조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성되며, 무선 통신부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몸체(100)의 상면 상부로 돌출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손잡이(110)는 몸체(1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제 1 상면 인입부(101)의 내측에 설치되는데, 이때, 손잡이(110)의 하단은 탄성부(111)에 의해 몸체(100)의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손잡이(110)의 일측으로는 고정 돌기(112)가 돌출되어서 손잡이(110)의 돌출시 제 1 상면 인입부(101)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101a)에 접촉되어 손잡이(110)가 더이상 상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 돌기(112)는 손잡이(110) 일측면의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손잡이(110)를 상부로부터 누르면 고정 돌기(112)의 경사면을 따라 제 1 액츄에이터(113)의 제 1 고정핀(113a)이 미끄러져 눌리게 되고, 손잡이(110)를 더욱 눌러 손잡이(110)의 상면이 몸체(100)의 상면과 일치되는 시점에 제 1 고정핀(113a)이 고정 돌기(112)의 경사면을 벗어나 고정 돌기(112)의 상단에 접촉된다. 따라서, 손잡이(110)의 상면이 몸체(100)의 상면과 일치되는 시점에서 손잡이(110)의 상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여도 제 1 고정핀(113a)에 의해 손잡이(110)가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후 요구조자 발생시 사용자, 즉, 구조대원 또는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몸체(100)를 요구조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제 1 액츄에이터(113)가 제 1 고정핀(113a)을 인입시키고, 제 1 고정핀(113a)과 고정 돌기(112)의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부(111)에 의해 손잡이(110)가 몸체(100)의 상면 상부로 돌출되어 요구조자가 손잡이(110)를 잡고 구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조 작업이 완료된 후 손잡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눌러 다시 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며, 삽입시 몸체(100)의 상면과 일치된 면을 가지게 되므로, 평상시 서핑을 즐길 때에는 손잡이(110)에 의해 발이 걸리거나 물살의 저항을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110)는 몸체(100)의 상면에 복수 개 구비되어서, 요구조자가 몸체(100)의 어느 방향에 있어도 용이하게 손잡이(110)를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1 액츄에이터(113)는 몸체(100)의 제 1 상면 인입부(101)로부터 몸체(100)의 내측에 내장되며, 제 1 고정핀(113a)만 제 1 상면 인입부(101) 내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서, 제 1 고정핀(113a)이 출납되는 홀은 별도의 방수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100)를 기울이거나 세워놓았을 시 제 1 상면 인입부(101)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 부식 또는 부패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부력체(120)는, 요구조자가 두 명 이상일 경우 몸체(100)의 부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스 공급시 팽창되어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부력체(120)는, 통상의 튜브 또는 비치볼과 같은 합성 수지재의 밀폐된 주머니로 구성되며, 몸체(100)의 일측에 장착되거나 또는 몸체(1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상면 인입부(102) 내측에 장착된다.
또한, 보조 부력체(120)는 요구조자가 필요시 부풀려 몸체(100)의 부력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보조 부력체(120)의 팽창을 결정하는 부력체 트리거(123)가 일측에 구비된다. 부력체 트리거(123)는 와이어의 끝단에 링또는 막대형의 그립 부재가 연결된 형태로서, 와이어의 다른 끝단은 압축 공기 탱크의 밸브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요구조자가 그립 부재를 당기게 되면 압축 공기 탱크의 공기가 보조 부력체(120)에 제공되어서 보조 부력체(120)가 팽창할 수 있게 된다.
몸체(100)에는 이러한 부력체 트리거(123)를 내장하기 위한 제 2 상면 인입부(102)가 형성된다. 제 2 상면 인입부(102)는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형태로서, 그 내측에 부력체 트리거(123)가 구비되고, 그 상단은 부력체 캡(121)에 의해 밀폐된다.
부력체 캡(121)은 몸체(100)의 일측에 힌지(121b)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주유구 캡과 같이 탄성을 갖는 힌지(121b)에 의해 몸체(100)에 결합되어서, 잠금이 해제되었을 시 상방으로 개방되어 내측의 부력체 트리거(123)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력체 캡(121)은 몸체(100)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캡 돌기(121a)가 돌출 형성되며, 캡 돌기(121a)는 부력체 캡(121) 일측면의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부력체 캡(121)을 상부로부터 누르면 캡 돌기(121a)의 경사면을 따라 제 2 액츄에이터(122)의 제 2 고정핀(122a)이 미끄러져 눌리게 되고, 부력체 캡(121)을 더욱 눌러 부력체 캡(121)의 상면이 몸체(100)의 상면과 일치되는 시점에 제 2 고정핀(122a)이 캡 돌기(121a)의 경사면을 벗어나 캡 돌기(121a)의 상단에 접촉된다. 따라서, 부력체 캡(121)의 상면이 몸체(100)의 상면과 일치되는 시점에서 부력체 캡(121)의 상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여도 제 2 고정핀(122a)에 의해 부력체 캡(121)이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후 요구조자 발생시 사용자, 즉, 구조대원 또는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몸체(100)를 요구조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제 2 액츄에이터(122)가 제 2 고정핀(122a)을 인입시키고, 제 2 고정핀(122a)과 캡 돌기(121a)의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력을 갖는 힌지(121b)에 의해 부력체 캡(121)이 몸체(100)의 상면 상부로 개방되어 요구조자가 부력체 트리거(123)를 잡고 당겨 보조 부력체(120)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조 작업이 완료된 후 부력체 캡(1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눌러 다시 몸체(100)의 제 2 상면 인입부(102)를 폐쇄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폐쇄시 몸체(100)의 상면과 일치된 면을 가지게 되므로, 평상시 서핑을 즐길 때에는 부력체 캡(121)에 의해 발이 걸리거나 물살의 저항을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부력체 캡(121) 및 보조 부력체(120)는 몸체(100)의 상면에 복수 개 구비되어서, 요구조자가 몸체(100)의 어느 방향에 있어도 용이하게 부력체 트리거(123)를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2 액츄에이터(122)는 몸체(100)의 제 2 상면 인입부(102)로부터 몸체(100)의 내측에 내장되며, 제 2 고정핀(122a)만 제 2 상면 인입부(102) 내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서, 제 2 고정핀(122a)이 출납되는 홀은 별도의 방수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100)를 기울이거나 세워놓았을 시 제 2 상면 인입부(102)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 부식 또는 부패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부력체 캡(121)은, 제 2 액츄에이터(122)와 고정핀에 의한 개폐가 아닌, 수동 조작에 의한 개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부력체 캡(121)은 일부 자동차에 적용된 주유구 캡과 마찬가지로,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가압력이 전달되면 잠금이 해제되어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대원 또는 관리자가 별도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지 아니하여도, 요구조자가 스스로 판단하여 부력체 캡(121)을 개방하고 부력체 트리거(123)를 당겨 보조 부력체(120)를 팽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 부력체(120)는, 도 5 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100)의 측면부에 장착되었다가 부력체 트리거(123)의 작동시 팽창하여 몸체(100)의 측면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100)의 제 2 상면 인입부(102) 내측에 장착되었다가 부력체 트리거(123)의 작동시 팽창하여 몸체(100)의 상면 상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 에는 튜브 형태의 보조 부력체(120)가 몸체(100)의 외측으로 팽창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구형, 육면체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모터(130)는, 스크류(1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몸체(100)의 하단 또는 하단 내측에 구비된다.
모터(130)는 방수 모터(130)로서 구동축을 가지며, 구동축은 스크류(131)에 연결되거나 구동축의 외주연에 스크류(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모터(130)는 몸체(100)와의 사이에 조향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100)의 하단에 조향 모터가 결합되고, 조향 모터에 모터(130)가 결합되는 형태로서, 조향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모터(130)의 구동축 방향이 결정된다. 이러한 조향 모터는 결과적으로 스크류(131)의 방향을 가변하는 것으로서, 몸체(100)의 추진 방향을 가변할 때 활용된다. 조향 모터가 몸체(10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무게중심보다 후단에 위치되는 경우, 조향 모터가 회전하여 스크류(131)가 몸체(100)의 길이 방향 기준선보다 좌측에 위치된 채 정회전하면, 몸체(100)의 후단이 우측으로 이동되며 몸체(100)가 좌회전하게 되고, 그 반대인 경우 우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조향 모터의 회전각은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며, 제어부는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아 조향 모터를 제어한다.
스크류(131)는, 몸체(1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 속에 위치되며, 모터(130)에 의해 회전된다.
스크류(131)는 모터(130)의 구동축 끝단에 결합되거나 또는 모터(130)의 구동축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다수의 날개가 형성된 프로펠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130)의 정회전시 스크류(131)는 전방의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몸체(100)에 전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통상 정회전 전용으로 구성되나, 필요시 역회전하여 몸체(100)에 후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아 모터(130)의 구동력을 제어하거나, 몸체(100)의 추진 방향을 제어하고, 또한 손잡이(110)의 돌출 또는 부력체 캡(121)의 개방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몸체(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무선 통신부, 제 1 스토핑 액츄에이터, 제 2 스토핑 액츄에이터, 조향 모터, 방향키, 전원 공급부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모터(130)의 구동력을 조정하여 몸체(100)가 빠르게 또는 느리게 전진하거나 혹은 후진할 수 있도록 하며, 조향 모터 또는 방향키의 회전각을 제어하여 몸체(100)의 추진 방향이 가변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제 1 스토핑 액츄에이터 또는 제 2 스토핑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손잡이(110)가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부력체 캡(121)이 개방되어 부력체 트리거(123)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는, 전원 공급부의 잔량을 측정하여 잔량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에 제공하며, 이에 따라 구조대원 또는 관리자가 수면에 떠있는 몸체(100)를 회귀시켜 전원 공급부를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는,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몸체(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는 드론 등과 같이 2.4G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3G, LTE, RF 등등 다양한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 공급부는, 몸체(100)에 내장되는 것으로 모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해준다. 전원 공급부는 한편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제어부에 의해 모터(130)의 구동력이 제어된다.
또한,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 무선 통신부, 제 1 스토핑 액츄에이터, 제 2 스토핑 액츄에이터, 조향 모터, 방향키 등에 구동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는 충전지가 내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전지를 교체하여 사용할수도 있고, 충전지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형태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제어부는 전원 공급부의 잔량을 측정하여 해당 정보를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트레이닝 용도의 사용이 있을 수 있다.
서핑은 바다에 나가 파도를 타며 즐기는 레저 스포츠로서, 초보자가 바다에서 배우기에는 많은 두려움이 있을 수 있고, 또한 실제 바다는 파도의 방향이 불규칙하여 몸체(100) 위에 몸을 올려 세우기까지도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수영장과 같인 잔잔한 물에 몸체(100)를 띄워놓고 수강자가 올라서면 강사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느린 속도로부터 점차 빠른 속도로 수강자가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후 수강자가 전진 방향에 대하여 어느 정도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되면, 강사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몸체(100)의 전진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흔들리도록 함으로써 수강자가 갑작스런 몸체(100)의 흔들림에도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중 하나인 요구조자의 구조 용도의 사용이 있을 수 있다.
구조대원 또는 관리자는 해상을 주시하다 요구조자가 발생되면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몸체(100)를 요구조자가 있는 지점까지 이동시킨다.
이후,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손잡이(110)를 돌출시켜 요구조자가 손잡이(110)를 잡고 구조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부력체 캡(121)을 개방시켜 요구조자가 부력체 트리거(123)를 당겨 몸체(100)의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모터(130)의 구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초보자의 서핑 강습시 수영장 등의 잔잔한 물에서도 용이하게 전진 또는 좌우회전시의 무게 중심 잡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100)의 상면 상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110)가 구비됨으로써 요구조자 발생시 요구조자가 손잡이(110)를 잡고 구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100)의 외측으로 팽창 가능한 보조 부력체(120)가 구비됨으로써, 요구조자의 구조에 필요한 부력을 몸체(100)가 감당하지 못할 때 몸체(100)의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외의 서핑 활동시 손잡이(110) 및 부력체 캡(121)이 몸체(100)의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삽입됨으로써, 손잡이(110) 또는 부력체 캡(121)에 의해 발이 걸리거나 물살의 저항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100 : 몸체 110 : 손잡이
111 : 탄성부 112 : 고정 돌기
113 : 제 1 액츄에이터 120 : 보조 부력체
121 : 부력체 캡 122 : 제 2 액츄에이터
130 : 모터 131 : 스크류

Claims (7)

  1. 부력을 갖는 유선형의 판 형상으로 물 위로 일부가 드러나 서퍼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 또는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 속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몸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몸체의 상면 상부로 돌출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레저용 서핑 보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돌출되는 고정 돌기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단부로 제 1 고정핀이 출납되는 제 1 스토핑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토핑 액츄에이터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고정핀이 인출되어 상기 고정 돌기의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핀이 인입되어 상기 고정 돌기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레저용 서핑 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스 공급시 팽창되는 보조 부력체;
    를 포함하는 레저용 서핑 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부력체 캡과, 상기 부력체 캡의 일측에 돌출되는 캡 돌기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단부로 제 2 고정핀이 출납되는 제 2 스토핑 액츄에이터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체 캡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부력체 트리거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체 트리거가 당겨지면 상기 보조 부력체에 가스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토핑 액츄에이터는, 상기 부력체 캡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고정핀이 인출되어 상기 캡 돌기의 일측에 접촉되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핀이 인입되어 상기 캡 돌기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레저용 서핑 보드.
  6.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조향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조향 모터의 회전각을 결정하는 레저용 서핑 보드.
  7.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 속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의 전진시 상기 몸체의 전진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방향키의 회전각을 결정하는 레저용 서핑 보드.
KR1020180025421A 2018-03-02 2018-03-02 레저용 서핑 보드 KR10201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421A KR102015432B1 (ko) 2018-03-02 2018-03-02 레저용 서핑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421A KR102015432B1 (ko) 2018-03-02 2018-03-02 레저용 서핑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432B1 true KR102015432B1 (ko) 2019-08-28

Family

ID=6777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421A KR102015432B1 (ko) 2018-03-02 2018-03-02 레저용 서핑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834A (ko) * 2021-09-10 2023-03-17 서프시티 협동조합 서프레스큐 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595B1 (ko) 2008-09-11 2011-03-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외기형 추진기를 장착한 서프보드
KR200471085Y1 (ko) * 2013-10-02 2014-02-06 곽경호 수중호흡장치가 설치된 보드
KR101522667B1 (ko) * 2014-06-30 2015-05-26 구권회 동력식 서핑보드
US20170297669A1 (en) * 2010-07-01 2017-10-19 Boomerboard, Llc Motorized watercraft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otor module
KR101813977B1 (ko) * 2016-09-07 2018-01-02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서핑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595B1 (ko) 2008-09-11 2011-03-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외기형 추진기를 장착한 서프보드
US20170297669A1 (en) * 2010-07-01 2017-10-19 Boomerboard, Llc Motorized watercraft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otor module
KR200471085Y1 (ko) * 2013-10-02 2014-02-06 곽경호 수중호흡장치가 설치된 보드
KR101522667B1 (ko) * 2014-06-30 2015-05-26 구권회 동력식 서핑보드
KR101813977B1 (ko) * 2016-09-07 2018-01-02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서핑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834A (ko) * 2021-09-10 2023-03-17 서프시티 협동조합 서프레스큐 보드
KR102582900B1 (ko) * 2021-09-10 2023-09-26 서프시티 협동조합 서프레스큐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788A (en) Radio controlled surfboard with robot
US7607959B2 (en) Personal water craft to enable a user to walk on water
US11596839B2 (e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US20110256518A1 (en) Surfing i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8499707B2 (en) Rescue boat
US8696396B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US2986751A (en) Inflatable buoyant device
US20070149365A1 (en) Board sport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RU2718178C1 (ru) Мобильное плавучее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малыми импеллерами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KR102015432B1 (ko) 레저용 서핑 보드
US7121910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RU2718508C1 (ru) Комплект средств плавучего спаса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малыми импеллерами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US3751030A (en) Aquatic apparatus with buoyancy control structure
RU2718826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лавучим спаса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с малыми импеллерами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на дистанционном управлении
US20220297800A1 (en) Winged boat
US3254622A (en) Surfboard propulsion device
US3065722A (en) Towed underwater vehicle
US4056861A (en) Buoyant life-saving device
KR100558281B1 (ko) 수상 보드
CA2596252A1 (en) Recreational floatation device with manual rotational propulsion system
KR101343778B1 (ko) 레저용 스쿠버 보트
USRE47021E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JPH0239498Y2 (ko)
JPH01215693A (ja) 双胴船型足踏式推進船
US20140315450A1 (en) Buoyant apparatu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