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73B1 -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73B1
KR102015373B1 KR1020167015949A KR20167015949A KR102015373B1 KR 102015373 B1 KR102015373 B1 KR 102015373B1 KR 1020167015949 A KR1020167015949 A KR 1020167015949A KR 20167015949 A KR20167015949 A KR 20167015949A KR 102015373 B1 KR102015373 B1 KR 10201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cell
ccs
user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991A (ko
Inventor
카즈키 타케다
카즈아키 타케다
토오루 우치노
사토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6010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CS)과, 세컨더리 셀에서 상향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라도,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것.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20)은,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셀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셀 그룹(CG)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각 셀로부터 송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3)와, 각 CG에 각각 설정되는 상향 제어신호를 할당 가능한 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고, 상향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셀로서 제어하는 제어부(401)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하향 제어신호에 CCS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해당 하향 제어신호를 수신한 셀과, 상기 상향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셀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신호에 할당하는 리소스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차세대의 통신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LTE에서는 멀티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회선(하향링크)에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향회선(상향링크)에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또, LTE로부터의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LTE 어드밴스트 또는 LTE 인핸스먼트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이하, 'LTE―A'라고 한다))도 검토되고, LTE Rel. 10/11로서 사양화되고 있다.
LTE―A 시스템(LTE Rel. 10/11)의 시스템 대역은,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한 단위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CC를 모아서 광대역화하는 것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이라고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CC를, 단순히 셀이라고 부른다.
또, LTE Rel. 10/11에서는, 제어신호의 안정적인 송수신을 실현하기 위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CS: Cross―Carrier Scheduling)이 도입되고 있다. CCS에 의해, 공유 데이터 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셀에 관한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를, 다른 셀에 할당한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통지할 수 있다.
LTE의 더욱의 후계 시스템(LTE Rel. 12)에 있어서는, 복수의 셀이 다른 주파수대(캐리어)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검토되고 있다. 복수의 셀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상술한 CA(Intra―eNB CA라고도 부른다)가 적용 가능하다. 한편으로, 복수의 셀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이 완전히 다른 경우에는, 듀얼 커넥티비티(DC: Dual Connectivity)(Inter―eNB CA라고도 부른다)를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DC를 이용하는 경우, 유저단말은,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뿐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에서 상향 제어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상향링크 제어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할당하여, 무선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SCell에서 PUCCH를 통해 UCI를 피드백하는 것을, PUCCH on SCell이라고도 부른다.
CA 및 DC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CCS와 PUCCH on SCell을 동시에 적용한 시스템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CCS와 PUCCH on SCell을 동시에 적용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상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CCS에 대해 UCI 피드백을 수행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CA 또는 DC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기지국과 유저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CCS와 PUCCH on SCell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라도,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은,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셀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셀 그룹과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단말에 있어서, 각 셀로부터 송신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각 셀 그룹에 각각 설정되는 상향 제어신호를 할당 가능한 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고, 상향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셀로서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하향 제어신호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해당 하향 제어신호를 수신한 셀과, 상기 상향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셀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해당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신호에 할당하는 리소스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CS와 PUCCH on SCell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라도,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 듀얼 커넥티비티(DC)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배치 시나리오 4의 모식도이다.
도 3은 SCell에 대한 PUCCH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CS)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종래의 CA에 있어서 상정되는 CCS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CSS 설정시의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이용하는 PDCCH/EPDCCH의 파라미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CG를 걸치지 않는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1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CG를 걸치는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1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CG를 걸치지 않는 2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1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CG를 걸치는 CCS를 포함하는 2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1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CG를 걸치지 않는 3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2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CG를 걸치는 CCS를 포함하는 3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2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2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3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 있어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라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확장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EPDCCH: Enhanced PDCCH)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채널(PUCCH, PDCCH 등)을 송신/수신한다'는 기재는, 해당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단순히 '상향' 및 '하향'이라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각각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의미한다.
LTE―A 시스템에서는, 반경 수 킬로미터 정도의 광범위의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갖는 매크로 셀 내에, 반경 수십 미터 정도의 국소적인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갖는 스몰 셀이 형성되는 HetNet(Heterogeneous Network)가 검토되어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 듀얼 커넥티비티(DC)는, HetNet 구성에 적용된다. 또한, 다른 네트워크 구성에 적용되어도 좋다.
HetNet 구성에서는, 트래픽의 추가적인 증대를 서포트하기 위해, 고밀도로 스몰 셀을 전개하는 시나리오가 검토되고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매크로 셀에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대의 캐리어를 이용함으로써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스몰 셀에는 넓은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크로 셀 레이어에서는, 제어 플레인(C(Control)―plane)의 접속을 확립하여, 낮은 주파수대에서 높은 송신 전력 밀도를 서포트함으로써 넓은 커버리지나 모빌리티가 확보된다. 한편으로, 고밀도 스몰 셀 레이어에서는, 데이터에 특화된 유저 플레인(U(User)―plane)의 접속을 확립하여, 높은 주파수에서 캐퍼시티를 확보함으로써 스루풋이 증대된다. 또한, 스몰 셀은, 팬텀 셀, 피코 셀, 나노 셀, 펨토 셀, 마이크로 셀 등이라 불려도 좋다.
도 1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 듀얼 커넥티비티(DC)의 모식도이다. 유저단말(UE)은 무선기지국(eNB1 및 eNB2)과 통신한다. 도 1에는, 물리 하향 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물리 상향 제어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어신호가 각각 나타내어 있다. 예를 들면, PDCCH를 통해 하향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가 송신된다. 또, PUCCH를 통해 상향 제어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가 송신된다. 또한, PDCCH를 통해 송신되는 DCI는, 단순히 하향 제어신호(PDCCH 신호)라 불려도 좋으며, PUCCH를 통해 송신되는 UCI는, 단순히 상향 제어신호(PUCCH 신호)라 불려도 좋다.
도 1a에는, CA에 따른 eNB1, eNB2 및 UE의 통신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eNB1은 매크로 셀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이하, 매크로 기지국이라고 한다)이며, eNB2는 스몰 셀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이하, 스몰 기지국이라고 한다)이지만, 해당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몰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하는 RRH(Remote Radio Head)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CA가 적용되는 경우, 하나의 스케줄러(예를 들면, 매크로 기지국(eNB1)이 갖는 스케줄러)가 복수 셀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이러한 점에서, CA(Rel. 10/11 CA)는 기지국내 CA(intra―eNB CA)라 불려도 좋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CA라 부른다.
상기 구성에서는, 기지국 사이가 광파이버와 같은 고속 회선(이상적 백홀(ideal backhaul)이라고도 불린다)으로 접속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UE는 각 셀에 관한 UCI를, 하나의 셀(예를 들면, PCell)의 PUCCH를 통해 송신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PCell(매크로 셀) 및 SCell(스몰 셀)에서 송신되는 PDSCH 신호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용 확인 응답 신호(재송 제어 신호라고도 불린다)는, PCell의 PUCCH 리소스에 집약하여 할당된다. 이 경우, 복수의 확인 응답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향링크의 커버리지 확보가 용이해진다.
한편, 도 1b에는, DC에 따른 eNB1, eNB2 및 UE의 통신이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eNB1 및 eNB2는 매크로 기지국이지만, 해당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DC가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스케줄러가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해당 복수의 스케줄러(예를 들면, 매크로 기지국(eNB1)이 갖는 스케줄러 및 매크로 기지국(eNB2)이 갖는 스케줄러)가 각각의 관할하는 하나 이상의 셀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DC는 기지국 간 CA(inter―eNB CA)라 불려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각 기지국 간은 지연을 무시할 수 없는 비이상적 백홀(non―ideal backhaul)로 접속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다. 그 때문에, UE는 기지국마다,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에 관한 UCI를 피드백할 필요가 있다. 즉, UE는, PCell에 더해, 적어도 하나의 SCell의 무선 리소스에 PDCCH를 할당하여, UCI 피드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PUCCH on SCell). 이와 같이, DC에서는, UE가 적어도 2개의 셀에서 PUCCH를 송신할 필요가 있으나, 셀 사이를 이상적 백홀로 접속하지 않아도 CA와 동일한 스루풋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CA에서도, DC와 같이 SCell에 대한 PUCCH의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2는, CA의 배치 시나리오 4의 모식도이다. 도 2에서는, 매크로 셀을 PCell, 스몰 셀을 SCell로 하고 있다. CA의 배치 시나리오 4(deployment scenario #4)는, 주파수 F1에서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매크로 셀의 트래픽을 주파수 F2(F1<F2)에서 RRH(Remote Radio Head)가 형성하는 스몰 셀에 오프로드하는 구성이다. 해당 구성에 따르면, 매크로 셀에 따른 모빌리티 확보와, 스몰 셀에 따른 캐퍼시티 증대와의 양방의 효과를 누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CA에서는, PUCCH에 따른 UCI 피드백은 PCell을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배치 시나리오 4에서 스몰 셀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UCI 피드백에 따른 트래픽이 증대된다. 이로 인해, 매크로 셀의 상향링크 리소스가 PUCCH에 의해 핍박받고, 스몰 셀에 따른 용량 증대 효과가 한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DC와 같이 SCell에 대한 PUCCH의 할당을 수행함으로써, CA의 배치 시나리오 4에 있어서, 유저단말은 UCI 피드백을 스몰 셀에 오프로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저단말은 상향링크의 CA(UL―CA)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해진다.
기기의 비용이나 실장의 용이성을 생각하면, SCell에 대한 PUCCH의 할당은, CA와 DC에서 공통된 방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SCell에 대한 PUCCH의 할당을 설명한다. 도 3은, DC 또는 CA에 있어서의 SCell에 대한 PUCCH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소정의 주파수대의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5개의 셀과 유저단말(UE)과의 접속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PUCCH를 할당 가능하다고 설정된 셀을, 'PUCCH 설정 셀'이라고 부른다. 또, PUCCH를 할당 가능하다고 설정된 SCell을, 'PUCCH 설정 SCell'이라 부른다. 또, PUCCH를 할당 가능하다고 설정되어 있지 않은 SCell을, 'PUCCH 비설정 SCell'이라고 부른다. PUCCH 설정 셀은, PCell 및 PUCCH 설정 SCell을 포함한다.
도 3a는, DC에 있어서의 SCell에 대한 PUCCH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DC에 있어서는, 각 무선기지국이, 하나 또는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셀 그룹(CG: Cell Group)을 설정한다. 각 CG는, 동일 무선기지국이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셀 또는 동일 송신 포인트(송신 안테나 장치, 송신국 등)가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셀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으나, 실제의 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PCell을 포함하는 CG는 마스터 셀 그룹(MCG: Master CG)이라 불리고, MCG 이외의 CG는 세컨더리 셀 그룹(SCG: Secondary CG)이라 불린다. 또, 각 CG에서는, 2 셀 이상의 CA를 수행할 수 있으나, MCG 및 SCG를 구성하는 셀의 합계가 소정값(예를 들면, 5 셀)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해당 소정값은, 기 설정되어 있어도 좋으며, eNB 및 UE 사이에서 동적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UE의 실장에 따라, 설정 가능한 MCG 및 SCG를 구성하는 셀의 합계수, 셀의 조합 등이, eNB에 capability 시그널링으로서 통지되어도 좋다. 또, MCG가 설정되는 무선기지국을 마스터 기지국(MeNB: Master eNB)이라 부르고, SCG가 설정되는 무선기지국을 세컨더리 기지국(SeNB: Secondary eNB)이라 부른다.
도 3a에 있어서, UE는, 5개의 셀(C1―C5)에 접속하고 있다. C1은 PCell이며, C2―C5는 SCell이다. 또, C1 및 C2는 MCG를 구성하고, C3―C5는 SCG를 구성한다. 또, 각 셀의 이용하는 주파수는, 오름차순으로 C1, C2, C3, C4, C5이다.
각 CG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셀이 PUCCH를 피드백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도 3a에 있어서는, PCell인 C1이 MCG의 PUCCH 설정 셀로서 설정됨과 동시에, C3이 SCG의 PUCCH 설정 셀로서 설정된다. 즉, MCG의 PUCCH에 따른 UCI 피드백은 PCell(C1)에서, SCG의 PUCCH에 따른 UCI 피드백은 PUCCH 설정 SCell(C3)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향링크의 PUSCH 송신이 지시된 경우, UE는 PUSCH에 UCI를 다중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즉, PUSCH에 따른 UCI 피드백은 PUCCH 설정 셀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3b는, CA에 있어서의 SCell에 대한 PUCCH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CA와 DC에서 공통된 방침에 따라 PUCCH를 할당하는 관점에서, CA에 있어서도, 각 무선기지국이, 하나 또는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CG를 설정한다. 각 CG는, 동일 무선기지국이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셀 또는 동일 송신 포인트(송신 안테나 장치, 송신국 등)가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셀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으나, 실제의 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CA에 있어서 PCell을 포함하는 CG를 XCG라 부르고, XCG 이외의 CG를 YCG라 부른다. 단, 특별히 이들의 호칭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CG에서는, 2 셀 이상의 CA를 수행할 수 있으나, XCG 및 YCG를 구성하는 셀의 합계가 소정값(예를 들면, 5 셀)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해당 소정값은, 기 설정되어 있어도 좋으며, eNB 및 UE 사이에서 동적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도 3b에 있어서, XCG 및 YCG가 도 3a의 MCG 및 SCG에 상당하는 것 이외, 셀의 구성은 도 3a와 동일하다. 각 CG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셀이 PUCCH를 피드백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도 3b에 있어서는, PCell인 C1이, XCG의 PUCCH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셀로서 설정됨과 동시에, C3이, YCG의 PUCCH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셀로서 설정된다. 즉, C1 및 C3은 PUCCH 설정 셀이며, XCG의 UCI 피드백은 PCell(C1)에서, YCG의 UCI 피드백은 PUCCH 설정 SCell(C3)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향링크의 PUSCH 송신이 지시된 경우, UE는 PUSCH에 UCI를 다중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즉, PUSCH에 따른 UCI 피드백은 PUCCH 설정 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PUCCH 설정 셀에 관한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알림신호)에 의해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유저단말에 통지된다. 또, CG에 관한 정보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통지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PCell의 PUCCH에서 UCI를 피드백하는 셀 또는 CG에 관한 정보나, SCell의 PUCCH에서 UCI를 피드백하는 셀 또는 CG에 관한 정보가 유저단말에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b는, CA에 있어서, PCell에 더해 하나의 SCell에서 PUCCH를 송신하도록 설정되고, 각각에 있어서 PCell의 PUCCH에서 2 셀(즉 XCG)만큼의 UCI 및 SCell의 PUCCH에서 3 셀(즉 YCG)만큼의 UCI를 피드백하도록 설정된 경우의 예이다.
그런데, LTE Rel. 10 이후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CA에 있어서, 공유 데이터 채널(PDSCH/PUSCH)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셀에 관한 DCI를, 다른 셀에 할당한 제어채널(PDCCH)에서 통지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CS: Cross―Carrier Scheduling)이 도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셀 C1의 PDCCH에서 셀 C2의 PDSCH/PUSCH 송수신의 지시를 수행할 수 있다. CCS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셀 중, 신뢰성이 높은 PCell 또는 SCell을 이용하여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CCS 자체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설정하고, CCS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셀의 결정은 동적으로 실시한다.
CCS의 일 예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는, PDSCH―1이 셀 C1에 할당되고, PDSCH―2가 다른 셀 C2에 할당되어 있다. PDSCH―1을 복호하기 위한 제어정보인 PDCCH―1은 PDSCH―1과 같은 C1에서 보내진다(도 4a). 한편, PDSCH―2를 복호하기 위한 제어정보인 PDCCH―2는, PDSCH―2와는 다른 C1에서 보내진다(도 4b). 또, PDCCH―1과 PDCCH―2에는, CIF(Carrier Indicator Field)가 각각 포함되어 있다. CIF는, CCS에서 스케줄링되는 셀(CC)을 특정하는 캐리어 식별자(CI: Carrier Indicator)를 DCI에 설정하기 위한 비트 필드이다.
DC에서도, CA와 같이 CCS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CA에서는 이상적 백홀에서 무선기지국 사이(즉, CG 사이)가 접속되기 때문에, CG 사이를 걸치는 CCS가 설정 가능하다. 한편, DC에서는 CG 사이가 비이상적 백홀에서 접속되기 때문에, 지연으로 인해 CG 사이를 걸치는 CCS가 유효하게 작동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여기서는, CG 사이를 걸치는 CCS란, PDCCH를 수신한 셀이 속하는 CG와 다른 CG에 속하는 셀에 대한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경우의 CCS를 의미한다. 바꿔말하면, PDCCH를 송수신하는 셀과, 해당 PDCCH를 이용하여 PDSCH의 복호가 수행되는 셀(PDCCH에 포함되는 CIF에서 지정되는 셀)이 다른 CG에 속하는 경우의 CCS를 의미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DC 및 CA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CCS와 PUCCH on SCell를 동시에 적용한 시스템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DC에서는, PUCCH on SCell이 필수이며, 더욱 PDCCH의 로드 밸런스를 수행하기 위해 CCS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또, CA에서는 PUCCH on SCell은 필수는 아니지만, PUCCH의 로드 밸런스를 목적으로 PUCCH on SCell이 설정될 가능성이 있으며, 더욱 PDCCH의 로드 밸런스를 수행하기 위해 CCS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CA 및 DC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CCS와 PUCCH on SCell을 동시에 적용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규정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단말은, CCS를 지시하는 PDCCH를 검출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PUCCH 설정 셀로부터 PUCCH를 송신할 필요가 있으나, PUCCH 리소스를 어떻게 할당할지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CCS에 대해 UCI 피드백을 수행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 경우의 과제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CA에 있어서 상정되는 CCS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CCS 설정시의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이용하는, PDCCH/EPDCCH의 파라미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종래의 CA에서는, PUCCH는 PCell에서만 송신된다. 이 때문에, 도 5에서는 PCell(C1)이 PUCCH 송신 셀이 되어 있다. C1로부터 C2로의 CCS와 같은, PCell로부터 SCell로의 CCS의 경우, PDCCH/EPDCCH를 검출한 중에서 최소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ECCE(Enhanced CCE) 번호(index)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셀의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도 6a에는 최소의 CCE 번호의 일 예가, 도 6b에는 최소의 ECCE 번호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PDCCH의 경우에는 이하의 식(1)에서, EPDCCH(distributed 송신)의 경우에는 이하의 식(2)에서 PUCCH 포맷 1a/1b의 PUCCH 리소스가 결정된다.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1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2
식(2)
여기서,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3
는 대응하는 DCI 송신에 이용되는 최소의 CCE 번호,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4
는 PUCCH 포맷 1a/1b를 위한 리소스 번호를 나타낸다. 또,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5
는 EPDCCH의 리소스 블록 세트 q에 대응하는 DCI 송신에 이용되는 최소의 ECCE 번호,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6
는 ACK/NACK 오프셋 영역으로부터 결정되는 값,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7
는 EPDCCH의 리소스 블록 세트 q에 대한 PUCCH 포맷 1a/1b를 위한 리소스 번호를 나타낸다.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8
Figure 112016057439852-pct00009
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된다.
또, 도 5의 C3으로부터 C5로의 CCS와 같은, SCell로부터 SCell로의 CCS인 경우, PDCCH/EPDCCH에 포함되는 송신 전력 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 비트를, 재송 응답 신호를 위한 PUCCH의 무선 리소스를 지정하는 정보(ARI: ACK/NACK Resource Indicator)라 간주하고, 그 값에 기초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상위 레이어로부터 설정된 PUCCH 리소스 후보로부터, 동적으로 ARI에서 할당을 수행한다. 또, SCell로부터 PCell로의 CCS는 서포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상 개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CA에서는, PUCCH가 PCell에서만 송신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는 한편으로, PUCCH 송신이 복수의 셀에서 설정된 경우의 CCS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 할당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PUCCH 송신을 만약에 복수의 셀에서 설정한 경우라도, CCS에서의 PUCCH 리소스가 정해지지 않으면, HARQ를 적용할 수 없으며, 높은 스루풋을 실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CCS에 대해 UCI 피드백을 수행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본 발명자들은, SCell에서의 PUCCH 송신을 고려하면, 이하의 (1)로부터 (6)의 CCS가 고려되는 것에 착안한; (1) PCell로부터 PUCCH 설정 SCell로의 CCS, (2) PCell로부터 PUCCH 비설정 SCell로의 CCS, (3) PUCCH 설정 SCell로부터 PUCCH 설정 SCell로의 CCS, (4) PUCCH 설정 SCell로부터 PUCCH 비설정 SCell로의 CCS, (5) PUCCH 비설정 SCell로부터 PUCCH 설정 SCell로의 CCS, (6) PUCCH 비설정 SCell로부터 PUCCH 비설정 SCell로의 CCS. 또한, PCell로의 CCS는 서포트되고 있지 않다.
또, 본 발명자들은, PUCCH 설정 셀은, 자(自) 셀뿐 아니라 다른 SCell의 UCI도 피드백하고 있는 것에 착안했다. 예를 들면, 도 3b의 예에서는, C1 및 C2의 UCI를 PCell(C1)에서, C3, C4 및 C5의 UCI를 PUCCH 설정 SCell(C3)에서 송신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들의 착안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CA 또는 DC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기지국과 유저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CCS와 PUCCH on SCell이 설정된 경우의 동작에 관해 적절하기 규정하는 것을 착안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자들은, PDCCH 수신 셀(CCS를 통지하는 PDCCH를 유저단말이 수신하는 셀)과, PUCCH 설정 셀로부터 선택된 PUCCH를 송신하는 셀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해당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PUCCH에 할당하는 리소스의 결정방법을 변경하는 것에 착안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CG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종래의 CCS 설정 시의 PUCCH 리소스의 할당에 있어서의 PCell에 해당하는 셀을, PUCCH 설정 SCell을 포함하는 PUCCH 설정 셀로 확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PUCCH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되고,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저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 부른다)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저단말은, CCS를 통지하는 PDCCH를 검출한 경우, PUCCH 설정 셀 중에서 PUCCH를 송신하는 셀을 선택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 있어서,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검출한 경우에 PUCCH를 송신하는 셀을, 'PUCCH 송신 셀'이라 부른다. 또한, CG를 걸치는 CCS를 검출한 경우에는, 각 CG의 PUCCH 설정 셀이 PUCCH 송신 셀이 될 수 있으나, CG를 걸치지 않는 CCS를 검출한 경우에는, CCS를 검출한 CG의 PUCCH 설정 셀이 PUCCH 송신 셀이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하나의 셀로의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CCS를 수신한 경우(형태 1이라 부른다)와, 복수의 셀로의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CCS를 수신한 경우(형태 2라 부른다)로 크게 나뉜다. 이하에서는, 각 형태에 대해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CIF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스케줄링을 CCS로 하고 있으며, 해당 스케줄링이 같은 셀(캐리어)에 대한 것이라도, CCS라 부른다.
(형태 1)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형태 1은, 하나의 셀로의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CCS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의 할당을 규정하는 것이다. 형태 1에서는, 하나의 PUCCH 송신 셀로부터 하나의 UCI를 포함한 PUCCH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피드백하는 UCI는, 예를 들면 긍정 응답(ACK: Acknowledgement), 부정 응답(NACK: Negative ACK) 등의 확인 응답 신호이지만, 이 이외(예를 들면, 채널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등)를 피드백해도 좋다.
형태 1에 있어서는, 유저단말은,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하다고 판정한 경우(판정 결과가 참인 경우)에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와, DCI가 할당된 PUCCH의 CCE 번호(EPDCCH의 경우는 ECCE 번호)에 기초하여 PUCCH 리소스를 할당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술한 식(1)에 따라 PUCCH 리소스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 CCE 번호라고 쓰는 경우에는, EPDCCH의 ECCE 번호도 포함한다.
한편, 유저단말은,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다르다고 판정한 경우(판정 결과가 거짓인 경우)에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와, DCI에 포함되는 ARI에 기초하여 PUCCH 리소스를 할당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술한 식(2)에 따라서 PUCCH 리소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유저단말은, 하향 제어신호에 복수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하향 제어신호를 수신한 셀과,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셀마다 선택되는 상향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셀이 동일한지 여부를 각각 판정하고, 해당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신호에 할당하는 리소스를 결정한다. 이는, 후술하는 형태 2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7은, CG를 걸치지 않는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1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의 상부에는, 셀 및 CG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 도 7의 중부 및 하부에는,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 경우 및 다른 경우의 유저단말에 따른 처리의 시계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 7―13에 있어서, 상부에 도시하는 셀 및 CG의 구성은, 도 3a에 도시하는 구성과 동일하다. 단,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이 적용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DC의 구성에 적용되어도 좋으며, CA의 구성에 적용되어도 좋다. 즉, 도 7―13에 도시하는 MCG 및 SCG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XCG와 YCG여도 좋으며, 이들 이외의 CG의 조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도 7―13의 중부 및 하부는,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 경우 및 다른 경우의 유저단말에 따른 처리의 시계열인 점에서 동일하다. 또, 도 7―13에서는 PDCCH 수신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이 SCG인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각각의 도에 있어서 SCG와 MCG를 바꾼 경우라도, CG가 다른 점 이외의 원래의 도면과 동일한 결과가 된다.
도 7의 중부는, 유저단말이, C3에서 C4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4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하기 때문에, CCE 번호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한다.
또, 도 7의 하부는, 유저단말이, C4에서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다르기 때문에, ARI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한다.
도 8은, CG를 걸치는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1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의 중부는, 유저단말이, C3에서 C2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2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하기 때문에, CCE 번호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한다.
또, 도 8의 하부는, C3에서 C2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2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복호하고, C1에서 해당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다르기 때문에, ARI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형태 1에 따르면, DC 또는 CA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CCS와 PUCCH on SCell이 설정된 경우에,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해당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PUCCH에 할당하는 리소스의 결정 방법을 변경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CG의 수나, PUCCH 설정 셀의 구성에 의존하지 않고,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같은 PDCCH에서 DL 할당(DL assignment)이 송신되는 유저단말 사이에서는, DCI가 맵핑되는 CCE 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그 이외의 경우라도, 상위 레이어에서 설정한 PUCCH 리소스를 ARI로 동적으로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CA에서 채용되고 있는 기존의 CCS의 시스템에 가깝기 때문에, 실장 부담이 적고 조기에 도입이 가능하다. 또, CCS와 PUCCH on SCell을 동시에 적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PUCCH를 적절하게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PUCCH의 로드 밸런스와 PDCCH의 간섭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PDS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같은 경우에는,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지 여부로 PUCCH에 할당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판정법에 더해, PDS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PUCCH에 할당하는 리소스를 결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PDS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같은 경우에는, ARI 대신에 PDSCH를 수신하는 무선 리소스 번호 및/또는 PDSCH 복조에 요하는 참조신호(복조용 참조신호)의 안테나 포트 번호로부터 PUCCH에 할당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바꿔말하면, 상술한 판정 결과가 거짓인 경우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정보로 인해 지정되는 셀과, 상향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셀이 동일한지 여부를 더욱 판정한다. 그리고, 해당 판정 결과가 참인 경우에, ARI 대신에, 상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정보로 인해 지정되는 셀에서 수신하는 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신호에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를 결정해도 좋다. 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에 관한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의 무선 리소스 번호 및/또는 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의 복조용 참조신호의 안테나 포트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각 셀의 PDSCH에 있어서, 다른 유저단말 앞으로의 데이터를 공간 다중할 확률은 작기 때문에, PDSCH의 무선 리소스 번호에 기초하는 PUCCH 리소스 할당을 수행함으로써, 유저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유저단말 앞으로의 데이터가 공간 다중되는 경우, PDSCH의 무선 리소스만으로 PUCCH 리소스를 할당하면 충돌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경우라도 유저단말 간에 복조용 참조신호의 안테나 포트 번호는 다르기 때문에, 안테나 포트 번호를 PUCCH 리소스 할당에 병용함으로써, 유저단말 사이의 PUCCH 리소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하지 않으며, PDS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 경우에, ARI를 이용할지 PDSCH의 무선 리소스나 참조신호 안테나 포트 번호를 이용하는지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송신 모드(Transmission mode)나 EPDCCH의 설정 유무에 따라 전환해도 좋다. 또, PDCCH 수신 셀, PDSCH 수신 셀, PUCCH 송신 셀이 전부 동일한 경우에는, PDCCH의 CCE 번호에 기초하는 PUCCH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면 충분하다.
(형태 2)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형태 2는, 복수의 셀로의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CCS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의 할당을 규정하는 것이다. CCS에서는, 복수의 PDSCH를 동시에 할당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와 같은 경우에는 형태 2로 인해 PUCCH 리소스의 할당을 결정한다.
CCS가 복수의 셀로의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경우, 형태 2에서는, CCS가 나타내는 셀 각각에 대해 형태 1의 판정을 수행하고, 각 셀에 대한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형태 2에 대해서는 3개로 크게 나뉜다; 유저단말이, 하나의 PUCCH 송신 셀로부터 2개의 셀의 UCI를 포함한 PUCCH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형태 2.1), 하나의 PUCCH 송신 셀로부터 3개 이상의 셀의 UCI를 포함한 PUCCH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형태 2.2), 2개 이상의 PUCCH 송신 셀로부터 PUCCH 신호를 동시 송신하는 경우(형태 2.3)의 3개이다. 또한, 이하에서 형태 2라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형태 2.1, 형태 2.2 및 형태 2.3의 전부를 포함한다.
(형태 2.1)
형태 2.1은, 유저단말이, 하나의 PUCCH 송신 셀로부터 2개의 셀의 UCI를 포함한 PUCCH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 경우, 형태 1로 인해 결정된 2개의 PUCCH 리소스에 대해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을 수행한다.
여기서, 채널 셀렉션은, PUCCH 포맷 1a/1b에 대해 복수의 무선 리소스를 설정하고, 위상 변조(예를 들면, QPSK 데이터 변조)에 따른 비트 정보와, 무선 리소스의 선택 정보로 인해 복수의 셀의 재송 응답 신호의 조합을 통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들의 대응관계는 맵핑 테이블에서 규정되고, 해당 맵핑 테이블은, 상위 레이어로부터의 RRC 시그널링으로 인해 할당된 셀 수 및 송신 모드(즉, 트랜스포트 블록수, 코드 워드 수 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또, 맵핑 테이블에 설정되는 PUCCH의 무선 리소스(예를 들면, Ch1∼Ch4)로서는, OCC(Orthogonal Cover Code), CS(Cyclic Shift)니 PRB(Physical Resource Block)의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CG를 걸치지 않는 2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1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의 중부는, 유저단말이, C3에서 C3 및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3 및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2개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형태 1에 따르면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 경우에는 CCE 번호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기 위해, 2개의 CCE 번호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고, 할당한 리소스에 채널 셀렉션을 적용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한다.
또, 도 9의 하부는, 유저단말이, C4에서 C4 및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4 및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2개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형태 1에 따르면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다른 경우에는 ARI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기 위해, 2개의 ARI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고, 할당한 리소스에 채널 셀렉션을 적용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한다.
도 10은, CG를 걸치는 CCS를 포함하는 2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1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의 중부는, 유저단말이, C3에서 C2 및 C4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2 및 C4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2개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형태 1에 따르면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 경우에는 CCE 번호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기 위해, 2개의 PDCCH가 맵핑된 CCE 번호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고, 할당한 리소스에 채널 셀렉션을 적용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한다.
또, 도 10의 하부는, 유저단말이, C4에서 C2 및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2 및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2개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형태 1에 의하면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다른 경우에는 ARI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기 위해, 2개의 ARI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고, 할당한 리소스에 채널 셀렉션을 적용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한다.
(형태 2.2)
형태 2.2는, 유저단말이, 하나의 PUCCH 송신 셀로부터 3개 이상의 셀의 UCI를 포함한 PUCCH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 경우, TPC 커맨드 비트를 ARI라고 간주하고, PUCCH 리소스를 결정하고, 해당 리소스에 PUCCH 포맷 3으로 구성된 PUCCH 신호를 할당한다. PUCCH 포맷 3에 따르면, 주파수 분할 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는 최대 10비트, 시간 분할 복신(TDD: Time Division Duplex)에서는 최대 20 비트의 확인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ARI와 PUCCH 리소스와의 대응 관계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된다.
단, 형태 2.2에 있어서는, PUCCH 포맷 3이 설정되는 경우라도, 유저단말이 실제로 수신하는 PDCCH/PDSCH가 1 또는 2 셀의 PDSCH 할당만큼이었던 경우에는(예를 들면, 유저단말이 PDCCH 수신을 실패한 경우), 형태 1 또는 형태 2.1의 룰에 따라 CCE 번호 또는 ARI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PUCCH 리소스에서, PUCCH 포맷 1a/1b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수행한다.
도 11은, CG를 걸치지 않는 3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2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의 중부는, 유저단말이, C3에서 C3, C4 및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3, C4 및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3개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PUCCH 포맷 3에서는 TPC 커맨드 비트를 ARI라고 간주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해, 유저단말은 형태 1과 같이,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 경우라도, CCE 번호에 기초하는 할당은 수행하지 않고, ARI에 기초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하고, 해당 리소스에 PUCCH 포맷 3에서 구성된 PUCCH 신호를 할당한다. 또, 예를 들면 유저단말이 C4를 할당하는 PDCCH만을 실제로 수신한 경우, 그 PDCCH가 맵핑된 CCE 번호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하여, 해당 리소스에 PUCCH 포맷 1a/1b에서 구성된 PUCCH 신호를 할당한다.
또, 도 11의 하부는, 유저단말이, C4에서 C3, C4 및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3, C4 및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3개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유저단말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ARI에 기초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또, 예를 들면 유저단말이 C4를 할당하는 PDCCH만을 실제로 수신한 경우, 그 PDCCH에 포함되는 ARI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하여, 해당 리소스에 PUCCH 포맷 1a/1b로 구성된 PUCCH 신호를 할당한다.
도 12는, CG를 걸치는 CCS를 포함하는 3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2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의 중부는, 유저단말이, C3에서 C2, C4 및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2, C4 및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3개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유저단말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ARI에 기초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또, 예를 들면 유저단말이 C4를 할당하는 PDCCH만을 실제로 수신한 경우, 그 PDCCH가 맵핑된 CCE 번호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하여, 해당 리소스에 PUCCH 포맷 1a/1b로 구성된 PUCCH 신호를 할당한다.
또, 도 12의 하부는, 유저단말이, C4에서 C2, C4 및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2, C4 및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3에서 해당 3개의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유저단말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ARI에 기초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또, 예를 들면 유저단말이 C4를 할당하는 PDCCH만을 실제로 수신한 경우, 그 PDCCH에 포함되는 ARI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하여, 해당 리소스에 PUCCH 포맷 1a/1b로 구성된 PUCCH 신호를 할당한다.
(형태 2.3)
형태 2.3은, 유저단말이, 2개 이상의 PUCCH 송신 셀로부터 PUCCH 신호를 동시 송신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우선, 각 PUCCH 송신 셀에 대해, 형태 1, 형태 2.1 및 형태 2.2 중 적절한 것을 이용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한 복수의 무선 리소스로부터, 각각 PUCCH 신호를 동시 송신한다.
도 13은, 2개의 셀로의 CCS를 검출한 경우의 형태 2.3에 따른 PUCCH 리소스의 할당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의 중부는, 유저단말이, C3에서 C2 및 C4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2 및 C4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1 및 C3에서 각각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형태 1에 의하면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 경우에는 CCE 번호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고, 다른 경우에는 ARI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기 위해, C1에서는 하나의 ARI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하여, C3에서는 하나의 CCE 번호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C1 및 C3에서 결정된 리소스로부터 각각의 PUCCH 신호를 송신한다.
또, 도 13의 하부는, 유저단말이, C4에서 C2 및 C5로의 CCS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하고, C2 및 C5에서 CCS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각각 복호하고, C1 및 C3에서 각각 PDSCH에 대한 PUCCH를 송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형태 1에 의하면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다른 경우에는 ARI에 기초하는 할당을 수행하기 위해, C1에서는 하나의 ARI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하여, C3에서는 하나의 ARI 번호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리소스를 결정한다. 그리고, C1 및 C3에서 결정된 리소스로부터 각각의 PUCCH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형태 1에 기초하여 각 PUCCH 송신 리소스가 결정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나의 PUCCH 송신 셀의 리소스가 형태 1에서 결정되고, 다른 PUCCH 송신 셀의 리소스가 형태 2.1에서 결정되어도 좋다. 또, 도 13에는 2개의 PUCCH 송신 셀로부터 복수의 PUCCH 신호를 동시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3개 이상의 PUCCH 송신 셀이 선택된 경우라도 동일하다. 이 경우도, 각 PUCCH 송신 셀에 대해, 형태 1, 형태 2.1 및 형태 2.2 중 적절한 것을 이용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하고, 결정한 복수의 무선 리소스로부터, 각각 PUCCH 신호를 동시 송신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형태 2에 따르면, DC 또는 CA가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CCS와 PUCCH on SCell이 적용된 경우에, 복수의 셀로의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CCS를 수신한 경우에, CCS가 나타내는 셀 각각에 대해 형태 1의 판정을 수행하는 것에 더해, PUCCH 송신 셀의 송신하는 PUCCH 신호에 몇 개의 셀의 UCI가 포함되는지 여부나, PUCCH 송신 셀로서 선택된 PUCCH 설정 셀의 수 등에 기초하여, 각 셀에 대한 PUCCH 리소스를 결정한다. 이로 인해, CCS 및 PUCCH on SCell를 동시에 적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PUCCH를 적절하게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PUCCH의 로드 밸런스와 PDCCH의 간섭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 개시한 예에 있어서, CG의 수는 2이며, 각 CG를 구성하는 셀의 합계는 5로 설명했으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적용은 해당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CG가 3개 이상 존재해도 좋으며, 각 CG가 하나의 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시그널링에 따른 PUCCH 송신 셀, 채널 셀렉션 등의 설정)
또한, CG를 걸치는 CCS에 있어서, 어느 것의 PUCCH 설정 셀로부터 PUCCH를 송신하는지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설정해도 좋으며, 물리 레이어에서 동적으로 선택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RRC 시그널링, 알림신호 등)에서 PUCCH 송신 셀을 직접 설정해도 좋다.
또, 상위 레이어와 물리 레이어의 제어정보를 조합하여 동적으로 선택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PUCCH 송신 셀 후보를 설정하고, 물리 레이어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후보로부터 선택한 셀에 의해 PUCCH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CIF에 의해, PDSCH 수신 셀에 더해, PUCCH 송신 셀도 지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ARI에 의해, PUCCH 리소스에 더해, PUCCH 송신 셀도 지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CG를 걸치는 CCS에 있어서, 상기 PUCCH 송신 셀을 설정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채널 셀렉션을 적용하는지 동시 송신을 수행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위 레이어 및/또는 물리 레이어를 이용하여 지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들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PUCCH 송신 셀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고, 채널 셀렉션과 동시 송신을 설정 가능(configurable)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PUCCH의 오프로드나 품질 확보를, 네트워크나 트래픽의 상황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또, 기존의 물리 레이어 제어정보를 재이용함으로써, PDCCH/EPDCCH의 품질 열화나 오버헤드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해당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PDSCH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 이외에도, CQI/SR(Scheduling Request)를 향한 PUCCH 송신이 설정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CQI/SR를 향한 PUCCH 송신은, RRC 시그널링 등의 상위 레이어에 의해 준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CQI/SR를 향한 PUCCH 송신은, Rel. 11까지는 PCell만으로, Rel. 12 이후는 PCell 및/또는 PUCCH 설정 SCell로 설정될 수 있다.
또, PDSCH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의 PUCCH 송신의 타이밍에서, PUSCH 설정이 허가(grant)될 가능성도 있다. 이 PUSCH 송신은, UL―CA가 설정된 모든 상향링크의 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을 감안하여, CQI/SR를 향한 PUCCH나 PUSCH가 송신되는 타이밍에서는, 상술한 형태의 PUCCH 리소스 할당 방법에 따르지 않고, 이하와 같이 하여 PUCCH 리소스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CQI/SR를 향한 PUCCH 리소스가 설정되는 타이밍에서는, 해당 PUCCH 리소스에 확인 응답 신호를 다중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PUSCH 리소스가 설정되는 타이밍에서는, 해당 PUSCH 리소스에 확인 응답 신호를 다중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일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예를 들면, LTE 시스템 혹은, SUPER 3G가 포함되는 시스템이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이 무선통신시스템은, IMT―Advanced, 4G, FRA(Future Radio Access) 등이라 불려도 좋다.
도 14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1)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a 및 12b)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또,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 무선기지국(11)과 다른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 또는 무선기지국(12)과 다른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에서, CA 및/또는 DC가 적용된다. 또한, CA는 기지국 내 CA(Intra―eNB CA)라 불려도 좋으며, DC는 기지국 간 CA(Inter―eNB CA)라 불려도 좋다.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대역(예를 들면, 2GHz)에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고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한편,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대역(예를 들면, 3.5GHz 등)에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2) 간의 캐리어 타입으로서 뉴 캐리어 타입(NCT)을 이용해도 좋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또는 무선기지국(12) 간)은, 유선 접속(광파이버,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 접속되어 있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메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장치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eNodeB, 매크로 기지국, 송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고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ome eNodeB, 마이크로 기지국, 송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2)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방식에 대응한 단말이며, 이동통신단말뿐 아니라 고정통신단말을 포함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적용되고,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1개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의 통신채널은,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하향 L1/L2 제어채널(PDCCH, PCFICH, PHICH, 확장 PDCCH)를 갖는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및 상위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 등의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가 전송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가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에 의해, PUSCH에 대응하는 HARQ의 ACK/NACK가 전송된다. 또, 확장 PDCCH(EPDCH)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 등이 전송되어도 좋다. 이 EPDCCH는, PDSCH(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과 주파수 분할 다중된다.
상향링크의 통신채널은,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갖는다. 이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나 상위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ACK/NACK 등의 상향링크 제어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가 전송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10)(무선기지국(11 및 12)을 포함한다)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전송을 위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하향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PDCP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Hybrid ARQ)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가 수행되어 각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또, 하향링크의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되어, 각 송수신부(103)로 전송된다.
또,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RRC 시그널링, 알림신호 등)에 의해, 유저단말(20)에 대해, 해당 셀에 있어서의 통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통지한다. 해당 셀에 있어서의 통신을 위한 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시스템 대역폭, 피드백용 리소스 정보가 포함된다. 각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한다. 앰프부(102)는,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101)에 의해 송신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유저단말(20)로부터 무선기지국(10)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각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각각 앰프부(102)에서 증폭되고, 각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 처리나,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나,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1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의 주된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1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301)와, 하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302)와, 하향링크 데이터신호 생성부(303)와, 맵핑부(304)와, 디맵핑부(305)와, 채널 추정부(306)와, 상향링크 제어신호 복호부(307)와,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복호부(308)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의 일부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필요한 구성을 부족없이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301)는, PDSCH에서 송신되는 하향 유저 데이터, PDCCH 및/또는 확장 PDCCH(EPDCCH)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하향링크 참조신호 등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PUSCH에서 전송되는 상향 데이터, PUCCH 또는 PUSCH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UCI), 상향링크 참조신호의 스케줄링의 제어(할당 제어)도 수행한다. 상향링크 신호(상향 제어신호, 상향 유저 데이터)의 할당 제어에 관한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유저단말에 통지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1)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의 지시정보나 각 유저단말(20)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신호 및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01)는, 스케줄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유저단말(20)에 DC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1)는 무선기지국(10)마다 1개 이상의 셀의 스케줄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20)에 CA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1)가 다른 무선기지국(10)의 셀을 포함시킨 복수 셀의 스케줄링을 묶어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다른 무선기지국(10)의 제어부(301)가 스케줄러로서의 기능을 갖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PDCCH/EPDCCH의 리소스나 신호 구성에 따라,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의 결정을 수행하는 경우, PDCCH/EPDCCH의 신호 구성을 제어하고, 하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302)에 통지한다.
하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에 의해 할당이 결정된 하향링크 제어신호(PDCCH 신호 및/또는 EPDCCH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신호의 할당정보를 통지하는 DL 할당(DL assignment)이나, 상향링크 신호의 할당정보를 통지하는 UL 그랜트(UL grant)를 생성한다.
또한, 하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302)는,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CIF를, 해당 CIF에 기초하여 CCS를 지정받는 셀에 관한 PUCCH 송신 셀과 관련지어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향링크 데이터신호 생성부(303)는,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로부터 입력된 유저 데이터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신호(PDSCH 신호)를 생성한다. 하향링크 데이터신호 생성부(303)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신호에는, 각 유저단말(20)로부터의 채널 상태 정보(CSI)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화율, 변조방식에 따라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가 수행된다.
맵핑부(304)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하향링크 제어신호와, 하향링크 데이터신호 생성부(303)에서 생성된 하향링크 데이터신호의 무선 리소스로의 할당을 제어한다.
디맵핑부(305)는, 유저단말로부터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디맵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분리한다. 채널 추정부(306)는, 디맵핑부(305)에서 분리된 수신신호에 포함되는 참조신호로부터 채널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채널 상태를 상향링크 제어신호 복호부(307) 및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복호부(308)로 출력한다.
상향링크 제어신호 복호부(307)는,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에서 유저단말로부터 송신된 피드백 신호(예를 들면, 확인 응답 신호)를 복호하고,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복호부(308)는,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에서 유저단말로부터 송신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복호하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로 출력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20)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단말(20)은, MIMO 전송을 위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각각 앰프부(20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 FFT 처리나,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이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알림 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MAC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나, 채널 부호화, 프리코딩,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이 수행되어 각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한다. 그 후, 앰프부(202)는,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로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201)에 의해 송신된다.
도 18은,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의 주된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와,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생성부(403)와, 맵핑부(404)와, 디맵핑부(405)와, 채널 추정부(406)와, 하향링크 제어신호 복호부(407)와, 하향링크 데이터신호 복호부(408)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의 일부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필요한 구성을 부족없이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제어신호(PDCCH 신호)나, 수신한 PDSCH 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신호(피드백 신호)나 상향링크 데이터신호의 생성을 제어한다. 하향링크 제어신호는 하향링크 제어신호 복호부(407)로부터 출력된다. 또,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이 DC를 적용하고 있는지 여부, CA를 적용하고 있는지 여부 등의, 무선기지국(10)과의 통신에 요하는 정보를 관리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이 통신하고 있는 각 셀 및 CG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어부(401)는, 각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어부(401)는, PDSCH 신호에 대한 확인 응답 신호(ACK/NACK)의 피드백을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부로서도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1)는, 확인 응답 신호를 피드백하는 셀(CC)이나, 확인 응답 신호를 할당하는 PUCCH 리소스의 선택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확인 응답 신호의 피드백처의 셀이나,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하여,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 및 맵핑부(404)에 지시를 수행한다.
또, 제어부(401)는, CCS를 통지하는 PDCCH를 검출한 경우, PUCCH 리소스의 결정을 위해,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되는 PUCCH 설정 셀 중에서 PUCCH 송신 셀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1)는, 상위 레이어 및/또는 물리 레이어에서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셀을 선택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RRC 시그널링, 알림신호 등)에서 통지된 정보로부터 PUCCH 송신 셀을 선택해도 좋다. 또, 상위 레이어와 물리 레이어의 제어정보를 조합하여 동적으로 선택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PDCCH 수신 셀과, CCS에 의해 지정되는 셀이 동일한 CG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PUCCH 송신 셀을 선택해도 좋다. 또, CCS를 나타내는 정보(CIF)에, 해당 CCS에 관한 PUCCH를 송신하는 셀이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는, 제어부(401)는 하향링크 제어신호 복호부(407)로부터 출력되는 CIF를 참조하여 PUCCH 송신 셀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어부(401)에 있어서의 PUCCH 송신 셀의 선택방법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어부(401)는, CCS를 통지하는 PDCCH를 검출한 경우, PUCCH 리소스의 결정을 위해, PDCCH 수신 셀과, 선택된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401)는,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동일하다고 판정한 경우(판정 결과가 참인 경우)에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와, DCI가 할당된 PUCCH의 CCE 번호(EPDCCH의 경우에는 ECCE 번호)에 기초하여 UCC를 할당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하고, 해당 리소스에 의해 피드백하도록,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 및 맵핑부(404)에 지시를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401)는,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다르다고 판정한 경우(판정 결과가 거짓인 경우)에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와, DCI에 포함되는 ARI에 기초하여 UCI를 할당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하고, 해당 리소스에 의해 피드백하도록,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 및 맵핑부(404)에 지시를 수행한다(형태 1).
또, 제어부(401)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셀과, 상향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셀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마련해도 좋다. PDCCH 수신 셀과, PUCCH 송신 셀이 다르고, 그리고 판정부의 판정 결과가 참인 경우에는, ARI 대신에, CCS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셀(PDSCH 수신 셀)에서 수신하는 PDSCH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UCI를 할당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하고, 해당 리소스에 의해 피드백하도록,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 및 맵핑부(404)에 지시를 수행해도 좋다. 해당 PDSCH에 관한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PDSCH에 따른 무선 리소스 번호, PDSCH의 복조용 참조신호의 안테나 포트 번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PDCCH 수신 셀 및 PUCCH 송신 셀이 동일한지 여부의 판정과, 해당 판정부에 따른 판정이란, 서로 저해라는 것이 아니라, 양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제어부(401)는, 하나의 PUCCH 송신 셀에 있어서 2개의 셀의 UCI를 포함한 PUCCH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술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PUCCH 리소스에 채널 셀렉션을 적용하여, UCI를 할당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하고, 해당 리소스에 의해 피드백하도록,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 및 맵핑부(404)에 지시를 수행한다(형태 2.1).
또, 제어부(401)는, 하나의 PUCCH 송신 셀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셀의 UCI를 포함한 PUCCH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술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PUCCH 리소스에, PUCCH 포맷 3에 의한 UCI를 할당하여 피드백하도록,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 및 맵핑부(404)에 지시를 수행한다(형태 2.2).
또, 제어부(401)는, 선택된 PUCCH 송신 셀이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PUCCH 리소스로부터 PUCCH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 및 맵핑부(404)에 지시를 수행한다(형태 2.3). 또한, 이 경우 각 PUCCH 신호에는 채널 셀렉션이 적용되어 있어도 좋으며, PUCCH 포맷 3의 UCI가 할당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부(401)는, 네트워크(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0), 상위국장치(30) 등)로부터 통지되는 정보로 인해, DC가 적용되어 있는지, CA가 적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해도 좋다. 해당 정보는, DC 또는 CA가 적용되어 있다는 직접적인 정보여도 좋으며, 간접적인 정보(예를 들면, MCG 및 SCG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통신에 이용하는 아키텍쳐에 관한 정보, 백홀에 관한 정보 등)이어도 좋다. 또, 해당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RRC 시그널링, 알림신호 등)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으며, 하향링크 신호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향링크 제어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신호(확인 응답 신호나 CSI 등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생성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하향링크 제어신호에 UL 그랜트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생성부(403)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의 생성을 지시한다.
맵핑부(404)(할당부)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신호(UCI)와 상향링크 데이터신호의 무선 리소스로의 할당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맵핑부(404)는, PUCCH를 통해 피드백을 수행하는 셀(CC)에 따라, 해당 셀의 PUCCH에 피드백 신호의 할당을 수행한다.
디맵핑부(405)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디맵핑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분리한다. 채널 추정부(406)는, 디맵핑부(405)에서 분리된 수신신호에 포함되는 참조신호로부터 채널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채널 상태를 하향링크 제어신호 복호부(407) 및, 하향링크 데이터신호 복호부(408)로 출력한다.
하향링크 제어신호 복호부(407)는,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에서 송신된 하향링크 제어신호(PDCCH 신호)를 복호하고, 스케줄링 정보(상향 리소스로의 할당 정보)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하향링크 데이터신호 복호부(408)는,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에서 송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신호를 복호하고, 애플리케이션(205)으로 출력한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복수의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2013년 12월 26일 출원의 특원 2013―268333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셀로부터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단말에 있어서,
    하향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각 셀 그룹에 각각 설정되는 상향 제어정보를 할당 가능한 셀 중, 적어도 하나의 셀을, 상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셀로서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상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셀은 세컨더리 셀(SCell)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 제어정보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와 상기 하향 제어정보가 할당된 하향 제어채널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나 이상의 셀로부터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하향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각 셀 그룹에 각각 설정되는 상향 제어정보를 할당 가능한 셀 중, 적어도 하나의 셀을, 상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셀로서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갖고,
    상기 상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셀은 세컨더리 셀(SCell)이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하향 제어정보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와 상기 하향 제어정보가 할당된 하향 제어채널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7015949A 2013-12-26 2014-12-15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KR102015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8333A JP6012588B2 (ja) 2013-12-26 2013-12-26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2013-268333 2013-12-26
PCT/JP2014/083071 WO2015098584A1 (ja) 2013-12-26 2014-12-15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991A KR20160102991A (ko) 2016-08-31
KR102015373B1 true KR102015373B1 (ko) 2019-08-28

Family

ID=5347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949A KR102015373B1 (ko) 2013-12-26 2014-12-15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985758B2 (ko)
EP (2) EP3528564B1 (ko)
JP (1) JP6012588B2 (ko)
KR (1) KR102015373B1 (ko)
CN (2) CN110602783B (ko)
WO (1) WO2015098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2588B2 (ja) * 2013-12-26 2016-10-2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3346748B1 (en) * 2015-08-31 2020-09-23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827471B2 (en) 2016-02-16 2020-11-0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rocedur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CN107306169A (zh) * 2016-04-18 2017-10-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190158206A1 (en) * 2016-05-13 2019-05-23 Intel IP Corporation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put systems
US11201771B2 (en) * 2016-11-25 2021-12-1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8282881B (zh) * 2017-01-06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方法及装置
MX2019010971A (es) * 2017-03-22 2019-12-11 Ntt Docomo Inc Terminal de usuario y metodo de comunicacion por radio.
US11070334B2 (en) * 2017-04-20 2021-07-20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MX2019012936A (es) * 2017-05-02 2020-02-05 Ntt Docomo Inc Terminal de usuario y metodo de radiocomunicacion.
US10419196B2 (en) 2017-05-05 2019-09-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irtual carrier aggregation for wideband ope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0870230B (zh) * 2017-05-10 2022-06-28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0832816A (zh) * 2017-05-12 2020-02-21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AU2017416737B2 (en) * 2017-05-31 2023-01-19 Ntt Docomo, Inc.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637924B1 (en) * 2017-06-08 2023-11-08 NTT DoCoMo, Inc.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WO2018229878A1 (ja) * 2017-06-13 2018-12-2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8229879A1 (ja) * 2017-06-13 2018-12-2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EP3644531A4 (en) * 2017-06-23 2021-03-2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DURE
JP7132225B2 (ja) * 2017-09-07 2022-09-0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11316608B (zh) * 2017-09-08 2023-07-25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9090624A1 (zh) * 2017-11-09 2019-05-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控制信道资源确定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WO2019142340A1 (ja) * 2018-01-19 2019-07-2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BR112020017052A2 (pt) * 2018-02-23 2020-12-15 Ntt Docomo, Inc. Terminal,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para um terminal e estação base
AU2019437515A1 (en) * 2019-03-27 2021-09-30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US11356996B2 (en) * 2019-07-06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Cross carrier activation of a periodic grant
US11310815B2 (en) 2020-07-14 2022-04-1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over multiple uplinks
WO2022036527A1 (zh) * 2020-08-17 2022-0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通信装置及相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963A2 (ko) *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1172B1 (en) * 2009-10-01 2023-12-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control data transmission
EP2502456B1 (en) * 2009-11-19 2020-08-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mponent carrier activation/deactivation in multi-carrier systems
CA2786896C (en) * 2010-01-11 2017-0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61717A4 (en) * 2010-04-22 2015-07-15 Sharp Kk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S AND BASE STATION, USER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ARRANGEMENT THEREIN
US20120113831A1 (en) * 2010-04-30 2012-05-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termination of Carriers and Multiplexing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CN102013954B (zh) * 2010-07-08 2011-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上报方法和用户设备
WO2012015217A2 (ko) * 2010-07-26 2012-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923161B1 (ja) * 2010-09-29 2012-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2098151B (zh) * 2010-12-28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正确/错误应答消息的发送方法及用户终端
KR102049729B1 (ko) * 2011-01-05 2019-11-28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
KR101925030B1 (ko) * 2011-03-1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9271265B2 (en) * 2011-06-08 2016-0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005367A (ja) * 2011-06-21 2013-01-07 Sharp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7017971B (zh) * 2011-06-28 2020-06-16 Lg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下行数据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2932918B (zh) * 2011-08-09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物理上行控制信道分配方法、用户设备、和基站
KR102217646B1 (ko) * 2012-05-24 2021-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송수신 방법
US9526091B2 (en) *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8923255B2 (en) * 2012-03-16 2014-12-30 Blackberry Limited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collision avoidance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KR102040622B1 (ko) * 2012-04-15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자원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그리고 이들을 위한 장치
US9806873B2 (en) * 2012-05-09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6012588B2 (ja) * 2013-12-26 2016-10-2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5126308A (ja) *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7963A2 (ko) *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4002*
3GPP TSG-RAN WG1 Meeting #75, R1-135513, 2013.11.02.
3GPP TSG-RAN WG1 Meeting #75, R1-135835, 2013.11.08.
3GPP TSG-RAN WG2 Meeting #84, R2-134002, 2013.11.02.
3GPP TSG-RAN WG2 Meeting #84, R2-134208, 2013.11.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00506A (zh) 2016-08-24
US20160323076A1 (en) 2016-11-03
JP2015126309A (ja) 2015-07-06
CN105900506B (zh) 2019-10-25
US10389497B2 (en) 2019-08-20
EP3528564A1 (en) 2019-08-21
KR20160102991A (ko) 2016-08-31
WO2015098584A1 (ja) 2015-07-02
CN110602783B (zh) 2023-06-02
US20180248664A1 (en) 2018-08-30
CN110602783A (zh) 2019-12-20
JP6012588B2 (ja) 2016-10-25
US9985758B2 (en) 2018-05-29
EP3089529A4 (en) 2017-06-14
EP3528564B1 (en) 2021-09-08
EP3089529B1 (en) 2019-08-07
EP3089529A1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373B1 (ko)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JP6291088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0462781B2 (en) User terminal,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931828B2 (ja)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5850215B (zh) 用户终端、无线基站、无线通信方法以及无线通信系统
JP6216592B2 (ja)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送信制御方法
JP6339739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6031017B2 (ja)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6121916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8019416A (ja)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送信制御方法
JP6410779B2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7184282A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