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120B1 -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120B1
KR102015120B1 KR1020170081781A KR20170081781A KR102015120B1 KR 102015120 B1 KR102015120 B1 KR 102015120B1 KR 1020170081781 A KR1020170081781 A KR 1020170081781A KR 20170081781 A KR20170081781 A KR 20170081781A KR 102015120 B1 KR102015120 B1 KR 10201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information
measurement
network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748A (ko
Inventor
한년건
장형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오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오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오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1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4Testing correct operation
    • H04L1/242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 H04L1/243Testing correct operation by comparing a transmitted test signal with a locally generated replica at the transmitter, using a loop-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4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dedicated network management hard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측정기와 통신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상기 측정기와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미리 생성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측정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기의 측정 결과값에 따라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Method for maintaining network performing at CRAN,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하는 비디오, 음악 또는 사진 등의 컨텐츠가 대용량화되면서, 이동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최근 이동 통신망에서 디지털신호 처리부(DU; Digital Unit)와 무선신호 처리부(RU; Radio Unit)를 분리하여 구현한 CRAN(Centralized/Cloud Radio Access Network) 구조를 널리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설비투자 비용(CAPEX: CAPital EXpenditure) 및 운영 비용(OPEX: Operational expenditure)을 절감함과 더불어 네트워크 장비 개발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CRAN에서, DU는 통상적으로 국사 내에 별도로 마련된 DU 센터에 집중되는 반면에 RU는 이로부터 멀리 떨어진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이때, 베이스밴드 I/Q(Baseband I/Q) 신호의 고속 송수신을 위해 DU와 RU는 물리적으로 광 링크나 UTP(Unshielded Twisted Pair) 등으로 연결된다.
현재 DU와 RU 간의 I/Q 데이터 송수신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격은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인바, 그 Ver 6.0의 규격은 최대 10,137.6Mbps의 라인 비트 레이트를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CPRI와 유사하거나 하위에 있는 규격으로는 CPRI에 앞서 정의된 OBSAI(Open Baseband Remote Radiohead Interface)와 ORI(Open Radio Interface)가 있다.
도 1은 종래 CRAN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15_1, 15_2, 15_3, 17)를 포함하는 CRAN(10)에서, 디지털신호 처리부(30)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고, 무선신호 처리부(20_1, 20_2, 20_3)는 이동 통신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무선신호 처리부(20_1, 20_2, 20_3)는 안테나(40_1, 40_2, 40_3)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송수신한 데이터를 디지털신호 처리부(30)와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15_1, 15_2, 15_3, 17)는 무선신호 처리부(20_1, 20_2, 20_3)와 디지털신호 처리부(30)의 유선 통신을 연결한다.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15_1, 15_2, 15_3, 17)에서 이용하는 통신 규격은 CPRI, OBSAI 또는 ORI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의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RAN에 포함된 네트워크 장치 또는 네트워크 회선에 장애 발생시 장애 발생을 알리는 경보가 통제 센터에서 발생한다(S10).
이어서, 사용자가 장애 발생 현장에 방문하여 장애 진단 및 조치를 한다(S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애 발생 현장에 방문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고, 네트워크 회선을 교체하거나 고장이 발생한 네트워크 장치를 교체한다.
이어서, 네트워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네트워크 장치의 고장 원인을 분석하고, 고장이 발생한 네트워크 장치를 수리한다(S30). 이때, 사용자는 고장이 발생한 네트워크 장치를 전산에 등록한 후 네트워크 장치 제조사에 발송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네트워크 장치 제조사에서 수리가 완료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개별적인 이력 관리를 수행한다(S40). 이때, 네트워크 장치 제조사는 수리가 완료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수리 이력을 등록한 후 수리가 완료된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자에게 발송한다.
종래의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따르면, CRAN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현장에 도착한 사용자가 장애 현장에 위치한 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숙지하여 적시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고장 이력 또는 수리 이력을 장애 현장에서 확인하거나, 기존 이력 데이터를 활용할 수 없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값을 측정하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측정 과정 또는 측정 결과에서 휴먼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서버와 실시간 연동하여 CRAN에 포함된 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측정 결과를 업데이트하고, 측정 결과에 대한 이력을 용이하게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값을 용이하게 설정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측정기와 통신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상기 측정기와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는 상기 데이터는, 설정된 상기 측정 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측정한 측정 결과값에 따라, 상기 서버에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측정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상기 측정 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QR코드로부터 상기 QR코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상기 측정 결과값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 모드, 통신 속도값 또는 전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 및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RAN은 디지털신호 처리부가 원격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측에 연결된 제1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측정기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신호 처리부측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측정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루프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RAN은 디지털신호 처리부가 원격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측에 연결된 제1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측정기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신호 처리부측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측정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측정기의 루프백 기능으로 상기 제1 측정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루프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광모듈을 상기 측정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광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측정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루프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 서버는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및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측정기와 통신하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QR코드 정보, 상기 바코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GPS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측정기의 측정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와 실시간 연동하여 CRAN에 포함된 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장애에 신속 대응함으로써, 장애 진단 비용, 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측정 결과를 서버에 업데이트하고, 서버에서 측정 결과에 대한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장애 이력 관리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값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사용자의 휴먼 에러를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CRAN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포함된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측정기(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측정기(100)는 CRAN의 네트워크 장치 또는 네트워크 회선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정기(100)는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어, Ring-MUX 장치) 또는 네트워크 회선의 정상 동작 여부 측정을 위해 CPRI 또는 OBSAI 통신 규격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기(100)는 IoT(Internet of Things)기술을 활용한 블루투스 연동으로 측정 항목, 측정 메뉴, 측정 결과 또는 측정에 필요한 측정값 등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300) 또는 단말기(200)와 연동하여 주고 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기(100)는 BER(Bit error rate) 측정, 프로토콜 측정, DDM(Digital diagnostic monitoring) 측정 또는 파워테스트 측정을 포함하는 측정 항목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측정기(100)는 측정 항목 또는 각 측정 항목에서 적용되는 세부적인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BER 측정은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BER 측정은 채널 선택, 속도 선택, 시간 선택 또는 테스트 패턴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측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선택은 채널1 루프 테스트, 채널2 루프 테스트 또는 채널3 루프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루프 테스트는 루프백(Loop back) 테스트를 포함하고, 루프 테스트는 측정기(100)에서 발생한 신호가 미리 결정된 루프를 거쳐 다시 신호를 발생한 측정기(100)로 되돌아가는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1 루프 테스트, 채널2 루프 테스트, 및 채널3 루프 테스트는 CRAN 네트워크 상에서 미리 결정된 루프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선택은 1.25Gbps, 5Gbps, 10Gbps 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속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선택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기본값, 1분 단위 증가 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최대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패턴은 2^7-1, 2^15-1, 2^23-1, 2^31-1 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측정은 CPRI 또는 OBSAI 통신 규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토콜 측정은 모드 선택, 속도 선택, 시간 선택 또는 테스트 패턴 항목을 포함하는 측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은 CPRI, OBSAI 또는 FE-LB(Far-end loopback)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선택은 2.4567Gbps, 4.9152Gbps, 3.072Gbps 또는 6.144Gbps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선택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기본값, 1분 단위 증가 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최대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패턴은 2^7-1, 2^15-1, 2^23-1, 2^31-1 또는 사용자 미리 지정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DDM 측정은 광모듈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DM 측정은 광모듈의 온도, 송신 파워 또는 수신 파워 등의 현재 상태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DDM 측정은 채널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선택은 채널1 루프 테스트, 채널2 루프 테스트 또는 채널3 루프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DDM 측정의 채널 선택은 전술한 BER 측정에서의 채널 선택과 동일할 수 있다.
파워테스트 측정은 광모듈의 전압을 on/off 시험을 통해 광모듈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파워테스트 측정은 채널 선택, 속도 선택, 시간 선택 또는 간격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선택, 속도 선택 및 시간 선택은 전술한 BER 측정에서의 측정값 선택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간격 선택은 10ms, 20ms, 50ms 또는 100ms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CRAN의 네트워크 장치 또는 네트워크 회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00) 또는 단말기(200)는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 박스(black box)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같은 전자 장치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200)는 측정기(10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측정기(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측정기(10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200)는 측정기(100)에서 제공하는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설정하여 측정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200)는 측정기(100)에서 측정한 측정 결과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200)는 측정 결과값을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측정기(100)를 통해 수집된 정보(예를 들어, 측정 항목, 측정값 또는 측정 결과값)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200)는 SQL 쿼리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버(300)에 전송하거나,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TCP 통신으로 데이터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에 포함된 카메라부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를 촬영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이동 통신망 운용을 위해 데이터를 생성, 저장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컴퓨터, 데이터 베이스, 모듈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3에 포함된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통신부(310), 메모리부(330), 설정부(350), 추출부(370), 및 업데이트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서버(3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버(300)가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전자 장치, 모듈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10)에서 이용하는 통신 규약은,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혹은, 광대역 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이때, 무선 통신망으로는 무선랜(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IEEE802.16,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는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및 지웨이브(Z-Wav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측정기(100)와 통신하는 단말기(200)로부터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또는 단말기(200)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추출부(370)에서 추출한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및 이력 정보를 단말기(2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임의의 유형의 종래의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명령어들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프로세싱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고속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디스플레이와 같은 외부의 입력/출력 디바이스상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위한 그래픽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메모리부(330) 내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어부는 다수의 메모리부(33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부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또는 프로그래밍 됨으로써 특수 목적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변형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이 제어부에 의한 실행을 위한 동적 정보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동적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330)는 ROM(Read Only Memory)과 같이 제어부에 의한 사용을 위한 정적 정보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정적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또한 자기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또 다른 유형일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제어부에 의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실행 시 제어부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330)는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및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 또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포함되는 동작들은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측정기(100)와 통신하는 단말기(200)에서 상기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상기 측정기(100)와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300)에서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300)에 미리 생성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200)에서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측정기(10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300)에서 생성되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측정기(100)의 측정 결과값에 따라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SSD 또는 기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제어부는 설정부(350), 추출부(370), 및 업데이트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정부(350)는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기초로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 정보는 메모리부(3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을 위한 설정값을 포함하고, 이력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의 과거 측정 이력, 장애 이력 또는 수리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부(350)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측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값(예를 들어, 통신 규격값, 통신 속도값 또는 전압값)을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측정 항목 및 측정값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는바 생략하도록 한다.
추출부(370)는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또는 단말기(200)의 GPS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메모리부(3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370)는 서버(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 중에서 측정기(100)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200)의 카메라부를 통해 측정기(100)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단말기(200)는 촬영된 QR코드로부터 QR코드 정보(예를 들어, QR코드 패턴)를 추출하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390)는 측정기(100)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기(100)의 측정 결과값을 기초로 메모리부(3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부(390)는 측정기(100)의 측정 결과값을 기초로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추가하거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CRAN에 포함된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측정기(100)와 단말기(200) 사이에 통신이 연결된다(S100). 이때, 측정기(100) 및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측정기(100)가 연결된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정보 또는 단말기(200)의 GPS 위치 정보를 단말기(200)에서 서버(300)로 송신한다(S200). 이때, 고유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관리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측정기(100)가 연결된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를 단말기(200)로 촬영하거나, 단말기(200)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의 바코드를 촬영 또는 입력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관리 번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3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 한다(S300). 이때, 서버(300)는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서버(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측정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 모드(예를 들어, 통신 규격), 통신 속도값 또는 전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력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예를 들어, BER 측정, 프로토콜 측정, DDM 측정 또는 파워테스트 측정) 및 측정값(예를 들어, 채널 선택, 속도 선택, 시간 선택 또는 테스트 패턴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정값은 각 선택 항목의 세부 측정값(예를 들어, 속도 선택 항목의 경우 1.25Gbps, 5Gbps 또는 10Gbps)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 규격(예를 들어, CPRI 또는 OBSAI) 또는 통신 속도(예를 들어, 5Gbps 또는 10Gbps)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지 않아도, 서버(300)로부터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와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기(200)는 수신한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기초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설정하고, 측정기(100)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한다(S400). 이때,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은 서버(300)에서 자동으로 설정되어 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통신 규격은 CPRI를 사용하고, 통신 속도는 10Gbps) 및 이력 정보(예를 들어, 기존에 통신 속도 불량으로 수리 이력 존재)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200)는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예를 들어, 통신 규격은 CPRI) 및 측정값(예를 들어, 통신 속도는 10Gbps)을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서버(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통신 규격은 CPRI를 사용하고, 통신 속도는 10Gbps) 및 이력 정보(예를 들어, 기존에 통신 속도 불량으로 수리 이력 존재)를 기초로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예를 들어, 통신 규격은 CPRI) 및 측정값(예를 들어, 통신 속도는 10Gbps)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설정한 측정 항목 및 측정값을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기(200)는 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를 서버(300)에 전송한다(S500). 구체적으로, 단말기(200)는 측정기(100)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결과값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측정기(100)의 측정 결과값에 따라 실시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각각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미리 결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처리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 각각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단말기(200)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 요청에 따라 저장한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CRAN(10)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디지털신호 처리부(30)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17)에 측정기(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무선신호 처리부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15)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30)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17)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회선 또는 네트워크 장치(15, 17)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네트워크 장치(15)에 케이블(15_a)을 연결하여, 측정기(1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루브백(Loop-back)시켜 네트워크 회선 또는 네트워크 장치(15, 17)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00)에서 미리 결정된 속도 또는 주파수를 갖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측정기(100)는 케이블(15_a)을 통해 루프백되는 전기 신호를 미리 송신한 전기 신호와 비교 또는 대조하여 네트워크 회선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CRAN(10)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디지털신호 처리부(30)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17)에 측정기(100)를 연결하고, 무선신호 처리부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15)에 측정기(10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무선신호 처리부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15)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30)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17)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회선 또는 네트워크 장치(15, 17)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측정기(101)의 루프백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기(1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루브백(Loop-back)시켜 네트워크 회선 또는 네트워크 장치(15, 17)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00)에서 미리 결정된 속도 또는 주파수를 갖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측정기(100)는 측정기(101)를 통해 루프백되는 전기 신호를 미리 송신한 전기 신호와 비교 또는 대조하여 네트워크 회선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CRAN(10)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측정 대상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광모듈(50)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모듈(50)은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SFP+ 또는 XFP(10 Gigabit Small Form Factor Pluggable)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기(100)는 광모듈을 연결할 수 있는 광모듈 포트(110_1, 110_2, 110_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모듈 포트는 SFP 포트 1(110_1), SFP 포트 2(110_2), XFP 포트 3(110_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FP 포트 1 및 SFP 포트 2는 1.25G, 2.5G, 5G 또는 10Gbps 광모듈을 연결할 수 있고, XFP 포트 3은 10Gbps 광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광모듈(50)에 케이블(50_a)을 연결하여, 측정기(1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루브백(Loop-back)시켜 광모듈(50)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100)에서 미리 결정된 속도 또는 주파수를 갖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측정기(100)는 케이블(50_a)을 통해 루프백되는 전기 신호를 미리 송신한 전기 신호와 비교 또는 대조하여 광모듈(50)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기는 광모듈 자체에 대한 단독 진단을 실시하여 광모듈의 기능 특성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공간 및 이동에 제한 없이 광모듈의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를 현장에서 사용자가 즉시 판단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어부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제어부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제어부를 명령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프로그램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측정기
200: 단말기
300: 서버

Claims (15)

  1.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측정기와 통신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 중 상기 측정기와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추출된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측정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추출된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상기 측정 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결과값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되는 상기 데이터는, 설정된 상기 측정 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측정한 측정 결과값에 따라, 상기 서버에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과거 측정 이력, 장애 이력 또는 수리 이력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BER 측정, 프로토콜 측정, DDM 측정 또는 파워테스트 측정을 포함하는 측정 항목 및 채널 선택, 속도 선택, 시간 선택, 또는 테스트 패턴 선택을 포함하는 측정값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QR코드로부터 상기 QR코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 모드, 통신 속도값 또는 전압값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RAN은 디지털신호 처리부가 원격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측에 연결된 제1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측정기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신호 처리부측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측정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루프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RAN은 디지털신호 처리부가 원격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측에 연결된 제1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측정기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신호 처리부측에 연결된 제2 네트워크 장치에 제2 측정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측정기의 루프백 기능으로 상기 제1 측정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루프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광모듈을 상기 측정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광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측정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루프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3. CRAN에 포함된 복수의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정보 및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된 측정기와 통신하는 단말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QR코드 정보, 바코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QR코드 정보, 상기 바코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GPS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측정기의 측정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 및 측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면,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추출된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측정기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추출된 상기 설정 정보 또는 상기 이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측정 항목 또는 측정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상기 측정 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상기 측정 결과값을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이력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과거 측정 이력, 장애 이력 또는 수리 이력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BER 측정, 프로토콜 측정, DDM 측정 또는 파워테스트 측정을 포함하는 측정 항목 및 채널 선택, 속도 선택, 시간 선택, 또는 테스트 패턴 선택을 포함하는 측정값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14. 삭제
  15.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81781A 2017-06-28 2017-06-28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10201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81A KR102015120B1 (ko) 2017-06-28 2017-06-28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81A KR102015120B1 (ko) 2017-06-28 2017-06-28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48A KR20190001748A (ko) 2019-01-07
KR102015120B1 true KR102015120B1 (ko) 2019-08-27

Family

ID=6501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81A KR102015120B1 (ko) 2017-06-28 2017-06-28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1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082A (ja) 2008-11-25 2010-06-10 Kyocera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1189441B1 (ko) 2011-04-19 2012-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터블 시스템 진단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08024B1 (ko) 2011-05-25 2012-12-04 인텔라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알에프 성능분석장치
KR101216974B1 (ko) 2012-10-25 2012-12-31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이동형 통합 계측기
KR101392411B1 (ko) 2014-04-10 2014-05-08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상시 품질 측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500B1 (ko) * 2004-03-22 2006-07-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중계기 제어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중계기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065646B1 (ko) * 2009-11-30 2011-09-20 (주)블루와이즈 통신장비실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19326A (ko) * 2010-04-27 2011-11-02 (주)씨맥스와이어리스 위치별 Wimax 환경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40562A (ko) * 2011-06-21 2012-12-31 (주)블루와이즈 지능형 Mini MDF를 이용한 광 운용 감시 시스템
KR101356415B1 (ko) * 2011-12-19 2014-01-28 상무텔레콤 주식회사 전파품질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스마트 휴대 통신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휴대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파품질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082A (ja) 2008-11-25 2010-06-10 Kyocera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1189441B1 (ko) 2011-04-19 2012-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터블 시스템 진단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08024B1 (ko) 2011-05-25 2012-12-04 인텔라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알에프 성능분석장치
KR101216974B1 (ko) 2012-10-25 2012-12-31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이동형 통합 계측기
KR101392411B1 (ko) 2014-04-10 2014-05-08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상시 품질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48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497B2 (en) Selective activation of communications services on power-up of a remote uni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CS) based on power consumption
EP3282718A1 (en) Matching sensors with applications running on a mobile-edge computing server
CN110375961B (zh) 一种光模块的自动测试方法及光模块的自动测试系统
CN108141385A (zh) 用于管理电缆测试设备的测试配置的基于云的系统和方法
CN107143976B (zh) 空调故障检测方法、移动检测装置、空调
CN105610538B (zh) 物理小区标识有效再利用的系统和方法
US11405302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testing using configurable test infrastructure
WO2019057089A1 (zh) 网卡镜像抓包方法、终端以及可读存储介质
CN105763394B (zh) 一种网络链路检测方法、装置和系统
US117409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bugging a device
US20170187585A1 (en) Technologies for validating operations of devices
CN114430366B (zh) 信息采集应用下发方法、相关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CN111352778B (zh) 网络的仿真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9517172A (ja) Nfc対応無線プロセス通信ゲートウェイ
KR102015120B1 (ko) Cran에서 수행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
JP5545846B2 (ja) シーケンス試験装置及びシーケンス試験方法
CN102377606A (zh) 网络连接设备及其端口测试方法
CN102123422B (zh) 通信通道的故障检测方法和设备
JP5584017B2 (ja) シーケンス試験装置及びシーケンス試験方法
US10834169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a test device
CN108006925A (zh) 空调应力测试方法、计算机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489604A (zh) 网络仿真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911629A (zh) 网络的测试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842684A (zh) 测量控制方法、装置及系统
EP2745547B1 (en) App driven base station man-machine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