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895B1 -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895B1
KR102014895B1 KR1020160171694A KR20160171694A KR102014895B1 KR 102014895 B1 KR102014895 B1 KR 102014895B1 KR 1020160171694 A KR1020160171694 A KR 1020160171694A KR 20160171694 A KR20160171694 A KR 20160171694A KR 102014895 B1 KR102014895 B1 KR 10201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command
path
map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477A (ko
Inventor
이창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8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08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speech input, e.g. using 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 들은 제한된 명령어의 음성 인식을 통해 세분화된 메뉴 선택과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 또는 특화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동작을 즉시 실행시켜, 운전자의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른 사고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METHOD AND VEHICLE DEVICE CONTROLLING REFINED PROGRAM BEHAVIOR USING VOICE RECOGNIZING}
본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차량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 중이라도 운전자가 원하는 프로그램 동작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및 차량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터치 기술 및 음성 인식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를 적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이 발음하는 자연어의 발음을 정확하게 인식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반면, 터치 기술은 터치 화면 상에서 여러 메뉴를 선택하거나 데이터 입력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차량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이러한 터치 기술은 운전자에게 사고 위험성을 증대시키는 부작용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예를 들면, 예컨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자 할 경우, 여러 번의 메뉴 선택과 원하는 목적지, 경유지 및 POI (point of interest)와 같은 데이터 입력이 필수적이다.
음성 인식 기술이 예컨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여러 번의 메뉴 선택 과정에서 해당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더라도 메뉴 선택과 명령어 입력간 불일치로 인해, 음성 인식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전술한 음성 인식과 터치식 메뉴 선택은 운전자 주의를 분사시켜 사고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 실시예들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특정 메뉴 선택시에 반응하는 명령어를 업선하여 음성 인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및 차량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을 이용한 경로 탐색과 관련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전환된 화면에서 운전자가 발화한 제1 명령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1 명령어에 대응하여 상기 지도맵에 맵핑된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대상 지역에 이르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를 지정 요소에 따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에서 선택된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상기 지도맵에서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인식을 이용한 경로 탐색과 관련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단말기로서, 상기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는 화면 전환부; 상기 전환된 화면에서 운전자가 발화한 제1 명령어를 인식하는 명령어 인식부; 상기 인식된 제1 명령어에 대응하여 상기 지도맵에 맵핑된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대상 지역에 이르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를 지정 요소에 따라 추출하는 음성 탐색 경로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탐색 경로 메뉴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에서 선택된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하는 탐색 경로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상기 지도맵에서 실행시키는 탐색 경로 실행부를 포함하는 차량 단말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명령어는 상기 전환된 화면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은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관심 지역 및 관심 지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주소 목록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정 요소는 경로 좌표, 경로 거리 및 경로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1 탐색 경로에 해당하는 제2 명령어가 발화될 경우, 상기 발화된 제2 명령어를 인식하고, 상기 지도맵에서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제2 명령어에 대응하여 상기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상기 지도맵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명령어는 상기 제1 탐색 경로를 실행시키는 실행 명령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된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탐색 경로가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을 이용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음성 인식 메뉴 및 복수의 검색 목록을 포함한 검색 메인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색 목록에서 선택된 제1 검색 목록에 대응하는 제1 명령어를 운전자가 발화할 경우, 상기 발화된 제1 명령어를 상기 음성 인식 메뉴를 통해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1 명령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검색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실행 검색 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복수의 실행 검색 목록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복수의 실행 검색 목록에서 선택된 제1 실행 검색 목록에 대응하는 제2 명령어가 발화될 경우, 상기 발화된 제2 명령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실행 검색 목록에 연동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명령어는 상기 제1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갖지고, 상기 복수의 검색 목록은 내비게이션 목록, 라디오 목록, 전화 연결 목록, 전화 번호 목록 및 음악 재생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목록은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관심 지역 및 관심 지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목록은, 라디오 채널 목록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명령어는 상기 제1 실행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실행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가지고, 상기 제1 실행 검색 목록은 상기 제1 검색 목록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검색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검색 목록이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관심 지역 및 관심 지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목록인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목록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지도맵에 맵핑시키는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들은 내비게이션 탐색 경로를 설정할 때 음성 인식이 용이한 제한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한 두번의 음성 인식 동작을 통해 원하는 내비게이션 탐색 경로와 관련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어, 기존의 입력 터치식에 비해 정확하고 빠른 실행으로 인해 사고 위험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들은 프로그램의 각 메뉴에 해당하는 제한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메뉴 선택을 빠르게 진행하고, 음성 인식 확률을 높임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실행 프로그램의 동작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어, 이 또한 기존의 입력 터치식에 비해 사고 위험을 현저히 줄여 줄 수 있다.
이상의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을 구현한 차량용 음성 인식 시스템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7은 프로그램 동작 제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위한 차량 단말기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의 다른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요소를 지도맵에 적용한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장치 및 방법 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지 이들로부터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단수 표현인 '상기'는 아래위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는/및'은 열거되는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이하에서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동작 또는 차량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단말기의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의 실시예>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을 구현한 차량용 음성 인식 시스템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음성 인식 시스템(100)은 차량 단말기(110), 서버(120) 및 GPS/V2X 기지국(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110)는 차량에 설치되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킨후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각 메뉴의 동작과 경로 탐색과 같은 실행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차량 단말기(110)에서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120)로부터 실시간 다운로드된 지도맵에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운전자가 입력한 정보(예: 출발지, 목적지, POI 정보, 경유지 등의 정보 입력)를 맵핑하여 경로 탐색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에서 구현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모든 프로그램이 본 실시예의 범주안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기(110)는 예컨대,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각 동작마다 필요한 메뉴 화면(메뉴를 포함한 특정 화면)을 표시하고, 운전자가 입력한 명령어에 대한 음성 인식을 통해 특정 메뉴를 선택하거나 특정 실행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실행 프로그램은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POI 정보를 포함한 주소 명령어를 발화할 경우 이에 반응하여 지도맵에서 주소 명령어에 상응하는 경로 탐색이 이루어져 차량 단말기(11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기까지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처럼, 특정 실행 프로그램은 메뉴 선택 또는 정보 입력과 같은 동작과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차량 단말기(110)는 구현된 프로그램에 따라 내비게이션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또는 인터넷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20)는 차량 단말기(11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차량 단말기(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특정 프로그램, 예컨대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시간 전송하거나 차량 단말기(110)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PS(130) 또는 V2X 기지국(130)은 주행 중인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추적하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차량 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GPS(130)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위치 추적 시스템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무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Time Division)-CDMA(TD-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가 GSM 네트워크의 일부인 경우,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C(Base Station Controller), MSC(Mobile Switching Center),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차량 단말기(110)는 전술한 제어 동작을 실질적으로 실행하는 제어기(111) 및 프로그램의 동작과 관련한 메뉴 등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2), 상기 제어기(111)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12)간 제어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3), 서버(120와 GPS(130) 또는 V2X 기지국(130)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114) 및 전술한 각 구성에서 처리된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11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차량 단말기(110)에서 구현될 수 있는 통상적인 구성들도 본 실시예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에서 실질적으로 도 1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을 구현하고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200)은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에 의해 실현되는 210 단계 내지 26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기(11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특화된 단말기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210 단계에서, 제어기(111)는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화면은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메인 화면 및 서브 화면을 포함하며, 복수의 메뉴들이 각 화면마다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뉴들은 예컨대,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 및 음성 인식 메뉴(아이콘을)를 포함할 수 있다.
220 단계에서, 제어기(111)는 전환된 화면 상태에서 음성 인식 엔진을 통해 운전자가 발화한 제1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엔진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음성 인식기일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가 발화한 제1 명령어는 내비게이션 경로 탐색에 필요한 정보들인 예컨대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POI 정보와 같은 특정 대상 지역의 명칭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명령어는 예컨대 전환된 화면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은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관심 지역 및 관심 지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주소 목록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발화된 제1 명령어가 전술한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의 명칭과 동일한 소리음을 가지면, 해당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이 선택되고, 전술한 특정 대상 지역과 관련한 제1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111)는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갖는 제1 명령어만을 음성 인식하도록 알고리즘화 될 수 있으며, 이로써, 모든 소리음을 해석할 필요가 없어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즉, 특정 단어 및 상기 특정 단어와 유사한 소리음에 대해서만 면밀히 해석하면 그 만큼의 음성 인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의 23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GPS(130)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맵에 맵핑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전술한 220 단계에 의해 인식된 제1 명령어에 대응하여 지도맵에 맵핑된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대상 지역에 이르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명령어가 스타 벅스인 경우, 상기 음성 탐색 경로 메뉴는 지도맵에 맵핑된 주행중인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주변에 널려있는 복수의 스타 벅스의 대상 지역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타 벅스의 대상 지역 목록은 경로 좌표, 경로 거리 및 경로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지정 요소에 따라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24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를 지정 요소에 따라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지역 목록이 복수의 스타 벅스이고, 각 스타 벅스가 3.4km, 3.8km, 4.6km인 경우,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거리가 짧은 순서로 복수의 스타 벅스를 차량 단말기(110)의 표시 화면에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거리가 짧은 순서로 배열된 스타 벅스의 대상 지역 목록의 일례는 도 3에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25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표시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에서 운전자의 터치 또는 음성 인식에 의해 선택된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인 경우,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선택된 제1 탐색 경로에 해당하는 제2 명령어가 운전자에 의해 발화될 경우, 발화된 제2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명령어 인식은 앞서 설명한 제1 명령어 인식과 동일한 인식 메카니즘을 가지며, 제1 탐색 경로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26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터치 또는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지도맵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인 경우,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인식된 제2 명령어에 대응하여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지도맵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실행 명령인 제2 명령어 인식에 의해 제1 탐색 경로의 지도맵이 실행됨으로써, 지도맵 상에 예컨대 선택된 거리에 따른 스타 벅스의 대상 지역이 표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을 통해 최종적으로 지도맵에서 실행된 제1 탐색 경로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내비게이션 탐색 경로를 설정할 때 음성 인식이 용이한 제한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한 두번의 음성 인식 동작을 통해 원하는 내비게이션 탐색 경로와 관련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어, 기존의 입력 터치식에 비해 정확하고 빠른 실행으로 인해 사고 위험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
<차량 단말기의 실시예>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위한 차량 단말기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위한 차량 단말기(300)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경로 탐색과 관련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화면 전환부(310), 명령어 인식부(320), 음성 탐색 경로 추출부(330), 탐색 경로 메뉴 표시부(340), 탐색 경로 인식부(350) 및 탐색 경로 실행부(3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전환부(310)는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고, 명령어 인식부(320)는 전환된 화면에서 운전자가 발화한 제1 명령어를 음성 인시기를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명령어는 전환된 화면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탐색 경로 추출부(330)는 인식된 제1 명령어에 대응하여 지도맵에 맵핑된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대상 지역에 이르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를 지정 요소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명령어가 스타 벅스인 경우, 상기 음성 탐색 경로 메뉴는 지도맵에 맵핑된 주행중인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주변에 널려있는 복수의 스타 벅스의 대상 지역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타 벅스의 대상 지역 목록은 경로 좌표, 경로 거리 및 경로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지정 요소에 따라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탐색 경로 메뉴 표시부(34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지역이 복수의 스타 벅스이고, 각 스타 벅스가 3.4km, 3.8km, 4.6km인 경우,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거리가 짧은 순서로 복수의 스타 벅스를 차량 단말기(110)의 표시 화면에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탐색 경로 인식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탐색 경로 메뉴에서 선택된 제1 탐색 경로를 운전자 터치 또는 음성 인식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인 경우, 탐색 경로 인식부(350)는 선택된 제1 탐색 경로에 해당하는 제2 명령어가 운전자에 의해 발화될 경우, 발화된 제2 명령어를 인식할 수 있다.
제2 명령어 인식은 앞서 설명한 제1 명령어 인식과 동일한 인식 메카니즘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2 명령어는 음성 탐색 경로 메뉴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탐색 경로 실행부(360)는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지도맵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인 경우, 탐색 경로 실행부(360)는 인식된 제2 명령어에 대응하여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지도맵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명령어 인식은 앞서 설명한 제1 명령어 인식과 동일한 인식 메카니즘을 가지며, 제1 탐색 경로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음성 인식을 위한 차량 단말기(3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지도맵과 같은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받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GPS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통신 모듈 (3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자명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도 1에서 충분히 설명하였다.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의 다른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400)은 전술한 도 2의 차량 단말기(110)에서 음성 인식을 이용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410 단계 내지 45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일 실시예의 41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음성 인식 메뉴 및 복수의 검색 목록을 포함한 검색 메인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검색 메인 화면의 예는 도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복수의 검색 목록은 "Find Address"과 같은 내비게이션 목록, "Radio"과 같은 라디오 목록, "Call"과 같은 전화 연결 목록, "Call Number"과 같은 전화 번호 목록 및 "Music"과 같은 음악 재생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언급된 내비게이션 목록은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관심 지역 및 관심 지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라디오 목록은 라디오 채널 목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42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표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검색 목록에서 제1 검색 목록을 선택하기 위하여 제1 명령어가 발화될 경우, 발화된 제1 명령어를 음성 인식 메뉴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언급된 제1 검색 목록은 복수의 검색 목록에서 선택된 "Find Address"과 같은 내비게이션 목록일 수 있으며, 언급된 음성 인식 메뉴는 음성 인식기와 연동되어 음성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언급된 제1 명령어는 제1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Find Address"를 파인드 어드레스라고 제1 명령어로서 발음하면,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제1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의 소리음과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음성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처럼 제한된 메뉴에 기록된 소리음에 제1 명령어가 어느 정도 동일하고 유사한지를 판단하면 되므로, 모든 소리음에 대한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한된 단어만으로도 검색 목록 등의 선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43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인식된 제1 명령어에 대응하여 제1 검색 목록에 포함된 복수의 실행 검색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실행 검색 목록은 제1 검색 목록의 서브 실행 메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44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추출된 복수의 실행 검색 목록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실행 검색 목록은 스타벅스라는 복수의 실행 목록이 표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실행 목록은 도 1과 같이 지정 요소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일 실시예의 45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표시된 복수의 실행 검색 목록에서 제1 실행 검색 목록을 선택하기 위하여 제2 명령어가 발화될 경우, 발화된 제2 명령어에 대응하여 제1 실행 검색 목록에 연동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단말기(110)의 제어기(111)는 제1 검색 목록이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관심 지역 및 관심 지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내비게이션 목록인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목록에 매칭되는 제2 명령어를 발화하여 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지도맵에 맵핑시키는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을 통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예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언급된 제2 명령어는 제1 실행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가질 수 있다.
이 처럼 제한된 메뉴에 기록된 소리음에 제2 명령어가 어느 정도 동일하고 유사한지를 판단하면 되므로, 모든 소리음에 대한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한된 단어만으로도 검색 목록 등의 선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을 각 메뉴 선택 과정에서만 사용하였지만, 운전자가 원하는 데이터 입력이 필요할 경우 자연어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운전자가 발화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램의 각 메뉴에 해당하는 제한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메뉴 선택을 빠르게 진행하고, 음성 인식 확률을 높임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실행 프로그램의 동작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어, 이 또한 기존의 입력 터치식에 비해 사고 위험을 현저히 줄여 줄 수 있다.
<지정 요소의 적용 실시예>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 요소를 지도맵에 적용한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맵에는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대상 지역까지의 시간과 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타 벅스라는 대상 지역이 시간과 거리에 따라 복수 개로 지도맵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지도맵에는 현재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 경로(도 8의 갈색 표시선), 스타 벅스라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대상 지역(도 8의 ①, ②, ③) 각각에 대한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 및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지정 요소 정보(예컨대,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대상 지역까지의 시간과 거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이 원하는 스타 벅스를 고를 수 있고 찾아갈 수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한된 명령어의 음성 인식을 통해 가능해져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차량용 음성 인식 시스템 110 : 차량 단말기
111 : 제어기 112 : 사용자 인터페이스
113 :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114 : 통신 모듈
115 : 메모리 120 : 서버
130 : GPS 300 :차량 단말기
310 : 화면 전환부 320 : 명령어 인식부
330 : 음성 탐색 경로 추출부 340 : 탐색 경로 메뉴 표시부
350 : 탐색 경로 인식부 360 : 탐색 경로 실행부

Claims (19)

  1. 차량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을 이용한 경로 탐색과 관련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전환된 화면에서 운전자가 발화한 제1 명령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1 명령어에 대응하여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서로 다른 복수의 대상 지역을 탐색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상 지역 각각에 이르는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를 지정 요소에 따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 각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에서 선택된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제1 지도맵에서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화면은,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대상 지역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 및 상기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지정 요소 정보가 함께 표시된 제2 지도맵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어는,
    상기 전환된 화면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갖는,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은,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관심 지역 및 관심 지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주소 목록인 것인,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요소는,
    경로 좌표, 경로 거리 및 경로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1 탐색 경로에 해당하는 제2 명령어가 발화될 경우, 상기 발화된 제2 명령어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지도맵에서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제2 명령어에 대응하여 상기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상기 제1 지도맵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명령어는, 상기 제1 탐색 경로를 실행시키는 실행 명령인 것인,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탐색 경로가 운전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
  8. 음성 인식을 이용한 경로 탐색과 관련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단말기로서,
    상기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는 화면 전환부;
    상기 전환된 화면에서 운전자가 발화한 제1 명령어를 인식하는 명령어 인식부;
    상기 인식된 제1 명령어에 대응하여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서로 다른 복수의 대상 지역을 탐색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상 지역 각각에 이르는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를 지정 요소에 따라 추출하는 음성 탐색 경로 추출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 각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탐색 경로 메뉴 표시부;
    상기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에서 선택된 제1 탐색 경로를 인식하는 탐색 경로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제1 지도맵에서 실행시키는 탐색 경로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화면은,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대상 지역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 및 상기 복수의 음성 탐색 경로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지정 요소 정보가 함께 표시된 제2 지도맵을 포함하는, 차량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어는,
    상기 전환된 화면에 표시된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에 기록된 문자 또는 숫자와 동일한 소리음을 갖는, 차량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검색 목록은,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관심 지역 및 관심 지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주소 목록인 것인, 차량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요소는,
    경로 좌표, 경로 거리 및 경로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경로 인식부는,
    상기 선택된 제1 탐색 경로에 해당하는 제2 명령어가 발화될 경우, 상기 발화된 제2 명령어를 인식하고,
    상기 탐색 경로 실행부는,
    상기 인식된 제2 명령어에 대응하여 상기 인식된 제1 탐색 경로를 상기 제1 지도맵에서 실행시키는, 차량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명령어는, 상기 제1 탐색 경로를 실행시키는 실행 명령인 것인, 차량 단말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그램 동작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1020160171694A 2016-12-15 2016-12-15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 KR10201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94A KR102014895B1 (ko) 2016-12-15 2016-12-15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94A KR102014895B1 (ko) 2016-12-15 2016-12-15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77A KR20180069477A (ko) 2018-06-25
KR102014895B1 true KR102014895B1 (ko) 2019-10-21

Family

ID=6280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694A KR102014895B1 (ko) 2016-12-15 2016-12-15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7177A1 (en) * 2018-11-30 2021-11-18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WO2022265448A1 (ko) * 2021-06-17 2022-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탐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392129B (zh) * 2021-06-28 2024-04-12 恒安嘉新(北京)科技股份公司 一种菜单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06574A (zh) * 2021-09-09 2021-10-15 深圳市友杰智新科技有限公司 自定义命令词的识别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602A (ja) * 2005-06-21 2007-01-11 Alpine Electronics Inc 音声認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走行誘導装置
JP2007240688A (ja) 2006-03-07 2007-09-20 Clarion Co Ltd 音声認識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音声認証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27035A (ja) 2006-07-19 2008-02-07 Xanavi Informatics Corp 車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789B1 (ko) * 2002-08-08 2004-08-18 신형범 실시간 교통정보망과 연계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음성인식 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20130123610A (ko) * 2012-05-03 2013-11-13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음성인식 경로안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602A (ja) * 2005-06-21 2007-01-11 Alpine Electronics Inc 音声認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走行誘導装置
JP2007240688A (ja) 2006-03-07 2007-09-20 Clarion Co Ltd 音声認識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音声認証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27035A (ja) 2006-07-19 2008-02-07 Xanavi Informatics Corp 車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77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895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세분화된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 단말기
US20190311712A1 (en) Selection system and method
US10424298B2 (en) Voice processing device
EP245086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ff-board voice automated vehicle navigation
KR102281178B1 (ko) 멀티-레벨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CN102027325B (zh) 检测寻找停车设施的导航设备及方法
JP2016114395A (ja) 音声入力補助装置、音声入力補助システムおよび音声入力方法
JP5889542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操作システム
KR20220055213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99428A1 (ja) 候補告知装置、候補告知方法及び候補告知用プログラム
JP201814174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用プログラム
JP2015007595A (ja) 車両用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078907A1 (en) Navigation device
KR20200072105A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JP569886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81102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92425A1 (en) Facility search apparatus and facility search method
US11341189B2 (en) Multi-character string search engine for in-vehicle information system
KR20070074037A (ko) Ui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749088B1 (ko) 대화형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91096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190063621A (ko) 블루투스 기기의 일정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의 목적지 자동 설정 방법
KR20160064657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4719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周辺施設の検索方法
KR101628125B1 (ko) 음성인식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