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501B1 -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501B1
KR102014501B1 KR1020190058135A KR20190058135A KR102014501B1 KR 102014501 B1 KR102014501 B1 KR 102014501B1 KR 1020190058135 A KR1020190058135 A KR 1020190058135A KR 20190058135 A KR20190058135 A KR 20190058135A KR 102014501 B1 KR102014501 B1 KR 10201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resentation content
drill
dd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김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용 filed Critical 김성용
Priority to KR102019005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Applicaltion)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저작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갖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위상관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DRILL-DOWN SLIDE PRESENTATION CONTENT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DRILL-DOWN SLIDE PRESENTATIO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DRILL-DOWN SLIDE PRESENTATION CONTENT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RILL-DOWN SLIDE PRESENTATION CONTENT PUBLICATION AND RENDERING SYSTEM}
본 발명은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및/또는 대시보드(dashboard) 콘텐츠 저작 및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젠테이션 및/또는 대시보드 콘텐츠를 저작하고 표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시스템의 다양한 프리젠테이션/대시보드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이 나오면서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저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콘텐츠가 활용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한 프리젠테이션/대시보드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문서를 저작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이러한 프리젠테이션/대시보드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작성된 문서를 표현하는 방식이 첫 페이지로부터 마지막 페이지까지 단순 페이지를 넘기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문서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프리젠테이션/대시보드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의 표현 및 편집 기능은 수평적인 이동을 통한 구성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콘텐츠를 입체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일부영역을 확대/축소하여 깊이(depth)에 의한 내용구성이 가능한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방식의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목적은 간편하게 웹 기반의 동영상 파일을 삽입하여 재생하는 기능 및 비콘 블링크(beacon blink) 기능을 통해 특정 콘텐츠나 객체를 강조표시할 수 있는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목적은 콘텐츠 에디터, 문서 배포 서버 및 문서 플레이어(Player)를 기반으로 저작된 문서를 웹을 통해 서로 공유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Applicaltion)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갖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위상관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자체 정보를 나타내는 기본속성정보와 다른 슬라이드와의 위상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속성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본속성정보는 각 슬라이드의 고유 식별자인 슬라이드 식별자(GUID), 슬라이드 배경색(SlideBgColor), 슬라이드 폭(SlideWidth) 및 슬라이드 높이(SlideHeigh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계속성정보는 현재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이전 슬라이드(previous slide), 다음 슬라이드(next slide), 상위 및 하위 슬라이드(upper and lower slide), 및 홈 슬라이드(home slide)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층적 위상관계를 갖는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는 줌인 및 줌아웃(Zoom-in/Zoom-out) 컨트롤 또는 상하향 버튼 조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계층적 위상관계는 슬라이드 정보를 편집하는 슬라이드 정보 관리자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드와 상기 제 2 슬라이드 간 링크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의 하위 슬라이드와 상기 제 1 슬라이드 내의 제 1 링크 객체(link object)가 링크 관계를 갖음으로써 상기 제 1 링크 객체를 통해 상기 하위 슬라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내의 제 1 링크 객체와 제 1 하위 슬라이드가 링크관계를 갖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내의 제 2 링크 객체와 제 2 하위 슬라이드가 링크관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슬라이드의 하위 슬라이드와 연결할 상기 제 1 링크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링크 객체를 수정하여 링크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링크 영역과 연결할 하위 슬라이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하위 슬라이드와 상기 링크 영역 간에 링크 관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영역과 연결한 하위 슬라이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객체의 오브젝트 속성(Object Property)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속성 중 링크 관계 형성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현재 슬라이드의 위상관계를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링크 영역과 연결할 하위 슬라이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에 형성된 슬라이드간 링크관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전에 형성된 슬라이드간 링크관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는 상기 계층적 위상관계에 따라 기본영역과 서브링크 슬라이드(sub-link slide) 영역으로 분리되어 위치하고, 자신보다 상위 슬라이드가 없는 최상위 슬라이드는 상기 기본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계층적 위상관계가 존재하는 슬라이드 중 자신보다 상위 슬라이드가 있는 슬라이드는 상기 서브링크 슬라이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계층적 위상관계가 존재하는 슬라이드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는 경우, 전체 링크관계를 초기화한 후 재차 링크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의 슬라이드는 기본객체 및 상기 기본객체와 다른 특수 처리를 요구하는 특수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객체는 특정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이벤트표시 객체, 상위 또는 하위 슬라이드와의 링크관계를 갖는 링크객체 및 영상과 연관된 픽처 객체, 비디오와 연관된 비디오 객체 및 챠트 또는 그래프와 관련된 테이블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표시 객체는 윤곽선, 텍스트 및 비콘(beacon)을 포함하며, 상기 비콘은 연관된 이벤트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깜박임(Blink)로써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객체는 웹에서 찾은 비디오 리소스의 소스코드를 통해 슬라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객체에 연결할 로컬 파일을 선택하면 인코딩이 자동 수행되고, 인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비디오 객체의 속성값으로 재생가능한 HTML 태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객체는 MS 엑셀(Microsoft Excel)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특수객체는 객체의 위치 및 크기, 객체 이름, 객체 식별자(Object_ID), 텍스트, 배경 및 외곽선 스타일, 비콘 속성, 링크 슬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 값을 포함하며, 각 특수객체는 특수객체의 종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배포 후에도 해당 객체가 특수객체로써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은 상기 설정된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갖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유효성 체크는 프리젠테이션 및 슬라이드의 식별자(GUID)의 생성 및 중복 여부, 객체 식별자(Object_ID)의 중복 여부, 슬라이드간 링크의 유효 여부, 비디오 객체의 비디오 리소스 연결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 객체의 위치와 위치 메타 정보간 동기화 여부 및 슬라이드 위상 정보의 구역 배치가 적절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 변경을 통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을 위한 에디터 프로그램은 MS 파워포인트(Microsoft Powerpoint) 애플리케이션에 플러그 인(Plug-in)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전체적인 슬라이드 간의 위상정보를 트리 구조로 표시하는 슬라이드 트리(Slide Tree)를 제공하고, 상기 슬라이드 트리에서 슬라이드 노드(Slide Node)를 선택하는 때, 상기 선택된 슬라이드에 대한 기본정보 및 링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및 슬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자(GUID)를 지정하기 위한 버튼, 상기 선택된 슬라이드의 특수객체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 상기 선택된 슬라이드에 대한 슬라이드 정보창(SlideInfo)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 및 현재 형성된 모든 슬라이드 간 링크를 제거하고 초기화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슬라이드의 표시옵션(Viewing Option)으로써, 슬라이드 줌인/줌아읏 기능을 제공할지 선택하는 제 1 표시옵션 및 슬라이드 패닝(panning) 기능을 제공할지 선택하는 제 2 표시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편집하는 슬라이드 편집부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를 정의하고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갖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슬라이드 토폴로지 편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위상관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배포하는 방법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가 정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보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웹(web)을 통해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위상관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웹 기반 배포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서비스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와 연관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웹을 통해 배포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내의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슬라이드 표시 부분을 배경으로 이미지화하는 단계, 상기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 1 형태의 슬라이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 이미지와 상기 제 1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형태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객체 중 픽처 객체 및 로컬 비디오 파일과 연관된 비디오 객체는 추출하여 각각 영상 및 비디오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서버에서 보유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메타정보도 상기 제 1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배포하는 서버 장치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가 정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웹(web)을 통해 배포하는 슬라이드 배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에디터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재생하는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에디터로부터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수신하여 보유하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며, 상기 에디터, 상기 서버 장치 및 상기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은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가 정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보유하는 단계 및 웹(web)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위상관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web)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배경 이미지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 1 형태의 슬라이드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web)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웹 기반의 비디오 리소스를 상기 비디오 리소스의 소스코드를 참조하여 웹으로부터 로딩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web)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서버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요청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상기 배경 이미지 및 상기 제 1 형태의 슬라이드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로딩된 배경 이미지 및 상기 제 1 형태의 슬라이드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접속할 네트워크 주소 및 요청하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주소로 접속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로딩된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웹 브라우저는 사파리(Safari), 크롬(Chrome),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오페라, 파이어폭스, 및 모바일 브라우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가 정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슬라이드 로딩부 및 웹(web) 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는 슬라이드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배포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편집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를 정의하고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갖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며, 배포를 위해 상기 생성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변환하는 에디터, 상기 변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배포하는 서버 및 상기 배포되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재생하는 플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위상관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디터, 상기 서버 및 상기 플레이어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디터, 상기 서버 및 상기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각 슬라이드에 깊이 레벨을 부여하여 깊이 레벨에 따라 줌인/줌아웃 기능을 통해 슬라이드간 연결관계를 다양화함으로써 콘텐츠의 내용을 청중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동영상, 비콘 블링크를 포함하는 특수 객체 등을 기본객체와 다르게 처리하여 동적 표현이 웹을 통합 배포 후에도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중의 직관적인 내용 이해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의 3차원의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에 포함된 DDS 에디터, DDS 서버 및 DDS 플레이어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솔루션(solution)의 패키지 설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를 통해 제공되는 편집기능 관련 메뉴 바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화면에서 슬라이드 정보 표시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슬라이드 정보 표시 창의 각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슬라이드 정보 편집 창과 그 안에 포함된 슬라이스 위상 관계 정보에 따라 연관성을 갖는 각각의 슬라이드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10a 및 도 10b는 링크 객체를 통해 객체-슬라이드 간 링크 관계를 형성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링크 객체와 하위 슬라이드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링크객체를 생성하여 하위 슬라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링크관계 생성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슬라이드 배치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슬라이드 내에 포함된 객체들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 및 추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5는 특수객체의 객체 속성을 수정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객체 속성 정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사각형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사각형 객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a는 웹 기반의 비디오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웹 기반의 비디오 객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b는 로컬영역의 비디오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로컬영역의 비디오 객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테이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테이블 객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유효성 검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유효성 확인 및 오류 수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의 슬라이드 쇼 기본조작을 나타낸 도면,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플레이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특정 주소를 통해 슬라이드 쇼를 재생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용어 정의
본 명세서 상에서 몇몇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은 반드시 텍스트 파일(* .txt)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엑셀 파일(*.xis), 액세스 파일(*.mdb), 워드 파일(*.doc) 및 파워포인트 파일(*.ppt)뿐만 아니라 기타 텍스트 파일(*.rtf), 텍스트 파일(*.wri), pdf 파일(*.pdf: Adobe portable document format fil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파일이 파워포인트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파일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문서 내의 각각의 장표를 슬라이드로 표현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리젠테이션 콘텐츠가 아닌 다른 형태의 콘텐츠에서는 슬라이드가 아닌 다른 구성요소, 예컨대, 페이지(page)와 같은 개념에 대응되어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드 토폴로지는 슬라이드들의 위상관계를 정의하는 개념을 나타낸다.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란 상위슬라이드부터 하위슬라이드까지 차원의 계층에 따라 슬라이드를 계층화하여 제공하는 개념을 나타내며, 드릴-다운 슬라이드 쇼는 슬라이드를 위와 같은 개념에 따라 3차원으로 구성하여 슬라이드 쇼를 할 수 있는 프리젠테이션 솔루션을 의미한다.
콘텐츠는 슬라이드 내에 포함되는 내용 전체 또는 일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좁은 의미로는 영상, 비디오, 동적 표현 등을 포함하는 특수객체와 연관된 내용을 의미한다.
객체는 슬라이드와 연관된 데이터 실체 및 그 데이터와 연관된 동작,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슬라이드 토폴로지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의 3차원의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시스템은 슬라이드 간 깊이를 주어 3차원으로 슬라이드간 위상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레벨 1을 최상위 슬라이드 계층으로 설정하여 기본 슬라이드를 배치하고, 특정 슬라이드(100)에서는 계층관계에 있는 슬라이드들(110, 120)을 레벨 2 및 레벨 3에 각각 배치하여 깊이 관계를 갖는 슬라이드 쇼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드 쇼의 흐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하위 계층관계를 갖는 슬라이드들(100, 110, 120)은 줌인/줌아웃(Zoon-in/Zoom-out) 컨트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계층관계는 하나의 링크를 통해 두 개의 슬라이드(100, 110)가 연결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링크를 통해 다수의 슬라이드(100, 110, 12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깊이 레벨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계층관계는 슬라이드-슬라이드간 형성될 수도 있고, 객체-슬라이드간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슬라이드 내에 포함된 복수 개의 객체에 서로 다른 하위슬라이드가 연결되어 "1 대 다(多)"의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간의 링크관계를 부여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배치(레벨 1)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배치(레벨 2 또는 3과의 연결)도 고려할 수 있다. 즉, 프리젠테이션 내용의 전달 효율 등을 고려하여 상위개념에서 하위개념을 차례로 설명하는 방식을 통해 청중의 이해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수직방향의 슬라이드 배치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드(100)는 국가 범위의 큰 범주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줌인 컨트롤을 통해 세부내용으로 들어가면, 그 하위 계층에는 특정 국가에 포함된 도시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슬라이드(11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110)에서 특정 도시의 세부내용으로 들어가기 위해 특정 도시 객체를 기준으로 줌인 컨트롤을 실행하면, 상기 특정 도시 내에 포함된 구 또는 군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슬라이드(120)가 연결될 수 있다. 줌-아웃 컨트롤을 실행하면 반대로 하위 슬라이드에서 상위 슬라이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위 계층에서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하기 위한 컨트롤을 실행하면 해당 슬라이드의 최상위 슬라이드의 다음 슬라이드가 표시되도록 하여, 수평적인 방향의 슬라이드와의 연계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발표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자신의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청중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텍스트 기반의 기본 객체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및 비디오 등을 삽입하고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DS 시스템(200)은 DDS 에디터(210), DDS 서버(220) 및 DDS 플레이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DDS라는 용어로 반드시 한정될 필요는 없음은 자명할 것이다. 각 구성요소는 각 구성요소의 기능과 연관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프로세서와 상기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DDS 에디터(210)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한다. 저작을 위한 대상 콘텐츠는 기존에 기저작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가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신규하게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DDS 에디터(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매개로 사용자 입력을 받아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예컨대, MS 파워포인트)을 실행하여 대상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대상 콘텐츠에 깊이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슬라이드 저작 애드인(addin))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에 플러그-인(Plug-in) 형태로 부가설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저작 애드인을 통해 기존에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의 고유기능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새로운 기능(예컨대, 상하위 계층관계 형성, 슬라이드 데이터의 웹을 통한 배포, 슬라이드 쇼에서의 새로운 조작 등)이 추가된다. 추가되는 개별 기능은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또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을 위한 신규 애플리케이션을 새롭게 설치하여 기존 프로그램과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DS 에디터(210)를 통해 생성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중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예컨대, MS 파워포인트)에서 저작한 슬라이드는 DDS 서버(220)에 저장된다. 이때, DDS 에디터(210)는 슬라이드 내에 포함된 콘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동적인 표시가 요구되지 않는 기본객체 및/또는 배경은 이미지화하여 배경이미지로 생성한다. 동적인 표시가 요구되는 특수객체는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 1 형태의 데이터, 미디어 및/또는 영상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배경이미지 및 특수객체 관련 데이터는 DDS 서버(220)로 제공되어 특정 폴더(226)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형태의 데이터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 1 형태의 데이터는 반드시 JSON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XML, HTML 등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 JSON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JSON은 인터넷에서 자료를 주고받을 때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자료의 종류에 큰 제한 없이, 컴퓨터 프로그램의 변수값을 표현하는데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 형식은 자바스크립트 구문을 따르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나 플랫폼에 독립적이므로 다양한 언어에서 이용가능하다. 즉, JSON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객체를 교환하는데 편리하고, 따라서 웹 기반으로 DDS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의 특수객체를 표시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의 메타 정보도 JSON으로 변환되어 DDS 서버(22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저작 애드인을 통해 생성된 프로젝트 정보는 DDS 서버(220)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etem)(224)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 정보는 프리젠테이션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젝트 정보는 특정 프리젠테이션 파일임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젝트 고유 식별 정보(project_ID)(프리젠테이션 식별정보로도 불릴 수 있음) 등 특정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호출하기 위한 키(key) 값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DS 서버(220)는 로컬 PC에 위치할 수 있다. DDS 서버(220)는 DDS 에디터(210)로부터 수신되는 슬라이드 콘텐츠 정보 및 프로젝트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고 있다가 웹을 통해 DDS 플레이어(230)로 배포할 수 있다. DDS 서버(220)는 WAS(Web Application Server)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222)(예컨대, 톰캣(TomCat))과 DBMS (224)(예컨대, MySQL을 포함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DBMS(224)는 MySQL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오픈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이는 DDS 서버(220)가 해당 서비스에 등록 및 실행함으로써 DDS 에디터(210)로부터 수신되는 슬라이드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관리하거나, 데이터 백업하거나, 상태 검사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DDS 서버(220)가 운영하는 WAS 관련 프로그램(예컨대, 톰캣)(222)은 자바 실행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DDS 서버(220)는 WAS 관련 프로그램(222)을 통해 서버 이름을 생성하고 WAS 관련 프로그램(222)을 설치한 디렉토리 등록하여 웹 서버를 설치한다. 그리고는, DDS 서버(220)는 DDS 에디터(210)로부터 획득된 슬라이드 정보를 폴더(226)로부터 획득하여 웹을 통해 배포할 수 있다.
DDS 플레이어(23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DDS 서버(220) 및/또는 외부 동영상 제공 웹 사이트로부터 슬라이드 및 비디오 정보를 받아 재생한다. DDS 플레이어(230)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 관련 정보(배경 이미지 및 특수객체 표시를 위한 정보)와 비디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DDS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로컬 비디오의 경우, DDS 서버(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지만, 웹 기반의 비디오 리소스는 외부 동영상 제공 웹사이트(예컨대, 유튜브(YouTube) 등)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는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슬라이드 쇼를 재생한다.
DDS 플레이어(230)는 크롬(Chrome), 모질라 파이어폭스(Mozilla Firefox),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IE), 오페라(Opera), 사파리(Safari), 모바일 브라우저 등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쇼 정보를 웹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웹 브라우저는 JSON 전용 파서(parser) 기능을 내장하여 JSON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수객체의 동적 표현이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DDS 에디터(210), DDS 서버(220) 및 DDS 플레이어(230)가 하나의 로컬 PC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각 다른 장치에 포함되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에 포함된 DDS 에디터, DDS 서버 및 DDS 플레이어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DS 에디터(310)는 에디터 애드인을 설치한다(S302). DDS 에디터(310)에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설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에 DDS 에디터 애드인이 플러그-인 설치된다. DDS 에디터(310)는 기저작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불러오거나 또는 새문서 작성기능을 이용하여 신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저작하고 저작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S304). 이때, 편집된 콘텐츠는 일반적인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로 생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문서편집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DDS 에디터(310)는 DDS 에디터 애드인을 이용하여 편집된 문서의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편집할 수 있다(S306). 즉, 기저작된 슬라이드 간의 링크관계를 설정하여 위상관계를 새롭게 정립할 수 있다. 그리고는, DDS 에디터(310)는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갖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유효성을 체크하여 새로운 위상관계를 부여받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가 배포되는데 문제가 없는지 검증한다(S308). 만약, 검증결과 에러가 발견된 경우, 에러를 수정하고 다시 유효성을 검증한다. 이러한 과정은 에러가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증결과 에러가 발견되지 않으면, 해당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배포한다(S310). 이때, 유효성이 검증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슬라이드 쇼에 필요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배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의 변환은 슬라이드 내의 기본객체 및 배경은 이미지로 변환되고, 특수객체는 JSON으로 변환된다. 특히, 특수객체 중 픽처 또는 비디오의 경우, 이미지나 비디오 형태를 유지하면서 추출되어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DDS 에디터(310)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포된 슬라이드 쇼를 직접 실행할 수 있다(S312).
DDS 서버(320)는 DDS 에디터(310)로부터 변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S314). 이때, 동일 명칭으로 웹 서버 상에 위치한 기 배포되었던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 이전 버전의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 상의 배포 정보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함께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는, 수신된 슬라이드 JSON을 서버 경로에 복사하여 DDS 서버(320)가 지정한 특정 디렉토리에 슬라이드 JSON이 저장되도록 한다(S316). 이때, 서버 경로에 슬라이드 JSON뿐만 아니라 배경이미지 및 비디오 등이 함께 복사될 수 있다. DDS 서버(320)는 특정 디렉토리에 복사된 슬라이드 JSON, 배경이미지 및 비디오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예컨대, MySQL)에 등록하여 파일식별이 가능하게 한다(S318). 이를 통해, 등록된 프로젝트 정보를 기반으로 슬라이드 JSON 및 데이터베이스 내 각종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DDS 플레이어(330)가 요청하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여 응답할 수 있다.
DDS 플레이어(33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DDS 서버(320)에 슬라이드 JSON을 요청하고(S320), 슬라이드 플레이어를 로딩한다(S322). DDS 플레이어(330)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없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로딩된 슬라이드 플레이어를 재생하여 슬라이드를 표현할 수 있다(S324).
프로그램 설치 및 설정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솔루션(solution)의 패키지 설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다운 슬라이드 솔루션(DDS 솔루션)은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설정하여 슬라이드 간 계층관계를 갖도록 편집하기 위해 기설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예컨대, MS 파워포인트)에 플러그-인 설치되는 에디터 솔루션 및/또는 서버 기반 웹 콘텐츠 배포 솔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DS 에디터와 DDS 서버뿐만 아니라 및 DDS 플레이어도 모두 동일 시스템(PC, 휴대 단말 등)에 위치하며 패키지 설치 파일을 통해 일괄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DDS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DDS 솔루션을 설치할 경로를 설정한다(S410). 특별한 설정과정이 없다면, 디폴트 경로대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는, 설치될 구성요소를 선택한다(S420). 이때, 설치구성요소를 분류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선택사항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는 64-bit 인스톨(install), 32-bit 인스톨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설치 구성요소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구성요소에 대한 솔루션 설치를 진행한다(S430). 이때, 바탕화면에 단축 버튼("DrillDownPT")이 생성되도록 설정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당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DS 에디터가 DDS 서버 기능을 함께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DBMS 서비스 등록 옵션을 선택하여 DBMS 서버스까지 설치할 수 있다.
서비스 실행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DS 솔루션이 설치되면, PC 내 설치경로를 따라 DBMS 서비스 실행 파일(예컨대, mysqld.exe)을 실행한다(S510). 이때, 시작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컴퓨터 부팅과 동시에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 수동실행해야 하는데, 수동실행을 위한 접근경로로 이동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DBMS 서비스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는, 앞서 설치과정에서 바탕화면에 생성한 "DrillDownPT" 버튼을 선택하여 WAS 프로그램(예컨대, 톰캣)을 실행한다(S520). 만약, WAS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으면, 자바개발도구(JDK: JAVA Development Kit) 또는 자바실행도구(JRE: JAVA Runtime Environment)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설치가 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스템 환경변수가 "JAVA_HOME"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없으면 새로 등록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JAVA_HOME : [JDK 또는 JRE 설치 경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위 두 과정을 통해 서버 기반의 웹 서비스 구축은 된 것이다. 다만, 서버 기반 웹 서비스 기능에 추가적으로 에디터 기능을 부가하고자 할 때,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MS 파워포인트 등)을 실행하고(S530), "개발도구-추가기능"의 메뉴 이동을 통해 "새로 설치"를 클릭하여 추가기능으로 "DrillDownSlideShowAddin"을 설치함으로써 DDS 에디터를 설치할 수 있다(S540). DDS 에디터가 설치되면,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메뉴 바에 "DDS Editor"라는 별도의 메뉴 바가 생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토폴로지 편집에 따른 각종 부가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슬라이드 편집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DS 에디터(600)는 슬라이드 편집부(610), 슬라이드 토폴로지 편집부(620), 유효성 검증부(630), 콘텐츠 배포부(640) 및 스토리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DDS 에디터(600)를 포함하는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60) 및 디스플레이 패널(6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60)는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받는 구성요소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670)은 DDS 에디터(600)가 제공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DDS 에디터(600)와 DDS 서버 및/또는 DDS 플레이어가 하나의 장치에서 운영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660) 및 디스플레이 패널(670)은 상기 장치에 종속된 구성요소로 각 모듈과 관련하여 공동으로 이용가능한 구성요소이다.
슬라이드 편집부(610)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파일(예컨대, PPT 파일)을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편집하고 편집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스토리지(6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는 새로 생성되는 콘텐츠이거나 또는 스토리지(650)로부터 기존에 저장된 특정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즉, 기저장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불러와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660)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슬라이드 편집부(610)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슬라이드 편집(텍스트, 도형 등 삽입 및 편집)을 수행한다.
슬라이드 토폴로지 편집부(620)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 설정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통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편집한다. 즉, 슬라이드 토폴로지 편집부(620)는 DDS 솔루션에 의해 생성된 애드인 기능과 관련된 콘텐츠 편집동작을 수행한다. 슬라이드 토폴로지 편집부(620)는 링크객체와 슬라이드 간 링크관계를 형성 또는 해제하여 링크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스토리지(650)에 저장한다. 또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간 링크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메타정보(예컨대, 슬라이드 위상정보, 슬라이드 기본정보, 뷰 옵션 정보, 객체정보 등)를 디스플레이 패널(67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변경되는 상기 슬라이드 메타정보를 입력받아 스토리지(650)에 저장한다. 그리고, 변경된 내용에 대응되도록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수정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위상정보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간의 관계도를 나타내며, 수평적 위상정보뿐만 아니라 계층적 위상정보도 포함한다. 따라서, 슬라이드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슬라이드를 구분하여 특정 슬라이드의 상하위 슬라이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 쇼에서 설정된 계층정보에 맞게 줌인/줌아웃 컨트롤을 통해 식별된 상하위 슬라이드가 재생될 수 있도록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편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토폴로지 편집부(620)는 슬라이드의 위상관계를 기반으로 슬라이드의 구역을 기본구역과 서브슬라이드 구역을 나누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특수객체 정보를 입력받아 특수객체를 생성하고 특수객체 정보를 스토리지(65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수객체는 이벤트표시 객체, 픽처객체, 비디오 객체 및 테이블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성 검증부(630)는 기설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이 DDS를 위한 툴이 아니므로 사용자(605)가 의도한대로 편집된 내용이 유효한지 검증하고 검증결과로 도출된 오류를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유효성 검증부(630)는 유효성 검증 창을 통해 검증결과 로그를 디스플레이 패널(670)를 통해 표시하고, 에러보정을 위한 각 기능에 대응되는 에러수정 버튼을 표시하여 사용자(605)로부터의 에러 보정 요청에 대응되는 보정동작을 수행한다.
콘텐츠 배포부(640)는 저작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와 관련하여 편집된 슬라이드 데이터를 배포에 적합하게 준비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배포부(64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시, 현재 슬라이드 또는 전체슬라이드를 사용자(605)가 지정하는 경로에 JSON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 및 배포할 수 있다. 이때, 내부에 사용된 이미지나 비디오는 JSON 파일 내에 저장되지 않는다. 즉, 배경 및 객체는 이미지화되어 배경이미지로 변환하고, 특수객체 및 슬라이드 메타정보는 기본적으로 JSON 파일로 변환된다. 다만, 이미지나 비디오는 별도 파일로 저장되거나 또는 소스코드 정보를 비디오 소스에 복사하여 저장된다.
또한, 배포를 위해 슬라이드 정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Make Slide Guid" 버튼 클릭에 응답하여 최종 배포 전의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의 슬라이드의 GUID를 생성하고, "Align Slide Order" 버튼 클릭에 응답하여 슬라이드 순서를 정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포를 수행하기 위해 JSON 파일 생성 및 DDS 서버 등록을 모두 성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리지(650)는 기저작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슬라이드 메타정보 및 슬라이드 토폴로지가 정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JSON 파일 등을 저장한다. 특히, 각각의 속성에 대응하는 값들을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를 통해 제공되는 편집기능 관련 메뉴 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DS 에디터가 제공하는 DDS 에디터 솔루션의 기본적인 메뉴는 슬라이드 생성(710), 전체 슬라이드 정보 표시(720), 현재 슬라이드 정보 표시(730), 슬라이드 객체정보 표시(740), 슬라이드 크기 변경(750) 및 슬라이드 이미지 생성(760)과 연관된 메뉴를 포함한다.
먼저, 슬라이드 생성(710)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슬라이드가 생성된다. 이때, 메타데이터도 함께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되는 슬라이드는 해당 슬라이드의 위상관계를 기반으로 2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배치된다. 이는 최상위 레벨의 슬라이드가 배치되는 기본구역과 자신보다 상위레벨이 존재하는 하위 슬라이드들이 배치되는 서브링크 슬라이드 구역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2개 이상의 구역으로 슬라이드의 영역을 나눌 수 있다. 즉, 자신보다 상위레벨의 슬라이드가 둘 이상 있는 경우, 서브-서브 링크 슬라이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전체 슬라이드 정보 표시(720) 버튼을 클릭하면, 슬라이드의 토폴로지 정보, 슬라이드 프리뷰(preview), 슬라이드 속성 정보, 링크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창이 표시된다. 이는 도 8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화면에서 전체 슬라이드 정보 표시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슬라이드 정보 표시 창의 각 버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체 슬라이드 정보는 슬라이드 토폴로지(810), 슬라이드 트리 구조(820), 주요 기능 버튼(830), 슬라이드 프리뷰(850), 슬라이드 속성 정보(860) 및 링크 정보(87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토폴로지(810) 정보는 슬라이드 트리 구조(820)를 통해 전체 슬라이드 간의 위상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하나하나의 슬라이드들은 슬라이드 노드로 부를 수 있다. 슬라이드 토폴로지(810)는 상위 슬라이드는 트리 구조의 루트(root) 부분에, 하위 슬라이드는 연결된 상위 슬라이드의 가지(branch)를 치면서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특정 슬라이드 노드 하나(822: 슬라이드 8)를 클릭하면 해당 슬라이드의 미리보기 화면이 슬라이드 프리뷰(850)에 표시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리뷰를 보려면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해야 하는데, 이는 "Make Preview" 버튼을 클릭하면 생성된다. 프리뷰 이미지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와 동일한 경로에 생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속성 정보(860)는 해당 슬라이드(822)의 속성 값들을 표시한다. 속성 값에는 슬라이드가 최종 생성된 시간 정보, 좌표타입 정보, 슬라이드 GUID, 슬라이드 배경색 정보 등을 포함하는 기본속성 정보, 슬라이드 위상관계 정보, 표시 옵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는 이하 도 9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슬라이드 링크 정보(870)에는 해당 슬라이드(822)가 현재 링크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상위 슬라이드 및 하위 슬라이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주요 기능 버튼(830)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에 GUID를 새로 지정하기 위한 버튼(932), GUID가 없는 슬라이드에 GUID를 생성시키기 위한 버튼(834)(기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읽어온 경우 사용됨), 트리(820)에서 선택한 슬라이드(822)의 특수 객체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836), 트리(820)에서 선택한 슬라이드(822)에 대한 슬라이드 정보창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838) 및 현재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에 걸린 모든 링크들을 제거하고 초기화하기 위한 버튼(8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링크관계가 꼬여있는 경우, 초기화 버튼(840)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가서, 현재 슬라이드 정보 표시(730)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슬라이드의 메타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에 포함된 정보는 대부분 디폴트로 고정되어 있고, "UIElementUniqueName"(슬라이드의 GUID)만이 새롭게 생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GUID 외에는 거의 수정되지 않는다.
슬라이드 객체정보 표시(740)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슬라이드 내에 포함된 특수객체들의 리스트 정보가 표시된다.
슬라이드 크기 변경(750) 버튼을 클릭하면, 전체 슬라이드의 크기를 해상도 단위로 변경하는 창이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너비, 높이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정보에 맞게 슬라이드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너비 및 높이 비율에 대한 옵션을 제공하여(예컨대, 16:9 또는 4:3) 제공된 옵션 중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슬라이드 이미지 생성(760)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슬라이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내보낸다(export).
도 9는 슬라이드 정보 편집 창과 그 안에 포함된 슬라이스 위상 관계 정보에 따라 연관성을 갖는 각각의 슬라이드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속성 편집은 슬라이드 토폴로지 편집부(도 6 참조)의 슬라이드 정보 편집자(미도시)에서 수행한다. 이는 슬라이드 정보 편집창을 표시하고, 정보 편집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행된다.
슬라이드 정보 편집창은 슬라이드 기본속성 정보(910), 슬라이드 위상관계 정보(915) 및 표시 옵션(920: View Option) 정보를 포함한다.
먼저 기본속성 정보(910)에는 슬라이드가 최종 생성된 타임스탬프 정보, 좌표타입 정보, 슬라이드의 고유식별자(GUID: Globally Unique Identifier), 슬라이드 표시 식별자(Slide_1), 슬라이드 배경색 정보(SlideBgColor), 배경 샘플 사용 여부, 쿼리 시간, 슬라이드 너비(SlideWidth) 및 슬라이드 높이(SlideHeight) 정보 등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배경색은 [투명도, 색상값]으로 지정될 수 있고, 0~255의 범위 값으로 지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위상정보(915) 섹션은 위상관계를 지정하는 항목이다. 도 9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드(950)을 기준으로, 프레젠테이션의 첫 슬라이드를 나타내는 홈 슬라이드(932: HomeSlide), 상하관계에 있어서 최상위 슬라이드를 나타내는 최상위 슬라이드(930: TopSlide), 상위 슬라이드를 나타내는 부모 슬라이드(940: Parent_Slid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드(930)를 기준으로 이전 슬라이드(934: PrevSlide), 다음 슬라이드(936: NextSlid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하위 슬라이드의 경우, 이전 슬라이드 및 다음 슬라이드에 대한 값이 없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층의 슬라이드(930, 932, 934, 936)는 "기본 구역"에 위치하고 하위 층의 슬라이드들은 "서브 링크 슬라이드"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옵션(920) 섹션은 줌인/줌아웃 기능 및 패닝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Zoomable을 "true"로 하면 줌인/줌아웃 기능을 활성화하고, "false"로 하면 줌인/줌아웃 컨트롤이 되지 않는다. Pannable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true"로 하면 패닝 기능을 활성화하고, "false"로 하면 패닝 컨트롤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슬라이드의 링크를 삭제하기 위한 링크 제거 버튼(925)을 제공한다.
링크 객체의 생성 및 링크 관계 형성
도 10a 및 도 10b는 링크 객체를 통해 객체-슬라이드 간 링크 관계를 형성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는 상위 슬라이드(1010) 내의 하나의 링크객체(1012)와 하나의 하위 슬라이드(1020)가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0b는 상위 슬라이드(1050) 내의 복수 개의 링크객체(1052, 1054, 1056)와 복수 개의 하위 슬라이드(1060, 1062, 1064)가 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상위 슬라이드 하나와 하나의 하위 슬라이드가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상위 슬라이드 와 복수 개의 하위 슬라이드가 연결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쇼를 실행하는 경우, 도 10a의 실시예에서, 링크 객체(1012)를 줌인하면 하위 슬라이드(1020)가 표시된다.
도 10b의 실시예에서는 링크 객체(1052)를 줌인하는 경우 슬라이드(1060)가 표시되고, 링크 객체(1054)를 줌인하는 경우 슬라이드(1062)가 표시되며, 링크 객체(1056)를 줌인하는 경우, 슬라이드(1064)가 표시된다. 즉, 복수 개의 링크객체(1052, 1054, 1056)를 갖는 상위 슬라이드의 경우, 어느 링크객체를 기준으로 줌인 컨트롤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하위 슬라이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예컨대, 상위 슬라이드(1050)는 여러 도시를 포괄하는 국가 레벨의 슬라이드를 표시하고, 해당 슬라이드에 포함된 첫 번째 링크객체(1052)를 "서울"로 설정하고 이와 연결된 하위 슬라이드(1060)를 "서울"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로 연결하고, 두 번째 링크객체(1054)를 "부산"으로 설정하고 이와 연결된 하위 슬라이드(1064)를 "부산"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로 연결하며, 세 번째 링크객체(1056)를 "대전"으로 설정하고 이와 연결된 하위 슬라이드(1066)를 "대전"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로 연결하여 여러 객체와 관련된 슬라이드가 1대 1로 대응하여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설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도 10b의 실시예의 경우, 하위 슬라이드로의 연결은 줌인 컨트롤의 기준 링크객체에 종속되지만, 하위 슬라이드에서 상위 슬라이드로의 줌아웃은 링크객체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하나의 상위 슬라이드로 수행된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슬라이드와 슬라이드 간에 링크관계를 형성하여 특정 링크 객체를 통하지 않고 상위 슬라이드에서 직접 줌인 컨트롤을 통해 하위 슬라이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1은 링크 객체와 하위 슬라이드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2는 링크객체를 생성하여 하위 슬라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링크관계 생성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현재 슬라이드에서 하위 슬라이드와 연결할 링크객체를 생성한다(S1110). 이는 도 12의 "LinkObject" 버튼(120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LinkObject" 버튼(1202)을 클릭하면 현재 슬라이드(1210) 내에서 링크객체(1212)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편집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특정 객체의 속성을 변경하여 링크객체로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시 도 11로 돌아가서, 링크객체를 생성하고 나면, 링크 객체를 편집하여 링크영역을 정의한다(S1120). 즉, 링크객체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조정하여 하위 슬라이드와 링크가 걸릴 링크영역을 명확히 정의한다. 특히 배포 전에 유효성 검증을 통해 객체위치를 보정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보정을 실행하여 링크객체의 위치 정보를 배포되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메타정보와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는, 상기 링크 객체와 연결할 링크 슬라이드를 지정한다(S1130). 이는 도 12의 "LinkSubSSlide" 버튼(120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LinkSubSSlide" 버튼(1204)을 클릭하면, 서브 슬라이드 선택 창(1220)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연결할 슬라이드(1222)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슬라이드 선택 창(1220)은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전체에 포함된 각 슬라이드의 화면표시 이름과 슬라이드 GUID를 열거하여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은 "Select" 버튼(1224)은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때 "Make Preview"(1228)에서 슬라이드의 디자인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에 형성된 링크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Delete Link" 버튼(1226)을 클릭한다.
다시 도 11로 돌아가서, 연결할 하위 슬라이드를 선택하고 나면, 링크 관계를 확인한다(S1140). 이는 도 7의 전체 슬라이드 정보 표시 버튼(720: All SlideInfo)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전체 슬라이드 정보 표시 버튼(720)을 클릭하여 슬라이드 간 위상관계를 나타내는 슬라이드 트리를 확인할 수 있고, 여기에 연결하고자 하는 하위 슬라이드가 현재 슬라이드에 가지 노드로써 잘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전체 슬라이드 정보에서 링크 정보에서는 관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배치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슬라이드 배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최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기본 슬라이드는 기본 구역(1310)에 배치되고, 해당 슬라이드에서 새 슬라이드를 추가할 때, 자동으로 기본구역의 가장 마지막에 슬라이드가 생성된다. 또한, 하위 슬라이드로 존재하는 슬라이드도 링크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기본 구역(1310)에 가장 마지막으로 이동한다. 기본 구역(1310)에 배치되는 의미는 줌인/줌아웃 컨트롤이 없어도 기본구역(1310) 내에 배치된 슬라이드는 이전 및 다음 페이지 이동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위 계층의 슬라이드들은 서브 링크 슬라이드 영역(1320)에 위치한다. 만약, 기본 슬라이드도 링크관계가 형성되면서 하위 슬라이드가 되면 자동으로 이 구역(1320)으로 이동된다. 이 구역(1320)에 위치하는 슬라이드는 줌인/줌아웃 컨트롤이 없이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구역(1320)에 배치된 슬라이드는 링크관계를 적어도 하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치를 옮기는 등의 조작을 할 때 링크관계가 엉키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슬라이드의 위치를 임의로 옮겨 위상관계가 엉킨 경우, 전체 링크관계를 초기화한 후, 다시 링크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를 복사하여 붙여넣기한 경우에는, 복사된 슬라이드는 모두 기본구역 마지막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기본구역(1310)과 서브 링크 슬라이드 구역(1320)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지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새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기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로딩할 시에는 자동으로 위 2개의 구역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 두 개 구역 이외에 다른 구역(예컨대, 2 이상의 상위 계층을 갖는 서브-서브 링크 슬라이드 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객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슬라이드 내에 포함된 객체들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 및 추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에 포함되는 객체는 기본 객체(1410)와 특수 객체(1420)를 포함한다. 기본객체(1410)는 텍스트, 도형, 기본적인 표 등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정적인 객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본객체(1410)들은 슬라이드 배경과 함께, 이미지화되어 배포될 수 있다.
특수객체(1420)는 기본객체(1410)와 다른 특수 처리를 요구하는 객체들이다. 이러한 특수객체(1420)는 특수객체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통해 배포시에 기본객체(1420)와 다르게 취급될 수 있다. 특수객체(1420)가 식별되면 배경과 함께 이미지되지 않고 해당 객체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별도로 추출하여 JSON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특수객체(1420)에는 이벤트 표시 객체(1421), 링크 객체(1422), 픽처객체(1423), 비디오 객체(1424), 테이블 객체(1425) 및 챠트 객체(1426)가 포함될 수 있다.
이벤트 표시 객체(1421)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동적 표현을 포함하는 객체를 나타낸다. 이벤트 표시 객체(1421)는 특정 형태의 도형으로 표현되며, 내부에 텍스트와 동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동적 표현은 깜박임(blink)일 수 있다. 이는 도 1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링크 객체(1422)는 하위 슬라이드와 연결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객체이다.
픽처 객체(1423)는 주로 동적이미지(AniGIF)를 표현하는 객체이다. 즉, DDS 에디터에서 "PicObject" 버튼을 선택하여 이미지 파일선택 창을 띄우고, 현재 슬라이드에 추가하기 원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면 픽처객체(1423)가 생성된다. 이때, 픽처 객체(1423)는 원하는 크기와 위치로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포 전에 객체위치와 메타정보 상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비디오 객체(1424)는 웹 비디오 리소스 혹은 로컬 영역의 동영상 파일을 표현하는 객체이다. 이는 도 17a 및 도 17b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테이블 객체(1425)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제공하는 표가 아닌 외부 엑셀(MS Excel) 파일을 표현하는 객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는 엑셀 파일과 연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엑셀 파일을 지정하면 테이블 객체(1425)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챠트 객체(1426)는 표가 아닌 각종 그래프를 포함한 챠트 형태의 객체를 포함한다.
도 15는 특수객체의 객체 속성을 수정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객체 속성 정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상단 메뉴 바를 참조하면, DDS 에디터는 특수객체를 객체 속성정보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특수객체 중 이벤트 표시 객체, 링크객체 및 픽처객체는 관리 속성이 동일할 수 있다. 이는 "Object Property" 버튼(1510)을 통해 표시되고, 속성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5의 하단 창을 참조하면, 객체 속성은 객체 위치 속성(1520), 객체 고유값 속성(1522), 텍스트 박스 속성(1524), 최외곽 도형 속성(1526), 비콘(beacon) 속성(1528), 링크 슬라이드 속성(1530)을 포함한다.
객체 위치 속성(1520)은 객체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옵션이다. 이는 실제 편집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배포시에 여기에 정해진 값대로 저장될 수 있다.
객체 고유값 속성(1522)은 객체의 이름과 객체 ID를 포함한다. 객체 ID는 객체마자 새로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객체 ID는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체 ID의 생성은 "gen Guid"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텍스트 박스 속성(1524)은 텍스트의 위치, 색상, 캡션 등과 연관된 속성을 포함한다.
최외곽 도형 속성(1526)은 객체로 선택된 도형(예컨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의 배경색, 외곽선 스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는 속성 창에서 직접 값을 수정할 수도 있고, 그래픽으로 편집하여 수정할 수도 있다.
비콘(beacon) 속성(1528)은 이벤트에 따라 알람을 표시하는 속성이다. 즉, 특정 이벤트가 현재 발생됨을 표시하기 위한 동적 표현과 관련된 속성으로, "AlarmLampBlink" 속성을 "true"로 설정하면 깜박임이 표현된다. 이때 깜박임을 나타내는 도형의 형태, 깜박임의 주기, 색상, 위치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슬라이드에 여러 특수객체(예컨대, 이벤트표시 객체, 링크 객체, 픽처 객체 등)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 종류 식별자" 속성값을 중복되지 않게 지정하여 각 객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식별값을 갖도록 한다. 이는 기본객체에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객체의 종류를 식별하여 기본객체는 기본객체로 특수객체는 객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기본객체는 배경과 함께 이미지화되고, 특수객체는 그 종류에 따라 깜박임 처리, 동영상 재생, 테이블로 형상화하는 등 서로 다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링크 슬라이드 속성(1530)은 링크 객체와 연결할 슬라이드를 지정하는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링크 슬라이드의 GUID를 지정하여 링크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6은 사각형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사각형 객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객체 생성 메뉴 바에서 "RectObject" 버튼(1610)을 클릭하여 현재 슬라이드(1620) 내에 사각형 객체(162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기본 사각형 객체로 추가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원형, 삼각형, 타원형 등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다른 모양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상기 사격형 객체(1622)는 이벤트를 표시하기 위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표시 객체는 사각형 이외의 다른 모양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각형 객체(1622)는 최외곽 사각형(1630), 텍스트 박스(1632) 및 비콘 표시(1634)로 구성될 수 있다.
최외곽 사각형(1630)은 속성 창의 최외곽 사각형 관련 속성(1640)을 통해 그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윤곽선 모양을 실선 이외의 선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쇼에서는 윤곽선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채우기 없음"을 지정하면,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표현 속성은 앞서 설명한 도 15의 객체 속성 창에서 편집할 수도 있고, 그래픽으로 수정할 수도 있다.
텍스트 박스(1632)는 속성 창의 텍스트 박스 관련 속성(1650)을 통해 그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처음에는 텍스트가 없지만 객체 속성에서 "TitleCaption"을 수정하면 텍스트가 표시된다. 표현되는 텍스트 크기는 폰트(Font) 사이즈에 의존하지 않고 텍스트 박스 크기에 맞춰 표현될 수 있다.
비콘 표시(1634)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동적 표현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는 깜박임, 색상변화, 형태 변화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깜박임을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표시할 수도 있고, 제 1 색상에서 제 2 색상으로, 또는 제 3 색상으로 색상이 변화함을 통해 이벤트 발생을 통지할 수도 있다. 또는 형태 변화를 통해 이벤트 발생을 표시할 수도 있다. 비콘 표시(1634)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객체 속성 창의 비콘 표시 관련 속성(1660)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AlarmLampBlink" 속성(1662)을 "true"로 설정하여 깜박임을 표현할 수 있다. 반대로 "false"로 설정하면 깜박임이 표현되지 않는다. 이는 콘텐츠 배포 후 DDS 플레이어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재생할 때도 역시 동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객체 및 픽처 객체에서도 비콘 표현이 가능하다.
도 17a는 웹 기반의 비디오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웹 기반의 비디오 객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비디오 객체를 추가하기 위한 버튼(도 16의 상단 도면에서 "VideoObject" 버튼)을 선택하면, 현재 슬라이드에 기본 객체가 생성되고 이와 동시에 비디오를 지정하기 위한 속성 창이 표시된다.
이때, 옵션에서 웹 비디오를 선택하면 웹(예컨대, 유튜브(YouTube) 상에서 재생할 비디오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는 재생할 비디오에 대한 처리와 관련된 창(1720)을 띄워 소스 코드 복사(1722)를 실행하여 찾은 비디오의 리소스를 복사한다. 리소스를 복사한 후에는 DDS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로 돌아와서 비디오 소스란(1724)에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기하여 웹 상의 비디오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리소스를 붙여넣은 후, <IFrame>의 너비 및 폭 값을 수정하여 그 크기 및 해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Preview Video"(1710)를 실행하면 비디오를 미리보기할 수 있다. 이때, 장치는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여야 한다.
도 17b는 로컬영역의 비디오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로컬영역의 비디오 객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b를 참조하면, 비디오 객체를 추가하기 위한 버튼(도 16의 상단 도면에서 "VideoObject" 버튼)을 선택하여 비디오 객체를 생성하면서 비디오 객체 속성창을 표시한 후, "파일 선택"(1730)을 선택하면 해당 장치의 로컬 영역에 존재하는 비디오를 슬라이드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Select Video" 버튼(1732)을 클릭하여 비디오 객체에 연결할 파일을 선택하면 인코딩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인코딩된 파일은 웹 서버상에 설치된다. 인코딩이 완료되고 나면, 비디오 소스 상에 재생가능한 HTML 태그(1734)가 자동생성된다. 이를 통해 콘텐츠 배포 후에도 웹 서버를 통해 로컬 영역의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8은 테이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뉴 바와 상기 메뉴 바를 통한 DDS 에디터의 테이블 객체 편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객체 생성 메뉴 바에서 "ExcelTable" 버튼(1810)을 선택하여 외부 테이블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외부 테이블 파일은 MS 엑셀 파일을 포함한다. 엑셀 파일을 지정하면 테이블 객체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생성된 테이블 객체는 디폴트로 설정된 기본적인 스타일(예컨대, 검정 윤곽선, 투명 바탕의 테이블)로 구현된다. 이때,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의 표 도구-디자인 탭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다양한 스타일 편집이 가능하다. 즉, DDS 에디터의 애드인에도 불구하고 기설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자연스러운 연동이 가능하다.
유효성 검증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유효성 검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DDS 에디터는 설정된 슬라이드 토폴로지를 갖는 DDS 프리젠테이션 콘텐츠가 유효한지 검증한다. 이는 기설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저작 애플리케이션이 본래 DDS를 위한 툴이 아니므로 의도한 결과를 얻기 위해, 편집된 내용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DDS 에디터는 먼저, 프리젠테이션의 GUID 및 슬라이드의 GUID의 생성 및 중복 여부를 확인한다(S1910). 특정 프리젠테이션 및 슬라이드의 GUID가 없거나 또는 동일한 GUID를 서로 다른 프리젠테이션 및 슬라이드 중복으로 가지고 있다면 이 검토과정에서 에러가 검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객체 ID의 중복 여부를 확인한다(S1920). 객체 ID도 객체마다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이므로, 중복된 객체 ID를 갖는 객체들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간 링크 유효성을 확인한다(S1930). 이는 슬라이드의 메타정보와 링크객체 생성시 선택된 하위 슬라이드의 동일성 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링크관계 성립 이후, 하위 슬라이드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또는 복사되어 타 위치에 붙여넣기가 수행되는 경우, 슬라이드 메타정보와 링크객체의 서브슬라이드의 동일성(identity)이 성립되지 않아 링크관계가 불명확해지고, 따라서 링크관계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다.
더욱이, 비디오 객체의 비디오 리소스 연결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한다(S1940). 비디오 객체는 로컬영역의 비디오 파일 및 웹 기반의 비디오 리소스를 연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연결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또한, 객체의 위치와 위치 메타정보간 동기 여부 확인을 수행한다(S1950). 객체의 실제위치와 메타정보 상의 위치가 다른지 확인하여, 위치가 다르다고 판단되면 에러발생을 알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슬라이드 위상정보가 적절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S1960). 즉, 기본 슬라이드는 기본구역에, 하위 슬라이드는 서브링크 슬라이드 구역에 위치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는 슬라이드의 "복사 & 붙여넣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에디터의 유효성 확인 및 오류 수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해당 페이지에서 유효성 검증을 실행시키는 버튼은 버튼(2020)이다. 버튼(2020)을 선택하면, 도 19의 유효성 검증 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 결과가 검증 결과 로그(2010) 란에 표시된다. 여기에는, 총 몇 개의 오류가 발견되었는지, 슬라이드/프리젠테이션 ID 중복 또는 생략 체크, 링크관계 체크, 비디오 링크 확인, 객체위치 확인 및 토폴로지 유효성 체크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검증 결과에 따라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다수의 실행명령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들(2030)이 준비될 수 있다.
먼저, 유효성 검증 결과 링크 관계에 대한 오류가 발견되는 경우, "Open All Slideinfo" 버튼(12031)을 선택하면 슬라이드의 메타정보와 링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링크객체와의 연결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Make Presentation Guid" 버튼(2033)을 선택하면 프리젠테이션의 GUID를 생성한다. "Make Slide Guid" 버튼(2035)을 선택하면 현재 슬라이드 GUID가 없는 슬라이드의 GUID를 생성한다.
또한, 배포 전 슬라이드 정리 작업 중 슬라이드의 위상정보가 불명확한다고 판단됨 경우, "Align Slide Order" 버튼(2037)을 선택하여 슬라이드 메타정보 중 위상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드와 링크객체와의 링크관계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슬라이드가 이동한 경우, 이동된 슬라이드에 대한 슬라이드 이름을 다시 부여하여 슬라이드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슬라이드와 다음 슬라이드가 명확히 지정되지 않은 경우, 현재 슬라이드의 배치를 기반으로 이를 지정하여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Set Object Position" 버튼(2039)을 선택하면, 객체의 실제위치와 메타정보 상의 위치값을 매칭시킨다. 이 기능은 이벤트 표시 객체, 링크객체, 비디오 객체 등 특수객체가 슬라이드 쇼 중에 제 위치에서 표현되도록 하는데 중요하다. 객체들에 대한 위치뿐 아니라 객체의 속성을 정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오류 수정 후에는 다시 한번 더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류 보정 페이지를 통한 오류 수정 이후, 자동으로 오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쇼 조작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시스템의 슬라이드 쇼 기본조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a를 참조하면, 키보드 상의 키(key)를 통한 조작을 설명한다. 슬라이드가 이동을 제어하는데, 좌측 화살표와 페이지업(PageUp)은 동일하게 다음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측 화살표와 페이지다운(PageDown)은 이전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계층적 이동에 있어서, 상위 방향 화살표는 상위 슬라이드로 하위 방향 슬라이드는 하위 슬라이드로 이동한다. 홈 키는 홈 슬라이드, 즉 최초 슬라이드로 이동하고 엔터는 슬라이드 화면 맞추기 기능을 수행한다.
도 21b를 참조하면, 마우스를 통해 슬라이드 조작을 설명한다. 줌인(Zoom-in) 동작을 통해 상위 슬라이드에서 하위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조작이 가능하다. 반대로 줌아웃(Zoom-out) 동작을 통해 하위 슬라이드에서 상위 슬라이드로 이동하는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마우스 패닝을 통해 뷰의 이동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면에 표시되는 버튼 조작과 관련하여, 버튼 선택을 통해 슬라이드 화면 맞추기를 비롯해,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최상위 슬라이드(Top slide), 홈 슬라이드로의 이동을 실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한 슬라이드 쇼 재생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플레이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슬라이드 쇼를 재생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로컬 장치(예컨대, 에디터, 서버가 포함된 PC)와 네트워크로 연결가능한 다른 장치 또는 PC에서 슬라이드 쇼를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레이어는 커맨드 창에서 ipconfig를 실행하여 현재 PC 네트워크 주소를 확인한다. 또한, 현재 실행 중인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이름을 확인한다.
그리고는, 상기 다른 장치 또는 PC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다(도 22b 참조). 그리고는, 확인된 네트워크 주소로 http 기반의 IP 주소를 입력한다. 이때, 입력하는 주소는 상기 확인된 IP 주소 및 프리젠테이션 이름(2210)을 포함한다. 이때 포함되는 프리젠테이션 이름(2210)에는 반드시 파일이름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해당 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가 포함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주소로 네트워크 접속하면, 상기 다른 장치 및 PC는 해당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쇼 관련 데이터를 서버 및/또는 외부 동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출한다.
이때, 같은 네트워크 망이 아닌 경우에는 공인 IP나 도메인 네임(Domain Name)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접속을 하지 못하는 경우, 현재 장치의 방화벽을 확인하여 접속 포트를 열어주거나 방화벽 기능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DS 서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DS 서버(2300)는 데이터 수신부(2310), 데이터 삭제부(2320), 데이터 복사부(2330), 정보 등록부(2340), 데이터베이스(2450) 및 슬라이드 배포부(2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데이터 수신부(2310)는 슬라이드 쇼에 필요한 데이터를 DDS 에디터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되는 데이터는 콘텐츠 내의 기본객체 및 배경을 이미지화한 배경 이미지와 특수 객체 관련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수 객체 관련 데이터는 특수객체의 종류에 따라 JSON, 이미지 및 비디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JSON은 슬라이드 메타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삭제부(2320)는 데이터 수신부(2310)에서 수신한 데이터와 동일한 명칭으로 웹 서버 상에 위치한 기배포되었던 슬라이드 쇼 데이터를 삭제하여 이전 버전의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340) 상의 배포 정보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삭제한다.
데이터 등록부(2330)는 수신된 데이터를 특정 폴더에 복사하여 저장하면서 데이터베이스(2340)에 해당 데이터의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340)는 배경이미지, JSON 데이터 및 비디오/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데이터 및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저정한다. 그리고, DDS 플레이어(2305)로부터의 접속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슬라이드 배포부(2350)로 반환한다.
슬라이드 배포부(2350)는 DDS 플레이어(2305)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한다. 슬라이드 배포부(2350)는 프리젠테이션 이름 및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DDS 플레이어(2305)로부터의 IP 접속 주소에서 프리젠테이션 이름을 추출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340)에서 인출하여 DDS 플레이어(2305)에 제공한다. 이때, DDS 플레이어(2305)가 동일 네트워크인 경우,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고 동일 망이 아닌 경우에는 공인 IP나 도메인 네임을 통해 제공한다.
DDS 플레이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다운 슬라이드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DS 플레이어(2400)는 슬라이드 요청부(2410), 슬라이드 로딩부(2420) 및 슬라이드 재생부(2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요청부(2410)는 DDS 서버(2405)에 슬라이드 데이터를 요청한다. 이때 네트워크를 통한 슬라이드 요청은 접속하는 네트워크 주소 및 재생하고자 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로딩부(2420)는 DDS 서버(2405)로부터 요청된 슬라이드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데이터를 수신한다. 슬라이드 데이터는 배경이미지, JSON 데이터 및 로컬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웹 비디오 리소스는 DDS 서버(2405)가 아닌 외부 동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슬라이드 재생부(2430)는 로딩된 슬라이드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재생한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배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가 정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보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웹(web)을 통해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웹을 통해 배포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내의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슬라이드 표시 부분을 배경으로 이미지화하는 단계;
    상기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 1 형태의 슬라이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배경 이미지와 상기 제 1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토폴로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위상관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제 1 슬라이드 및 제 2 슬라이드 간의 계층적 위상관계를 포함하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웹 기반 배포 서비스 제공을 위해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서비스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와 연관된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태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을 포함하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객체 중 픽처 객체 및 로컬 비디오 파일과 연관된 비디오 객체는 추출하여 각각 영상 및 비디오 형태를 유지하면서 서버에서 보유하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메타정보도 상기 제 1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서버에 저장되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7. 드릴-다운 슬라이드(DDS: Drill-Down Slide)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배포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토폴로지(slide topology)를 설정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내에 포함된 슬라이드들 간의 위상관계가 정의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보유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웹(web)을 통해 배포하는 슬라이드 배포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배포부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슬라이드 내의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슬라이드 표시 부분을 배경으로 이미지화하며;
    상기 특수객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제 1 형태의 슬라이드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리고
    배경 이미지와 상기 제 1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를 위한 서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에디터;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재생하는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를 위한 서버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에디터로부터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를 수신하여 보유하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콘텐츠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며,
    상기 에디터, 상기 서버 장치 및 상기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를 위한 서버 장치.








KR1020190058135A 2019-05-17 2019-05-17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KR10201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135A KR102014501B1 (ko) 2019-05-17 2019-05-17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135A KR102014501B1 (ko) 2019-05-17 2019-05-17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55A Division KR102014500B1 (ko) 2018-02-28 2018-02-28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501B1 true KR102014501B1 (ko) 2019-08-27

Family

ID=6780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135A KR102014501B1 (ko) 2019-05-17 2019-05-17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5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762A (ja) * 1999-10-06 2001-04-20 Sony Corp 文書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KR20140043394A (ko) * 2011-06-15 2014-04-0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콘텐트 파일을 제시하는 맞춤 객체 생성 기법
JP2016526238A (ja) * 2013-06-06 2016-09-01 マイクロソフト テクノロジー ライセンシング,エルエルシー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スライドを編成するための自動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9762A (ja) * 1999-10-06 2001-04-20 Sony Corp 文書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録媒体
KR20140043394A (ko) * 2011-06-15 2014-04-0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콘텐트 파일을 제시하는 맞춤 객체 생성 기법
JP2016526238A (ja) * 2013-06-06 2016-09-01 マイクロソフト テクノロジー ライセンシング,エルエルシー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スライドを編成するための自動化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65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a visualization platform
US80869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visual representation of device fonts
CN114035773B (zh) 一种基于配置的低代码开发表单方法、系统及装置
US9817811B2 (en) Web server system, dictionary system, dictionary call method, screen control display method, and demonstration application generation method
US20080209572A1 (en)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Management Server
US20120266131A1 (en) Automatic program gener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229920B1 (en) Compound undo/redo manager for mixed model edits
CN114510231A (zh) 应用构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73563B2 (ja) ウェブサイト構築システム用の構成可能なアプリケーションの作成および処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250052A1 (en) Repopulating a database with document content
US20090077462A1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and document processing method
CN111104123A (zh) 应用程序的自动部署
Anderson et al. Pro business applications with silverlight 4
KR102014500B1 (ko)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CA2686367A1 (en) Dynamic native editor code view facade
KR101552914B1 (ko) 웹 서버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장치와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6692289B2 (ja) 画面情報生成装置、画面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Sarkis et al. A multi-screen refactoring system for video-centric web applications
US10114617B2 (en) Rapid visualization rendering package for statistical programming language
KR102014501B1 (ko)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장치, 드릴-다운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및 드릴-다운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배포 및 재생 시스템
KR100261265B1 (ko) 웹 문서 저작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081451B1 (ko) 근거리 네트워크와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방법,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JP2004342061A (ja) 画面とコンポーネント間のリンクを使用した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の開発方法および開発支援装置
Allana ASP. NET jQuery Cookbook
JP2009223882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