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153B1 -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153B1
KR102014153B1 KR1020170091845A KR20170091845A KR102014153B1 KR 102014153 B1 KR102014153 B1 KR 102014153B1 KR 1020170091845 A KR1020170091845 A KR 1020170091845A KR 20170091845 A KR20170091845 A KR 20170091845A KR 102014153 B1 KR102014153 B1 KR 10201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karaoke device
additional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902A (ko
Inventor
양태식
Original Assignee
양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식 filed Critical 양태식
Priority to KR102017009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자체 제작된 콘텐츠(UCC)를 업로드받는 단계; (b)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상기 노래방 기기로 제공시, 상기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싱크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는 프로바이더에 의해 공급된 콘텐츠를 단순히 소비하는데 그치지 않고,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생산하고 이를 타인과 공유하기 수월해졌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유튜브 등의 외부 서버에 올리기 위해, 사용자는 각각의 외부 서버에 일일이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외부 서버에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올리더라도 노래방 기기를 통해 이를 자체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가 구비되지 않아 재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01) 특허출원 제10-2009-001512호(2009.01.09.)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복수의 외부 플랫폼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복수의 외부 플랫폼에 일일이 회원 가입하는 번거로운 절차 없이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복수의 외부 플랫폼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사용자로부터 자체 제작된 콘텐츠(UCC)를 업로드받는 단계; (b)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상기 노래방 기기로 제공시, 상기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싱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가사 데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싱크 데이터는 상기 가사 데이터의 음절 단위 타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상기 부가 콘텐츠에 포함된 타임 라인을 이용하여 콘텐츠 전체 재생 시간과의 차이가 최소인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를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각기 상이한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방 기기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의 조작 신호에 따라 서버로 UCC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 요청에 상응하여 등록된 UCC 리스트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된 UCC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UCC를 선택받고, 선택된 UCC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UCC 정보에 상응하는 UCC 및 상기 UCC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UCC와 연관된 싱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복수의 외부 플랫폼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자체 제작된 콘텐츠(UCC)를 업로드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등록부; 및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게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상기 노래방 기기로 제공시, 상기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콘텐츠 유통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싱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를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하는 경우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광고를 콘텐츠에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복수의 외부 플랫폼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사용자가 복수의 외부 플랫폼에 일일이 회원 가입하는 번거로운 절차 없이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복수의 수단을 통해 유통시키고, 각 특성에 맞도록 광고를 콘텐츠와 함께 제공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연결된 노래방 기기에서 UCC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자체 제작한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업로드 받은 후 이를 유튜브 등의 지정된 채널에 게시하고, 한편으로 노래방 기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UCC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UCC와 싱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가 데이터를 함께 노래방 기기로 제공하여 노래방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곡(반주)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CC와 가사 데이터가 함께 서비스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10) 및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110)는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UCC)를 업로드받은 후 이를 유통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콘텐츠를 유통시킴에 있어, 서버(11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형태 그대로 유통시킬 수도 있으며,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여 신규 콘텐츠를 재생산하고 재생산된 신규 콘텐츠를 유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외부 서버(미도시, 예를 들어, 유튜브)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할 수 있다. 이후, 서버(110)는 외부 서버(110)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콘텐츠가 게시된 이후 타인에 의해 해당 콘텐츠가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 함에 따라 발생된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와 분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게시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게시하고자 하는 포탈 서버, 온라인 마켓 또는 외부 플랫폼 서버에 모두 회원 가입하는 절차를 선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야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를 이용하는 경우, 단 한번의 콘텐츠 업로드만으로 서버(110)가 외부 서버에 지정된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자동으로 게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번거롭게 모든 사이트 또는 서버에 회원 가입하는 절차 없이 제작한 콘텐츠를 게시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120)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120)로부터의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해당하는 노래방 기기(120)로 각각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120)로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노래방 기기(120)에서 요청된 콘텐츠와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요청된 콘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콘텐츠는 예를 들어, 가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콘텐츠는 가사 데이터의 각 음절 단위로 타임 라인을 가지는 싱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노래방 기기(120)는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며, 부가 콘텐츠에 포함된 싱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와 싱크를 맞춰 가사 데이터를 재생된 콘텐츠에 중첩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120)는 서버(110)와 연결되며, 노래방 기기(12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서버(110)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는 서버(110)를 통해 해당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서버(110)는 해당 콘텐츠를 외부 채널(예를 들어, 유튜브)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특정 노래방 기기(120)를 통해 해당 콘텐츠가 요청되면, 해당 특정 노래방 기기(120)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여 노래방 기기(120)를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UCC를 서버(110)에 등록한 후 서버(110)를 통해 외부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하여 유통시킴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120)에서 소비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210에서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업로드받는다. 여기서, 콘텐츠는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UCC)일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업로드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에 있어, 서버(11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더 입력받아 해당 콘텐츠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서버(110)는 해당 콘텐츠 업로드 후 콘텐츠가 외부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된 후 다른 사용자에 의해 해당 콘텐츠에 달린 댓글 등에서 특정 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 콘텐츠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215에서 서버(110)는 업로드된 콘텐츠를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한다.
물론, 서버(110)는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미리 지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지정된 포맷으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서버(110)는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해당 콘텐츠를 게시하는 경우 디코딩하여 게시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120)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해당 특정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UCC일 수 있다.
단계 225에서 서버(110)는 요청에 따른 특정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 이때, 서버(110)는 추출된 특정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함께 추출할 수 있다.
물론, 특정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부가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상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경우, 서버(110)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요청된 특정 콘텐츠, 해당 특정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부가 콘텐츠에 포함된 타임 라인을 이용하여 콘텐츠 전체 재생 시간과의 차이가 최소인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자체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일 수 있으며, 반주 콘텐츠일 수도 있다.
또한, 부가 콘텐츠는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며, 가사 데이터의 음절 단위로 타임 라인을 가지는 싱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특정 노래방 기기로부터 특정 콘텐츠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해당 콘텐츠가 동영상 콘텐츠인 경우, 곡 정보를 더 포함하는 요청을 특정 노래방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10)는 요청에 따라 특정 콘텐츠와 곡 정보에 따른 반주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추출하여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10)는 곡 정보에 따른 부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서버(110)는 추출된 특정 콘텐츠 및 이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특정 노래방 기기는 서버(110)로부터 제공된 특정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된 특정 콘텐츠와 일부 중첩하여 부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세히 설명되고 있지 않으나, 서버(110)는 이와 같이 외부 플랫폼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유통하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를 통해 특정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으며, 유통에 따른 수익 배분을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하거나 특정 노래방 기기를 통해 유통시킴에 있어, 특정 광고를 콘텐츠의 일부 영역에 중첩하여 추가하여 유통시킬 수도 있다. 이때, 서버(110)는 콘텐츠를 유통하는 곳의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광고를 콘텐츠에 삽입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튜브의 특정 채널에 콘텐츠를 게시하는 경우와 특정 노래방 기기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서로 상이한 광고를 삽입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110)는 각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으며,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해당 노래방 기기가 설치된 지역 정보에 대한 정보가 사전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서버(110)는 특정 노래방 기기로부터의 해당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요청에 포함된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에 따른 지역 정보와 요청이 수신된 날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광고를 추출하여 각 노래방 기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서버(110)는 노래방 기기가 설치된 지역, 콘텐츠를 요청한 날짜(월, 평일, 주말, 공휴일 등), 시간(오전, 오후, 저녁, 새벽 등)에 따라 각기 상이한 광고를 콘텐츠에 삽입하여 노래방 기기로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유통에 따른 광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10)는 통신부(310), 등록부(315),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 수익 분배부(325), 메모리(330) 및 프로세서(3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외부 서버, 노래방 기기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등록부(315)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체 제작한 콘텐츠를 업로드받기 위한 수단이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자체 제작된 콘텐츠는 동영상 콘텐츠일 수도 있으며 반주를 포함하는 반주 영상에 대한 콘텐츠일 수도 있다.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업로드된 콘텐츠를 복수의 수단을 통해 유통시키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콘텐츠를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는 지정된 채널로 콘텐츠를 게시함에 있어, 특정 광고를 삽입하여 해당 콘텐츠를 지정된 채널로 게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는 특정 노래방 기기로부터 콘텐츠 정보 및 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콘텐츠 정보 및 곡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는 추출된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함께 노래방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는 콘텐츠에 상응하는 부가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해당 콘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과 부가 콘텐츠의 싱크 데이터간의 시간 차이가 가장 최소인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콘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는 해당 콘텐츠 및 부가 콘텐츠를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함에 있어, 광고를 콘텐츠에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다.
수익 분배부(325)는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에 의해 유통된 콘텐츠에 의해 발생된 수익을 집계하고, 이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모리(3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 이 과정에서 파생된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3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310), 등록부(315), 콘텐츠 유통 관리부(320), 수익 분배부(325), 메모리(33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연결된 노래방 기기에서 UCC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노래방 기기(120)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따라 UCC 검색 요청을 서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UCC는 특정 곡에 대한 동영상일 수도 있으며, 반주를 포함하는 반주 영상일 수도 있다.
단계 415에서 노래방 기기(120)는 서버로부터 UCC 검색 요청에 상응하는 당해 서버(110)에 등록된 UCC 리스트를 제공받아 출력한다.
노래방 기기(120)는 UCC 검색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상태에서 서버(110)로부터 일정 개수의 UCC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여 UCC를 검색하는 경우, 노래방 기기(120)를 서버(110)로부터 해당 특정 키워드에 상응하는 UCC 리스트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420에서 노래방 기기(120)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 신호에 따라 표시된 UCC 리스트에 포함된 UCC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다.
단계 425에서 노래방 기기(120)는 선택된 UCC에 대한 정보(이하, UCC 정보라 칭함)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을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110)는 해당 요청에 따라 UCC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UCC 및 해당 UCC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노래방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430에서 노래방 기기(120)는 UCC 정보에 상응하는 UCC 및 UCC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제공받아 출력한다. 이때, 부가 콘텐츠는 가사 데이터로 UCC에 연관된 싱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데이터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사 데이터의 음절 단위로 타임 라인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래방 기기(120)는 부가 콘텐츠가 음절 단위의 타임 라인을 가지고 있으므로, UCC에 대해 템포가 조절되는 경우, 조절된 템포에 상응하여 음절 단위의 타임 라인을 변경함으로써 UCC와의 싱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되고 있지 않으나, 서버(110)는 UCC 및 부가 콘텐츠를 노래방 기기로 제공함에 있어 광고를 UCC에 삽입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10: 서버
120: 노래방 기기

Claims (9)

  1. (a) 서버의 등록부가 사용자로부터 자체 제작된 콘텐츠(UCC)를 업로드받는 단계;
    (b) 상기 서버의 콘텐츠 유통 관리부가 사용자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가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로부터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가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상기 노래방 기기로 제공시, 상기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콘텐츠를 상기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하는 단계와 상기 노래방 기기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가 각기 상이한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삽입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서버의 수익 분배부가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에 의해 상기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 및 상기 노래방 기기로 유통된 상기 콘텐츠에 의해 발생된 수익을 상기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등록부는,
    상기 (a)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와 매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에 게시된 상기 콘텐츠에 달린 댓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와 매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싱크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 데이터는 상기 가사 데이터의 음절 단위 타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상기 부가 콘텐츠에 포함된 타임 라인을 이용하여 콘텐츠 전체 재생 시간과의 차이가 최소인 상기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노래방 기기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템포가 조절되는 경우, 조절된 템포에 상응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에 포함된 타임 라인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와의 싱크를 조절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의 수신시 상기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에 따라 각기 상이한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삽입하여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에 따른 노래방 기기 설치 지역 정보,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된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이한 광고를 상기 노래방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된 날짜 정보는 월, 평일, 주말 및 공휴일로 구분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된 시간 정보는 오전, 오후, 저녁 및 새벽으로 구분되고,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에 게시된 상기 콘텐츠가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을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제품.
  6. 사용자로부터 자체 제작된 콘텐츠(UCC)를 업로드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등록부;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게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노래방 기기로부터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상기 노래방 기기로 제공시, 상기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상기 콘텐츠와 상기 추출된 부가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콘텐츠 유통 관리부; 및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에 의해 상기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 및 상기 노래방 기기로 유통된 상기 콘텐츠에 의해 발생된 수익을 상기 콘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수익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콘텐츠와 매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에 게시된 상기 콘텐츠에 달린 댓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와 매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부가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싱크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 데이터는 상기 가사 데이터의 음절 단위 타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에 연관된 부가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상기 부가 콘텐츠에 포함된 타임 라인을 이용하여 콘텐츠 전체 재생 시간과의 차이가 최소인 상기 부가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노래방 기기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템포가 조절되는 경우, 조절된 템포에 상응하여 상기 부가 콘텐츠에 포함된 타임 라인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와의 싱크를 조절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를 지정된 채널을 통해 게시하는 경우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 노래방 기기로 제공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광고를 콘텐츠에 삽입하여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의 수신시 상기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에 따라 각기 상이한 광고를 상기 콘텐츠에 삽입하여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유통 관리부는 상기 노래방 기기의 식별 정보에 따른 노래방 기기 설치 지역 정보,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된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이한 광고를 상기 노래방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된 날짜 정보는 월, 평일, 주말 및 공휴일로 구분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된 시간 정보는 오전, 오후, 저녁 및 새벽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익 분배부는 상기 외부 서버의 지정된 채널에 게시된 상기 콘텐츠가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익을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91845A 2017-07-20 2017-07-20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845A KR102014153B1 (ko) 2017-07-20 2017-07-20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845A KR102014153B1 (ko) 2017-07-20 2017-07-20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02A KR20190009902A (ko) 2019-01-30
KR102014153B1 true KR102014153B1 (ko) 2019-10-21

Family

ID=6527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845A KR102014153B1 (ko) 2017-07-20 2017-07-20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701A (ko) * 2000-04-11 2001-11-07 양성철, 김봉수 인터넷을 이용한 가라오케 서비스 방법
KR20090001512A (ko) 2007-04-23 2009-01-09 (주)에스엠브라보 유알엘을 이용한 노래방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1294B1 (ko) * 2007-07-27 2009-08-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노래방 기기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55847B1 (ko) * 2012-11-14 2015-09-30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검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02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31046A (ja) マルチスレッド・スマートルーティングメディア用の相互運用可能なデジタル・ソーシャル・レコーダと、暗号資産のコンプライアンスおよび支払い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104843B2 (en) Providing content items from alternate sources
US20130238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on and Networking of at Least Artists, Performers, Entertainers, Musicians, and Venues
US20190130033A1 (en) Acquiring, maintaining, and processing a rich set of metadata for musical projects
JP2004185456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
US20140245167A1 (en) Providing Content Monitoring Information to User Devices
KR102014153B1 (ko)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29725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재생 로그를 이용하여 개인화 된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9684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10109850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36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592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53762A (ko)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KR20210120648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97362B1 (ko)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17730A (ko) Tts 기능을 구비하는 매장 맞춤형 음악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24003827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personalized video clips for songs using a pool of short videos
US20140376891A1 (en) System for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performers generate corresponding performances
KR20210109849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9836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20210109833A (ko) 기록매체
KR20160025676A (ko) 개인방송 기반 광고 중개 장치 및 방법
KR20150111524A (ko)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20598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634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