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047B1 -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047B1
KR102014047B1 KR1020190038252A KR20190038252A KR102014047B1 KR 102014047 B1 KR102014047 B1 KR 102014047B1 KR 1020190038252 A KR1020190038252 A KR 1020190038252A KR 20190038252 A KR20190038252 A KR 20190038252A KR 102014047 B1 KR102014047 B1 KR 10201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web
app
search data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윤
Original Assignee
백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윤 filed Critical 백종윤
Priority to KR102019003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047B1/ko
Priority to PCT/KR2019/013915 priority patent/WO20202042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은,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입력모듈; 상기 검색어정보에 대한 웹 검색엔진 검색 결과인 웹 검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검색모듈; 상기 검색어정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인 앱 검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앱 검색모듈; 상기 웹 검색 데이터 및 상기 앱 검색 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동시 출력하는 결과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INTEGR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 검색 및 앱 검색의 데이터를 하나의 유저단말을 통해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검색이란 집합적인 정보로부터 원하는 내용과 관련이 있는 부분을 얻어 내는 행위를 일컫는다. 여기서, 자동화된 정보 검색 시스템은 소위 "정보 과부화"라 불리는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많은 대학 및 공공 도서관들이 보유 서적 및 저널 등 각종 문서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정보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러한 웹 검색 엔진은 일상적으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 검색 시스템 중 하나이다.
나아가, 정보 검색 시스템에 대하여 다수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시스템을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하나의 질의문으로 동시에 검색하고 검색 결과 또한 단일 화면에 나열해주는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면 동일 검색을 여러 시스템을 통해 순차적으로 반복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애줌과 동시에 복수 시스템의 검색 결과가 단일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므로 원하는 자료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선행 기술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0-1910191호(발명의 명칭 : 통합 검색 시스템)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자료 수집기를 이용하여 웹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 대상을 수집하거나, 첨부파일을 수집하는 자료 수집 모듈; 상기 자료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자료를 한글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문서 필터링 및 데이터 색인 처리를 수행하는 색인 처리 모듈; 표준 Xml 기반의 검색 인터페이스로 구동되며, 사용자로부터 검색이 요청된 검색어를 연산자 처리한 후, 상기 색인 처리 모듈에서 색인 처리된 자료 중에서 검색어에 해당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처리하는 검색 처리 모듈; 스펠링 체크, 검색어 자동 완성, 검색어 추천, 최근 검색어 제공, 인기 검색어 제공, 개인화 기능 제공 및 개체 추출 기능을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 모듈; 및 상기 자료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자료의 타이틀, 작성자 및 상품명을 추출한 후 색인 하여 자신의 메모리 상에 저장해 두며, 사용자로부터 해당 저장된 자료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검색 처리 모듈에 우선하여 검색 결과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메모리 검색 모듈을 포함하되, 통합 검색 서비스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통합 검색 서비스에 접속한 컴퓨팅 장치의 지피에스 모듈이 수집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통합 검색 서비스에 접속 시점 별 국가 정보를 추출하여 접속시점이 많은 순서대로 5개의 국가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고 5초 이내에 검색 요청이 없으면 접속시점이 제일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시점이 제일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1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선택이 없으면 접속시점이 두번째로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시점이 두번째로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50초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선택이 없으면 접속시점이 세번째로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시점이 세번째로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40초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선택이 없으면 접속시점이 네번째로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시점이 네번째로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40초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선택이 없으면 접속시점이 다섯번째로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접속시점이 다섯번째로 많은 국가 언어로 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30초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선택이 없으면 국가 선택 탭을 제공하는 자동 언어 변환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합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Open Source 기반의 검색 엔진으로 빠른 색인 및 검색 기능, 다양한 서버 환경 지원과 표준화된 Xml기반의 검색 인터페이스 및 다양한 검색 부가 기능의 제공으로 편리한 검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웹과 앱의 검색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지 않으므로 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웹 검색 및 앱 검색의 데이터를 하나의 유저단말을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 검색 및 앱 검색의 데이터를 하나의 유저단말을 통해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 검색모듈 및 앱 검색모듈을 통해 웹, 앱 검색 데이터가 제공됨과 동시에 기존의 검색 데이터들이 축적되어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저의 니즈를 파악하여 더욱 만족스러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관성이 높은 정보는 보다 한 눈에 들어오게 쉽게 처리하고, 웹 검색 데이터와 앱 검색 데이터의 제목을 비교함으로써 연관도가 낮다고 생각되는 섹터를 차별적으로 시각 처리함으로써 한 눈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섹터의 일 측에 배지를 생성함으로써 검색어와 웹, 앱 검색 데이터와의 연관도 및 웹 검색 데이터와 앱 검색 데이터 사이의 일치 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은,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입력모듈; 상기 검색어정보에 대한 웹 검색엔진 검색 결과인 웹 검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검색모듈; 상기 검색어정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인 앱 검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앱 검색모듈; 상기 웹 검색 데이터 및 상기 앱 검색 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동시 출력하는 결과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과 제공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웹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 1 존(zone)과, 상기 앱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 2 존으로 분할한 검색블록을 생성하는 검색블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색블록 생성부는, 상기 제 1,2 존을 복수 개의 섹터(sector)로 나누는 섹터 생성파트와, 상기 제 1 존의 섹터별로 적어도 하나의 웹 검색 데이터를, 상기 제 2 존의 섹터별로 적어도 하나의 앱 검색 데이터를 각각 위치시키는 섹터 적용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시스템은, 상기 웹 검색 데이터 및 상기 앱 검색 데이터 각각을 상기 검색어와의 연관도에 따라 상기 섹터에 내림차순으로 배열한 순서 재배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상기 검색어정보와의 연관도 순서에 따라 상기 웹 검색 데이터에 웹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웹 레벨 설정부 및, 상기 검색어와의 연관도 순서에 따라 상기 앱 검색 데이터에 앱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앱 레벨 설정부 와, 상기 웹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앱 공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웹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웹 레벨 적용부와, 상기 앱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앱 공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웹 공간과는 다른 색상으로 상기 앱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앱 레벨 적용부를 포함하는 레벨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은,
1)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2) 기존의 검색 데이터들이 축적되어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되고 유저의 니즈를 파악하여 더욱 만족스러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3) 섹터를 차별적으로 시각 처리함으로써 한 눈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4) 배지를 생성함으로써 검색어와 웹, 앱 검색 데이터와의 연관도 및 웹 검색 데이터와 앱 검색 데이터 사이의 일치 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섹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불일치 배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정보의 검색이란 집합적인 정보로부터 원하는 내용과 관련이 있는 부분을 얻어 내는 행위를 일컫는다. 여기서, 자동화된 정보 검색 시스템(10)은 소위 "정보 과부화"라 불리는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많은 대학 및 공공 도서관들이 보유 서적 및 저널 등 각종 문서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정보 검색 시스템(10)을 구축하고, 이러한 웹 검색 엔진은 일상적으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 검색 시스템(10) 중 하나이다.
나아가, 정보 검색 시스템(10)에 대하여 다수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시스템을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하나의 질의문으로 동시에 검색하고 검색 결과 또한 단일 화면에 나열해주는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10)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10)을 이용하면 동일 검색을 여러 시스템을 통해 순차적으로 반복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애줌과 동시에 복수 시스템의 검색 결과가 단일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므로 원하는 자료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웹 검색 및 앱 검색의 데이터를 하나의 유저단말(20)을 통해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웹(web) 검색이란 FTP 서버나 웹 사이트의 파일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앱(APP) 검색이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 및 단말기의 OS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10)은,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20)에 유저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검색 및 웹사이트 검색을 동시에 수행하여 함께 노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했을 시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및 검색엔진을 통한 웹 검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는 사용자의 검색 데이터가 점차 누적됨에 따라 사용자의 누적 검색에 따른 빅 데이터가 수집되므로, 인공지능 기반의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 또는 검색을 통한 사용자의 니즈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의 의미를 자동 분석하여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목적 및 의미에 맞는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10)은 검색을 수행하는 유저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으로 구성되며, 유저는 시스템(10)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시스템(10)은 유저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 및 웹 검색 결과를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10)은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20)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어입력모듈(100), 검색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인 앱 검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앱 검색모듈(300), 검색어에 대한 웹 검색엔진 검색 결과인 웹 검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검색모듈(200), 앱 검색 데이터 및 웹 검색 데이터를 유저단말(20)의 디스플레이에 동시 출력하는 결과 제공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색어입력모듈(100)은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20)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때 유저가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하는 유저단말(20)은 PC,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웹 접속이 가능한 기기라면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검색어입력모듈(100)은 가로로 넓은 긴 직사각형 형상의 검색창을 통해 정보의 입력이 수행될 수 있으며, 검색창의 형상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검색어입력모듈(100)을 통해 검색어를 검색하게 되면 검색어에 대한 웹 및 앱 검색 데이터가 각자 검색되게 된다.
웹 검색모듈(200) 및 앱 검색모듈(300)은 검색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인 앱 검색 데이터와 웹 검색엔진 검색 결과인 웹 검색 데이터를 각각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때 유저가 입력한 검색어의 의미를 자동 분석하여 검색함으로써 유저가 검색하고자 하는 의미를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웹 검색모듈(200) 및 앱 검색모듈(300)을 통해 웹, 앱 검색 데이터가 제공됨과 동시에 기존의 검색 데이터들이 축적되어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더욱 만족스러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 제공모듈(400)은 앱 검색 데이터 및 웹 검색 데이터를 유저단말(20)의 디스플레이에 동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저는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검색결과 및 웹 검색엔진 검색결과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세부 구성 및 추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과 제공모듈(400)은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를 웹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 1 존(zone)과, 앱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 2 존으로 분할한 검색블록을 생성하는 검색블록 생성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검색블록 생성부(410)는 제 1,2 존을 복수 개의 섹터(11)(sector)로 나누는 섹터 생성파트(411)와, 각 섹터(11)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앱 검색 데이터를 각각 위치시키는 섹터 적용파트(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검색블록이라 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 검색 데이터 또는 웹 검색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유저단말(20)을 통해 유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화된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 1에서 도시된 예로도 설명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검색블록을 제 1 존과 제 2 존으로 이루어진 2개의 영역으로 나누되, 제 1 영역에 웹 검색 데이터를, 제 2 존에 앱 검색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제 1 존 및 제 2 존의 구도에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으나,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을 세로 또는 가로로 이등분하여 제 1 존 과 제 2 존에 동일하게 분할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검색블록 생성부(410)는 제 1 존 및 제 2 존을 복수개의 섹터(11)(sector)로 나누는 섹터 생성파트(411)와, 각 섹터(11)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검색 데이터 및 앱 검색 데이터를 각각 위치시키는 섹터 적용파트(41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웹 검색 결과와 앱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향상된 가독성을 통해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검색 데이터는 대체적으로 글자 수가 많으므로 2개의 섹터(11)로 나누며, 앱 검색 데이터는 대체적으로 아이콘 및 그림 등의 시각적 자료가 많으므로 4개의 섹터(11)로 나누어 이를 시각적으로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10)은 웹 검색 데이터 및 앱 검색 데이터 각각을 검색어와의 연관도에 따라 섹터(11)에 내림차순으로 배열한 순서 재배열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웹 순서 재배열부 및 앱 순서 재배열부에 있어서 연관도라 함은 유저가 입력한 검색어와 검색 데이터 사이의 연관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텍스트 상 연관도나 단어의 일치도 등을 통해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웹 검색 데이터 및 앱 검색 데이터를 검색어와의 연관도 순으로 내림차순 나열한 앱 검색 정보리스트 및 웹 검색 정보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동시 출력함으로서 유저로 하여금 연관도 순서에 따라 검색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섹터(1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웹 검색 정보리스트 및 앱 검색 정보리스트의 제공에 있어 연관성이 높은 정보는 보다 한 눈에 들어오게 쉽게 처리하여 유저에게 우선 제공하고 연관성이 낮은 정보는 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 시스템(10)은 검색어와의 연관도 순서에 따라 웹 검색 정보리스트에 포함된 웹 검색 데이터에 웹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웹 레벨 설정부(610) 및 검색어와의 연관도 순서에 따라 앱 검색 정보리스트에 포함된 앱 검색 데이터에 앱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앱 레벨 설정부(620)와, 웹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웹 공간으로 설정하고 웹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웹 레벨 적용부(630)와, 앱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앱 공간으로 설정하고, 웹 공간과는 다른 색상으로 앱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앱 레벨 적용부(640)를 포함하는 레벨링모듈(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웹 레벨 설정부(610)는 검색어와의 연관도 순서에 따라 웹 검색 정보리스트에 포함된 웹 검색 데이터에 웹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웹 순서 재배열부에서 검색어와의 연관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배열된 웹 검색 데이터에 웹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1등부터 꼴찌까지 레벨, 즉 등급이 결정된다.
앱 레벨 설정부(620)는 웹 레벨 설정부(61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앱 검색 정보리스트에 포함된 앱 검색 데이터에 앱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웹 레벨 적용부(630)는 웹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웹 공간으로 설정하고 웹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앞선 웹 레벨 설정부(610)에서 설정된 웹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웹 공간으로 설정한 뒤, 상방향에서 하방향, 혹은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점차 변화하게끔 웹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변색 처리되는 색상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명도차이만 나는 동일 계열의 색상들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그라데이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보다 시각적으로 효과적일 것이다.
앱 레벨 적용부(640)는 앱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앱 공간으로 설정하고, 웹 공간과는 다른 색상으로 앱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웹 레벨 적용부(63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나 웹 공간과는 다른 색상으로 앱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함으로써 웹 공간 및 앱 공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앱 공간을 변색 처리하는 색상 역시 명도만의 차이가 있는 동일 계열의 색상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그라데이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시스템(10)은 웹 검색 데이터와 앱 검색 데이터의 제목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파악하는 제목 비교모듈(700)과, 제목 비교부의 판단 결과 불일치한 제목을 가진 웹 검색 데이터 및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섹터(11)를 차별적으로 시각 처리하는 섹터 처리모듈(800)을 구비할 수 있다.
제목 비교모듈(700)은 제 1 존의 웹 검색 데이터와 제 2 존의 앱 검색 데이터의 제목을 서로 비교하여 일치되는 데이터의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웹 검색 데이터의 제목 기준으로 앱 검색 데이터의 제목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2 존의 웹, 앱 검색 데이터에 존재하는 각각의 제목으로만 비교를 하여 제 1 존의 웹 검색 데이터와 제 2 존의 앱 검색 데이터의 일치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저가 "다이어트"를 검색하였을 때, 제 1 존에 "다이어트에 좋은 음식 top10"이라는 웹 검색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 2 존에 "다이어트에 좋은 음식 top10"이라는 제목이 존재한다면, 이 앱 검색 데이터는 제 1 존의 웹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라고 판단되며, 이렇게 일치되는 검색 데이터의 제목이 많을수록 연관도가 높다고 판단될 수 있다.
섹터 처리모듈(800)은 제 1 존의 웹 검색 데이터와 제 2 존의 앱 검색 데이터가 상술한 제목 비교모듈(700)을 통해 일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웹,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섹터(11)를 즉, 제 1,2 존 사이의 연관도가 낮다고 생각되는 섹터(11)를 차별적으로 시각 처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 2 존에 제 1 존의 웹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앱 검색 데이터가 있다면, 이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섹터(11)는 차별적으로 시각 처리되어 구별되는 것이다.
여기서, 섹터(11)는 테두리가 존재하여 가시적으로 구분될 수 있고, 테두리가 존재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시각 처리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 2 존에 제 1 존의 웹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앱 검색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이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해있는 섹터(11)의 테두리를 변색처리 하거나, 후술할 섹터(11)에 일 측에 구비된 배지를 변색처리 하여 유저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제 1,2 존의 웹, 앱 검색 데이터의 비교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불일치 배지(12)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더하여, 상술한 섹터 처리모듈(800)은 제 1 존에 속한 섹터(11) 각각의 일 측에 상기 웹 검색 데이터와 검색어와의 연관도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설정한 연번과 연관도를 표시한 제 1 배지(14)를 설정하는 제 1 배지 생성부(810)와, 제 2 존에 속한 섹터(11) 각각의 일 측에 제 2 배지(15)를 부착하되, 웹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목을 가진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섹터(11)에는 상술한 제 1 배지(14)의 연번과 동일한 연번과 함께 연관도를 표시하고 웹 검색 데이터와 불일치하는 제목을 가진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섹터(11)에는 연관도만을 표시한 불일치 배지(12)를 생성하는 제 2 배지(15) 생성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배지 생성부(810)는 검색어와 웹 검색 데이터와의 연관도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배열된 섹터(11)의 일 측에 오름차순으로 설정한 연번과 연관도를 표시한 제 1 배지(14)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배지의 모양은 정원, 타원 등이 될 수 있으며 제한을 두진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정원의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 1 배지(14)의 형상으로 정원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더하여, 이러한 제 1 배지(14)는 섹터(11)의 일 측에 설정되기 때문에 섹터(11)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배지 생성부(810)와 제 2 배지 생성부(820)는 제 1, 2 존이 유저단말(20) 상에서 좌우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고 제한한다.
제 1 배지 생성부(810)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검색어가 "다이어트 운동"일 경우, 제 1 존의 웹 검색 데이터의 제목으로 "단기간 다이어트 운동 추천", "다이어트에는 어떤 운동이 좋을까요?", "건강한 운동법 찾아드려요", "건강한 몸! 그 시작은 어디서?"가 출력되었다고 하자. 이때, 검색에어 "다이어트"와 "운동"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두 단어가 모두 포함된 "단기간 다이어트 운동 추천", "다이어트에는 어떤 운동이 좋을까요?"는 연관도가 제일 높다고 판단되어 연번으로 1번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연관도는 100%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운동"만 포함이 된 "건강한 운동법 찾아드려요"의 연관도는 "다이어트"를 포함하지 않았으므로 50%의 연관도를 가지며 연번은 3번이 될 수 있고, "건강한 몸! 그 시작은 어디서?"는 "다이어트"와 "운동"을 모두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관도는 0%가 되며, 연번은 4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연관도가 같을 경우 같은 연번을 가질 수 있으며, 중복된 연번이 나열된 후에는 그 연번보다 1 작은 숫자가 연번이 될 수도 있고 중복된 만큼 숫자를 건너뛴 숫자(상술한 예와 같은 방식)가 연번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와 같이 연관도는 검색 데이터의 제목과 검색어의 일치 정도를 의미한다.
제 2 배지 생성부(820)는 상술한 웹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목을 가진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섹터(11)에 제 1 배지(14)의 연번과 동일한 연번과 함께 연관도를 표시한 제 2 배지(15)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웹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목을 갖지 못한 제 2 존의 섹터(11)는 연번의 설정 없이 연관도만 표시된 불일치 배지(12)가 적용된다. 여기서, 제 1 배지(14)를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이미 상술하였듯이 일반적으로 웹 검색 시 더욱 방대한 자료가 도출될 수 있고, 앱 검색 데이터가 웹 검색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더하여, 제 2 배지(15)의 모양은 정원, 타원 등이 될 수 있으며 제한을 두진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정원의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제 1 배지(14)의 형상으로 정원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배지 생성부(820)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 1 존에 연번 1, 2, 3 , 4를 가진 섹터(11)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제 2 존에 연번 1, 3, 4의 웹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목을 가진 앱 검색 데이터와, 1, 3번 사이에 웹 검색 데이터에는 존재하지 않는 앱 검색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제 2 존의 섹터(11)는 1, (공백), 3, 4번의 연번을 순서대로 부여받게 되는 것이다. 설명하였듯이, 웹 검색 데이터에는 존재하지 않는 앱 검색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연번은 공백이 되며 연관도(%)만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연관도는 상술한 제 1 배지 생성부(810)의 연관도 산출 방법과 동일하다.
도 6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제 1, 2 배지는 섹터(11)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섹터(11)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상의 폐곡선에 의해 섹터(11)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13)을 포함하고, 제 2 배지 생성부(820)는 연관도의 고저에 따라 중첩 영역(13)의 면접과 불일치 배지(12)의 돌출 높이를 차등 조절하는 중첩 영역 조절파트(8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배지(15)는 제 2 존의 섹터(11)의 일 측의 외측에 적용되는데, 이때 제 2 배지(15)는 섹터(11)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13)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2 배지(15)는 제 2 존의 섹터(11)의 테두리 부분 중 일 측에 구비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 섹터(11)와 일부 중첩되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배지(14)와 제 2 배지(15) 중의 제 1 배지(14)와 일치하는 배지는 돌출 높이가 일정하지만, 불일치 배지(12)는 연관도의 고저에 따라 중첩 영역(13)이 조절될 수 있다.
중첩 영역 조절파트(821)는 상술한 중첩 영역(13)을 검색어와 섹터(11) 내의 앱 검색 데이터 제목 사이의 연관도의 고저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제 2 배지(15)의 돌출 높이(즉, 얼마나 섹터(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가) 또한 연관도의 고저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첩 영역 조절파트(821)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제 2 배지(15)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2
는 상기 불일치 배지(12)의 돌출 높이,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3
은 상기 불일치 배지(12)의 기본으로 설정된 돌출 높이, r은 상기 불일치 배지(12)가 부착된 상기 섹터(11)의 중심과 상기 제 2 배지(15)의 중심 사이의 거리, c는 상기 연관도. 단, 0≤c≤1,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4
는 거리 보정치일 수 있다.
이때, 불일치 배지(12)의 돌출 높이라 함은 상술한 r(상기 불일치 배지(12)가 부착된 상기 섹터(11)의 중심과 상기 불일치 배지(12)의 중심 사이의 거리)에서 섹터(11)의 길이 부분을 제외한, 불일치 배지(12)의 돌출 높이를 의미한다. 또한, 섹터(11)의 중심이라 함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섹터(11)가 존재한다고 할 때, 섹터(11)의 꼭지점 사이를 연결한 두 대각선의 교차점을 의미하며, 불일치 배지(12)의 중심이라 함은 원형 모양의 불일치 배지(12)의 동심원을 의미한다. 더하여, 연관도는 상술한 검색어와 제 2 존의 앱 검색 데이터의 제목과 검색어의 일치 정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연관도는 백분율(%)로 표현을 하였는데, 수학식 1에서 연관도(c)는 1에 상술한 백분율의 연관도를 곱한 값이며, 따라서 연관도(c)는 0≤c≤1 범위 내의 값이 될 수 있다. 연관도(c)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불일치 배지(12) 내의 연관도(c)가 70%라면, 수학식 1의 연관도(c)는 1*70% = 0.7이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거리 보정치(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5
)라 함은 섹터(11)의 크기에 따라 유저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수치로서, 거리 보정치(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6
)를 조절함으로써 돌출 높이를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7
는 1이고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8
는 1이며 c는 0.5이고 r은 8일 경우, 불일치 배지(12)의 돌출 높이인
Figure 112019033647030-pat00009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0
이 되며, 따라서 불일치 배지(12)의 돌출 높이는 2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수학식 1로 보아 알 수 있듯이 검색어와 제 2 존의 앱 검색 데이터의 제목과 검색어의 일치 정도인 연관도와 불일치 배지(12)의 돌출 높이인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1
는 비례하여, 연관도가 낮을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져 중첩 영역(13)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검색어와의 연관도의 고저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제 2 존의 섹터(11)의 경우, 불일치 배지(12)의 중첩 영역(13)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중첩 영역(13)이 넓어지게 된다.
더하여, 제 2 배지 생성부(820)는 불일치 배지(12)에서 중첩 영역(13)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투명도 제어파트(822)를 포함하되, 투명도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2
여기서,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3
는 투명도,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4
은 상기 중첩 영역(13)의 기존 투명도,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5
는 상기 중첩 영역(13)의 면적,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6
는 상기 불일치 배지(12)의 픽셀 총 개수,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7
은 상기 중첩 영역(13)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8
의 픽셀 개수,
Figure 112019033647030-pat00019
은 상기 불일치 배지(12)에 부여된 인덱스(불일치 배지(12)의 순번),
Figure 112019033647030-pat00020
는 상기 불일치 배지(12)의 총 개수이며,
Figure 112019033647030-pat00021
가 될 수 있다.
이때, 투명도란 중첩 영역(13)이 투명해지는 정도를 의미하며, 기존 투명도란 기존 중첩 영역(13)의 투명도로서 투명도와 기존 투명도는 0 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은 투명도 100%의 상태, 투명도 0은 투명도 0%(불투명)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픽셀이라 함은 이미지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네모 모양의 작은 점들을 의미하며, 1cm는 37.79픽셀이다. 예를 들어, 한 도형의 사이즈가 851픽셀 * 315픽셀이라면, 이때 도형의 픽셀 개수는 268065개이다. 더하여, 인덱스는 제 2 존에 존재하는 불일치 배지(12)에 오름차순으로 1번부터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가령,
Figure 112019063380767-pat00022
가 10%,
Figure 112019063380767-pat00023
가 10,
Figure 112019063380767-pat00024
가 1000,
Figure 112019063380767-pat00025
가 2,
Figure 112019063380767-pat00026
가 2,
Figure 112019063380767-pat00027
은 200,
Figure 112019063380767-pat00028
는 400이라고 할 때,
Figure 112019063380767-pat00029
이며, 따라서 불일치 배지(12)는 11.5%의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불일치 배지(12)에 부여된 인덱스(순번)이 커질수록 즉, 검색어와 더 낮은 연관도를 보일수록 투명도가 비례하여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10)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시스템 11: 섹터
12: 불일치 배지 13: 중첩 영역
14: 제 1 배지 15: 제 2 배지
20: 유저단말 100: 검색어입력모듈
200: 웹 검색모듈 300: 앱 검색모듈
400: 결과 제공모듈 410: 검색블록 생성부
411: 섹터 생성파트 412: 섹터 적용파트
500: 순서 재배열 모듈 600: 레벨링모듈
610: 웹 레벨 설정부 620: 앱 레벨 설정부
630: 웹 레벨 적용부 640: 앱 레벨 적용부
700: 제목 비교모듈 800: 섹터 처리모듈
810: 제 1 배지 생성부 820: 제 2 배지 생성부
821: 중첩 영역 조절파트 822: 투명도 제어파트

Claims (12)

  1.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으로서,
    유저가 소지한 유저단말을 통해 검색어정보를 입력받는 검색어입력모듈;
    상기 검색어정보에 대한 웹 검색엔진 검색 결과인 웹 검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검색모듈;
    상기 검색어정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인 앱 검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앱 검색모듈;
    상기 웹 검색 데이터 및 상기 앱 검색 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동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웹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 1 존(zone)과, 상기 앱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는 제 2 존으로 분할한 검색블록을 생성하는 검색블록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색블록 생성부는, 상기 제 1,2 존을 복수 개의 섹터(sector)로 나누는 섹터 생성파트와, 상기 제 1 존의 섹터별로 적어도 하나의 웹 검색 데이터를, 상기 제 2 존의 섹터별로 적어도 하나의 앱 검색 데이터를 각각 위치시키는 섹터 적용파트를 포함하는, 결과 제공모듈;
    상기 웹 검색 데이터 및 상기 앱 검색 데이터 각각을 상기 검색어정보와의 연관도에 따라 상기 섹터에 내림차순으로 배열한 순서 재배열 모듈;
    상기 검색어정보와의 연관도 순서에 따라 상기 웹 검색 데이터에 웹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웹 레벨 설정부 및, 상기 검색어정보와의 연관도 순서에 따라 상기 앱 검색 데이터에 앱 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앱 레벨 설정부와, 상기 웹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웹 공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웹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웹 레벨 적용부 및, 상기 앱 레벨을 적어도 3개의 앱 공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웹 공간과는 다른 색상으로 상기 앱 공간의 색상을 각각 변색 처리하는 앱 레벨 적용부를 포함하는 레벨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웹 검색 데이터와 상기 앱 검색 데이터의 제목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파악하는 제목 비교모듈과,
    상기 제목 비교모듈의 판단 결과 불일치한 제목을 가진 상기 웹 검색 데이터 및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상기 섹터를 차별적으로 시각 처리하는 섹터 처리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 처리모듈은,
    상기 제 1 존에 속한 상기 섹터 각각의 일 측에 상기 웹 검색 데이터와 상기 검색어와의 연관도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설정한 연번과 상기 연관도를 표시한 제 1 배지를 설정하는 제 1 배지 생성부와,
    상기 제 2 존에 속한 상기 섹터 각각의 일 측에 제 2 배지를 부착하되, 상기 웹 검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목을 가진 상기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상기 섹터에는 상기 제 1 배지의 연번과 동일한 연번과 함께 상기 연관도를 표시한 일치 배치와 상기 웹 검색 데이터와 불일치하는 제목을 가진 상기 앱 검색 데이터가 속한 상기 섹터에는 상기 연관도만을 표시한 불일치 배지를 생성하는 제 2 배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배지는,
    상기 섹터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섹터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상의 폐곡선에 의해 상기 섹터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배지 생성부는,
    상기 연관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중첩 영역의 면적과 상기 불일치 배지의 돌출 높이를 차등 조절하는 중첩 영역 조절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 조절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불일치 배지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9063380767-pat00048

    (여기서,
    Figure 112019063380767-pat00049
    는 상기 불일치의 돌출 높이,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0
    은 상기 불일치 배지의 기본으로 설정된 돌출 높이, r은 상기 불일치 배지가 부착된 상기 섹터의 중심과 상기 불일치 배지의 중심 사이의 거리, c는 상기 연관도. 단, 0<c<1,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1
    는 거리 보정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지 생성부는,
    상기 불일치 배지에서 상기 중첩 영역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투명도 제어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투명도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2

    (여기서,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3
    는 투명도,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4
    은 상기 중첩 영역의 기존 투명도,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5
    는 상기 중첩 영역의 면적,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6
    는 상기 불일치 배지의 픽셀 총 개수,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7
    은 상기 중첩 영역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8
    의 픽셀 개수,
    Figure 112019063380767-pat00059
    은 상기 불일치 배지에 부여된 인덱스(불일치 배지의 순번),
    Figure 112019063380767-pat00060
    는 불일치 배지의 총 개수이며,
    Figure 112019063380767-pat00061
    )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38252A 2019-04-02 2019-04-02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KR102014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52A KR102014047B1 (ko) 2019-04-02 2019-04-02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PCT/KR2019/013915 WO2020204289A1 (ko) 2019-04-02 2019-10-22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52A KR102014047B1 (ko) 2019-04-02 2019-04-02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047B1 true KR102014047B1 (ko) 2019-08-23

Family

ID=6776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252A KR102014047B1 (ko) 2019-04-02 2019-04-02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4047B1 (ko)
WO (1) WO20202042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89A1 (ko) * 2019-04-02 2020-10-08 백종윤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KR20210071500A (ko)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294A (ko) * 2015-09-01 2017-12-01 구글 엘엘씨 웹 검색 결과들과 함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검색 결과들 제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0972B2 (en) * 2007-01-05 2009-12-08 Yahoo! Inc. Clustered search processing
KR20120050042A (ko) * 2010-11-10 2012-05-18 (주)로또 바탕 이미지에 대한 감상도 향상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41933A (ko) * 2013-10-10 2015-04-20 주식회사 퍼플프렌즈 키워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검색 엔진
KR20160093347A (ko) * 2015-01-29 2016-08-08 최재용 통합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014047B1 (ko) * 2019-04-02 2019-08-23 백종윤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294A (ko) * 2015-09-01 2017-12-01 구글 엘엘씨 웹 검색 결과들과 함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검색 결과들 제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89A1 (ko) * 2019-04-02 2020-10-08 백종윤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KR20210071500A (ko)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289A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80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educational big data on basis of maps
US20210081997A1 (en) 3D Data Labeling System Over a Distributed Network
Mylonas et al. Augmenting basic colour terms in English
US8145703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in a local search system with related search results
US7809721B2 (en) Ranking of objects using semantic and nonsemantic features in a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search
US102354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gathering of open source intelligence
US69962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indexing, and supplying publicly available data charts
US89351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open source intelligence gathering
US8090714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in a local search system with location identification in a request
Touya et al. Detecting level-of-detail inconsistencies in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sets
KR100797041B1 (ko) 분류된 웹 사이트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88435A1 (en) Image storage/retrieval system, image storage apparatus and image retrieval apparatus for the system, and image storage/retrieval program
KR10201404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데이터 통합 제공 시스템
US20090132929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 boundary display on a map
US20090222440A1 (en) Search engine for carrying out a location-dependent search
US9811565B2 (en) Error identification, indexing and reporting construction documents
Gran et al. Bulge RR Lyrae stars in the VVV tile b201
US200901325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text descriptions in a search database
Solin et al. Mining the VVV: star formation and embedded clusters
US201002748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CN102175255A (zh) 地图目标的自动优先化
JP6453502B1 (ja) 特許調査支援方法
US20090132572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in a local search system with profile page
US20090132927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making additions to a map
EP3408797A1 (en) Image-based quality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