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938B1 - 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 - Google Patents

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938B1
KR102013938B1 KR1020170159485A KR20170159485A KR102013938B1 KR 102013938 B1 KR102013938 B1 KR 102013938B1 KR 1020170159485 A KR1020170159485 A KR 1020170159485A KR 20170159485 A KR20170159485 A KR 20170159485A KR 102013938 B1 KR102013938 B1 KR 10201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pattern
electrodes
user
input sign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1280A (en
Inventor
최연식
최동환
최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멤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멤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멤스팩
Priority to KR102017015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938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2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극 모듈, 및 상기 전극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electrically separate each electro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odul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by using a change pattern of impedance change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by a user's touch input.

Description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조립체{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Touch Sensors & Touch Sensor Assemblies {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극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or and a touch sens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ensor and a touch sensor assembly for generating a user input signal using the impedance chang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일반적으로 센서는 인간의 감각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단으로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 주변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나 습도센서,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 등 다양한 종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중 터치센서는 사람의 손이 직접적인 입력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신호의 검출 방식에 따라, 직류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눌려진 위치를 전류 또는 전압 값의 변화를 통해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과, 교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캐패시턴스 커플링(capacitance coupling)을 이용하는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과, 자계를 인가한 상태에서 선택된 위치를 전압의 변화로서 감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type) 등이 있다.In general, the sensor is a means used to expand the human sensory ability, a pressure sensor that can measure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a temperature sensor or humidity sensor that can measure the ambient temperature or humidity, and the user's finger Various types, such as a touch sensor that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contact has been used. Among them, the touch sensor allows a human hand to act as a direct input means, and according to a detection method of a signal, a resistor for detecting a position pressed by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a DC voltage is applied through a change in current or voltage value A resistive type, a capacitive type using capacitance coupling in the state of applying an alternating voltage, an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hat senses the selected position as a change in voltage in the state of applying a magnetic field. Electromagnetic type and the like.

그러나 이러한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터치 센서의 특정 영역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었는지 여부만을 인식할 수 있었는바, 터치 센서에 손가락이 접촉되는지에 따라 온 오프의 판단만이 가능할 뿐이어서 생성할 수 있는 입력 신호에 한계가 있었다. 그에 따라, 터치 센서에서 제공되는 터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터치할 수 있는 영역마다 다른 기능을 부여하거나 문자를 부여하여야 하였는바, 고가의 터치 스크린 형태와 유사하게 활용될 수 밖에 없었다. However, even when such a touch sensor was used, only a user's finger was in contact with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sensor. Therefore, only the on / off judgmen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finger touches the touch sensor. There was a limit to the input signal. Accordingly, in order to properly use the touch function provided by the touch sensor, a different function or a letter should be provided for each touchable area. Therefore, the touch function may be used similarly to an expensive touch screen form.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입력 수단으로서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가질 수 있는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ensor and a touch sensor assembly that can have a high user convenience as an input means by generating various input signals based on the user's touch inpu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극 모듈, 및 상기 전극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electrically separate each electro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odul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by using a change pattern of impedance change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by a user's touch inpu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example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with the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first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동시에 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s touch input is defined as a touch input using one finger of the user,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be simultaneously touched by the user's touch inpu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화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동시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제 1 변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변화 패턴의 지속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hange pattern may include a first change pattern in which an impedance change is simultaneously gener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processor may generate the user input signal using a du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Can 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변화 패턴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변화 패턴이 상기 기준 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 제 2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generates a first user input signal when the first change pattern lasts more than a reference time, and generates a second user input signal when the first change pattern lasts less than the reference time. Can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화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제 2 변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2 변화 패턴이 발생되는 경우 제 3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hange pattern may include a second change pattern in which impedance changes are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user when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An input signal can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변화 패턴은 상기 제 1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하여 발생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hange pattern may be generated subsequent to the occurrence of the first change patter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제 4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제 5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further uses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to generate a four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speed, and the speed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increased. If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fifth user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화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제 3 변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3 변화 패턴이 발생되는 경우 제 6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hange pattern may include a third change pattern in which impedance changes are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long a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processor may generate a six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thir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제 7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제 8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unit may further use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third change pattern to generate a seven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third change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speed, and the speed of the third change pattern may be increased. When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eighth user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조립체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극 모듈,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ouch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includ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electrode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electrically separate each electrode. And a proces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odule, the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a change pattern of impedance change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by a user's touch input. Can 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상기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In example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with th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조립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입력 수단으로서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The touch sensor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high user convenience as an input means by generating various input signals based on a user's touch inp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조립체는 다양한 전자 장치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적용성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uch sensor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input mea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ey can have wide applic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조립체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적용예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shows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touch senso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shows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100)는 전극 모듈(110) 및 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touch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module 110 and a processor 120.

전극 모듈(110)은 복수의 전극(111) 및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모듈(110)은 복수의 전극(111)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모듈(110)은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복수의 전극(111) 모두가 동시에 터치될 수 있는 크기(ex. 5 mm 내지 20 mm)를 가질 수 있다. The electrode modul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nd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112. The electrode module 110 may receive a user's touch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For example, the electrode module 110 may have a size (eg, 5 mm to 20 mm) in which all of the electrodes 111 may be simultaneously touched by one user's finger.

복수의 전극(111)은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11)은 절연층(112)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11) 각각은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11)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면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11) 각각은 처리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111)은 금속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111)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각 전극의 임피던스가 변화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with the insulating layer 112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include at least one touch surface on which a user's touch is mad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receive a user's touch input through at least one touch surface. Here, the touch input of the user may be defined as a touch input using one finger of the use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include metal electrodes. When a user's touch input is received at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he impedance of each electrode may be changed.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복수의 전극(111)이 5개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전극(111)의 전극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복수의 전극(111)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전극(111)은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터치면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In FIG. 1,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s illustrated as being composed of five electro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In addition, alth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s illustrated as being a cuboid or a cube in FIG. 1,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to provide a touch surface on which a user's touch can be made. It may be designed as.

절연층(112)은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112)은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111)이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로 구성되는 경우, 절연층(112)은 n-1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layer 1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he insulating layer 112 may electrically separate the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s composed of n pieces (n is a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the insulating layer 112 may be composed of n-1 pieces.

처리부(120)는 전극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전극(111)에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피던스 변화의 변화 패턴은 제 1 변화 패턴, 제 2 변화 패턴, 및 제 3 변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변화 패턴, 제 2 변화 패턴, 및 제 3 변화 패턴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복수의 전극(111)이 제 1 전극(111a) 및 제 2 전극(111b)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The processor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odule 110.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a change pattern of impedance change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by a user's touch input. For example, the change pattern of the impedance change may include a first change pattern, a second change pattern, and a third change pattern. Hereinafter, the first change pattern, the second change pattern, and the third change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Meanwhile, for the sake of clarity,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clude the first electrode 1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1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전극(111)은 제 1 전극(111a) 및 제 2 전극(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111a) 및 제 2 전극(111b)은 절연층(112)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 2 전극(111b)은 제 1 전극(111a) 보다 제 1 방향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11a and a second electrode 111b. The first electrode 1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1b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the insulating layer 11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11b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first direction than the first electrode 111a.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변화 패턴은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에 동시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변화 패턴은 제 1 전극(111a) 및 제 2 전극(111b)에 동시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change pattern may be defined as a pattern in which an impedance change is simultaneously generated at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For example, the first change pattern may mean a pattern in which an impedance change is simultaneously generated in the first electrode 1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1b.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터치하는 경우, 복수의 전극(111)의 모든 전극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전극(111)의 모든 전극에는 동일한 크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각 전극의 특성의 차이 또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의 차이에 의해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들 사이에 임피던스 변화의 크기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ll the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touched by a user's finger, and thus all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have the same size. Impedance changes can occur. Meanwhile, even when a magnitude difference of impedance change occurs between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due to a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each electrode or a difference in touch pressure of the user, an impedance change of substantially the same magnitude is defined as occurring. Can be.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변화 패턴은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에 제 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변화 패턴은 제 1 전극(111a)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된 이후에 제 2 전극(111b)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change pattern may be defined as a pattern in which impedance changes are sequentially generated i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long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change pattern may refer to a pattern in which the impedance change is generated in the second electrode 111b after the impedance change is generated in the first electrode 111a.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제 1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경우,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wip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first directio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sequentially touched by the user's finger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refore, impedance change may occur sequentially i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long the first direction.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터치하여 제 1 변화 패턴이 발생한 이후에, 사용자가 터치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복수의 전극(111)을 제 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터치에서 벗어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Also, for example, after the user touch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o generate the first change pattern, when the user swip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first direction without removing the finger touched by the user.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deviate from the user's touch sequentially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us,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sequentially change impedance along the first direction. .

도 5를 참조하면, 제 3 변화 패턴은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에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변화 패턴은 제 2 전극(111b)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된 이후에 제 1 전극(111a)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third change pattern may be defined as a pattern in which impedance changes are sequentially generated i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long the second direction. Her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third change pattern may refer to a pattern in which the impedance change is generated in the first electrode 111a after the impedance change is generated in the second electrode 111b.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제 2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하는 경우,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wip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second directio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sequentially touched by the user's fing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refore, impedance change may occur sequentially i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long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제 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제 2 변화 패턴이 발생한 이후에, 사용자가 터치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복수의 전극(111)을 제 2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터치에서 벗어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Also, for example, after the user swip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first direction to generate the second change patter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without removing the finger touched by the user. When swiping with each other,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sequentially deviate from the user's touch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us,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sequentially impedance along the second direction. Changes can occur.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터치하여 제 1 변화 패턴이 발생한 이후에, 사용자가 터치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복수의 전극(111)을 제 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고, 계속해서 복수의 전극(111)을 제 2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터치에서 벗어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은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Further, for example, after the user touch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o generate the first change pattern, the user swip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first direction without removing a finger touched by the user. Subsequently, when swip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second directio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sequentially escape the user's touch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u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Each electrode of may sequentially change impedance along the second directio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처리부(120)는 제 1 변화 패턴, 제 2 변화 패턴, 및/또는 제 3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the first change pattern, the second change pattern, and / or the third change pattern.

처리부(120)는 제 1 변화 패턴의 지속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20)는 제 1 변화 패턴이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제 1 변화 패턴이 기준 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 제 2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처리부(120)는 복수의 전극(111)이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터치된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입력 신호 및 제 2 사용자 입력 신호는 전자기기 등에서 서로 다른 명령(command)으로 이용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the du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first user input signal when the first change pattern last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and generate a second user input signal when the first change pattern lasts less than the reference time. have. That is,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based on the time wh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re simultaneously touch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first user input signal and the second user input signal may be used as different commands in an electronic device.

처리부(120)는 제 2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변화 패턴은 제 1 변화 패턴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제 2 변화 패턴이 제 1 변화 패턴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제 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일 수 있다. 처리부(120)는 제 2 변화 패턴이 제 1 변화 패턴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제 3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the second change pattern. For example, the second change pattern may be independently generated regardless of the first change pattern, and when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independently generated regardless of the first change pattern, the user may operat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his may be the case when swip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third user input signal when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change pattern.

또한, 예를 들어, 제 2 변화 패턴은 제 1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제 2 변화 패턴이 제 1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터치하여 제 1 변화 패턴을 발생시킨 후, 손가락을 떼지 않고 복수의 전극(111)을 제 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일 수 있다. 처리부(120)는 제 2 변화 패턴이 제 1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20)는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제 4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제 5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극(111)에 대한 사용자의 스와이프 동작의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는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한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Also, for example, the second change pattern may be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and when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the user may select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After generating the first change pattern by touching), it may be a case of swip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first direction without removing a finger.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when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four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peed, and generate a fif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less than the reference speed. . That is, different user input signals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swipe opera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eanwhile, the velocity information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may be defined using a time interval in which impedance change occurs i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예를 들어, 제 3 사용자 입력 신호 내지 제 5 사용자 입력 신호는 전자기기 등에서 서로 다른 명령(command)으로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user input signal to the fifth user input signal may be used as different commands in an electronic device.

처리부(120)는 제 3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the third change pattern.

예를 들어, 제 3 변화 패턴은 제 1 변화 패턴 및 제 2 변화 패턴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제 3 변화 패턴이 제 1 변화 패턴 및 제 2 변화 패턴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제 2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일 수 있다. 처리부(120)는 제 3 변화 패턴이 제 1 변화 패턴 및 제 2 변화 패턴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제 6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change pattern may be generat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change pattern and the second change pattern, and the thir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change pattern and the second change pattern. May be the case where the user swip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second direction.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six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thir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change pattern and the second change pattern.

예를 들어, 제 3 변화 패턴은 제 2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제 3 변화 패턴이 제 2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제 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여 제 2 변화 패턴이 발생한 이후에, 사용자가 터치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복수의 전극(111)을 제 2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일 수 있다. 처리부(120)는 제 3 변화 패턴이 제 2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20)는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제 7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제 8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극(111)에 대한 사용자의 스와이프 동작의 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는 복수의 전극(111)의 각 전극에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한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change pattern may be generated continuously in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When the third change pattern is continuously generated when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the user swip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fter the second change pattern occurs, the user does not release the finger touched by the user. Rather, it may be a case of swip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in the second direction.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third change pattern when the third change pattern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seven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third change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peed, and generate an eigh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third change pattern is less than the reference speed. . That is, different user input signals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swipe opera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eanwhile, the velocity information of the third change pattern may be defined using a time interval in which impedance change occurs in each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또한, 예를 들어, 제 3 변화 패턴은 제 1 변화 패턴 및 제 2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제 3 변화 패턴은 제 1 변화 패턴 및 제 2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복수의 전극(111)을 터치하여 제 1 변화 패턴이 발생한 이후에, 사용자가 터치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복수의 전극(111)을 제 1 방향으로 스와이프하고, 계속해서 복수의 전극(111)을 제 2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는 경우일 수 있다. 처리부(120)는 제 3 변화 패턴이 제 1 변화 패턴 및 제 2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20)는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제 9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third change pattern may be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and the second change pattern. When the third change pattern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and the second change pattern, after the user touche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o generate the first change pattern, the user does not release the finger. Instea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swip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may be swip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using the velocity information of the third change pattern when the third change pattern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and the second change pattern. For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generate a nin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third change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peed, and generate a ten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third change pattern is less than the reference speed. .

예를 들어, 제 6 사용자 입력 신호 내지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는 전자기기 등에서 서로 다른 명령(command)으로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xth to tenth user input signals may be used as different commands in electronic devic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센서(100)는 복수의 전극(111)으로 구성되는 전극 모듈(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입력 신호(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100)는 입력 수단으로서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다양한 전자 장치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적용성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various user input signals (for example, using a user's touch input to the electrode module 110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ctrodes 111). , First to tenth user input signals). Therefore, the touch sensor 100 may have high user convenience as an input means. In addition, since the touch sensor may be used as an input mea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it may have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조립체를 보여준다.6 shows a touch senso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조립체(10)는 전극 모듈(110), 처리부(120), 및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모듈(110) 및 처리부(1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100)를 구성할 수 있다. 전극 모듈(110) 및 처리부(120)의 구조 및 동작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Referring to FIG. 6,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electrode module 110, a processor 120, and a substrate 130. The electrode module 110 and the processor 120 may configure the touch sensor 1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Structures and operations of the electrode module 110 and the processor 12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극 모듈(110) 및 처리부(120)는 기판(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모듈(110) 및 처리부(120)는 기판(13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 모듈(110) 및 처리부(120)는 기판(130)에 실장되고, 패키징됨으로써 터치 센서 조립체(10)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 조립체(10)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다양한 전자 장치의 입력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e electrode module 110 and the processor 12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30. For example, the electrode module 110 and the processing unit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ubstrate 130. The electrode module 110 and the processing unit 12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130 and packaged to constitute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may be configured as one module and applied as an input mea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또는 터치 센서 조립체의 적용예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7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ouch sensor or a touch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입력부(1100), 제어부(1200), 디스플레이부(1300), 카메라(1400), 및 사운드 출력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7 and 8, an electronic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0, a controller 1200, a display unit 1300, a camera 1400, and a sound output unit 1500. ) May be included.

입력부(1100)는 터치 센서(100) 또는 터치 센서 조립체(10)일 수 있다. 즉, 터치 센서(100) 또는 터치 센서 조립체(10)는 전자 장치(1000)의 입력부(1100)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00) 또는 터치 센서 조립체(10)는 전자 장치(100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제 1 내지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00 may be the touch sensor 100 or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That is, the touch sensor 100 or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may operate as the input unit 110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100 or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touch sensor 100 may generate first to tenth user input signals using a user's touch input.

제어부(1200)는 전자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0)는 입력부(11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300), 카메라(1400), 및 사운드 출력부(1500) 등 전자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The controller 1200 controls operations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apparatus 1000 such as the display 1300, the camera 1400, and the sound output unit 1500 in response to a user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100. can do.

제어부(1200)는 입력부(110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내지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0)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0)는 제 1 사용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0)의 전원(미도시)을 턴-온 또는 턴-오프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카메라(1400)의 촬영 동작(즉, 셔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0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apparatus 1000 in response to the first to tenth user input signal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0 may turn on or turn off the power (not show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when the first user input signal is input, or when the second user input signal is input. A photographing operation (ie, shutter operation) of the camera 1400 may be performed.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200)는 제 3 사용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000)의 사운드 출력부(1500)를 제어하여 오디오 볼륨을 높일 수 있고, 제 6 사용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운드 출력부(1500)를 제어하여 오디오 볼륨을 낮출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0 may increase the audio volume by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unit 1500 of the 000 when the third user input signal is input, and output the sound when the sixth user input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1500 may control the audio volume to be lowered.

또한, 전자 장치(1000)는 제 4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 5 사용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ourth user input signal or the fifth user input signal is input, the electronic apparatus 1000 may increase the display brightness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300.

또한, 제어부(1200)는 제 7 내지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300), 카메라(1400), 및 사운드 출력부(1500)의 다른 동작 또는 디스플레이부(1300), 카메라(1400), 및 사운드 출력부(1500) 이외에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0 may perform other operations of the display unit 1300, the camera 1400, and the sound output unit 1500 using the seventh to tenth user input signals, or the display unit 1300 and the camera 1400. In addition to the, and the sound output unit 1500, operations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may be controlled.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0)는 터치 센서(100) 또는 터치 센서 조립체(10)로 구성되는 입력부(1100)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부(1100)에 대한 간단한 터치 입력만으로 전자 장치(10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apparatus 1000 generates various user input signals through the input unit 1100 composed of the touch sensor 100 or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and gene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generated user input signals. Control their behavior. Accordingly, the user may control various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apparatus 1000 only with a simple touch input to the input unit 1100,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또한, 전자 장치(1000)의 제어부(1200)는 제 1 내지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입력 신호 전자 장치(1000)의 사용 권한 인증을 위한 인증 신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0)는 입력부(1100)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내지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 저장된 제 1 내지 제 10 사용자 입력 신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용 권한을 인증하고, 전자 장치(10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0 of the electronic apparatus 1000 may use the authentication signal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enth user input signal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0 compares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enth user input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100 with previously stored first to tenth user input signals, and compares the usage rights when they match.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0 may be unlocked.

한편, 전자 장치(1000)의 입력부(1100)가 터치 센서(100) 또는 터치 센서 조립체(10)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200)는 입력부(1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모르스 부호(Morse Code)로 변환하여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 2 사용자 입력 신호는 모르스 부호의 도트(●)로 인식될 수 있고, 제 3 사용자 입력 신호는 바(―)로 인식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nput unit 110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is implemented as the touch sensor 100 or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the controller 1200 may recognize a user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0 as a morse code ( Morse Code) to recognize it. For example, the first user input signal or the second user input signal may be recognized as a dot (●) of a Morse code, and the third user input signal may be recognized as a bar (−).

나아가,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가 휴대용 단말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입력을 입력 수단으로 갖는 다양한 전자 장치(예를 들어, 차량의 센터페시아 조작부,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조작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조작부 등)에 본 발명의 터치 센서(100) 및 터치 센서 조립체(10)가 입력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FIG. 7 illustrates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the electronic device 10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ing a touch input as an input means (for example, a center of a vehicle). The touch sensor 100 and the touch sensor assembl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as an input means to a fascia operation unit, an operation unit of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an operation unit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nd the lik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터치 센서 조립체 100: 터치 센서
110: 전극 모듈 111: 복수의 전극
111a: 제 1 전극 111b: 제 2 전극
112: 절연층 120: 처리부
130: 기판 1000: 전자기기
1100: 입력부 1200: 제어부
1300: 디스플레이부 1400: 카메라
1500: 사운드 출력부
10: touch sensor assembly 100: touch sensor
110: electrode module 111: a plurality of electrodes
111a: first electrode 111b: second electrode
112: insulating layer 120: processing part
130: substrate 1000: electronic device
1100: input unit 1200: control unit
1300: display unit 1400: camera
1500: sound output unit

Claims (12)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극 모듈; 및
상기 전극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서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가 합산된 전체 임피던스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동시에 터치 가능하며,
상기 변화 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동시에 발생되는 제 1 변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
An electrod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electrically separate each electrode; And
A processo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odule and generates a user input signal by using a change pattern of total impedance, in which impedance changes gener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dded by a user's touch input,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sequentially disposed with the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first direction,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s defined as a touch input using one finger of the user,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be simultaneously touched by the user's touch input.
The change pattern includes a first change pattern in which the impedance change is simultaneously gener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by a touch input of the user, and the processor generates the user input signal using the first change pattern. , Touch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변화 패턴의 지속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rocessing unit generates the user input signal using the duration of the first change patter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변화 패턴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변화 패턴이 상기 기준 시간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 제 2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cessor generates a first user input signal when the first change pattern last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and generates a second user input signal when the first change pattern lasts less than the reference time. Touch sens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제 2 변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2 변화 패턴이 발생되는 경우 제 3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nge pattern includes a second change pattern in which the impedance change is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rocessing unit generates a third user input signal when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화 패턴은 상기 제 1 변화 패턴의 발생에 연속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in succession to the occurrence of the first change patter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제 4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변화 패턴의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제 5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further uses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to generate a four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peed, and when the speed of the second change pattern is less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generating a fifth user input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제 2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되는 제 3 변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3 변화 패턴이 발생되는 경우 제 6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of claim 6,
The change pattern includes a third change pattern in which the impedance change is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long a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processing unit generates a six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third change pattern is generat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 정보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제 7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변화 패턴의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제 8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further uses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third change pattern to generate a seventh user input signal when the speed of the third change patter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peed, and when the speed of the third change pattern is less than the reference speed. And a eighth user input signal.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전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극 모듈;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서 발생되는 임피던스 변화가 합산된 전체 임피던스의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하나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으로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동시에 터치 가능하며,
상기 변화 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상기 임피던스 변화가 동시에 발생되는 제 1 변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 1 변화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 조립체.
Board;
An electrode module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electrod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electrically separate each electrode; And
A processing unit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odule and generating a user input signal using a change pattern of total impedance in which impedance changes gener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dded by a user's touch input. Includ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sequentially disposed with the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first direction,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s defined as a touch input using one finger of the user,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be simultaneously touched by the user's touch input.
The change pattern includes a first change pattern in which the impedance change is simultaneously gener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by a touch input of the user, and the processor generates the user input signal using the first change pattern. , Touch sensor assembl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상기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with the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KR1020170159485A 2017-11-27 2017-11-27 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 KR102013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85A KR102013938B1 (en) 2017-11-27 2017-11-27 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85A KR102013938B1 (en) 2017-11-27 2017-11-27 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80A KR20190061280A (en) 2019-06-05
KR102013938B1 true KR102013938B1 (en) 2019-08-23

Family

ID=6684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485A KR102013938B1 (en) 2017-11-27 2017-11-27 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93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5754A (en) * 2012-08-10 2014-02-24 Nissha Printing Co Ltd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4002A (en) * 2012-01-16 2013-07-24 허홍 Tv remote-controller having touch screen to supply different menu according to touching location and direction, and user interface method using th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5754A (en) * 2012-08-10 2014-02-24 Nissha Printing Co Ltd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80A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2371B2 (en) Detection sensor and input device
CN106155443B (en) Multi-step incremental switching scheme
US8149226B2 (en) Operational direction detecting device
CN107436703B (en) Touch sensor compensation circuit
CN107015711B (en) Variable time anti-aliasing filter
US9367190B2 (en)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for a capacitive touch apparatus
TWI680389B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touch sensor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TW201541314A (e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control
KR101810543B1 (en) Fingerprint sensor with sync signal input
KR101370719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bezel gesture
KR102013938B1 (en) Touch sensor and touch sensor assembly
CN105589644A (en) Terminal equipment and unlock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612100B2 (en) Touch emulator
CN106445220B (en) Touch detection method and capacitive sensing device
US9983749B2 (en) Touch detection
KR10133321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using bezel
CN110134281B (en) Capacita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6360624B2 (en) Terminal
JP2017500660A (en) Man / machine interface to control at least two functions of the motor vehicle
CN104375724B (en) Mobile terminal and touch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11766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touch sensing signal and method thereof
CN112513796B (en) Touch panel detection method and touch panel
US2016023185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ode control method and touch sensing method thereof
JP3167328U (en) Touch device
US11301046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