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361B1 -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 Google Patents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361B1
KR102013361B1 KR1020190087691A KR20190087691A KR102013361B1 KR 102013361 B1 KR102013361 B1 KR 102013361B1 KR 1020190087691 A KR1020190087691 A KR 1020190087691A KR 20190087691 A KR20190087691 A KR 20190087691A KR 102013361 B1 KR102013361 B1 KR 10201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lishing pad
conveyor
sand pa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봉섭
Original Assignee
가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봉섭 filed Critical 가봉섭
Priority to KR102019008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3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3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4D18/0009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oulds o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8Circular back-plates for carrying flexible material
    • B24D9/085Devices for mounting sheets on a backing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provides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which comprises a cutting mold portion (50) provided with an upper mold (51) punching sand paper (A) moved to a lower mold (52) to be cut and processed with a polishing pa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upper mold (51) comprises: a first blade (110) in which a central portion constituting a hollow is formed; and a second blade (120) of which an inner side is hollowed, and a dead end hitting the sand paper (A) is fixed to a hollow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to protrude downwards compared to the first blade.

Description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Polishing pad manufacturing device with double blades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본 발명은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일반적으로, 연마라 함은 고체의 표면을 다른 고체의 모서리나 표면으로 문질러 매끈하게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마는 연마제(대부분 돌이나 쇠붙이 따위를 갈고 닦는 작업을 하는 데에 쓰이는 매우 단단한 물질)를 이용하여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매끈하게 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polishing refers to smoothing the surface of a solid by rubbing it to the edges or surfaces of other solids. This polishing involves the use of abrasives (very hard materials used to grind and polish stones and metals). It can be said that the operation to smooth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전술한 바와 같은 연마제를 사용하는데 있어 수작업으로 직접 연마제가 구성된 연마용 페이퍼 등을 들고 연마작업을 시행하거나 대량의 물건을 짧은 시간에 연마하여 고도의 평활도를 얻기 위해서는 연마기를 사용하기도 한다.In using the above-described abrasives, a polishing machine may be used to manually carry out polishing paper, which is composed of abrasives, or to obtain a high level of smoothness by grinding a large amount of objects in a short time.

한편, 가장 보편적인 연마기의 종류로는 간편히 손으로 들어 연마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핸드 그라인더가 있는데, 이러한 그라인더는 연마기 몸체와 연마기 몸체에 구성된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연마 디스크로 이루어져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연마 디스크의 회전시 연마 디스크에 의해 연마작업이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common types of grinders are hand grinders which are configured to be easily lifted by hand. Such grinders are composed of a grinder body, a drive motor configured in the grinder body, and a polishing disc installed on a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The polish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polishing disk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polishing disk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마용 디스크는 공개실용신안 제1998-059542호에 개시된 것으로, 연마용디스크는 일면에 연마제가 부착된 연마패드의 타면이 디스크 홀더 전면에 벨크로테이프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연마용 디스크는 디스크 홀더의 회전시 연마패드의 연마제와 가공대상물의 접촉에 따라 가공대상물의 표면이 연마된다.The polishing disk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1998-059542, wherein the polishing disk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having an abrasive attached to one surface by Velcro t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k holder. It is composed. In the polishing dis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is polished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workpiece with the abrasive of the polishing pad when the disc holder rotates.

여기서 연마패드는 연마패드 제조장치에 의해 연마 디스크에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예를 들면, 원형)으로 가공된다. Here, the polishing pad is process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 circular shape) so as to be attached to the polishing disk by the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종래의 연마패드 제조장치는 가로 및 세로 폭을 갖는 대형 샌드페이퍼가 인입되면, 상부 금형(5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하강하면서 샌드페이퍼를 펀칭하여 복수개의 연마패드로 절단 가공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when a large sandpaper having a horizontal and a vertical width is inserted, a plurality of blades installed in the upper mold 51 descend and punch the sandpaper to be cut into a plurality of polishing pads.

이때, 종래의 연마패드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블레이드는 고가의 장비로서 마모도에 따라 사용수명이 결정되고, 대상물이 샌드페이퍼임에 따라 마모도가 높기에 일반 펀칭용 금형 장치의 블레이드에 비하여 교체주기가 빠르다. In this case, the blad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is expensive equipment, the service lif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ear degree, and the replacement cycle is faster than the blade of the general punching die device because the wear is high according to the object is sand paper.

즉, 종래의 연마패드 제조장치는 블레이드의 마모도가 높기에 교체 주기가 짧고, 고가의 장비임에 따라 관리 및 유지 비용이 증가되는 원인이 되었다. That is, the conventional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s a high wear rate of the blade, the replacement cycle is short, and the expensive equipment is a cause of increased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아울러 종래의 연마패드 제조장치는 제조된 연마패드를 하나의 탱크 또는 함체로 수집한 뒤에 주문 용량에 따라 수량을 분류하여 포장박스로 수납하는 작업이 이어졌다. 따라서 종래의 제조장치는 연마패드의 분류와 수납을 위한 인력이 추가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the manufactured polishing pads are collected in one tank or an enclosure, and then, the quantity is sorted according to the ordering capacity and stored in a packing box. Therefore,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requires additional manpower for the classification and storage of the polishing pad.

또한, 연마패드가 제조되고 남은 샌드페이퍼는 연마패드가 인출된 남은 부분으로서 폐기물로 배출된다. 이때 폐기물은 작업자가 철사나 노끈등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묶은 뒤에 지정된 장소로 이동 및/또는 보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remaining sandpaper after the polishing pad is manufactured is discharged as waste as the remaining portion from which the polishing pad is drawn out. At this time, the waste is collected and / or stored in a designated place by the worker using various means such as wires or ropes.

하지만, 폐기물은 롤링된 묶음으로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동시키기에 이동전 수작업으로 묶는 과정이 필요하나, 그 작업이 어렵고, 이동중에 묶음 상태가 흐트러질 수 있어 이동시 많은 수고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lthough the waste is a rolled bundle, the worker needs to manually bundle before moving it to move it manually, but the work is difficult and the bundle state may be disturbed during the movement, thus requiring a lot of effort during the movement.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24016호(2006.03.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24016 (2006.03.15)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00191호(2005.10.26)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Publication No. 20-0400191 (2005.10.26)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패드의 가공을 위한 블레이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관리 및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blade that can extend the life of the blade for the processing of the polishing pad can reduce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연마패드를 수량 기준으로 자동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분류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automatically dispense the manufactured polishing pads on a quantity basis to reduce the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the classification of products.

또한, 본 발명은 제조 후 남은 폐기물의 이동 및 묶음이 용이하도록 페기물이 로딩되는 코일러의 구조를 개선한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oiler is loaded with waste to facilitate the movement and bundle of the remaining waste after manufactur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부 금형으로 이동된 샌드페이퍼를 펀칭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연마패드로 절단 가공하는 상부 금형을 구비하는 절단 금형부를 포함하고, 상부 금형은 중공을 이루는 중심부가 형성되는 제1블레이드 및 내측이 중공되고, 샌드페이퍼를 타격하는 끝단이 제1블레이드 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제1블레이드의 중공면에 고정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tting mold portion having an upper mold for punching the sandpaper moved to the lower mold and cutting with a polishing pa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wherein the upper mold has a first blade having a central portion forming a hollow. And a second blade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second blade fixed to the hollow surface of the first blade such that an end striking the sandpaper protrudes downward than the first blade.

따라서 본 발명은 연마패드를 펀칭하여 절단 가공하는 블레이드에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및 교체 가능한 보조 블레이드를 추가함에 따라 블레이드의 교체에 따른 유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blade that can be manufactured and replaced at a lower cost is added to the blade for punching and cutting the polishing pad, thereby achieving an effect of saving maintenance costs due to blade replacement.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연마패드를 포장박스에 직접 수납하고, 포장박스의 중량을 감지하여 수납 완료된 포장박스와 빈 포장박스를 분류 및 이동시킬 수 있어 제품 수납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store the manufactured polishing pad in the packaging box, can sense the weight of the packaging box to sort and move the completed packaging box and empty packaging box can reduce the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product storage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제조 후 남은 폐기물을 로딩하고, 롤형태로 로링된 폐기물이 묶음이 보다 용이하도록 묶음끈이 일체로 제공되는 코일러를 제공함에 따라 폐기물의 묶음 및 이동이 보다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iler that loads the remaining waste after manufacture and is provided with a bundle string integrally so that the wastes rolled in a roll form are easier to bundle, so that the bundle and movement of waste can be more easily obtained. Can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간략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간략도면이다.
도 3은 연마패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절단 금형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커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커팅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도면이다.
도 8은 포장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가압 금형부의 가이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코일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코일러부의 회전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코일러부의 폐기물 묶음 과정을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showing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dou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mplified diagram of FIG. 1.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lishing pad.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tting die por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utting modul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utting module.
7 is an exploded view of FIG. 6.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ckaging unit.
9 is a view showing the guide means of the pressing die por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iler unit.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ng shaft of the coiler portion.
12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waste bundle process of the coiler unit.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group”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nd / o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given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ny combination of the possible ite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dou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를 간략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간략 도면, 도 3은 샌드페이퍼(A) 및 가공된 연마패드(a)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showing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doubl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mplified view of Figure 1, Figure 3 shows a sandpaper (A) and the processed polishing pad (a) Draw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제어부(10)의 동작 명령 및/또는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20)와,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부저(30)와, 연마패드(a)를 가공하는 절단 금형부(50)와, 샌드페이퍼(A)에서 절단된 연마패드(a)를 인출시키는 가압 금형부(60)와, 롤링된 샌드페이퍼(A)를 절단 금형부(50)로 공급하는 언코일러부(80)와, 연마패드(a)가 가공된 이후 남은 샌드페이퍼(A)의 폐기물(C)을 롤형태로 로딩하는 코일러부(70)와, 가압 금형부(60)에서 인출된 연마패드(a)를 설정된 수량별로 분류 수납하는 포장부(40)를 포함한다.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unit 10 for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a switch unit 20 for outputting an operation command and / or a sett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The buzzer 30, the cutting die 50 for processing the polishing pad a, the press die 60 for pulling out the polishing pad a cut from the sand paper A, and the rolled sand paper A ), The coiler unit 70 for loading the uncoiler unit 80 for supplying the cutting mold unit 50 and the waste C of the sandpaper A remaining after the polishing pad a is processed in a roll form. And, the packaging unit 40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polishing pad (a) drawn out from the pressing die 60 by the set quantity.

스위치부(20)는 복수개의 스위치로서 작동 온 또는 오프 신호와, 예약 가동 시간이나 경보조건을 설정한다. The switch unit 20 sets an operation on or off signal, a reservation operation time or an alarm condition as a plurality of switches.

언코일러부(80)는 샌드페이퍼(A)를 롤링 상태로 수납 및 보관하고,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롤링된 샌드페이퍼(A)를 순차적으로 절단 금형부(50)로 공급한다. The uncoiler part 80 stores and stores the sand paper A in a rolling state, and sequentially supplies the rolled sand paper A to the cutting mold part 50 while being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do.

코일러부(70)는 절단 금형부(50) 및 가압 금형부(6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에 연마패드(a)가 인출된 후 남은 샌드페이퍼(A)(이하 폐기물(C) 이라 칭함)를 롤링형태로 감아서 수납한다. The coiler part 70 passes through the cutting mold part 50 and the pressurizing mold part 60 sequentially, and then sand sand A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te C) remaining after the polishing pad a is drawn out. It is rolled up and stored in a rolling form.

즉, 언코일러부(80)는 가공 이전에 샌드페이퍼(A)를 공급하고, 코일러부(70)는 연마패드(a)의 가공후 남은 샌드페이퍼(A)(폐기물(C))를 수납한다. 이와 같은 코일러부(70)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한다. That is, the uncoiler part 80 supplies the sand paper A before processing, and the coiler part 70 receives the sand paper A (waste C) remaining after the polishing pad a is process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iler 70 will be described later.

부저(3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하여 경보를 발령한다. 여기서 경보조건은 절단 금형부(50) 내지 코일러부(70)의 이상 동작 여부나 고온 및 화재 감지 여부로 설정될수 있다. 또는 부저(30)는 언코일러부(80)에서 수납된 샌드페이퍼(A) 롤이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여기서 언코일러부(80) 및 코일러부(70)는 각각 공급 또는 수납되는 샌드페이퍼(A)의 롤 수량 및/또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0)는 해당 센서들의 감지신호에 따라 부저(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buzzer 30 issues an alar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In this case, the alarm condition may be set to whether abnormal operation of the cutting mold unit 50 to the coiler unit 70 or high temperature and fire detection. Alternatively, the buzzer 30 may issue an alarm when all the rolls of sand paper A stored in the uncoiler unit 80 are exhausted. Here, the uncoiler part 80 and the coiler part 70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not shown) capable of detecting the quantity and / or weight of the roll of sand paper A supplied or received, respectively, and the controller ( 10) may control the buzzer 3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corresponding sensors.

절단 금형부(50)는 상부 금형(51)과 하부 금형(52)으로 구분되며, 언코일러부(80)에서 공급된 샌드페이퍼(A)를 펀칭 가공하여 소정의 형상(예를 들면, 원형)을 갖는 복 수개의 연마패드(a)를 가공한다. 여기서 상부 금형(51)은 복수개의 연마패드(a)로 가공하기 위하여 하부 금형(52)과의 조합에 의하여 샌드페이퍼(A)를 절단하기 위한 복 수개의 커팅모듈(100)을 구비한다. The cutting mold part 50 is divided into an upper mold 51 and a lower mold 52, and punches the sandpaper A supplied from the uncoiler part 80 to form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 circular shape). A plurality of polishing pads (a) having are processed. Here, the upper mold 51 includes a plurality of cutting modules 100 for cutting the sand paper A by combining with the lower mold 52 to process the plurality of polishing pads a.

여기서 샌드페이퍼(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롤링되고, 절단 금형부(50)는 샌드페이퍼(A)를 타격하여 연마패드(a)를 가공한다. 도 3은 절단 금형부(50)에 의해 연마패드(a)가 가공되었으나, 인출되기 전의 샌드페이퍼(A)를 도시한 도시한 것이다. Here, the sand paper A is rolle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3, and the cutting mold part 50 strikes the sand paper A to process the polishing pad a. FIG. 3 shows the sandpaper A before the polishing pad a has been processed by the cutting die 50 but before being drawn out.

가압 금형부(60)는 절단 금형부(50)에 의해 절단된 연마패드(a)를 샌드페이퍼(A)로부터 이탈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압 금형부(60)는 상하 이동되는 몸체의 하면에 복수개의 가압바(61)(도 8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The press mold part 60 separates the grinding | polishing pad a cut | disconnected by the cutting die part 50 from the sand paper A. FIG. To this end, the pressure mold unit 6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ssure bars 61 (see FIG. 8)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to be moved up and dow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포장부(40)는 가압 금형부(60)에서 이탈되는 연마패드(a)를 포장박스(B)로 수납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컨베이어(41, 42, 43)와, 포장박스(B)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센서(44)는 연마패드(a)가 수납되는 포장박스(B)의 중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제어부(10)는 중량센서(44)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중량이 수납된 포장박스(B)를 이동시킨 후, 빈 포장박스(B)가 수납위치로 이동되도록 컨베이어(41~43)들을 제어한다. The packing unit 40 may include first and third conveyors 41, 42, and 43 and a packing box B to accommodate the polishing pad a separated from the press mold 60 as a packing box B. FIG. It may include a weight sensor 44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weight sensor 44 detects the weight of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accommodated, and outputs the weight to the controller 10. The controller 1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sensor 44 to move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set weight is stored, and then moves the conveyors 41 to 43 to move the empty packing box B to the storage position. To control.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부터는 각 구성별 세부 설명을 개시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절단 금형부(50)를 설명한다. 여기서 상부금형은 하면에서 복수개의 커팅모듈(100)이 정렬되나, 도 4에서는 하나의 커팅모듈(100)만을 예시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ch a configuration,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 each configuration. First, the cutting mold unit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Here, the upper mold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utting modules 100 in the lower surface, but only one cutting module 100 is illustrated in FIG.

도 4는 절단 금형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커팅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ting die por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ting modul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절단 금형부(50)는 상하로 이동되는 상부 금형(51)과, 상부 금형(51)의 하측에 고정되어 이동되는 샌드페이퍼(A)를 지지하는 하부 금형(52)을 포함한다. 4 and 5, the cutting mold part 50 includes an upper mold 51 which moves up and down, and a lower mold 52 which supports sand paper A that is fixedly moved below the upper mold 51. ).

상부 금형(51)은 샌드페이퍼(A)를 타격하여 커팅하는 복수개의 커팅모듈(100)과, 샌드페이퍼(A)를 가압하는 볼록면(511)과, 커팅모듈(100)이 설치되는 설치홈(512)을 포함한다. The upper mold 51 has a plurality of cutting modules 100 for hitting and cutting the sand paper A, a convex surface 511 for pressing the sand paper A, and an installation groove 512 in which the cutting module 100 is installed. ).

볼록면(511)은 복수개로서 하향된 볼록형의 곡면으로 후술되는 하부 금형(52)의 오목홈(521)과 연계되어 샌드페이퍼(A)를 가압한다. 즉, 볼록면(511)은 상부 금형(51)이 하강되면 하부 금형(52)의 오목홈(521)에 삽입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된 샌드페이퍼(A)를 가압한다. The convex surface 511 presses the sandpaper A in connection with the concave groove 521 of the lower mold 5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a plurality of downwardly convex curved surfaces. That is, when the upper mold 51 is lowered, the convex surface 51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521 of the lower mold 52 and presses the sandpaper A positioned therebetween.

설치홈(512)은 볼록면(511)을 중심으로 내향된 홈으로 형성되어 커팅모듈(100)이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installation groove 512 is formed as a groove inwardly around the convex surface 511 to form a space accommodated by the cutting module 100.

여기서 상부 금형(51)은 하강되면서 하부 금형(52)과의 사이에 위치된 샌드페이퍼(A)를 커팅모듈(100)이 펀칭하여 커팅모듈(100)의 형상에 따른 연마패드(a)로 가공한다. 여기서 상부 금형(51)은 이와 같은 펀칭 가공을 위하여 탄성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일반적은 펀칭 가공 금형에 적용된 기술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 the upper mold 51 is lowered and the cutting module 100 punches the sandpaper A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mold 52 and the polishing pad 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tting module 100. . Here, the upper mold 51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ans (not shown) for such a punching process, which is omitted because it is a technique generally applied to the punching die.

커팅모듈(100)은 원형의 제1블레이드(110)와, 제1블레이드(110)의 내면에서 고정되는 제2블레이드(120)를 포함한다. The cutting module 100 includes a circular first blade 110 and a second blade 120 fix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제1블레이드(110)는 중공형의 중심부(111)와, 상면에서 복 수개의 고정공(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공(112)은 상부 금형(51)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예를 들면,나사나 볼트)이 체결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된다. The first blade 110 has a hollow central portion 111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2 on the upper surface. Her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2 are formed to fasten fixing means (for example, screws or bolt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ld 51.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의 중공형의 중심부 내면에 고정되는 링형상으로 끝단이 제1블레이드(110)와 동일한 수평선을 유지하지 않고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제2블레이드(120)는 끝단이 제1블레이드(110)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고정됨에 따라 제1블레이드(110)보다 먼저 샌드페이퍼(A)를 가압한다. The second blade 120 is fixed in a ring shap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lade 110 so that the end thereof protrudes without maintaining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irst blade 110. Here, the second blade 120 presses the sandpaper A before the first blade 110 as the end is fixed to protrude downwardly from the first blade 110.

따라서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는 설치홈(512)에 설치되고, 중심부(111)가 중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부 금형(51)에서 하향 돌출된 볼록면(511)을 노출시킨다. Accordingly,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ar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512, and the convex surface 51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mold 51 is exposed as the central portion 111 is hollow. Let's do it.

하부 금형(52)은 커팅모듈(100)과 동일한 숫자 및 위치에서 각각 하향된 오목홈(521)이 형성되고, 오목홈(521)의 외측 테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향돌출되는 삽입단(522)과, 제1블레이드(110)가 인입되는 인입홈(523)이 내향 형성된다. The lower mold 52 has recessed grooves 521 downwardly formed at the same number and position as that of the cutting module 100, and an insertion end 522 upwardly protru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outer edge of the recessed groove 521. And, the inlet groove 523 through which the first blade 110 is introduced is formed inward.

오목홈(521)은 제2블레이드(120)의 중공을 통하여 돌출된 볼록면(511)과 연계하도록 하부 금형의 상면에서 내향된 만곡면을 이루고, 상부 금형(51)의 볼록면(511)에 의해 가압된 샌드페이퍼(A)를 지지한다. The concave groove 521 forms a curved surface i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vex surface 511 protruding through the hollow of the second blade 120, and to the convex surface 511 of the upper mold 51. The sand paper A pressurized is supported.

삽입단(522)은 상부 금형(51)이 하강되면 볼록면(511)과 제2블레이드(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삽입단(522)은 제2블레이드(120)와 상하로 엇갈리면서 샌드페이퍼(A)를 가압하면서 볼록면(511)과 제2블레이드(120) 사이의 이격된 틈새로 체결된다. 즉, 삽입단(522)은 제1블레이드(110) 및 제2블레이드(120)가 샌드페이퍼(A)를 타격할 때 샌드페이퍼(A)가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The insertion end 522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convex surface 511 and the second blade 120 when the upper mold 51 is lowered. Here, the insertion end 522 is fastened to a spaced gap between the convex surface 511 and the second blade 120 while pressing the sand paper A while staggering up and down with the second blade 120. That is, the insertion end 522 serves to hold the sand paper (A) does not flow when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hit the sand paper (A).

인입홈(523)은 삽입단(522)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확장되어 하향된 홈을 이룬다. 여기서 인입홈(523)은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inlet groove 523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side about the insertion end 522 to form a downward groove. Here, the inlet groove 523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are inserted.

상기와 같은 상부 금형(51)은 제1블레이드(110)가 샌드페이퍼(A)를 직접 타격할 경우에 마모도가 심하게 발생되어 교체 주기가 빨라질 수 있다. 하지만, 제1블레이드(110)에 제2블레이드(120)가 추가 설치됨에 따라 제1블레이드(110) 보다 먼저 샌드페이퍼(A)를 타격한다. 즉, 제2블레이드(120)가 먼저 타격하고, 이후 제1블레이드(110)가 가압하게 되어 제2블레이드(120)에서 충격을 보다 많이 받게 된다. In the upper mold 5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blade 110 directly strikes the sand paper A, abrasion is severely generated so that the replacement cycle may be faster. However, as the second blade 120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first blade 110, the sand paper A is hit before the first blade 110. That is, the second blade 120 hits first, and then the first blade 110 is pressurized so that the second blade 120 receives more impact.

여기서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의 중심부(111)의 내면, 즉 중공면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연장관(121)임에 따라 제1블레이드(110)에 비하여 제작비가 저렴하다. In this case, the second blade 120 is a ring-shaped extension tube 121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111 of the first blade 110, that is,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ade 110. .

또한, 제2블레이드(120)는 링형상의 연장관(121)으로 형성되거나,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장관(121)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22)(도 4, 도 6 및 도 7 참조)이 추가되어 제1블레이드(1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blade 120 is formed of a ring-shaped extension tube 121, or as shown in the figure vertical plate 122 (Fig. 4, 6 and 7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tube 121) May be added to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즉, 본 발명은 샌드페이퍼(A)를 커팅시에 마모로 인하여 보다 제작 단가가 고가인 제1블레이드(110)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제2블레이드(120)를 추가함에 따라 블레이드의 교체에 따른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lade 120 can be manufactured at a lower cost than the first blade 110, which is more expensive due to abrasion when cutting the sand paper A, resulting in replacement of the blade. Reduced administrative costs

또한, 제2블레이드(120)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제1블레이드(110)의 중심부 (111) 내면 및/또는 배면에 용접으로 접착될 수 있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blade 120 may be welded to the inner surface and / or the rea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111 of the first blade 11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ssembling and detaching may be performed as in the following other embodiments. It may be made of an easy structur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커팅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도면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utting module, Figure 7 is an exploded view of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팅모듈(100)은 상호 탈부착 가능한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를 구비한다.6 and 7, the cutting module 100 includes a first blade 110 and a second blade 120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제1블레이드(110)는 연마패드(a)의 형상에 일치되는 중공형의 중심부(111)와, 상면에서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제1고정공(112)과 중심부(111)의 내면(중공면)에 형성되는 나사홈 또는 나사산(113)(이하 나사구조라 총칭함)을 포함한다. The first blade 110 has a hollow central portion 11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lishing pad (a), and an inner surface (hollow surface) of the first fixing hole 112 and the central portion 111 to which the fixing screw is fastened from the upper surface. It includes a screw groove or thread 113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crew structure) formed in the).

제2블레이드(12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이루는 연장관(121)과, 연장관(121)의 외면에서 형성되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123)(이하 나사 구조라 총칭함)과, 연장관(121)에서 수직으로 확장되는 수직판(122)과, 수직판(122)에서 고정수단이 연통되는 제2고정공(124)과, 체결수단(130)이 체결되는 체결공(125)을 포함한다. The second blade 120 is an extension pipe 121 forming an outer surfac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screw thread or a screw groove 12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crew structu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121, and in the extension pipe 121 And a vertical plate 122 extending vertically, a second fixing hole 124 through which the fixing means communicates with the vertical plate 122, and a fastening hole 125 to which the fastening means 130 is fastened.

연장관(121)은 링형상으로 외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블레이드(110)의 중심부(111)의 중공면에 밀착된다. The extension tube 121 has a ring shape and the outer surface thereof extends in one direc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low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111 of the first blade 110.

여기서 연장관(121)은 외면에 형성된 나사구조(123)가 제1블레이드(110)의 중공면에 형성된 나사구조(113)와 체결된다. The extension tube 121 is fastened to the screw structure 113 formed on the hollow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the screw structure 12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즉,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의 중공면에 연장관(12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나사 결합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blade 120 is screwed while the extension tube 12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the hollow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it may be separated while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수직판(122)은 연장관(121)의 외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확장된다. 수직판(122)은 연장관(121)이 제1블레이드(110)의 중공면에 체결되면, 제1블레이드(110)의 반대면에 밀착되어 연장관(121)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The vertical plate 12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tube 121. When the extension plate 121 is fastened to the hollow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the vertical plate 12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to prevent movement of the extension pipe 121.

또한 수직판(122)은 제2고정공(124)과 체결공(125)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 및 상부 금형(51) 간의 결합면적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plate 122 provides a coupling area between the first blade 110, the second blade 120, and the upper mold 51 as the second fixing hole 124 and the fastening hole 125 are formed, respectively. .

제2고정공(124)은 제1고정공(112)으로 인입된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상부 금형(51)까지 연통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The second fixing hole 124 guides the fixing means (not shown) introduced into the first fixing hole 112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mold 51.

체결공(125)은 체결수단(130)(예를 들면, 볼트 또는 나사)이 인입되어 제1블레이드(110)로 연통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제1블레이드(110)의 반대면은 체결공(125)에 일치되는 결합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125 guides the fastening means 130 (for example, a bolt or a screw) to be introduced into and communicated with the first blade 110. Here,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not shown) matching the fastening hole 125.

체결수단(130)은 체결공(125)을 통하여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를 결합시킨다. The fastening means 130 couples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through the fastening hole 125.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는 상호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체결수단(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간의 나사구조(113, 123)에 의한 결합과 체결 수단(130)을 이용한 결합방식은 동시 적용되거나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and may be additionally fixed by the fastening means 130. The coupling method using the coupling and fastening means 130 by the screw structures 113 and 123 between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may be simultaneously applied or only one of them may be selectively applied.

포장부(40)와 가압 금형부(60)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packaging part 40 and the press mold part 60 are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8 and FIG.

도 8은 본 발명에서 가압 금형부(60) 및 포장부(40)를 간략 도시한 도면, 도 9는 가압 금형부(60)의 가이드수단(62)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essurizing mold part 60 and the packing part 40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guide means 62 of the pressurizing mold part 60.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포장부(4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내지 제3컨베이어(43)와, 연마패드(a)가 수납되는 포장박스(B)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44)를 포함할 수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packing unit 40 may include the first to third conveyors 43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accommodated. It may include a weight sensor 44 for sensing the weight.

가압 금형부(60)는 상하로 이동되는 금형 본체의 하면에서 복 수개가 고정되어 샌드페이퍼(A)에서 절단된 연마패드(a)를 가압하여 인출시키는 복 수개의 가압바(61)와, 샌드페이퍼(A) 및 연마패드(a)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6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ure mold part 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ssure bars 61 fixed with a plurality of pressure bars 61 fix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 body which is moved up and down, and presses and pulls the polishing pad a cut from the sand paper A, and sand paper ( A) and the guide means 62 for guiding the polishing pad (a).

가압바(61)는 상하로 이동되는 가압 금형부(60)의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지지봉(611)과, 지지봉(611)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확장된 면적을 갖는 확장판(612)으로 형성된다. The pressure bar 61 is formed of a support bar 61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mold part 60 moving up and down, and an expansion plate 612 having an area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ar 611.

가이드수단(62)은 샌드페이퍼(A)의 양측단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바(621)와, 가이드바(621)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판(6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means 62 may include a guide bar 621 for supporting and guiding both ends of the sand paper A, and an inclined plate 622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between the guide bars 621.

가이드바(621)는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ㄴ' 형 또는 'ㄷ'형으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에서 절곡된 수직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바(621)는 절단 금형부(50)로부터 이동된 샌드페이퍼(A)의 양측 끝단을 수평면으로 지지하고, 수평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수직면으로 가이드한다. The guide bar 621 is formed as a vertical plane bent in a horizontal plan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s a 'b' type or 'c' type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guide bar 621 supports both ends of the sand paper A moved from the cutting mold unit 50 in a horizontal plane, and guides in a vertical plane to be moved along the horizontal plane.

바람직하게로는 가이드바(621)의 수평면에 회전롤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샌드페이퍼(A)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한다.Preferably, a rotating rolle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guide bar 621 to support the sand paper A to be more smoothly moved.

경사판(622)은 가이드바(621) 사이에서 하측의 제1컨베이어(41)를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가압바(61)에 의해 이탈된 연마패드(a)를 제1컨베이어(41)로 안내한다. The inclined plate 622 extends inclined toward the lower first conveyor 41 between the guide bars 621 to guide the polishing pad a separated by the pressure bar 61 to the first conveyor 41. .

그러므로 가압 금형부(60)는 위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여 절단 금형부(50)를 거쳐 이동되는 샌드페이퍼(A)에서 연마패드(a)를 가압하여 이탈시킨다. 예를 들면, 절단 금형부(50) 및 가압 금형부(60)는 동시에 하강 및 상승되고, 샌드페이퍼(A)는 코일러부(70) 및 언코일러부(80)의 동작에 따라 절단 금형부(50)와 가압 금형부(60) 사이를 이동한다. Therefore, the pressurizing mold part 60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presses the polishing pad a from the sand paper A which is moved through the cutting mold part 50. For example, the cutting die 50 and the pressing die 60 are lowered and raised at the same time, and the sandpaper A is c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iler 70 and the uncoiler 80. It moves between 50) and the press mold part 60. As shown in FIG.

이때 코일러부(70) 및 언코일러부(8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하여 가압 금형부(60) 및 절단 금형부(50)가 하강되면 작동을 멈춰 이동되는 샌드페이퍼(A)를 멈춤시키고, 가압 금형부(60) 및 절단 금형부(50)가 승강되면 샌드페이퍼(A)의 이동을 재개한다. At this time, the coiler part 70 and the uncoiler part 80 stop the operation when the pressurizing mold part 60 and the cutting mold part 50 are lowe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o stop the sand paper A which is moved. When the pressure die 60 and the cutting die 50 are elevated, the movement of the sand paper A is resumed.

따라서 샌드페이퍼(A)는 절단 금형부(50)에 의해 절단된 연마패드(a)가 포함된 상태에서 가압 금형부(60) 하측으로 이동 후 멈춤되고, 가압 금형부(60)는 하강되어 연마패드(a)를 샌드페이퍼(A)로부터 분리시킨다. 분리된 연마패드(a)는 경사판(622)에 의해 제1컨베이어(41)로 안내된다. Therefore, the sand paper (A) is stopped after moving to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die 60 in the state containing the polishing pad (a) cut by the cutting die 50, the pressing die 60 is lowered to the polishing pad (a) is separated from the sandpaper (A). The separated polishing pad a is guided to the first conveyor 41 by the inclined plate 622.

제1컨베이어(41)는 가압 금형부(60)의 하측에서 샌드페이퍼(A)에서 인출되는 연마패드(a)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컨베이어(41a)와, 수평 컨베이어(41a)를 통하여 전달된 연마패드(a)를 포장박스(B)로 안내하는 경사 컨베이어(4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veyor 41 has a horizontal conveyor 41a for horizontally moving the polishing pad a withdrawn from the sand paper A at the lower side of the press mold unit 60, and a polishing pad transferred through the horizontal conveyor 41a. It may include an inclined conveyor (41b) for guiding (a) to the packaging box (B).

수평 컨베이어(41a)는 가압 금형부(60) 하측에서 수평 회전되어 샌드페이퍼(A)에서 가압 금형부(60)에 의해 분리된 연마패드(a)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horizontal conveyor 41a is horizontally rotated under the press mold part 60 to move the polishing pad a separated by the press mold part 60 from the sand paper A in one direction.

경사 컨베이어(41b)는 수평 컨베이어(41a)로부터 이동된 연마패드(a)를 제2컨베이어(42)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경사 컨베이어(41b)의 끝단 하측에는 포장박스(B)가 위치되며, 연마패드(a)는 포장박스(B)로 낙하됨이 바람직하다. The inclined conveyor 41b moves the polishing pad a moved from the horizontal conveyor 41a to the second conveyor 42. Here, the packing box (B) is positioned below the end of the inclined conveyor (41b), the polishing pad (a) is preferably dropped to the packing box (B).

제2컨베이어(42)는 경사 컨베이어(41b)의 하측에서 제3컨베이어(43)로 포장박스(B)를 수평 이동시킨다. 여기서 포장박스(B)는 복수개가 제2컨베이어(42)의 상면에 정렬되며, 순차적으로 경사 컨베이어(41b)로부터 이동되는 연마패드(a)의 낙하지점으로 이동된다. The second conveyor 42 horizontally moves the packing box B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conveyor 41b to the third conveyor 43. Here, the plurality of packing boxes B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veyor 42 and sequentially moved to the falling point of the polishing pad a which is moved from the inclined conveyor 41b.

중량센서(44)는 제2컨베이어(42)에서 경사 컨베이어(41b)로부터 낙하되는 연마패드(a)가 수용되는 포장박스(B)가 위치되는 지점의 중량을 감지한다. 중량센서(44)는 해당 포장박스(B)의 중량 감지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The weight sensor 44 senses the weight of the point at which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falling from the inclined conveyor 41b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veyor 42 is located. The weight sensor 44 outputs the weight detection signal of the packaging box B to the controller 10.

그러므로 제어부(10)는 중량센서(44)의 감지신호를 통하여 설정된 중량이 감지되면, 제2컨베이어(42)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제2컨베이어(42)는 작동되어 연마패드(a)가 수납된 포장박스(B)를 제3컨베이어(43)로 이송한다. 이때, 제2컨베이어(42)의 상면에는 연마패드(a)가 수납된 포장박스(B)가 이동된 이후에 빈 포장박스(B)가 이동되거나,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빈 포장박스(B)가 설정 위치로 올려질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second conveyor 42 when the set weight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sensor 44. Accordingly, the second conveyor 42 is operated to transfer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stored, to the third conveyor 43. At this time, the empty packaging box (B) is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veyor 42 after the packag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stored, or by the operator's manual labor (B) Can be raised to the set position.

또한, 포장부(40)는 제2컨베이어(42)와 제3컨베이어(43) 사이에서 연마패드(a)가 수납된 포장박스(B)의 전달을 위한 전달부(45)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전달부(45)는 지면에 놓여지는 몸체(452)와, 몸체(452)의 상면에서 제2컨베이어(42)에서 제3컨베이어(43)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전달판(451)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cking unit 40 may additionally install a transfer unit 45 for transferring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econd conveyor 42 and the third conveyor 43. have. The transmission part 45 includes a body 452 placed on the ground and a transmission plate 451 which form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second conveyor 42 to the third conveyor 4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52. can do.

바람직하게로 몸체(452)는 이동의 편의를 위하여 바퀴 및 롤러와 같은 이동 수단(도시되지 않음)과, 포장박스(B)의 이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전센서 또는 광센서와 같은 이동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감지 센서의 이동 감지 신호에 따라 언코일러부(80)와 절단 금형부(50)와 가압 금형부(60)와 코일러부(70) 및 포장부(40)를 제어하며, 제2컨베이어(42)가 구동된 이후에 이동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부저(30)를 제어하여 고장을 경보한다. Preferably, the body 452 is a movement means (not shown) such as wheels and rollers for the convenience of movement, and a movement detection sensor such as a piezoelectric sensor or an optical sensor to check whether the packing box B is moved. Not shown) may be add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uncoiler unit 80, the cutting mold unit 50, the press mold unit 60, the coiler unit 70, and the packing unit 40 according to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of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If the movement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after the conveyor 42 is driven, the buzzer 30 is controlled to alert the failure.

이와 같은 전달부(45)는 제3컨베이어(43)와 제2컨베이어(42)간의 간격 조절을 위하여 적용되거나, 높이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Such a transmission unit 45 may be appli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third conveyor 43 and the second conveyor 42, or may be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height difference.

제3컨베이어(43)는 포장박스(B)의 출하 또는 적재 위치로 연장되어 연마패드(a)가 수납된 포장박스(B)를 이동시킨다. The third conveyor 43 extends to the shipping or loading position of the packing box B to move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stored.

코일러부(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마패드(a)가 가공된 후 남은 샌드페이퍼 즉, 폐기물(C)을 수납하는 장치이다. 이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iler 70 is a device for storing sand paper, that is, waste C, remaining after the polishing pad a is process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도 10은 코일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코일러부의 회전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코일러부의 폐기물 묶음 과정을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er part,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otating shaft of the coiler part, and FIG. 12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 waste bundle process of the coiler part.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코일러부(7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러 구동모터(75)와, 폐기물(C)이 롤링되는 회전축(72)과, 회전축(72)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판넬(71)과, 회전판넬(71)을 지지하는 판넬 지지판(73)과, 판넬 지지판(73)을 고정시키는 하부판넬(74)과, 묶음끈(761, 761')을 제공하는 제1끈롤러(76)와 제2끈롤러(76')를 포함한다. 10 to 12, the coiler 70 may rotate the coiler driving motor 75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rotating shaft 72 in which waste C is rolled, and a rotating shaft 72. Providing a rotating panel (71) for supporting, a panel supporting plate (73) for supporting the rotating panel (71), a lower panel (74) for fixing the panel supporting plate (73), and bundle strings (761, 761 '). And a first string roller 76 and a second string roller 76 '.

코일러 구동모터(75)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축 및/또는 회전판넬(71)을 회전시킨다. The coiler drive motor 75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nd / or the rotating panel 71.

회전판넬(71)은 판넬 지지판(73)의 선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코일러 구동모터(7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회전판넬(71)은 후술되는 묶음끈을 이용한 폐기물(C)의 고정을 위하여 묶음끈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된 복 수개의 판넬개구(711)를 포함한다. The rotating panel 71 is fixed to be rotatable at the tip of the panel support plate 73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iler driving motor 75. Here, the rotating panel 71 includes a plurality of panel openings 711 opened so that the bundle string can be moved for fixing the waste C using the bundle string described below.

또는 회전판넬(71)은 고정되고, 회전축(72)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회전판넬(71)과 회전축(72)은 일체형으로서 회전판넬(71)이 회전되면서 회전축(72)이 회전되거나, 회전판넬(71)은 고정되고 회전축(72)만 코일러 구동모터(7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판넬(71) 및 회전축(72)의 작용은 선택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만 회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ternatively, the rotating panel 71 may be fixed, and the rotating shaft 72 may be rotatably fixed. That is, as the rotating panel 71 and the rotating shaft 72 are integrated, the rotating shaft 71 is rotated while the rotating panel 71 is rotated, or the rotating panel 71 is fixed and only the rotating shaft 72 is the coiler driving motor 75. Can be rotated by The action of the rotating panel 71 and the rotating shaft 72 can be selected, it is not limited to any one is rotated.

판넬개구(711)는 회전판넬(7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개되어 복 수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판넬개구(711)는 제1끈롤러(76)와 제2끈롤러(76')에서 연장되는 묶음끈(761, 761')을 인출시키기 위한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anel opening 711 is cut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rotating panel 71 is formed with a plurality. The panel opening 711 may be used as a passage for drawing the bundle strings 761 and 761 'extending from the first string roller 76 and the second string roller 76'.

회전축(72)은 회전판넬(71)의 중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회전판넬(71)을 연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72)은 폐기물(C)의 시작단이 외면에 감겨진 후 코일러 구동모터(75)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폐기물(C)을 롤링한다. The rotating shaft 72 may extend horizontally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panel 71 or may extend horizontally in communication with the rotating panel 71. Here, the rotary shaft 72 is rotated by the drive of the coiler drive motor 75 after the start end of the waste (C)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to roll the waste (C).

아울러 회전축(72)은 상하측에서 각각 내향되어 묶음끈(761, 761')을 수용하는 수용홈(721)과, 수용홈(721)의 선단에서 돌출되어 묶음끈(761, 761')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72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ry shaft 72 is inwardly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grooves 721 to receive the bundle straps (761, 761 '), and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receiving groove 721 to fix the bundle straps (761, 761'). It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722 to.

수용홈(721)은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내향되어 각각 서로 다른 끈롤러(76, 76')로부터 풀린 묶음끈(761, 761')이 수용된다. 예를 들면, 묶음끈(761, 761')은 제1끈롤러(76)에서 인출되는 제1묶음끈(761)과, 제2끈롤러(76')에서 인출되는 제2묶음끈(761')이며, 제1묶음끈(761)과 제2묶음끈(761')은 서로 다른 수용홈(721)에 수용된다. The receiving grooves 721 are respectively received inwardly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o receive the bundle strings 761 and 761 'released from the different string rollers 76 and 76',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bundle strings 761 and 761 'may include a first bundle string 761 taken out from the first string roller 76 and a second bundle string 761' drawn out from the second string roller 76 '. ), And the first bundle string 761 and the second bundle string 761 'are accommodated in different accommodation grooves 721.

고정돌기(722)는 수용홈(721)의 내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수용홈(721)이 공간폭을 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고정돌기(722)는 묶음끈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묶음끈을 고정돌기(722) 사이로 끼워서 묶음끈을 수용홈(721)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The fixing protrusions 722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721, respectively, so that the receiving grooves 721 may have a narrower width. Therefore, the fixing protrusion 722 is fixed by pressing the bundle. For example, the worker inserts the bundle strap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722 to fix the bundle strap inside the receiving groove 721.

제1끈롤러(76)와 제2끈롤러(76')는 회전판넬(71)의 배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제1묶음끈(761)과 제2묶음끈(761')을 수납 및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제1끈롤러(76)와 제2끈롤러(76')는 작업자의 힘에 의하여 회전되어 각각 제1묶음끈(761)과 제2묶음끈(761')을 공급한다. The first string roller 76 and the second string roller 76 'are rotatably fix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panel 71 to accommodate and supply the first string strap 761 and the second string strap 761'. do. For example, the first string roller 76 and the second string roller 76 'are rotated by the operator's force to supply the first string string 761 and the second string string 761', respectively.

제1끈롤러(76)와 제2끈롤러(76')에서 각각 인출된 제1묶음끈(761)과 제2묶음끈(761')은 회전축(72)의 수용홈(721)에 각각 수용되고, 고정돌기(722)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묶음끈(761, 761')은 작업자에 의해 선단이 인출되기까지 수용홈(721)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first bundle string 761 and the second bundle string 761 'drawn out from the first string roller 76 and the second string roller 76'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s 721 of the rotation shaft 72, respectively. And is fixed in a pressurized state by the fixing protrusion 722. The bundle straps 761 and 761 'maintain a fixed state in the receiving groove 721 until the tip is drawn out by the operator.

즉, 제1묶음끈(761)과 제2묶음끈(761')은 샌드페이퍼(A)의 폐기물(C)이 모두 롤링되기까지 회전축(72)의 수용홈(721)에 내에 수용된다. That is, the first bundle string 761 and the second bundle string 761 ′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721 of the rotation shaft 72 until all the wastes C of the sand paper A are rol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elow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작업자는 언코일러부(80)에 롤링된 샌드페이퍼(A)를 수납하고, 스위치부(20)를 통하여 동작조건을 입력 설정한 이후에 동작명령을 입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언코일러부(80)를 작동시켜 롤링된 샌드페이퍼(A)를 인출시켜 절단 금형부(50)와 가압 금형부(60) 및 코일러부(70)로 순차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The operator receives the rolled sandpaper A in the uncoiler unit 80 and inputs an operation command after inputting and setting operating conditions through the switch unit 20. Therefore,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uncoiler unit 80 to take out the rolled sandpaper A to sequentially move the cutting mold unit 50, the press mold unit 60, and the coiler unit 70. do.

여기서 샌드페이퍼(A)의 선단은 코일러부(70)에 고정되고, 코일러부(70)와 언코일러부(80)의 연계된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샌드페이퍼(A)는 가압 금형부(60)의 상부 금형(51)과 하부 금형(52) 사이로 이동되고, 설정된 구간만큼 이동되었을 때, 상부 금형(51)이 하강되면서 샌드페이퍼(A)를 타격(펀칭)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연마패드(a)를 가공한다. Here, the tip of the sand paper A is fixed to the coiler part 70 and is moved by the associated rotation of the coiler part 70 and the uncoiler part 80. At this time, the sand paper (A) is moved between the upper mold 51 and the lower mold 52 of the pressure die 60, and when moved by a set section, the upper mold 51 is lowered and hit the sand paper (A) ( Punching) to machine the polishing pad a into a predetermined shape.

여기서 상부 금형(51)의 볼록면(511)은 제2블레이드(120)의 연장관(121)의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오목홈(521)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볼록면(511)과 오목홈(521) 사이에 위치된 샌드페이퍼(A)가 고정된다. 그리고 볼록면(511)과 함께 하향된 커팅모듈(100)은 하강되면서 샌드페이퍼(A)를 타격하여 연마패드(a)를 절단 가공한다. The convex surface 511 of the upper mold 51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extension tube 121 of the second blade 12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521. Therefore, the sand paper A located between the convex surface 511 and the concave groove 521 is fixed. And the cutting module 100 downward with the convex surface 511 is lowered to hit the sand paper (A) to cut the polishing pad (a).

이때 커팅모듈(100)의 제2블레이드(120)는 끝단이 제1블레이드(110)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고정됨에 따라 제1블레이드(110)보다 먼저 샌드페이퍼(A)를 타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blade 120 of the cutting module 100 may hit the sandpaper A before the first blade 110 as the end is fixed to protrude downwardly from the first blade 110.

따라서 커팅모듈(100)은 제1블레이드(110)의 중공형의 중심부(111)에 고정된 제2블레이드(120)가 샌드페이퍼를 펀칭하여 제1블레이드(110)로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utting module 100 may disperse the impact applied to the first blade 110 by punching the sand paper by the second blade 120 fixed to the hollow central portion 111 of the first blade 110. .

여기서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의 중공면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연장관(121)임에 따라 제1블레이드(110)에 비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제1블레이드(110)에 탈부착 가능함에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관리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Here, the second blade 120 is a ring-shaped extension tube 12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low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ade 110, the first blade 110 As it is detachable and easy to replace, it is possible to obtain a lower cost of management and maintenance than the related art.

이와 같이 절단 금형부(50)에 의해 가공된 연마패드(a)는 샌드페이퍼(A) 내에 포함된 상태에서 가압 금형부(60)의 하측으로 이동되고, 가압 금형부(60)는 하강되면서 연마패드(a)를 가압하여 제1컨베이어(41)로 인출시킨다. Thus, the polishing pad (a) processed by the cutting die 50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die 60 in the state contained in the sand paper (A), the pressing die 60 is lowered while the polishing pad (a) is pressurized and drawn out to the first conveyor 41.

연마패드(a)는 제1컨베이어(41)의 수평 컨베이어(41a)와 경사 컨베이어(41b)를 거쳐 제2컨베이어(42)의 포장박스(B)로 이동된다. 그리고 중량센서(44)는 제2컨베이어(42)에서 연마패드(a)를 수납하는 포장박스(B)의 중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중량감지신호를 출력한다. The polishing pad (a) is moved to the packing box (B) of the second conveyor (42) via the horizontal conveyor (41a) and the inclined conveyor (41b) of the first conveyor (41). In addition, the weight sensor 44 detects the weight of the packing box B accommodating the polishing pad a in the second conveyor 42 and outputs a weight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

제어부(10)는 중량센서(44)의 중량감지신호를 확인하여 포장박스(B)의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도달되면, 제2컨베이어(42)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포장박스(B)는 제2컨베이어(42)의 구동에 의해 제3컨베이어(43)로 이동된다. 제3컨베이어(43)는 포장박스(B)를 지정된 출하장소 또는 기타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The controller 10 checks the weight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sensor 44 and drives the second conveyor 42 when the weight of the packaging box B reaches the set weight. Therefore, the packing box B is moved to the third conveyor 43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conveyor 42. The third conveyor 43 moves the packing box B to a designated shipping place or other designated place.

아울러, 제2컨베이어(42)에서 경사 컨베이어(41b)로부터 연마패드(a)가 낙하되는 위치로 빈 포장박스(B)가 이동된다. 이때, 제어부(10)는 상기와 같은 연마패드(a)가 꽉 찬 포장박스(B)와 빈 포장박스(B)가 서로 교체 및 이동되는 순간에 연마패드(a)의 가공을 중단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pty packaging box B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polishing pad a falls from the inclined conveyor 41b in the second conveyor 42.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0 may stop the processing of the polishing pad (a) at the moment when the packaging box (B) and the empty packaging box (B) is filled and replac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

또한, 코일러부(7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코일러 구동모터(75)의 작동으로 회전판넬(71) 및 회전축(72)이 회전되면서 샌드페이퍼(A) 폐기물(C)을 수납한다. 여기서 회전판넬(71)은 판넬 지지판(7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축(72)은 회전판넬(71)의 중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판넬(71) 및 회전축(72)은 동시에 회전되어 샌드페이퍼(A) 폐기물(C)을 수납한다. In addition, the coiler 70 receives sandpaper A waste C while the rotary panel 71 and the rotation shaft 72 ar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iler drive motor 7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do. In this case, the rotation panel 7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anel support plate 73, and the rotation shaft 72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panel 71. Therefore, the rotating panel 71 and the rotating shaft 72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to receive the sand paper (A) waste (C).

이후, 언코일러부(80)에 수납된 샌드페이퍼(A)가 모두 소진되고, 가압 금형부(60)에서 마지막 연마패드(a)의 가공이 완료되면, 제어부(10)는 부저(30)를 작동시켜 경보를 발령하고, 코일러 구동모터(7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Subsequently, when the sandpaper A stored in the uncoiler part 80 is exhausted and the processing of the last polishing pad a is completed in the pressure mold part 60,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buzzer 30. A warning is issued and the operation of the coiler drive motor 75 is stopped.

작업자는 부저(30)의 경보음을 청취한 이후에 수용홈(721)에 각각 수용된 제1묶음끈(761)과 제2묶음끈(761')을 이용하여 폐기물(C)을 묶는 작업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수용홈(721)을 통하여 제1묶음끈(761)의 선단을 잡아당기고, 제1끈롤러(76)에서 수용홈(721)으로 인입되는 제1묶음끈(781)의 후단을 판넬개구(711)를 통하여 잡아당긴다. 이때 제1끈롤러(76)는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되어 외면에 감겨진 제1묶음끈(761)을 공급한다. After the worker listens to the alarm sound of the buzzer 30, the worker bundles the waste C using the first bundle string 761 and the second bundle string 761 ′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s 721. do. For example, the operator pulls the tip of the first bundle string 761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721, and the operator of the first bundle string 781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721 from the first string roller 76. The rear end is pulled through the panel opening 711. At this time, the first string roller 76 is rotated by the pulling force to supply a first bundle string 761 wound on the outer surface.

그리고 작업자는 수용홈(721)에서 인출된 선단과, 판넬개구(711)를 통하여 전방으로 잡아 당겨진 제1묶음끈(761)의 후단을 상호 결속시킨 뒤에 제1묶음끈(761)의 후단을 절단한다.The operator cuts the rear end of the first bundle string 761 after binding the front end drawn from the receiving groove 721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bundle string 761 pulled forward through the panel opening 711. do.

그러므로 제1묶음끈(761)은 롤링된 형태의 폐기물(C)의 중심부에서 외면으로 이어진 상태로 연결 및 결속되어 롤링된 폐기물(C)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제2묶음끈(761')으로 폐기물(C)을 고정시킨다.Therefore, the first bundle string 761 is connected and bound in a state leading from the center of the rolled waste (C) to the outer surface to fix the shape of the rolled waste (C) is not disturbed. In addition, the worker fixes the waste (C) by the second bundle string (761 ') through the same process.

상기와 같이 롤링된 폐기물(C)의 이동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1묶음끈(761)과 제2묶음끈(761')이 선단을 각각 회전축(72)의 수용홈(721)에 고정시켜 다음 작업에 대비한다. When the movement of the rolled waste (C)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has the first bundle strap 761 and the second bundle strap 761 'to fix the tip to the receiving groove 721 of the rotary shaft 72, respectively. Be prepared for the next task.

이와 같이 롤링된 형태의 폐기물(C)은 제1묶음끈(761)과 제2묶음끈(761')에 의해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코일러부(70)로부터 인출된 후 지정된 장소로 이동된다. 따라서 폐기물(C)은 단단히 묶인 상태에서 인출 및 이동됨에 따라 그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The waste C in the rolled form as described above is withdrawn from the coiler part 70 in a fixed state so as not to be disturbed by the first bundle string 761 and the second bundle string 761 ', and then the designated place. Is moved to. Therefore, the waste (C) can be carried out very easily as it is withdrawn and moved in a tightly bound stat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단가가 높은 제1블레이드(110) 대신 비용이 저렴한 제2블레이드(120)를 통하여 샌드페이퍼(A)를 펀칭하고, 제2블레이드를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서 제공함에 따라 블레이드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약할 수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andpaper A is punched through the second blade 120 having a low cost instead of the first blade 110 having a high manufacturing cost, and the second blade is provided as an easy replacement structure. Accordingly can save the cost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blades.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연마패드(a)를 자동으로 포장박스(B)에 수납할 수 있어 관련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롤링된 폐기물(C)의 인출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묶음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ccommodate the manufactured polishing pad (a) in the packaging box (B) to reduce the manpower associated, and in particular bundle the means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and movement of the rolled waste (C) Can provid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제어부 20 : 스위치부
30 : 부저 40 : 포장부
41 : 제1컨베이어 41a : 수평 컨베이어
41b : 경사 컨베이어 42 : 제2컨베이어
43 : 제3컨베이어 50 : 절단 금형부
51 : 상부 금형 52 : 하부 금형
60 : 가압 금형부 61 : 가압바
62 : 가이드수단 70 : 코일러부
71 : 회전판넬 72 : 회전축
73 : 판넬 지지판 74 : 하부판넬
75 : 코일러 구동모터 76, 76' : 끈롤러
80 : 언코일러부 100 : 커팅모듈
110 : 제1블레이드 111 : 중심부
112 : 제1고정공 120 : 제2블레이드
121 : 연장관 122 : 수직판
124 : 제2고정공 125 : 체결공
130 : 체결수단 511 : 볼록면
512 : 설치홈 521 : 오목홈
522 : 삽입단 523 : 인입홈
711 : 판넬개구 721 : 수용홈
722 : 고정돌기 761, 761' : 묶음끈
A : 샌드페이퍼 a : 연마패드
B : 포장박스 C : 폐기물
10: control unit 20: switch unit
30: buzzer 40: packing unit
41: first conveyor 41a: horizontal conveyor
41b: inclined conveyor 42: second conveyor
43: third conveyor 50: cutting mold portion
51: upper mold 52: lower mold
60: pressurizing mold part 61: pressurizing bar
62: guide means 70: coiler part
71: rotating panel 72: rotating shaft
73: panel support plate 74: lower panel
75: coiler drive motor 76, 76 ': string roller
80: uncoiler 100: cutting module
110: first blade 111: center
112: the first fixed hole 120: the second blade
121: extension tube 122: vertical plate
124: second fixed hole 125: fastener
130: fastening means 511: convex surface
512: mounting groove 521: concave groove
522: insertion end 523: inlet groove
711: panel opening 721: receiving home
722: fixing protrusions 761, 761 ': bundle
A: Sandpaper a: Polishing Pad
B: Packing Box C: Waste

Claims (8)

하부 금형(52)으로 이동된 샌드페이퍼(A)를 펀칭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연마패드로 절단 가공하는 상부 금형(51)을 구비하는 절단 금형부(50);를 포함하고,
상부 금형(51)은
중공을 이루는 중심부(111)가 형성되는 제1블레이드(110), 및 내측이 중공되고, 샌드페이퍼(A)를 타격하는 끝단이 제1블레이드(110) 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제1블레이드(110)의 중심부(111)의 중공면에 고정되는 제2블레이드(120)를 구비하는 커팅모듈(100);을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
And a cutting mold part 50 including an upper mold 51 for punching the sandpaper A moved to the lower mold 52 and cutting the sandpaper A into a polishing pa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Upper mold 51
The center of the first blade 110 so that the first blade 110 is formed, and the inner blade is hollow, and the ends hitting the sandpaper A protrude downwardly from the first blade 110.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ouble blade comprising a; cutting module (100) having a second blade 120 is fixed to the hollow surface of (1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110)의 중공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lade 120 is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ou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screwed to the hollow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모듈(100)은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를 연통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체결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tting module 100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ouble blade further comprising; fastening means 130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in communica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블레이드(120)는
내측이 중공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121);
연장관(121)의 반대 끝단에서 수직으로 확장되어 제1블레이드(110)의 배면에 밀착되는 수직판(122); 및
수직판(122)에서 관통 형성되어 체결수단(130)이 삽입되는 체결공(125);을 구비하는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blade 120
An extension pipe 121 extending in one direction with a hollow inside;
A vertical plate 122 extended vertically from the opposite end of the extension tube 121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lade 110; And
Double pads are formed in the vertical plate 122 is fastening means 130 is fastening hole 125 is inserted; provided with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샌드페이퍼(A)를 롤링된 형태로 수납하고, 수납된 샌드페이퍼(A)를 절단 금형부(50)측으로 공급하는 언코일러부(80);
상하로 이동되어 절단 금형부(50)로부터 이동된 샌드페이퍼(A)에서 연마패드(a)를 가압하여 인출시키는 가압 금형부(60);
가압 금형부(60)에서 인출된 연마패드(a)를 포장박스(B)로 수납하는 포장부(40);
가압 금형부(60)에서 연마패드(a)가 인출된 샌드페이퍼(A) 폐기물(C)을 롤링 형태로 수납하는 코일러부(70);
절단 금형부(50) 내지 코일러부(70)의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10); 및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하여 고장, 고온, 화재, 언코일러부(80)의 샌드페이퍼(A) 소진 여부에 따라 경보를 발령하는 부저(30);를 포함하고,
가압 금형부(60)는
하면에서 하향되는 지지봉(611)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확장된 면적을 갖고 연마패드(a)를 가압하여 인출시키는 확장판(612)을 구비한 가압바(61); 및
샌드페이퍼(A)의 양측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바(621)와, 가이드바(621) 사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포장부(40)로 연마패드(a)를 안내하는 경사판(622);을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연마패드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Uncoiler unit 80 for receiving the sand paper (A) in a rolled form, and supplying the stored sand paper (A) to the cutting mold unit 50 side;
A pressing die portion 60 which is moved up and down and presses the polishing pad a out of the sand paper A moved from the cutting mold portion 50;
A packing part 40 which receives the polishing pad a taken out from the pressure mold part 60 into a packing box B;
A coiler part 70 accommodating the sand paper A waste C from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drawn from the pressure die part 60 in a rolling form;
A control unit 10 for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of the cutting die unit 50 to the coiler unit 70; And
A buzzer 30 which issues an alarm according to a failure, a high temperature, a fire, or the sand paper A of the uncoiler unit 8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Pressing mold unit 60
A pressure bar 61 having a horizontally extended area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rod 611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n expansion plate 612 for pressing out the polishing pad a; And
A pair of guide bars 6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both ends of the sand paper A, and an inclined plate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between the guide bars 621 to guide the polishing pad a to the packing part 40.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comprising a (6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금형(51)은
제2블레이드(120)의 중공된 내측을 통하여 하향 돌출되도록 하면에서 볼록형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볼록면(511); 및
볼록면(511)을 중심으로 내향되어 제1블레이드(110) 및 제2블레이드(120)가 체결된 커팅모듈(10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설치홈(512);을 포함하고,
하부 금형(52)은
상면에서 내향된 만곡면을 이루어 볼록면(511)이 삽입되는 오목홈(521); 및
오목홈(521)의 외측 테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상향 돌출되어 볼록면(511)과 제2블레이드(120)의 중공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체결되는 삽입단(522); 및
삽입단(522)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확장되어 하향된 홈을 이루어 제1블레이드(110)와 제2블레이드(12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인입홈(523);을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연마패드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mold 51
A plurality of convex surfaces 511 protruding convex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lade 120 so as to protrude downward through the hollow inner side of the second blade 120; And
And an installation groove 512 formed inwardly with respect to the convex surface 51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utting module 100 to which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are fastened is accommodated.
Lower mold 52
A concave groove 521 into which a convex surface 511 is inserted to form a curved surface inwardly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insertion end 522 which protrudes up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outer edge of the concave groove 521 and is fastened to a spaced space between the convex surface 511 and the hollow surface of the second blade 120; And
An inlet groove 523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first blade 110 and the second blade 120 are inserted by forming a downwardly downward groove extending from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end 522.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double blade.
청구항 5에 있어서, 포장부(40)는
가압 금형부(60)에 의해 인출된 연마패드(a)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컨베이어(41a)와, 수평 컨베이어(41a)를 통하여 전달된 연마패드(a)를 포장박스(B)로 안내하는 경사 컨베이어(41b)를 구비하는 제1컨베이어(41);
제1컨베이어(41)에서 연마패드(a)가 낙하되는 위치로 포장박스(B)를 순차 이동시키는 제2컨베이어(42);
제2컨베이어(42)에서 연마패드(a)가 수납되는 포장박스(B)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44); 및
제2컨베이어(42)로부터 연마패드(a)가 수납된 포장박스(B)를 전달받아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컨베이어(43);를 포함하고,
제어부(10)는
중량센서(44)의 중량감지신호에 따라 제1컨베이어(41)로부터 연마패드(a)가 낙하되는 위치에 놓인 포장박스(B)가 설정된 중량에 도달되면 부저(30)를 작동하여 경보를 발령하고,
제2컨베이어(42)를 구동시켜 연마패드(a)가 수납된 포장박스(B)를 제3컨베이어(43)로 이동시키고, 빈 포장박스(B)를 낙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연마패드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ackaging portion 40
A horizontal conveyor 41a for horizontally moving the polishing pad a drawn out by the pressure die 60 and an inclination for guiding the polishing pad a delivered through the horizontal conveyor 41a to the packing box B. FIG. A first conveyor 41 having a conveyor 41b;
A second conveyor 42 which sequentially moves the packing box B to a position at which the polishing pad a falls in the first conveyor 41;
A weight sensor 44 for sensing a weight of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veyor 42; And
And a third conveyor (43) for receiving the packing box (B) in which the polishing pad (a) is stored from the second conveyor (42) and moving it to a designated position.
The control unit 10
When the packing box B plac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olishing pad a falls from the first conveyor 41 according to the weight detection signal of the weight sensor 44 reaches the set weight, the buzzer 30 is operated to issue an alarm. and,
Driving the second conveyor 42 to move the packing box B containing the polishing pad a to the third conveyor 43 and to move the empty packing box B to the drop position;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5에 있어서, 코일러부(70)는
제어부(10)의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러 구동모터(75);
하부판넬(74)으로부터 직립된 판넬 지지판(73)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코일러 구동모터(7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넬(71);
회전판넬(71)의 중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샌드페이퍼(A) 폐기물(C)이 외면에 감겨지도록 회전되는 회전축(72); 및
폐기물(C)의 묶음끈(761, 761')을 공급하도록 회전판넬(71)의 배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끈롤러(76, 76');를 포함하고,
회전축(72)은
끈롤러(76, 76')로부터 인출되는 묶음끈(761, 761')을 수용하도록 내향된 하나 이상의 수용홈(721)과, 수용홈(721)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묶음끈(761, 761')을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돌기(722);를 포함하고,
회전판넬(71)은 배면에 위치된 묶음끈(761, 761')의 후단을 인출하기 위하여 절개된 하나 이상의 판넬개구(711);를 포함하는 이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연마패드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iler 70
A coiler driving motor 75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0;
A rotating panel 71 fixed to the panel support plate 73 upright from the lower panel 74 so as to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iler driving motor 75;
A rotating shaft 7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panel 71 so that the sand paper A waste C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And
And at least one string roller (76, 76 ') rotatably fixed at the back of the rotating panel (71) to supply the bundle strings (761, 761') of the waste (C).
The rotating shaft 72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721 inwardly received to receive the bundle strings 761 and 761 'withdrawn from the string rollers 76 and 76', and the bundle strings 761 and 761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721. It includes; fixing projections 722 for pressing and fixing),
Rotating panel 71 is a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comprising a; one or more panel openings (711) cut in order to withdraw the rear end of the bundle straps (761, 761 ') located on the back.
KR1020190087691A 2019-07-19 2019-07-19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KR102013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91A KR102013361B1 (en) 2019-07-19 2019-07-19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91A KR102013361B1 (en) 2019-07-19 2019-07-19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361B1 true KR102013361B1 (en) 2019-08-22

Family

ID=6776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91A KR102013361B1 (en) 2019-07-19 2019-07-19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36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1Y1 (en) 2005-08-24 2005-11-02 임홍순 Sandpaper grinding wheel and a methode of making it
KR20060024016A (en) 2006-02-27 2006-03-15 김은녀 Abrasive dis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1871225B1 (en) * 2017-08-18 2018-06-27 가봉섭 Circular polishing pad automatic discharge collector and its automatic discharge coll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1Y1 (en) 2005-08-24 2005-11-02 임홍순 Sandpaper grinding wheel and a methode of making it
KR20060024016A (en) 2006-02-27 2006-03-15 김은녀 Abrasive dis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1871225B1 (en) * 2017-08-18 2018-06-27 가봉섭 Circular polishing pad automatic discharge collector and its automatic discharge colle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9381B2 (en) Improved chopper for cutting fiber continuously, and method
CN209532939U (en) Sander is used in a kind of processing of plank
CN214600434U (en) Sorting device with adjustable commodity circulation is used
KR100990726B1 (en) Apparatus for changing belt of belt conveyor
KR102013361B1 (en) Polishing pa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blade
CN210700326U (en) Scrap car metal plastic crushing and sorting system
KR100846151B1 (en) Material supply mechanism of the centerless grinder
CN101541430B (en) Abrasion chamber, abrasion device with the chamber and abrasion method
KR100865535B1 (en) Apparatus for grinding of coil chips
CN207534078U (en) A kind of band saw equipment
CN111705537B (en) Full-automatic fiber toilet paper production line and production method
CN213917773U (en) Manual flat grinder water adding device
CN108340154A (en) Scraper chain automatic assembling device and assemble method
CN214349895U (en) Steel strip receiver
KR101790253B1 (en) System for logsaw cutting mechine
CN209594874U (en) Full-automatic shoe sole makes thick machine
CN208963984U (en) A kind of charging gear
US6011231A (en) Electrode wire recovery system for electric discharge machine
CN216638398U (en) Automatic coil stock cutting device
CN205817572U (en) A kind of automatic grinding device of mandrel
CN217528641U (en) Smashing device for recycling paperboards
CN109590870B (en) Nylon rod polishing equipment
CN109968432A (en) A kind of floor back fluting apparatus
CN212600740U (en) Vertical double-end-face grinding machine
CN209501860U (en) A kind of Eco-power shre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