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355B1 -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355B1
KR102013355B1 KR1020190035085A KR20190035085A KR102013355B1 KR 102013355 B1 KR102013355 B1 KR 102013355B1 KR 1020190035085 A KR1020190035085 A KR 1020190035085A KR 20190035085 A KR20190035085 A KR 20190035085A KR 102013355 B1 KR102013355 B1 KR 10201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gps
elastic
fram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김현동
서병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간정보(주) filed Critical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to KR102019003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7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ata for correcting measured positioning data, e.g. DGPS [differential GPS] or ionosphere corr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7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ata for correcting measured positioning data, e.g. DGPS [differential GPS] or ionosphere corrections
    • G01S19/071DGPS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선, 수심, 해저 지형 등을 측지, 측량하기 위해 사용하는 음향측심기에 구비되어 측량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DGPS 및 음향측심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DGPS integrated power supply with single beam echo sounder}
본 발명은 측지측량 기술 분야 중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선, 수심, 해저 지형 등을 측지, 측량하기 위해 사용하는 음향측심기에 구비되어 측량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DGPS 및 음향측심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성항법보정시스템(DGPS : DifferenceGlobal Positioning System)은 궤도상에 위치한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GPS 신호의 원거리에 의한 오차를 교정하므로 정밀도를 높인 기술이며, 일반적으로 잘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연안 해양 등의 해안선, 수심, 해저 지형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근래에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제안된 음향측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음향측심기는 측량 목적지에 초음파를 발사하여 초음파가 측량 목적지에 이른 뒤 반시되어 같은 경로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하는 측량 장치이며, 이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는 해저 지형도로 활용됨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수중의 항만 시설물이나 교량 등의 수중 구조물의 안전점검에도 활용된다.
이러한 음향측심기는 구비된 센서의 개수 또는 종류에 따라 싱글빔 또는 멀티빔으로 분류되며, 초음파를 이용한 조사방법 중 바닷물의 수심이나 지형을 측정할 때는, 바닷물의 온도, 염분의 농도 및 수압 등에 따라 초음파의 이동하는 속도가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수심에 대한 바닷물의 물리적 특성값을 이용하여 관측된 값을 보정해 주어야 한다.
종래의 음향측심기는 선박(모선)으로부터 하강하여 수중에 배치된 상태에서 선박이 이동하면서 배치된 센서를 통해 음향신호를 발사하고, 이를 다시 수신함으로서 수심과 해저지형을 관측 및 기록하는데, 종래 음향측심기에 하나의 센서가 구비된 경우 선박의 수직하부 한 지점의 측심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범위가 좁은 단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장치의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은 장점이 있고, 멀티빔의 경우 90~120°이상의 송수신 가능 범위에 대하여 수십~수백 지점의 해저 횡단면 전체를 동시에 측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도에서도 기존의 단일 센서가 구비된 측심기 보다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는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서 실시간 등심도 또는 지형도가 흑백 또는 컬러 그래픽으로 작성되며, 여러 형태의 정보로 분석 및 처리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5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8880호 등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음향측심기가 선박의 바닥에 설치되거나 일측면에 설치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측심범위가 좁기 때문에 선박이 한 번 이동함에 따라 측량할 수 있는 측심 영역이 좁고, 이로 인해 조사 영역 모두에 대하여 측량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선박을 여러 번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해안과 같이 수심이 얕은 천해역(淺海域) 지역은 선박이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음향측심기를 천해역 방향으로 기울여(틸팅)놓고 선박을 해안선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면서 이동시키는데, 음향측심기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없는 경우 음향측심기를 선상으로 상승시킨 후 각도를 조절한 후 다시 수중으로 하강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943호(수직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멀티빔 고정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177호(틸팅수단을 구비한 듀얼 멀티빔 측심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멀티빔 트랜스듀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수단이 구비되어 선박의 한 번 이동에 보다 많은 영역에 대한 측심 작업이 가능하나, 선박의 이동을 위한 추력(推力)과 바닷물의 저항력을 견디기 위하여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무게가 무거운 멀티빔 측심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해서 고장력의 승강장치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박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바닷물의 저항력에 의해 멀티빔 트랜드듀서 또는 멀티빔 트랜드듀서와 잠수로드의 결합부위 또는 틸팅수단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음향측심기와 여기에 구비된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음향측심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중에 배치되기 때문에 측량 작업 중 발생하는 진동, 수압에 의한 저항력 등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645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88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9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1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선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틸팅수단을 통해 수중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음향측심기 및 상기 음향측심기에 배치된 싱글빔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되, 측량 작업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선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이 전원공급장치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측량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DGPS 가 통합된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DGPS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음향측심기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관체 형태의 연결체와;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된 저항력상쇄부재와;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에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어 메인바디의 롤링 현상을 최소화하는 스테빌라이져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DGPS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체; 및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DGPS와 음향측심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테빌라이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지지대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호 맞닿은 단부를 접합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인접한 지지대 사이에 바닷물이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을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하는 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상승시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강시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며,
한 쌍의 스테빌라이져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메인바디의 롤링 현상을 최소화하고,
상기 탄성지지체는,
양단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조절공이 형성된 탄성조절부와,
상기 조절공에 관통 삽입되는 탄성조절볼트와, 상기 탄성조절볼트가 맞물리는 너트와,
상기 탄성조절부를 연결하며 외측단부가 상기 DGPS의 외면을 맞닿아 이를 가압하는 반구형의 탄성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선박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틸팅수단을 통해 수중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음향측심기 및 상기 음향측심기에 배치된 싱글빔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되, 측량 작업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선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이 전원공급장치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측량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DGPS 가 통합된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바디의 내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져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지지체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1)는, 메인바디(10)와, 연결체(20)와, 저항력상쇄부재(30)와, 스테빌라이져(40) 및 탄성지지체(5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10)는, 다수 개의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DGPS(70)가 배치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는 염분에 의한 부식을 최소화하고 수압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식에 강하고, 성형이 용이한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합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는 다수 개의 플레이트가 맞닿는 부위를 용접을 통해서 일체로 결합하고, 각 용접부위를 실링 처리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11)에는 DGPS(70)가 배치되는데, 상기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알려진 바와 같이 GPS의 측정 오차를 보완하는 것으로, 이미 알고 있는 기준점을 정하여 이곳에서 정확한 위치 값과 GPS에서 측정한 위치값을 비교하여 GPS에서 발생한 오차값을 보정한 후 그 보정값을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이며, 통상적으로 GPS의 오차가 대략적으로 30M 내외인데 비해 DGPS의 오차는 1M 내외이다.
이러한 DGPS는 해안선 및 해저 지형의 정확한 측지 및 측량에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구조 및 동작 관계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DGPS(70)는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에 별도의 케이싱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미도시됨)에는 DGPS(7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등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20)는 메인바디(10)와 음향측심기(8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중에 배치되어 선박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파도 또는 수중 압력에 의하여 메인바디 또는 음향측심기 또는 이들 모두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여도 결합 관계가 유지되도록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형태의 배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체(20)는 양단부가 각각 메인바디(10)와 음향측심기(8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각도 및 길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형성된다.
상기 저항력상쇄부재(3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선박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수중 저항력을 상쇄하여 메인바디(10)의 이동속도가 선박의 이동속도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바디(1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선단부가 좁아지는 쐐기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메인바디(10)의 이동시 저항력상쇄부재(30)가 물을 가르면서 메인바디의 후방 및 측방으로 물의 방향을 이동시킴으로서 수중 압력을 상쇄시켜 메인바디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저항력상쇄부재(30)는 메인바디(1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메인바디(10)의 외면 전체에 배치되어 선박의 이동시 메인바디가 닿는 물의 방향을 메인바디(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각각의 저항력상쇄부재(30)는 도시된 직선형 이외에도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물이 배출되는 방향을 직선에 비해 메인바디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40)는, 상기 메인바디(10)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메인바디(10)의 롤링(rolling)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의 이동에 따른 수중 압력, 파도, 해류의 움직임 등에 의해 메인바디(10)가 좌우로 흔들리는 롤링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롤링 현상 발생에 의해 흔들리는 메인바디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테빌라이져(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지지대(411)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호 맞닿은 단부를 접합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인접한 지지대(411) 사이에 바닷물이 출입하는 출입구(412)가 형성된 프레임(41)과,
상기 출입구(412)를 개폐하는 커버(42)와,
상기 프레임(41)을 상기 메인바디(10)에 연결하는 로프(43)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42)는,
상기 프레임(41)의 상승시 상기 출입구(412)를 폐쇄하고,
상기 프레임(41)의 하강시 상기 출입구(412)를 개방하며,
한 쌍의 스테빌라이져(4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대(411)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때 복수 개의 지지대(411)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수평지지대(413)와, 상기 수평지지대(413)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직수지지대(414)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지지대(413)와 직수지지대(414)는 맞닿는 면을 용접 또는 체결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일체로 고정하고, 바닷물에 포함된 염분에 의한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식방지용 열처리 또는 부식방지용 도료가 도포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게가 가볍고 성형이 용이하면서도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을 소재로 하여 형성한다.
물론 상기 수평지지대(413)와 직수지지대(414)를 금속재 이외에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형상 변경이 용이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합성수지재는 상술한 부식방지용 도료가 외주면에 도포되어 부식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41)은 도시된 사각 형태 이외에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도형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1)을 구성하는 수평지지대(413)의 상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판(415)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판(415)은 상기 프레임(41)이 메인바디의 롤링 발생시 상승할 때 프레임(41)의 상승을 억제하는 저항력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415)은 프레임(41)의 상승시 물과 맞닿는 면적을 넓혀 상승 저항력을 형성하고, 프레임(41)의 하강시 하강속도를 방해하지 않도록 수평지지대(413)의 외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구(412)는 수평지지대(413)와 직수지지대(414) 사이에 형성되어 바닷물이 출입하는 통로로서, 프레임(41)이 상승 또는 하강시 상기 출입구(412)를 통해 바닷물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커버(42)는 상기 출입구(412)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바닷물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서 메인바디의 롤링 현상을 억제하는 저항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프레임(41)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출입구(412)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이러한 커버(42)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프레임(41)과 공지의 경첩을 통해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42)는 프레임(41)의 상승시 출입구(412)를 폐쇄하여 프레임의 상승 속도를 늦추는 저항력을 형성하고, 프레임(41)이 하강시 출입구(412)를 개방하여 프레임이 하강하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42)는 프레임의 상방측으로 회전 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져는 메인바디가 파도, 해류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롤링 현상이 발생할 때 상승하는 속도는 느리게 하고 하강하는 속도는 빠르게 하되,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롤링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이 하강하면 반대측은 상승한다.
즉, 도 4에서 메인바디의 우측이 상승하는 형태로 기울어지면 우측에 배치된 프레임이 동시에 상승하는데, 상승하는 속도를 억제함으로서 메인바디의 기울어짐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메인바디의 우측이 상승할 때 좌측은 하강하며 좌측에 배치된 프레임도 동시에 하강한다.
이후, 반대로 메인바디의 우측이 상승하면 우측에 배치된 프레임이 상승 저항력을 형성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메인바디의 롤링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때 프레임의 하강속도는 메인바디의 하강속도와 동일하도록 저항력을 형성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프레임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속도를 늦추는 저항력을 형성하는 경우 상승하는 프레임에서 형성된 저항력과 서로 충돌하는 힘이 발생하고 발생한 힘이 메인바디로 전달되어 메인바디 또는 연결체와 메인바디의 결합부위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로프(43)는 상기 프레임(41)이 상승 또는 하강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상기 프레임(41)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다수 개의 로프(43)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로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4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431)는 각각의 로프(43)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개의 링(432)과, 상기 링(432)을 연결하는 간격유지바(433)를 포함하며, 상기 링(432)에는 관통 삽입된 로프(43)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수단은 고무, 실리콘, 우레칸 등 연질의 탄성복원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바(43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양단에 링(432)이 각각 결합된다.
도 5는 상기 스테빌라이져(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41)에 형성된 출입구(412)를 다수개로 구획하는 구획바(4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바(416)에 의해 구획된 출입구(412) 각각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42)가 배치된 것이다.
이는 출입구(412)를 통과하는 바닷물이 커버(42)를 밀어올리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파도나 해류가 발생하였으나 그 세기가 작거나 속도가 느린 경우에도 메인바디는 롤링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바닷물이 이동하는 힘이 약한 경우 커버를 개방시키지 못하여 프레임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저항력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저항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하는 프레임에서 형성된 저항력과 충돌함으로써 메인바디에 불필요한 충격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출입구(412)를 다수 개로 구획한 후 각각의 출입구(412)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커버(42)를 배치함으로써 작은 이동력을 갖는 바닷물의 움직임에도 커버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스테빌라이져(40)에는 측면에 절첩 가능하게 배치된 차단막(44)이 더 구비되어 한 쌍의 프레임(41)과 한 쌍의 차단막(44) 사이에 바닷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을 더 형성하여 상승시 저장공간에 저장된 바닷물의 무게를 통해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막은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것으로, 상승시 상호 멀어지는 프레임에 의하여 펼쳐지고 하강시 상호 근접하는 프레임에 의해 접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탄성지지체(50)는,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상기 DGPS(70)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선박의 이동에 따라 메인바디가 이동할 때 선박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파도, 해류, 수중 압력 등에 의해 메인바디가 흔들릴 때 내부에 배치된 DGPS(7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DGPS(70)의 측정시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탄성지지체(50)는,
양단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조절공(511)이 형성된 탄성조절부(51)와,
상기 조절공(511)에 관통 삽입되는 탄성조절볼트(52)와, 상기 탄성조절볼트(52)가 맞물리는 너트(53)와,
상기 탄성조절부(51)를 연결하며 외측단부가 상기 DGPS(70)의 외면을 맞닿아 이를 가압하는 반구형의 탄성부(54)를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탄성조절부(51)가 관통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55)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55)는 상기 수용공간(11)에서 DGPS(70)의 외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지지체(50)는 반구형의 탄성부(54)가 DGPS(70)의 외면에 맞닿아 이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탄성조절부(51)의 간격을 탄성조절볼트(52)와 너트(53)를 통해 조절하여 탄성부(54)의 곡률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력을 조절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탄성조절볼트(52)를 회전시켜 탄성조절부(51)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면 이와 동시에 탄성부(54)의 곡률이 작아지거나 커진다.
곡률이 변경된 탄성부(54)는 해당 곡률에 따라 형성되는 탄성력이 조절되고, 탄성부의 외주면이 DGPS(70)의 외면에 맞닿아 이를 탄성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한다.
이러한 탄성지지체를 통해 DGPS의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측량 작업시 오차 발생을 출이고,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DGPS가 메인바디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54)에는 고무, 우레탄 등 자체 탄성력을 가진 완충패드(56)가 더 구비되어 맞닿은 DGPS와의 마찰시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60)은 메인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DGPS와 음향측심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선박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분리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10 : 메인바디
11 : 수용공간
20 : 연결체
30 : 저항력상쇄부재
40 : 스테빌라이져
41 : 프레임 42 : 커버
43 : 로프 44 : 차단막
50 : 탄성지지체
51 : 탄성조절부 52 : 탄성조절볼트
53 : 너트 54 : 탄성부

Claims (1)

  1. 다수 개의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DGPS(70)가 배치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된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와 음향측심기(8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관체 형태의 연결체(20)와;
    상기 메인바디(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저항력상쇄부재(30)와;
    상기 메인바디(10)의 외측에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되어 메인바디의 롤링 현상을 최소화하는 스테빌라이져(40)와,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되 상기 DGPS(7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체(50); 및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상기 DGPS(70)와 음향측심기(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60)을 포함하되,
    상기 스테빌라이져(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지지대(411)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고, 상호 맞닿은 단부를 접합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인접한 지지대(411) 사이에 바닷물이 출입하는 출입구(412)가 형성된 프레임(41)과,
    상기 출입구(412)를 개폐하는 커버(42)와,
    상기 프레임(41)을 상기 메인바디(10)에 연결하는 로프(43)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42)는,
    상기 프레임(41)의 상승시 상기 출입구(412)를 폐쇄하고,
    상기 프레임(41)의 하강시 상기 출입구(412)를 개방하며,
    한 쌍의 스테빌라이져(4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메인바디(10)의 롤링 현상을 최소화하고,
    상기 탄성지지체(50)는,
    양단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조절공(511)이 형성된 탄성조절부(51)와,
    상기 조절공(511)에 관통 삽입되는 탄성조절볼트(52)와, 상기 탄성조절볼트(52)가 맞물리는 너트(53)와,
    상기 탄성조절부(51)를 연결하며 외측단부가 상기 DGPS(70)의 외면을 맞닿아 이를 가압하는 반구형의 탄성부(5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KR1020190035085A 2019-03-27 2019-03-27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KR10201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085A KR102013355B1 (ko) 2019-03-27 2019-03-27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085A KR102013355B1 (ko) 2019-03-27 2019-03-27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355B1 true KR102013355B1 (ko) 2019-08-22

Family

ID=6776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085A KR102013355B1 (ko) 2019-03-27 2019-03-27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3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80B1 (ko) 2009-03-19 2011-01-17 마린리서치(주) 멀티빔 음향 측심기 트랜스듀서 장착구
KR101073943B1 (ko) 2011-06-28 2011-10-17 (주)해양정보기술 수직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멀티빔 고정장치
CN102219045A (zh) * 2011-04-21 2011-10-19 广东工业大学 一种轮船减摇装置
KR101302177B1 (ko) 2013-06-11 2013-08-30 (주)해양정보기술 틸팅수단을 구비한 듀얼 멀티빔 측심장치
KR20150122446A (ko) * 2014-04-23 2015-11-02 신기홍 제트스키를 이용한 연안 해저지형 측량장치
KR101899293B1 (ko) * 2018-01-04 2018-09-17 (주)더모스트 해저 관측지형의 입체이미지 자동 출력방식을 갖춘 해양 전용 지형탐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80B1 (ko) 2009-03-19 2011-01-17 마린리서치(주) 멀티빔 음향 측심기 트랜스듀서 장착구
CN102219045A (zh) * 2011-04-21 2011-10-19 广东工业大学 一种轮船减摇装置
KR101073943B1 (ko) 2011-06-28 2011-10-17 (주)해양정보기술 수직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멀티빔 고정장치
KR101302177B1 (ko) 2013-06-11 2013-08-30 (주)해양정보기술 틸팅수단을 구비한 듀얼 멀티빔 측심장치
KR20150122446A (ko) * 2014-04-23 2015-11-02 신기홍 제트스키를 이용한 연안 해저지형 측량장치
KR101899293B1 (ko) * 2018-01-04 2018-09-17 (주)더모스트 해저 관측지형의 입체이미지 자동 출력방식을 갖춘 해양 전용 지형탐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1526T3 (es) Exploración láser para robot de amarre.
KR101133197B1 (ko)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MacMahan Hydrographic surveying from personal watercraft
CN110319811B (zh) 一种自适应波浪效应的水下单波束高精度探测系统及方法
JP2008121219A (ja) 杭打設方法
KR102013357B1 (ko)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수심측량 장비의 흘수변화 관측시스템
KR102013355B1 (ko) 싱글빔 음향측심기의 dgps 통합형 전원공급장치
CN109059746A (zh) 一种基于精密pos的海底地形测量方法
KR102329999B1 (ko) 해양측량선의 측량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흘수선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는 수로조사시스템
KR101033111B1 (ko) 멀티빔 음향측심기 구조물을 장착한 해양지형조사선
JP2002090456A (ja) 地形計測装置
KR101827742B1 (ko) 드론을 이용한 이동 및 수평유지 기능이 있는 천해조사 자율 무인 수상정
JP2007255032A (ja) 投入材料の投入方法、投入システム及び水底構造物の構築方法
KR102063687B1 (ko) 멀티형 센서 손상 방지용 프레임
KR101451179B1 (ko) 부유식 방파제, 부유식 방파제 구조물, 및 부유식 방파제의 제어방법
JP2001343237A (ja) 測深方法および装置
Work et al. Bathymetric surveying with GPS and heave, pitch, and roll compensation
KR102528134B1 (ko) 3d 세굴지도 제작 방법
Chang et al. Preliminary test of Tide-independent Bathymetric measurement Based on GPS
KR200494955Y1 (ko) 선박의 자동 흘수 계측장치
KR102031704B1 (ko) 해양측량선의 측량오차를 줄이는 흘수선 변화 보정시스템
CN114814850A (zh) 海洋工程测绘用水上距离勘测仪
KR101360272B1 (ko) 좌표정보와 지형정보와 수심정보를 확보해서 정밀한 해저데이터를 완성하는 해저지형정보 관리시스템
RU2559311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остояния ледового поля
RU26940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правок к глубинам, измеренным эхолотом при съемке рельефа дна акватор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