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348B1 -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348B1
KR102013348B1 KR1020180014914A KR20180014914A KR102013348B1 KR 102013348 B1 KR102013348 B1 KR 102013348B1 KR 1020180014914 A KR1020180014914 A KR 1020180014914A KR 20180014914 A KR20180014914 A KR 20180014914A KR 102013348 B1 KR102013348 B1 KR 10201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crushing
arbitrar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657A (ko
Inventor
이승찬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3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따르면, 위험 지역에 놓인 사용자가 상기 위험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도록, 상기 위험 지역과 상기 안전 지역을 서로 분리하는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기기가 외부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을 위치 변화 시키는 경우, 상기 하우징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파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위험 지역에 놓인 사용자가 상기 위험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도록, 상기 위험 지역과 상기 안전 지역을 서로 분리하는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화재 혹은 침수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참사가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원인으로는
사람들이 평소에 사고 발생 시에 행동해야 하는 행동 수칙의 미 인지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원인으로는 평소에 사고를 대비한 시설 관리가 미흡한 것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형참사가 발생되는 많은 원인들 중 가장 큰 원인은 사고 발생 지점에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비상 용품들이 구비되지 않은 점으로 조사되고 있다. 특히, 사고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는 것을 방해하는 물체를 파손하는 파손 기구 (일례로, 비상용 망치)가 사고 지역에 배치되지 않음으로, 사고 현장의 사람들은 사고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지 못하여, 사고 지역에서 불행한 결과를 맞이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고찰은 사후적 관점의 고찰로서, 단지 탁상 공론적인 문제 의식일 수 있다. 그 이유는 모든 장소에 상기 파손 기구가 구비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형참사를 겪더라도 상술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사람들은 여전히 대형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대형참사에 항상 대비할 수 있도록, 파손 기구 기능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따르면, 위험 지역에 놓인 사용자가 상기 위험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도록, 상기 위험 지역과 상기 안전 지역을 서로 분리하는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기기가 외부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을 위치 변화 시키는 경우, 상기 하우징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파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임의의 물체의 면적 대비 상기 임의의 물체에 작용되는 힘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을 위치 이동시키는 에너지가 상기 하우징을 통해 직접적으로 상기 임의의 물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기 에너지가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되는 동안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임의의 물체를 서로 이격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가 상기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동안 상기 파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쇄부를 기준으로 상기 파쇄부보다 내구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진 강성 보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파쇄부와 사출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강성 보완부는, 상기 파쇄부을 포위하여 상기 파쇄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 보완부가 상기 파쇄부에 고정되는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강성 보완부를 상기 파쇄부에 가 고정시키는 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 고정부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상태 변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변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강성 보완부를 상기 가 고정부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강성 보완부를 상기 가 고정부에 고정시키며,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보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 하우징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보조 하우징이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보조 하우징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따르면, 항상 대형참사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사고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파쇄 과정에서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결합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위험 지역에 놓인 사용자가 상기 위험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도록, 상기 위험 지역과 상기 안전 지역을 서로 분리하는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기기가 외부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S10)을 제공하는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을 위치 변화 시키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파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용이하기 위치 이동 시킬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노트북,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폰일 수 있다.
도 1 및 이하 서술에서는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휴대폰인 것을 기준으로 서술하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S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플라스틱, 고무 또는 메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수용 공간(S10)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하우징(10)은 제1 하우징(11), 상기 제1 하우징(11)의 둘레로부터 상측 방향 혹은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하우징(12) 및 상기 제2 하우징(12)으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11)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S10)에 배치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상기 수용 공간(S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하우징(13)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우징(10)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 및 도면에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파쇄부(20)는 상기 임의의 물체가 파쇄되도록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해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배치된 상기 하우징(10)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는 상기 파쇄부(20)에 의해 상기 임의의 물체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파쇄부(20)에서 전달되는 에너지가 상기 임의의 물체의 응력보다 강하다면,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될 수 있다.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하우징(10)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20)는 소정의 두께를 두께를 가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부(20)는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단면적을 가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제2 하우징(1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파쇄부(20)의 위치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외면 혹은 상기 제3 하우징(13)의 외면으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하우징(10)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쇄부(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1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구체적일 일례로, 상기 하우징(10)은 사출 공정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하우징(10) 및/또는 상기 파쇄부(20)의 재질은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임의의 물체의 면적 대비 상기 임의의 물체에 작용되는 힘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을 위치 이동시키는 에너지가 상기 하우징(10)을 통해 직접적으로 상기 임의의 물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기 에너지가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되는 동안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임의의 물체를 서로 이격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파쇄부(20)가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0)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는 상기 파쇄부(20)만을 통해 상기 임의의 물체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너지가 상기 파쇄부(20)로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임의의 물체를 적은 상기 에너지로도 파쇄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에너지는 상기 파쇄부(20)를 통해서만 상기 임의의 물체로 전달될 뿐,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임의의 물체로 직접 전달될 수는 없을 수 있다.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파쇄부(20)의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21a)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20)는 상기 임의의 물체가 파쇄되도록 외력을 전달하는 파쇄 본체부(21) 및 상기 파쇄 본체부(21)와 상기 하우징(10)을 서로 결합 및/또는 시키는 제1 결합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1 결합부(22)와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파쇄 본체부(21)와 상기 하우징(10)을 서로 결합 및/또는 연결시키는 제2 결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제1 결합부(22)는 숫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합부(14)는 상기 제2 하우징(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22)와 상기 제2 결합부(14)는 서로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파쇄 본체부(21)와 상기 하우징(10)은 서로 결합 및/또는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결합부(22)와 상기 제2 결합부(14)의 구체적인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 결합부(22)는 암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합부(14)는 숫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14)는 상기 제2 하우징(12)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 결합부(22)는 상기 제1 하우징(11) 및/또는 상기 제2 하우징(1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결합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가 구비하는 상태 변화부가 제1 상태일 경우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가 구비하는 상태 변화부가 제2 상태일 경우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관한 서술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는 상기 파쇄부(120)가 상기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동안 상기 파쇄부(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쇄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파쇄부(120)보다 내구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진 강성 보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 보완부(130)가 상기 파쇄부(120)에 고정되는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강성 보완부(130)를 상기 파쇄부(120)에 가 고정시키는 가 고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 고정부(140)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상태 변형부(150)를 더 포함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서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파쇄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파쇄부(1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쇄부(120)는 상기 제2 하우징(12)의 외면에서 상기 제2 하우징(12)의 내면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의 외면에서 함입되어 있는 함입부(12-1)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12)의 내면에서 상기 제2 하우징(12)의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가 상기 하우징(10)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쇄부(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쇄부(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쇄부(120)는 상기 하우징(10)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보완부를 내구성이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를 포위하도록 상기 파쇄부(120)에 연결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에 접착 물질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강성 보완부(130)의 내면에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파쇄부(120)에는 함입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입부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강성 보완부(13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가 고정부(140)에 의해 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위치란, 상기 강성 보완부(130)가 상기 파쇄부(120)에 고정될 때의 상기 강성 보완부(130)의 위치를 말할 수 있다.
가 고정부(140)는 상기 하우징(10) 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가 고정부(140)는 상기 제2 하우징(12)의 외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 고정부(140)는 상기 제2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 고정부(140)는 상기 제2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되나, 상기 제2 하우징의 함입부(12-1)와 서로 이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 고정부(14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파쇄부(12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파쇄부(120)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가 고정부(140)와 상기 파쇄부(120) 사이의 이격 공간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강성보완부(130)가 상기 파쇄부(12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가 고정부(140)는 상기 강성 보완부(1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 고정부(140)는 상기 강성 보완부(130)를 가압하여, 상기 강성 보완부(13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기 가 고정부(140)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가 고정된 후, 상기 강성 보완부(130) 내면 혹은 상기 파쇄부(120)의 외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 물질에 의해 상기 파쇄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 고정부(140)는 상기 강성 보완부(130)가 상기 파쇄부(12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강성 보완부(130)를 상기 파쇄부(12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상기 가 고정부(140) 및 상기 하우징(10)이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태변형부(150)는 상기 가 고정부(140)와 상기 함입부(12-1)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 고정부(140)의 내면은 상기 제2 하우징(12)에서 상기 파쇄부(1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강성 보완부(130)를 상기 가 고정부(140)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강성 보완부(130)를 상기 가 고정부(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상기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가 고정부(140)와 함께 상기 강성 보완부(130)를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가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상기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강성 보완부(13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상기 제2 상태일 경우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강성 보완부(130)를 상기 가 고정부(140) 및 상기 제2 하우징(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부피가 확장되는 동시에 접착 기능이 발현될 수 있다.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상술한 기능을 가지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구조용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상태 변형부(150)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부피가 확장되면서, 상기 가 고정부(140)의 내면의 경사로 인해, 상기 가 고정부(140)는 상기 파쇄부(120) 방향으로 더욱 위치 이동되어 상기 강성 보완부(130)를 더욱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강성 보완부(130)는 상술한 파쇄 과정 도중에 상기 파쇄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상태 변형부(150)는 주위 온도가 올라갈 경우 자동적으로 상태 변화를 하여 상기 강성 보완부(130)가 상기 파쇄부(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관한 서술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는 상기 임의의 물체가 용이하게 파쇄되도록 하는 강성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220)는 상면에 상기 강성부(260)가 안착될 수 있는 배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강성부(260)는 상기 파쇄부(22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쇄부(220) 및 상기 하우징(10)은 일체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강성부(26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강성부(260)는 접착 물질에 의해 상기 파쇄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강성부(260)가 상기 파쇄부(220)에 안착된 후, 상기 강성 보완부(130)가 상기 파쇄부(220)에 상기 가 고정부(140)에 의해 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강성부(260)는 상기 강성 보완부(130) 및 상기 파쇄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및 제5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관한 서술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12)은 상기 제1 하우징(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상측하우징(12a), 상기 제2 상측하우징(12a)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하측하우징(12b), 상기 제2 상측하우징(12a)과 상기 제2 하측하우징(12b)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우측하우징(12c) 및 상기 제3 우측하우징(12c)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4 좌측하우징(12d)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320)는 상기 제2 상측하우징(12a)과 상기 제2 좌측하우징(12d)이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파쇄부(320)의 배치로 인해, 사용자는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관한 서술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파쇄부(420)는 하우징(4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쇄부(420)는 제2 하우징(412)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410)은 제1 하우징(411), 제2 하우징(412) 및 제3 하우징(41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412)은 상기 제2 상측하우징(412a), 상기 제2 하측하우징(412b), 상기 제2 우측하우징(412c) 및 상기 제2 좌측하우징(412d)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파쇄부(420)는 상기 제1 상측하우징(41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좌측하우징(4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파쇄부(420)는 상기 하우징(4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쇄부(420)는 상기 제1 하우징(411)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413)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0)과 상기 파쇄부(420)는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배치될 수 있는 수용 공간(S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420)가 상기 하우징(410)과 하나의 형상을 이루어, 사용자가 평상시에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가 구비하는 보조 하우징이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가 구비하는 보조 하우징이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가 구비하는 제한부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가 구비하는 제한부가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관한 서술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는 상기 하우징(1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보조 하우징(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는 상기 보조 하우징(560)이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하우징(560)의 위치 이동과 관련된 외력이 수용되는 외력수용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하우징(560)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보조 하우징(56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하우징(560)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S10)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하우징(560)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560)의 상면, 상기 제2 하우징(12)의 내면 및 상기 제3 하우징(13)의 밑면은 상기 수용 공간(S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하우징(560)이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S10)을 제공할 수 없을 수 있다.
상기 보조 하우징(560)은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하우징(560)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하우징(11)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조 하우징(560)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560)의 하면과 상기 제1 하우징(11)의 상면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하우징(560)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하우징(11)의 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조 하우징(560)이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560)의 상면과 상기 제3 하우징(13)의 하면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하우징(560)은 상기 제2 하우징(12)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외력수용부(570)는 상기 보조 하우징(56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외력수용부(57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수용부(570)는 상기 보조 하우징(56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580)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56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580)는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56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제한부(580)는 상기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560)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580)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580)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균일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한부(580)는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제한부(580)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한부(58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58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 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의 사용자가 화재 현장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 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외력수용부(570)에 외력을 작용하여 상기 보조 하우징(560)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보조 하우징(560)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위치 고정 시키기 위해, 상기 제한부(580)에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한부(58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부(580)는 상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580)는 상기 보조 하우징(560), 상기 제1 하우징(11) 및 상기 제2 하우징(1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으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조 하우징(560)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 기기가 파손되지 않고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는 파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하우징 20 : 파쇄부
130 : 강성 보완부 140 : 가 고정부
150 : 상태 변형부 260 : 강성부
560 : 보조 하우징 570 : 외력수용부
580 : 제한부

Claims (11)

  1. 위험 지역에 놓인 사용자가 상기 위험 지역에서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도록, 상기 위험 지역과 상기 안전 지역을 서로 분리하는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 기기가 외부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을 위치 변화 시키는 경우, 상기 하우징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가 상기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동안 상기 파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쇄부를 기준으로 상기 파쇄부보다 내구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진 강성 보완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강성 보완부가 상기 파쇄부에 고정되는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강성 보완부를 상기 파쇄부에 가 고정시키는 가 고정부; 및
    상기 가 고정부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상태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변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강성 보완부를 상기 가 고정부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강성 보완부를 상기 가 고정부에 고정시키며,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이 위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임의의 물체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임의의 물체의 면적 대비 상기 임의의 물체에 작용되는 힘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을 위치 이동시키는 에너지가 상기 하우징을 통해 직접적으로 상기 임의의 물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기 에너지가 상기 임의의 물체에 전달되는 동안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임의의 물체를 서로 이격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파쇄부와 사출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강성 보완부는,
    상기 파쇄부를 포위하여 상기 파쇄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보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조 하우징이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보조 하우징이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보조 하우징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보조 하우징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KR1020180014914A 2018-02-07 2018-02-07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KR102013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14A KR102013348B1 (ko) 2018-02-07 2018-02-07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14A KR102013348B1 (ko) 2018-02-07 2018-02-07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57A KR20190095657A (ko) 2019-08-16
KR102013348B1 true KR102013348B1 (ko) 2019-08-22

Family

ID=6776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14A KR102013348B1 (ko) 2018-02-07 2018-02-07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3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50455U (zh) 2013-12-24 2014-06-18 苏州欢颜电气有限公司 一种多功能校正锤
US20150008148A1 (en) 2013-07-08 2015-01-08 TaskLab, LLC Protective case with tool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817462A (zh) * 2016-11-28 2017-06-09 佛山市尚好门窗有限责任公司 一种手机保护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005U (ko) * 2012-11-13 2014-05-22 조대웅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08148A1 (en) 2013-07-08 2015-01-08 TaskLab, LLC Protective case with tool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3650455U (zh) 2013-12-24 2014-06-18 苏州欢颜电气有限公司 一种多功能校正锤
CN106817462A (zh) * 2016-11-28 2017-06-09 佛山市尚好门窗有限责任公司 一种手机保护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57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16953A1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tronic device
WO2018104804A1 (zh) 一种集成智能头戴式设备
US20200000624A1 (en) Ostomy Leakage Alert System
KR102013348B1 (ko)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CN104737091A (zh) 平板电脑的展示架
CN103567030A (zh) 具有容许厚度警示功能的碎纸装置
US1107566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uggedize a mobile device for public safety or mobile use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WO2020106660A3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patterned nanovoids for actuation and deformation sensing
US1039427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mber for chassis
US20160017591A1 (en) Concrete-structure connecting assembly
CN206025327U (zh) 一种预报警式安全帽
US9608685B2 (en) Deformable seal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869074B1 (ko) 압전이 용이한 스마트 슈즈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7022986A (ja) リングメインユニット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WO2008117486A1 (ja) 覗き見防止方法、覗き見防止装置および電子計算機
CN104050780A (zh) 溺水警示的游泳帽组件
KR102573075B1 (ko) 비상탈출용 펀치
CN105490807A (zh) 一种开盖毁钥的vpn设备
KR101433009B1 (ko) 에어백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1454189B1 (ko) 위치 추적용 신발
KR101871587B1 (ko) 스마트 슈즈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JP6477070B2 (ja) 防爆構造及び電子機器
KR20220136731A (ko) 비상탈출용 펀치
JP5933651B2 (ja) 電子装置の警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