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274B1 -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 Google Patents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274B1
KR102013274B1 KR1020190028206A KR20190028206A KR102013274B1 KR 102013274 B1 KR102013274 B1 KR 102013274B1 KR 1020190028206 A KR1020190028206 A KR 1020190028206A KR 20190028206 A KR20190028206 A KR 20190028206A KR 102013274 B1 KR102013274 B1 KR 102013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raw material
extract
focused ultrasound
cent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형인
김유미
Original Assignee
(주)클래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래시스 filed Critical (주)클래시스
Priority to KR102019002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2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ella asiatica extract comprising phenolic compounds in a large quantity having effects of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 particular, the extract is produc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mixing Centella asiatica with water; b) applying focused ultrasound to the mixture obtained in the step a); c) ultrasonically treating the mixture treated with focused ultrasound in the step b); d) applying focused ultrasound to the mixture ultrasonically treated in the step c); and e) ultrasonically treating the mixture treated with focused ultrasound in the step d). Furthermore, the Centella asiatica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effects of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can be beneficially used as a skin-brightening cosmetic material.

Description

집속초음파 기술을 이용하여 수득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본 발명은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조된,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포함하는 병풀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병풀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 중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포함하므로 피부 미백용 화장료로서 유용성이 우수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entella asiatica extrac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ctive compound phenolic compound prepared using focused ultrasou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extract Centella, since the extract contains a large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having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among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entella It is excellent in utility as a cosmetic for whitening.

멜라닌은 여러 동물들의 피부나 눈 등의 조직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 고분자 물질로 흑색 내지 갈색 색소를 총칭한다.Melanin is a phenolic polymer material widely present in tissues such as skin or eyes of various animals and is a generic term for black to brown pigment.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의 멜라노사이트 세포 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의 연속적 산화반응으로 합성되며, 일정량 이상의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가지나, 현대 사회에서는 미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미, 주근깨, 검버섯 형성 및 피부노화 촉진의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미백 효과 존부의 판단은 주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 및 멜라닌 생성 억제능에 대한 실험에 의해 이루어 진다.Melanin is synthesized by the continuous oxidation of tyrosinase enzymes in the melanosomes in the melanocytes of the epidermal basal layer, and has a positive function of protecting the skin by blocking a certain amount of ultraviolet rays, but in modern society aesthetics It is also known as one of the causes of blemishes, freckles, blotch formation and promoting skin aging.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f whitening effect is mainly made by experiments on the ability to inhibit tyrosinase activity and the ability to inhibit melanin production.

티로시나아제는 티로신을 산화시켜 DOPA를 만드는 티로신 히드록시아제(Tyrosine hydroxyase) 및 DOPA를 산화시켜 DOPAquinone을 만드는 DOPA 옥시다아제로 작용하여 멜라닌 전구체를 합성하며, 이에 따라 멜라닌의 최종합성에 있어 중요한 효소로 작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티로신이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L-3,4-dihydroxyl-Lphenylalanine(L-DOPA)으로, 이후 DOPAquinone으로 산화되고 다시 DOPAquinone이 DOPAchrome으로, DOPAchrome이 Indole-5,6-quinone 또는 Indole-5,6-quinone carboxylic acid가 되어 최종적으로 멜라닌이 합성된다.Tyrosinase synthesizes melanin precursor by acting as tyrosine hydroxyase which oxidizes tyrosine to make DOPA and DOPA oxidase which oxidizes DOPA to make DOPAquinone, thus acting as an important enzyme in the final synthesis of melanin Done. Specifically, tyrosine is oxidized by tyrosinase to L-3,4-dihydroxyl-Lphenylalanine (L-DOPA), then to DOPAquinone, and then DOPAquinone to DOPAchrome, DOPAchrome to Indole-5,6-quinone or Indole-5, 6-quinone carboxylic acid is finally synthesized melanin.

페놀성 화합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제로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글루코사민(Glucosamine) 등이 있다. 이 중 알부틴과 코직산은 피부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제한된 양으로 미백제에 첨가되고 있다.Phenolic compounds are generally known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Hydroquinone, ascorbic acid and kojic acid are known as inhibitors of tyrosinase activity so far. ), Arbutin, glucosamine and the like. Arbutin and kojic acid are added to the whitening agent in limited amounts due to problems such as skin stability.

한편, 최근 건강 및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합성 제품보다는 천연 추출물을 재료로 포함하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페놀성 화합물은 병풀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병풀 추출물은 화장품, 식료품, 의약품 등의 원재료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Meanwhile, as interest in health and beauty has increased recently, consumers have increased their preference for products containing natural extracts as ingredients rather than synthetic products. As described above, phenolic compounds having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are known to be contained in the centella. Therefore, Centella asiatica extract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has high utility value as a raw material for cosmetics, foodstuffs and pharmaceuticals.

이에 따라, 적은 양의 천연물로부터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the need for a method of preparing extracts containing large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from small amounts of natural products is greatly increasing in the art.

천연물을 추출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에는,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천연물에 포함된 활성성분을 용출하는 열수추출, 알코올 등 용매를 사용하여 고체 또는 액체 시료 중에서 활성성분을 용해시켜 분리하는 용매추출,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초임계 추출 등이 있다. 그러나, 수율이 낮거나, 고온의 열을 천연물에 적용함에 따라 활성성분이 파괴 또는 변성되거나, 추출 이후 잔존하는 유기용매로 인해 인체용 화장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정도의 안전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Commonly used methods for extracting natural products include hot water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to elute the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natural products, solvent extraction using alcohols, and solvents to dissolve and separate the active ingredients in solid or liquid samples. Supercritical extraction using a critical fluid. However, various problems such as low yield, high temperature heat applied to natural products, active ingredients are destroyed or denatured, or organic solvents remaining after extraction do not satisfy the degree of safety suitable for use in human cosmetics. Are present.

또한, 천연물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1662호 (2014.03.13)는 유기사포닌 성분의 홍삼 추출액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홍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4 내지 6회 추출한 후 남은 홍삼 찌꺼기에 대해 구연산 및 호박산을 혼합한 유기산을 첨가하고 숙성시킨 후 초음파진동과 미세기포를 부여하면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a method used for extracting natural products, a method of extracting using ultrasonic waves is also disclosed. 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1662 (2014.03.13) discloses a method for preparing red ginseng extract of an organic saponin component, and extracts red ginseng residue after heating red ginseng at high temperature for 4 to 6 times. And adding the organic acid mixed with citric acid and succinic acid and aging, and extracting while giving ultrasonic vibration and microbubbles.

이와 같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추출 과정에서 유기용매가 사용된다면 최종 생성물인 추출물에서 유기용매를 완전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와 같이 추출물 내에 잔존하는 유기용매는 인체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품으로서의 사용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도록 만든다. 또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추출용매로서 물을 사용하게 될 경우 그 수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As such, a method of extracting using ultrasonic waves is already known. However, if an organic solvent is used in the extraction process,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organic solvent from the final product extract, and thus the organic solvent remaining in the extract does not meet the criteria for use as a cosmetic for application to human skin. In addition, when water is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without using the organic solvent, the yield is significantly reduced.

특히, 천연추출물은 그 원재료인 식물이 무엇인지에 따라 추출 수율과 활성성분의 함량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특정 식물에 대해 효과가 확인된 추출방법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식물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n particular, natural extracts vary greatly in the extraction yield and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depending on which plant is the raw material, so even if the extraction method is effective for a particular plant, the same or similar effect may be applied to other plants. In most cases it is not shown.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1662호 (2014.03.13)Publication No. 10-2014-0031662 (2014.03.13)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로 인해 미백 효과를 가지는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이 다량으로 포함된 병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견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더라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페놀성 화합물을 유의적으로 높은 수율로 포함하는 병풀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특정 조건을 입증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present inventors are aware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find a method for producing a centrifugal extrac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phenolic compound,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having a whitening effect due to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the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The study was repeated through trial and error. As a result, even if water is used as a solvent, it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and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thereby demonstrating specific conditions for produc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containing phenolic compound having skin whitening effect in a significantly high yiel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병풀 추출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provides a Centella extract, prepared according to a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병풀을 물에 혼합하는 단계;a) mixing the centellae with water;

b) 상기 a)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단계;b) irradiating focused ultrasound to the mixture obtained in step a);

c) 상기 b) 단계에서 집속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에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c) ultrasonicating the focused ultrasound treated mixture in step b);

d) 상기 c) 단계에서 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에 집속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및d) focusing ultrasonic treatment on the mixture sonicated in step c); And

e) 상기 d) 단계에서 집속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에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e) sonicating the focused ultrasonically treated mixture in step d).

상기 병풀은 호랑이풀, 조개풀 등이라고도 지칭되며, 학명은 Centella asiatica이다. 한반도의 남부 섬 등지의 다습한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고 지름이 2 내지 5cm인 비늘 같은 잎이 있는 미나리과 병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에서는 병풀의 전초를 적설초라 하여 약용하며, 그 효과로 청열, 이습, 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The centella is also called tiger grass, clam grass, etc., the scientific name is Centella asiatica . It is a perennial herb in the genus of the herbaceous genus, which has a scale like leaf, 2-5 cm in diameter, inhabiting humid areas such as the southern island of the Korean peninsula. In Korea, the outpost of Centella as medicinal herb is called medicinal herb, and it is known to have the effect of clearing, diarrhea, seedling and detoxific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조된 병풀 추출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로 인해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entella asiatica extract using the focused ultra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kin whitening effect, preferably due to the effect of inhibiting tyrosinase activity and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skin whitening effec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본 발명에 따른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병풀의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이 다량 포함된 병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Each step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centellar extrac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as active ingredients of Centella as a focusing ultrasonic 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단계 a)는 병풀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step a) is a step of mixing the centella and the solvent.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단계 a)의 병풀은 분쇄된 형태의 병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llae of step a) may be, but not limited to, a centellae pulverized form.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용매는 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메탄올,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유기용매는 제외된다. In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olvent is water. Preferably, organic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the like are excluded from the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추출 용매로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물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활성성분의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추출물은 화장료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으므로, 추출 과정에서 유기용매의 사용을 배제하였으며 물이 유일한 추출 용매로서 사용된다. 유기용매는 추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병풀 내 활성성분의 변성을 일으키거나, 또는 병풀의 함유 성분과 반응하여 부가물질을 생성하거나, 또는 최종 생성물로서 수득된 추출물 내에 유기용매 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물질이 잔존하기 때문에, 최종 생성물로서 수득된 추출물은 화장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일 유기용매추출법에 의해 수득된 최종 생성물을 화장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종 생성물 내에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없다는 것을 입증하는 별도의 단계가 추가로 필요하거나, 또는 최종 생성물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완전 제거하는 정제 단계가 추가로 필요하므로, 화장료 생산을 위한 전체 공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불리하다.It is common to use organic solvents as extraction solvents to achieve higher extraction yields of the active ingredients compared to using water. However, the Centella asiatica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for use in cosmetics, so the use of an organic solvent in the extraction process is excluded and water is used as the only extraction solvent. The organic solvent may cause denatu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centella as the extraction proceeds, or may be react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centella to produce adducts, or the organic solvent or a derivative thereof may be added to the extract obtained as a final product. Because it remains, the extract obtained as the final product does not meet the criteria for use as a cosmetic. If the final product obtained by the organic solvent extraction method is used as a cosmetic, an additional step is required to prove that there is no harmful substance to the human body in the final product, or a tablet which completely removes the harmful substance to the human body from the final product. Since further steps are required,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집속초음파는 집속 영역 강도에 따라 1,000 W/cm2 이상의 고강도 집속초음파(HIFU,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와 10 mW/cm2 내지 50 W/cm2 범위의 저강도 집속초음파(LIFU, Low Intensity Focused Ultrasound)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집속초음파는 고강도 집속초음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집속초음파는 1,500 W/cm3 내지 2,000 W/cm3의 고강도 집속초음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대비되는 용어로서 초음파(ultrasound)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음역대의 주파수 20kHz를 초과하는 음파를 말한다.The term focused ultrasou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of 1,000 W / cm 2 or more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focusing region and low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in the range of 10 mW / cm 2 to 50 W / cm 2 ( LIFU, Low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he focused ultrasound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In particular, the focused ultrasound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a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of 1,500 W / cm 3 to 2,000 W / cm 3 . In contrast, the term "ultrasound" refers to sound waves exceeding 20 kHz in the audible range of human hearing.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고강도 집속초음파를 사용하였을 때와 일반초음파를 사용하였을 때의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수율 및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유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병풀 추출물을 제조할 때 페놀성 성분의 추출 수율 및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As shown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inventors performed experiments to measure the extraction yield of the phenolic compound and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when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and general ultrasonic waves were used. As a result, the extraction yield of the phenolic component and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increased when preparing the centella extract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특정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이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 근거를 분석해볼 때, 집속초음파가 병풀의 세포벽과 세포벽 공간을 자극하여 활성성분의 유출을 높이고 또한 용매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병풀 내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며, 이에 더하여 병풀이 함유하는 성분 중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효과로 인해 미백효과을 가지는 페놀성 화합물이 보다 선택적이며 집중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In analyzing the rationale for obtaining this result without being bound to a specific theory, focused ultrasound stimulates the cell wall and cell wall space of the plant pool to increase the outflow of active ingredients and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solvent. It is believed that phenolic compounds with whitening effect can be more selectively and intensively separated due to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igment produc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entella as well. .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집속초음파 기기는 특정 위치에 초점을 갖는 집속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는 초음파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발생 모듈은 타원형 발진체를 구비한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The focused ultrasound apparatus us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ltrasound generating module capable of generating focused ultrasound having a focus at a specific position, the ultrasound generating module including an ultrasonic transducer having an elliptical oscilla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속초음파 기기는 집속초음파가 특정 위치에 초점을 갖고 집속초음파가 조사됨에 따라 매질의 온도가 상승하고 병풀의 활성성분이 파괴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병풀 함유 용액을 지속적으로 교반하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반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교반 날개일 수 있다.Preferably, the focused ultrasound apparatus continuously agitates the pool containing solution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from rising and the destruction of active ingredient of the centella as the focused ultrasound is focused on a specific position and the focused ultrasound is irradiated. The apparatus can be provided. The stirr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 stirring blad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따른 방법이 수행될 때 특정 범위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집속초음파 기기는 냉각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는 초음파 또는 집속초음파에 의한 매질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Preferably, the focused ultrasound device may be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so as to be able to maintain a certain range of temperatures whe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arried out. The cooling device suppresse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medium by ultrasonic waves or focused ultrasonic waves.

상기 집속초음파 기기의 구체적인 예를 도 1 내지 7에 도시하였으며, 다만 이들 도면에 도시된 기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focused ultrasound device are shown in FIGS. 1 to 7, but are not limited to the devices shown in these drawings.

도 1은 집속초음파 기기의 일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처리 장치(100)는 초음파 처리되는 원료가 저장되는 처리 용기(102)와, 처리 용기(102)의 특정 위치에 초점을 갖는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발생 모듈(110)을 구비한다. 도 1에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처리 용기(102), 초음파 발생 모듈(110) 등은 단면도로 표시하였다. 초음파 발생 모듈(110)은 초음파 트랜스듀서(116), 카트리지 하우징(112), 초음파 매질(113) 등을 구비한다. 초음파 트랜스듀서(116)는 타원형 발진체(117)를 구비하여 집속초음파를 생성한다. 카트리지 하우징(112)의 내부에 초음파 트랜스듀서(116)가 설치된다. 카트리지 하우징(112)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초음파를 투과시키는 카트리지 윈도우(114)가 부착된다. 초음파 매질(113)은 카트리지 하우징(112)의 내부에 채워지고 초음파 트랜스듀서(116)에서 생성된 초음파를 카트리지 윈도우(114)로 전달한다. 처리 용기(102)에는 초음파 발생 모듈(11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104)가 설치되며, 초음파 처리되는 원료가 저장된다. 초음파 발생 모듈(110)은 집속초음파를 조사하여 처리 용기(102)에 저장된 천연물 병풀로부터 활성성분을 추출한다. 집속초음파가 처리 용기(102)에 저장된 원료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초음파 트랜스듀서(116)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18)가 초음파 발생 모듈(1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처리 용기(102) 내의 원료에 진동을 전달하여 흔드는 원료 유동기기(미도시됨)가 처리 용기(102)에 설치된다. 초음파 발생 모듈(110)은 초음파가 투과되는 카트리지 윈도우(114)가 원료(103)의 수면(水面)과 접촉하거나, 일부가 원료 내로 잠기게 설치된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 모듈(110)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공기를 통과하지 않고 원료(103)에 조사된다. 카트리지 윈도우(114)는 초음파를 투과할 수 있는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의 필름이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윈도우(114)는 캡톤 필름이나, 초음파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공지의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이동기구(118)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16)에서 생성된 집속초음파가 처리 용기(102) 내의 원료(103)에 골고루 조사되도록 초음파 트랜스듀서(116)를 이동시킨다. 이동기구(118)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16)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부(118a),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부(118b),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이동부(118c)로 구성된다. 이동기구(118)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16)가 X/Y/Z축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나, 초음파 트랜스듀서가 피벗 운동, 시계추 운동, 나선형 운동 등의 다양한 형태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기구(118)는 카트리지 하우징(112)의 내부에 위치되고, 초음파 트랜스듀서(116)와 연결되어 초음파 트랜스듀서(116)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나, 이동기구(118)는 카트리지 하우징(112)의 외측에 위치하여 카트리지 하우징(112)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용기(102) 내의 원료를 흔들어 집속초음파가 원료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원료 유동기기(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료 유동기기는 처리 용기(102)가 시계추 운동, 회전 운동 등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용기(102)의 내부에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 날개(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집속초음파가 처리 용기(102) 내의 원료(103)에 조사되면 원료(103)의 온도가 상승하여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가스를 방출할 수 있도록 결합부(104)에는 가스 방출구(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 모듈(110)이 장시간 집속초음파를 생성하면 초음파 매질(113)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초음파 매질(113)을 냉각시키는 냉각기구가 필요하다. 상기 매질 냉각기구는 카트리지 하우징(112)에 삽입되어 초음파 매질(113)과 접촉하는 금속판(120)과, 금속판(120)을 통해 전달된 열을 공기 중으로 발산하는 히트 싱크(heat sink, 122)로 구성된다. 히트 싱크(122) 대신에 펠티어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원료 용기(130, 132, 1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료 용기(130, 132)에는 초음파 처리 전의 원료가 저장된다. 원료 용기(134)에는 초음파 처리 후의 원료가 저장된다. 원료 용기(130)는 이송관(136)을 통해 처리 용기(102)의 원료 주입구(137)에 연결되며, 이송관(136)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144)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132)는 이송관(138)을 통해 처리 용기(102)의 원료 주입구(139)와 연결되며, 이송관(138)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146)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134)는 이송관(140)을 통해 처리 용기(102)의 원료 배출구(141)와 연결되며, 이송관(140)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148)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130)와 원료 용기(134)는 이송관(142)를 통해 연결되며, 이송관(142)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150)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130, 132)에 저장된 원료는 초음파 처리를 위해 개폐밸브(144, 146)가 개방된 상태에서 펌프(미도시됨)를 통해 처리 용기(102) 내로 이송된다. 처리 용기(102)에서 초음파 처리된 원료는 개폐밸브(148)를 개방하여 원료 용기(134) 내로 이송된다. 1회의 초음파 처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반복해서 초음파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개폐밸브(150)를 개방하여 초음파 처리된 후 원료 용기(134)에 저장되어 있는 원료를 이송관(142)을 통해 원료 용기(130)로 이송한다. 원료 용기(130)로 이송된 원료는 이송관(136)을 통해 처리 용기(102)로 이송되어 다시 초음파 처리된다. 즉, 원료 용기(134), 이송관(142), 원료용기(130), 처리용기(102)의 순서로 원료가 순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16)가 처리 용기(102) 내의 원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초음파 처리 중에 유해 성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처리 용기(102)에 안정적으로 저장된 원료에 이동기구(118)를 통해 집속초음파를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1 is an example of a focused ultrasound device. As shown in FIG. 1,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processing container 102 in which raw materials to be ultrasonicated are stored,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for irradiating focused ultrasound having a focus on a specific position of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 110).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n FIG. 1,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and the like are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includes an ultrasonic transducer 116, a cartridge housing 112, an ultrasonic medium 113, and the like.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is provided with an ellipsoidal oscillator 117 to generate focused ultrasound. An ultrasonic transducer 116 is install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112. The cartridge housing 112 has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artridge window 114 for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is attached to the opening. The ultrasonic medium 113 is fill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112 and deliver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to the cartridge window 114.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a coupling part 104 in which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is detachably mounted is installed, and the raw material to be ultrasonicated is stored.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irradiates the focused ultrasound to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 from the natural product bottle pool stor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A moving mechanism 118 for moving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is installed insid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so that the focused ultrasound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stor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or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is provided. A raw material flow device (not shown) that transmits and shakes vibration to the raw materials therein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is installed such that the cartridge window 114 through which ultrasonic waves pass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surface of the raw material 103 or partially immersed in the raw material. Therefore,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module 110 are irradiated onto the raw material 103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ir. The cartridge window 114 is a film of translucent or transpar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ultrasonic waves. In this embodiment, the cartridge window 114 may be a Kapton film or another material known to smoothly pass ultrasonic waves. The moving mechanism 118 moves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so that the focused ultrasound generated by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is evenly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103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e moving mechanism 118 includes an X axis moving part 118a for moving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in the X axis direction, a Y axis moving part 118b for moving in the Y axis direction, and a Z axis moving for moving in the Z axis direction. It consists of a part 118c. The moving mechanism 118 is configured so that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performs linear movement along the X / Y / Z axis, but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various forms such as pivot movement, clock movement, spiral movement, and the like. . The moving mechanism 118 is locat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112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to move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but the moving mechanism 118 is the cartridge housing 112.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cartridge housing 112 to the outside of the. In addition, a raw material flow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shake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so that the focused ultrasound can be evenly irradiated onto the raw material. The raw material flow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rocessing vessel 102 performs a clockwise movement, a rotary movement, and the like. In addition, a stirring blade (not shown) for stirring the raw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When the focused ultrasound is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103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103 may rise to generate gas. A gas outle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04 to discharge the gas. Wh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generates focused ultrasound for a long time, the temperature of the ultrasonic medium 113 is increased, and thus, a cooling mechanism for cooling the ultrasonic medium 113 is required. The medium cooling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housing 112 into a metal plate 120 in contact with the ultrasonic medium 113 and a heat sink 122 for dissipating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metal plate 120 into the air. It is composed. Peltier elements may be used in place of the heat sink 122. Raw material containers 130, 132, 134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aw material containers 130 and 132 store raw materials before ultrasonication.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4 stores raw materials after ultrasonication.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0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inlet 137 of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rough the transfer pipe 136,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136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144.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2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inlet 139 of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rough the transfer pipe 138,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138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146.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4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outlet 141 of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rough the transfer pipe 140,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140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148.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0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4 are connected through the transfer pipe 142,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142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150. The raw materials stored in the raw material containers 130 and 132 are transferred into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rough a pump (not shown) with the open / close valves 144 and 146 open for ultrasonic processing. The raw material ultrasonicat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is transferred to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4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148. If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ultrasonic treatment repeatedly, once the ultrasonic treatment is not sufficient,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50 is opened so that the raw material stored in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4 after the ultrasonic treatment to the transfer pipe 142 Transfer to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0 through. The raw material transferred to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0 is transferred to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rough the transfer pipe 136 and ultrasonicated again. That is, the raw material is circulated in the order of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4, the transfer pipe 142, the raw material container 130,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ultrasonic transducer 116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it is possible to suppress generation of harmful components during ultrasonic processing. The focused ultrasound can be uniformly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stably stor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102 through the moving mechanism 118.

도 2는 집속초음파 기기의 또다른 일례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처리 장치(200)는 초음파 처리되는 원료가 저장되는 처리 용기(202)와, 처리 용기(202)의 특정 위치에 초점을 갖는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발생 모듈(210)을 구비한다. 초음파 처리 장치(200)는 초음파 발생 모듈(210)이 처리 용기(20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초음파 처리 장치(100)와 상이하다. 초음파 발생 모듈(210)은 초음파 트랜스듀서(216), 카트리지 하우징(212), 초음파 매질(213) 등을 구비한다. 초음파 트랜스듀서(216)는 타원형 발진체(217)를 구비하여 집속초음파를 생성한다. 카트리지 하우징(212)의 내부에 초음파 트랜스듀서(216)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에는 카트리지 윈도우(214)가 부착된다. 초음파 매질(213)은 카트리지 하우징(212)의 내부에 채워지고 초음파 트랜스듀서(216)에서 생성된 초음파를 카트리지 윈도우(214)로 전달한다. 집속초음파가 처리 용기(202)에 저장된 원료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초음파 트랜스듀서(216)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218)가 초음파 발생 모듈(210)에 설치되거나, 또는 처리 용기(202) 내의 원료에 진동을 전달하여 흔드는 원료 유동기기(도시되지 않음)가 처리 용기(202)에 설치된다. 초음파 발생 모듈(210)에 처리 용기(202)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결합부(204)가 형성된다. 처리 용기(202)의 바닥면에는 초음파가 투과하는 용기 윈도우(206)가 설치된다. 초음파 발생 모듈(210)이 상부를 향하게 설치되므로 카트리지 윈도우(214)에 처짐이 발생하여 카트리지 윈도우(214)와 용기 윈도우(206)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206, 21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경우 초음파가 공기 중에서 전달되지 못하고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방지를 위해 윈도우(206, 214) 사이에 초음파를 전달할 수 있는 매질이 채워진다. 또는 용기 윈도우(206)는 처리 용기(202) 내부에 채워지는 원료의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되어 카트리지 윈도우(214)에 밀착되는 필름재로 형성된다. 즉, 용기 윈도우(206)는 필름재로 처짐이 발생되어 마찬가지로 처짐이 발생된 카트리지 윈도우(214)에 밀착됨으로써 윈도우(206, 214)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초음파 발생 모듈(210)에 초음파 매질을 완전히 채울 수는 없으므로 카트리지 윈도우(214)가 카트리지 하우징(212) 내에서의 초음파 매질(213)의 통상적인 수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카트리지 하우징(212)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 하우징(212)은 상면 둘레부(225)가 카트리지 윈도우(214)에 비해 단차를 갖도록 하여 에어 포켓부(226)를 형성한다. 이동기구(218)는 초음파 트랜스듀서(216)에서 생성된 집속초음파가 저장 용기(202) 내의 원료에 골고루 조사되도록 초음파 트랜스듀서(216)를 이동시킨다. 본 구현예에서 이동기구(218)는 초음파 트랜스듀서(216)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부(218a),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부(218b),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 이동부(218c)로 구성된다. 처리 용기(202) 내의 원료를 흔들어 집속초음파가 원료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원료 유동기기(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료 유동기기는 처리 용기(202)가 시계추 운동, 회전 운동 등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용기(202)의 내부에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 날개(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집속초음파가 처리 용기(202) 내의 원료에 조사되면 원료의 온도가 상승하여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가스를 방출할 수 있도록 처리 용기(202)의 상부에는 가스 방출구(2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방출구(252)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에서 개방되는 체크 밸브(254)가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 모듈(210)이 장시간 집속초음파를 생성하면 초음파 매질(213)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초음파 매질(213)을 냉각시키는 냉각기구가 필요하다. 본 구현예에서 매질 냉각기구는 카트리지 하우징(112)에 삽입되어 초음파 매질(113)과 접촉하는 금속판(220)과, 금속판(220)을 통해 전달된 열을 공기 중으로 발산하는 히트 싱크(222)로 구성된다. 히트 싱크(222) 대신에 펠티어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원료 용기(230, 232, 2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료 용기(230, 232)에는 초음파 처리 전의 원료가 저장된다. 원료 용기(234)에는 초음파 처리 후의 원료가 저장된다. 원료 용기(230)는 이송관(236)을 통해 처리 용기(202)의 원료 주입구(237)에 연결되며, 이송관(236)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244)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232)는 이송관(238)을 통해 처리 용기(202)의 원료 주입구(239)와 연결되며, 이송관(238)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246)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234)는 이송관(240)을 통해 처리 용기(202)의 원료 배출구(241)와 연결되며, 이송관(240)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248)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230)와 원료 용기(234)는 이송관(242)를 통해 연결되며, 이송관(242)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250)를 통해 조절된다. 본 구현예에서는 초음파 트랜스듀서(216)가 처리 용기(202) 내의 원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초음파 처리 중에 유해 성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용기(202)로부터 초음파 발생 모듈(210)을 분리하기가 용이하므로 초음파 트랜스듀서(216)를 교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구현예에서는 처리 용기(202)에 안정적으로 저장된 원료에 이동기구(218)를 통해 집속초음파를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2 is another example of a focused ultrasound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200 includes a processing container 202 in which raw materials to be ultrasonicated are stored,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for irradiating focused ultrasound having a focus on a specific position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 210.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200 is different from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in that the ultrasonic generating module 210 is located below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210 includes an ultrasonic transducer 216, a cartridge housing 212, an ultrasonic medium 213, and the like. The ultrasonic transducer 216 includes an ellipsoidal oscillator 217 to generate focused ultrasound. An ultrasonic transducer 216 is install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212, and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artridge window 214 is attached to the opening. The ultrasonic medium 213 fills the interior of the cartridge housing 212 and deliver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transducer 216 to the cartridge window 214. A moving mechanism 218 for moving the ultrasonic transducer 216 is installed i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module 210 or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so that the focused ultrasound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stor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A raw material flow device (not shown) that transmits and shakes vibrations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A coupling part 204 is formed to detachably mount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210.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window 206 through which ultrasonic waves pass. Sinc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210 is installed to face upward, sag may occur in the cartridge window 214, and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cartridge window 214 and the container window 206. When a gap is formed between the windows 206 and 214, ultrasonic waves cannot be delivered in the air and a large loss occurs. To prevent this phenomenon, a medium capable of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is filled between the windows 206 and 214. Alternatively, the container window 206 is formed of a film material in which sagging occurs due to the load of the raw material fill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tridge window 214. That is, the container window 206 is formed by the film materi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tridge window 214 where the deflection is similar, so that no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windows 206 and 214. Since the ultrasonic generation module 210 cannot be completely filled with the ultrasonic medium, the cartridge housing 21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artridge window 214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normal water surface of the ultrasonic medium 213 in the cartridge housing 212. There is a need. To this end, the cartridge housing 212 forms an air pocket 226 such that the upper periphery 225 has a step compared to the cartridge window 214. The moving mechanism 218 moves the ultrasonic transducer 216 so that the focused ultrasound generated by the ultrasonic transducer 216 is evenly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in the storage container 202.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mechanism 218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the X-axis moving part 218a for moving the ultrasonic transducer 216 in the X-axis direction, the Y-axis moving part 218b for mov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moving in the Z-axis direction. It consists of the Z-axis moving part 218c. A raw material flow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shake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so that the focused ultrasound can be evenly irradiated onto the raw material. The raw material flow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rocessing vessel 202 performs a clockwise movement, a rotary movement, and the like. In addition, a stirring blade (not shown) for stirring the raw material may be provided inside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When focused ultrasound is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may rise and gas may be generated. A gas discharge port 252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to discharge the gas. In addition, the gas outlet 252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254 that opens at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Wh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210 generates focused ultrasound for a long time, the temperature of the ultrasonic medium 213 is increased, and thus a cooling mechanism for cooling the ultrasonic medium 213 is required. In this embodiment, the medium cooling mechanism is a metal plate 220 inserted into the cartridge housing 112 and in contact with the ultrasonic medium 113, and a heat sink 222 for dissipating heat transferred through the metal plate 220 into the air. It is composed. A Peltier element may be used instead of the heat sink 222. Raw material containers 230, 232, and 234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aw material containers 230 and 232 store raw materials before ultrasonication. The raw material container 234 stores raw materials after ultrasonication. The raw material container 230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inlet 237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through the transfer pipe 236,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236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244. The raw material container 232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inlet 239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through the transfer pipe 238,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238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 / close valve 246. The raw material container 234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outlet 241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through the transfer pipe 240,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240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 / close valve 248. The raw material container 230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234 are connected through the transfer pipe 242,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242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250.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ltrasonic transducer 216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harmful components during the ultrasonic processing. 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separat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210 from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it is easy to replace the ultrasonic transducer 216.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cused ultrasonic waves may be uniformly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stably stor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through the moving mechanism 218.

도 3은 집속초음파 기기의 또다른 일례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처리 장치(300)는 초음파 처리되는 원료가 저장되는 처리 용기(202)와, 처리 용기(302)의 특정 위치에 초점을 갖는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발생 모듈(310)을 구비한다. 초음파 발생 모듈(310)은 초음파 트랜스듀서(316), 카트리지 하우징(312), 초음파 매질(313) 등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하우징(312)은 상부에 카트리지 윈도우(314)가 형성된다. 초음파 매질(313)은 카트리지 하우징(312)의 내부에 채워지고 초음파 트랜스듀서(316)에서 생성된 초음파를 카트리지 윈도우(214)로 전달한다. 초음파 발생 모듈(310)의 초점은 트랜스듀서(316)는 처리 용기(302)의 바닥면 즉, 용기 윈도우(306)의 상면 근처에 맞춰진다. 처리 용기(302)의 내부에서 바닥부에는 격리실(370)이 설치된다. 격리실(370)은 초음파가 통과하는 윈도우를 구비한다. 본 구현예에서는 초음파 발생 모듈(310)이 처리 용기(302)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윈도우가 격리실의 바닥에 형성된다. 초음파 발생 모듈(310)의 초점은 격리실(370)의 내부에 맞춰진다. 격리실(370)은 처리 용기(302)로부터 원료가 유입되는 유입구(372)와, 처리 용기(302)로 원료가 유출되는 유출구(374)를 구비한다. 유입구(372)에는 격리실(370)의 내부로 열리는 유입 도어(376)가 설치되고, 유출구(374)에는 격리실(370)의 외부로 열리는 유출 도어(378)가 설치된다. 유입 도어(376) 또는 유출 도어(378)의 근방에는 원료를 유동시키는 원료 이송 팬(380, 382)이 설치될 수 있다. 원료 이송 팬(380, 382)의 동작에 의해 처리 용기(302) 내부의 원료는 유입구(372)를 통해 격리실(370)의 내부로 유입된다. 격리실(370)의 내부로 유입된 원료는 격리실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집속초음파에 의해 처리되고, 유출구(374)를 통해 유출된다. 집속초음파가 처리 용기(302) 내의 원료에 조사되면 원료의 온도가 상승하여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가스를 방출할 수 있도록 처리 용기(302)의 상부에는 가스 방출구(3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방출구(352)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압력에서 개방되는 체크 밸브(35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는 격리실(370)을 구비하고, 처리 용기(302) 내의 원료(303)를 격리실(370)로 이송하여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원료(303)에 보다 균일하게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3 is another example of a focused ultrasound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300 includes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for irradiating focused ultrasonic waves having a focus on a processing container 202 and a specific position of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in which the raw material to be ultrasonicated is stored ( 310).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310 includes an ultrasonic transducer 316, a cartridge housing 312, an ultrasonic medium 313, and the like. The cartridge housing 312 has a cartridge window 314 formed thereon. The ultrasonic medium 313 fills the interior of the cartridge housing 312 and deliver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transducer 316 to the cartridge window 214. The focus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310 is that the transducer 316 is alig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that is, near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window 306. An isolation chamber 37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The isolation chamber 370 has a window through which ultrasonic waves pas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310 is located below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a window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solation chamber. The focal point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310 is aligned with the interior of the isolation chamber 370. The isolation chamber 370 includes an inlet 372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flows from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and an outlet 374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flows into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The inlet 372 is provided with an inlet door 376 that opens into the isolation chamber 370, and the outlet 374 is provided with an outlet door 378 that opens to the outside of the isolation chamber 370. In the vicinity of the inflow door 376 or the outflow door 378, raw material conveying fans 380 and 382 may be installed to flow the raw material. The raw materials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are introduced into the isolation chamber 370 through the inlet 372 by the operations of the raw material conveying fans 380 and 382. 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isolation chamber 370 is processed by the focused ultrasound while being transported along the isolation chamber, and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374. When the focused ultrasound is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may rise and gas may be generated. A gas discharge port 352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to discharge the gas. In addition, the gas outlet 352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354 that opens at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solation chamber 370 is provided, and the raw material 303 in the processing container 302 is transferred to the isolation chamber 370 and subjected to ultrasonic treatment, whereby the ultrasonic wave can be irradiated more uniformly to the raw material 303.

도 4는 집속초음파 기기의 또다른 일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처리 장치(400)는 초음파 처리되는 원료가 저장되는 처리 용기(402)와, 처리 용기(202)의 특정 위치에 초점을 갖는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발생 모듈(410)을 구비한다. 초음파 발생 모듈(410)은 초음파 트랜스듀서(416a, 416b, 416c), 초음파 매질(413), 메인 하우징(411)을 구비한다. 초음파 매질(413)은 메인 하우징(412)의 내부에 채워지고 초음파 트랜스듀서(416a, 416b, 416c)에서 생성된 초음파를 전달한다. 집속초음파가 처리 용기(402)에 저장된 원료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초음파 트랜스듀서(416a, 416b, 416c)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418)가 초음파 발생 모듈(410)에 설치된다. 메인 하우징(412)의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경사 조절 기둥(464a, 464b)은 그 일단이 처리 용기(402)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경사 조절부(462a, 462b)는 경사 조절 기둥(464a, 464b)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처리 용기(402)의 바닥면이 지면에 대해 갖는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용기(402)의 바닥면의 왼쪽을 오른쪽에 비해 높게 하면 원료는 바닥면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처리 용기(402) 내에서 원료의 이송을 위한 별도의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처리 용기(402)의 바닥면에는 초음파가 투과하는 용기 윈도우(406)가 설치된다. 처리 용기(402)는 메인 하우징(412)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용기 윈도우(406)는 초음파 매질(413)에 잠겨 있다. 처리 용기(402)의 바닥면이 지면에 대해 경사면이면 원료가 처리 용기(402)의 바닥면에 쌓이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초음파 트랜스듀서(416a, 416b, 416c)의 초점은 경사면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416a, 416b, 416c)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동일한 원료가 여러 번 초음파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원료 용기(430, 432, 4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료 용기(430, 432)에는 초음파 처리 전의 원료가 저장된다. 원료 용기(434)에는 초음파 처리 후의 원료가 저장된다. 원료 용기(430)는 이송관(436)을 통해 처리 용기(402)의 원료 주입구(437)에 연결되며, 이송관(436)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444)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432)는 이송관(438)을 통해 처리 용기(402)의 원료 주입구(439)와 연결되며, 이송관(438)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446)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434)는 이송관(440)을 통해 처리 용기(402)의 원료 배출구(441)와 연결되며, 이송관(440)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448)를 통해 조절된다. 원료 용기(430)와 원료 용기(434)는 이송관(442)를 통해 연결되며, 이송관(442)을 통한 원료 이송은 개폐밸브(450)를 통해 조절된다. 이송관(436)에 대해 이송관(438)은 처리 용기(402)의 동일한 측면에 연결되고, 이송관(440)은 반대 측면에 연결된다. 즉, 원료 주입구(470, 472)는 처리 용기(402)의 동일 측면에 형성되고, 원료 배출구(474)는 반대 측면에 형성된다. 원료 주입구(470, 472)를 통해 주입된 원료가 처리 용기(402)의 바닥면으로 바로 떨어지지 않고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가이드 부재(474)가 더 설치된다.4 is another example of a focused ultrasound device. As shown in FIG. 4,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400 includes a processing container 402 in which raw materials to be ultrasonicated are stored,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for irradiating focused ultrasound having a focus on a specific position of the processing container 202 ( 410.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module 410 includes ultrasonic transducers 416a, 416b, and 416c, an ultrasonic medium 413, and a main housing 411. The ultrasonic medium 413 fills the interior of the main housing 412 and deliver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transducers 416a, 416b, 416c. A moving mechanism 418 for moving the ultrasonic transducers 416a, 416b, and 416c is installed i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410 so that the focused ultrasonic waves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stor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An opening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412. One end of the inclination adjustment columns 464a and 464b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The inclination adjustment parts 462a and 462b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with respect to the ground by adjusting the heights of the inclination adjustment columns 464a and 464b. As shown in FIG. 4, when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is higher than the right side, the raw material moves from left to right along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mechanis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window 406 through which ultrasonic waves pass. The processing vessel 402 is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main housing 412 and the vessel window 406 is immersed in the ultrasonic medium 413.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vessel 40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raw material does not accumul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vessel 402 and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so the focus of the ultrasonic transducers 416a, 416b, and 416c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inclined surface. It is desirable to. The plurality of ultrasonic transducers 416a, 416b, and 416c may be dispos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same raw material is irradiated to the ultrasonic wave several times. Raw material containers 430, 432, and 434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aw material containers 430 and 432 store raw materials before ultrasonication. The raw material container 434 stores raw materials after ultrasonication. The raw material container 430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inlet 437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through the transfer pipe 436,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436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444. The raw material container 432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inlet 439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through the transfer pipe 438,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438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446. The raw material container 434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outlet 441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through the transfer pipe 440,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440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448. The raw material container 430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434 are connected through the transfer pipe 442, and the raw material transfer through the transfer pipe 442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valve 450. With respect to the delivery tube 436, the delivery tube 438 is connected to the same side of the processing vessel 402 and the delivery tube 44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That is, the raw material inlets 470 and 472 are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and the raw material outlet 474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e guide member 474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raw material injected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holes 470 and 472 flows down the wall instead of directly fall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container 402.

도 5는 집속초음파 기기의 또다른 일례로서, 도 5a는 초음파 처리 장치(500)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초음파 처리 장치(500)에 사용된 초음파 생성 모듈(504)의 구성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처리 장치(500)는 초음파 처리되는 원료가 저장되는 처리 용기(502)와, 처리 용기(502)의 특정 위치에 초점을 갖는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생성 모듈(504)과, 초음파 반사 부재(510)를 구비한다. 초음파 반사 부재(510)은 초음파 트랜스듀서(516), 카트리지 하우징(512), 초음파 매질(513) 등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하우징(512)은 하부에 카트리지 윈도우(514)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초음파 트랜스듀서(516)가 설치된다. 초음파 매질(513)은 카트리지 하우징(512)의 내부에 채워지고 초음파 트랜스듀서(516)에서 생성된 초음파를 카트리지 윈도우(514)로 전달한다. 집속초음파가 처리 용기(502)에 저장된 원료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초음파 생성 모듈(504)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506)가 설치된다. 초음파 처리 장치(500)에서는 초음파 발생 모듈(504)의 적어도 일부가 처리 용기(502) 내부의 원료에 잠긴 상태에서 이동기구(506)에 의해 이동된다. 초음파 반사 부재(510)가 초음파 발생 모듈(504)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초음파 반사 부재(510)는 초음파 발생 모듈(504)과 함께 이동하며, 초음파 발생 모듈(504)의 초음파 조사 방향에 위치되어 집속초음파의 초점을 지난 초음파를 반대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초음파 반사 부재(5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반사 부재(510)는 일면이 초음파의 조사 방향에서 마주보게 설치되어 초음파를 반사시킨다. 초음파 반사 부재(510)는 초음파가 원료 내에 더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한다. 초음파 발생 모듈(504)의 외측에는 교반부(508)가 설치된다. 교반부(508)는 초음파 발생 모듈(504)가 이동기구(506)에 의해 이동될 때 원료를 섞어 초음파가 원료에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 모듈(504)은 이동축(518)을 통해 이동기구(506)에 의해 연결되며, 교반부(508)는 초음파 발생 모듈(504)의 외측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교반부(508a, 508b, 508c, 508d)는 초음파 발생 모듈(504)에 대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숟가락 모양의 단부의 방향이 다를 수 있다. 본 구현예는 처리 용기(502) 내부의 원료에 초음파 발생 모듈(504)의 일부가 잠긴 상태에서 이동기구(506)에 의해 초음파 발생 모듈(504)이 이동하므로 초음파 발생 모듈(504)이 처리 용기(502) 내의 원료를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초음파 처리 장치(500)는 간단한 구성으로도 원료에 초음파의 균일한 조사가 가능하다.FIG. 5 is another example of the focused ultrasound apparatus, and FIG. 5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500, and FIG. 5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ltrasonic generation module 504 used in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500. As illustrated in FIG. 5A,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500 includes a processing container 502 in which raw materials to be ultrasonicated are stored,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for irradiating focused ultrasound having a focus on a specific position of the processing container 502 ( 504 and an ultrasonic reflection member 510. The ultrasonic reflective member 510 includes an ultrasonic transducer 516, a cartridge housing 512, an ultrasonic medium 513, and the like. The cartridge housing 512 has a cartridge window 514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n ultrasonic transducer 516 is installed therein. The ultrasonic medium 513 fills the interior of the cartridge housing 512 and deliver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ultrasonic transducer 516 to the cartridge window 514. A moving mechanism 506 is provided to mov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module 504 so that the focused ultrasound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raw material stor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502. In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500, at least a part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504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506 in a state of being immersed in the raw material inside the processing container 502. The ultrasonic reflection member 510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in the ultrasonic generation module 504. The ultrasonic reflection member 510 moves together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module 504 and is located in the ultrasonic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module 504 to reflect the ultrasonic waves past the focus of the focused ultrasonic wa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ultrasonic reflection member 510 may be formed in a “c” shape. The ultrasonic reflection member 510 is installed so that one surface thereof faces in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ultrasonic waves to reflect the ultrasonic waves. The ultrasonic reflection member 510 allows the ultrasonic waves to be more uniformly irradiated into the raw material. The stirring unit 508 is installed outsid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504. The stirring unit 508 mixes the raw materials wh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504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506 so that ultrasonic waves are uniformly irradiated onto the raw materials. As shown in FIG. 5B,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504 is connected by the moving mechanism 506 through the moving shaft 518, and the stirring unit 508 is installed to protrude outsid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504. do. The stirring parts 508a, 508b, 508c, and 508d are radially symmetric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504, and may have different directions of a spoon-shaped end por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ltrasonic generating module 504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506 while a part of the ultrasonic generating module 504 is locked to the raw material inside the processing container 502, the ultrasonic generating module 504 is the processing container. A function of stirring the raw material in 502 is performed. Therefore,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500 can uniformly irradiate ultrasonic waves to a raw material with a simple structure.

도 6은 집속초음파 기기의 또다른 일례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처리 장치(600)는 초음파 처리되는 원료를 저장하는 처리 용기(602)와, 집속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 모듈(604)를 구비한다. 초음파 처리 장치(600)는 처리 용기(602)를 상/하 이동시키는 원료 승하강기구(606)를 구비한다. 또한, 초음파 처리 장치(600)는 처리 용기(602)와 초음파 발생 모듈(604)을 지지하는 지지대(608)를 더 구비한다. 지지대(608)는 상부에 처리 용기(602)가 위치되는 베이스부(610)와, 베이스부(610)의 일 측에 세워져 초음파 발생 모듈(604)을 지지하는 지지부(61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610)의 하부에는 이동 바퀴(614)가 설치된다. 지지부(612)에는 초음파 발생 모듈(604)를 이동시키는 초음파 이동기구(616)가 설치된다. 초음파 발생 모듈(604)는 지지체(626)를 통해 이동기구(616)에 설치된다. 처리 용기(602) 내의 원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618)가 더 설치된다. 교반 부재(618)는 모터(미도시됨)에 의해 회전되고, 프로펠러 형태를 가지며,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교반 부재(618)는 지지체(624)에 의해 초음파 발생 모듈(604)과 연결되고, 초음파 발생 모듈(604)이 이동기구(616)에 의해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되어 원료가 더 잘 혼합되도록 한다. 초음파 처리 장치(600)는 처리 용기(602) 내의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620)와, 원료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622)를 더 포함한다. 냉각 유닛(622)의 일 예는 처리 용기(602) 내에 설치되어 처리 용기(602) 내에 저장된 원료를 직접 냉각한다. 냉각 유닛(622)은 예를 들어, 펠티어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냉각 유닛(622)의 다른 예는 도 1 또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처리 용기(602) 내의 원료를 이송관을 통해 외부의 저장 용기로 이송하면서 원료를 냉각시켜 다시 처리 용기(602)로 주입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6 is another example of a focused ultrasound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600 includes a processing container 602 for storing raw materials to be ultrasonicated,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604 for generating focused ultrasound.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600 is provided with the raw material raising / lowering mechanism 606 which moves the processing container 602 up / down. In addition,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600 further includes a support 608 for supporting the processing container 602 and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604. The support 608 includes a base portion 610 in which the processing container 602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portion 612 standing on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610 to support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604. A moving wheel 614 is installed below the base part 610. The support part 612 is provided with an ultrasonic moving mechanism 616 for moving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604.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604 is installed to the moving mechanism 616 through the support 626. A stirring member 618 is further provided for stirring the raw materials in the processing container 602. The stirring member 618 is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has a propeller shape, and a plurality of stirring members 618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 stirring member 618 is connected with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604 by the support 624, and moves together wh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604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616 to allow the raw materials to be mixed better.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600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62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602 and a cooling unit 622 for cooling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One example of the cooling unit 622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vessel 602 to directly cool raw materials stored in the processing vessel 602. The cooling unit 622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 Peltier element. Another example of the cooling unit 622 is as illustrated in FIG. 1 or 2, while cooling the raw material while transferring the raw material in the processing container 602 to an external storage container through a transfer pipe, and back to the processing container 602. It may consist of injecting.

도 7은 도 6의 초음파 처리 장치(600)에 적용된 초음파 발생 모듈(604)의 개념도이다. 초음파 발생 모듈(604)은 초음파 매질(704)이 채워진 카트리지 하우징(702) 내에 복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706)를 구비한다. 복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706)는 상이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초음파 발진체의 곡률 반경이 상이하여 카트리지 윈도우(708)로부터의 초점 거리가 상이하다. 또한, 복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706)는 서로 다른 세기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트랜스듀서(706)는 카트리지 하우징(702) 내에 위치되고, 카트리지 하우징(702)의 상부 측으로 또는 하부 측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와 같이 초음파 트랜스듀서(706)가 카트리지 하우징(702)의 하부 측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경우 카트리지 윈도우(708)는 카트리지 하우징(702)의 하면에 설치된다. 초음파 트랜스듀서(706)가 카트리지 하우징(702)의 상부 측으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경우 카트리지 윈도우는 카트리지 하우징(702)의 상면에 설치된다. 초음파 발생 모듈(604)은 전원 라인(708)을 통해 복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706)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 라인(710)을 통해 제어부(미도시됨)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카트리지 하우징(702) 내부의 초음파 매질(703)을 순환시킬 수 있는 매질 순환 라인(714)을 더 포함하고, 매질 순환 라인(714)에는 초음파 매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712)가 설치된다. 매질 순환 라인(714)은 전원 라인(708) 및 제어 라인(710)과 하나의 케이블 형태로 묶여서 구성될 수 있다. 매질 순환 라인(714)은 온도 센서(712)로부터 온도 정보를 전달받고, 카트리지 하우징(702) 내부의 매질이 초음파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매질을 외부로 순환시킴으로써 매질의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시킨다. 초음파 발생 모듈(604)은 카트리지 하우징(702)에 위치되어 체크 밸브(716)를 더 구비한다. 체크 밸브(716)는 카트리지 하우징(702)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방출한다. 초음파 매질은 초음파에 의해 가열되어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가스는 카트리지 하우징(702) 내부에 기포로 존재하게 되므로 초음파의 전달을 방해한다.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odule 604 applied to the ultrasonic processing apparatus 600 of FIG. 6. The ultrasonic generating module 604 includes a plurality of ultrasonic transducers 706 in the cartridge housing 702 filled with the ultrasonic medium 704. The plurality of ultrasonic transducers 706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or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of the ultrasonic oscillator have different focal lengths from the cartridge window 708.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ultrasonic transducers 706 may generate ultrasonic waves at different intensities. The ultrasonic transducer 706 is located within the cartridge housing 702 and may be installed to irradiate the ultrasonic wave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cartridge housing 702.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ltrasonic transducer 706 irradiates the lower side of the cartridge housing 702, the cartridge window 708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tridge housing 702. When the ultrasonic transducer 706 irradiates ultrasonic waves to the upper side of the cartridge housing 702, the cartridge window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tridge housing 702.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module 604 supplies power to the plurality of ultrasonic transducers 706 through the power line 708 and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ler (not shown) through the control line 710. Further comprising a medium circulation line 714 capable of circulating the ultrasonic medium 703 in the cartridge housing 702, the medium circulation line 714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71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ultrasonic medium. . The medium circulation line 714 may be configured by tying the power line 708 and the control line 710 into one cable form. The medium circulation line 714 receives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12, and when the medium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702 is heated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ultrasonic waves, the medium is circulated to the outsid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Keep at temperature. The ultrasonic generation module 604 is located in the cartridge housing 702 and further includes a check valve 716. The check valve 716 discharges gas generated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702. The ultrasonic medium can be heated by ultrasonic waves to produce a gas. The gas will be present as bubbles inside the cartridge housing 702, thus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ultrasonic wave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병풀 및 물은 1:1 내지 1:15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비는 1:10이다. 이 중량비에서 병풀은 용매에 침지되지 않고 가장 잘 혼합되며, 집속초음파는 병풀의 세포벽에 조사되어 활성성분이 가장 잘 용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step a) the centella and wat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1 to 1:15, preferably, the weight ratio is 1:10. At this weight ratio, the centellae is best mixed without being immersed in a solvent, and focused ultrasound is irradiated to the cell wall of the centellae so that the active ingredient is best elut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e) 단계에서 초음파는 바람직하게는 10 mW/cm2 내지 500 W/cm2 범위의 초음파이다. 초음파는 병풀의 세포벽을 자극하여 집속초음파가 조사될 때 활성성분이 더욱 용이하게 용출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ultrasonic waves in steps c) and e) are preferably ultrasonic waves in the range of 10 mW / cm 2 to 500 W / cm 2 . Ultrasound is believed to play a role in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stimulates the cell walls of the pools so that active ingredients can be more easily eluted when focused ultrasound is irradiat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e) 단계는 각각 27℃ 내지 7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의 온도이다. 70℃를 초과하는 온도로 열을 가할 경우 추출 수율이 증가되거나 추출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식물 또는 천연물과 같은 원재료는, 특히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성분은 일반적으로 열에 의해 변성된다는 중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c) 내지 f) 단계를 27℃ 내지 70℃의 저온에서 수행하는 것은 70℃를 초과하는 열을 필요로 하는 다른 공정에 비해 수율 및 순도 측면에서, 그리고 최종 생성물 내 활성성분의 온전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b) to e) are preferably performed at 27 ° C. to 70 ° C., more preferably at a temperature of 35 ° C. to 45 ° C. The application of heat at a temperature above 70 ° C. increases the extraction yield or shortens the extraction process time. However, raw materials such as plants or natural products, in particular the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therein, are generally modified by heat. There is an important problem. Thus, performing steps c) to f) at a low temperature of 27 ° C. to 70 ° C., in terms of yield and purity, as compared to other processes requiring heat above 70 ° C., and the integrity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final product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e) 단계를 27℃ 내지 70℃의 저온에서 수행하기 위하여 냉각장치와 같은 별도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초음파 또는 집속초음파를 조사할 경우 매질의 온도가 종종 상승하는데, 이러한 온도를 특정 범위 내로 유지해주어야 한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device such as a cooling device may be necessary to perform the steps b) to e) at a low temperature of 27 ° C to 70 ° C. Irradiation with ultrasound or focused ultrasound often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which must be kept within a certain range.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e) 단계는 각각 5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최종 생성물의 활성성분의 수율 및 순도와 전체 추출 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시간은 약 15분이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eps b) to e) may be performed for 5 to 30 minutes respectively. The most preferred time in terms of yield and purity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final product and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overall extraction process is about 15 minutes.

본 발명에 따라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조된,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을 고수율로 포함하는 병풀 추출물은 다른 열수추출법, 유기용매추출법, 초음파추출법 등에 의해 제조된 병풀 추출물에 비해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수율 및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크게 증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llar extract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phenolic compound in high yield prepared by using focused ultrasound extracts of the phenolic compound compared to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by other hot water extraction, organic solvent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etc. The yield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extract are grea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조된 병풀 추출물은 병풀이 함유하는 활성성분 중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페놀성 화합물이 선택적이며 집중적으로 추출되어 포함되어 있으므로 피부 미백에 있어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조된 병풀 추출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로서 유용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using focused ultra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henolic compounds directly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among the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entella are selectively and intensively extracted. It can have an excellent effect on skin whitening. Therefore, Centella asiatica extract using the focused ultra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utility as a cosmetic for skin whitening.

도 1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집속초음파 기기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집속초음파 추출물은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초음파 추출물은 초음파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열수추출물은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도 9는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대두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집속초음파 추출물은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열수추출물은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1 to 7 show examples of focused ultrasound devices that can be us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8 shows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of Centella asiatica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Focused ultrasonic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extracted using focused ultrasonic waves, ultrasonic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extracted using ultrasonic extraction, and hot water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extracted using hot water extraction.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phenolic compound of the soybean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Focused ultrasonic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extracted using focused ultrasonic waves, and hot water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extracted using a hydrothermal extraction method.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not specifically defined herein have a meaning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명세서 내 모든 실험 결과는 3회 이상 반복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학적 유의성의 검정은 One-way ANOVA 검정법을 사용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All experimental resul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ere represented by the average value repeated three or more time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erformed at the p <0.05 level using the One-way ANOVA test.

실시예 1Example 1

건조된 병풀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분쇄하여 10배 중량의 증류수에 첨가하였다.The dried centella was washed with purified water and then ground and added to 10-fold weight of distilled water.

그 후, 도 1의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구비되어 있는 타원형 발진체를 통해 생성한 1500~2000 W/cm2의 집속초음파를 상기 병풀 용액에 40℃에서 15분 동안 조사하였다. 이 때, 병풀 용액은 계속 교반하여 집속초음파가 병풀 용액 전체에 균질하게 조사되도록 하였다.Then, the focused ultrasound generated 1500 ~ 2000 W / cm 2 through the ellipsoidal oscillator provided in the ultrasonic transducer of Figure 1 was irradiated with the centrifugal solution at 40 ℃ for 15 minutes. At this time, the centellar solution was continuously stirred so that the focused ultrasound was uniformly irradiated on the entire centellar solution.

이후, 집속초음파 처리된 병풀 용액을 40℃에서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Thereafter, the focused sonicated centellar solution was sonicated at 40 ° C. for 10 minutes.

이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된 병풀 용액을 교반해주면서, 타원형 발진체를 통해 생성한 1500~2000 W/cm2의 집속초음파를 40℃에서 15분 동안 조사하였다.Subsequently, while stirring the sonicated centellar solution, focused ultrasonic waves of 1500-2000 W / cm 2 generated through an elliptical oscillator were irradiated at 40 ° C. for 15 minutes.

그 후, 집속초음파 처리된 병풀 용액을 40℃에서 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Thereafter, the focused sonicated centellar solution was sonicated at 40 ° C. for 5 minutes.

그 결과 수득된 병풀 용액을 정성 여과지 No.2(제조사: Whatman)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증발농축기(EYELA, Japan)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완전 제거하였으며, 이후 동결건조하여 -20℃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The resulting Centellar solution was filtered using qualitative filter paper No. 2 (manufacturer: Whatman),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EYELA, Japan) to completely remove distilled water, and then freeze-dried to -20. Stored at ℃ was us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추출방법에 따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수율,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 함량,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및 멜라닌 생성율 비교를 위하여 초음파추출법 및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병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In order to compare the extraction yield of phenol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the extract, the inhibition rate of tyrosinase activity and the melanin production rate, the centella extracts were prepared by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nd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1-1. 초음파추출법을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1-1. Preparation of Extracts Using Ultrasonic Extraction

건조된 병풀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분쇄하여 10배 중량의 증류수에 첨가하였다. The dried centella was washed with purified water and then ground and added to 10-fold weight of distilled water.

그 후, 수득된 병풀 용액을 초음파추출기(Ilshin Lab,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40℃에서 45분간 초음파 처리하였다. 비교예 1-1에서 초음파는 500 W/cm2의 초음파를 사용하였다.Thereafter, the obtained centrifugal solution was sonicated at 40 ° C. for 45 minutes using an ultrasonic extractor (Ilshin Lab, Daejeon, Korea). In Comparative Example 1-1, ultrasonic waves of 500 W / cm 2 were used.

그 결과 수득된 병풀 용액을 정성 여과지 No.2(제조사: Whatman)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증발농축기(EYELA, Japan)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완전 제거하였으며, 이후 동결건조하여 -20℃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The resulting Centellar solution was filtered using qualitative filter paper No. 2 (manufacturer: Whatman),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EYELA, Japan) to completely remove distilled water, and then freeze-dried to -20. Stored at ℃ was used.

1-2. 열수추출법을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1-2. Preparation of Extract Using Hot Water Extraction Method

건조된 병풀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분쇄하여 10배 중량의 증류수에 첨가하였다.The dried centella was washed with purified water and then ground and added to 10-fold weight of distilled water.

그 후, 상기 병풀 용액을 40℃에서 45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Then, the centellar solution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at 40 ° C. for 45 minutes.

그 결과 수득된 병풀 용액을 정성 여과지 No.2(제조사: Whatman)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회전식증발농축기(EYELA, Japan)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증류수를 완전 제거하였으며, 이후 동결건조하여 -20℃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The resulting Centellar solution was filtered using qualitative filter paper No. 2 (manufacturer: Whatman),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evaporator (EYELA, Japan) to completely remove distilled water, and then freeze-dried to -20. Stored at ℃ was us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원료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및 멜라닌 생성율 비교를 위하여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 및 열수추출법을 사용하여 대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To compare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and melanin production rate according to raw materials, soybean extracts were prepared by using focused ultrasound extraction and hot water extraction.

2-1.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2-1. Preparation of Extract Using Focused Ultrasound

건조된 대두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대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oybean extract was prepared by treating dried soybean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2-2. 열수추출법을 이용한 추출물의 제조2-2. Preparation of Extract Using Hot Water Extraction Method

건조된 대두를 비교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대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Soybean extract was prepared by treating dried soybean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2.

실험예 1. 페놀성 화합물 추출 수율 및 함량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 extraction yield and content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병풀 추출물 시료 각각에 대해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 추출 수율 및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표 1 및 도 8에 나타내었다.The phenolic compound extraction yields and contents of the active ingredient were confirmed for each of the Centella extract extracts obtain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hich are shown in Table 1 and FIG. 8.

시료sample 용매menstruum 초음파 전력(W)Ultrasonic Power (W) 추출 온도 (℃)Extraction temperature (℃) 활성성분 수율(%)Active ingredient yield (%) 실시예 1Example 1 water 18001800 4040 11.89±0.58%11.89 ± 0.58%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water 500500 4040 9.24±0.88%9.24 ± 0.88%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water -- 4040 5.23±0.72%5.23 ± 0.7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열수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을 5.23±0.72 중량% 함유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2 according to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was calculated to contain 5.23 ± 0.72% by weight of the phenolic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초음파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에 비해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수율이 약 1.76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According to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1 was about 1.76 times higher in extraction yield of the phenolic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than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2.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활성성분의 추출 수율이 비교예 1-2에 대비하여 무려 약 2.27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교예 1-1에 대비해서도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수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이 확인되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ocused ultrasound,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ion yield of the active ingredient is about 2.27 times higher than in Comparative Example 1-2,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1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ion yield of the phenolic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significantly increased.

이에 따라,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병풀 추출물은 다른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병풀 추출물과 대비하여 활성성분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수율이 높다는 것이 입증된다.Accordingly, the Centella asiatica extract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ocused ultrasound is proved to have a high extraction yield of the phenolic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as compared to the Centella asiatica extract prepared using another extraction method.

또한,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의 확인을 위해 Folin Ciocalteau method를 하기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In addition, the Folin Ciocalteau method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to confirm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테스트 샘플 50 ㎕을 100 ㎕ 50% Folin Ciocalteau reagent와 혼합하고 2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이어서, 2 ml 2% sodium carbonate와 혼합하고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흡광도 720 nm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표준화 곡선(Calibration curve)의 스탠다드(Standard)는 Gallic acid가 사용되었고,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Gallic acid equivalents (GAE)와 비교하여 정량하였으며,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50 μl of test sample was mixed with 100 μl 50% Folin Ciocalteau reagent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2 minutes. Then, after mixing with 2 ml 2% sodium carbonate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 was measured at absorbance 720 nm. Gallic acid was used as a standard of the calibration curve, and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was quantified in comparison with Gallic acid equivalents (GA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8.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과 대비하여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무려 약 2.5배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초음파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과 대비해서도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이 확인되었다.As can be seen in Figure 8,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focused ultrasound has a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compared to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2 according to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about 2.5 times mor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1 according to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이에 따라,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된 병풀 추출물은 다른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과 대비하여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다.Accordingly, the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ocused ultrasound has proved that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is higher than that of the extract prepared by other extraction methods.

실험예 2.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율 비교Experimental Example 2. Comparison of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2-1. in vitro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율 측정2-1.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의 절차에 따라 도파크롬법(dopachrome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dopachrome metho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0.175 M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버퍼(pH 6.8) 0.5 ㎖, 10 mM L-DOPA 0.2 ㎖ 및 시료용액 0.1 ㎖ 혼합 액체에 버섯 티로시나아제(110 U/㎖) 0.2 ㎖을 첨가하였으며, 이후 생성된 도파크롬(DOPAchrome)을 475㎚ 파장에서 측정하였다.0.2 ml of mushroom tyrosinase (110 U / ml) was added to 0.5 ml of 0.175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2 ml of 10 mM L-DOPA and 0.1 ml of sample solution. Dopachrome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475 nm.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100%의 저해율은 시료 첨가에 의해 효소의 활성이 완전히 저해된 것을 의미한다.The inhibition rate of tyrosinase activity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nd the inhibition rate of 100% means that the activity of the enzyme was completely inhibited by sample addition.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C-D)-(A-B)/(C-D)]×100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 = [(C-D)-(A-B) / (C-D)] × 100

A: 반응 후 시료 첨가 용액의 흡광도A: absorbance of the sample addition solution after the reaction

B: 반응 전 시료 첨가 용액의 흡광도B: absorbance of the sample addition solution before the reaction

C: 반응 전 시료 무첨가 용액의 흠광도C: Inclusion degree of sample-free solution before reaction

D: 반응 후 시료 무첨가 용액의 흡광도D: absorbance of sample-free solution after reaction

2-2. 추출방법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비교2-2. Comparison of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병풀 추출물 시료 각각에 대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표 2에 나타내었다.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was confirmed for each of the Centella extract samples obtain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hich is shown in Table 2.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Inhibition rate of tyrosinase activity (%) 실시예 1Example 1 61.52±0.72%61.52 ± 0.72%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51.11±1.02%51.11 ± 1.02%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53.22±0.78%53.22 ± 0.78%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과 대비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약 8.3% 더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As can be seen in Table 2,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ocused ultrasound compared to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2 according to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inhibition rate of tyrosinase activity This is an increase of about 8.3%.

특히 주목할 점은 초음파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과 대비하여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약 1.9배 많음(도 8 참조)에도 불구하고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오히려 약 2.11%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추출물 내 전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증가했지만 티로시나아제 저해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페놀성 화합물을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추출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병풀 추출물 제조를 위해 집속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페놀성 화합물을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이 입증되며, 이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병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로 인한 뛰어난 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이 입증된다.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1 according to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has about 1.9 times mor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compared to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2 according to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Fig. Despite this,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was found to be reduced by about 2.11%. This means that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the extract has increased but not the selective and intensiv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directly related to tyrosinase inhibition. Accordingly, when using focused ultrasound for the preparation of Centella asiatica extract, it is demonstrated that phenolic compounds directly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can be selectively and intensively extracted, which is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es to be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due to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2-3. 원료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비교2-3. Comparison of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with Different Raw Materials

상기 비교예 2에서 수득된 대두 추출물 시료 각각에 대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대두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도 9에 나타내었다.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was confirmed for each soybean extract sampl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2, which is shown in Table 3.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soybean extract is shown in FIG.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Inhibition rate of tyrosinase activity (%) 실시예 1Example 1 61.52±0.72%61.52 ± 0.72%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53.22±0.78%53.22 ± 0.78%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56.26±0.98%56.26 ± 0.98% 비교예 2-2Comparative Example 2-2 53.28±0.87%53.28 ± 0.87%

상기 표 3 및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2-1에서 제조한 대두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2-2에서 제조한 대두 추출물과 대비하여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9배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율은 약 2.98% 밖에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원료로서 병풀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2와 대비하여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2.5배 증가했으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약 8.3% 더 증가한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As can be seen in Table 3 and Figure 9, the soybean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1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focused ultrasound compared to the soybean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2 according to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Phenolic compound content in the extract showed a 1.9-fold increase, but 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increased only about 2.98%. In the case of Example 1 using the centella as a raw material,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increased 2.5 time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2, but the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rate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about 8.3% more.

이는 원료로서 대두를 사용할 경우, 전체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증가하지만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페놀성 화합물은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추출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원료로서 병풀을 사용하고, 병풀 추출물 제조를 위해 집속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페놀성 화합물을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이 입증되며, 이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병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로 인한 뛰어난 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이 입증된다.This means that when soybean is used as a raw material,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total extract is increased, but the phenolic compound directly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is not selectively and intensively extracted. Accordingly, it is demonstrated that the use of centella as a raw material and focused ultrasound for the preparation of centella extract can selectively and intensively extract phenolic compounds directly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The Centella asiatica extract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is able to exert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due to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ctivity.

실험예 3.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비교Experimental Example 3. Comparison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n rate

3-1.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측정3-1.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n rate measurement

본 실험에 사용한 생쥐유래 악성 흑색종 세포주인 Clone M-3 (mouse, Cloudman S91, skin, melanoma) 세포는 10% FBS 및 항생제를 첨가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37℃의 5% CO2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되었다. 세포는 2~3일마다 배양접시의 80% 정도까지 성장 후 계대배양하였다.Clone M-3 (mouse, Cloudman S91, skin, melanoma) cells, a mouse-derived malignant melanoma cell line,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incubated at 37 ° C with 5% CO 2 in RPMI 1640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and antibiotics. Incubated at. Cells were passaged after growth to about 80% of the culture dish every 2-3 days.

배양된 M-3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세포를 1×105 세포/웰 분주한 후 추출물을 처리하였으며, 37℃의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웰을 PBS로 세척한 뒤, 트립신-EDTA로 처리하고 5,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으며, 펠릿(Pellet)을 60℃에서 건조한 후, 0.2N NaOH 용액 400 ㎕(10% DMSO)를 첨가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하였다.Cultured M-3 cells were treated with extracts after dispensing 1 × 10 5 cells / well of cells per well into 24-well plates and incubated for 48 hours in a 5% CO 2 incubator at 37 ° C. Thereafter, each well was washed with PBS, treated with trypsin-EDTA, centrifuged at 5,000 rpm for 10 minutes, and then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the pellet was dried at 60 ° C., followed by 400 μl of 0.2N NaOH solution. 10% DMSO) was added and dissolved at 60 ° C. for 1 hour.

그 후 Microplatereader (Molecular Devices, USA)로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로부터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계산 후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율을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Then,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05 nm with a Microplatereader (Molecular Devices, USA) to calculate the amount of melanin produced from the cells, and then the relative melanin production rat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상대적 멜라닌 생성율(%)=(A/B)×100Relative melanin production rate (%) = (A / B) × 100

A: 추출물 첨가 후 멜라닌의 양(ug/mL)A: amount of melanin after extract addition (ug / mL)

B: 추출물 첨가하지 않은 멜라닌 양(ug/mL)B: amount of melanin without extract (ug / mL)

3-2. 추출방법에 따른 멜라닌 생성율 비교3-2. Comparison of Melanin Production Rate by Extraction Method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병풀 추출물 시료 각각에 대해 멜라닌 생성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표 4에 나타내었다.The melanin production rate of each of the Centella extract extracts obtain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confirmed and is shown in Table 4.

멜라닌 생성율 (%)Melanin production rate (%) 실시예 1Example 1 74.51±0.41%74.51 ± 0.41%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79.61±0.11%79.61 ± 0.11%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82.45±0.43%82.45 ± 0.43%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열수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율이 약 82.45±0.43%로 산출되었다.As can be seen in Table 4,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2 according to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was calculated to produce a melanin of about 82.45 ± 0.43%.

초음파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1-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생성율이 약 2.84%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According to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1 was found to have reduced melanin production rate by about 2.84% compared to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2.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병풀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율이 비교예 1-2에 대비하여 무려 약 7.94% 더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교예 1-1에 대비해서도 멜라닌 생성율이 무려 약 5.1%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다.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ocused ultrasound, the Centella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was confirmed that the melanin production rate was reduced by about 7.94%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2,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1 It was confirmed that melanin production rate was reduced by about 5.1%.

이에 따라, 병풀 추출물 제조를 위해 집속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초음파추출법 및 열수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과 대비하여 멜라닌 생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한다는 점이 입증되며, 이는 본 발명의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조된 병풀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로 인한 뛰어난 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이 입증된다.Accordingly, it is proved that the use of focused ultrasound for the preparation of centella extract effectively inhibits melanin production in comparison with the extract extracted by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nd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which is a centrifugal extract prepared using the focused ultra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es to have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due to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3-3. 원료에 따른 멜라닌 생성율 비교3-3. Comparison of Melanin Production Rate by Raw Material

상기 비교예 2에서 수득된 대두 추출물 시료 각각에 대해 멜라닌 생성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대두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도 9에 나타내었다.The melanin production rate was confirmed for each of the soybean extract samples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2, which are shown in Table 5.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soybean extract is shown in FIG.

멜라닌 생성율 (%)Melanin production rate (%) 실시예 1Example 1 74.51±0.41%74.51 ± 0.41%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82.45±0.43%82.45 ± 0.43%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89.28±0.21%89.28 ± 0.21% 비교예 2-2Comparative Example 2-2 91.25±0.56%91.25 ± 0.56%

상기 표 5 및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집속초음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2-1에서 제조한 대두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에 따라 비교예 2-2에서 제조한 대두 추출물과 대비하여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1.9배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멜라닌 생성율은 1.97% 밖에 감소하지 않았다. 이는 원료로서 병풀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2와 대비하여 추출물 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2.5배 증가했으나 멜라닌 생성율은 약 7.94% 더 감소한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원료로 대두를 사용할 경우, 추출물 내 전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증가하지만 멜라닌 생성 억제와 직접적으로 연관있는 연관된 페놀성 화합물을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추출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원료로서 병풀을 사용하고 병풀 추출물 제조를 위해 집속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멜라닌 생성 억제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페놀성 화합물을 선택적이고 집중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이 입증되며, 이는 본 발명의 집속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조된 병풀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로 인한 뛰어난 미백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이 입증된다.As can be seen in Table 5 and Figure 9 soybean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1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focused ultrasound extract in comparison with the soybean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2 according to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was 1.9 times increased, but melanin production was reduced only by 1.97%. In the case of Example 1 using the centella as a raw material, the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increased 2.5 times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2, but the melanin production rate is about 7.94% further shows a big difference. This means that when soybean is used as a raw material, the content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 in the extract is increased, but the selective and intensive extraction of the related phenolic compounds directly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is not possible. Accordingly, it is demonstrated that when using the centella as a raw material and using focused ultrasound for the preparation of centella extrac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nd intensively extract phenolic compounds directly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which uses the focused ultra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ed that Centella extract prepar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rt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due to the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laims (10)

a) 병풀을 물에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고강도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고강도 집속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에 초음파를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에 고강도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고강도 집속초음파 처리된 혼합물에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병풀 추출물.
a) mixing the centellae with water;
b) irradiat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o the mixture obtained in step a);
c) treating the high-strength focused ultrasound treated mixture with ultrasonic waves in step b);
d) irradiating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o the mixture sonicated in step c); And
e) a soybean extract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onicating the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reated mixture in step 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병풀은 분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추출물.
The method of claim 1,
Centella extract of the a)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veriz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d) 단계에서 고강도 집속초음파를 조사하는 동안 혼합물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추출물.
The method of claim 1,
Centella extract, characterized in that for stirring the mixture while irradiating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in step b) and 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병풀 및 물은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추출물.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a) Centella and water extract Centella extract, characterized in that mixing in a weight ratio of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e) 단계는 4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추출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 to e) Centella extract, characterized in that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4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e) 단계는 각각 5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추출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 to e) step Centella extract,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for 5 to 30 minutes ea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여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풀 추출물.
The method of claim 1,
Centella extrac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iltration after step 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centella extract of any one of claims 1 to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Centella extract i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hibits tyrosinase activity and inhibits melanin production.
삭제delete
KR1020190028206A 2019-03-12 2019-03-12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KR102013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06A KR102013274B1 (en) 2019-03-12 2019-03-12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06A KR102013274B1 (en) 2019-03-12 2019-03-12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274B1 true KR102013274B1 (en) 2019-08-22

Family

ID=6776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06A KR102013274B1 (en) 2019-03-12 2019-03-12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27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978B1 (en) * 2021-12-20 2023-03-16 주식회사 유리코스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stevia, and taro,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76779B1 (en) 2023-03-29 2023-09-11 록야 주식회사 Centella asiatica extract with increased asiaticoside and uses ther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662A (en) 2012-09-05 2014-03-13 김영욱 A fermentation red ginseng extract process
KR20170072177A (en) * 2017-06-14 2017-06-26 최경석 Composition for Beverage and Cosmetics Containing Asiaticoside, Madecassoside, Asiatic acid & Madecasic acid Extracted from Centella Asiatica &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662A (en) 2012-09-05 2014-03-13 김영욱 A fermentation red ginseng extract process
KR20170072177A (en) * 2017-06-14 2017-06-26 최경석 Composition for Beverage and Cosmetics Containing Asiaticoside, Madecassoside, Asiatic acid & Madecasic acid Extracted from Centella Asiatica &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ltrasonics Sonochemistry. 제21권,제3호,1258-1264쪽, 2014년3월 공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제18권,제2호,79-85쪽, 2014년04월 공개* *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움, 93쪽, 2018년10월 공개*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978B1 (en) * 2021-12-20 2023-03-16 주식회사 유리코스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stevia, and taro,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76779B1 (en) 2023-03-29 2023-09-11 록야 주식회사 Centella asiatica extract with increased asiaticoside and uses ther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Álvarez et al. Microwave pretreatment to improve extraction efficiency and polyphenol extract richness from grape pomace. Effect on antioxidant bioactivity
KR102046164B1 (en) Method for preparing saussurea involucrata extract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nd saussurea involucrata extract obtained therefrom
KR102013274B1 (en)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KR100839008B1 (en) Novel cystine derivatives and inhibitors for the activation of inflammatory factors
Smit et al. The hunt for natural skin whitening agents
Chen et al. An updated organic classific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on melanin biosynthesis
KR101995807B1 (en) Method for Preparing Zizania latifolia Extract Containing Increased Content of Tricin Treated with Enzymes, and Composition for Whitening, Improving Wrinkle, Anti-inflammatory, Anti-allergy and Moisturizing Made thereby
KR101870143B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Zizyphus jujube seed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JP2000159681A (en) Extract from grape seed and its use
KR102013271B1 (en)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itrus madurensis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KR102046165B1 (en) Method for preparing spirulina extract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nd spirulina extract obtained therefrom
KR102013272B1 (en)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een coffee bean extract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KR100902338B1 (en) A composition that is comprising extracts, fractions or isolated single compounds of Robinia pseudo?acacia var. umbraculifera
KR102062010B1 (en) Extract of nasturtium officinale obtained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wrinkle improvem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comprising the extract
KR102028730B1 (en) Method for preparing anemarrhena asphodeloides extract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nd anemarrhena asphodeloides extract obtained therefrom
Choi et al. (4-Methoxy-benzylidene)-(3-methoxy-phenyl)-amine, a nitrogen analog of stilbene as a potent inhibitor of melanin production
KR102013264B1 (en) Method for preparing centella asiatica extract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nd centella asiatica extract obtained therefrom
Olfat et al.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of Hypnea flagelliformis by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coupled with natural deep eutectic solvent and enzyme inhibitory activity
JP5159074B2 (en) Cell activator, collagen production promoter, collagenase activity inhibitor, melanin production inhibito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gent, fat accumulation inhibitor,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food
KR102013261B1 (en) Method for preparing citrus madurensis extract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nd citrus madurensis extract obtained therefrom
KR102013263B1 (en) Method for preparing green coffee bean extract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nd green coffee be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KR102013268B1 (en) Method for preparing laminaria japonica extract using focused ultrasonic treatment, and laminaria japonica extract obtained therefrom
KR100864203B1 (en) Malus micromalus extracts having whitening activity
KR101924446B1 (en)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using processing of herbal medicine
Kim Recent natural products involved in the positive modulation of melanogen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