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485B1 - 친환경 식물공장 - Google Patents
친환경 식물공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2485B1 KR102012485B1 KR1020170097055A KR20170097055A KR102012485B1 KR 102012485 B1 KR102012485 B1 KR 102012485B1 KR 1020170097055 A KR1020170097055 A KR 1020170097055A KR 20170097055 A KR20170097055 A KR 20170097055A KR 102012485 B1 KR102012485 B1 KR 1020124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nutrient solution
- inner container
- unit
- hydrogen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8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15 a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19357 Cac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46386 Mentha puleg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257 Mentha puleg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57 Mentha x piperi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50 hortel pim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in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29 solution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식물공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환원수로 양액을 제조하고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수소를 식물에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향상시키고 저칼륨 야채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식물공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식물 재배에 필요한 수분과 양액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환원수를 사용하므로 세균증식이 억제되며 칼륨함량이 낮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식물을 수소와 전해환원수가 공급된 밀폐공간에서 일정시간 생장시킨 후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 및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에 수용되는 내부용기가 수소, 전해환원수 및 양액 공급에 따라 밀폐되거나 밀폐해제되게 높이가 조절되므로 재배효율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식물 재배에 필요한 수분과 양액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환원수를 사용하므로 세균증식이 억제되며 칼륨함량이 낮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식물을 수소와 전해환원수가 공급된 밀폐공간에서 일정시간 생장시킨 후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 및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에 수용되는 내부용기가 수소, 전해환원수 및 양액 공급에 따라 밀폐되거나 밀폐해제되게 높이가 조절되므로 재배효율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환경 식물공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환원수로 양액을 제조하고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수소를 식물에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향상 시키고 저칼륨 야채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식물공장에 관한 것이다.
기후 변화 현상은 농산물을 구매하는 일반 소비자뿐 아니라 유통, 식품업계 등 관련 기업에게도 사업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식물공장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식물공장이란 일정한 시설 내에서 빛, 온도, 습도, 공기(이산화탄소 농도), 물, 영양분 등 식물 배양에 필요한 모든 환경 조건을 인공적으로 통제, 제어해 농작물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른바 공장제 생산 시스템을 도입한 농업 방식인 것이다.
식물공장을 적용한 농업 방식은 기존 농업 방식과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첫째, 연중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모든 환경 조건이 인공적으로 제어되는 시설 내부에서 작물이 재배되므로 노지 재배뿐 아니라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의 시설재배와 달리 계절이나 환경의 변화, 지리적 입지 조건 등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농작물을 1년 내내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재배 작물의 규격화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 체계적인 생산 설비에서 작물이 재배, 수확되므로 크기나 용량 등이 규격화된 작물을 제품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기존의 주요농업 방식인 노지 재배에 비해 훨씬 개선된 시장 대응 능력을 보유할 수 있다. 시장 수급 상황에 대응한 능동적이고 계획적인 생산량 조절, 소비자 수요 트렌드의 변화 등에 대응한 신속한 재배 품목 교체 등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식물공장은 주로 양액을 이용한 수경재배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수경재배방법은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필수원소를 그 흡수 비율에 따라 적당한 농도로 용해시킨 양액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말한다. 양액 재배는 양액과 뿌리부분의 배지조건을 인위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환경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작물의 생육조건을 최적으로 할 수 있다.
최근 농업선진국에서는 수경재배 방식이 비순환식에서 순환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순환식 수경재배는 작물이 흡수하고 남은 양액이 양액탱크와 재배용 베드 사이를 순환하는 방식으로, 15~40%에 이르는 잉여 양액을 대부분 시설 밖으로 폐기하는 비순환식 수경재배에 비해 양액 배출에 의한 수자원과 토양오염을 방지하고, 물과 비료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경재배 면적이 최근 10년 사이에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나, 수경재배방식에 있어서는 양액 배출에 대한 규제가 없고,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초기투자비용의 증가에 의한 경제적 부담 증가와, 작물별 순환식 수경재배용 양액의 미개발, 양액 재사용을 위한 양액 처리 및 관리기술 등 순환식 수경재배 기술의 미확립으로 인해 일부 엽채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비순환식으로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비순환식 수경재배를 순환식 수경재배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커지게 되면서, 이를 위해서 폐양액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순환식 수경재배의 경우 사용된 양액 속에 병원균이 존재하게 되면 토경재배에 비하여 병원균의 확산이 빠르고, 양액탱크를 경유해서 재배용 베드 전체에 만연되기 쉽기 때문에 폐양액 속에 함유되는 이물질과 병원균을 제거하고, 잔류하는 농약 성분들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수경재배시 농약 사용을 줄이거나 사용하지 않고 병원균 확산을 억제하면서 식물의 생장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폐양액을 재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환원수를 식물에 공급되는 양액 및 재배용수에 적용하여 별도의 농약없이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며,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수소를 포집하여 식물에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친환경 식물공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원수저장조와; 상기 원수저장조와 연결되어 상기 원수저장조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조와; 상기 전기분해조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상기 원수가 전기분해되면서 생성된 수소가 포집되는 수소저장조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상기 원수가 전기분해되면서 생성된 전해환원수가 저장되는 상기 전해환원수저장조와; 상기 전해환원수저장조에서 공급된 상기 전해환원수에 식물에 필요한 무기양분이 용해된 양액이 저장되는 양액저장조와; 외부와 격리된 재배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다수가 배치되며 상기 양액저장조의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와 내부에 식물이 수용되고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되되 밀폐시 상기 전해환원수와 수소가 공급되며 밀폐 해제시 내측으로 양액이 유입되게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용기를 포함하는 생장용기를 구비하는 식물생장부와; 상기 전기분해조의 구동과, 상기 외부용기로 양액 공급과, 상기 내부용기로 수소 또는 상기 전해환원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상기 외부용기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폐양액을 여과하여 상기 원수저장조에서 상기 전기분해조로 연장되어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으로 공급하는 폐양액 순환유닛을구비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상기 원수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필터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생성된 상기 전해환원수를 상기 전해환원수저장조로 공급하는 제1전해환원수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전해환원수에 포함된 미네랄을 제거하기 위한 제2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생장용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를 밀폐하기 위해 상승시키고, 밀폐 해제하기 위해 상기 내부용기를 하강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에 대해 이격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외부용기 내에 다수 개 수용되며, 하강상태에서 상기 외부용기 내로 공급된 양액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양액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 내부로 상기 수소 또는 상기 전해환원수의 공급 시 상기 내부용기에 양액이 배출되게 상승되면서 상기 양액유입공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양액유입공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상기 양액유입공폐쇄부는 상기 외부용기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에 상승된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의 생장 상태 및 상기 컨테이너의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환경감지부와,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하는 데이터수집부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유닛과 상기 전기분해조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광 또는 풍력, 수소 연료 전지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발전부와,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축적되는 축전지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가 수용되게 상방으로 개방되며 양액이 공급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용기본체와, 상기 외부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소 또는 상기 전해환원수 공급을 위해 상기 내부용기 상승시에는 상기 외부용기본체의 상부가 폐쇄되고, 상기 내부용기 내로 상기 양액 유입을 위해 상기 내부용기 하강시 상기 외부용기본체의 상부가 개방되게 상기 개폐도어를 이동시키는 개폐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외부용기본체의 내주면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리게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싱기 회전기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식물 재배에 필요한 수분과 양액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환원수를 사용하므로 세균증식이 억제되며 칼륨함량이 낮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식물을 수소와 전해환원수가 공급된 밀폐공간에서 일정시간 생장시킨 후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 및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에 수용되는 내부용기가 수소, 전해환원수 및 양액 공급에 따라 밀폐되거나 밀폐해제되게 높이가 조절되므로 수소가 용해된 전해환원수와 양액의 공급의 제어가 용이하므로 재배효율성이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식물생장부가 수용된 컨테이너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식물생장부에 대한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생장부에 대한 일부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물생장부가 수용된 컨테이너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식물생장부에 대한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물생장부에 대한 일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은 크게 원수저장조(10)와, 전기분해조(20)와, 수소저장조(30)와, 전해환원수저장조(40)와, 양액저장조(50)와, 식물생장부(100)와, 제어부(70)와, 전원공급부(73)와, 폐양액 순환유닛(90)을 구비한다.
원수저장조(10)는 물 즉, 원수가 저장되는 부분이며, 원수저장조(10)의 원수는 원수공급관(11)을 통해 전기분해조(20)로 이동된다.
원수공급관(11)에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원수공급관(11)을 개폐하는 밸브와, 원수공급관(11)을 통과하는 원수를 여과하는 제1필터(15)가 설치되며, 후술되는 폐양액순환유닛(90)의 폐양액공급관(97)과 연결되어 있다.
폐양액공급관(97)은 폐양액이 원수와 혼합되어 제1필터(15)에 여과될 수 있도록 원수저장조(10)와 제1필터(15) 사이의 원수공급관(1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필터(15)는 압축된 활성탄필터로서, 유기물,무기물,농약, 염소, 중금속 및 공해물질들을 제거한다.
전기분해조(20)는 공급된 원수 또는 폐양액을 전기분해하는 부분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판과, 음극(-)판과, 양극(+)판과 제1음극(-)판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이온분리격막을 갖는다.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양극(+)판과 음극(-)판에 전류가 흐르면 원수가 전기분해되면서, 음극(-)측에 알칼리성인 전해환원수와 수소가 생성되고, 양극(+)측에 산성인 전해산화수와 산소 생성된다. 음극(-)판에서 생성된 전해환원수는 후술되는 양액저장조(50)와, 식물생장부(100)로 공급된다.
한편, 전기분해조(20)는 앞서 예시된 것과 다르게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판과, 제1음극(-)판과, 제2음극(-)판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이온분리격막(미도시)에 의해 구획되는 3개의 전극실(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이온분리격막은 양극(+)판과 제1음극(-)판 사이와, 제1음극(-)판과, 제2음극(-)판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양극(+)판과 제1 및 제2음극(-)판에 전류가 흐르면 원수가 전기분해되면서, 제1 및 제2음극(-)측에 전해환원수와 수소가 생성되고, 양극(+)측에 전해산화수와 산소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양극(+)판이 있는 전극실에서는 전해산화수인 산성수가 생성되고, 제1음극(-)판이 있는 전극실에서는 전해환원수인 강알칼리수가 생성되고, 제2음극(-)판이 있는 전극실에서는 전해환원수인 약알칼리수가 생성된다. 제2음극(-)판에서 생성된 약알칼리수는 후술되는 양액저장조(50)와, 식물생장부(100)에로 공급된다.
이렇게, 전기분해조(20)에서 생성된 전해환원수는 식물생장에 적정한 pH농도를 갖는 알칼리성으로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전기분해조(20)와 전해환원수저장조(40)를 연결하는 전해환원수수송관(21)을 통해 전해환원수저장조(40)로 이동되며, 수소는 전기분해조(20)와 수소저장조(30)를 연결하는 수소수송관(25)을 통해 수소저장조(30)로 이동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기분해조(20)에서 생성된 산성인 전해환원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도 있으며, 원수공급관(11) 측으로 공급되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해환원수 수송관(21)에는 전해환원수에 포함된 미네랄을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압 방식의 제2필터(23)가 설치된다.
전해환원수저장조(40)는 전기분해조(20)에서 생성된 전해환원수가 저장되는 부분이며, 제1 및 제2전해환원수공급관(43,45)를 통해 후술되는 양액저장조(50)와 식물생장부(100)로 연결된다.
양액저장조(50)는 제2전해환원수공급관(45)을 통해 전해환원수저장조(40)에서 공급된 전해환원수에 무기양분이 용해된 양액이 제조되어 저장되는 곳으로서, 내부에 pH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pH감지센서(53)가 설치된다. pH감지센서(53)는 후술되는 데이터수집부(72)와 제어부(70)에 연결된다.
식물생장부(100)는 외부와 격리된 재배공간(111)이 마련된 컨테이너(110)와, 컨테이너(110) 내부에 상하 좌우로 배치되며 양액저장조(50), 수소저장조(30), 전해환원수저장조(40)로부터 각각 양액, 수소, 전해환원수가 공급되어 식물이 재배되는 다수의 생장용기(120)와, 컨테이너(110) 내에 설치되어 생장용기에 수용된 식물의 생장 상태 및 컨테이너(110)의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환경감지부(180)와, 공기정화를 위한 집진필터(190)를 구비하고, 이산화탄소 포집 및 폐양액 활용을 위한 재배보조식물(b)이 식재된다.
컨테이너(110)는 단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층형 또는 빌딩형으로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복층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110)는 빛, 온도, 습도, 공기 등 식물 생장에 필요한 환경조건을 인공적으로 통제 제어할 수 있도록 외부와 격리된 재배공간을 갖는 밀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핸 컨테이너(110)에는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 공조시스템(186),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또는 산소공급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10) 내부에는 다수의 생장용기(120)가 설치된다. 생장용기는 고정프레임(112)에 지지되어 다단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고정프레임(112)은 컨테이너(110) 바닥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주(113)들과 지주들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상판(114)과 하판(115)으로 이루어진다. 상판(114)과 하판(115)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술되는 배출관(9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부가 형성된다.
생장용기(120)는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130)와, 외부용기에 수용되며 내측으로 수소와 전해환원수가 공급되는 내부용기(150)와, 내부용기(150)에 수소와 전해환원수 공급시 내부가 밀폐되게 내부용기(150)를 외부용기(130) 내에서 상승시키고, 외부용기(130)에 공급된 양액이 내부용기(150)에 유입되도록 내부용기(150)가 밀폐해제되게 내부용기(150)를 하강시키는 승강유닛(160)을 구비한다.
외부용기(130)는 양액저장조(50)의 양액이 공급되는 부분으로 고정프레임(112)의 상판(114)과 하판(115)에 지지되어 컨테이너(110)의 내부에 다수 개가 배치된다. 외부용기(130)는 내부용기(150)가 수용되게 상방으로 개방되며 양액이 공급되는 수용공간(132)이 형성된 외부용기본체(131)와, 외부용기본체(13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와, 외부용기본체(130)의 상부의 개폐를 위해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를 이동시키는 개폐유닛(145)을 구비한다.
외부용기본체(131)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다수의 내부용기(150)가 수용되게 연장된 직사각기둥형상이다.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직사각판상으로 외부용기본체(131)의 상부에서 외부용기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멀어지거나 접하도록 이동되어 외부용기본체(131)의 상부를 개폐한다.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는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된다.
외부용기본체(131)는 내측으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양액저장조(50)에서 연장된 양액공급관(51)이 하부에서 수용공간(132)으로 관통되며, 외부용기본체에서 식물의 생장에 사용된 양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32)에서에서 하방으로 관통된 배출관(92)이 장착된다.
또한, 외부용기본체(131)는 수용되는 내부용기(150)의 상방에 위치되게 수소저장조(30)에서 연장된 수소공급관(33)이 하부(중간부) 일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며, 전해환원수저장조(40)에서 연장된 제1전해환원수공급관(43)이 하부(중간부) 타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된다.
배출관(92)은 양액공급관(51)을 통해 외부용기본체(131)로 공급되어 식물생장에 사용된 양액과, 내부용기(150)로 공급되어 식물 생장에 사용된 전해환원수를 폐양액저장조(91)로 배출한다.
그리고, 외부용기본체(131)는 도 3을 참고하면, 길이방향의 양측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되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이동가이드돌기(133)가 형성되며, 수용공간(132)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내주면에 내부용기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양액유입공폐쇄부(135)가 형성된다. 양액유입공폐쇄부(135)는 내부용기(15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는 외부용기본체(131)의 상단에 안착되게, 이동가이드돌기(133)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144)이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돌기수용홈(144)은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의 길이방향의 양측 저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며 이동가이드돌기(133)의 연장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동가이드돌기(133)와 돌기수용홈(144)은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가 개폐유닛에 의해 이동시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개폐유닛(145)은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의 길이방향의 각 양측저면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 개의 래크부(146)와,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일측면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 개의 제1구동모터(147)와,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타측면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2구동모터(148)와, 제1 및 제2구동모터(147,148)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회전축(147a,148a)에 제1 및 제2회전축(147a,148a)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게 각각 장착되고 래크부(146)와 맞물려,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가 상호 멀어지거나 접하게 래크부(146)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피니언기어(149)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구동모터(147,148)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회전축(147a,148a)은 제1 및 제2개폐도어가 상호 멀어지거나 접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개폐유닛(145)은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수소 또는 전해환원수 공급시에는 외부용기본체(131)에 수용된 내부용기(150)가 밀폐되게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가 상호 접하도록 이동시키고, 후술되는 내부용기(150)로 양액 유입을 위해 내부용기 하강시에는 외부용기본체(131)의 상부가 개방되게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를 상호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내부용기(150)는 내부에 식물이 수용되는 식재공간(151)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기둥형상으로서 외부용기본체(131)에 다수 개 수용되게 형성된다.
다수 개의 내부용기(150)는 각각 외부용기본체(13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에 대해 이격되고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으로 외부용기본체(131) 내에 수용된다.
다수 개의 내부용기(150)는 후술되는 승강유닛(160)에 의해 외부용기본체(13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다수의 관통형성된 양액유입공(152)이 각각 형성된다.
내부용기(150) 설명에 앞서 외부용기본체(131)에 형성된 양액유입공폐쇄부(135)를 설명한다.
양액유입공폐쇄부(135)는 내부용기(150) 내부로 수소 또는 전해환원수의 공급 시 내부용기(150)에 양액이 배출되게 내부용기(150)가 상승되면서 양액유입공(152)을 폐쇄하는 부분이다. 양액유입공폐쇄부(135)는 외부용기본체(131)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메인차단부(135a)와, 메인차단부(135a)를 가로지르며 내부용기(150)의 폭 만큼 상호 이격되어 상호 인접하는 내부용기(150)들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격벽(135b)을 구비한다. 즉, 양액유입공(152)은 내부용기(150)가 상승시 외부용기본체(131)에 형성된 양액유입공폐쇄부(135)와 접촉되어 폐쇄되고, 내부용기(150) 하강시 개방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내부용기(150)는 승강유닛(160)에 의해 동시에 승강될 수 있도록 상호 마주하는 측부에 인접하는 내부용기(150)를 지지하는 지지부(156)가 형성된다.
지지부(156)는 내부용기의 일측에 상하로 이경된 제1 및 제2지지돌기(157,158)와, 타측에 인접하는 내부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지지돌기(157,158) 사이로 수용되는 제3지지돌기(159)를 구비한다.
승강유닛(160)은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내부용기(150)가 외부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부용기(150)를 밀폐하기 위해 상승시키고, 밀폐 해제하기 위해 상기 내부용기(150)를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외부용기본체(131)의 내주면에 장착된 제3구동모터(161)와, 제3구동모터(161)의 회전축(162)에 장착된 회전기어(163)와, 회전기어(163)와 맞물리게 내부용기(15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기어(163) 회전방향에 따라 내부용기(150)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기어(165)를 구비한다.
제3구동모터(161)는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승강기어(165)는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내부용기(150)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의 양측면과 마주하는 내부용기(150)의 외주면에 제3구동모터(161)의 회전축(162)에 장착도니 회전기어(163)에 맞물리게 각각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어(165)는 상하로 연장된 래크 기어(rack gear)이며, 회전기어(163)는 래크기어(rack gear)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적용된다.
환경감지부(180)는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어 식물의 생장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식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81)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82)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83)와, 미세먼지 및 공기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센서(184)를 구비하며, 그 밖에 컨테이너 내의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 인체감지센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집진필터(190)는 컨테이너의 재배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질센서에 감지된 신호에 의해 미세먼지가 설정된 값 이상이면 제어부의 따라 작동되어 미세먼지를 흡착한다.
재배보조식물(b)은 컨테이너의 일측에 형성된 식재공간(s)에 설치되어 컨테이너(110)에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생장용기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소비하는 것으로, 상록넉줄고사리, 페퍼민트, 선인장, 게발선인장 및 다육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컨테이너(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분해조(20)의 구동과, 식물생장부(100)로 양액 공급을 위한 양액공급관(51)에 설치된 펌프의 구동과 밸브의 개폐와, 내부용기로 수소 또는 전해환원수 공급을 위한 전해환원수공급관(43)에 설치된 펌프의 구동과 밸브의 개폐와, 후술되는 폐양액 순환유닛의 폐양액공급관 및 배출관에 장착된 밸브의 개폐 및 펌프의 구동를 각각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는 환경감지부(180)의 각종 센서의 정보를 받아 집진필터와 공조시스템의 구동과,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는 내부용기(150)의 승강 및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제1 내지 제3구동모터(147, 148, 161)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원공급부(73)는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승강유닛(160)의 제3구동모터(161)의 구동과, 개폐유닛(145)의 제1 및 제2구동모터(147,148)의 구동과, 전기분해조(20)의 구동과, 후술되는 폐양액 순환유닛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전원공급부(73)는 태양광 모듈, 수소연료전지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발전부(74)와, 자가발전부(74)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축적되는 축전지(75)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자가발전부(74)는 풍력발전이 적용될 수 있으며, 비상시 상용전원에 연결되게 적용할 수도 있다.
폐양액 순환유닛(90)은 외부용기(130)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폐양액을 여과하여 원수공급관(11)으로 공급한다.
폐양액 순환유닛(90)은 외부용기에서 사용된 폐양액이 배출되는 배출관(92), 배출관(92)에서 배출된 폐양액을 저장하는 폐양액저장조(91),폐양액저장조에서 원수공급관으로 연결되며 폐양액을 정수할 수 있는 제3필터(98)가 설치되는 폐양액 공급관(97)을 구비한다. 그리고, 폐양액공급관(97)에는 제어부(70)에 제어에 따라 폐양액공급관(97)을 개폐하는 밸브와, 폐양액저장조(91)에서 원수공급관(11)으로 폐양액을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은 환경감지부(18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7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하는 데이터수집부(72)와, 제어부(70)의 제어와 데이터수집부(72)의 정보를 핸드폰과 같은 원격무선단말기(79)로 원격에서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수집부(72)와 연결되는 미들웨어(76)와, 데이터베이스(77)와, 서버(7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원수저장조(10)에서 공급된 원수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전기분해조(20)에서 전기분해되어 음극에 알칼리성인 전해환원수와, 수소가 발생된다. 발생된 전해환원수는 역삼투압 방식의 제2필터(23)에서 무기질이 제거되어 전해환원수저장조(40)와, 양액저장조(50)로 저장되며, 수소는 수소저장조(30)로 저장된다. 양액저장조(50)에서 전해환원수와 무기양분이 혼합되어 양액이 제조되는데, 내측의 ph감지센서(53)를 통해 ph를 측정하여 엽채류들의 생장에 적합한 ph6.0~7.0를 갖도록 중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수소와 전해환원수를 이용하여 씨앗을 파종시키기 위하여,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70)는 승강유닛(160)의 회전기어(161)를 회전시켜 내부용기(150)의 양액유입공(152)이 폐쇄되게 내부용기(150)를 상승시키고, 개폐유닛(145)을 통해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가 상호 접하게 이동시켜 내부용기(150) 및 외부용기본체(131)를 밀폐한다. 내부용기(150)가 밀폐되면, 제어부를 통해 제1전해환원수공급관(43)과, 수소공급관(33)을 개방하여 내부용기(150)로 수소와, 전해환원수를 공급한다. 수소와 전해환원수는 동시에 공급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의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공급되게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소는 내부용기(150)에서 씨앗이 파종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고정프레임의 상판(114)에 지지된 생장용기(120)는 내부용기(150)가 상승되고 제1 및 제2 개폐도어(141,143)가 닫혀 밀폐된 상태에서 수소와 전해환원수가 공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고정프레임의 하판(115)에 지지된 생장용기(120)는 내부용기(150)가 하강되어 양액이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내부용기(150)에서 씨앗이 파종되면, 제1 및 제2개폐도어(141,143)를 개방하고, 내부용기(150)를 하강시켜 수소가 용해된 전해환원수인 수소수에 외부용기에 공급된 양액이 혼합되게 하여 식물을 생장시킨다. 식물 수확 전에는 저칼륨 식물이 유도되도록, 승강유닛(160)을 통해 내부용기(150)를 다시 상승시켜 수소와 전해환원수만으로 생장시키고, 수확 시에는 수소수를 이용하여 식물의 뿌리부분을 세척한 후 출하한다. 여기서 수소수는 밀폐된 내부용기(150)에서 전해환원수에 수소가 용해된 것을 말한다.
외부용기(131)에서 식물의 생장에 사용된 양액과 수소수는 배출관(92)으로 배출되어 폐양액 저장조(91)에 저장된다. 폐양액 저장조(91)에 저장된 폐양액은 원수공급관(11)의 원수와 혼합되어 재활용된다. 여기서 폐양액은 생장용기(120)에서 배출되는 것으로서, 수소수와 양액이 혼합될 것일 수도 있고, 양액, 수소수 각각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은 식물 재배에 필요한 수분과 양액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환원수를 사용하므로 세균증식이 억제되며 칼륨함량이 낮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식물을 수소와 전해환원수가 공급된 밀폐공간에서 일정시간 생장시킨 후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 및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은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130)에 수용되는 내부용기(150)가 수소, 전해환원수 및 양액 공급에 따라 밀폐되거나 밀폐 해제되게 높이가 조절되므로 수소가 용해된 전해환원수와 양액의 공급의 제어가 용이하므로 재배효율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의 생장용기(220)가 도시되어 있다.
생장용기(220)는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230)와, 외부용기에 수용되며 내측으로 수소와 전해환원수가 공급되는 내부용기(250)를 구비한다.
외부용기는 내부용기(250)가 수용되게 상방으로 개방되며 양액이 공급되는 수용공간(미도시)이 형성된 외부용기본체(231)와, 외부용기본체(23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개폐도어(241,243)와, 외부용기본체(230)의 상부의 개폐를 위해 제1 및 제2개폐도어(241,243)를 이동시키는 개폐유닛(245)을 구비한다.
외부용기본체(231)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다수의 내부용기(250)가 수용되게 연장된 직사각기둥형상이다. 제1 및 제2개폐도어(241,243)는 동일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데, 외부용기본체의 측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이다.
제1 및 제2개폐도어(241,243)는 외부용기본체(23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멀어지거나 접하도록 이동되어 외부용기본체(231)의 상부를 개폐한다.
외부용기본체(231)는 내측으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양액저장조(50)에서 연장된 양액공급관(51)이 하부에서 수용공간으로 연통되며, 외부용기본체(231)에서 식물의 생장에 사용된 양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에서 하방으로 관통된 배출관(92)이 장착된다.
또한, 외부용기본체(231)는 수소저장조(30)에서 연장된 수소공급관(33)과, 전해환원수저장조(40)에서 연장된 제1전해환원수공급관(43)이 하부(중간) 일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된다. 제1전해환원수공급관(43)과 수소공급관(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250)의 하부(중간)에 위치되게 외부용기본체(31)의 하부(중간)를 관통하나, 내부용기(250)로 관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용기본체(231)는 길이방향의 양측 상단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이동가이드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개폐도어(241,243)에는 이동가이드돌기(133)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144)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유닛(245)은 제1 및 제2개폐도어(241.243)의 길이방향의 각 중심측 저면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용기본체(23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 개의 래크부(246)와,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면의 중심측에서 래크부(246)에 맞물려 회전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부(249)와, 외부용기본체(13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피니언부(249)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피니언부(24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 제1 및 제2구동모터의 회전축에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된다.
제1 및 제2구동모터의 회전축은 제1 및 제2개폐도어(241,243)가 상호 멀어지거나 접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된다.
내부용기(250)는 내부에 식물이 수용되는 식재공간(251)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기둥형상으로서 외부용기본체(231)에 다수 개 수용되게 형성된다.
다수 개의 내부용기(250)는 식재공간으로 양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양액유입공(152)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양액공급관(51)이 내부용기의 식재공간(251)으로 관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생장용기(220)는 내부용기(250)로 수소와 전해환원수 공급시 내부용기(250)가 밀폐되게 제1 및 제2개폐도어(241,243)가 접하게 개폐유닛(245)에 의해 이동되며, 양액공급 시에는 제1 및 제2개폐도어가 상호 멀어지게 이동되어 내부용기(250)가 개방된다.
제1 및 제2개폐도어(214,243)가 상호 인접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 외부용기본체부(231)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래크부(246)가 진퇴할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미도시)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은 식물 재배에 필요한 수분과 양액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환원수를 사용하므로 세균증식이 억제되며 칼륨함량이 낮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식물을 수소와 전해환원수가 공급된 밀폐공간에서 일정시간 생장시킨 후 양액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 및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식물공장은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에 수용되는 내부용기가 수소, 전해환원수 및 양액 공급에 따라 밀폐되거나 밀폐해제되게 높이가 조절되므로 재배효율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물공장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원수저장조 15 : 제1필터
20 : 전기분해조 23 : 제2필터
30 : 수소저장조 33 : 수소공급관
40 : 전해환원수저장조 43 : 제1전해환원수공급관
45 : 제2전해환원수공급관 50 : 양액저장조
51 : 양액공급관 70 : 제어부
73 : 전원공급부 74 : 자가발전부
90 : 폐양액 순환유닛 91 : 폐양액 저장조
92 : 배출관 97 : 폐양액공급관
98 : 제3필터 100 : 식물생장부
110 : 컨테이너 111 : 재배공간
112 : 고정프레임 120 : 생장용기
130 : 외부용기 131 : 외부용기본체
132 : 수용공간 135 : 양액유입공폐쇄부
141 : 제1개폐도어 143 : 제2개폐도어
145 : 개폐유닛 150 : 내부용기
152 : 양액유입공 160 : 승강유닛
180 : 환경감지부 190 : 집진필터
20 : 전기분해조 23 : 제2필터
30 : 수소저장조 33 : 수소공급관
40 : 전해환원수저장조 43 : 제1전해환원수공급관
45 : 제2전해환원수공급관 50 : 양액저장조
51 : 양액공급관 70 : 제어부
73 : 전원공급부 74 : 자가발전부
90 : 폐양액 순환유닛 91 : 폐양액 저장조
92 : 배출관 97 : 폐양액공급관
98 : 제3필터 100 : 식물생장부
110 : 컨테이너 111 : 재배공간
112 : 고정프레임 120 : 생장용기
130 : 외부용기 131 : 외부용기본체
132 : 수용공간 135 : 양액유입공폐쇄부
141 : 제1개폐도어 143 : 제2개폐도어
145 : 개폐유닛 150 : 내부용기
152 : 양액유입공 160 : 승강유닛
180 : 환경감지부 190 : 집진필터
Claims (9)
- 원수저장조와;
상기 원수저장조와 연결되어 상기 원수저장조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조와;
상기 전기분해조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상기 원수가 전기분해되면서 생성된 수소가 포집되는 수소저장조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상기 원수가 전기분해되면서 생성된 전해환원수가 저장되는 전해환원수저장조와;
상기 전해환원수저장조에서 공급된 상기 전해환원수에 식물에 필요한 무기양분이 용해된 양액이 저장되는 양액저장조와;
외부와 격리된 재배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다수가 배치되며 상기 양액저장조의 양액이 공급되는 외부용기와 내부에 식물이 수용되고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돼 밀폐시 상기 전해환원수와 수소가 공급되며 밀폐 해제시 내측으로 양액이 유입되게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용기를 포함하는 생장용기를 구비하는 식물생장부와;
상기 전기분해조의 구동과, 상기 외부용기로 양액 공급과, 상기 내부용기로 수소 또는 상기 전해환원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생장용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를 밀폐하기 위해 상승시키고, 밀폐 해제하기 위해 상기 내부용기를 하강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에 대해 이격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외부용기 내에 다수 개 수용되며, 하강상태에서 상기 외부용기 내로 공급된 양액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양액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 내부로 상기 수소 또는 상기 전해환원수의 공급 시 상기 내부용기에 양액이 배출되게 상승되면서 상기 양액유입공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양액유입공폐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물공장.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에서 배출되는 폐양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폐양액을 여과하여 상기 원수저장조에서 상기 전기분해조로 연장되어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으로 공급하는 폐양액 순환유닛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물공장.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필터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생성된 상기 전해환원수를 상기 전해환원수저장조로 공급하는 제1전해환원수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전해환원수에 포함된 미네랄을 제거하기 위한 제2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물공장.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유입공폐쇄부는
상기 외부용기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외부용기의 내주면에 상승된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물공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식물의 생장 상태 및 상기 컨테이너의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환경감지부와,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하는 데이터수집부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물공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유닛과 상기 전기분해조의 구동에 필요한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광 또는 풍력과 수소 연료전지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발전부와,
상기 자가발전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축적되는 축전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물공장.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가 수용되게 상방으로 개방되며 양액이 공급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부용기본체와,
상기 외부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소 또는 상기 전해환원수 공급을 위해 상기 내부용기 상승시에는 상기 외부용기본체의 상부가 폐쇄되고, 상기 내부용기 내로 상기 양액 유입을 위해 상기 내부용기 하강시 상기 외부용기본체의 상부가 개방되게 상기 개폐도어를 이동시키는 개폐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물공장.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외부용기본체의 내주면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리게 상기 내부용기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싱기 회전기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와 함께 승강되는 승강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물공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055A KR102012485B1 (ko) | 2017-07-31 | 2017-07-31 | 친환경 식물공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055A KR102012485B1 (ko) | 2017-07-31 | 2017-07-31 | 친환경 식물공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3074A KR20190013074A (ko) | 2019-02-11 |
KR102012485B1 true KR102012485B1 (ko) | 2019-08-20 |
Family
ID=6537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7055A KR102012485B1 (ko) | 2017-07-31 | 2017-07-31 | 친환경 식물공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248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6273A (ko) | 2020-12-16 | 2022-06-23 | 주식회사 드림트리 | 식물 재배 장치 |
KR20220086292A (ko) | 2020-12-16 | 2022-06-23 | (주)엠텍정보기술 | 생육기 제어 시스템 |
KR20230137096A (ko) | 2022-03-21 | 2023-10-04 |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 생활가전형 식물 재배 장치 제어 시스템 |
KR20230137532A (ko) | 2022-03-21 | 2023-10-05 | 주식회사 드림트리 | 생활가전형 식물 재배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474B1 (ko) | 2021-01-25 | 2022-11-25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친환경 식물 공장 모드의 개똥쑥의 재배 방법 |
KR102555542B1 (ko) * | 2022-12-16 | 2023-07-14 | (주)미래엔피아 | 이끼생육 스마트 수경재배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6474Y1 (ko) * | 2003-09-26 | 2003-12-18 | 호연기계(주) | 자동 승강급수식 수경재배기 |
KR100985920B1 (ko) * | 2009-07-24 | 2010-10-08 | 주식회사 선도 | 수소수 공급장치 및 수소수를 이용한 수경재배용 양액 공급 및 회수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0453B1 (ko) | 2002-02-21 | 2005-02-05 | 대한민국 | 순환식 수경재배용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 |
KR101375709B1 (ko) * | 2012-09-04 | 2014-03-19 | (주)창신아그멕 | 양액순환공급장치 |
-
2017
- 2017-07-31 KR KR1020170097055A patent/KR1020124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6474Y1 (ko) * | 2003-09-26 | 2003-12-18 | 호연기계(주) | 자동 승강급수식 수경재배기 |
KR100985920B1 (ko) * | 2009-07-24 | 2010-10-08 | 주식회사 선도 | 수소수 공급장치 및 수소수를 이용한 수경재배용 양액 공급 및 회수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6273A (ko) | 2020-12-16 | 2022-06-23 | 주식회사 드림트리 | 식물 재배 장치 |
KR20220086292A (ko) | 2020-12-16 | 2022-06-23 | (주)엠텍정보기술 | 생육기 제어 시스템 |
KR20230137096A (ko) | 2022-03-21 | 2023-10-04 |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 생활가전형 식물 재배 장치 제어 시스템 |
KR20230137532A (ko) | 2022-03-21 | 2023-10-05 | 주식회사 드림트리 | 생활가전형 식물 재배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3074A (ko) | 2019-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2485B1 (ko) | 친환경 식물공장 | |
CN202444918U (zh) | 一种移动式植物工厂 | |
CN205018017U (zh) | 智能水培蔬菜种植柜 | |
US11596109B2 (en) | High density plant growth systems and methods | |
KR101582389B1 (ko) | 무선 제어 가능한 식물 재배 시스템 | |
CN106613445B (zh) | 基于人居环境空间的立体景观装置 | |
KR102494704B1 (ko) | 태양열 온실 아쿠아포닉스 및 블랙 솔저 플라이 퇴비화기 및 자동 물고기 먹이공급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CN105104158A (zh) | 智能水培蔬菜种植柜 | |
KR102167684B1 (ko) | 다단식 플로우팅 산소공급 식물공장 기계 | |
KR101219787B1 (ko) |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 |
WO2018140217A1 (en) | Segregated hydroponic assembly | |
KR101582388B1 (ko) | 식물 재배 장치 | |
JP2012231721A (ja) | Fms植物工場 | |
CN104126437A (zh) | 花鱼共养植物墙循环生态系统 | |
KR101505973B1 (ko) | 배치식 미세 조류 수거 장치 | |
CN219555887U (zh) | 一种浅液层毛管水灌溉的作物栽培系统 | |
CN203942859U (zh) | 花鱼共养植物墙循环生态系统 | |
KR101723607B1 (ko) |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 |
CN214628831U (zh) | 一种植物栽培装置 | |
CN207040442U (zh) | 一种自动浇水花盆 | |
CN215774747U (zh) |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水培蔬菜育苗系统 | |
KR102258138B1 (ko) | 염분차 발전에 기반한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팜 시스템 | |
CN116326380B (zh) | 一种活动式沉水植物种植围栏 | |
CN109678293A (zh) | 一种生态物料平衡厕所及其运行方法 | |
CN215683728U (zh) | 一种苗木的幼苗培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