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466B1 -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466B1
KR102012466B1 KR1020190065128A KR20190065128A KR102012466B1 KR 102012466 B1 KR102012466 B1 KR 102012466B1 KR 1020190065128 A KR1020190065128 A KR 1020190065128A KR 20190065128 A KR20190065128 A KR 20190065128A KR 102012466 B1 KR102012466 B1 KR 10201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t
defense
zone
friendly
cen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태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9006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영역으로 접근하는 위협 세력에 대하여 자함뿐 만 아니라 영역 내의 기 등록된 아군 세력도 함께 방어할 수 있는 구역 방어 기반(아군 세력 중심)의 위협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탐지된 아군을 식별하여 식별된 아군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협 가능요소 중 위협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 및 자함 중심의 방어구역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자함 중심 및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의 위협도를 각각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hreat evaluation based on zone defense}
본 발명은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함정 전투에서 아군 함정과의 협력 교전 시, 위협 평가 기준을 자함 중심과, 아군 함정들을 포함하는 아군 세력 중심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표적에 대해 다수의 무장자산을 운용하는 환경에서는 단시간 내에 표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한 사격계획을 수립하고, 이와 같이 수립된 사격계획을 작전에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사격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표적을 감시 및 관리하고,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표적의 위협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여 높은 위협도를 가지는 표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해상 교전의 경우, 자함에게 위협이 되는 표적을 판별하여, 판별된 위협 표적들 중 위협 우선순위가 높은 표적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실제 교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위협 평가에 있어서, 종래에는 위협 평가 및 무장 할당 알고리즘을 접근하는 위협 세력에 대하여 자함을 중심으로 수행한다.
즉, 종래의 함정 전투체계의 교전 위협 평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함 중심으로 위협을 식별 및 평가하여 위협 평가 리스트를 구성한 후, 구성된 평가 리스트를 이용하여 교전에 적용한다. 여기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함 중심의 위협 평가를 수행하는 일 화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종래의 자함 중심 위협 평가는 자함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유용하지만 방어 능력이 없는 아군 세력과 함께 작전 시 위협 세력으로 접근하는 위협에 대한 위협 평가 우선 순위가 낮아 아군 세력의 생존율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정 전투에서 아군 함정들과 협력 교전 시 위협 평가 기준을 자함 중심, 및 아군 함정을 포함하는 지역방어 중심으로 위협 평가를 각각 수행하여 교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특정 영역으로 접근하는 위협 세력에 대하여 자함 뿐만 아니라 영역 내의 기 등록된 아군 세력도 함께 방어할 수 있는 구역 방어 기반(아군 세력 중심)의 위협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는, 탐지된 아군을 식별하여 식별된 아군 정보를 등록하는 아군 식별부;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협 가능요소 중 위협요소를 식별하는 위협요소 식별부;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 및 자함 중심의 방어구역을 선정하는 방어 구역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자함 중심 및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의 위협도를 각각 평가하는 위협도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협도 평가부에서 평가된 자함 중심의 위협도와, 아군 세력 중심 위협도에 대하여 위협 리스트를 각각 작성하는 위협 리스트 작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어구역 선정부는, 상기 아군 식별부를 통해 기 등록된 아군들의 각 위치를 선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선의 최외곽선으로 구해진 다각형을 아군 세력 방어 구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위협도 평가부는, 상기 방어구역 선정부에서 선정된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한 각 함정들에 대하여 위협도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위협도 평가부는, 상기 계산된 각 함정들에 대한 위협도의 최고값을 해당 위협요소의 위협도로 판단하여 전체 위협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협요소 식별부는, 탐지한 위협 가능 요소들을 실제 자함 또는 아군 세력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요소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협 가능성에 따라 적(Hostile), 의심 적(Assumed Hostile), 미판단(NoStatement), 미식별(Unknown)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방법은, 탐지된 아군을 식별하여 식별된 아군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협 가능요소 중 위협요소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 및 자함 중심의 방어구역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자함 중심 및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의 위협도를 각각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된 자함 중심의 위협도와, 아군 세력 중심 위협도에 대하여 각각의 위협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어구역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 등록된 아군들의 각 위치를 선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선의 최외곽선으로 구해진 다각형을 아군 세력 방어 구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위협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한 각 함정들에 대하여 위협도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위협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각 함정들에 대한 위협도의 최고값을 해당 위협요소의 위협도로 판단하여 전체 위협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협요소를 식별하는 단계는, 탐지한 위협 가능 요소들을 실제 자함 또는 아군 세력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요소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협 가능성에 따라 적(Hostile), 의심 적(Assumed Hostile), 미판단(NoStatement), 미식별(Unknown)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정 전투에서 아군 함정과 협력 교전 시 특정 영역으로 접근하는 위협 세력에 대하여 자함뿐 만 아니라 영역 내의 기 등록된 아군 세력도 함께 방어할 수 있는 구역 방어 기반(아군 세력 중심)의 위협도를 평가함으로써, 협력 교전 시 적 위협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아군 함정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함 중심의 위협 평가를 수행하는 일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군 함정의 구역 방어 기반 위협 평가를 수행하는 일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군 함정의 방어 구역을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군 함정의 구역 방어 기반 위협 평가를 수행하는 일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군 함정의 방어 구역을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구역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의 핵심적 기술적 특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함 중심의 위협 평가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거리 내 즉, 함전단 배열 범위내의 아군을 자동 식별하여 식별된 아군 함정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함정들에 대하여 모두 위협 평가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는, 탐지부(100), 아군 식별부(200), 위협요소 식별부(300), 방어구역 선정부(400), 위협도 평가부(500) 및 위협 평가 리스트 작성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탐지부(100)는 레이더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일정 거리 내 표적들을 탐지하여, 탐지된 정보를 아군 식별부(200)와 위협 요소 식별부(300)로 각각 제공한다.
아군 식별부(200)는 상기 탐지부(100)로부터 제공되는 탐지 정보를 이용하여 탐지된 표적들 중 아군 세력을 식별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아군 정보를 방어 구역 선정부(4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아군 식별부(200)에서의 아군 세력 등록은 자함에 대하여 작전을 함께 수행하는 복수의 소해함들을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아군 세력은 방어 능력이 없거나 또는 일정 수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어 능력이 일정 수준 이하라는 것은 방어 능력이 있더라도 자함과의 작전 수행에 있어 위협으로 판단되는 요소들을 공격하거나 이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없는 정도를 의미한다.
방어 구역 선정부(400)는 위협요소(표적)의 위협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방어구역을 선정한 후, 선정된 방어구역 정보를 위협도 평가부(5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선정되는 두 가지의 방어 구역은, 자함 중심 방어 구역과, 상기 식별된 아군 세력(함정) 전체에 대한 방어 구역일 수 있다.
이하, 방어구역 선정부(400)에서 위협도 평가를 위한 방어구역을 선정하는 상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자.
먼저, 자함 중심의 방어구역 선정은 자함만을 위협요소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것으로, 자함을 중심으로 다른 아군 세력을 포함하지 않는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방어구역으로 선정하고, 아군 세력 중심(아군 함정 중심)의 방어 구역을 선정하는데,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적 특징인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을 선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자.
아군 식별부(200)를 통해 식별된 아군의 각 위치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으로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선 중 외곽선으로 구해진 다각형을 구역 방어 지역으로 선정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군 함정(a ~ i)들을 모두 선으로 각각 연결한 후, 최외곽에 위치한 함정들(a, b, c, d, e, f 함정)을 연결하여 구해진 다각형의 지역을 방어구역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한 위협도 평가부(500)에서 위협도 평가 시, 상기 도 4와 같이 다각형으로 연결된 최외각의 꼭지점에 위치한 함정들에서의 위협도를 각각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위협요소 식별부(300)는 상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협 가능 요소를 탐지하고, 탐지된 위협 가능 요소가 실제 위협 요소인지를 식별한 후, 식별된 위협 요소에 대한 정보를 위협도 평가부(500)로 제공한다.
즉, 위협요소 식별부(300)는 상기 탐지부(100)를 통해 탐지한 위협 가능 요소들을 자함 또는 아군 세력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요소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협 가능성에 따라 위협요소를 분류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위협요소는 위협의 가능성에 따라 적(Hostile), 의심스러운 적(Assumed Hostile), 미판단(No Statement), 미식별(Unknown) 요소로 각각 분류하여 식별한다.
만약, 적으로 판단된 위협요소는 위협을 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후술하는 위협도 평가부(500)에서 위협도 판단 시 높은 가중치가 적용되게 되며, 의심스러운 적으로 판단된 위협요소는 적으로 단정할 수는 없으나 위협 가능성이 다소 높은 요소를 의미한다. 그리고, 미판단 위협요소는 현재의 정보로서는 위협을 가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한 요소이며, 미식별 위협요소는 요소 자체가 식별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위협요소 식별부(300)에서 식별된 위협요소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위협도 평가, 및 위협도 평가 후, 공격 방법에서 공격 또는 회피의 대상이 되는 표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위협도 평가부(500)는 자함 중심으로 위협도를 평가하고, 상기 방어구역 선정부(400)에서 선정된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내 최외각 함정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으로 연결된 다각형에서 꼭지점의 함정(a, b, c, d, e, f 함정) 들에 대한 위치에서 각각 위협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상기 위협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자함 중심 또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에서 최외곽 함정들(도 4의 a, b, c, d, e, f 함정)의 위치에서 각각의 위협도를 계산하는 방식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9056571200-pat00001
여기서 표적종류가중치(CAT: Category)는, 위협요소로서 표적이 대공 표적, 대함 표적, 대잠 표적(Submarine)에 따라 결정되는 임의의 가중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적 식별 가중치(ID: Identification)는 상술한 위협요소 식별 단계에서 위협 가능성에 대한 식별로서 적(Hostile), 의심 적(Assumed Hostile), 미판단(NoStatement), 미식별(Unknown) 위협요소에 따른 가중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자함 방어 가중치(SDA: Self Defense Area)는 적 표적의 기동이 자함 방어 구역 내 진입 가능 시 부여되는 가중치이다.
여기서, 상기 표적 기동 가중치는 위협요소의 기동 정보에 관한 것으로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9056571200-pat00002
본 실시 예에서 표적 기동 가중치는 방어 중심점으로서 해당 함정의 위치(X1, Y1)와 표적의 위치(X2, Y2)에 따라 5 * V / ( D * (1 -(θ / 50)2) )로 표현된다. 이때, COD (Center of Defense)는 방어 중심점(자함의 위치), 임의의 위협 가중치는 표적의 기동에 대한 가중치(임의의 상수). V(Velocity)는 표적의 속력(m/s)을 의미한다.
또한, D(Distance)는 표적으로부터 COD까지 직선 거리로서 자함의 위치 (X1, Y1)와 표적의 위치(X2, Y2)에 따라 계산될 수 있으며, Θ(Theta) 는 표적 침로(Course)가 COD와 표적간 연결선이 이루는 사이각이다.
상기한 도 4에 도시된 다각형에서 최외각(꼭지점) 함정들 각각에서의 위협도를 계산하는 방식은 각 함정에서의 자함 중심 위협도를 계산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위협도 계산은 상기한 위협도 계산하는 방식 이외에도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위협도를 계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위협도 평가부(500)의 위협도 평가는 자함 중심의 위협도 평가 및 아군세력 중심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 방어 중심을 기반으로 최외각 함정들에서의 위협도 평가로 구분될 수 있다.
자함 중심의 위협도 평가는 상기한 수학식 1, 2에 의해 계산된 위협도가 높은 표적을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며, 다만 자함 중심 방어의 경우 임의 일 위협요소를 최우선 순위의 위협으로 평가하여 공격하게 되므로 다른 위협요소의 경우 임의 시간 후 아군세력에 근접하게 되고, 이와 같은 경우 자함을 중심으로 한 위협도 평가는 자함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유용하지만 방어능력이 없는 아군 세력과 작전 시, 위협 세력으로 접근하는 위협에 대한 위협평가 우선순위가 낮아져 다른 위협요소로부터 공격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자함 및 아군 세력 중심(구역방어) 기반의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바, 위협도 평가부(500)에서 위협 평가는 자함 중심 위협 평가와 아군 세력 중심(구역방어 중심) 위협 평가를 함께 수행한다.
상기 위협도 평가부(500)에서 아군 세력 중심 위협도 평가는 상기한 수학식 1, 2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구역 방어 중심의 아군 세력의 함정 즉, 도 4에 도시된 각 아군 함정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함정(다각형에서의 꼭지점에 위한 함정)들의 위치에서의 위협도 평가를 각각 수행한 후, 위협도가 높은 표적을 우선 순위를 높게 판단한다.
정리하면, 위협도 평가부(500)에서 위협도 평가는 모든 위협요소에 대한 위협도를 방어구역 선정부(400)에서 선정한 방어 구역 내 n개(도 4의 다각형에서 최외곽의 함정 a,b,c,d,e,f 함정)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가장 위협도가 높은 표적을 최우선순위의 위협요소로 판단한다.
위와 같이 위협도 평가부(500)를 통해 자함 중심의 위협도와, 구역 방어 중심의 위협도가 평가되면, 평가된 각각의 위협도는 위협 평가 리스트 작성부(600)로 제공된다.
위협 평가 리스트 작성부(600)는 위협도 평가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자함 중심으로 평가된 위협도와, 아군 함정(도 4에서 a, b, c, d, e, f 함정)들의 위치에서 평가된 아군 세력 중심 위협도에 대한 각각의 위협도 평가 리스트를 작성하여 교전 시스템(미도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전 시스템은 위협 평가 리스트 작성부(600)에서 작성된 위협 평가 리스트를 이용하여 교전에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구역 위협 평가 장치의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구역 위협 평가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구역 위협 평가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레이더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일정 거리 내 표적들을 탐지한다(S501).
이어, 상기 탐지 정보를 이용하여 아군 세력(함정)을 식별하여 등록한다(S502). 여기서, 아군 세력 등록 단계(S502)는 자함에 대하여 작전을 함께 수행하는 복수의 아군 함정들을 등록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아군 세력은 방어 능력이 없거나 또는 일정 수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어 능력이 일정 수준 이하라는 것은 방어 능력이 있더라도 자함과의 작전 수행에 있어 위협으로 판단되는 요소들을 공격하거나 이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없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탐지 레이더와 같이 적을 탐지하기 위한 레이더를 이용하여 레이더가 회전 하면서 표적에 전파를 방사하고,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써, 표적의 거리와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표적의 거리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위협 가능 요소를 탐지하게 된다(S503).
이어, 상기 레이더가 탐지한 위협 가능 요소들을 실제 자함 또는 아군 세력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요소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협 가능성에 따라 위협 요소들을 분류한다(S504). 여기서, 위협요소의 식별은 위협의 가능성에 따라 적(Hostile), 의심 적(Assumed Hostile), 미판단(No Statement), 미식별(Unknown) 요소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적으로 판단된 위협요소는 위협을 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후술하는 위협도 판단 시 높은 가중치가 적용되게 되며, 의심적 요소는 적으로 단정할 수는 없으나 위협 가능성이 다소 높은 요소를 의미하며, 미판단 요소는 현재의 정보로서는 위협을 가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한 요소이며, 미식별 요소는 요소 자체가 식별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S504 단계를 통해 위협 요소들이 식별되면, 식별된 위협 요소들에 대하여 위협 가능성이 높은 위협 요소들의 위협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어 구역을 선정하게 된다(S505).
상기 S505 단계에서의 방어 구역 선정은, 위협 요소(표적)의 위협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방어구역을 선정한다. 상기 선정되는 방어 구역은, 자함 중심 방어 구역과, 상기 S502 단계를 통해 등록된 아군 세력(함정) 중심에 대한 방어 구역일 수 있다.
상기 S505 단계의 방어 구역을 선정하는 상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자.
먼저, 자함 중심의 방어구역 선정은 자함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내의 방어 구역을 선정하는 것이고, 상기 방어 구역 내에는 아군 세력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방어 구역 선정 중,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적 특징인 아군 함정 중심 방어 구역을 선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자.
상기 S502 단계를 통해 등록된 아군 세력(함정)의 각 위치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으로 먼저 연결하고, 선 연결을 통해 구해진 다각형을 방어 구역으로 선정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군 함정(a ~ i 함정)들을 모두 선으로 연결한 후, 각 최외곽에 위치한 함정들(a, b, c, d, e, f 함정)을 연결한 다각형의 지역을 방어구역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구역 방어 중심 위협도 평가 시, 상기 도 4와 같이 다각형으로 연결된 최 외각에 위치한 함정들의 위치에서의 위협도를 각각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S505 단계를 통해 자함 중심의 방어 구역과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이 선정되면, S506단계를 통해 자함 중심 위협도를 판단하고, S508단계에서 아군 세력 중심 위협도를 판단한다.
여기서, 위협도 판단시, S506단계에서의 자함 중심 위협도 판단은 자함의 위치에서만 위협도를 판단하고, S508단계에서의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 위협도 판단은 도 4에 도시된 다각형의 최외곽 함정들의 각 위치에서 위협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S506단계에서의 위협도 판단과 S508단계에서의 위협도 판단 방법은 위치만이 상이할 뿐 동일한 방법을 통해 수행된다. 즉, 자함의 위치에서만 위협도를 판단하느냐, 아니면 아군 세력 즉, 도 4에 도시된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한 함정들(a, b, c, d, e, f) 각각의 위치에서 모두 위협도를 판단하는지의 차이이다.
따라서, S506단계 및 S508 단계에서의 위협도 판단 방법에 대하여 같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자함 중심 또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지역방어 중심의 구역에서 최외곽 함정들(도 4의 a, b, c, d, e, f 함정)의 위치에서 각각의 위협도를 계산하는 방식은 상기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하였기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S508 단계에서, 도 4에 도시된 다각형의 최외각(꼭지점) 함정들 각각의 위치에서 위협도를 계산하는 방식은, 각 함정에서의 자함 중심 위협도를 계산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한 수학식 1, 2에 의한 위협도 계산하는 방식 이외에도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위협도를 계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S506단계에서, 자함 중심의 위협도 평가는 상기한 수학식 1, 2에 의해 계산된 위협도가 높은 표적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판단하며, 다만 자함 중심 방어 구역의 경우 임의 일 위협요소를 최우선 순위의 위협으로 평가하여 공격하게 되므로 다른 위협요소의 경우 임의시간 후 아군세력에 근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자함을 중심으로 한 위협 평가는 자함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유용하지만 방어능력이 없는 아군 세력과의 작전 수행 시, 위협 세력으로 접근하는 위협요소에 대한 위협평가 우선순위가 낮아져, 다른 위협요소로부터 공격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자함 및 아군세력 중심 기반의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바, 위협 평가를 자함 중심 위협 평가와 아군 세력 중심의 위협 평가를 함께 수행한다.
S508단계에서의 구역방어 중심 위협 평가는 상기한 수학식 1, 2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에서 아군 함정 즉, 도 4에 도시된 각 아군 함정들 중 최외곽에 위치한 함정(다각형에서의 꼭지점에 위치한 함정)들의 위치에서의 위협 평가를 수행한 후, 위협도가 높은 표적을 우순 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정리하면, 모든 위협요소에 대한 위협도를 S505 단계에서 선정된 방어 구역 내 n개(도 4의 다각형에서 최외곽의 함정 a,b,c,d,e,f 함정)의 각 위치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가장 위협도가 높은 표적을 최우선순위의 위협요소로 판단한다.
상기 S506 단계에서 자함 중심의 위협도, S508 단계에서 구역 방어 중심(아군 세력 중심)의 위협도가 평가되면, 평가된 각각의 위협도에 대한 위협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다(S507, S509).
정리하면, 상기 S506 단계에서 자함 중심으로 평가된 위협도와, S508단계에서 아군 세력 중심의 각 아군 함정(도 4에서 a, b, c, d, e, f 함정)들의 위치에서 각각 평가된 위협도에 대한 위협도 평가 리스트를 각각 작성하여 교전 시스템(미도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전 시스템은 위협 평가 리스트 작성부(600)에서 작성된 위협 평가 리스트를 이용하여 교전에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기능 혹은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구역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탐지부
200 : 아군 식별부
300 : 위협요소 식별부
400 : 방어구역 선정부
500 : 위협도 평가부
600 : 위협 평가 리스트 작성부

Claims (12)

  1.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에 있어서,
    탐지된 아군을 식별하여 식별된 아군 정보를 등록하는 아군 식별부;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협 가능요소 중 위협요소를 식별하는 위협요소 식별부;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 및 자함 중심의 방어구역을 선정하는 방어 구역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자함 중심 및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의 위협도를 각각 평가하는 위협도 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어구역 선정부는,
    상기 아군 식별부를 통해 기 등록된 아군들의 각 위치를 선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선의 최외곽선으로 구해진 다각형을 아군 세력 방어 구역으로 선정하고,
    상기 위협도 평가부는,
    상기 방어구역 선정부에서 선정된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한 각 함정들에 대하여 위협도를 각각 계산하는고, 상기 계산된 각 함정들에 대한 위협도의 최고값을 해당 위협요소의 위협도로 판단하여 전체 위협 순위를 결정하는 것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협도 평가부에서 평가된 자함 중심의 위협도와, 아군 세력 중심 위협도에 대하여 각각의 위협 리스트를 작성하는 위협 리스트 작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협요소 식별부는,
    탐지한 위협 가능 요소들을 실제 자함 또는 아군 세력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요소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협 가능성에 따라 적(Hostile), 의심 적(Assumed Hostile), 미판단(NoStatement), 미식별(Unknown) 요소로 분류하는 것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7. 제1항 내지 제2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역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를 이용한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방법에 있어서,
    아군 식별부에서, 탐지된 아군을 식별하여 식별된 아군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협 가능요소 중 위협요소를 위협 요소 식별부에서 식별하는 단계;
    상기 기 등록된 아군 정보를 기반으로 아군 세력 중심의 방어 구역 및 자함 중심의 방어구역을 방어 구역 선정부에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자함 중심 및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의 위협도를 위협도 평가부에서 각각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어구역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 등록된 아군들의 각 위치를 선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선의 최외곽선으로 구해진 다각형을 아군 세력 방어 구역으로 선정하고,
    상기 위협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아군 세력 중심 방어 구역에서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한 각 함정들에 대하여 위협도를 각각 계산하여 계산된 각 함정들에 대한 위협도의 최고값을 해당 위협요소의 위협도로 판단하여 전체 위협 순위를 결정하는 것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된 자함 중심의 위협도와, 아군 세력 중심 위협도에 대하여 각각의 위협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협요소를 식별하는 단계는,
    탐지한 위협 가능 요소들을 실제 자함 또는 아군 세력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요소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협 가능성에 따라 적(Hostile), 의심 적(Assumed Hostile), 미판단(NoStatement), 미식별(Unknown) 요소로 분류하는 것인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방법.
KR1020190065128A 2019-06-03 2019-06-03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28A KR102012466B1 (ko) 2019-06-03 2019-06-03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28A KR102012466B1 (ko) 2019-06-03 2019-06-03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466B1 true KR102012466B1 (ko) 2019-10-21

Family

ID=6846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128A KR102012466B1 (ko) 2019-06-03 2019-06-03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4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582B1 (ko) 2020-04-17 2020-07-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간 위협 공유를 이용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 위협 평가 시스템
KR102137486B1 (ko) 2020-04-17 2020-07-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아군 함정 주요 세력의 중요도를 반영하는 차세대 함정용 통합 위협 평가 시스템
KR102137487B1 (ko) 2020-04-17 2020-07-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대공 표적 기동 분석에 기반한 차세대 함정용 위협 평가 시스템
KR102211105B1 (ko) * 2020-10-07 2021-02-02 한화시스템(주) 함정 전투 체계에서의 다기능 위상 배열 레이더의 자원관리를 위한 표적 유형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9590B1 (ko) 2021-03-03 2021-07-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진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
KR20220122025A (ko) * 2021-02-26 2022-09-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근접 고속 표적에 대한 위협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489371B1 (ko) * 2022-09-28 2023-01-18 한화시스템(주) 수상함 함대 구역방어를 위한 자동 구역 교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511A (ko) * 2011-05-12 2012-11-21 국방과학연구소 대공 표적에 대한 위협평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30018196A (ko) * 2011-08-10 2013-02-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영역 방어 기반의 영역 위협평가 및 공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511A (ko) * 2011-05-12 2012-11-21 국방과학연구소 대공 표적에 대한 위협평가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30018196A (ko) * 2011-08-10 2013-02-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영역 방어 기반의 영역 위협평가 및 공격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582B1 (ko) 2020-04-17 2020-07-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간 위협 공유를 이용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 위협 평가 시스템
KR102137486B1 (ko) 2020-04-17 2020-07-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아군 함정 주요 세력의 중요도를 반영하는 차세대 함정용 통합 위협 평가 시스템
KR102137487B1 (ko) 2020-04-17 2020-07-2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대공 표적 기동 분석에 기반한 차세대 함정용 위협 평가 시스템
KR102211105B1 (ko) * 2020-10-07 2021-02-02 한화시스템(주) 함정 전투 체계에서의 다기능 위상 배열 레이더의 자원관리를 위한 표적 유형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22025A (ko) * 2021-02-26 2022-09-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근접 고속 표적에 대한 위협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492125B1 (ko) * 2021-02-26 2023-01-2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근접 고속 표적에 대한 위협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279590B1 (ko) 2021-03-03 2021-07-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진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
KR102489371B1 (ko) * 2022-09-28 2023-01-18 한화시스템(주) 수상함 함대 구역방어를 위한 자동 구역 교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466B1 (ko) 구역 방어 기반의 위협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Tam et al. Cyber-risk assessment for autonomous ships
US20090223354A1 (en) Intuitive tactical decision display
US20090128399A1 (en) Fused Sensor Situation Display
Le Menec et al. Cooperative allocation and guidance for air defence application
Patterson et al. Unmanned systems: an emerging threat to waterside security: bad robots are coming
KR20100033250A (ko) 함정 피격성 향상을 위한 위협세력 기만선박
KR101199449B1 (ko) 함정 전투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표적 필터링을 수행하는 지휘 통제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307272B1 (ko) 영역 방어 기반의 영역 위협평가 및 공격 시스템
KR102279590B1 (ko) 진입각을 이용하는 위협평가장치, 이를 구비하는 함정전투체계, 및 진입각을 이용한 위협평가방법
CN114275131B (zh) 一种舰艇防御方法、装置、防御辅助决策系统和存储介质
Bowden et al. Feasible scenario spaces: A new way of measuring capability impacts
Sestak The US Navy’s Loss of Command of the Seas to China and How to Regain It
KR20220122025A (ko) 근접 고속 표적에 대한 위협 평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EP4261766A2 (en) Decision support system for generating tactical recommendations relative to deterrent systems to be engaged
Dobias et al. Modeling a naval force protection scenario in MANA
Bateman Submarine Acquisition in Southeast Asia: The Dangers
Cho et al.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alysis for survivability of a surface warship from a torpedo attack
Wang et al. Smart environment effectiveness analysis of a pursuit and evasion scenario
KR20160082390A (ko) 함정전투체계의 전술금지구역 감시장치
Sauer The military rationale for AI
Work Offensive Cyber Operations and Future Littoral Operating Concepts
George et al. System of systems architecture for generic torpedo defence system for surface ships
Leong Are two subs enough? Malaysia’s small submarine force and lessons from strategic history
EP3073221B1 (en) Method for evaluating the level of thr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