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653B1 -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653B1
KR102011653B1 KR1020180023855A KR20180023855A KR102011653B1 KR 102011653 B1 KR102011653 B1 KR 102011653B1 KR 1020180023855 A KR1020180023855 A KR 1020180023855A KR 20180023855 A KR20180023855 A KR 20180023855A KR 102011653 B1 KR102011653 B1 KR 102011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r
steering apparatus
electric steering
worm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2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6Use of materials; Use of treatments of toothed members or worms to affect their 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모터축과 결합된 웜과 웜휠이 치합되어 조향축으로 조향보조력을 제공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로서, 웜휠은, 외주측에 웜과 치합되도록 산부와 골부로 이루어지는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와, 기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인서트부가 구비되되, 인서트부의 외주측에는 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삽입부는,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돌기,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함몰부, 경방향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끝단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Reducer of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실시예들은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휠의 성형성과 정밀성을 높이고 웜축으로부터 웜휠을 통해 조향축으로 고출력의 동력이 전달될 때 웜휠의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감속기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동력 보조 조향장치 중에는 모터에 의해 조향력이 조절되는 전동식 조향장치가 있으며, 이것은 차속 센서 및 조향 토크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전자 제어 장치에서 모터를 정밀하게 구동하고, 모터에서 발생한 토크가 감속기를 거쳐 조향컬럼 또는 피니언에 전달되어서 이 조향컬럼 및 피니언에 연결된 조향휠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조향력을 돕게 된다.
이에 따라, 저속 주행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 상태를 제공하고, 고속 주행시에는 무겁고 안정적인 조향 상태를 제공하며, 돌발적인 비상 상황에서는 이에 대처하여 급속한 조향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성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는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눠질 수 있는데, 주로 운전석의 조향휠과 차량 하부의 기어박스를 연결하는 조향축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조향컬럼 부위, 또는 랙바와 결합되는 피니언이 내장된 기어박스 부위 등에 모터를 구비한 감속기를 설치하고,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이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서 랙바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속기는 서로 회전하는 웜축, 웜휠, 조향축 등이 맞물려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운전자에게 직접 매우 크게 전달되고, 감속기 내부 부품의 내구성을 떨어트리거나 심한 경우에는 부품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요철이 심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바퀴로부터 랙바와 조향축을 타고 전달되는 하중이 순간적으로 증대하여 이로 인해 감속기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더욱 증대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휠의 성형성과 정밀성을 높이고 웜축으로부터 웜휠을 통해 조향축으로 고출력의 동력이 전달될 때 웜휠의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감속기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은, 모터축과 결합된 웜과 웜휠이 치합되어 조향축으로 조향보조력을 제공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로서, 웜휠은, 외주측에 웜과 치합되도록 산부와 골부로 이루어지는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와, 기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인서트부가 구비되되, 인서트부의 외주측에는 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삽입부는,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돌기,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함몰부, 경방향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끝단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휠의 성형성과 정밀성을 높이고 웜축으로부터 웜휠을 통해 조향축으로 고출력의 동력이 전달될 때 웜휠의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감속기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는 중간부에 웜(102)이 형성된 강(鋼)과 같은 금속 재질의 웜축(104)이 구비되고, 웜축(104)의 양단에는 웜베어링(106)이 각각 설치되어 웜축(104)을 지지하며, 웜축(104)과 모터축(108)이 연결되어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웜축(104)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감속기어로서 웜축(104)의 중간부에 형성된 웜(102)과 치합될 수 있도록 웜(102)의 외경 일측에는 예컨대 수지조성물로 형성되는 웜휠(114)이 구비되며, 웜휠(114)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12)에 장착되어, 모터(110)의 구동에 의한 웜축(104)의 회전력이 조향축(112)에 전달되게 된다. 웜기어 방식으로 치합되는 이들 웜휠(114)과 웜축(104)은 외부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기어 하우징(116)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미도시)가 모터(110)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110)의 구동에 의한 웜축(104)의 회전력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에 부가되어 조향축(112)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운전 상태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감속기의 웜휠(114)은 모터(110)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조향축(11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 조성물로 된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감속기는 모터(11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웜축(104)과 웜휠(114)을 매개로 전달되며, 웜축(104)과 웜휠(114)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서 감속 또는 가속되는 것으로, 웜(102)기어가 형성된 금속 재질의 웜축(104)이 구비되고, 이 웜축의 외주에 형성된 웜(102)기어와 치합될 수 있도록 웜축의 외경 일측에는 웜휠(200)이 구비된다.
이러한 감속기는 전동식 조향장치에 장착되어,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웜축(104)과 웜휠(114)이 연동되면서 조향축(112)을 회전시켜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되는데, 모터의 구동시 모터의 축(108)과 연동되는 웜축(104)의 양단에는 웜축베어링(106)이 체결되어 웜축(104)의 회전을 지지하며, 조향축(112)과 연동되는 웜휠(114)과 웜축(104)은 기어 하우징(116)에 내장된다.
한편, 운전자가 조향휠의 조작시 조향휠의 회전력을 랙바로 전달하는 조향축은 조향휠로부터 컬럼, 유니버설 조인트,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내장하는 기어박스까지 연결되어 있고, 감속기는 컬럼, 기어박스에 내장되는 조향축(또는 피니언)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으로 웜축이 회전하면 웜휠이 연동되어 회전하고, 이때 웜휠이 컬럼의 조향축 또는 기어박스의 조향축에 결합되어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된다.
여기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웜휠(200)은 외주측에 웜과 치합되도록 산부와 골부로 이루어지는 치형부(220a)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220)와, 기어부(2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인서트부(210, 240)가 구비되어 있다.
인서트부(210, 240)는 기어부(22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인서트부(210)에는 중심부에 조향축이 삽입되는 축연결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소경부(213)가 구비되고 외주측에 대경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부(210)는 기어부(220)의 내측에 위치되며, 사출 성형되는 기어부(220)와 일체로 단일사출, 이중사출, 삼중사출 등의 방법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소경부(213)와 대경부(215)를 경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17)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연결부(217)는 소경부(213) 및 대경부(215)와 축방향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인서트부(240)는 조향축이 결합되는 허브(230)의 외주면측에 내측원통부(241)가 구비되고 기어부(220)의 내주면측에 외측원통부(243)가 구비되며, 이들 내측원통부(241)와 외측원통부(243)는 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리브(245)로 연결 형성되도록, 금형에서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각각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웜휠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210, 240)의 형상과 구조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부(22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부(210, 240)의 외주측에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부(220a)의 산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50)가 구비되며, 삽입부(250)는,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돌기(251),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함몰부(251'), 경방향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끝단돌기(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부(210, 24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돌기(251)가 경방향으로 이격되며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웜과 치합되는 치형부(220a)로부터 하중(P)이 가해질 때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의 경계면을 따라 경방향의 상측과 하측으로 가해지는 변형력(D)이 발생되더라도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와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박리강도와 내구 강도가 보다 커지게 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부(210, 240)는, 끝단돌기(253)가 원주방향의 내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끝단돌기(253)의 사이에 경방향으로 함몰된 끝단함몰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치형부(220a)의 몰딩시 수지용융물이 끝단돌기(253)의 사이를 통해 끝단함몰부(255)의 내부로 충진되면서 삽입부(250)와의 견고한 결합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치형부(220a)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중(P)이 가해질 때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의 경계면을 따라 전달되는 변형력(D)이 발생되더라도 삽입부(250)와 기어부(220)와의 밀착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인서트부(210, 240)는, 끝단함몰부(255)의 내부 양측에 원주방향으로 더 함몰된 연장부(25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끝단돌기(253)를 기준으로 끝단함몰부(255)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연장부(257)의 공간으로 치형부(220a)의 수지용융물이 충진됨으로써,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의 경계면을 따라 전달되는 변형력(D)이 발생되더라도 끝단돌기(253) 부위에서의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와의 밀착력을 유지하여 박리강도와 내구 강도가 보다 커지게 되어 있다.
또한, 끝단돌기(253)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끝단돌기(253)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끝단돌기(253)와 치형부(220a)와의 경계면을 따라 전달되는 변형력(D)을 보다 잘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끝단돌기(253)는 경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끝단돌기(253)와 측면돌기(251)의 사이에는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오목부(25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259)로인해 측면돌기(251)로부터 경계면을 따라서 전달되는 변형력을 보다 잘 지탱할 수 있게 되어, 치형부(220a)와의 박리강도가 경방향 뿐만아니라 원주방향으로도 커지게 되어 고출력의 동력이 전달되어도 내구 강도를 만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부(210, 24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함몰부(251)가 경방향으로 이격되며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웜과 치합되는 치형부(220a)로부터 하중(P)이 가해질 때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의 경계면을 따라 경방향의 상측과 하측으로 가해지는 변형력(D)이 발생되더라도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와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박리강도와 내구 강도가 보다 커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함몰부(251') 중 경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측면함몰부(251a)는 내측으로 더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와의 박리강도와 내구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또한, 측면함몰부(251') 중 경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측면함몰부(251a)는 경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의 경계면을 따라 경방향의 상측과 하측으로 가해지는 변형력(D)이 발생되더라도 삽입부(250)와 치형부(220a)와의 밀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어부(220)는, 폴리아미드(PA) 6, 폴리아미드(PA) 66, 폴리아미드(PA) 46, 폴리아미드(PA) 12 중 어느 하나의 수지에, 유리섬유가 5 ~ 40 중량%로 혼합되어 형성되어, 경도와 인장강도, 신율, 굴곡강도, 고온물성 등이 향상되고 우수한 마찰특성을 갖게 되어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인서트부(210, 240)는, 폴리아미드(PA) 6, 폴리아미드(PA) 66, 폴리아미드(PA) 46, 폴리아미드(PA) 12, 폴리프탈아미드(PPA) 중 어느 하나의 수지에, 유리섬유가 40 ~ 60 중량%로 혼합되어 형성되어 기어부(220)에 비해 높은 경도와 인장강도, 굴곡강도, 고온물성 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휠의 성형성과 정밀성을 높이고 웜축으로부터 웜휠을 통해 조향축으로 고출력의 동력이 전달될 때 웜휠의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감속기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웜휠 210,240: 인서트부
220: 기어부 220a: 치형부
250: 삽입부 251: 측면돌기
253: 끝단돌기 255: 끝단함몰부
257: 연장부 259: 오목부

Claims (13)

  1. 모터축과 결합된 웜과 웜휠이 치합되어 조향축으로 조향보조력을 제공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로서,
    상기 웜휠은, 외주측에 상기 웜과 치합되도록 산부와 골부로 이루어지는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인서트부가 구비되되, 상기 인서트부의 외주측에는 상기 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는,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돌기, 원주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함몰부, 경방향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끝단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끝단돌기가 원주방향의 내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양측 끝단부에서 중심부로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끝단돌기의 내측으로 빈 공간이 구비되도록 상기 끝단돌기의 사이에 경방향과 양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끝단함몰부가 구비되며,
    상기 치형부의 몰딩시 수지용융물이 상기 끝단돌기의 사이를 통해 상기 끝단함몰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와 기어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측면돌기가 경방향으로 이격되며 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끝단함몰부의 내부 양측에 원주방향으로 더 함몰된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돌기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돌기는 경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돌기와 측면돌기의 사이에는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측면함몰부가 경방향으로 이격되며 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측면함몰부 중 경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측면함몰부가 내측으로 더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측면함몰부 중 경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측면함몰부가 경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12 중 어느 하나의 수지에, 유리섬유가 5 ~ 40 중량%로 혼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12, 폴리프탈아미드 중 어느 하나의 수지에, 유리섬유가 40 ~ 60 중량%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0180023855A 2018-02-27 2018-02-27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011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855A KR102011653B1 (ko) 2018-02-27 2018-02-27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855A KR102011653B1 (ko) 2018-02-27 2018-02-27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653B1 true KR102011653B1 (ko) 2019-08-19

Family

ID=6780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855A KR102011653B1 (ko) 2018-02-27 2018-02-27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281B1 (ko) * 2012-02-28 2012-10-19 남양공업주식회사 Mdps 웜휠
KR20170071648A (ko) * 2015-12-15 2017-06-2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281B1 (ko) * 2012-02-28 2012-10-19 남양공업주식회사 Mdps 웜휠
KR20170071648A (ko) * 2015-12-15 2017-06-2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672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0828865B1 (ko) 웜 휠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8186488B2 (en) Reduced-noise electric brake actuator
KR101450326B1 (ko) 벨트식 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20136916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30100411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웜휠 및 그 제조방법
US9371901B2 (en) Pulley structure of bel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gear
CN102410356A (zh) 蜗杆传动装置
US11396936B2 (en) Reducer of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EP3401573A1 (en) Worm wheel and worm reducer
US20190224895A1 (en) Gear, gear transmission mechanis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ear
US11225283B2 (en) Worm gear for a worm gear mechanism of a motor vehicle steering system made from fibre reinforced plastic with a targeted orientation of the fibres
KR102011653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CN108240454B (zh) 用于传动-驱动装置的驱动轮和传动-驱动装置
US20090120713A1 (en) Motor-Vehicle/Gearwheel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uxiliary Gearing, and Power Steering System Drive Gearwheel Arrangement
US11384827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polymer drive pulley
KR102324643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7079B1 (ko) 웜휠의 제조 방법
JP200733166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543217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US20220324509A1 (en) Worm wheel of steering system speed reduc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125581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410107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3261715A (zh) 用于驱动单元的轴承装置和具有轴承装置的调整驱动装置
KR100857623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