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401B1 - 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 Google Patents

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401B1
KR102011401B1 KR1020170139257A KR20170139257A KR102011401B1 KR 102011401 B1 KR102011401 B1 KR 102011401B1 KR 1020170139257 A KR1020170139257 A KR 1020170139257A KR 20170139257 A KR20170139257 A KR 20170139257A KR 102011401 B1 KR102011401 B1 KR 10201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livestock
information
animal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6093A (en
Inventor
최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to KR102017013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401B1/en
Publication of KR2019004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phys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으로, 더욱 상세히는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가축들을 한 마리, 한 마리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그 식별되는 각 가축의 사료섭취 때마다 최적의 사료량이 자동적으로 공급시켜 줄 뿐만 아니라 사료량 공급을 토대로 각 가축의 이상징후를 관리하는 가축의 사료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류식 축사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축들이 한 마리씩 입장할 수 있게 진입공간을 형성시켜주는 다수의 개별 먹이안내용 틀(100)과; 상기 개별 먹이안내용 틀(100)마다 배치되는 다수의 사료통(200)과; 상기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이송하면서, 상기 사료통(200)마다 사료를 공급하여주는 것으로, 먹이안내용 틀(100)마다 개별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정보인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생성하는 안면인식 카메라(330) 및 그 생성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및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을 식별하는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무선전송하는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와;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무선전송받아 중계전송하는 AP(400)와; 해당 가축의 귀크기, 눈위치, 코위치, 털 무늬, 입크기와 같은 안면 특성 정보가 촬영정보로 누적저장되는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해당 가축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가축별 식별코드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 해당 가축별로 출생때부터 성장하는 일정에 따른 권장 섭취 사료량을 연산한 값인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해당 가축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가축별 식별코드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를 갖고, 중계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상기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를 상기 AP(400)를 경유하여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가축관리서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는, 전송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로 이동하여 해당 사료통(200)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ivestock, and more particularly, to individually identify a large number of livestock in a mooring barn, and automatically optimizes the optimal feed amount for each feed intake of the identified livest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mptom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eed intake of livestock that manages abnormal symptoms of each livestock based on feed supply, and is installed in a mooring barn.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food guide frame 100 to form an entry space to be possible; A plurality of feed containers 200 disposed for each individual feeding guide frame 100; By feeding along the feed guide frame 100, the feed is supplied to each feed container 200, photographed individually for each feed guide frame 100, and the face portion of the livestock in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nce of the face portion of the livestock, the face recognition camera 330 for generating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hich is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generated and the feeding guide frame A separate feed member 30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including a frame guide information for feeding guide identifying 100; An AP 400 for relaying and receiving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wirelessly; Each animal's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 which the facial feature information such as ear size, eye position, nose position, fur pattern, and mouth size of the relevant animal are accumulated and stored a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which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animal,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individual animals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raised in the barn, recommended feed intake for each growth dat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for growing from birth to birth The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which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livestock, has a growth base feed amount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raised in a mooring barn, and is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that is relayed. Matching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ith the individua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to search for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searched corresponding By matching the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ndividual livestock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ith the growth basis feed volume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the recommended feed intake information for each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and the food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And a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for controlling the feed amount guidance signal for each animal including content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via the AP 400. The member 300 moves to the feed guide frame 100 based on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to be fed to the feed container 200 according to the feed container 200.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information by the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guide signal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으로, 더욱 상세히는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가축들을 한 마리, 한 마리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그 식별되는 각 가축의 사료섭취 때마다 최적의 사료량이 자동적으로 공급시켜 줄 뿐만 아니라 사료량 공급을 토대로 각 가축의 이상징후를 관리하는 가축의 사료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ivestock, and more particularly, to individually identify a large number of livestock in a mooring barn, and automatically optimizes the optimal feed amount for each feed intake of the identified livest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feed intake of the livestock, which manages the abnormal symptoms of each livestock based on the feed supply.

최근 축산물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면서, 가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various ways of managing livestock efficiently have been proposed.

종래에는 사람이 각각의 가축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 가축에 대하여 진료를 받게 하거나 따로 격리시켰다. Conventionally, a person grasps the condition of each livestock, and is treated or quarantined for the livestock showing abnormality.

그런데 가축의 사육 수가 많은 경우 모든 가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number of livestock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manpower is required to manage all the livestock.

또한, 일부 가축에 전염병이 발생하면 가축의 대부분이 폐사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가축의 이상 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some livestock infectious diseases may result in the death of most of the livestock,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livestock is abnormal.

이를 해소하고자, 인터넷을 이용한 가축사육관리 시스템(특허문헌 1 참조)이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ivestock breed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see Patent Document 1) has been proposed.

이처럼,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가축사육관리 시스템의 요지는 개별 농가의 가축사육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가축사육관리서버에 입력하고, 이를 토대로 각 농장의 사육 가축의 개체별 번식활동 성적과 도축 성적을 분석 관리함으로써 간단한 자료의 입력만으로 농장관리에 필요한 정보 및 컨설팅을 얻을 수 있으며, 누적된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전국적인 성적 집계 및 각 농장의 취약부분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안받을 수 있다. As such, the point of the conventional livestock breed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is to input the livestock breeding data of individual farmers to the livestock breeding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analyze the breeding activity and slaughter results of the individual breeding livestock of each farm based on this. By managing it, you can get the information and consulting necessary for farm management by simply inputting the data, and you can receive the national grad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vulnerable parts of each farm by analyzing the accumulated data.

그런데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가축사육관리 시스템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가축들을 개별적으로 최적량의 사료량을 공급하며, 이상징후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the conventional livestock breeding management system provides the optimum amount of feed individually for a large number of livestock breeding in mooring houses, and does not provide a system for managing abnormal symptoms. There is this.

KRKR 10-041165510-0411655 B1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가축들을 한 마리, 한 마리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그 식별되는 각 가축의 사료섭취 때마다 최적의 사료량이 자동적으로 공급시켜 줄 뿐만 아니라 사료량 공급을 토대로 각 가축의 이상징후를 관리하는 가축의 사료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a large number of livestock breeding in a mooring barn, one by one individually, the optimum for each feed intake of each identified anim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feed intake of the livestock, which not only provides the feed amount automatically but also manages the abnormal symptoms of each animal based on the feed amou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은, 계류식 축사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축들이 한 마리씩 입장할 수 있게 진입공간을 형성시켜주는 다수의 개별 먹이안내용 틀과; 상기 개별 먹이안내용 틀마다 배치되는 다수의 사료통과; 상기 먹이안내용 틀을 따라 이송하면서, 상기 사료통마다 사료를 공급하여주는 것으로, 먹이안내용 틀마다 개별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정보인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생성하는 안면인식 카메라 및 그 생성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및 해당 먹이안내용 틀을 식별하는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무선전송하는 개별 사료공급부재와;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무선전송받아 중계전송하는 AP와; 해당 가축의 귀크기, 눈위치, 코위치, 털 무늬, 입크기와 같은 안면 특성 정보가 촬영정보로 누적저장되는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해당 가축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가축별 식별코드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 해당 가축별로 출생때부터 성장하는 일정에 따른 권장 섭취 사료량을 연산한 값인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해당 가축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가축별 식별코드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를 갖고, 중계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상기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를 상기 AP를 경유하여 개별 사료공급부재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가축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는, 전송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해당 먹이안내용 틀로 이동하여 해당 사료통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in a mooring barn, forms an entry space for entry of livestock one by one A plurality of individual feeding guide frameworks; A plurality of feed passages arranged for each individual feeding guide frame; By feeding along the feeding guide frame, the feed is supplied to each feed container, and individually photographed for each feeding guide frame, and analyzes whether there is a facial part of the animal from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he facial part of the livestock Is determined, the facial recognition camera for generating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hich is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generated therein, and foo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food guide frame. A separate feeding memb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An AP receiving and relaying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wirelessly; Each animal's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 which the facial feature information such as ear size, eye position, nose position, fur pattern, and mouth size of the relevant animal are accumulated and stored a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which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animal,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animal that is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raised in the barn, and the recommended intake feed information for each growth date, which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ecommended intake according to the schedule growing from birth, and the corresponding livestock Each animal face identification code, which is an identifier, has a growth base feed amount calculation DB for each animal, which is separately stored and stored separately for each animal raised in a mooring barn, and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relayed and transmitted. Search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by matching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animal, and the retrieved corresponding individual animal By match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animal corresponding to the cotton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ith the growth base feed volume calculation DB for each livestock, the recommended feed amount information for each growing day of the livestock and the foo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And a livestock management server for controlling the feed amount feed signal for each animal to be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feed member through the AP, wherein the individual feed member is included in the feed amount feed signal for each animal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feeding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the feeding guide frame is moved to the feeding guide frame so that the feed volume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rowth date of the corresponding livestock is supplied to the feeder. Function to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에는, 내부에 가축의 사료가 적재되고, 토출구를 통해 상기 사료통에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본체와; 상기 사료공급본체를 상기 먹이안내용 틀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전송되도록 제어하고,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전송되는 상기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송부재를 이송제어하여, 상기 사료공급본체가 해당 먹이안내용 틀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료공급본체의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해당 사료통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이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the feed of the livestock is loaded therein, the feed supply body for feeding the fe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conveying member for conveying the feed body along the feeding guide frame;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transfer member based on th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for feeding guide amo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amount feed signal for each livestock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y controlling the feed, the feed supply body is controlled to be transported to the feeding guide frame, and in the state that the discharge port of the feed supply body is controlled to open to the feed container of the corresponding animal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amount of feed for each animal in the feed contain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for each growth date.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축관리서버에는, 안면식별엔진; 및 섭취량 연산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섭취량 연산엔진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해당 가축별로 출생 때부터 성장하는 일정에 따른 권장 섭취 사료량을 연산하고, 그 연산한 값인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를 상기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에 누적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안면식별엔진은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며, 상기 안면식별엔진과 연동하는 상기 섭취량 연산엔진은 추출된 상기 가축별 식별코드를 상기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In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And an intake calculation engine; wherein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calculates a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according to a schedule growing from birth for each livestock for each predetermined cycle, and calculates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by growth date, which is the calculated value. It is controlled to accumulate and store in the growth basis feed amount calculation DB for each livestock, and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matches the individual livestock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with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livestock, Search identific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extract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linked with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extracts the extracted animal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Recommend feed intake information according to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according to the growth base feed amount calculation DB and request the automatic feeding Controls the generation of the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including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축관리서버에는,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 및 이상징후 판별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식별엔진은, 중계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의 해당 가축별로 구분하여 누적저장하며, 상기 이상징후 판별엔진은,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에 직전의 사료공급 시간 때에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가 누적저장되지 않은 가축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가축별 식별코드 및 해당 가축이 사료 섭취를 하지 않았다는 정보인 사료 불섭취 정보를 상기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에 가축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In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livestock specific symptoms information DB; And an abnormal symptom discrimination engine, wherein the facial identification engine accumulates and stores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that is relayed for each individual animal i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animal. The abnormal symptom discrimination engine may identify the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of the livestock and the corresponding livestock when the livestock for which the individual livestock facial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not accumulated and stored at the time of feeding of the previous anim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is present. The feed intak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that the feed was not ingested, is controlled to be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in the abnormal symptoms detail information DB for each livestock.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에는 해당 계류식 축사를 운영하는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관리되고, 축산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축산업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징후 판별엔진은, 상기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에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불섭취 안내신호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에서 저장관리되는 해당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축산업자 단말기로 통보되도록 제어한다. In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livestock farmers operating the mooring barn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livestock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and the livestock farmer owned by the livestock farmer And the terminal, wherein the abnormal symptom discrimination engine extracts the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from the livestock abnormality symptom detail information DB, and includes the extracted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The feed ingestion guide signal is controlled to be notified to the animal husbandry terminal by referring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animal husbandry stored and managed i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animal.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가축들을 한 마리, 한 마리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그 식별되는 각 가축의 사료섭취 때마다 최적의 사료량이 자동적으로 공급시켜 줄 뿐만 아니라 사료량 공급을 토대로 각 가축의 이상징후를 관리하는 과정은, 개별 사료공급부재에서, 기설정된 사료공급시간이 되면, 계류식 축사에 설치된 먹이안내용 틀을 따라 이송하면서, 해당 먹이안내용 틀과 연계되는 사료통마다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전체 가축들 중에서 가장 작은 사료량을 먹는 가축보다 작은 양에 해당하는 기준급식량을 각각 공급하는 단계와; 안면인식 카메라에서, 먹이안내용 틀마다 개별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정보인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에서, 생성된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및 해당 먹이안내용 틀을 식별하는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전송하는 단계와; AP에서, 무선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중계전송하는 단계와; 가축관리서버에서, 안면식별엔진을 운영하여,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가축관리서버에서, 섭취량 연산엔진을 운영하여, 추출된 상기 가축별 식별코드를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AP를 경유하여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에서, 전송되는 상기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해당 먹이안내용 틀로 이동하여 해당 사료통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Using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individual livestock in a mooring barn are identified individually and optimally for each ingested feed of the identified livestock. The process of managing the abnormal symptoms of each livestock based on the feeding amount,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feeding amount automatically, provides a feeding guide frame installed in the mooring barn when the feeding time is set in the individual feeding element. Supplying a standard feeding amount corresponding to a smaller amount than the ones eating the smallest feed amount among all the livestock raised in the mooring barn for each feed bin associated with the feeding guide frame; In the face recognition camera, each animal is photographed individually for each feeding guide frame,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animal is analyz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information; Generating, by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an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a feeding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corresponding feeding guide fram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same; Relaying, by the AP,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In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is operated to match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with the individua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animal, and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Extract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is operated to match the extracted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growth basis feed volume calculation DB for each livestock and include it in the recommended intake feed information for each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and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Generating a feed amount feed signal for each livestock including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feed amount to the individual feed member via the AP; In the individual feed member, based on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transmitted to the feed guide frame included in the feed amount feed signal for each animal in the feed container Supplying a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for each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of the information; consists of.

본 발명에 따르면,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가축들을 한 마리, 한 마리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그 식별되는 각 가축의 사료섭취 때마다 최적의 사료량을 자동적으로 공급시켜 줄 뿐만 아니라 사료량 공급을 토대로 각 가축의 이상징후를 관리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livestock animals raised in a mooring barn are individually identified, and each animal is automatically fed with an optimum amount of feed at each feed intake. Based on this, it manages the abnormal symptoms of each animal.

또한, 본 발명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고 있는 소들이 사료공급시간 때, 보다 신속하게 먹이안내용 틀로 입장할 수 있도록 계류식 축사에 설치된 먹이안내용 틀을 따라 이송하면서, 해당 먹이안내용 틀과 연계되는 사료통마다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전체 가축들 중에서 가장 작은 사료량을 먹는 가축보다 작은 양에 해당하는 기준급식량을 일괄적으로, 공급한 상태에서 먹이안내용 틀을 따라 소가 입장하면, 해당 소를 식별하여 제공되는 해당 소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에서 상기 기준급식량을 제한 사료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료섭취시간을 단축될 수 있게 유도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ported along the feeding guide frame installed in the mooring barn so that the cows being raised in the mooring barn can be entered into the feeding guide frame more quickly when feeding time, If the cows enter the feed guide frame while supplying the standard feeding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maller amount than the ones eating the smallest of the total livestock raised in the mooring barn, The effect of inducing a shorter feed intake tim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tandard feed amount to be supplied with a limited feed amount from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by growth date corresponding to the cow's growth dat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개별 사료공급부재를 나타낸 요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개별 사료공급부재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가축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가축들을 한 마리, 한 마리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그 식별되는 각 가축의 사료섭취 때마다 최적의 사료량이 자동적으로 공급시켜 줄 뿐만 아니라 사료량 공급을 토대로 각 가축의 이상징후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an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component of the individual feeding element in the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of the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vestock management server of the configuration constituting an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rge number of livestock animals raised in a mooring barn, individually and using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eed intake of each identified livestock It is a flow chart describing the process of managing the abnormal symptoms of each animal based on the feeding amount as well as automatically supplying the optimum amount of feed every tim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which will be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expl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ppreciate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s of the structures and devices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가축이라 함은 집에서 기르는 짐승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를 예로 설명하겠으나, 소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 말 또는 돼지 등 다양한 동물에 적용될 수 있다. Also, livestock is a domestic anim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w, but is not limited to cows,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nimals, such as cattle, horses or pi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먹이안내용 틀(100), 사료통(200), 개별 사료공급부재(300), AP(400) 및 가축관리서버(5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is largely the feeding guide frame 100, feed container 200, individual feed member 300, AP 400 And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먼저, 먹이안내용 틀(100)은 계류식 축사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축들이 한 마리씩 입장할 수 있게 진입공간을 형성시켜주는 부재로서, 계류식 축사의 크기에 따라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 정도로 설치제공될 수 있으며, 그 형상도 일자 형상 또는 U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feeding guide frame 100 is installed in a mooring barn, a member forming an entry space for entry of livestock one by on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ooring barn, at least tens to many hundreds. Installation may be provided to a degree, the shape may also be arrang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straight or U-shape.

상기 사료통(200)은 개별 먹이안내용 틀(100)마다 개별적으로 배치 제공됨으로써, 소의 성장일정에 따른 최적의 사료량을 해당 소가 섭취할 수 있게 제공한다. The feed container 200 is provided individually arranged for each individual food guide frame 100, thereby providing the optimum amount of feed according to the growth schedule of the cow can be ingested.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는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이송하면서, 사료통(200)마다 사료를 공급하여주는 것으로, 먹이안내용 틀(100)마다 개별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정보인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생성하는 안면인식 카메라(330) 및 그 생성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및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을 식별하는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무선전송하는 부재로서, 후술되는 가축관리서버(500)와 사물지능통신을 수행한다.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is to supply the feed for each feed container 200 while transporting along the food guide frame 100, individually photographed for each food guide frame 100, the photographed image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face part of the animal from the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ace part of the animal, the face recognition camera 330 for generating individual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face recognition of the individual face As a member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and the foo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food guide frame 100, and performs the intelligent communication with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to be described later.

이처럼,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와 가축관리서버(500)간에 적용되는 사물지능통신은 국제적으로 다소 상이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전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ETSI), IoT(Internet of Things, ITU-T),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등으로 용어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에 대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ㅇ방송ㅇ인터넷 인프라를 인간 대 사물, 사물대 사물 간 영역으로 확대ㅇ연계하여 사물을 통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여 상호 전달하는 서비스'로 정의하였다. 협의의 의미로는 기계 간 통신 및 사람이 작동하는 장치와 기계 간 통신을 의미하지만, 광의의 의미로는 통신과 ICT 기술을 결합하여 원격지의 사물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시스템, 단말기 등 제반 모든 솔루션(Solution)을 의미한다.As such, the IoT communication between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and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is defined somewhat differently internationally, but overall, M2M (Machine to Machine, ETSI), IoT (Internet of Things, ITU-) T),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3GPP), etc. terms are defined. With regard to such intelligent communication,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extends the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nternet infrastructure to the areas of human-to-object and object-to-object, and intelligently collects, processes, processes and delivers information through things. Defined as'. In the sense of negotiation, it means communication between machines and human-operated device and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but in a broad sense, it is possible to combine communication and ICT technology to check infrastructure information, system, terminal, etc. Means a solution.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의 주요 응용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서비스로는 모바일오피스, [0022] 홈서비스, 헬스서비스, 차량서비스, 결제, 물류관리, 보안 등이며, 타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하다.Such, the services that are spotlighted as the main application field of IoT communication is mobile office, home service, health service, vehicle service, payment, logistics management, security, etc., a new business model through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It can be created.

이러한 사물지능통신은 세계적으로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스마트워크(Smart Work) 등과 함께 각국의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이다. 즉, 세계 주요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와 서비스 개발 인프라 구축을 서두르고 있으며, 특히, 사물지능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그린IT, 텔레매틱스, 위치기반서비스, 원격검침, 물류관리 분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Such IoT communication is a key policy for fostering new growth engines in each country along with Smart Grid, Cloud Computing, and Smart Work. In other words, the world's major governments and global companies are rushing to build an aggressive investment and service development infrastructure, and in particular, are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IoT technology and services to green IT, telematics, location-based services, remote meter reading, and logistics management.

국내에서 일부 제공되고 있는 사물지능 통신 서비스로는 카드결제기, 교통 시스템, 원격검침, 스마트 그리드 및 기상관제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자동차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지능통신 기반의 융합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객체(장치)와 객체(장치) 간의 M2M 통신을 위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필요로 한다.Some intelligent communication services provided in Korea include card payment machines, transportation systems, remote meter reading, smart grids, and weather control systems. In addition, various services for intelligent cars are being developed through convergence with the automotive industry. As the convergence service based on the IoT is diversifi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ramework for providing an optimal service for M2M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device) and an object (device).

이처럼, 사물지능통신을 본 발명의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에 적용시킨 주된 이유는 다양한 각도에서 매번 사료공급시간 때마다 촬영한 영상정보를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소들을 한 마리, 한 마리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이상징후까지 모니터링 하기 위함이다.  As such, the main reason for applying the intelligent communication to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the image information taken every time feeding time from various angles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breeding in mooring barn This is to identify a large number of cows individually, one to individual, and to monitor abnormal symptoms.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의 구성에는 내부에 가축의 사료가 적재되고, 토출구(311)를 통해 사료통(200)에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본체(310), 사료공급본체(310)를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20) 및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무선통신부(340)를 통해 무선전송되도록 제어하고, 무선통신부(340)를 통해 무선전송되는 상기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이송부재(320)를 이송제어하여, 사료공급본체(310)가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며, 사료공급본체(310)의 토출구(311)가 개방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해당 사료통(200)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이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50)가 구비되어진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to perform such a function, the feed of the livestock is loaded therein, and the feeder main body 310 to feed the feed container 2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1, the feeder main body The transport member 320 and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for transferring the 310 along the food guide frame 100 is controlled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0, and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0.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livestock is transported and controlled based on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so that the feed supply body 310 is transported to the feed guide frame (100) In the controlled state, so that the discharge port 311 of the feed supply body 310 is opened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of the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feed to the feed container 200 Corresponding feed volume discharged A control unit 350 for controlling so as to be equipped.

여기서, 안면인식 카메라(330)는 상하좌우, 전방위 각도로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는 조작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acial recognition camera 3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peration means for guiding to move at an angle of up and down, left and right.

또한, 이송부재(320)는 레일방식이나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컨베이어벨트 방식, 랙엔피니언을 포함하는 기어방식 등 다양한 이송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veying member 320 may be used by applying various conveying methods such as a rail method or a gear method including a rack belt and a pin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상기 AP(400)는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로부터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무선전송받고, 그 전송된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후술되는 가축관리서버(500) 중계전송하는 부재로서, 유선 랜과 무선 랜을 연결시켜주는 독립적인 장치이다. The AP 400 is a member that wirelessly receives the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from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and relays the transmitted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to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an independent device that connects.

한편,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와 AP(400) 간의 무선통신방식은 무선랜(WiFi)모듈, 적외선 통신이 수행되는 IR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IEEE802.11 모듈 등 다양한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IEEE802.11 모듈이 적용될 경우 2.4GHz 내지 5GHz 범위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도약(hopping), QoS(Quality for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프로토콜 호환, 보안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제공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and the AP 400 may be applied to a variety of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a wireless LAN (WiFi) module, IR module, infrared module, Bluetooth module or IEEE802.11 module, In particular, when the IEEE802.11 module is applied, frequency hopping, quality for service (QoS) enhancement, access point (AP) protocol compatibility, and security enhancement using frequencies in the range of 2.4 GHz to 5 GHz ), Radio resource measurement, 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fast roaming, mesh network, 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Standards for a variety of technologies, including wireless network management.

상기 가축관리서버(500)는 해당 가축의 귀크기, 눈위치, 코위치, 털 무늬, 입크기와 같은 안면 특성 정보가 촬영정보로 누적저장되는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해당 가축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가축별 식별코드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 해당 가축별로 출생때부터 성장하는 일정에 따른 권장 섭취 사료량을 연산한 값인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해당 가축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가축별 식별코드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를 갖고, 중계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상기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를 상기 AP(400)를 경유하여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부재이다.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is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 which facial feature information such as ear size, eye position, nose position, fur pattern, and mouth size of the livestock is stored and stored as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livestock.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which is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raised in a mooring bar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ecommended amount of ingested feed according to the schedule growing from birth for each livestock. Animal fe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recommended intake feed information by day,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livestock, is separately transmitted and stored for each livestock raised in a mooring barn.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is matched with the individua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and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obtained. Search and match the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ndividual livestock facial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ith the livestock growth foundation feed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and recommend the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and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of the corresponding livestock. It is a member for controlling the feed amount feed signal for each animal including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via the AP (400).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가축관리서버(500)의 세부구성으로, DB부(510), 안면식별엔진(520) 및 섭취량 연산엔진(530)을 포함한다. As suc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to perform a function, including a DB unit 510,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and intake calculation engine 530.

DB부(510)는 앞에서도 언급한,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 및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를 포함한다. The DB unit 510 includes the above-mentioned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livestock and growth base feed amount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후술되는 안면식별엔진(520)과 연동하는 상기 섭취량 연산엔진(530)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해당 가축별로 출생 때부터 성장하는 일정에 따른 권장 섭취 사료량을 연산하고, 그 연산한 값인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를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에 누적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530 linked to the facial identification engine 520 to be described later, calculates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according to the schedule growing from birth for each livestock for each predetermined cycle, recommended by the growth date that is the calculated value It performs a function to control the cumulative storage of the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in the growth basis feed amount calculation DB 512 for each animal.

상기 안면식별엔진(520)은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searches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by matching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with the individua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and retrieves the corresponding individual animal face. Extracts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corresponding to facial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안면식별엔진(520)과 연동하는 섭취량 연산엔진(530)은 추출된 가축별 식별코드를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530 interworking with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matches the extracted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growth base feed volume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and recommends feed intake information and automatic feeding for each livestock growth date. It performs a function to control the generation of the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including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signal.

이를 통해,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는, 전송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로 이동하여 해당 사료통(200)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rough this,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is moved to the feed guide frame 100 based on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transmitted to the feed container 200 It controls to supply the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information by the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feed amount guide for each livestock.

한편,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고 있는 소들이 사료공급시간 때, 보다 신속하게 먹이안내용 틀(100)로 입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각 소마다 성장일자에 따른 최적의 사료량이 제공될 수 있도록 계류식 축사에 설치된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이송하면서,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과 연계되는 사료통(200)마다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전체 가축들 중에서 가장 작은 사료량을 먹는 가축보다 작은 양에 해당하는 기준급식량을 일괄적으로, 공급한 상태에서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소가 입장하면, 해당 소를 식별하여 제공되는 해당 소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에서 상기 기준급식량을 제한 사료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ws being raised in the mooring barn are induced to enter the feeding guide frame 100 more quickly at the feeding time, Mooring for each feed bin 200 associated with the feed guide frame 100, while transported along the feed guide frame 100 installed in the mooring barn so that the optimum amount of feed according to the growth date for each cow is provided. If the cow enters along the feeding guide frame 100 while supplying a standard amount of food corresponding to a smaller amount than the animal that eats the smallest feed of all livestock raised in the barn, the cow is identified. To control the standard feed amount from the recommended feed amount by growth date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feed amount information for the growth date of the cow provided to control the limited feed amount It also functions.

또한,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사료공급시간 때마다 공급되는 사료를 기반으로,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소들의 이상징후도 감지할 수 있고, 이상징후가 감지된 소가 존재하면 이를 축산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bnormal symptoms of cattle raised in the mooring barn, based on the feed supplied at each feeding time, abnormal symptoms are detected If the cattle are present, they are provided to the livestock producers.

이를 위해, 가축관리서버(500)에는,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 이상징후 판별엔진(540) 및 축산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축산업자 단말기(600)를 더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further includes a livestock abnormality symptom detail information DB 513, abnormality symptom determination engine 540, and a livestock farmer terminal 600 possessed by the livestock industry.

이를 통해, 안면식별엔진(520)은 중계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의 해당 가축별로 구분하여 누적저장한다.Through this, the facial identification engine 520 accumulates and stores the individual livestock facial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relayed for each corresponding livestock of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livestock.

또한,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는 해당 계류식 축사를 운영하는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관리되어 진다.In additio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is stored and managed contact information of the livestock farmers operating the mooring barn.

그리고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은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 직전의 사료공급 시간 때에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가 누적저장되지 않은 가축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가축별 식별코드 및 해당 가축이 사료 섭취를 하지 않았다는 정보인 사료 불섭취 정보를 상기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에 가축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bnormal symptom discrimination engine 540 may identify the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of the livestock when the livestock for which the individual livestock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not accumulated and stored at the time of feeding of the previous anim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is present. I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store the food intake intake information that is the information that the livestock did not eat the feed is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livestock in the abnormal symptoms history information DB (513) for each livestock.

이와 함께,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은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에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불섭취 안내신호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서 저장관리되는 해당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축산업자 단말기(600)로 통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abnormal symptoms determination engine 540 extract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for each animal from the abnormal symptoms history information DB 513 for each animal, and includes the extracted animal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The feed intake intake guide signal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be notified to the animal husbandry terminal 600 by referring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animal husbandry stored and managed i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하는 대량의 가축들을 한 마리, 한 마리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그 식별되는 각 가축의 사료섭취 때마다 최적의 사료량이 자동적으로 공급시켜 줄 뿐만 아니라 사료량 공급을 토대로 각 가축의 이상징후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such, using the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livestock raised in a mooring barn are individually identified, and each of the identified livestock Referring to FIG. 5, the process of managing the abnormal symptoms of each livestock based on the feed amount as well as automatically supplying the optimum amount of feed each time feed intake is as follows.

먼저,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는 기설정된 사료공급시간이 되면, 계류식 축사에 설치된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이송하면서,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과 연계되는 사료통(200)마다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전체 가축들 중에서 가장 작은 사료량을 먹는 가축보다 작은 양에 해당하는 기준급식량을 각각 공급(S100)하여, 소들이 신속하게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입장할 수 있게 유도한다. First, when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is a predetermined feeding time, while feeding along the feeding guide frame 100 installed in the mooring barn, the feed container 200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feeding guide frame 100 Each of the standard cattle feeds corresponding to a smaller amount than the cattle eating the smallest of the total livestock raised in the mooring barn each (S100), so that the cows can quickly enter the food guide frame (100) To induce.

이후, 이송부재(320)를 따라 이송되는 사료공급본체(310)의 상측에 설치된 안면인식 카메라(330)는 먹이안내용 틀(100)마다 개별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정보인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생성(S200)한다. Then, the face recognition camera 33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eed body 310 to be transported along the conveying member 320 is taken individually for each feeding guide frame 100, the face of the livestock in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te exist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acial part of the livestock, and generates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that is the corresponding video information (S200).

이후,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의 제어부(350)는 생성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및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을 식별하는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전송(S300)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350 of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generates an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individu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feeding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feeding guide frame 100. And, this is wireless transmission (S300).

AP(400)는 무선전송되는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가축관리서버(500)로 중계전송(S400)한다. AP 400 relays the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S400).

가축관리서버(500)는 안면식별엔진(520)을 운영하여,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추출(S500)한다.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operates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to match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with the individua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Search for, and extracts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S500).

한편, 안면식별엔진(520)은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의 해당 가축별로 구분하여 누적저장 되도록 제어하여, 향후 해당 소의 식별자료로 이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acial identification engine 520 controls the individual livestock facial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to be stored by accumulating separately by the corresponding livestock of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livestock, as an identifier of the cattle I use it.

또한, 가축관리서버(500)는 섭취량 연산엔진(530)을 운영하여, 추출된 가축별 식별코드를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AP(400)를 경유하여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로 전송(S600)한다. In addition,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operates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530, matching the extracted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livestock growth base feed volume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the recommended intake feed information by the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And generating a feed amount feed signal for each animal including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feed amount guide signal to each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via the AP 400 (S600).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는 전송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로 이동하여 해당 사료통(200)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을 공급(S700)하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에서 상기 기준급식량을 제한 사료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moves to the feed guide frame 100 based on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to be supplied to the feed container 200 by feed. The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amo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 amount guidance signal is supplied (S700), but the above mentioned in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by the growth date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information by growth date Feeding is controlled to limit the amount of feed.

한편, 가축관리서버(500)는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을 운영하여,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 직전의 사료공급 시간 때에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가 누적저장되지 않은 가축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가축별 식별코드 및 해당 가축이 사료 섭취를 하지 않았다는 정보인 사료 불섭취 정보를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에 가축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operates the abnormal symptom discrimination engine 540, the livestock for which the individual livestock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not accumulated and stored at the time of feeding immediately before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livestock. If present, the animal identification code of the livestock and the feed intake information, that is, the information that the livestock did not ingest the feed, are controlled to be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in the abnormal symptom detail information DB 513 for each livestock.

이와 더불어,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은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에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불섭취 안내신호를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서 저장관리되는 해당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축산업자 단말기(600)로 통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상징후가 감지된 소를 축산업자가 신속하게 인지하여 대처할 수 있게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abnormal symptoms determination engine 540 extract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for each animal from the abnormal symptoms history information DB 513 for each animal, and includes the extracted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feed ingestion guide signal to be informed to the animal husbandry terminal 600 by referring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animal husbandry stored and managed in the anim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the animal producer promptly identifies the cow whose abnormal symptoms are detected. To be aware of and to cope with.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검사용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The apparatus for inspecting a cei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 technical spirit is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0 : 개별 먹이안내용 틀 200 : 사료통
300 : 개별 사료공급부재 310 : 사료공급본체
311 : 토출구 320 : 이송부재
330 : 안면인식 카메라 340 : 무선통신부
350 : 제어부 400 : AP
500 : 가축관리서버 510 : DB부
511 :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
512 :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
513 :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
520 : 안면식별엔진 530 : 섭취량 연산엔진
540 : 이상징후 판별엔진 600 : 축산업자 단말기
100: individual feeding guide frame 200: feed container
300: individual feeding member 310: feeding member
311 discharge port 320 conveying member
330: facial recognition camera 34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50: control unit 400: AP
500: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10: DB Division
511: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animal
512: DB calculation based on livestock feed volume
513: DB abnormality history information by animal
520: face identification engine 530: intake calculation engine
540: abnormal symptoms discrimination engine 600: livestock producer terminal

Claims (11)

계류식 축사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축들이 한 마리씩 입장할 수 있게 진입공간을 형성시켜주는 다수의 개별 먹이안내용 틀(100)과;
상기 개별 먹이안내용 틀(100)마다 배치되는 다수의 사료통(200)과;
상기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이송하면서, 상기 사료통(200)마다 사료를 공급하여주는 것으로, 먹이안내용 틀(100)마다 개별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정보인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생성하는 안면인식 카메라(330) 및 그 생성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및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을 식별하는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무선전송하는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와;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무선전송받아 중계전송하는 AP(400)와;
해당 가축의 귀크기, 눈위치, 코위치, 털 무늬, 입크기와 같은 안면 특성 정보가 촬영정보로 누적저장되는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해당 가축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가축별 식별코드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 해당 가축별로 출생때부터 성장하는 일정에 따른 권장 섭취 사료량을 연산한 값인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해당 가축을 식별하는 식별자인 가축별 식별코드가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를 갖고, 중계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상기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를 상기 AP(400)를 경유하여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가축관리서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는, 전송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로 이동하여 해당 사료통(200)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축관리서버(500)에는, 안면식별엔진(520); 및 섭취량 연산엔진(530);을 포함하고, 상기 섭취량 연산엔진(530)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해당 가축별로 출생 때부터 성장하는 일정에 따른 권장 섭취 사료량을 연산하고, 그 연산한 값인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를 상기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에 누적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안면식별엔진(520)은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며, 상기 안면식별엔진(520)과 연동하는 상기 섭취량 연산엔진(530)은 추출된 상기 가축별 식별코드를 상기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가축관리서버(500)에는,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 및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식별엔진(520)은, 중계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의 해당 가축별로 구분하여 누적저장하며, 상기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은,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 직전의 사료공급 시간 때에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가 누적저장되지 않은 가축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가축별 식별코드 및 해당 가축이 사료 섭취를 하지 않았다는 정보인 사료 불섭취 정보를 상기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에 가축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It is installed in a mooring barn, a plurality of individual food guide frame 100 to form an entry space for entry of livestock one by one;
A plurality of feed containers 200 disposed for each individual feeding guide frame 100;
By feeding along the feed guide frame 100, the feed is supplied to each feed container 200, photographed individually for each feed guide frame 100, and the face portion of the livestock in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nce of the face portion of the livestock, the face recognition camera 330 for generating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hich is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generated and the feeding guide frame A separate feed member 30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including a frame guide information for feeding guide identifying 100;
An AP 400 for relaying and receiving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wirelessly;
Each animal's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 which the faci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ear size, eye position, nose position, fur pattern, and mouth size of the relevant animal are accumulated and stored a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which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relevant animal, is held.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individual animals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raised in the barn, recommended feed intake for each growth dat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for growing from birth to birth The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which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livestock, has a growth base feed amount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raised in a mooring barn, and is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that is relayed. Matching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ith the individua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to search for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searched corresponding By matching the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ndividual livestock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with the growth basis feed volume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the recommended feed intake information for each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and the food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Includes a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for controlling the feed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containing the content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via the AP (400),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is moved to the feed guide frame 100 based on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to be transmitted to the feed container 200 Control the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information by the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feed,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And an intake calculation engine 530, wherein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530 calculates a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according to a schedule growing from birth for each livestock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for each growth date that is the calculated value.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growth basis feed amount calculation DB 512 for each animal, and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receives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Search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by matching the individual object recognition information DB (511), extracts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and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530 interlocks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livestock with the growth-based feed amount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and recommends the recommended intake for each growing date of the livestock. Information, and controls such that the livestock feed by feed amount signal generation instructions to include a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 automatically feeds the request signal,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livestock abnormality symptoms information DB (513); And an abnormal symptom discrimination engine 540, wherein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is configured to recogniz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relayed and transmitted by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Cumulative storage by the corresponding livestock of the), and the abnormal symptoms determination engine 540,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not accumulated and stored at the time of feeding immediately before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livestock If there is a livestock,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livestock of the livestock and the feed intake information, that is, the information that the livestock did not eat the fe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be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in the abnormal symptoms history information DB (513) for each livestock An abnormal symptom monitoring system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에는, 내부에 가축의 사료가 적재되고, 토출구(311)를 통해 상기 사료통(200)에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본체(310)와;
상기 사료공급본체(310)를 상기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20)와;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무선통신부(340)를 통해 무선전송되도록 제어하고, 무선통신부(340)를 통해 무선전송되는 상기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송부재(320)를 이송제어하여, 상기 사료공급본체(310)가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료공급본체(310)의 토출구(311)가 개방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해당 사료통(200)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이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the feed of the livestock is loaded therein, the feed supply body 310 for supplying the feed to the feed container 2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1;
A conveying member 320 for conveying the feed body 310 along the feeding guide frame 100;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0, and the information of the frame guide information for feeding guide amo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amount feed signal for each animal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0 By controlling the transfer member 320 based on the transfer, the feed main body 310 is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to the feeding guide frame 100, so that the discharge port 311 of the feed main body 310 is opened. And a control unit 350 for controlling the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for each growth date of the corresponding livestock out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 amount feed guide for each animal in the feed container 200 in a controlled state. An anomaly monitoring system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는 해당 계류식 축사를 운영하는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관리되고,
축산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축산업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은, 상기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에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불섭취 안내신호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서 저장관리되는 해당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축산업자 단말기(600)로 통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livestock stores and manages contact information of livestock farmers operating the mooring barn,
Includes; Livestock farmer terminal 600 possessed by the livestock industry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engine 540 extract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for each animal from the abnormal symptoms history information DB 513 for each animal, and includes the extracted animal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 intake guide signal is controlled to be notified to the animal husbandry terminal 600 with reference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animal husbandry stored and managed i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Anomaly Monitoring System.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에서, 기설정된 사료공급시간이 되면, 계류식 축사에 설치된 먹이안내용 틀(100)을 따라 이송하면서,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과 연계되는 사료통(200)마다 계류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전체 가축들 중에서 가장 작은 사료량을 먹는 가축보다 작은 양에 해당하는 기준급식량을 각각 공급하는 단계(S100);와
안면인식 카메라(330)에서, 먹이안내용 틀(100)마다 개별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하는지 분석하고, 가축의 안면부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정보인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와;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에서, 생성된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 및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을 식별하는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전송하는 단계(S300)와;
AP(400)에서, 무선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를 중계전송하는 단계(S400)와;
가축관리서버(500)에서, 안면식별엔진(520)을 운영하여,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가축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단계(S500)와;
상기 가축관리서버(500)에서, 섭취량 연산엔진(530)을 운영하여, 추출된 상기 가축별 식별코드를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512)와 매칭하여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 및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포함하는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AP(400)를 경유하여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로 전송하는 단계(S600)와;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300)에서, 전송되는 상기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먹이안내용 틀 식별자정보를 토대로 해당 먹이안내용 틀(100)로 이동하여 해당 사료통(200)에 가축별 공급 사료량 안내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가축의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대응하는 사료량을 공급하는 단계(S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방법.
In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when the predetermined feeding time is transferred, while feeding along the feeding guide frame 100 installed in the mooring barn, every feed container 200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feeding guide frame 100 Supplying a standard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a smaller amount than the cattle eating the smallest of the total amount of livestock raised in the mooring barn (S100); And
In the facial recognition camera 330, and photographed individually for each food guide frame 100, and analyzed whether the facial portion of the livestock from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ial portion of the livestock,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S200);
In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generates an automatic feed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individu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feed guide frame 100, and wireless transmission Step (S300);
In step (400), the AP 400 relays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In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by operating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by matching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with the individual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Searching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extracting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animal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S500);
In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operating the intake calculation engine 530, matching the extracted livestock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livestock growth basis feed amount calculation DB 512 for each livestock recommended intake feed for each growth date of the livestock Generating a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livestock including information and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feed amount guide signal to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via the AP 400; Step S600;
In the individual feed member 300, based on the feed guide fram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eed feed amount guide signal for each animal transmitted to the feed guide frame 100 to the corresponding feed container 200 Supplying a feed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attle growth dat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 feed amount for each livestock (S700); abnormality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How to monitor your symptoms.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료공급부재(300)는 상기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 정보에 해당하는 성장일자별 권장 섭취사료량에서 상기 기준급식량을 제한 사료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individual feeding member 300 is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standard feed amount to supply a limited feed amount from the recommended intake feed amount by growth date corresponding to the recommended growth intake information for each growth date Abnormal signs monitoring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식별엔진(520)은, 중계전송되는 상기 자동급식 요청신호에 포함된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의 해당 가축별로 구분하여 누적저장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face identification engine 520 controls the individual animal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omatic feeding request signal to be relayed and stored separately for each animal i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Method for monitoring abnormal signs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관리서버(500)에서,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을 운영하여,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 직전의 사료공급 시간 때에 상기 개별 가축안면인식 촬영정보가 누적저장되지 않은 가축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가축별 식별코드 및 해당 가축이 사료 섭취를 하지 않았다는 정보인 사료 불섭취 정보를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에 가축별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500 operates the abnormal symptom discrimination engine 540, and the livestock for which the individual livestock face recogni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is not accumulated and stored at the time of feeding the animal immediately before the livestock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If there is an animal identification code of the livestock and the feed intake information, that is, the information that the livestock did not eat the fe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be stored separately for each livestock in the abnormal symptoms history information DB (513) for each livestock Abnormal signs monitoring method based on livestock food intak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는 해당 계류식 축사를 운영하는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관리되고,
축산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축산업자 단말기(600);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징후 판별엔진(540)은, 상기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513)에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가축별 식별코드 및 사료 불섭취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불섭취 안내신호를 상기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511)에서 저장관리되는 해당 축산업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축산업자 단말기(600)로 통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livestock stores and manages contact information of livestock farmers operating the mooring barn,
Includes; Livestock farmer terminal 600 possessed by the livestock industry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engine 540 extract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for each animal from the abnormal symptoms history information DB 513 for each animal, and includes the extracted animal identification code and feed intake information. Based on the food intake of the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 intake guide signal is controlled to be notified to the animal husbandry terminal 600 with reference to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animal husbandry stored and managed i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B (511) for each animal Abnormal signs monitoring method.
KR1020170139257A 2017-10-25 2017-10-25 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KR102011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57A KR102011401B1 (en) 2017-10-25 2017-10-25 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57A KR102011401B1 (en) 2017-10-25 2017-10-25 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93A KR20190046093A (en) 2019-05-07
KR102011401B1 true KR102011401B1 (en) 2019-08-16

Family

ID=6665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257A KR102011401B1 (en) 2017-10-25 2017-10-25 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40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489B1 (en) * 2020-09-21 2021-02-08 박상일 Food supply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livestock information
KR102467759B1 (en) 2022-03-25 2022-11-21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Manufacturing method of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D corona virus
KR102470326B1 (en) 2022-08-09 2022-11-25 주식회사 안심엘피씨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monitoring growth status of livestock to improve breeding eff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588B1 (en) * 2020-05-18 2022-08-12 주식회사 노타 System for animal object recognition, meal amount recording, and catering control using deep learning-based face recognition
KR102641233B1 (en) * 2020-12-18 2024-02-27 라온피플 주식회사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ivestock based on food intake image of livestock
KR102575035B1 (en) * 2020-12-21 2023-09-06 라온피플 주식회사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ivestock based on food intake image of livestock
KR102610526B1 (en) * 2021-08-17 2023-12-06 주식회사 교농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behavior in livestock barn
KR102369341B1 (en) * 2021-10-14 2022-03-07 동양정보서비스(주) System for monitoring livestock using mutual imag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18470B1 (en) * 2021-12-01 2023-04-05 오헌식 Livestock biometric information-based individual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55B1 (en) 2000-11-09 2003-12-18 대한제당 주식회사 a system for managing livestock breeding farm using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100025809A (en) * 2008-08-28 2010-03-10 정규영 E-farm system
KR20150024162A (en) * 2013-08-26 2015-03-06 주식회사 마랑정보기술 Individual management system for object identification based on ignition face of domestic animal, and using the same
KR101573826B1 (en) * 2013-11-18 2015-12-03 대한민국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TMR and the automatic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489B1 (en) * 2020-09-21 2021-02-08 박상일 Food supply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livestock information
KR102467759B1 (en) 2022-03-25 2022-11-21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Manufacturing method of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D corona virus
KR102470326B1 (en) 2022-08-09 2022-11-25 주식회사 안심엘피씨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monitoring growth status of livestock to improve breeding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93A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401B1 (en) Abnormal sign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food intake of livestock
CN108875647B (en) Moving track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ivestock identity
US10628756B1 (en) Livestock and feedlo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sing UHF-band interroga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Tedeschi et al. Advancements in sensor technology and decision support intelligent tools to assist smart livestock farming
Farooq et al. A survey on the role of iot in agricult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livestock environment
Kumar et al. Smart sensing for agriculture: Applications, advancements, and challenges
US11432531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real time beef cattle monitoring utilizin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technologies
JP6203238B2 (en) Livestock management system
CN103971157A (en) Implantable passive ultrahigh frequency RFID temperature sensing tag for animal breeding and sensing method of implantable passive ultrahigh frequency RFID temperature sensing tag for animal breeding
CN105072417A (en) Intelligent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graze
Tomaszewski et al. Application of mobile networks (5G and beyond) in precision agriculture
US1047479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of dairy animals using vein pattern recognition
CN105993984A (en) Satellite-positioning-based grazing system
CN110675166A (e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for aquatic product tracing
Symeonaki et al. Enabling IoT wireless technologies in sustainable livestock farming toward agriculture 4.0
EP3920691A1 (en) Computer vision-based feeding monitoring and method therefor
Abbassi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at the service of tomorrow’s agriculture
CN106815645A (en) Animal harmless treatment management-control method and system
CN113507690A (en) Intelligent pasture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device based on LoRa technology and storage medium
KR20150079124A (en) Livestock Feed Feeding Apparatus and Feed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5486196U (en) Monitored control system is trailed to goods
US20200375148A1 (en) Ruminal bolus for tracking bovines
KR20150146184A (en) Livestock Bar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KR20170001044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using temperature humidity index for cattle shed environment
CN113554644B (en) Agricultural product identity recognition and quantity checking system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