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185B1 - 착탈형 인서트를 구비한 신발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탈형 인서트를 구비한 신발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185B1
KR102011185B1 KR1020167031297A KR20167031297A KR102011185B1 KR 102011185 B1 KR102011185 B1 KR 102011185B1 KR 1020167031297 A KR1020167031297 A KR 1020167031297A KR 20167031297 A KR20167031297 A KR 20167031297A KR 102011185 B1 KR102011185 B1 KR 102011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insert
cavity
midsole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570A (ko
Inventor
데이비드 피. 존스
엘리자베스 랑방
제임스 몰리뉴
브라이언 스튜어트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6014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8Arrangements for attaching removable insoles to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4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arts having a male and corresponding female profile to fit together, e.g. form-fi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시스템은 신발류 물품 및 착탈형 인서트 세트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한 번에 착탈형 인서트들 중 하나를 수용하는 공동을 갖는 중창을 포함하고, 인서트는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인서트와 공동은 인서트가 압축될 때에 중창이 측방향으로 확장되게 하는 대응하는 테이퍼형 기하 형태를 갖는다. 이는 갑피를 발의 상부에 대해 더 타이트하게 하방으로 당기도록 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형 인서트를 구비한 신발류 시스템{FOOTWEAR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_____자로 출원되었고 “유사한 외양과 상이한 밑창 조립체를 갖는 신발류 물품(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Similar Appearance and Different Sole Assemblies)”이란 발명의 명칭을 갖는 현재 미국 특허 출원 제_____호인 미국 특허 공개 제______호(대리인 관리 번호 제51-3669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실시예는 전반적으로 신발류 물품, 특히 상호 교환 가능한 인서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 물품은 대체로 2개의 주 요소, 즉 갑피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흔히 발을 편안하고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해 신발류의 내부에 공동을 형성하도록 함께 재봉되거나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복수 개의 재료 요소(예컨대, 텍스타일, 폴리머 시트층, 발포층, 천연 가죽, 합성 가죽)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갑피는 발의 발등과 발가락 영역 위에서, 발의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를 따라서, 그리고 발의 뒤꿈치 영역 둘레에서 연장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갑피는 또한 신발류의 맞음새(fit)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갑피 내의 공동에 대한 발의 진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끈 조정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다. 게다가, 갑피는 신발류의 조절성과 안락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끈 조정 시스템 아래에서 연장되는 설포(tongue)를 포함할 수 있고, 갑피는 힐 카운터(heel counter)를 통합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 및 착탈형 인서트 세트를 갖는 인서트 시스템은 갑피 및 중창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중창은, 전방 둘레부, 후방 둘레부,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측면 둘레부, 및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측면 둘레부를 갖는다. 제2 측면 둘레부는 제1 측면 둘레부로부터 중창의 대향 측부에 배치된다. 중창은 바닥부, 상부, 및 공동을 포함한다. 공동은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공동 측벽을 갖고 공동은 중창의 제2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공동 측벽을 갖는다. 공동은 중창의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공동 표면을 갖고, 착탈형 인서트는 중창의 공동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착탈형 인서트는 제1 인서트 측벽과 제2 인서트 측벽을 포함하며, 착탈형 인서트는 인서트 바닥부를 포함한다. 제1 공동 측벽은 테이퍼형이고 제2 공동 측벽은 테이퍼형이다. 제1 인서트 측벽은 테이퍼형이고 제2 인서트 측벽은 테이퍼형이다. 제1 공동 측벽은 착탈형 인서트가 공동 내에 배치될 때에 제1 인서트 측벽과 관련되고, 제2 공동 측벽은 착탈형 인서트가 공동 내에 배치될 때에 제2 인서트 측벽과 관련되며, 하부 공동 표면은 착탈형 인서트가 공동 내에 배치될 때에 인서트 바닥부를 따라 연장된다.
다른 양태에서, 착탈형 인서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류 물품은 갑피 및 중창을 갖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중창은, 전방 둘레부, 후방 둘레부,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측면 둘레부, 및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측면 둘레부를 갖는다. 제2 측면 둘레부는 제1 측면 둘레부로부터 중창의 대향 측부에 배치된다. 중창은 바닥부, 상부, 및 공동을 포함한다. 공동은 제1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공동 측벽을 갖고 공동은 제2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공동 측벽을 갖는다. 공동은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공동 표면을 갖는다. 제1 공동 측벽은 테이퍼형이고 제2 공동 측벽은 테이퍼형이다.
다른 양태에서, 착탈형 인서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은 갑피 및 중창을 갖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중창은, 전방 둘레부, 후방 둘레부,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외부 측벽을 갖는 제1 측면 둘레부,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측면 둘레부를 갖는다. 제2 측면 둘레부는 제1 측면 둘레부로부터 중창의 대향 측부에 배치된다. 제2 측면 둘레부는 제2 외부 측벽을 갖는다. 중창은 또한 바닥부와 상부를 포함한다. 중창은 또한 착탈형 인서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동을 포함한다. 중창은 중창이 제1 외부 측벽과 제2 외부 측벽 사이에서 측정된 제1 폭을 갖는 제1 형태를 갖는다. 중창은 중창이 제1 외부 측벽과 제2 외부 측벽 사이에서 측정된 제2 폭을 갖는 제2 형태를 갖는다. 제2 폭은 제1 폭보다 크다. 제2 형태는 발에 의해 착탈형 인서트의 상부에 힘이 인가될 때에 발생된다.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실시예들의 이점은 아래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하거나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모든 추가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이 설명 및 요약 내에 포함되고, 실시예들의 범위 내에 있으며,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된다.
실시예들은 아래의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 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실척이 아니고, 대신에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할 때에 강조된다. 더욱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서 대응하는 부품을 가리킨다.
도 1은 신발류 물품과 착탈형 인서트 세트를 포함하는 신발류 시스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2는 착탈형 인서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분해 등각 투영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인서트의, 2개의 확대 단면도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4는 착탈형 인서트 세트의 개략적인 바닥 등각 투영도이다;
도 5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에 삽입되는 착탈형 인서트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6은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중창의 공동 내에 배치되는 착탈형 인서트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7은 운동 선수가 제자리에 서 있을 때에 신발류 물품의 구성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운동 선수가 신발류 물품 내의 인서트에 하향력을 가할 때에 신발류 물품의 구성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은 신발류 시스템(101)의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발류 시스템(101)은 적어도 하나의 신발류 물품(100), 뿐만 아니라 인서트 세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실시예에서는 단일 물품이 도시되어 있지만, 신발류 시스템(101)은 왼발과 오른발 각각을 위해 구성되는 대응하는 제1 신발류 물품과 제2 신발류 물품(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원리는 신발류 물품(100)에 대응하는 다른 신발류 물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인서트 세트(150)와 관련하여 교시된 원리는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 세트(150)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인서트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간단하게 물품(100)으로도 지칭되는 신발류 물품(100)은, 제한하지 않지만, 하이킹 부츠, 풋볼화, 스니커즈 운동화, 런닝화, 크로스트레이닝화, 럭비화, 농구화, 야구화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신발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신발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물품(100)은, 제한하지 않지만, 슬리퍼, 샌들, 하이힐 신발류, 및 간편화를 비롯한 다양한 다른 종류의 비-스포츠 관련 신발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를 위해, 물품(100)은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 뒤굼치 부분(1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전족 부분(10)은 대체로 발가락 및 중족골을 지골과 연결하는 관절과 관련될 수 있다. 중족 부분(12)은 대체로 발의 아치형 부분과 관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뒤꿈치 부분(14)은 대체로 중골(calcaneus bone)을 비롯한 발의 뒤꿈치와 관련될 수 있다. 게다가, 물품(100)은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또한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는 물품(10)의 대향하는 측부일 수 있다. 더욱이,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모두는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 뒤꿈치 부분(1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 뒤꿈치 부분(14)은 오직 설명을 위한 것이고, 물품의 정확한 구역들의 경계를 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는, 물품(100)의 경계를 2개의 절반으로 정확하게 정하기 보다는 대략적으로 물품의 2개의 측부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실시예들 전반에 걸쳐서,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뒤꿈치 부분(14), 바깥쪽 측부(16) 및 안쪽 측부(18)는 물품(100)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의 부분/측부 뿐만 아니라 인서트 세트로부터의 임의의 인서트의 부분/측부를 지칭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관성과 편의성을 위해,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이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방향 형용사가 채용된다. 이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예컨대, 신발류 물품 또는 인서트)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몇몇의 경우에, 종방향은 구성요소의 전족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폭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바꿔 말해서, 측방향은 구성요소의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이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수직”이라는 용어는 측방향 및 종방향에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물품이 지면 상에 평탄하게 놓여 있는 경우에, 수직 방향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게다가, “기단”이라는 용어는 신발류 물품을 착화했을 때에 발의 부분에 더 가까운 신발류 구성요소의 부분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말단”이라는 용어는 신발류 물품을 착화했을 때에 발의 부분으로부터 더 먼 신발류 구성요소의 부분을 지칭한다. 이 상세한 설명은 중창 및 인서트 모두를 설명하는 데에 이들 방향 형용사를 이용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되고 참조로 포함되는 “유사한 외양과 상이한 밑창 조립체를 갖는 신발류 물품” 출원에 설명되는 피쳐들 및/또는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100)은 갑피(102) 뿐만 아니라 밑창 구조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갑피(102)는 임의의 타입의 갑피일 수 있다. 특히, 갑피(102)는 임의의 디자인, 형상, 크기 및/또는 칼라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물품(100)이 농구화인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발목에 높은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하이탑 갑피(high top upper)일 수 있다. 물품(100)이 런닝화인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로우탑 갑피(low top upper)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갑피(102)의 내부 공동 내로 발을 위한 진입구를 제공하는 개구(12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발의 발등을 가로질러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는 설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는, 제한하지 않지만, 끈, 케이블, 스트랩, 버튼, 지퍼 뿐만 아니라 물품을 체결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수단을 비롯한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끈(125)이 갑피(102)의 체결 구역에 적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하부에서 개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갑피(102)는 하부 둘레부(103)에 의해 경계 설정되는 하부 개구와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하부에서 폐쇄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갑피(102)는 하부 둘레부(103)에 의해 갑피(102)의 측부로부터 분리된 재료의 하부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02)는 하부 둘레부(103) 아래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심지어는 발 아래에서 폐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체(110)는 물품(100)에 정지 마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지 마찰을 제공하는 외에, 밑창 구조체(110)는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에 지면 반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밑창 구조체(110)의 구성은 다양한 전통적인 또는 비전통적인 구조를 포함하도록 여러 실시예에서 상당히 변경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밑창 구조체(110)의 구성은 밑창 구조체(110)가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종류의 지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지면의 예로는, 제한하지 않지만, 천연 잔디, 합성 잔디, 흙, 뿐만 아니라 다른 지면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110)는 갑피(102)에 고정되고 물품(100)을 신었을 때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여러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체(110)는 상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밑창 구조체(110)는 바깥창, 중창, 및/또는 안창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이들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선택적일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밑창 구조체(110)는 중창(112)과 바깥창(114)을 포함한다.
도 2는 갑피(102), 중창(112) 및 바깥창(114)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100)의 실시예의 분해 등각 투영도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창(112)은 다양한 부분을 갖는 것으로 특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창(112)은 상부(202)와, 상부(202)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바닥부(204)를 포함한다. 게다가, 중창(112)은 전방 둘레부(206)와 후방 둘레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112)은 또한 전방 둘레부(206)로부터 후방 둘레부(208)로 연장되는 제1 측면 둘레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창(112)은 전방 둘레부(206)로부터 후방 둘레부(208)로 연장되는 제2 측면 둘레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둘레부(210)와 제2 측면 둘레부(212)는 중창(112)의 대향하는 측부를 특정화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둘레부(210)는 신발류 물품(100)의 바깥쪽 측부(16)와 관련되고, 제2 측면 둘레부(212)는 신발류 물품(100)의 안쪽 측부(18)와 관련된다는 점이 확인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12)은 인서트 세트(15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인서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동(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창(112)의 공동(130)은 중창(112)의 상부(202)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동(230)은 중창(112)의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또는 뒤꿈치 부분(1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동(230)은 중창(112)의 전족 부분(10)으로부터 중족 부분(12)을 통해 뒤꿈치 부분(14)으로 연장된다.
도 2는 전족 부분(10)에서 중창(112)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 뿐만 아니라 뒤꿈치 부분(14)에서 중창(112)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를 포함한다. 이들 확대 단면도는 공동(230)의 상세를 예시하도록 의도된다. 도 2, 특히 전족 부분(10)과 뒤꿈치 부분(14)의 확대 단면도를 참조하면, 공동(230)은 중창(112)의 제1 측면 둘레부(210)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공동 측벽(232)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공동(230)은 중창(112)의 제2 측면 둘레부(212)를 따라 연장되는 제2 공동 측벽(234)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공동(230)은 중창(112)의 바닥부(204)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공동 표면(236)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공동 표면(236)은, 예컨대 바깥창(114)의 외표면(115; 도 6 참조)과 같은 밑창 구조체(110)의 지면 접촉면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인서트 세트(150)를 포함하는 인서트들의 갯수는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서트 세트(150)는 신발류 물품(100)에 사용될 수 있는 단일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 세트(150)는 신발류 물품(10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 세트(150)는 신발류 물품(10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3개 이상의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2개의 확대 단면도를 포함하는,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4는 인서트의 바닥면이 보이는, 인서트 세트(150)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이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서트 세트(150)는 또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와 제2 착탈형 인서트(15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인서트는 상부, 바닥부 및 다양한 둘레 측벽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제1 착탈형 인서트(152)는 상부(160; 도 1)와 바닥부(162; 도 4)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도 3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착탈형 인서트(152)는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서트 측벽(164)은 제2 인서트 측벽(166)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도 3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은 상부(160)의 외측 둘레부(170)를 바닥부(162)의 외측 둘레부(172)에 연결시킨다. 바꿔 말해서,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은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최외측 경계와 관련된다.
도 1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와 제2 착탈형 인서트(154)는 최대 길이 인서트일 수 있다. 특히, 제1 착탈형 인서트(152)와 제2 착탈형 인서트(154)는 중창(112) 내에 삽입될 때에 중창(112)의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 뒤꿈치 부분(14)을 통해 각각 연장될 수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 세트(150)의 하나 이상의 인서트는, 중창(112)의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또는 뒤꿈치 부분(14)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연장되는 인서트를 비롯한 부분 길이 인서트일 수 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는 상이한 재료, 재료 특성 및/또는 구성요소를 갖는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착탈형 인서트(152)와 제2 착탈형 인서트(154)는 모두 공동 파지 부분[즉, 제1 공동 파지 부분(302)과 제2 공동 파지 부분(304)]을 가질 수 있고, 이들 공동 파지 부분은 몇몇 다른 관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제1 착탈형 인서트(152)는 뒤꿈치 부분(14), 중족 부분(12)을 통해 그리고 전족 부분(10)으로 연장되는 평활한 기부(306)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착탈형 인서트(154)의 평활한 기부(308)는 주로 뒤꿈치 부분(14) 및 중족 부분(12)을 통해 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신에, 제2 착탈형 인서트(154)는 전족 부분(10)과 공동의 일부 간의 맞물림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 패턴(312)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는 완충 디바이스(310)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완충 디바이스(310)는 제1 인서트(152)의 전족 부분(10) 내에 매립되는 공기 충전식 블레이더일 수 있다.
인서트 세트(150)의 각 인서트는 재료 및/또는 재료 특성에 있어서의 변경을 비롯하여 임의의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강성, 가요성, 완충, 지지, 중량 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에 있어서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제한하지 않지만, 플라스틱, 발포재, 직물 및/또는 부직물, 복합 재료를 비롯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되는 인서트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 및 제2 착탈형 인서트(154)는 각각 발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서트는 상이한 강성 및/또는 완충 특성을 갖는 상이한 발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서트에 사용되는 재료는 중창(112)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료에 상보적일 수 있다. 특히, 몇몇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제1 착탈형 인서트(152) 및/또는 제2 착탈형 인서트(154)의 적어도 몇몇 부분은 중창(112)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인서트의 특성을 변경시키면 맞춤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유저는 인서트 세트 중 2개 이상의 인서트로부터 원하는 기능성을 달성하는 인서트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정도의 지지, 완충, 강성, 에너지 반환, 중량 감소 뿐만 아니라 가능한 다른 특징을 달성하도록 상이한 인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인서트를 이용하여 발에 대해 개선된 지지를 촉진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서트 및 중창의 대응하는 공동이 발에 대한 지지를 향상시키는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서트 및 대응하는 중창 공동은, 몇몇 종류의 거동, 예컨대 컷팅, 백페달링(backpedaling), 풋 스트라이크(foot strike), 또는 힘이 발에 의해 인서트 및 중창에 인가되는 다른 거동 중에 발에 대한 지지를 향상시키는 테이퍼형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착탈형 인서트(152)는, 측벽, 부분 및/또는 표면을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테이퍼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인서트 측벽(164)은 테이퍼형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인서트 측벽(166)은 테이퍼형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 모두가 테이퍼형 기하 형태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테이퍼형”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측벽의 각형 또는 경사진 형태를 지칭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측벽은 대략 선형 방식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측벽은 인서트의 상부 및/또는 바닥부에 관하여 직각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대략 직선형 표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측벽은 비선형 방식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측벽은 볼록형 및/또는 오목형 방식으로 윤곽이 형성될 수 있거나, 볼록형 윤곽 및/또는 오목형 윤곽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전족 부분(10)에서 취한 도 1의 확대 단면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은 중창(112)의 상부(160) 및 바닥부(162)에 관하여 각형일 수 있다. 이 예시적인 형태에서, 제1 인서트 측벽(164)은 바닥부(162)와 제1 각도(191)를 형성하고, 제1 인서트 측벽(164)은 상부(160)와 제2 각도(192)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인서트 측벽(166)은 바닥부(162)와 제3 각도(193)를 형성하고, 제2 인서트 측벽(166)은 상부(160)와 제4 각도(194)를 형성한다.
상이한 실시예에서, 제1 각도(191), 제2 각도(192), 제3 각도(193) 및 제4 각도(194)의 값은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각도(191)와 제3 각도(193)는 모두 대략 90도 내지 150도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각도(191)와 제3 각도(193)는 둔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각도(192)와 제4 각도(194)는 모두 대략 20도 내지 90도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각도(192)와 제4 각도(194)는 예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예각은 75도보다 실질적으로 작을 수 있고, 둔각은 105도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각도(191)와 제2 각도(193)는 대략 유사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각도(191)와 제2 각도(193)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각도(192)와 제4 각도(194)는 대략 유사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각도(192)와 제4 각도(194)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예컨대 제1 인서트 측벽(164)의 테이퍼링, 기울기 또는 경사 정도는 제2 인서트 측벽(166)의 테이퍼링, 기울기 또는 경사 정도와 상이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테이퍼링, 기울기 또는 경사에 있어서의 차이는 제1 각도(191)와 제3 각도(193)의 상이한 값, 뿐만 아니라 제2 각도(192)와 제4 각도(194)의 상이한 값을 초래한다.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 간에 테이퍼링의 차이는 하나의 측부(예컨대, 바깥쪽 측부)를 향해 또는 다른 측부(예컨대, 안쪽 측부)를 향해 기댈 때에 지지 변동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인서트 측벽의 테이퍼링 정도는 인서트의 길이에 걸쳐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착탈형 인서트(152)는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전족 부분(10)에 제1 단면적(140)을 가질 수 있고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뒤꿈치 부분(14)에 제2 단면적(142)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단면적(140)과 제2 단면적(142)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단면적(140)과 제2 단면적(142)은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1 단면적(140)과 제2 단면적(142)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은 더 가파른 테이퍼링을 가질 수 있다. 참조를 위해, 제1 인서트 측벽(164)과 바닥부(162)는 전족 부분(10)에 제1 각도(191)를 형성하고, 제1 인서트 측벽(164)과 바닥부(162)는 뒤꿈치 부분(14)에 제7 각도(197)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7 각도(197)는 제1 각도(191)보다 작을 수 있다. 게다가,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상부(160)는 전족 부분(10)에 제2 각도(192)를 형성하고,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상부(160)는 뒤꿈치 부분(14)에 제8 각도(198)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8 각도(198)는 제3 각도(193)보다 클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뒤꿈치 부분(14)에서 상부(160)와 제2 인서트 측벽(166) 사이에 형성된] 제6 각도(196)는 제4 각도(194)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뒤꿈치 부분(14)에서 바닥부(162)와 제2 인서트 측벽(166) 사이에 형성된] 제5 각도(195)는 제3 각도(193)보다 클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대략 평탄한 상부(160)와 바닥부(162)를 보여주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160) 및/또는 바닥부(162)는 임의의 다른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몇몇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160) 및/또는 바닥부(162)는 볼록형 부분 및/또는 오목형 부분을 모두 갖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단면 기하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기하 형태는, 제한하지 않지만, 원형 기하 형태, 직선형 기하 형태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종류의 기하 형태를 비롯하여 임의의 대략적인 기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는, 상부(160)와 바닥부(162)의 대략적으로 평행한 배열과,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의 예각/둔각 배향으로부터 생기는 대략 사다리꼴 단면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 대략적인 사다리꼴 단면 기하 형태는, 수직력이 발에 의해 제1 착탈형 인서트(152)에 인가될 때에, 중창(112)을 폭방향으로 팽창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는 웨지형 형태를 제1 착탈형 인서트(152)에 대해 초래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기하 형태는 상세하게 논의되고 도면에 도시된다. 그러나, 제2 착탈형 인서트(154)를 비롯한 다른 인서트가 제1 착탈형 인서트(15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인서트 세트의 각 인서트에 대해 공통의 기하 형태(및 크기)를 이용하면, 다수의 인서트들이 중창(112)의 공동(230) 내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수용되게 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공동(230)의 기하 형태는 여러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동(230)의 기하 형태는 인서트 세트(150)로부터의 착탈형 인서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몇몇 실시예에서, 공동(230)의 기하 형태는, 예컨대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테이퍼형 인서트 측벽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공동 측벽(232)은 테이퍼형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공동 측벽(234)은 테이퍼형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1 공동 측벽(232)과 제2 공동 측벽(234) 모두가 테이퍼형 기하 형태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테이퍼형”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측벽의 각형 또는 경사진 형태를 지칭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측벽은 대략 선형 방식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측벽은 인서트의 상부 및/또는 바닥부에 관하여 직각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대략 직선형 표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측벽은 비선형 방식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측벽은 볼록형 및/또는 오목형 방식으로 윤곽이 형성될 수 있거나, 볼록형 윤곽 및/또는 오목형 윤곽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확대 단면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공동 측벽(232)과 제2 공동 측벽(234)은 공동(230)의 하부 공동 표면(236)에 관하여 각형일 수 있다. 이 예시적인 구성에서, 제1 공동 측벽(232)은 하부 공동 표면(236)과 각도(290)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공동 측벽(234)은 하부 공동 표면(236)과 각도(291)를 형성한다.
여러 실시예에서, 각도(290)와 각도(291)의 값은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290)와 각도(291)는 모두 대략 90도 내지 150도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290)와 각도(291)는 둔각일 수 있다.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290)와 각도(291)는 모두 105도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290)와 각도(291)는 대략 유사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290)와 각도(291)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예컨대 제1 공동 측벽(232)의 테이퍼링, 기울기 또는 경사 정도는 제2 공동 측벽(234)의 테이퍼링, 기울기 또는 경사 정도와 상이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테이퍼링, 기울기 또는 경사의 차이는 각도(290)와 각도(291)의 상이한 값을 초래한다. 제1 공동 측벽(232)과 제2 공동 측벽(234) 간에 테이퍼링의 차이는 하나의 측부(예컨대, 바깥쪽 측부)를 향해 또는 다른 측부(예컨대, 안쪽 측부)를 향해 기댈 때에 지지 변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인서트가 인서트의 길이에 걸쳐서 기하 형태(예컨대, 기울기 또는 길이)가 변경되는 측벽을 갖는 실시예에서, 공동(230)은 대응하는 방식으로 변경되는 공동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공동 측벽(232)은, 전족 부분(10)에서 제1 공동 측벽(232)과 하부 공동 표면(236)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290)보다 대체로 작은 각도(294)를 뒤꿈치 부분(14)에서 하부 공동 표면(236)과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2 공동 측벽(234)은, 전족 부분(10)에서 제2 공동 측벽(234)과 하부 공동 표면(236)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291)보다 대체로 작은 각도(293)를 뒤꿈치 부분(14)에서 하부 공동 표면(236)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들 각도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고 대응하는 인서트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를 수용하도록 대체로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공동 표면(236)은 대체로 평탄한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개략적으로 깊이(239)로서 나타낸 하부 공동 표면(236)의 대략적인 깊이는 (측방향으로) 제1 공동 측벽(232)과 제2 공동 측벽(234) 사이에서 대략 일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공동 표면(236)은 볼록형 부분 및/또는 오목형 부분을 비롯한 윤곽 표면일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공동 표면(236)의 대략적인 깊이는 가변적일 수 있다. 물론, 전족 부분(10)에서 공동(230)의 깊이(239)를 뒤꿈치 부분(14)에서 공동의 깊이(237)와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는 바와 같이, 공동(230)의 깊이는 중창(112)의 종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에서, 공동(230)의 단면 기하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면 기하 형태는, 제한하지 않지만, 원형 기하 형태, 직선형 기하 형태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종류의 기하 형태를 비롯하여 임의의 대략적인 기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동(230)은 하부 공동 표면(236)과 제1 공동 측벽(232)의 각형 배열 및 하부 공동 표면(236)과 제2 공동 측벽(234)의 각형 배열로부터 생기는 대략적으로 사다리꼴 단면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제1 착탈형 인서트(152)와 같이, 공동(230)은 그 길이에 걸쳐서 변경되는 단면 기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공동(230)은 전족 부분(10)에서의 제1 단면 기하 형태(240)와 뒤꿈치 부분(14)에서의 제2 단면 기하 형태(242)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동(230)의 형태는 중창(112)의 제1 측면 둘레부(210)와 제2 측면 둘레부(212)에 가변적인 두께를 제공한다. 특히, 각각의 측면 둘레부의 두께는 상이한 수직 위치[즉, 중창(112)의 상부(202)와 바닥부(204) 사이의 방향을 따른 위치]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컨대 제2 측면 둘레부(212)는 중창(112)의 상부(202)에 제1 측방향 두께(280)를 갖는다. 또한, 제2 측면 둘레부(212)는 상부(202)와 하부 공동 표면(236) 사이에 제2 측방향 두께(282)를 갖는다. 또한, 제2 측면 둘레부(212)는 하부 공동 표면(236)에 제3 측방향 두께(284)를 갖는다. 더욱이, 제3 측방향 두께(284)는 제2 측방향 두께(282)보다 크다. 또한, 제2 측방향 두께(282)는 제1 측방향 두께(280)보다 크다.
두께는 리세스 측벽 및 중창(112)의 대응하는 외부 측벽의 기하 형태의 차이로 인해 이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제1 리세스 측벽(232)은 테이퍼지고(또는 수직 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고), 중창(112)의 제1 외부 측벽(270)은 대략 수직이다[즉, 중창(112)의 상부(202) 및 바닥부(204)와 대략 직각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2 리세스 측벽(234)이 테이퍼지고, 중창(112)의 제2 외부 측벽(272)은 대략 수직이다.
도 5는 제1 착탈형 인서트(152)가 신발류 물품(100)의 개구(120) 내에 삽입되는 실시예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6은 공동(230) 내에 배치되는 제1 착탈형 인서트(152)를 갖는 신발류 물품(100)의 형태를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신발류 물품(100)의 내측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02)의 부분은 공동(230) 내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제1 인서트 측벽(164), 제2 인서트 측벽(166) 및/또는 바닥부(162)와 접촉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컨대 갑피(102)의 제1 하부 둘레부(512)는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접촉할 수 있고 갑피(102)의 제2 하부 둘레부(514)는 제2 인서트 측벽(166)과 접촉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02)의 하부(516)는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바닥부(162)와 공동(230)의 하부 공동 표면(23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102)의 부분은 공동(230) 내로 연장될 수 없고, 및/또는 공동(230) 내로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인서트 측벽(164)은 제1 공동 측벽(232)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인서트 측벽(166)은 제2 공동 측벽(234)과 접촉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바닥부(162)는 공동(230)의 하부 공동 표면(236)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바닥부(162) 아래에서 갑피(102)의 일부가 연장하기보다는, 삭라이너(sockliner) 또는 스트로브 삭(strobe sock)이 바닥부(162)와 하부 공동 표면(23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정적 형태(도 7)와 동적 형태(도 8) 사이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와 신발류 물품(100)의 형태 변화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적 낮은 충격력이 제1 착탈형 인서트(152)에 인가되는 상태로, 착화자(600)가 움직이지 않거나, 서있거나, 걸을 때에, 제1 착탈형 인서트(152)는 전술하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창(112)의 공동(230) 내에 안착된다. 이 구성에서, 발(602)은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상부에 받쳐져 있다. 더욱이, 이 경우에, 제1 착탈형 인서트의 상부(160)는 하부 공동 표면(236) 위에 거리(702)를 두고 배치된다. 이 경우에, 거리(702)는 도 7의 정적 형태에 있는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두께에 대략 대응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더 높은 충격력이 발(602)에 의해 인가될 때에, 제1 착탈형 인서트(152) 및 신발류 물품(100)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에 대략 하향력이 인가되면, 제1 착탈형 인서트(152)가 하향으로 압축된다. 제1 착탈형 인서트(152)가 수직 방향으로 압축되더라도,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부분은 대략 일정한 측방향 폭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상부(160)는 도 7의 정적 형태에서 그리고 도 8의 동적 형태에서 폭(640)을 갖는다. 상부(160)가 폭방향으로 수축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160)가 발(602)로부터의 힘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될 때에, 제1 인서트 측벽(164)과 제2 인서트 측벽(166)은 제1 공동 측벽(232)과 제2 공동 측벽(234)에 대해 측방향 외향력을 각각 가한다. 제1 착탈형 인서트(152) 자체가 실질적인 측방향 압축 없이 공동(230) 내로 더 깊게 밀어 넣어질 때에 발생되는 이들 측방향으로 배향된 힘은 중창(112)의 둘레 측부의 외향 벤딩을 유발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둘레부(210)와 제2 측면 둘레부(212)는 외측을 향해 그리고 수직 방향에서 멀어지게 벤딩되어, 중창(112)의 측방향 폭이 적어도 몇몇 부분에서 순간적으로 증가된다.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 동적 형태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상부(160)는 하부 공동 표면(236)으로부터 거리(704)를 두고 배치된다. 이 경우에, 거리(704)는 이 형태에서 제1 착탈형 인서트(152)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도 7의 거리(702)를 도 8의 거리(704)와 비교함으로써, 제1 착탈형 인서트(152)가 압축될 때에 상부(160)가 공동(230) 내로 더 들어간다는 점이 확인될 수 있다.
제1 측면 둘레부(210)와 제2 측면 둘레부(212)의 이러한 외향 벤딩은, 특히 상부(202) 근처에서 중창(112)의 폭에 있어서의 일시적인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형태에서, 중창(112)의 상부(202)는 제1 외부 측벽(270)과 제2 외부 측벽(272) 사이에서 측정되는 폭(680)을 가질 수 있다. 도 8의 확장된 형태에서, 중창(112)의 상부(202)는 폭(680)보다 실질적으로 클 수 있는 폭(682)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 둘레부(210)와 제2 측면 둘레부(212)가 외측을 향해 그리고 기본 수직 배향으로부터 멀어지게 벤딩될 때에, 갑피(102)의 인접한 부분이 마찬가지로 유사하게 외측을 향해 당겨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동 측벽(232)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제1 하부 둘레부(512)는 제1 측면 둘레부(210)가 외측을 향해 벤딩될 때에 외측을 향해(즉, 말단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공동 측벽(234)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제2 하부 둘레부(514)는 제2 측면 둘레부(212)가 외측을 향해 벤딩될 때에 외측을 향해(즉, 말단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갑피(102)의 제1 하부 둘레부(512)와 제2 하부 둘레부(514)의 이러한 말단 이동은 갑피(102)의 상부(510)가 발(602)에 더 가깝게(그리고 발에 대해 더 타이트하게) 하방으로 당겨지게 한다.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510)는 도 8에 도시된 거동 중에 발(602)에 대한 지지 및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602)에 대해 순간적인 고정력을 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서트에 인가된 하중 하에 중창(112)의 외향 확장은 인서트의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예상된다. 예컨대, 인서트의 보다 강성인 상부는 인서트의 임의의 폭방향 수축을 제한함으로써 중창의 외향 확장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덜 강성인 상부를 이용하면, (특히 상부에서) 인서트의 약간의 폭방향 확장이 허용됨으로써, 중창의 외향 확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의 물성이 도 7 및 도 8에 설명되고 도시된 효과를 변경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그러한 설명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는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관점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한,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착탈형 인서트 세트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으로서,
    제1 하부 둘레부, 제2 하부 둘레부, 및 상기 제1 하부 둘레부와 제2 하부 둘레부를 연결하는 상부를 구비한 갑피;
    중창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및
    상기 착탈형 인서트 세트로부터의 착탈형 인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전방 둘레부;
    후방 둘레부;
    상기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측면 둘레부;
    상기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면 둘레부로부터 중창의 대향 측부에 배치되는 제2 측면 둘레부;
    바닥부;
    상부; 및
    상기 중창의 상부 내에 형성되는 공동
    을 포함하며,
    상기 공동은 상기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공동 측벽을 갖고, 상기 갑피의 제1 하부 둘레부는 상기 제1 공동 측벽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1 공동 측벽은 상기 중창의 상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공동은 상기 중창의 제2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공동 측벽을 갖고, 상기 갑피의 제2 하부 둘레부는 상기 제2 공동 측벽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2 공동 측벽은 상기 중창의 상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공동은 상기 중창의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공동 표면을 가지며,
    상기 착탈형 인서트는 중창의 공동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탈형 인서트는 제1 인서트 측벽, 제2 인서트 측벽, 및 상기 제1 인서트 측벽과 제2 인서트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인서트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서트 측벽은 테이퍼형이고 제2 인서트 측벽은 테이퍼형이며,
    상기 착탈형 인서트가 상기 중창의 공동 내에 끼워져, (a) 상기 제1 인서트 측벽은, 상기 제1 공동 측벽에 부착된 갑피의 제1 하부 둘레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공동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b) 상기 제2 인서트 측벽은, 상기 제2 공동 측벽에 부착된 갑피의 제2 하부 둘레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 공동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착탈형 인서트가 공동 내에 배치될 때에 상기 하부 공동 표면은 상기 중창의 인서트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신발류 물품은 상기 중창에 인가되는 하향력에 응답하여 정적 형태로부터 동적 형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신발류 물품이 동적 형태일 때는 상기 신발류 물품이 정적 형태일 때와 비교하여, 상기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와 제2 측면 둘레부가 외측 방향 및 하향으로 더 벤딩되고, 상기 동적 형태에서의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와 제2 측면 둘레부의 외측 방향 및 하향 벤딩은 상기 갑피의 상부를 하향으로 당기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동 표면은 신발류 물품의 지면 접촉면과 평행한 것인 신발류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동 측벽과 하부 공동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각도는 100도 내지 150도의 범위인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서트 측벽과 인서트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각도는 100도 내지 150도의 범위인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중창의 종방향 위치에서 사다리꼴의 단면 기하 형태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공동의 상기 사다리꼴의 단면 기하 형태에 대응하는 사다리꼴의 단면 기하 형태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신발류 물품으로서,
    제1 하부 둘레부, 제2 하부 둘레부, 및 상기 제1 하부 둘레부와 제2 하부 둘레부를 연결하는 상부를 구비한 갑피;
    중창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및
    제1 착탈형 인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전방 둘레부;
    후방 둘레부;
    상기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측면 둘레부;
    상기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면 둘레부로부터 중창의 대향 측부에 배치되는 제2 측면 둘레부;
    상부;
    바닥부; 및
    상기 중창의 상부 내에 형성되는 공동
    을 포함하며,
    상기 공동은 상기 제1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공동 측벽을 갖고, 상기 갑피의 제1 하부 둘레부는 상기 제1 공동 측벽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1 공동 측벽은 상기 중창의 상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나아가면서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공동은 상기 제2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공동 측벽을 갖고, 상기 갑피의 제2 하부 둘레부는 상기 제2 공동 측벽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2 공동 측벽은 상기 중창의 상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나아가면서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공동은 상기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공동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착탈형 인서트는, (a) 제1 인서트 측벽, (b) 제2 인서트 측벽, (c) 상기 제1 인서트 측벽과 제2 인서트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인서트 바닥부, 및 (d) 상기 제1 인서트 측벽과 상기 제2 인서트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인서트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서트 측벽과 제2 인서트 측벽 각각은 상기 인서트 상부로부터 인서트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 착탈형 인서트가 상기 중창의 공동 내에 끼워져, (a) 상기 제1 인서트 측벽은, 상기 제1 공동 측벽에 부착된 갑피의 제1 하부 둘레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공동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b) 상기 제2 인서트 측벽은, 상기 제2 공동 측벽에 부착된 갑피의 제2 하부 둘레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 공동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신발류 물품은 상기 중창에 인가되는 하향력에 응답하여 정적 형태로부터 동적 형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신발류 물품이 동적 형태일 때는 상기 신발류 물품이 정적 형태일 때와 비교하여, 상기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와 제2 측면 둘레부가 외측 방향 및 하향으로 더 벤딩되고, 상기 동적 형태에서의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와 제2 측면 둘레부의 외측 방향 및 하향 벤딩은 상기 갑피의 상부를 하향으로 당기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둘레부는 중창의 바닥부로부터 중창의 상부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가변적인 두께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제1 공동 측벽과 제2 공동 측벽 사이에서 측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동 측벽은 형상이 선형이고 상기 제2 공동 측벽은 형상이 선형인 것인 신발류 물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형 인서트와 다른 완충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착탈형 인서트를 대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착탈형 인서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착탈형 인서트는, (a) 제3 인서트 측벽, (b) 제4 인서트 측벽, (c) 상기 제3 인서트 측벽과 제4 인서트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인서트 바닥부, 및 (d) 상기 제3 인서트 측벽과 제4 인서트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인서트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인서트 측벽과 제4 인서트 측벽 각각은 상기 제2 인서트 상부로부터 제2 인서트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착탈형 인서트가 상기 중창의 공동 내에 끼워져, (a) 상기 제3 인서트 측벽은, 상기 제1 공동 측벽에 부착된 갑피의 제1 하부 둘레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공동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b) 상기 제4 인서트 측벽은, 상기 제2 공동 측벽에 부착된 갑피의 제2 하부 둘레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 공동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삭제
  13. 삭제
  14. 착탈형 인서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으로서,
    제1 하부 둘레부, 제2 하부 둘레부, 및 상기 제1 하부 둘레부와 제2 하부 둘레부를 연결하는 상부를 구비한 갑피;
    중창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및
    착탈형 인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전방 둘레부;
    후방 둘레부;
    상기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외부 측벽을 갖는 제1 측면 둘레부;
    상기 전방 둘레부와 후방 둘레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면 둘레부로부터 중창의 대향 측부에 배치되며, 제2 외부 측벽을 갖는 제2 측면 둘레부;
    바닥부;
    상부; 및
    상기 중창의 상부 내에 형성되고, 착탈형 인서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동
    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상기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공동 측벽을 갖고, 상기 갑피의 제1 하부 둘레부는 상기 제1 공동 측벽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1 공동 측벽은 상기 중창의 상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공동은 상기 중창의 제2 측면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공동 측벽을 갖고, 상기 갑피의 제2 하부 둘레부는 상기 제2 공동 측벽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제2 공동 측벽은 상기 중창의 상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기 착탈형 인서트는 상기 중창의 공동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탈형 인서트는 제1 인서트 측벽, 제2 인서트 측벽 및 상기 제1 인서트 측벽과 제2 인서트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인서트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형 인서트가 상기 중창의 공동 내에 끼워져, (a) 상기 제1 인서트 측벽은, 상기 제1 공동 측벽에 부착된 갑피의 제1 하부 둘레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공동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b) 상기 제2 인서트 측벽은, 상기 제2 공동 측벽에 부착된 갑피의 제2 하부 둘레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 공동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중창은 중창이 제1 외부 측벽과 제2 외부 측벽 사이에서 측정된 제1 폭을 갖는 제1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형태는 정적 형태이고,
    상기 중창은 중창이 제1 외부 측벽과 제2 외부 측벽 사이에서 측정된 제2 폭을 갖는 제2 형태를 갖고, 상기 제2 폭은 제1 폭보다 크며, 상기 제2 형태는 동적 형태이고,
    상기 제2 형태는 발에 의해 착탈형 인서트의 상부에 하향력이 인가될 때에 발생되어, 상기 중창이 상기 정적 형태로부터 상기 동적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와 제2 측면 둘레부는 상기 정적 형태일 때와 비교하여 상기 동적 형태에서 외측 방향 및 하향으로 더 벤딩되고, 상기 제2 형태에서의 중창의 제1 측면 둘레부와 제2 측면 둘레부의 외측 방향 및 하향 벤딩은 상기 갑피의 상부를 하향으로 당기는 것인 착탈형 인서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류 물품과 인서트는 발에 의해 인가되는 하향력이 소멸된 후에 제1 형태로 복귀되는 것인 착탈형 인서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과 제2 폭은 중창의 상부에서 측정되는 것인 착탈형 인서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
  19. 삭제
  20. 삭제
KR1020167031297A 2014-04-09 2015-01-13 착탈형 인서트를 구비한 신발류 시스템 KR102011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48,431 2014-04-09
US14/248,431 US20150289590A1 (en) 2014-04-09 2014-04-09 Footwear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PCT/US2015/011093 WO2015156863A1 (en) 2014-04-09 2015-01-13 Footwear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570A KR20160148570A (ko) 2016-12-26
KR102011185B1 true KR102011185B1 (ko) 2019-08-14

Family

ID=5246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297A KR102011185B1 (ko) 2014-04-09 2015-01-13 착탈형 인서트를 구비한 신발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521876B2 (ko)
EP (1) EP3110276B1 (ko)
KR (1) KR102011185B1 (ko)
CN (1) CN106102499A (ko)
AU (1) AU2015244419B2 (ko)
WO (1) WO2015156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2519A1 (en) * 2015-04-17 2016-10-20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206454B2 (en) 2016-02-24 2019-02-19 Nike, Inc. Dual layer sole system with auxetic structure
US10172414B2 (en) 2016-08-02 2019-01-08 Superfeet Worldwide, Inc. Locking midsole and insole assembly
KR102090974B1 (ko) * 2017-04-10 2020-03-19 (주)다짐아이엔씨 개인 맞춤형 신발
US11607007B2 (en) * 2017-11-02 2023-03-21 Oofos, Inc. Insole and outsole two-piece shoe
EP3817694A4 (en) * 2018-07-06 2021-09-15 Frankie4 IP 2 Pty Ltd ARRANGEMENT FOR THE PROVISION OF A FOOTWEAR WITH SEVERAL DETACHABLE AND INTERCHANGEABLE FOOTBEDS
US10905196B2 (en) 2018-08-30 2021-02-02 Tbl Licensing Llc Comfort in motion footwear
US20220264996A1 (en) * 2021-02-22 2022-08-25 Anthony Piazza, IV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able Fit Sho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4786A1 (en) 1984-04-17 1985-11-07 Gabriel Eber Shoe adapted to receive an inner sole
DE9207287U1 (ko) 1992-05-29 1992-07-30 Alsa Gmbh, 6497 Steinau, De
KR200201208Y1 (ko) * 1999-11-08 2000-11-01 황보국정 경도가변(硬度可變) 신발
WO2001082732A1 (en) 2000-05-01 2001-11-08 Kenton Geer Design Associates, Inc.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02387723A (zh) 2009-02-12 2012-03-21 派伯凯特鞋业有限公司 鞋和可拆卸的安全鞋垫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6091A (en) * 1944-11-27 1946-08-20 Jules Q Strong Shoe platform
US3878626A (en) * 1971-05-18 1975-04-22 Isman Claude Roger Detachable soles
FR2573633A1 (fr) 1984-11-23 1986-05-30 Brandt Mireille Chaussure composite a multi-usages
CA1240506A (en) * 1985-10-18 1988-08-16 Peter Glogowski Molded article of footwear
KR900005672B1 (ko) 1987-02-20 1990-08-06 욘 마우 린 신발의 중창부
US5555584A (en) * 1992-11-05 1996-09-17 Polymer Innovations, Inc. Method of producing custom-fitting articles and composition for the use therewith
DE29611137U1 (de) 1996-06-25 1996-08-29 Shuang Bang Ind Corp Mittelsohle eines Schuhs
WO1998005231A1 (en) 1996-08-06 1998-02-12 H.H. Brown Shoe Company, Inc. Interchangeable inner sole system
US6519876B1 (en) * 1998-05-06 2003-02-18 Kenton Geer Design Associates, Inc.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023857A (en) 1998-09-21 2000-02-15 Converse Inc. Shoe with removable midsole
US6092311A (en) * 1999-02-05 2000-07-25 Macnamara; Patrick C. Interlocking footwear insole replacement system
US7334350B2 (en) 1999-03-16 2008-02-26 Anatomic Research, Inc Removable rounded midsole structures and chambers with computer processor-controlled variable pressure
US6796056B2 (en) * 2002-05-09 2004-09-28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 single sealed chamber
US7392604B2 (en) * 2002-05-14 2008-07-01 Nike, Inc. System for modifying properties of an article of footwear
US6920707B1 (en) 2002-05-14 2005-07-26 Nike, Inc. System for modifying properties of an article of footwear
US7055265B1 (en) * 2002-08-29 2006-06-06 Dale Bathum Sandal system for athletic activities
US6948263B2 (en) * 2003-03-18 2005-09-27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e having a multilayered insole
US7010872B2 (en) 2003-05-16 2006-03-14 The Timberland Company Modular shoe
DE10326600A1 (de) 2003-06-13 2005-01-13 Arno Eschbach Fußstützeinlage
WO2006031444A2 (en) 2004-09-13 2006-03-23 David Kumle Footwear with removable insert
US7197840B2 (en) * 2005-02-25 2007-04-03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WO2007000758A1 (en) 2005-06-27 2007-01-04 Comodo Technologies Ltd. Automated shoe fitting using shoe and adapter system
US20070023955A1 (en) 2005-07-27 2007-02-01 Danny Ho Footware cushioning method
ES2733863T3 (es) 2005-07-29 2019-12-03 Bayer Consumer Care Ag Plantilla de soporte para arco
FR2889422B1 (fr) 2005-08-08 2007-12-07 Promiles Sa Ensemble chaussant compose d'une chaussure et d'une gamme de semelles de proprete interchangeables munies de protuberances amortissantes
US7600332B2 (en) * 2006-02-13 2009-10-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movable foot-supporting insert
US7610696B2 (en) 2006-03-06 2009-11-03 Munro & Company, Inc. Adjustable fit insole system for shoes
AT503640B1 (de) * 2006-04-13 2007-12-15 Weixelbaumer Kurt Udo Schuh
US7908772B2 (en) 2006-08-15 2011-03-22 Columbia Insurance Company Footwear with additives and a plurality of removable footbeds
US20080172904A1 (en) 2007-01-22 2008-07-24 David Pelsue Interchangeable midsole system for footwear
ITUD20070021A1 (it) * 2007-02-02 2008-08-03 Calzaturificio Dal Bello S R L Serie di calzature sportive, quali scarponi da sci, da snowboard o simili, di taglie differenti, combinazione fra due o piu serie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8205357B2 (en) 2008-05-29 2012-06-26 K-Swiss, Inc. Interchangeable midsole system
JP2011524234A (ja) 2008-06-17 2011-09-01 ドンソ ユニバーシティ テクノロジー ヘッドクォーターズ ダイエット靴底及びこれを備えた履物
US8458927B2 (en) * 2008-11-14 2013-06-11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e with interchangeable foreparts and heels
KR100992423B1 (ko) * 2010-06-29 2010-11-08 양철호 신발 밑창
US20120233890A1 (en) 2011-03-14 2012-09-20 Aaron David Ray Masters Interchangable insert and shoe base system
US8595956B2 (en) * 2011-09-29 2013-12-03 C. & J. Clark International Limited Footwear with elastic footbed cover and soft foam footbed
US9267819B2 (en) * 2014-06-12 2016-02-23 Mitutoyo Corporation Absolute position encoder scale having plates alternating with varying recess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4786A1 (en) 1984-04-17 1985-11-07 Gabriel Eber Shoe adapted to receive an inner sole
DE9207287U1 (ko) 1992-05-29 1992-07-30 Alsa Gmbh, 6497 Steinau, De
KR200201208Y1 (ko) * 1999-11-08 2000-11-01 황보국정 경도가변(硬度可變) 신발
WO2001082732A1 (en) 2000-05-01 2001-11-08 Kenton Geer Design Associates, Inc.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02387723A (zh) 2009-02-12 2012-03-21 派伯凯特鞋业有限公司 鞋和可拆卸的安全鞋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0276A1 (en) 2017-01-04
KR20160148570A (ko) 2016-12-26
US9521876B2 (en) 2016-12-20
AU2015244419B2 (en) 2018-03-29
EP3110276B1 (en) 2019-06-26
CN106102499A (zh) 2016-11-09
US20150289585A1 (en) 2015-10-15
AU2015244419A1 (en) 2016-09-15
WO2015156863A1 (en) 2015-10-15
US20150289590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185B1 (ko) 착탈형 인서트를 구비한 신발류 시스템
US11540593B2 (en) Sole system having movable protruding members
US11039657B2 (en) Dual layer sole system with auxetic structure
US8919015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exible groove
US9516917B2 (en) Sole system having protruding members
US997435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lots and method of making
US895008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ongue having holes
EP3185711B1 (en) Article with sole structure having multiple components
US20150289591A1 (en) Modular Articles With Customizable Sole Inserts
TW201713227A (zh) 具有槽之鞋底結構
US11503877B2 (en) Article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 with a central forefoot ridge element
US8677654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ongue of varying thickness
CN109068789B (zh) 具有沿着鞋底周界设置的感觉节点元件的鞋类物品和鞋底结构
US20200315292A1 (en) Article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 with sensory node elements disposed at discrete locations
US10058145B2 (en) Article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 with a central sensory node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