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698B1 -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 - Google Patents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698B1
KR102010698B1 KR1020180039556A KR20180039556A KR102010698B1 KR 102010698 B1 KR102010698 B1 KR 102010698B1 KR 1020180039556 A KR1020180039556 A KR 1020180039556A KR 20180039556 A KR20180039556 A KR 20180039556A KR 102010698 B1 KR102010698 B1 KR 10201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output
diode
circuit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국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는 제1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1차측 회로 및 변압기 양단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 제1 출력전압을 승압하여 제2 출력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 상기 변압기의 센터탭과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위치한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는 2차측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Single Inductor Multi-Output Converter}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DC/DC 컨버터의 변압기의 2차측 회로를 변경하여 하나의 출력 인덕터를 이용해 다중 출력을 만들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안전과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으로 차량에서 소모하는 전력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또한 CO2 배출 규제로 연비 개선을 위한 마일드 하이브리드(Mild hybrid) 차량 개발이 진행 중이다. 커져가는 전력공급을 위해 차량 전기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으며 관련 업계에서는 48 V 전기 시스템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기존 12 V 차량 납 베터리와 새로운 48 V 차량용 리튬이온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DC/DC 컨버터가 주목 받고 있다.
차량 전력변환 부품인 LDC는 높은 전력 밀도를 요구하고 있으며 관련 전기 제품의 고효율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풀-브리지 컨버터(Full-bridge converter)에 비해 스위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ZVS가 가능하며 출력 인덕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더블-엔디드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Double-ended 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의 회로는 LDC 출력 전압 14 V와 새로운 출력전압 48 V를 모두 얻기 위해 14 V 출력과 48 V 를 직렬로 연결한 컨버터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다중 출력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 회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출력 인덕터의 수가 증가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DC/DC 컨버터의 변압기의 2차측 회로를 변경하여 하나의 출력 인덕터를 이용해 다중 출력을 만들 수 있는 회로 구성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DC/DC 컨버터의 변압기의 2차측 회로를 변경하여 하나의 출력 인덕터를 이용해 다중 출력을 만들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는 제1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1차측 회로 및 변압기 양단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 제1 출력전압을 승압하여 제2 출력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 상기 변압기의 센터탭과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위치한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는 2차측 회로를 포함한다.
출력 인덕터와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의 한점과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의 한점 사이에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된다.
제3 스위치의 소스 단자와 제4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 사이의 한점에 다이오드 제3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가 연결된다.
제1 출력전압은 제3 스위치의 드레인, 출력 인덕터,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점과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제1 출력 커패시터와 제1 부하가 병렬로 연결된다.
제2 출력전압은 제4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4 스위치의 소스 단자 사이에 제2 출력 커패시터와 제2 부하가 연결된다.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가 오프(off)이고 제4 스위치가 온(on)인 경우, 제3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고, 제1 출력전압의 전압이 상승하는 파워링(powering) 동작을 수행한다.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가 모두 온(on)인 경우, 출력 인덕터에 에너지가 상승하는 빌드-업(build-up) 동작을 수행한다.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가 온(on)이고 제4 스위치가 오프(off)인 경우, 제4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고, 제2 출력전압이 상승하는 파워링(powering) 동작을 수행한다.
2차측 회로의 다이오드들은 스위치로 변경 가능하고, 2차측 회로의 스위치들은 다이오드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1차측 회로는 다른 회로 또는 전압원으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14V와 48V를 다중으로 제어하면서 출력 인덕터의 수를 줄 일수 있는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 회로는 하나의 출력인덕터를 사용해 제1 출력전압(14V)과 제2 출력전압(48V)에 전력을 전달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안 회로는 기존 회로 보다 출력 인덕터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출력 인덕터의 비용절감이 가능한 다중 출력 컨버터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의 출력 파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절연 타입의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절연 타입의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의 출력 파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비절연 타입의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1은 제1 출력전압(Vo1)(14V)과 제2 출력 전압(48V)을 출력하는 기존 컨버터의 회로이다. 1차측 회로(110)의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를 통해 2차측 회로(120)의 제1 출력전압(Vo1)이 제어되고, 제1 출력전압(Vo1)(14V)을 승압하여 높은 제2 출력전압(Vo2)(48V)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출력전압(Vo1)(14V)을 이용하여 제2 출력전압(Vo2)(48V)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출력 인덕터(Lo2)가 추가적으로 사용되게 되어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출력 컨버터 회로에서는 총 2개의 출력 인덕터(Lo1, Lo2)가 사용 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의 출력 파형이다.
도 2의 파형은 입력전압 360 V, 제1 출력전압(Vo1)[14 V/1.2 kW], 제2 출력전압(Vo2)[48 V/600 W] 급의 동작의 실시예 이다. 도 2(a) 파형은 스위치의 게이트 파형이다. 메인 스위치인 제1 스위치(S1)의 게이트 파형(Vg_S1)과 보조 스위치인 제2 스위치(S2)의 게이트 파형(Vg_S2)을 나타내었고,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S3)의 게이트 파형을 1/2의 배율로 낮춘 파형(Vg_S3/2)을 나타내었다. 1차측 회로의 스위치의 동작은 상호보완적(complementary)으로 스위칭 한다. 따라서, 제1 스위치(S1)가 온(on)인 경우, 제2 스위치(S2)는 오프(off)이며, 제2 스위치(S2)가 온(on)인 경우, 제1 스위치(S1)는 오프(off)로 동작한다.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S3)는 제2 출력 인덕터(Lo2)를 빌드-업(build-up) 시켜 제2 출력전압(Vo2)(48V)를 만들기 위해 스위칭 시킨다. 실시예로, 제3 스위치(S3)는 제1 스위치(S1)와 동시에 온 동작을 수행하고, 제2 출력전압(Vo2)(48V)을 제어하기 위한 듀티(Duty)를 인가 한 후, 오프 동작을 한다.
도 2(b)는 변압기의 누설(leakage) 전류 파형(I(Lr))과 자화(magnetizing) 인덕터의 전류 파형(I(Lm))이다. 메인 스위치인 제1 스위치(S1)와 보조 스위치인 제2 스위치(S2)의 동작에 따라 1차측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낸다.
1차측 회로의 스위치의 동작은 상호보완적으로 스위칭 하며, 제1 스위치(S1)가 온, 제2 스위치(S2)가 오프(off)인 경우, 전압원(Vs) - 누설 인덕터(Lr) - 자화 인덕터(Lm) - 제1 스위치(S1)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다음으로 제2 스위치(S2)가 온, 제1 스위치(S1)가 오프인 경우, 누설 인덕터(Lr)와 클램핑 커패시터(Cc)와의 공진이 발생하면서 클램핑 커패시터(Cc)의 충전이 이뤄지는 방향인 누설 인덕터(Lr)- 자화 인덕터(Lm) - 제2 스위치(S2) - 클램핑 커패시터(Cc)로 전류가 단시간 흐른다.
이후, 클램핑 커패시터의 방전이 일어나면서 변압기의 리셋(reset)되는 과정이 일어난다. 이는 클램핑 커패시터(Cc)의 충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클램핑 커패시터(Cc) - 제2 스위치(S2) - 자화 인덕터(Lm) - 누설 인덕터(Lr)로 전류가 흐른다.
변압기에 의해 2차측 회로로 전달된 전류는 2차측 회로의 제1 다이오드(D1), 제2 다이오드(D2)에 흐르게 되며 해당 파형은 도 2(c)의 I(D1), I(D2)로 나타내었다.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의 상호보완적인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1 스위치(S1)가 온, 제2 스위치(S2)가 오프인 경우 제1 다이오드(D1)로 전류가 전달되고, 제2 스위치(S2)가 온, 제1 스위치(S1)가 오프인 경우 제2 다이오드(D2)로 전류가 전달된다. 제1 다이오드(D1), 제2 다이오드(D2) 각각으로 전달된 전류는 제1 출력 인덕터(Lo1)로 흐르게 되며, 본 파형에서는 도 2(c)의 I(D1), I(D2) 전류와 겹치지 않도록 1/2 스케일의 파형(I(Lo1)/2)으로 나타내었다.
도 2(d)의 I(Lo2) 파형은 제2 출력 인덕터(Lo2)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 것이다.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S3)가 온인 경우, 제2 출력 인덕터(Lo2)는 빌드-업(build-up) 동작으로 에너지가 충전된다. 이후 제3 스위치(S3)가 오프인 경우, 제2 출력 인덕터(Lo2)의 충전된 에너지를 전력 전달하여 제2 출력전압(Vo2)(48 V)의 전압을 제어한다. 도 2(e) 및 도 2(f)의 파형은 각 스위치의 동작으로 목표 전압인 14V와 48V의 제어가 수행됨을 보여준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에서는 제1 출력전압(Vo1)(14V)와 제2 출력전압(Vo2)(48V)을 만들기 위해 두 개의 출력 인덕터(Lo1 및 Lo2)를 사용하였다. 하나의 출력 인덕터를 사용하는 회로와 비교해 두 개의 출력 인덕터를 사용하는 회로에서는 추가적인 인덕터의 사용에 따른 가격 상승이 단점으로 존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절연 타입의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절연 타입의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의 1차측 회로(310)는 기존 회로와 동일하며 2차측 회로(320)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2차측 회로의 구성은 변압기 양단에 제1 다이오드(D1)와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변압기 센터탭과 제4 다이오드(D4)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출력 인덕터(Lo)가 위치한다. 출력 인덕터(Lo)와 제4 다이오드(D4)의 애노드 단자 사이의 한점과 제1 다이오드(D1),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의 한점 사이에 제3 스위치(S3)와 제4 스위치(S4)가 직렬로 연결된다. 제3 스위치(S3)의 소스 단자와 제4 스위치(S4)의 드레인 단자 사이의 한점에 제3 다이오드(D3)의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출력전압(14V)의 경우, 제3 스위치(S3)의 드레인 단자, 출력 인덕터(Lo), 제4 다이오드(D4)의 애노드 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점과 제3 다이오드(D3)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제1 출력 커패시터(Co1)와 제1 부하(Ro1)가 병렬로 연결된다.
제2 출력전압(48V)의 경우, 제4 다이오드(D4)의 캐소드 단자와 제4 스위치(S4)의 소스 단자의 양단에 제2 출력 커패시터(Co2)와 제2 부하(Ro2)가 연결되어 있다.
제안회로는 1차측 회로의 제1 스위치(S1)와 제2 스위치(S2)를 통해 제1 출력전압(Vo1)(14V)이 제어되고,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S3)와 제4 스위치(S4)의 제어로 제2 출력전압(Vo2)(48V)을 생성한다. 기존 회로와 비교해 제안 회로의 특징은 출력 인덕터의 수를 두 개에서 하나로 줄이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절연 타입의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의 출력 파형이다.
도 4의 파형은 입력전압 360 V, 제1 출력전압(Vo1)[14 V/1.2 kW], 제2 출력전압(Vo2)[48 V/600 W] 급의 동작의 실시예 이다.
도 4(a) 파형은 스위치의 게이트 파형이다. Vg_S1, Vg_S2는 각각 메인 스위치인 제1 스위치(S1), 보조 스위치인 제2 스위치(S2)의 게이트 전압 파형이며 Vg_S3/2와 Vg_S4/4 파형은 각각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S3)와 제4 스위치(S4)의 게이트 전압을 1/2과 1/4의 배율로 변경한 파형이다.
도 4(b)의 I(Lr) 파형은 변압기의 누설 전류 파형이고, I(Lm) 파형은 자화 인덕터의 전류 파형이며, I(Lr)과 I(Lm)의 전류의 차이가 턴 비(Turns ratio)에 의해 곱해져 변압기의 2차측 회로로 전달 된다. 메인 스위치인 제1 스위치(S1)가 온일 때, 2차측 회로로 넘어온 전류는 제1 다이오드(D1)을 타고 흐르며, 보조 스위치인 제2 스위치(S2)가 온일 때, 2차측 회로로 넘어온 전류는 제2 다이오드(D2)를 타고 흐른다.
도 4(c)의 (I(D3)와 I(D4)는 각각 제1 출력전압(Vo1)(14V)과 제2 출력전압(Vo2)(48V)의 파워링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첫번째 스위치 게이트 파형을 통해 2차측 회로의 스위치의 동작은 3가지로 구분된다.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S3)가 오프이고 제4 스위치(S4)가 온인 경우, 제3 다이오드(D3)에 전류가 흐르며 제1 출력전압(Vo1)(14V)측 전압이 상승하는 파워링 동작을 수행한다. 제3 스위치(S3)와 제4 스위치(S4)가 모두 온인 경우는 출력 인덕터(Lo)에 에너지가 상승하는 빌드-업(build-up) 동작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3 스위치(S3)가 온이고 제4 스위치(S4)가 오프인 경우, 제4 다이오드(D4)에 전류가 흐르며 제2 출력전압(Vo2)(48V)측 전압이 상승하는 파워링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비절연 타입의 다중 출력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제안하는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의 1차측 회로는 도 3의 1차측 회로와는 다른 회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전압원으로 변경 가능하여,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비절연 타입의 다중 출력 컨버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2차측 회로의 다이오드들은 스위치로 변경할 수 있고, 2차측 회로의 스위치들은 다이오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14V와 48V를 다중으로 제어하면서 출력 인덕터의 수를 줄 일수 있는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 회로는 하나의 출력인덕터를 사용해 제1 출력전압(14V)과 제2 출력전압(48V)에 전력을 전달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안 회로는 기존 회로 보다 출력 인덕터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출력 인덕터의 비용절감이 가능한 다중 출력 컨버터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제1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1차측 회로; 및
    변압기 양단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 제1 출력전압을 승압하여 제2 출력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 상기 변압기의 센터탭과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위치한 출력 인덕터를 포함하는 2차측 회로
    를 포함하고,
    출력 인덕터와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의 한점과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의 한점 사이에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는
    다중 출력 컨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3 스위치의 소스 단자와 제4 스위치의 드레인 단자 사이의 한점에 다이오드 제3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다중 출력 컨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출력전압은 제3 스위치의 드레인, 출력 인덕터,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점과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제1 출력 커패시터와 제1 부하가 병렬로 연결되는
    다중 출력 컨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제2 출력전압은 제4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제4 스위치의 소스 단자 사이에 제2 출력 커패시터와 제2 부하가 연결되는
    다중 출력 컨버터.
  6. 제1항에 있어서,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가 오프(off)이고 제4 스위치가 온(on)인 경우, 제3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고, 제1 출력전압의 전압이 상승하는 파워링(powering) 동작을 수행하는
    다중 출력 컨버터.
  7. 제1항에 있어서,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가 모두 온(on)인 경우, 출력 인덕터에 에너지가 상승하는 빌드-업(build-up) 동작을 수행하는
    다중 출력 컨버터.
  8. 제1항에 있어서,
    2차측 회로의 제3 스위치가 온(on)이고 제4 스위치가 오프(off)인 경우, 제4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고, 제2 출력전압이 상승하는 파워링(powering) 동작을 수행하는
    다중 출력 컨버터.
  9. 제1항에 있어서,
    2차측 회로의 다이오드들은 스위치로 변경 가능하고, 2차측 회로의 스위치들은 다이오드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1차측 회로는 다른 회로 또는 전압원으로 변경 가능한
    다중 출력 컨버터.
KR1020180039556A 2018-04-05 2018-04-05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 KR102010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56A KR102010698B1 (ko) 2018-04-05 2018-04-05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56A KR102010698B1 (ko) 2018-04-05 2018-04-05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698B1 true KR102010698B1 (ko) 2019-08-13

Family

ID=6762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556A KR102010698B1 (ko) 2018-04-05 2018-04-05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6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736A (ja) * 1991-07-18 1993-02-05 Murata Mfg Co Ltd スイツチング電源装置
US20100067259A1 (en) * 2008-09-17 2010-03-18 Delta Electronics, Inc. Forward-flyback converter with active-clamp circuit
KR20100052336A (ko) * 2008-11-10 2010-05-1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대칭 입력전압형 dc-dc 컨버터
KR20150042375A (ko) * 2013-10-10 2015-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칭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US20150188440A1 (en) * 2010-10-24 2015-07-02 Microsemi Corporation Multiple output synchronous power conver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736A (ja) * 1991-07-18 1993-02-05 Murata Mfg Co Ltd スイツチング電源装置
US20100067259A1 (en) * 2008-09-17 2010-03-18 Delta Electronics, Inc. Forward-flyback converter with active-clamp circuit
KR20100052336A (ko) * 2008-11-10 2010-05-1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대칭 입력전압형 dc-dc 컨버터
US20150188440A1 (en) * 2010-10-24 2015-07-02 Microsemi Corporation Multiple output synchronous power converter
KR20150042375A (ko) * 2013-10-10 2015-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칭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재국 외. "영전압 스위칭 다중 출력 포워드 컨버터".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2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3888B2 (en) Multiple-input DC-DC converter
WO2014192290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979291B2 (en) Inverter apparatus
KR20160117239A (ko)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776770B1 (ko) 직류 변환 장치 및 직류 변환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6081263A (ja)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Guepfrih et al. Unidirectional step-up DC–DC converter based on interleaved phases, coupled inductors, built-in transformer, and voltage multiplier cells
US20160172984A1 (en) Electric power conversion system
KR20190113090A (ko) 전기자동차 전력 시스템
Bhatt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solated snubber bas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da Costa et al. High-gain Boost-Boost-Flyback converter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applications
KR102005880B1 (ko) Dc-dc 변환 시스템
KR102010698B1 (ko) 하나의 인덕터를 가진 다중 출력 컨버터
US102394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w voltage direct current converter for eco-friendly vehicle
JP7189191B2 (ja) 電源制御装置
KR102049840B1 (ko) 낮은 자화 전류 오프셋을 갖는 zvs 액티브 클램프 다중 출력 컨버터
KR102154321B1 (ko) 듀얼 배터리 충전기
KR101779924B1 (ko) Dc-dc 컨버터
JP2010206933A (ja) 電力供給装置
Zong et al. High‐power bidirectional resonant DC–DC converter with equivalent switching frequency doubler
Banaei et al. A bidirectional high voltage ratio DC–DC topology for energy storage systems in microgrid
KR102009911B1 (ko) 고효율 다중 출력 직류 변환기
KR102154316B1 (ko) 하이브리드 전원 전기자동차 파워 시스템
KR101980010B1 (ko) 낮은 도통 손실과 낮은 자화 전류 오프셋을 가진 고효율 다중 출력 포워드 컨버터
KR102642468B1 (ko) 새로운 zvs 풀 브리지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