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501B1 -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501B1
KR102010501B1 KR1020180159475A KR20180159475A KR102010501B1 KR 102010501 B1 KR102010501 B1 KR 102010501B1 KR 1020180159475 A KR1020180159475 A KR 1020180159475A KR 20180159475 A KR20180159475 A KR 20180159475A KR 102010501 B1 KR102010501 B1 KR 10201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op plate
coupler
lin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식
Original Assignee
정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삼식 filed Critical 정삼식
Priority to KR102018015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선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장상판; 상기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들에 삽입되어 상기 인장선을 상기 인장상판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웨지들; 상기 인장상판의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의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고 인장잭으로부터 인장력을 제공받아 상기 커플러를 이동시키는 텐션바;를 포함하는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SCREW TYPE RESTRAIN APPARATU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등의 보강을 위해 설치된 그라운드 앵커(Anchor)를 인장하여 긴장력을 강화하는 시공에 사용되는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라운드 앵커는 지반의 과도한 변위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강용 구조체이다. 그라운드 앵커는 각종 구조물이나 옹벽의 지지와 보강을 비롯하여, 사면의 붕괴방지 및 안정화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는 PC 강연선 등이 인장선으로서 사용되고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라우팅(Grouting) 공법에 의해 주입된 시멘트 페이스트 등에 의해 정착되어 긴장력(Prestress)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앵커는 지반 내로 삽입된 인장재(3)를 포함하고, 인장재(3)의 바깥쪽 끝부분은 지반의 외부로 노출되는 소정의 지압판(2) 상에 설치된 정착구인 앵커헤드(Anchor head)(1)와 연결되어 있다. 인장재(3)의 안쪽 끝부분으로부터 정해진 구간에는 긴장력을 지반과의 마찰저항 또는 지압저항에 의해 지반에 전달하는 저항체 부분인 앵커체(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그라운드 앵커는 시공 후 시간경과에 따라 인장선의 릴렉세이션,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지반의 변형 등의 조건 변화에 의해 인장선의 잔존 긴장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재긴장하는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그라운드 앵커의 긴장력을 보정하는 재긴장 시공은 앵커헤드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탭(Screw tap)에 재긴장 장치를 나사결합하고 잭(Jack)과 같은 가력장치를 이용하여 앵커헤드 및 인장선을 인장하고 앵커헤드와 지압판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정착 쐐기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재긴장 시공은 초기 긴장력이 주어진 다음 통상 10여년 정도의 오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수행되므로 앵커헤드의 나사탭이 노후되어 재긴장 장치와의 결합이 불가능하거나 작업도중 결합이 해제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 강선은 설치 후 사용시간이 오래될수록 앵커헤드로부터 탈락되거나 노후화에 의해 부식이 되어 쉽게 절단될 수 있는 취약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인장 강선을 앵커헤드에 고정하는 쐐기(웨지)가 앵커헤드에서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탈락되거나 앵커헤드 자체가 지압판에서 완전히 탈락되어 인장 강선이 쉽게 분리됨에 따라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텐션바를 간편히 앵커헤드와 연결하여 인장 시공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장상판에 고정웨지를 쉽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인장선과 인장상판 간의 결합 및 해체가 편리한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선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장상판; 상기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들에 삽입되어 상기 인장선을 상기 인장상판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웨지들; 상기 인장상판의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의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고 인장잭으로부터 인장력을 제공받아 상기 커플러를 이동시키는 텐션바;를 포함하는 인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그라운드 앵커의 앵커헤드 위에 겹쳐지게 배치되고 상기 인장선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장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상판과 상기 인장밑판 사이에는 용수철 형태의 탄성지지체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텐션바의 후단을 통해 나사결합되고 상기 인장잭으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을 상기 텐션바에 전달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앵커헤드 밑에 위치하는 지압판 위에 올려지도록 배치되는 받침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잭은 상기 받침통 위에 설치되고 플런저의 전진 시 상기 너트부재를 밀어서 상기 텐션바를 후방으로 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체결공 사이의 내주면이 상기 암나사부에 비해 작은 내경이 되게 단차가 져서 형성된 여유장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선을 통과시키면서 앵커헤드 위에 올려지도록 인장밑판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인장밑판의 상방에서 상기 인장선을 통과시키고 외주면 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인장상판을 배치하고, 상기 인장상판과 상기 인장선 사이에 고정웨지를 끼워 넣어 상기 인장선을 상기 인장상판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인장상판의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텐션바를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텐션바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플러를 상기 인장상판에 나사결합하여 커플링하는 단계; (e) 상기 앵커헤드 밑에 위치하는 지압판 위에 올려지도록 상기 지압판 위에 받침통을 배치하는 단계; (f) 상기 받침통 위에 가력장치로서 인장잭을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텐션바의 후단을 통해 너트부재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인장잭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h) 상기 인장잭을 작동시켜 유압으로 상기 너트부재를 밀어서 상기 너트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i) 상기 너트부재에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상기 텐션바 및 상기 커플러를 당겨서 상기 인장상판, 상기 인장밑판 및 상기 앵커헤드에 긴장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 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인장상판의 하단에는 용수철 형태의 탄성지지체가 연결되어 상기 인장상판과 상기 인장밑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장상판을 눌러서 상기 탄성지지체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장상판과 상기 인장선 사이에 고정웨지를 끼워 넣어 상기 인장선을 상기 인장상판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커플러를 인장 상판에 스크류 결합함으로써 간편히 텐션바를 앵커헤드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인장상판을 눌러서 탄성지지체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고정웨지를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인장선과 인장 상판 간의 장착 및 해체가 편리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를 이용한 인장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는 외주면 둘레에 수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인장상판(10)과, 인장상판(10)의 수나사부(12)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도 7의 21)가 내주면에 형성된 커플러(20)와, 커플러(20)의 중심에 형성된 체결공(23)에 결합된 텐션바(24)와, 그라운드 앵커의 앵커헤드(1) 위에 겹쳐지게 배치되는 인장밑판(40)과, 인장상판(10)과 인장밑판(40) 사이에 개재되는 용수철 형태의 탄성지지체(30)를 포함한다.
인장상판(10)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연장되어 형성된 수나사부(12)를 구비한다. 수나사부(12)는 나사산의 끝부분이 절삭되어 실질적으로 각나사를 이룸으로써 나사산의 손상없이 고인장력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상판(10)에는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선(3)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3)들이 센터를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장선 체결공(11)들은 인장상판(10)의 설치시를 기준으로 하면으로부터 상면으로 가면서 점차 구경이 커지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웨지(13)들은 인장상판(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11)들에 삽입되어 인장선(3)을 인장상판(10)에 고정한다. 고정웨지(13)들은 인장선 체결공(11)에 인장선(3)이 끼워진 상태에서 인장선 체결공(11)에 끼워진다. 각각의 고정웨지(13)는 하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가 진 2~3개의 분할편들로 이루어진다.
커플러(20)는 일면이 개방된 컵 형상의 부재로서 인장상판(10)의 수나사부(12)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21)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후단의 중심에는 체결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21)의 나사산은 커플러(2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커플러(20)의 내부에는 암나사부(21)와 체결공(23) 사이의 내주면이 암나사부(21)에 비해 작은 내경이 되게 단차가 져서 형성된 공간인 여유장 수용부(22)가 구비되어, 커플러(20)의 내부에서 인장선(3)의 끝부분과 커플러(2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바(24)는 인장잭(60)으로부터 인장력을 제공받아 커플러(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텐션바(24)는 커플러(20)의 체결공에 나사결합 등으로 체결되어 실질적으로 일체화가 된다. 텐션바(24)의 뒷부분에는 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어 후단을 통해 너트부재(26)가 나사결합된다. 너트부재(26)는 인장잭(60)으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을 텐션바(24)에 전달한다.
인장밑판(40)은 그라운드 앵커의 앵커헤드(1) 위에 겹쳐지게 배치되고 상기 인장선(3)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장선 관통공(41)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밑판(40)의 하면에는 앵커헤드(1)와 끼워맞춤될 수 있는 단차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인장밑판(40)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 제1면 및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 및 제2면 중 어느 하나에는 최외곽 테두리단에 인접한 아우터부와 상기 아우터부에 비해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아우터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단차가 져서 앵커헤드를 수용할 수 있는 이너부를 구비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장선(3)이 당겨진 상태에서 앵커헤드(1)에 체결된 고정웨지(5)들은 인장선(3)의 당겨진 길이만큼 위로 끌어당겨져서 들린 상태가 되므로 상기 이너부에는 오목하게 단차가 진 구조(미도시)가 추가되어 고정웨지(5)들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지지체(30)는 용수철 형태로 이루어진 스프링으로서 인장상판(10)의 하단에 그 상단이 용접되어 연결되고 그 하단은 인장밑판(40)의 상면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인장상판(10)이 하방으로 눌렸을 때 탄성지지체(30)는 압축되어 인장밑판(40)을 하방으로 밀착시키는 동시에 인장상판(10)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지지체(30)는 인장선(3)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인장상판(10) 및 탄성지지체(30)의 조립체를 인장밑판(40) 위에 올려 놓았을 때 인장선(3)의 끝부분은 인장상판(10)을 통과하여 인장상판(10)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이 설치작업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인장상판(10) 및 탄성지지체(30)의 조립체 높이는 인장밑판(40)의 바깥으로 노출된 인장선(3)의 길이보다 낮게 설계된다.
인장잭(도 8의 60)은, 커플러(20)를 둘러싸면서 지압판(2) 위에 올려지는 받침통(도 8의 50) 위에 배치되어 앵커헤드(1)를 지압판(2)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한 인장력을 제공한다.
인장잭(60)이 작동하여 유압에 의해 플런저(61)가 전진하면 너트부재(26)를 밀어서 텐션바(24) 및 커플러(20)에 인장력을 가하고, 이에 따라 커플러(20)는 인장상판(10)과 일체로 인장선(3)을 당기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를 이용한 인장 시공방법을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판(2) 위에는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시 설치된 앵커헤드(1)가 미리 배치되어 있다. 앵커헤드(1)는 지반 내로 삽입된 인장선(3)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정착구이다. 앵커헤드(1)는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 시 기설치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를 이용한 인장 시공의 대상이 된다. 앵커헤드(1)는 원형의 외주면을 가진 강체 블록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원반 형태를 이룬다. 앵커헤드(1)에는 인장선(3)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1a)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장선 체결공(1a)들은 인장밑판(40)의 설치시를 기준으로 하면으로부터 상면으로 가면서 점차 구경이 커지게 형성되어 있다. 인장선 체결공(1a)에 인장선(3)이 끼워진 상태에서 인장선 체결공(1a)의 내부에는 하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가 진 2~3개의 분할편들로 이루어진 고정웨지(5)들이 끼워져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웨지(5)들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일부가 탈락되거나 부식, 노후 상태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장선(3)은 앵커헤드(1)의 인장선 체결공(1a)을 통과하여 소정 길이가 외부로 노출된다. 인장선(3)이 통과된 상태에서 인장선(3)과 앵커헤드(1)의 인장선 체결공(1a) 사이의 간극에는 고정웨지(5)가 끼워져서 인장선(3)을 앵커헤드(1)와 체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밑판(40)을 앵커헤드(1) 위에 겹쳐지게 배치한다. 이때, 인장선(3)은 인장밑판(40)에 형성된 인장선 관통공(3)을 통과하여 인장밑판(40)의 상부로 여유장이 노출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상판(10)과 탄성지지체(30)의 조립체를 인장밑판(40) 위에 배치한다. 이때, 탄성지지체(30)는 인장선(3)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인장선(3)은 인장상판(10)에 형성된 인장선 체결공(3)을 관통하여 소정 길이 노출된다. 인장상판(10)은 탄성지지체(30)에 의해 지지되므로, 여유장이 십여 내지 수 십 센티미터인 인장선(3)과도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인장선(3)은 인장상판(10)에 형성된 인장선 체결공(3)을 관통하고, 인장선(3)과 인장상판(10)의 인장선 체결공(3) 사이의 간극에는 고정웨지(13)를 끼워 넣어 인장선(3)을 인장상판(10)과 체결한다. 고정웨지(13)의 설치 시에는, 인장상판(10)을 눌러서 그 하부의 탄성지지체(30)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인장상판(10)과 인장선(3) 사이의 간극에 고정웨지(13)를 끼워 넣어 인장선(3)을 인장상판(10)에 체결하여 인장상판(10)이 인장선(3)과 탄성에 의해 긴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상판(10)이 눌려서 탄성지지체(30)가 압축된 상태에서, 인장밑판(40)은 탄성지지체(30)의 탄성에 의해 압박되어 앵커헤드(1)의 고정웨지(5)를 탄성적으로 눌러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20)의 후단 중심에 텐션바(24)가 조립된 상태에서 텐션바(24)를 잡고 커플러(20)를 인장상판(10)에 나사결합하여 일체화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20)를 둘러싸도록 지압판(2) 위에 받침통(50)와 인장잭(60)을 차례대로 설치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바(24)의 후단을 통해 너트부재(26)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 준비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장잭(60)을 작동시키면 유압에 의해 플런저(61)가 전진하면서 너트부재(26)를 밀어서 텐션바(24), 커플러(20), 인장상판(10), 인장밑판(40) 및 앵커헤드(1)를 일괄적으로 후방으로 당기는 인장력을 가한다. 이때, 커플러(20)는 인장상판(10)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된다. 커플러(20)와 인장상판(10)은 일체를 이루고, 통상 수십톤의 인장력이 가해지는 인장(또는 재긴장) 시공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인장선(3)을 당기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인장선(3)이 당겨진 상태에서 앵커헤드(1)에 체결된 고정웨지(5)들은 인장선(3)의 당겨진 길이만큼 위로 끌어당겨져서 들린 상태가 된다. 또한, 인장잭(60)의 작동을 해제하여 인장선(3)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고정웨지(5)들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인장선(3)의 인장 상태가 고정된다. 이때, 고정웨지(5)들은 탄성지지체(30)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서 균일한 속도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플러(20)를 인장상판(10에 나사결합하여 인장 장치를 앵커헤드(1)에 연결하여 인장 시공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앵커헤드 2: 지압판
3: 인장선 10: 인장상판
11,41: 인장선 체결공 12: 수나사부
5,13: 고정웨지 20: 커플러
21: 암나사부 24: 텐션바
26: 너트부재 30: 탄성지지체
40: 인장밑판 50: 받침통
60: 인장잭

Claims (6)

  1.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선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장상판;
    상기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들에 삽입되어 상기 인장선을 상기 인장상판에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웨지들;
    상기 인장상판의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의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고 인장잭으로부터 인장력을 제공받아 상기 커플러를 이동시키는 텐션바;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 앵커의 앵커헤드 위에 겹쳐지게 배치되고 상기 인장선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인장선 체결공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장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상판과 상기 인장밑판 사이에는 용수철 형태의 탄성지지체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바의 후단을 통해 나사결합되고 상기 인장잭으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을 상기 텐션바에 전달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앵커헤드 밑에 위치하는 지압판 위에 올려지도록 배치되는 받침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잭은 상기 받침통 위에 설치되고 플런저의 전진 시 상기 너트부재를 밀어서 상기 텐션바를 후방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체결공 사이의 내주면이 상기 암나사부에 비해 작은 내경이 되게 단차가 져서 형성된 여유장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5. (a) 그라운드 앵커의 인장선을 통과시키면서 앵커헤드 위에 올려지도록 인장밑판을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인장밑판의 상방에서 상기 인장선을 통과시키고 외주면 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인장상판을 배치하고, 상기 인장상판과 상기 인장선 사이에 고정웨지를 끼워 넣어 상기 인장선을 상기 인장상판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인장상판의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의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텐션바를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텐션바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플러를 상기 인장상판에 나사결합하여 커플링하는 단계;
    (e) 상기 앵커헤드 밑에 위치하는 지압판 위에 올려지도록 상기 지압판 위에 받침통을 배치하는 단계;
    (f) 상기 받침통 위에 가력장치로서 인장잭을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텐션바의 후단을 통해 너트부재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인장잭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h) 상기 인장잭을 작동시켜 유압으로 상기 너트부재를 밀어서 상기 너트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i) 상기 너트부재에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상기 텐션바 및 상기 커플러를 당겨서 상기 인장상판, 상기 인장밑판 및 상기 앵커헤드에 긴장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인장상판의 하단에는 용수철 형태의 탄성지지체가 연결되어 상기 인장상판과 상기 인장밑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장상판을 눌러서 상기 탄성지지체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장상판과 상기 인장선 사이에 고정웨지를 끼워 넣어 상기 인장선을 상기 인장상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80159475A 2018-12-11 2018-12-11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75A KR102010501B1 (ko) 2018-12-11 2018-12-11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475A KR102010501B1 (ko) 2018-12-11 2018-12-11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501B1 true KR102010501B1 (ko) 2019-08-13

Family

ID=6762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475A KR102010501B1 (ko) 2018-12-11 2018-12-11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5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945A (ja) * 2008-07-08 2010-01-28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既設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および荷重測定方法、ならびにヘッド部
KR20120064767A (ko) * 2010-12-10 2012-06-20 신우특수건설 (주) 다수의 인장재를 구비한 영구 앵커의 정착구, 이를 재인장 하는 데 사용되는 재인장용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945A (ja) * 2008-07-08 2010-01-28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既設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および荷重測定方法、ならびにヘッド部
KR20120064767A (ko) * 2010-12-10 2012-06-20 신우특수건설 (주) 다수의 인장재를 구비한 영구 앵커의 정착구, 이를 재인장 하는 데 사용되는 재인장용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713B1 (ko) 쐐기 어셈블리의 구조가 개선된 다목적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긴장 시공방법
KR102149489B1 (ko) 인장장치용 웨지 압착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083702B2 (ja) Pc鋼材の接続方法及び橋梁の拡幅方法
KR101955573B1 (ko) 그라운드앵커의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운드앵커의 재긴장 시공방법
JP2009102928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定着頭部構造および緊張解除方法
KR102010501B1 (ko) 스크류 타입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17007A (ko) 다목적 재긴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33261B1 (ko) 웨지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긴장 시공방법
KR102007935B1 (ko) 앵커 재긴장 장치
JP4311748B2 (ja) 緊張材定着具及び緊張材定着方法
KR100739941B1 (ko) 어스앵커 설치 및 재인장용 간격유지기구
KR101055175B1 (ko) 인장케이블 재인장 구조 및 공법
KR101284142B1 (ko) 어스앵커용 인장장치
KR20200071587A (ko)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긴장 시공방법
JP3983374B2 (ja) 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および再緊張用治具
KR20100101901A (ko) 제거식 앵커
KR102100387B1 (ko) 앵커 재긴장 방법
KR100823603B1 (ko) 영구앵커체
KR20130005341A (ko) 어스앵커의 인장용 오토웨지스프링 정착기
KR102118120B1 (ko) 재긴장이 가능한 정착장치 및 정착방법
KR20200055558A (ko)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헤드 및 이를 이용한 재긴장 시공방법
KR200372851Y1 (ko) 강연선 재인장 구조
KR20170002776U (ko) 다목적 재긴장 장치
KR20200034444A (ko) 그라운드 앵커의 보강을 통한 재긴장 시공방법
KR200421375Y1 (ko) 영구앵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