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400B1 - Multi PCB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Multi PCB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400B1
KR102010400B1 KR1020180070942A KR20180070942A KR102010400B1 KR 102010400 B1 KR102010400 B1 KR 102010400B1 KR 1020180070942 A KR1020180070942 A KR 1020180070942A KR 20180070942 A KR20180070942 A KR 20180070942A KR 102010400 B1 KR102010400 B1 KR 102010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ase
substrates
input devic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대연
오석남
이승아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4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Abstract

Disclosed is a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ards. A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tton unit; at least one intermediate board interposed between two boards vertically facing each other in a case; and two or more position determining guide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case so as to vertically arrange boards in a designed position. Position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edges of each board b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etermining guides. At least a part of each position determining guide is made of an elastically changeable flexible materi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a position devi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neighboring boards can be absorbed.

Description

다층기판 입력장치{Multi PCB Input device}Multi PCB Input Device

본 발명은 다층기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 온/오프 조작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며 장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안에 상기 버튼 조작에 따라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둘 이상 복수의 기판이 상하 적층형으로 배열된 구조의 다층기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in particular two or more substrates having a button for the switch on / off operation to generate a corresponding outpu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button operation in the case forming the device appearance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having a structure arranged in a vertical stack.

전기회로의 개폐나 접속상태를 변경하는 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스위치이다. 스위치는 작동방식에 따라 누름 입력 스위치(Push switch), 회전 입력 스위치(Rotary switch),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 풀 스위치(Pull switch) 등으로 구분되며, 그 중에서도 누름 입력 스위치(Push switch)는 스위치 버튼을 눌러 스위치 온/오프를 구현하는 스위치이다.A switch is generally used to change the opening and closing of an electric circuit or to change a connection state. Switches are divided into push switch, rotary switch, tumbler switch, pull switch, etc. Among them, push switch Press the switch button to switch on / off.

누름 입력 스위치(Push switch)의 일반적인 구성은, 스위치 조작을 위한 물리적인 힘(사용자에 의한 누름 조작력)이 입력되는 버튼부와, 상기 물리적인 힘에 의한 버튼부의 기구적인 움직임에 따라 기판 상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점을 갖는 기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조립되고 기판부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The general configuration of a push switch includes a button unit to which a physical force (push operation force by a user) for operating a switch is input, and a switching signal on a substrate according to the mechan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by the physical force. It includes a substrate portion having a contact for generating a, the button portion is assembled and has a case for protecting the substrate portion.

누름 입력 스위치는 구조적으로, 하나의 기판 상에 마이콤을 비롯해 복수의 전기 소자를 실장시킨 구성의 단일기판 구조와, 복수의 기판을 하나의 케이스 안에 실장시킨 구성의 다층기판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층기판 구조는 최근의 시장 요구에 맞춰 스위치의 기능성을 확장시키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push input switch may be structurally divided into a single substrat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 elements including a microcomputer on one substrate, and a multilayer substrat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mounted in one case. Among them, the multilayer board structure has an advantage of extending the functionality of the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market demand.

다층기판 구조의 경우 전체적인 장치의 소형화 및 콤팩트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보통 케이스 안에 여러 장의 기판을 아래 위 적층식으로 배열하는 구성을 채택하며, 복수의 기판이 하나의 케이스 안에서 정해진 위치에 회전이나 수평방향에 대한 틸팅 없이 안정적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수단이 보편적으로 적용된다.In the case of multi-layer board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the miniaturization and compactness of the whole device, it adopts a configuration in which several boards are stacked up and down in a case, and a plurality of boards are rotated or horizontal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one case. The means for guiding a stable seat without tilting is universally applied.

도 1a는 종래 다층기판 입력장치(스위치)의 개략 평단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다층기판 입력장치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단면도이다.1A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switch), and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of FIG.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다층기판 입력장치의 케이스(1)에는 둘 이상 복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2)가 형성된다. 위치 결정 가이드(2)는 케이스(1)에 대한 복수의 기판(3a~3c)이 하나의 케이스 안에서 정해진 위치에 회전이나 수평방향에 대한 틸팅 없이 안정적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하고, 기판 조립 시 그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1A and 1B, 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2 are formed in a case 1 of a conventional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The positioning guide 2 allows the plurality of substrates 3a to 3c with respect to the case 1 to be stab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one case without rotation or til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serves to guide the location.

각각의 기판(3a~3c)은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2)에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고정홈(4)을 구비하며, 아래 위로 이웃하는 기판들은 커넥터(5)를 통해 상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2)는 케이스(1)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가 플라스틱 사출물인 경우, 케이스와 같은 재질로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다.Each of the substrates 3a to 3c has a fixing groove 4 corresponding to engage with the positioning guide 2, and the neighboring substrates up and dow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5. Is connected. The positioning guide 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1. For example, when the case is a plastic injection molding, the cas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case.

위치 결정 가이드(2)와 고정홈(4), 그리고 커넥터(5)의 위치는 케이스에 대한 기판의 원활한 조립을 위해 규정된 공칭 치수로부터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약간의 오차(허용 공차)를 가지도록 설계 제작된다. 때문에 다층기판 구조에서는 제품 조립 시 위치 결정 가이드와 고정홈 간 공차 누적과 대응되는 커넥터 간 위치 편차로 인하여 조립 불량 및 커넥터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The positioning of the positioning guide 2, the fixing groove 4, and the connector 5 is such that there is a slight error (tolerance) within the allowable range from the nominal dimensions defined for the smooth assembly of the substrate to the case.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refore, in the multilayer board structure, assembly failure and connector damage may occur due to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of tolerances between the positioning guide and the fixing groove when the product is assembled.

부연 설명하면, 케이스 측 위치 결정 가이드에 대한 상하 배열되는 기판 측 고정홈 사이의 누적공차 및 이웃하는 기판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간 위치 편차(d1, d2) 때문에, 기판 간 수평방향 정렬도가 틀어져 제품 조립 시 케이스에 기판이 꽉 끼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기판 간 수평방향 정렬도가 틀어진 상태에서 커넥터 간 억지조립으로 커넥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In detail, the horizontal alignment between the boards is due to the accumulated toler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ard-side fixing grooves with respect to the case-side positioning guide and the positional deviations d1 and d2 between the connectors that electrically connect neighboring boards. When the product is assemb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ard is tightly caught in the case, or the connector is damaged due to interference assembly between the connectors while the horizontal alignment between the boards is distorted.

또한, 누적공차로 수평방향에 대한 조립 여유가 없어져 케이스에 기판이 꽉 끼는 현상이 발생하면, 외부에서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 케이스 내 기판에 그 충격이 고스란히 전가되어 기판이 손상되거나 커넥터 단자가 파손될 수 있으며, 부품 교체를 위해 기판을 탈거할 때도 곤란함이 수반되고 그 과정에서 커넥터 단자가 파손될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re is no assembly margi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e accumulated tolerance, the board may be stuck to the case. When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shock is transferred to the board inside the case and the board is damaged or the connector terminal is It may be damaged,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board for component replacement, and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to the connector terminal in the process.

일본공개특허 제2017-157462호 (공개일 2017.09.07)Japanese Laid-Open Patent No. 2017-157462 (published 2017.09.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판과 케이스 사이의 허용공차 누적(누적공차) 및 기판 상의 커넥터 간 위치 편차에 따른 억지조립과 그에 따른 커넥터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다층기판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assembly of the tolerance due to the accumulated tolerance (cumulative tolera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ase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 on the substrate and the damage to the connector accordingly Is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진동이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 진동이나 충격이 케이스를 통해 기판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도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다층기판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suppress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s or shocks to the substrate through the case when external vibrations or external shocks are appli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It is to provide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that can b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버튼부를 포함하며 케이스 내에서 상하로 대향 배치되는 두 개의 기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기판이 존재하고, At least one intermediate substrate exists between two substrates including a button portion and disposed to face up and down in the case,

상기 케이스의 내측 주면에는 정해진 위치에 기판들을 상하로 정렬시키기 위한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가 형성되며, 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are formed on the inner main surface of the case to align the substrates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에 대응하여 각각의 기판 가장자리에는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되, 각 위치 결정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기판 사이의 수평방향 위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를 제공한다.Positioning grooves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substrat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guides, and at least a portion of each positioning guid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bsorb horizontal positional deviations between neighboring substrates. It provides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는,More specifically, the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 커버와 결합하여 내부에 실장 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스;A case coupled to the lower cover to form a mounting space therein;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부;A button unit coupled to the upper case;

상기 케이스의 내측 주면에 케이스의 높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 및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formed on the inner main surface of the case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se; And

상기 케이스와 하부 커버 결합에 의한 실장 공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 적층식 배열을 이루도록 실장되는 둘 이상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며,And at least two substrates mounted in a mounting space formed by coupling the case and the lower cover to form a vertically stacked arrangemen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기판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에 대응하여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고,Position fixing grooves are formed at each edge of the substrat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ing guide,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positioning guides may be configur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 각각은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판 중 최상단 기판이 고정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기판이 고정되는 부분의 재질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ositioning guides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ose material is the portion where the remaining substrate is fixed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uppermost substrate is fixed among the plurality of substrates installed in the c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상단 기판이 고정되는 부분을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여 수평방향에 대해 움직임이 없이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아래에 위치한 다른 기판이 고정되는 부분을 연질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가 탄성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커넥터 간 위치 편차에 대응하여 기판이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uppermost substrate is fixed to a part made of hard plastic so as to be stably fixed to the case without movem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ower substrate is fixed to a soft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positioning guide so that the substrate can flow in a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ositioning guide is elastically changeab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내에서 기판이 정해진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과 맞물리는 부분의 위치 결정 가이드 표면에는 탄성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one or more elastic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positioning guide surface of the portion engaging with the fixing groove so that the substrate can be stably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ase.

또한,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이웃하는 기판들이 B TO B(Board to Board) 커넥터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oard to board (B TO B) connector.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하부 커버와 결합하여 내부에 실장 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스;A case coupled to the lower cover to form a mounting space therein;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부;A button unit coupled to the upper case;

상기 케이스의 내측 주면 상부와 하부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 및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each of upper and lower inner main surfaces of the case; And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하로 대향 배치되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포함하며,And an upper substrate and a lower substrate disposed upside down in the case.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에 대응하여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고, Position fixing grooves are formed at edges of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ing guides.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는 둘 이상의 위치 고정홀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기판이 존재하고, At least one intermediate substrate having two or more position fixing holes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상기 케이스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심재와 심재를 에워싸는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 가이드의 일부가 상기 위치 고정홀에 삽입되어 중간 기판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를 제공한다.A part of the elastic guide consisting of a core extending from the upper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elastic body surrounding the core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fixing hole so that the intermediate substrate can flow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a limited range to provide.

여기서, 상기 상부 기판에 버튼부의 가압돌기에 대응하여 고정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하는 러버 시트가 상기 상부 기판의 기판 상면을 덮어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심재를 에워싸는 탄성체는 상기 러버 시트에서 연장된 러버 재질의 포켓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a fixed contact is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projection of the button portion, the rubber sheet having a movable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fixed contact is configured to cover and prote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upper substrate, and surrounds the core material The elastic body may be formed in a pocket structure made of a rubber material extending from the rubber shee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중간 기판에 형성된 위치 고정홀 중 하나는 슬롯 형태로 구성하여, 아래 위로 인접하는 두 기판의 수평방향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원활한 조립성을 확보하고,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position fixing holes formed in the intermediate substrat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lot, so that even if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two substrates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slightly shifts to ensure smooth assembly,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impa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기판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가이드의 일부가 탄성을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된다. 때문에 기판과 케이스 사이의 누적공차 및 기판 상의 커넥터 간 위치 편차가 다소 있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 가이드가 변형 가능하므로 억지조립으로 인한 기판 또는 커넥터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positioning guide for determin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case substrate is compos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refore, even if there is a cumulative tolerance between the board and the case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on the board, the positioning guide may be deformed in response thereto,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oard or the connector due to interference assembly.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위치 결정 가이드로 인하여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케이스를 통해 기판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부품 교체를 위한 장치 분해 시 기판이나 커넥터 손상 없는 안정적인 기판 탈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sitioning guide, external shocks and vibrations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ubstrate through the cas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replacing parts mounted inside the case. When disassembling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board stably without damaging the board or the connector.

또한, 케이스 내에서 기판과 맞물리는 부분의 위치 결정 가이드 표면에 탄성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케이스 내에서 기판이 정해진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기판 상의 커넥터 간 위치 편차를 흡수하여 커넥터 간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가의 가동형 커넥터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elastic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positioning guide of the portion engaged with the substrate in the case, the substrate can be stably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ase, absorbing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on the substrate to assemble between connector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use of expensive movable connector used to secure the cost can be reduced.

도 1a는 종래 다층기판 입력장치(스위치)의 개략 평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다층기판 입력장치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층기판 입력장치의 평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층기판 입력장치를 C-C선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6의 (a)와 (b)는 도 5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고정 구조를 개략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중간 기판의 고정 구조를 개략 도시한 도면.
Figure 1a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switch).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of FIG. 1A viewed from the AA line direction. FIG.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of FIG. 2.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of FIG. 3 viewed from the CC line direc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schematically show the fixing structure of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of FIG.
FIG.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ix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shown in FIG. 5;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comprise" or "have" herei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층기판 입력장치의 평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다층기판 입력장치를 C-C선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shown in FIG. 2.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of FIG. 3 as viewed from the C-C line direc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는 크게, 버튼부(10)와 케이스(12), 그리고 케이스(12)에 실장되는 복수의 기판(15a~15c)으로 구성된다. 버튼부(10)의 상면을 통해 스위치 조작을 위한 물리적인 힘(사용자에 의한 누름 조작력)이 입력되며, 케이스(12)는 하부 커버(13)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기판(15a~15c) 수용을 위한 실장 공간을 형성한다.2 to 4,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strates 15a to 15c mounted on the button unit 10, the case 12, and the case 12. It is composed of The physical force (push operation force by the user) for the switch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10, and the case 12 is coupled to the lower cover 13 to accommodate the substrates 15a to 15c therein. Form mounting space for

기판(15a~15c)은 케이스(12) 내에서 상하로 대향되는 배치를 이루도록 소정의 간극을 두고 적층식으로 배열되되, 케이스(12) 내에서 제일 위쪽과 제일 아래쪽에 배치되는 두 개의 기판(15a, 15c)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기판(15b)이 존재하며, 케이스(12)의 내측 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기판 조립을 가이드하고 정해진 위치에 기판들을 상하로 정렬시키기 위한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14)가 형성된다.The substrates 15a to 15c are arranged in a stacking manner with a predetermined gap in the case 12 so as to face up and down, and the two substrates 15a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ase 12. And at least one intermediate substrate 15b between the two sides 15c, and at least two positioning guides 14 for guiding the substrate assemb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main surface of the case 12 and for aligning the substrates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s formed.

도면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2) 내측에 원판 형태의 기판이 실장되고, 기판을 케이스(12) 내 정해진 위치에 정렬시키는 위치 결정 가이드(14)가 대향되는 것끼리 서로 마주하도록 총 4개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시일 뿐, 케이스(12) 및 기판의 형상, 그리고 위치 결정 가이드(14)의 위치나 개수가 예시된 형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In the drawing, a disk-shaped substrate is mounted inside the case 12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total of four elements are formed such that opposed positioning guides 14 for aligning the substr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ase 12 face each other. Although this is merely an example, it is noted that the shape of the case 12 and the substrate and the position or number of the positioning guide 14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케이스(12) 내에서 상하 적층식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기판(15a~15c)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 가이드(14)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 고정홈(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위치 결정 가이드(14)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며, 따라서 제품 조립 시 누적공차로 인한 이웃하는 기판 사이의 수평방향 위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다.Positioning grooves 150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substrates 15a to 15c arranged in the case 12 in a vertical stacking manner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guides 14, respectively. Here, each positioning guide 14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at least parti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us can absorb the horizontal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neighboring substrates due to cumulative tolerances during product assembly. ha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다층기판 입력장치는, 하부 커버(13)와 결합하여 내부에 실장 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 상부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력이 입력되는 버튼부(10)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12)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케이스(12)의 내측 주면에는 케이스(12)의 높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14)가 형성된다.2 to 4 again, the multilayer board input apparatus includes a case 12 coupled to the lower cover 13 to form a mounting space there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2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button unit 10 is input the user's switch operation force is inserted into the case 12, the inner main surface of the case 12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se 12 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14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relative to each other.

케이스(12)와 하부 커버(13) 결합에 의한 실장 공간에는 둘 이상,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복수의 기판(15a~15c)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 적층식 배열을 이루도록 실장된다. 그리고 각 기판(15a~15c)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14) 각각에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위치 고정홈(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위치 결정 가이드(14)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체로 구성된다.Two or more, preferably three or more substrates 15a to 15c are mounted in a mounting space formed by coupling the case 12 and the lower cover 13 to form a vertically stacked arrangemen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at the edges of the substrates 15a to 15c, the position fixing grooves 150 coupled to each of the positioning guides 14 are formed. The positioning guide 14 is here comprised from the elastic body which can elastically deform at least one par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위치 결정 가이드(14) 각각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판 중 최상단 기판(15a)이 고정되는 부분(140)을 제외한 나머지 기판(15b, 15c)이 고정되는 부분(142)의 재질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최상단 기판(15a)이 고정되는 부분(140)이 케이스(12)와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아래에 위치한 다른 기판(15b, 15c)이 고정되는 나머지 부분(142)은 연질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ositioning guides 14 is made of a material of the portion 142 on which the remaining substrates 15b and 15c are fixed except for the portion 140 on which the uppermost substrate 15a is fixed among the plurality of substrates installed in the case 12. It may be composed of a flexible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portion 140 to which the uppermost substrate 15a is fixed is made of a hard plastic such as the case 12, and the remaining portion 142 to which the other substrates 15b and 15c positioned below are fixed. Silver may be composed of a soft elastic deformable material.

연질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의 재질은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러버(Rubb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케이스(12) 성형 시 상기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부분에 2중 사출 성형을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위치 결정 가이드(14)의 위쪽과 아래쪽 부분의 재질이 서로 다른 하나의 위치 결정 가이드(14)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oft elastically deformable part may be, for example, silicon or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case of forming the case 12, double injection molding is performed on a part formed of the hard plastic material. By applying the method, one positioning guide 14 having different materials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one positioning guide 14 may be formed.

최상단 기판(15a)이 고정되는 부분(140)을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면, 케이스(12) 내에서의 최상단 기판(15a)의 수평방향 움직임이 억제된 채 케이스(12)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아래에 위치한 다른 기판(15b, 15c)이 고정되는 부분(142)을 연질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하면, 구성품의 누적공차 및 커넥터(16) 간 위치 편차에 대응하여 기판(15b, 15c)이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When the part 140 on which the uppermost substrate 15a is fixed is formed of hard plastic,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uppermost substrate 15a in the case 12 can be stably fixed to the case 12. In addition, when the portion 142 to which the other substrates 15b and 15c positioned below are fixed is made of a soft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he substrates 15b and 15c correspond to the cumulative tolerance of the components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16. ) May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이웃하는 기판들은 공지의 B TO B(Board to Board) 커넥터(16)를 통해 상호 정보를 주고 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스(12) 내에서 기판이 정해진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고정홈(150)과 맞물리는 부분의 위치 결정 가이드(14) 표면에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의 예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탄성 돌기(145)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known B TO B (Board to Board) connector 16, and the board is stably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ase 12. One or more elastic protrusions 145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sitioning guide 14 of the portion engaging with the position fixing groove 150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4.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기판의 조립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가이드의 일부가 탄성을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된다. 때문에 기판과 케이스 사이의 누적공차 및 기판 상의 커넥터 간 위치 편차가 다소 있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 가이드가 변형 가능하므로 억지조립으로 인한 기판 또는 커넥터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portion of the positioning guide for determin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case substrate is compos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refore, even if there is a cumulative tolerance between the board and the case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on the board, the positioning guide may be deformed in response thereto,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oard or the connector due to interference assembly.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위치 결정 가이드로 인하여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케이스를 통해 기판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케이스 내부에 실장된 부품 교체를 위한 장치 분해 시 기판이나 커넥터 손상 없는 안정적인 기판 탈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sitioning guide, external shock or vibrati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ubstrate through the case, which can improv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when disassembling the device for replacing parts mounted inside the case. The advantage is that stable board removal is possible without damaging the board or connector.

또한, 케이스(내에서 기판과 맞물리는 부분의 위치 결정 가이드 표면에 탄성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케이스 내에서 기판이 정해진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기판 상의 커넥터 간 위치 편차에 대응해 커넥터 간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가의 가동형 커넥터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elastic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positioning guide surface of the case (parts engaging with the substrate in the case), the substrate can be stably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within the case, and assembly between connectors in response to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connectors on the boar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use of the expensive movable connector used to secure the properties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의 개략 종 단면도이며, 도 6의 (a)와 (b)는 도 5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고정 구조를 개략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중간 기판의 고정 구조를 개략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schematically illustrate a fixing structure of an upper substrate and a lower substrate of FIG. 5.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illustrated in FIG. 5.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는, 하부 커버(23)와 결합하여 내부에 실장 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스(22)와, 케이스(22)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부(20), 케이스(22)의 내측 주면 상부와 하부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24a, 24c) 및 케이스(22)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을 포함한다.5 to 7, a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lower cover 23 to form a mounting space therein and a case 2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22. 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24a and 24c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utton unit 20 to be coupled, the upper and lower inner main surfaces of the case 22, and the upper substrate 25a installed inside the case 22. A lower substrate 25c.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의 가장자리에는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 가이드(24a, 24c)에 대응하여 위치 고정홈(250a, 250c)이 형성되며,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 사이에는 둘 이상의 위치 고정홀(255a, 255b)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기판(25b)이 존재한다. 이때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은 케이스(22) 내에서의 수평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며, 중간 기판(25b)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구성된다.Positioning grooves 250a and 250c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upper substrate 25a and the lower substrate 25c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ing guides 24a and 24c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upper substrate 25a At least one intermediate substrate 25b having two or more position fixing holes 255a and 255b exists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25c. At this time, the horizontal movement in the case 22 is limited to the upper substrate 25a and the lower substrate 25c, and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is relatively freely configured.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은 케이스(2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위치 결정 가이드(24a, 24c)를 통해 케이스(22) 내에서 틸팅이나 수평방향 회전 없이 지정된 높이에 정렬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중간 기판(25b)은 후술하게 될 탄성 가이드(28)를 매개로 상기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고정체인 상기 두 기판(25a, 25c)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pper substrate 25a and the lower substrate 25c are fixed to be aligned at a specified height within the case 22 without tilting or horizontal rotation through the positioning guides 24a and 24c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22.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may b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wo substrates 25a and 25c which are relatively fix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25a and the lower substrate 25c through the elastic guide 28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figured to allow relative exercise.

따라서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품 사이의 누적공차 및 각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 간 수평방향 위치 편차가 있더라도 케이스(22) 내 중간 기판(25b)의 탄성적인 움직임에 의해 그 누적공차나 위치 편차가 상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조립 시 억지조립으로 인한 기판의 손상이나 위치 편차에 따른 부하 때문에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ven if there are cumulative tolerances between components and horizontal positional deviations between connectors mounted on each board, the cumulative tolerances or positional deviations are caused by the elastic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in the case 22. In this case, the connecto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damage caused by the damage of the board or the load caused by the positional deviation.

상부 기판(25a)에는 상기 버튼부(2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압돌기(200)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 접점(2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접점(252)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272)을 구비하는 러버 시트(27)가 상기 상부 기판(25a)의 기판 상면을 덮어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가동 접점(272)은 자체 탄성으로 고정 접점(252)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며, 버튼부(20)를 누르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252)에 접속된다.A fixed contact 252 is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25a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20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20. In addition, the rubber sheet 27 having the movable contact 272 corresponding to the fixed contact 252 is configured to cover and prote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upper substrate 25a. The movable contact 272 is kept elas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252 and is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252 by a force for pressing the button portion 20.

버튼부(20)를 누르는 힘에 의한 상기 고정 접점(252)에 대한 가동 접점(272)의 접속으로 스위치 턴 온(turn on) 되며, 복수의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 실장된 제어요소, 예컨대 마이콤이 스위치 턴 온을 인식하고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입력장치 외부의 메인 제어요소(차량인 경우 ECU)나 해당 기능 실행장치에 출력한다.A control element, for example, a microcomputer, is turned on by connecting the movable contact 272 to the fixed contact 252 by a force of pushing the button part 20 and mount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substrates. This switch turns on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main control element (ECU in the case of a vehicle) or the function execution device outside the input device.

탄성 가이드(28)는 케이스(22)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심재(2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심재(280)를 에워싸는 탄성체(282)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체(282)는 러버 시트(27)에 일체로 성형되는 러버 재질의 포켓 구조일 수 있으며, 탄성 가이드(28)의 일부가 상기 위치 고정홀(255a, 255b)에 삽입되어 중간 기판(25b)을 견인함으로써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 사이의 정해진 높이에 정렬될 수 있다.The elastic guide 28 includes a core material 280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side the case 22. And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body 282 surrounding the core 280. In this case, the elastic body 282 may have a pocket structure made of a rubber material integrally formed in the rubber sheet 27, and a part of the elastic guide 2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fixing holes 255a and 255b to form an intermediate substrate 25b. Can be alig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upper substrate 25a and the lower substrate 25c.

특히 표면이 탄성체(282)로 구성된 탄성 가이드(28)에 상기 중간 기판(25b)이 결속됨으로써, 중간 기판(25b)은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 사이의 정해진 높이에서 소정의 탄성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중간 기판(25b)이 구성품 사이의 누적공차나 각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 간 수평방향 위치 편차를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거동을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is bound to an elastic guide 28 whose surface is composed of the elastic body 282, so that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upper substrate 25a and the lower substrate 25c. It can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That is,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can elastically move in a direction to cancel the accumulated tolerance between the components or the horizontal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mounted on the respective substrates.

탄성 가이드(28)와의 결속을 위하여 상기 중간 기판(25b)에 형성되는 위치 고정홀(255a, 255b) 중 하나(255b)를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슬롯(Slot) 형태로 구성하면, 중간 기판(25b) 아래 위로 인접하는 두 기판의 수평방향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원활한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슬롯의 여유 공간만큼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대응하는 수평방향 유동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f one of the position fixing holes 255a and 255b formed in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is formed in a slot shape as illustrated in FIG. 7 to bind the elastic guide 28,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Even if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two substrates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slightly shifts, smooth assembling can be ensured, and the horizontal fluidity corresponding to external vibration or impact can be further increased as much as the free space of the slot.

탄성 가이드(28)의 탄성체(280)에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시트 엔드(284)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 엔드(284)는 상기 중간 기판(25b)의 가장 자리를 에워싸 외부에서 케이스 내부로 침투되는 이물(먼지나 수분)의 기판 측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러버 시트(27) 성형 시 상기 탄성체(28)와 함께 러버 시트(27)에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elastic body 280 of the elastic guide 28 may be provided with a seat end 284. The seat end 284 surrounds the edge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and blocks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dust or moisture) that penetrates into the case from the outside and forms a rubber sheet 27. Together with the elastic body 28 may be molded integrally with the rubber sheet (27).

도면부호 26은 아래 위로 이웃하는 기판이 상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26)는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는데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지의 B TO B(Board to Board) 커넥터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ence numeral 26 is a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neighboring boards so that neighboring boards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connector 26 is a known board to board (B TO B) generally applied to connect a board to a board. It may be a connec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층기판 입력장치에 의하면, 중간 기판 조립 시 좌우 뒤틀림에 대응하여 탄성 가이드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구성품 사이의 누적공차나 각 기판에 실장된 커넥터 간 수평방향 위치 편차로 인한 억지조립 및 그에 따른 기판의 손상이나, 위치 편차에 따른 부하 때문에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layered substrat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guide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response to the left and right distortion during the assembly of the intermediate substrate, so that the accumulated tolerance between the components or mounted on each substr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interference assembly due to the horizontal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and the damage of the substrate or the load due to the positional deviation.

또한, 상부 기판을 덮도록 설치되는 러버 시트가 기판 측에 대한 수분이나 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므로, 외부 이물 유입에 따른 전기적인 결함으로부터 장치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턴성 가이드가 댐퍼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격 완화와 더불어 이상 소음(Rattle) 발생이 방지 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ubber sheet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substrate serves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or dust to the substrate side, the device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electrical defects caused by the inflow of foreign objects, and the impact or vibration from the outside Since the turnable guide acts as a damper even when applied, the occurrence of abnormal noises along with the shock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더욱이,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기판 상의 커넥터 간 위치 편차에 대응해 커넥터 간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가의 가동형 커넥터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중간 기판이 유동 가능하므로 부품 교체 시 커넥터 파손 없는 안정적인 기판 탈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use of an expensive movable connector used to secure assembly between connectors in response to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connectors on the boar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Since the intermediate board is flexib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board stably without damaging the connector when replacing parts.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제1 실시 예>
10 : 버튼부 12 : 케이스
13 : 하부 커버 15a, 15b, 15c : 기판
14 : 위치 결정 가이드 16 : 커넥터
145 : 탄성 돌기 150, 250a, 250c : 위치 고정홈
<제2 실시 예>
20 : 버튼부 22 : 케이스
23 : 하부 커버 25a, 25b, 25c : 기판
24a, 24c : 위치 결정 가이드 26 : 커넥터
27 : 러버 시트 28 : 탄성 가이드
200 : 가압 돌기 250a, 250c : 위치 고정홈
252 : 고정 접점 272 : 가동 접점
280 : 심재 282 : 탄성체
<First Embodiment>
10: button portion 12: case
13: lower cover 15a, 15b, 15c: substrate
14: positioning guide 16: connector
145: elastic protrusions 150, 250a, 250c: position fixing groove
Second Embodiment
20: button 22: case
23: lower cover 25a, 25b, 25c: substrate
24a, 24c: positioning guide 26: connector
27: rubber sheet 28: elastic guide
200: Pressing protrusion 250a, 250c: Position fixing groove
252: fixed contact 272: movable contact
280: core material 282: elastic body

Claims (9)

버튼부(10)를 포함하며 케이스(12) 내에서 상하로 대향 배치되는 두 개의 기판(15a, 15c)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기판(15b)이 존재하고,
상기 케이스(12)의 내측 주면에는 정해진 위치에 기판들(15a~15c)을 상하로 정렬시키기 위한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14)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14)에 대응하여 각각의 기판(15a~15c) 가장자리에는 위치 고정홈(150)이 형성되고, 각 위치 결정 가이드(14)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기판 사이의 수평방향 위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14) 각각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판 중 최상단 기판(15a)이 고정되는 부분(140)을 제외한 나머지 기판(15b, 15c)이 고정되는 부분(142)의 재질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
At least one intermediate substrate 15b is present between the two substrates 15a and 15c including the button portion 10 and disposed upside down in the case 12.
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14 are formed on the inner main surface of the case 12 to align the substrates 15a to 15c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Positioning grooves 150 are formed at edges of the substrates 15a to 15c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guides 14, and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positioning guides 14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nfigured to absorb horizontal positional deviations between neighboring substrates,
Each of the positioning guides 14 is a material of a portion 142 on which the remaining substrates 15b and 15c are fixed except for the portion 140 on which the uppermost substrate 15a is fixed among the plurality of substrates installed in the case 12.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flexible material.
하부 커버(13)와 결합하여 내부에 실장 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스(12);
상기 케이스(12)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부(10);
상기 케이스(12)의 내측 주면에 케이스(12)의 높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14); 및
상기 케이스(12)와 하부 커버(13) 결합에 의한 실장 공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 적층식 배열을 이루도록 실장되는 둘 이상 복수의 기판(15a~15c);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15a~15c)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14)에 대응하여 위치 고정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14)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14) 각각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판 중 최상단 기판(15a)이 고정되는 부분(140)을 제외한 나머지 기판(15b, 15c)이 고정되는 부분(142)의 재질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
A case 12 coupled to the lower cover 13 to form a mounting space therein;
A button unit 1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12;
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14 formed on the inner main surface of the case 12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se 12; And
And at least two substrates 15a to 15c mounted to form a vertically stacked arrangement in a mounting space by coupling the case 12 and the lower cover 13 to each other.
Position fixing grooves 150 are formed at edges of the substrates 15a to 15c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ing guides 14.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positioning guides 14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of the positioning guides 14 is a material of a portion 142 on which the remaining substrates 15b and 15c are fixed except for the portion 140 on which the uppermost substrate 15a is fixed among the plurality of substrates installed in the case 12.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flexible material.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기판(15a)이 고정되는 부분(140)이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아래 다른 기판이 고정되는 부분(142)이 연질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15a) is fixed portion 140 is formed of a hard plastic,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other portion is fixed 142 is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oft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홈(150)과 맞물리는 부분의 위치 결정 가이드(14) 표면에 탄성 돌기(145)가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elastic protrusion (14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sitioning guide (14) of the portion engaging with the positioning fixing groove (15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이웃하는 기판들이 B TO B(Board to Board) 커넥터(16)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Board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oard to board (B TO B) connector (16),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layer board input device.
하부 커버(23)와 결합하여 내부에 실장 공간을 형성시키는 케이스(22);
상기 케이스(22) 상부에 결합되는 버튼부(20);
상기 케이스(22)의 내측 주면 상부와 하부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위치 결정 가이드(24a, 24c); 및
상기 케이스(22) 내에서 상하로 대향 배치되는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24a, 24c)에 대응하여 위치 고정홈(250a, 250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기판(25a)과 하부 기판(25c) 사이에는 둘 이상의 위치 고정홀(255a, 255b)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기판(25b)이 존재하고,
상기 케이스(22)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심재(280)와 심재(280)를 에워싸는 탄성체(282)로 구성된 탄성 가이드(28)의 일부가 상기 위치 고정홀(255a, 255b)에 삽입되어 중간 기판(25b)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
A case 22 coupled to the lower cover 23 to form a mounting space therein;
A button unit 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22;
Two or more positioning guides (24a, 24c)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inner main surfaces of the case (22); And
And an upper substrate 25a and a lower substrate 25c disposed to face up and down in the case 22.
Positioning grooves 250a and 250c are formed at edges of the upper substrate 25a and the lower substrate 25c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ing guides 24a and 24c.
At least one intermediate substrate 25b having two or more position fixing holes 255a and 255b exists between the upper substrate 25a and the lower substrate 25c.
A portion of the elastic guide 28 composed of a core 280 extending from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case 22 to the lower portion and an elastic body 282 surrounding the core 28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fixing holes 255a and 255b to be inserted into the middle.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trate 25b is configured to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a limited rang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25a)에 버튼부(20)의 가압돌기(200)에 대응하여 고정 접점(25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접점(252)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272)을 구비하는 러버 시트(27)가 상기 상부 기판(25a)의 기판 상면을 덮어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심재(280)를 에워싸는 탄성체(282)는 상기 러버 시트(27)에서 연장된 러버 재질의 포켓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fixed contact 252 is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25a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protrusion 200 of the button unit 20.
The rubber sheet 27 having the movable contact 272 corresponding to the fixed contact 252 is configured to cover and prote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upper substrate 25a,
The elastic body 282 surrounding the core material 280 is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ocket structure of the rubber material extending from the rubber sheet (2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판(25b)에 형성된 위치 고정홀(255a, 255b) 중 하나(255b)는 슬롯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기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of the position fixing holes (255a, 255b) formed in the intermediate substrate (25b) (255b) is a multi-layer substrat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lot.
KR1020180070942A 2018-06-20 2018-06-20 Multi PCB Input device KR102010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42A KR102010400B1 (en) 2018-06-20 2018-06-20 Multi PCB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42A KR102010400B1 (en) 2018-06-20 2018-06-20 Multi PCB In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400B1 true KR102010400B1 (en) 2019-08-13

Family

ID=6762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942A KR102010400B1 (en) 2018-06-20 2018-06-20 Multi PCB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40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846A (en) * 2005-10-19 2007-05-10 Nidec Shibaura Corp Spacer for supporting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unit using the same
KR20090091012A (en) * 2008-02-21 2009-08-26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Touch switch device
JP2010267893A (en) * 2009-05-18 2010-11-25 Funai Electric Co Ltd Support member for wiring board
JP2017157462A (en) 2016-03-03 2017-09-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Input device
JP2018085477A (en) * 2016-11-25 2018-05-3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Electrical produc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846A (en) * 2005-10-19 2007-05-10 Nidec Shibaura Corp Spacer for supporting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unit using the same
KR20090091012A (en) * 2008-02-21 2009-08-26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Touch switch device
JP2010267893A (en) * 2009-05-18 2010-11-25 Funai Electric Co Ltd Support member for wiring board
JP2017157462A (en) 2016-03-03 2017-09-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Input device
JP2018085477A (en) * 2016-11-25 2018-05-3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Electrical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094B1 (en) Device for mounting boards
US9921387B2 (en) Lens driving apparatus
KR100941436B1 (en) Motor for driving lens
US7567441B2 (en) Electronic equipment
WO2019171972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TWI695552B (en) Board-to-board connector for signal-transmitting connecting of two circuit boards
US20110056818A1 (en) Key switch device
US11782324B2 (en)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KR101566783B1 (en) Motor for driving lens
KR102010400B1 (en) Multi PCB Input device
WO2019171973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9955595B2 (en) Mount board tray and electronic device with mount board tray
US10699854B2 (en) Trigger switch
US7577969B2 (en) Antistatic structure for optical disc device
JP2019160489A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5734893B2 (en) Computer drive unit fixing mechanism
JP4293254B2 (en) connector
JP5459233B2 (en) Electronic equipment
KR100919946B1 (en) Floating connector
JP2018129441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200418109Y1 (en) Connector
JP5828395B2 (en) Vehicle controll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88058B1 (en) Cable Connector
JP2001314014A (en) Connection error preventing structure
JP4701995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