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876B1 -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876B1
KR102009876B1 KR1020180082153A KR20180082153A KR102009876B1 KR 102009876 B1 KR102009876 B1 KR 102009876B1 KR 1020180082153 A KR1020180082153 A KR 1020180082153A KR 20180082153 A KR20180082153 A KR 20180082153A KR 102009876 B1 KR102009876 B1 KR 10200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tube
anode rod
oxide film
rod
consta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기
선형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Priority to KR102018008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71Cylindrical or tubular 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 오수, 폐수, 하수 등이 포함된 오폐수를 전기분해방식으로 정화 처리하는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을 임펄스 전압을 통해 주기적으로 절연파괴하여 탈리시킴으로써 양극봉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설치되고 오폐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타측에 설치되는 음극관; 상기 음극관의 일측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음극관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음극관의 외부에 위치되는 양극봉; 및 상기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임펄스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을 절연파괴하여 탈리시키는 산화피막탈리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Electrolytic sewage treatment apparatus with extended electrode bar useful life}
본 발명은 분뇨, 오수, 폐수, 하수 등이 포함된 오폐수를 전기분해방식으로 정화 처리하는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공장, 가정 등에 구비되는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는 분뇨, 오수, 폐수, 하수 등이 포함된 오폐수를 전기분해방식으로 정화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는 오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고 복수 개가 다단으로 연결되는 음극관과, 음극관의 일측에 관통 설치되고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양극봉과, 음극관의 타측과 양극봉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압인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음극관의 내부를 따라 오폐수가 통과할 때 정전압인가수단에 의해 음극관과 양극봉에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이 인가되면서 전기분해에 의한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오폐수에서 분자상 물질과 이온성 물질로 존재하는 유기물 등이 금속이온, 기체, 불용성 물질 등으로 전환되어 이후에 이루어지는 필터 등을 여과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는 사용 기간에 따라 양극봉의 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고착되면서 양극봉의 표면 전체에서 전기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오폐수 정화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양극봉의 사용 기간과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의 오폐수처리양 등에 맞게 양극봉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오폐수 정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양극봉을 음극관으로부터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양극봉을 음극관에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조립구조를 적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양극봉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은 양극봉의 수명에 관계없이 산화피막에 의해 기능 저하에 의한 결과이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유지관리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양극봉을 음극관에서 용이하게 분해 조립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음극관의 구조도 복잡해지면서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고 유지보수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양극봉의 교체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양극봉의 기대수명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8813호, 2018.01.24.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양극봉을 기대수명에 맞게 사용할 수 있고 양극봉의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을 주기적으로 탈리하여 사용수명을 기대수명에 대응되도록 하는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설치되고 오폐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타측에 설치되는 음극관; 상기 음극관의 일측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음극관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음극관의 외부에 위치되는 양극봉; 및 상기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임펄스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을 절연파괴하여 탈리시키는 산화피막탈리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피막탈리수단은 상기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에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 기설정된 주기간격으로 상기 임펄스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산화피막탈리수단은 상기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에 상기 정전압이 기설정된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간격으로 인가될 때 상기 시간간격마다 상기 임펄스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음극관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양극봉의 산화피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탈리되도록 상기 양극봉이 상기 음극관의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잡아주는 중심유지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심유지부재는 상기 양극봉의 외주면을 감싸는 복수 개의 내측슬리브;
상기 음극관의 내주면에 억지끼움식으로 밀착 고정되는 복수 개의 외측지지링; 상기 음극관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외측지지링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링연결대; 및 상기 내측슬리브를 상기 외측지지링에 연결하여 상기 내측슬리브를 상기 음극관의 내부 중심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연결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유지부재는 상기 내측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양극봉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슬리브의 내주면 간의 밀착력을 높여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밀착력강화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전기분해에 의한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되는 산화피막을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보다 높은 임펄스전압을 순간적으로 인가하여 절연파괴시켜 탈리함에 따라 양극봉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불필요한 비용 지출을 막고 유지관리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양극봉이 중심유지부재에 의해 음극관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도록 고정됨에 따라 절연파괴 강도가 양극봉의 외주면 전체에서 일정하게 작용하여 양극봉의 사용수명을 기대수명에 준하게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중심유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 공장 등에 설비되어 분뇨, 오수, 폐수, 하수 등이 포함된 오폐수를 전기분해방식으로 정화 처리하는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는 양극봉의 사용수명을 기대수명에 준하도록 연장함으로써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되는 산화피막에 의한 전기분해 기능 저하 및 상실로 인하여 짧아지는 양극봉의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양극봉에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임펄스전압을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인가하여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을 절연파괴식으로 탈리하는 산화피막탈리수단을 더 포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관(10), 제1마개(20), 제2마개(30), 양극봉(40), 전원공급부(50), 정전압인가수단(60), 산화피막탈리수단(70), 컨트롤러(80) 및 중심유지부재(9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음극관(10)은 일측에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출되는 오폐수가 내부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폐수가 정화 처리되도록 전기분해를 통한 산화환원반응을 일어나는 전해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음극관(10)은 오폐수가 일측 하부에서 유입되어 타측 상부로 유출되도록 일측 하부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 유출구(1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내부에 오폐수통과로(13)가 형성된 원통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음극관(10)의 일측에는 음극인 접지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극관(10)은 내부에서 전기분해가 가능하도록 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음극관(10)은 상하 또는 좌우로 복수 개가 다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음극관(10)이 제1음극관과 제2음극관으로 구성될 경우 제1음극관은 제2음극관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음극관의 유출구(12)가 제2음극관의 유입구(11)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마개(20)는 음극관(1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음극관(10)의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가 음극관(1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음극관(10)의 일측 단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음극관(10)의 내부에 설치된 양극봉(40)을 수평으로 고정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마개(20)는 음극관(10)의 일측 단부 내측에 나사식으로 체결 고정되도록 음극관(10)의 내경과 대응되고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부(21)와, 삽입부(2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음극관(10)의 일측 단부 주연부와 밀착되며 너트형태의 마개부(22)와, 삽입부(21)와 마개부(22)의 중심에 관통 설치되어 양극봉(40)의 단부를 지지하는 양극봉지지부(2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마개(2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양극봉지지부(23)는 양극봉(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기가 통하는 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음극관(10)의 일측 단부 내주면과 삽입부(21)의 외주면 간에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삽입부(21)의 외측에는 음극관(10)의 일측 단부 내주면과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오링(25)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마개(30)는 음극관(1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음극관(10)의 내부를 통과한 오폐수가 유출구(12)로 유출되도록 음극관(10)의 타측 단부를 폐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마개(30)는 음극관(10)의 타측 단부 내측에 나사식으로 체결 고정되도록 음극관(10)의 내경과 대응되고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부(31)와, 삽입부(3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음극관(10)의 타측 단부 주연부와 밀착되며 너트형태의 마개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마개(30)도 제1마개(20)와 동일하게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음극관(10)의 타측 단부 내주면과 삽입부(31)의 외주면 간에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삽입부(31)의 외측에는 음극관(10)의 타측 단부 내주면과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오링(33)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양극봉(40)은 음극관(10)의 일측 내부에 단부를 포함한 일정부분이 삽입되어 음극관(10)의 내부에서 전기분해가 일어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양극봉(40)은 소정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기분해가 일어날 수 있도록 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부가 제1마개(20)의 양극봉지지부(23)에 삽입 고정되어 음극관(10)의 일측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단, 양극봉지지부(23)에는 양극봉(40)의 단부를 압착시켜 삽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양극봉(40)은 제1마개(20)를 음극관(10)에서 분리한 후 양극봉지지부(23)에서 고정부재(24)를 분리하면 제1마개(20)로부터 완전 분리되므로 새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극관(10)의 내부에서 음극관(10)의 내주면과 양극봉(40)의 외주면 사이에서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하는 전기분해가 일어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때 전원공급부(50)의 플러스 단자는 양극봉(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봉지지부(33)의 단부에 연결되고 전원공급부(50)의 마이너스 단자는 음극관(10)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전압인가수단(60)은 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을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인가하는 구성이다.
즉, 정전압인가수단(60)은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폐회로를 이루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5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수 V 크기의 정전압을 발생시켜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인가함으로써 음극관(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오폐수가 정화 처리되도록 산화환원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산화피막탈리수단(70)은 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수 kV 크기의 임펄스전압을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인가하는 구성이다.
즉, 산화피막탈리수단(70)은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폐회로를 이루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5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정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 kV 크기의 임펄스전압을 발생시켜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인가함으로써 음극관(10)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이 물리적으로 탈리시킨다.
이때 산화피막이 탈리되는 것은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순간적으로 임펄스전압이 인가되면서 양극봉(40)의 표면에 부착된 절연물질인 산화피막을 파괴시키는 절연파괴 현상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전기분해에 의한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양극봉(40)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이 절연파괴 현상에 의해 파괴되어 양극봉(40)의 표면에서 탈리됨으로써 산화피막에 의해 양극봉(40)의 사용수명이 기대수명이 미치지 못하는 종래의 폐단이 해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80)는 정전압인가수단(60)과 산화피막탈리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컨트롤러(80)는 기설정된 작동순서에 따라 정전압인가수단(60)과 산화피막탈리수단(70)을 작동시켜 작동음극관(10)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거나 양극봉(40)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을 탈리시키기 위한 임펄스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컨트롤러(80)는 실시예에 따라 정전압인가수단(60)의 작동을 유지한 상태에서 산화피막탈리수단(70)을 기설정된 기준주기간격으로 작동시켜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정전압을 인가하다가 기준주기간격으로 임펄스전압을 순간적으로 더 인가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80)는 실시예에 따라 정전압인가수단(60)의 작동을 기설성된 제1시간동안 유지하고 제1시간 이후에 산화피막탈리수단(70)의 작동을 기설정된 제2시간동안 유지시켜 음극관(10)과 양극봉(40)에 정전압과 임펄스전압을 교대로 반복해서 인가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심유지부재(90)는 음극관(10)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양극봉(40)이 음극관(10)의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중심유지부재(90)는 임펄스전압에 의한 산화피막에 대한 절연파괴 강도가 음극관(10)의 표면 전체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양극봉(40)을 음극관(10)의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양극봉(40)을 음극관(10)의 내부 중심에 위치하면 양극봉(40)의 외주면 모든 지점에서 법선 방향을 따라 음극관(10)의 내주면 모든 지점에 각각 이르는 직선거리가 모두 동일하게 되므로 양극봉(40)의 외주면과 음극관(10)의 내주면 간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 절연파괴 강도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양극봉(40)은 중심유지부재(90)에 의해 음극관(10)의 내부 중심에 고정되면서 외주면 전체에서 동일한 강도의 절연파괴가 일어나게 됨으로써 외주면 전체가 균일하게 닳아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불균일한 절연파괴 강도로 인한 사용수명 단축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심유지부재(9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슬리브(91)와 외측지지링(92)과 지지링연결대(93)와 연결리브(94) 및 밀착력강화링(9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슬리브(91)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음극관(10)의 일측 내부 중심에서 양극봉(40)의 길이에 대응되게 음극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양극봉(40)을 외측에서 감싸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내측슬리브(91)는 양극봉(4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양극봉(40)이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링(92)은 내측슬리브(91)의 개수와 대응되게 구성되고 음극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음극관(10)의 일측 내주면에 억지끼움식으로 밀착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링연결대(93)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음극관(10)의 일측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외측지지링(92)을 일정간격으로 서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리브(94)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내측슬리브(91)와 외측지지링(92)의 사이에서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며 일단이 내측슬리브(91)에 연결되며 타단이 외측지지링(92)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연결리브(94)는 내측슬리브(91)가 외측지지링(92)의 내측에서 음극관(10)의 내부 중심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슬리브(91)와 외측지지링(92)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밀착력강화링(95)은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슬리브(91)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극봉(40)이 내측슬리브(91)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극봉(40)과 내측슬리브(91) 간의 밀착력을 높여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구성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음극관
11: 유입구
12: 유출구
13: 오폐수통과로
20: 제1마개
21: 삽입부
22: 마개부
23: 양극봉지지부
24: 고정부재
25: 오링
30: 제2마개
31: 삽입부
32: 마개부
33: 오링
40: 양극봉
50: 전원공급부
60: 정전압인가수단
70: 산화피막탈리수단
80: 컨트롤러
90: 중심유지부재
91: 내측슬리브
92: 외측지지링
93: 지지링연결대
94: 연결리브
95: 밀착력강화링

Claims (6)

  1.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설치되고 오폐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타측에 설치되는 음극관;
    상기 음극관의 일측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음극관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음극관의 외부에 위치되는 양극봉;
    상기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을 상기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으로 인가하는 정전압인가수단;
    상기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임펄스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을 절연파괴하여 탈리시키는 산화피막탈리수단;
    상기 정전압인가수단과 상기 산화피막탈리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음극관의 내부에서 전기분해를 위한 정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거나 양극봉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피막을 탈리시키기 위한 임펄스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음극관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양극봉의 산화피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탈리되도록 상기 양극봉이 상기 음극관의 내부 중심에 위치하도록 잡아주는 중심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유지부재는
    상기 양극봉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양극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복수 개의 내측슬리브와, 상기 음극관의 내주면에 억지끼움식으로 밀착 고정되는 복수 개의 외측지지링과, 상기 음극관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외측지지링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링연결대와, 상기 내측슬리브를 상기 외측지지링에 연결하여 상기 내측슬리브를 상기 음극관의 내부 중심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연결리브와, 상기 내측슬리브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양극봉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슬리브의 내주면 간의 밀착력을 높여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밀착력강화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탈리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에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 기설정된 주기간격으로 상기 임펄스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탈리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극관과 상기 양극봉에 상기 정전압이 기설정된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간격으로 인가될 때 상기 시간간격마다 상기 임펄스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82153A 2018-07-16 2018-07-16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KR10200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53A KR102009876B1 (ko) 2018-07-16 2018-07-16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53A KR102009876B1 (ko) 2018-07-16 2018-07-16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876B1 true KR102009876B1 (ko) 2019-08-12

Family

ID=6762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53A KR102009876B1 (ko) 2018-07-16 2018-07-16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187A (ko) * 1999-10-14 2001-05-07 문재덕 고효율 전해수 제조 장치
KR20100076915A (ko) * 2008-12-26 2010-07-06 이병철 부력풍차
KR20180004089A (ko) * 2017-12-29 2018-01-10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한 분뇨 마쇄 소독 장치
KR20180008813A (ko) 2018-01-04 2018-01-24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187A (ko) * 1999-10-14 2001-05-07 문재덕 고효율 전해수 제조 장치
KR20100076915A (ko) * 2008-12-26 2010-07-06 이병철 부력풍차
KR20180004089A (ko) * 2017-12-29 2018-01-10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한 분뇨 마쇄 소독 장치
KR20180008813A (ko) 2018-01-04 2018-01-24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0427B2 (en) Low-temperature underwater plasma generating device
CZ408897A3 (cs) Elektrochemický článek
EP2766309B1 (en) Method of producing an apparatus for removal of ions
EP27663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ions
JP6374619B2 (ja) 水から異物を取り除くための電気吸着システム
KR102009876B1 (ko) 양극봉 수명이 연장된 전기분해식 오폐수처리장치
US3985636A (en) Electrodialysis apparatus electrode system
KR100316802B1 (ko) 고전압 방전을 이용한 이온화가스 발생장치
CN110559863B (zh) 一种用于控制膜污染的膜片及方法
US6949184B2 (en) Electrical metal ion generating device
KR100377369B1 (ko) 보조전극을 이용한 오폐수 전해처리방법 및 장치
KR20140090446A (ko) 전기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의 드럼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40060819A1 (en) Electrodialysis and electrodeposition membrane electrode device
KR100958953B1 (ko) 드럼 냉각장치를 가지는 전기 침투 탈수기
JP3494824B2 (ja) 放射性金属廃棄物の除染装置
CN210874866U (zh) 一种用于控制膜污染的膜片
KR19990014588A (ko) 고전압 방전을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US3558465A (en) Electrolytic cell
JP5871386B2 (ja) 電極の給電機構
KR200432696Y1 (ko) 이온, 오존 및 자외선 발생 장치
JP2022068970A (ja) 水素含有水生成装置及び水素含有水生成方法
JP2001300536A (ja) 廃水処理装置
KR100337120B1 (ko) 방전 램프 및 이를 사용한 고활성 물질의 발생장치
RU11895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CA2427055A1 (en) Tubular electrodialysis and eletrodeposition membrane electro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