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107B1 -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107B1
KR102009107B1 KR1020180004143A KR20180004143A KR102009107B1 KR 102009107 B1 KR102009107 B1 KR 102009107B1 KR 1020180004143 A KR1020180004143 A KR 1020180004143A KR 20180004143 A KR20180004143 A KR 20180004143A KR 102009107 B1 KR102009107 B1 KR 10200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ousing
hub
sensor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076A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riority to KR1020180004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1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8Stop safety or alarm devices, e.g. stop-and-go control; Disposition of check-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환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환풍기 허브 및 상기 환풍기 허브와 무선연결 되며 상기 환풍기의 작동 상태 및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기 허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환풍기 콘센트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공기의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Smart ventilating fa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기존의 환풍기를 활용하고 실시간으로 공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환풍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사무실, 가정, 공장,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밀폐되고 냄새, 연기, 습기, 먼지 등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환풍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환풍기의 구동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실내환경의 변화 유무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에 의해 환풍기 구동에 대한 통제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무규칙적인 환풍기의 구동은 불필요하게 장시간 동작 전원이 공급되어 전력 낭비가 초래되고 냉/난방 중인 실내 공기의 지속적인 배기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구동에 따라 환풍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다.
최근 들어 하절기 및 동절기에 에어컨 및 전열기 사용의 일반화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내의 밀폐성이 증가되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한 실내 공기의 강제 교환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이에 다른 내부 열손실에 대한 방안 강구의 필요성이 요구 되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사용 절감 및 무분별한 작동으로 인한 실내 열손실 방지를 위한 환풍기의 최적 제어 시스템 기술 확보가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존의 환풍기를 활용하고 실시간으로 공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환풍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환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환풍기 허브 및 상기 환풍기 허브와 무선연결 되며 상기 환풍기의 작동 상태 및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기 허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환풍기 콘센트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공기의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풍기 허브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순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환풍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환풍기를 on 시키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일 경우 상기 환풍기에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환풍기를 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풍기 허브는 상기 환풍기 허브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상기 공기 순환구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보조팬 및 상기 보조팬을 회전시키는 보조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은 정면이 개구되며,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 박스;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정후면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소정의 폭을 가진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하우징 상면에 정후면측으로 길이가 형성된 가이드홀; 상기 콘센트 박스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요철부; 상기 콘센트 박스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판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정면에 구비되고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된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는 일단에 상기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선;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선을 감기 위한 릴부재; 상기 릴부재가 상기 전선을 감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릴스프링; 상기 릴부재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부; 버튼, 일단이 상기 버튼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를 고정하여 상기 릴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버튼부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버튼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환풍기 허브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어 인출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끼움부; 상기 제1 및 제2 끼움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받침부재; 상기 제1 및 제2 끼움부를 연결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 상측 중심에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기존의 환풍기를 활용하고 실시간으로 공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환풍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실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풍기 허브의 전선을 조절할 수 있어, 환풍기 허브를 실내의 공간에 맞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인테리어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평면 투영도.
도 6은 도 4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정면 투영도.
도 7의 (a) 및 (b)는 도 4의 환풍기 허브의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된 콘센트박스의 이동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4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저면회전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회전좌측면도.
도 11의 (a) 및 (b)는 도 9의 환풍기 허브의 설치부의 인출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2의 (a) 및 (b)는 도 9의 환풍기 허브를 벽에 설치한 모습 및 창틀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환풍기 허브(100) 및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기존의 환풍기(10)에 연결되고 외부 콘센트(20)에 연결되어 환풍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환풍기(10) 구동의 통제가 어렵고 전력이 낭비되던 환풍기(10)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공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환풍기(10)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환풍기 허브(100)는 환풍기(10)에 연결되고 외부 콘센트(20)에 연결되어 환풍기(10)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환풍기 허브(100)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바이스(200)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환풍기 허브(100)와 무선연결될 수 있다. 이때,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중 하나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 외 PC,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환풍기 허브(100)와 무선연결이 가능한 디바이스 일 수 있고, 유선연결도 가능하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단말기(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환풍기 허브(1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게 하여 환풍기 허브(10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온라인 어플 마켓(안드로이드 마켓, 애플 스토어, 통신사의 온라인마켓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200)는 환풍기 허브(1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환풍기(10)의 작동상태 및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암모니아 농도, 산소 농도의 측정값, 가스 유출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로부터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및 산소의 기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고, 환풍기 허브(100)의 작동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설정값을 조절하여 환풍기(10)를 제어할 수 있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환풍기 허브(100)로부터 가스 유출 감지 신호를 수신받으면 음성, 경고 표시 등으로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200)는 환풍기 허브(100)의 센서부(미도시)의 감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암모니아 농도, 산소 농도 및 가스 유출의 항목 중 측정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측정 여부 정보를 환풍기 허브(100)에 전송하여 측정 여부 정보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한 것에 대해서만 센서부(미도시)가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환풍기 허브(100)는 하우징(110), 콘센트부(120), 플러그부(13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 공기 유입구(140) 및 공기 순환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환풍기 허브(100)의 다른 구성이 형성되고 수용하는 부분으로,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하우징(110)은 상면이 덮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개폐가 용이하게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에 콘센트부(120), 플러그부(13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 공기 유입구(140) 및 공기 순환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콘센트부(120)는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콘센트부(120)는 하우징(110)의 정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러그부(130)는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외부 콘센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부(130)는 콘센트부(120)가 하우징(110)의 정면에 형성될 경우, 콘센트부(120)의 타측인 하우징(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부(미도시)는 공기의 질을 측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센서부(미도시)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공기의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여, 공기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미도시)는 가스 유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미도시)는 측정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 및 가스 유출 중 하나 이상의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미도시)의 측정값 및 기설정값에 따라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환풍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값은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디바이스(200)에 입력된 기설정값을 수신받아 조절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값(기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환풍기(10)에 외부 콘센트(2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공급하여 환풍기(10)를 on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일 경우 환풍기(10)에 전원을 차단하여 환풍기를 off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의 질에 따라 환풍기(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내부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환풍기(10), 환풍기 허브(100) 및 외부 콘센트(20) 등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 정보를 디바이스(200)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공기 유입구(140)는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센서부(미도시)가 공기의 질에 대한 측정을 더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센서부(미도시)가 공기 변화에 민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입구(140)는 하우징(110)의 상면에서 후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기 순환구(150)는 공기 유입구(14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것으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순환구(15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후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유입구(140)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풍기 허브(100)는 보조팬(160) 및 보조모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팬(160)은 환풍기 허브(100)의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공기 순환구(150)로 배출되도록 송풍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팬(16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공기 순환구(150)의 타측에 형성되어, 공기 순환구(150)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보조모터(170)는 보조팬(16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모터(170) 및 보조팬(160)의 작동은 디바이스(200)가 사용자로부터 보조팬(160)의 작동여부를 입력받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제어부(미도시)가 보조모터(170)의 작동(on/off)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평면 투영도이다.
도 6은 도 4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정면 투영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4의 환풍기 허브의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된 콘센트박스의 이동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콘센트부(120) 및 플러그부(130)가 제1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콘센트부(120) 및 플러그부(130)의 구성, 이에 따른 하우징(110)의 형상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과 동일하다.
따라서, 콘센트부(120) 및 플러그부(130)의 구성, 하우징(110)의 형상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콘센트부(120)는 콘센트 박스(121), 레일부(122), 가이드홀(123), 요철부(124), 슬라이드판(125) 및 패킹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정면이 개구될 수 있다.
콘센트 박스(121)는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콘센트가 형성되어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다.
레일부(122)는 하우징(110)의 내부 양측면에 정후면측으로 길이를 형성하고, 소정의 폭을 가진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부(122)는 하우징(110)의 정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오목부와 볼록부는 요철부(124)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곡선의 형태일 수 있다.
즉, 레일부(122)의 형태는 파동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고, 오목부와 볼록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고, 오목부간의 간격 또는 볼록부간의 간격은 일정한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오목부와 볼록부는 요철부(124)의 곡룰보다 완만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요철부(124)가 정후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요철부(124)가 오목부에 위치할 경우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홀(123)은 하우징(110) 상면에 정후면측으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홀(123)은 하우징(110) 정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가이드홀(123)은 슬라이드판(125)이 위치하여 가이드홀(123)을 따라 슬라이드판(125)이 정후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요철부(124)는 콘센트 박스(121) 양측면에 형성되어 레일부(122)를 따라 정후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24)는 곡선의 형태를 가져 레일부(122)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124)는 일측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판(125)은 콘센트 박스(121) 상면에 형성되어 가이드홀(123)을 따라 정후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판(125)은 콘센트 박스(12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슬라이드판(125)은 사용자로부터 힘을 받아 정후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콘센트 박스(1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요철부(124)가 레일부(122)를 따라 이동하고 레일부(122)의 오목부에 도달하면 고정될 수 있다.
패킹부(126)는 하우징(110)의 개구된 정면에 구비되며,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킹부(126)는 고무 등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126)는 하우징(110) 내부로 수용된 환풍기(10)의 전선이 빠지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이러한 콘센트부(120)의 구성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126)의 절개부로 환풍기 플러그를 관통시켜 콘센트 박스(121)에 환풍기 플러그를 꽂을 수 있다.
또한, 환풍기 허브(100)를 환풍기(10)의 근처에 설치할 경우 환풍기(10)의 잉여 전선(길게 늘어진 전선)이 발생하게 되는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박스(121)를 후면측으로 이동시켜 콘센트 박스(121)의 정면측에 공간을 형성하여 잉여 전선을 환풍기 허브(100)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고, 패킹부(126)로 수용된 잉여 전선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풍기(10)의 잉여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플러그부(130)는 전선(131), 회전축(132), 릴부재(133), 릴스프링(134), 걸림부(135), 버튼부(136) 및 탄성부재(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131)은 일단에 플러그를 포함하여 외부 콘센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콘센트(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회전축(132)은 하우징(110)의 내부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32)은 하우징(110)의 후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릴부재(133)는 회전축(13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선(131)이 감길 수 있다.
이러한 릴부재(133)는 후면측에서 바라볼 때 'I'자 형상으로 보이는, 상하면으로 형성된 원판 및 두 원판을 중심에서 연결하고, 중심 내부에 관통되어 회전축(132)이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는 원기둥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릴스프링(134)은 릴부재(133)가 전선(131)을 감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릴스프링(134)은 회전축(132)에 연결되고 릴부재(133)의 하면에 연결되어 릴부재(133)가 전선(131)을 감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릴스프링(134)은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35)는 릴부재(133)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릴부재(133)의 원판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136)의 고정부재에 걸려 릴부재(133)가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걸림부(135)는 곡선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선(131)을 푸는 경우 릴부재(133)가 회동되고 고정부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버튼부(136)는 상시 걸림부(135)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로 설치되고, 버튼부(136)를 사용자가 누를 경우 걸림부(135)의 고정이 해제되어 릴부재(133)가 전선(131)을 감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부(136)는 버튼, 연결부재 및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다.
연결부재는 일단이 버튼에 연결되고 타단에 고정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걸림부(135)를 고정하여 릴부재(133)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곡선을 가지는 형태,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형성되어 릴부재(133)의 회동 시 걸림부(135)가 용이하게 넘어가지도록 할 수 있다.
버튼이 눌리면 고정부재가 릴부재(133)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부(135)의 고정이 해제되어 릴부재(133)가 전선(131)을 감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137)는 하우징(110) 및 버튼부(136) 사이에 구비되어 버튼부(136)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0) 및 버튼부(136)의 연결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시 버튼부(136)를 가압하여 버튼부(136)는 고정부재가 걸림부(135)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고, 버튼부(136)에 탄성을 주어 전선(131)을 풀 경우 릴부재(133)의 회전으로 걸림부(135)에 고정부재가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플러그부(130)의 구성으로, 전선(131)을 당겨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전선을 풀어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거나 전선(131)을 다시 감을 경우 버튼부(136)를 누르는 것으로 전선(131)을 자동으로 다시 감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내 구조, 환풍기 허브(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선(131)의 길이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저면회전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환풍기 허브를 도시한 회전좌측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도 9의 환풍기 허브의 설치부의 인출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도 9의 환풍기 허브를 벽에 설치한 모습 및 창틀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환풍기 허브(100)가 설치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부(18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과 동일하다.
따라서, 설치부(18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설치부(180)는 환풍기 허브(100)의 설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사물, 지면 등 바닥면에 단순히 올려 놓는 것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벽, 창틀 등에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설치부(180)는 하우징(1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인출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끼움부(181,182), 받침부재(183), 파지부(184) 및 후크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끼움부(181,182)는 일측이 하우징(110)에 삽입되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끼움부(181,182)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183)는 제1 및 제2 끼움부(181,182)와 하우징(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제1 끼움부(181)의 상면과 하우징(110)의 하면 사이 및 제2 끼움부(182)의 상면과 하우징(110)의 하면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부(180)가 하면방향으로 당겨져 인출되도록 하고, 창틀 등에 끼워질 때 제1 및 제2 끼움부(181,182)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켜, 고정될 수 있는 창틀 등의 두께에 대해 조절될 수 있고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파지부(184)는 제1 및 제2 끼움부(181,182)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설치부(180)를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18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부, 직선부 및 제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는 일단이 제1 끼움부(181)에 연결될 수 있고, 일단에서 타단이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직선부는 일단이 제1 경사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경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경사부는 일단이 직선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끼움부(182)에 연결될 수 있고, 일단에서 타단이 상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부(184)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설치부(180)를 당기기에 편리할 수 있다.
후크부(185)는 파지부(184) 상측 중심에 형성될 수 있고, 중심에 후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에 후크걸이, 못, 등을 설치하거나,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후크부(185)를 거는 것으로 설치할 수 있다.
환풍기 허브(100)의 하우징(110)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 등 평평한 바닥면에 두는 것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설치부(180)의 구성에 의해 벽, 창틀 등에 설치할 수도 있어 실내 구조, 환경 등에 의해 따라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은 기존의 환풍기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공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환풍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풍기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실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풍기 허브의 전선을 조절할 수 있어, 환풍기 허브를 실내의 공간에 맞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인테리어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을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환풍기
20: 외부 콘센트
100: 환풍기 허브
110: 하우징
120: 콘센트부
121: 콘센트 박스
122: 레일부
123: 가이드홀
124: 요철부
125: 슬라이드판
126: 패킹부
130: 플러그부
131: 전선
132: 회전축
133: 릴부재
134: 릴스프링
135: 걸림부
136: 버튼부
137: 탄성부재
140: 공기 유입구
150: 공기 순환구
160: 보조팬
170: 보조모터
180: 설치부
181: 제1 끼움부
182: 제2 끼움부
183: 받침부재
184: 파지부
185: 후크부

Claims (7)

  1. 환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환풍기 허브 및
    상기 환풍기 허브와 무선연결 되며 상기 환풍기의 작동 상태 및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기 허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환풍기 콘센트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공기의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풍기 허브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순환구;
    상기 환풍기 허브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상기 공기 순환구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보조팬 및
    상기 보조팬을 회전시키는 보조모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환풍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환풍기를 on 시키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일 경우 상기 환풍기에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환풍기를 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4. 삭제
  5. 환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환풍기 허브 및
    상기 환풍기 허브와 무선연결 되며 상기 환풍기의 작동 상태 및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기 허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환풍기 콘센트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공기의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정면이 개구되며,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 박스;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정후면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소정의 폭을 가진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하우징 상면에 정후면측으로 길이가 형성된 가이드홀;
    상기 콘센트 박스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요철부;
    상기 콘센트 박스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판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정면에 구비되고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된 패킹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6. 환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환풍기 허브 및
    상기 환풍기 허브와 무선연결 되며 상기 환풍기의 작동 상태 및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기 허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환풍기 콘센트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공기의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일단에 상기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선;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선을 감기 위한 릴부재;
    상기 릴부재가 상기 전선을 감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릴스프링;
    상기 릴부재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부;
    버튼, 일단이 상기 버튼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를 고정하여 상기 릴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버튼부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버튼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7. 환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환풍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환풍기 허브 및
    상기 환풍기 허브와 무선연결 되며 상기 환풍기의 작동 상태 및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기 허브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환풍기 플러그가 연결되는 환풍기 콘센트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외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공기의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환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풍기 허브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어 인출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끼움부;
    상기 제1 및 제2 끼움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받침부재;
    상기 제1 및 제2 끼움부를 연결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 상측 중심에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KR1020180004143A 2018-01-12 2018-01-12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KR10200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43A KR102009107B1 (ko) 2018-01-12 2018-01-12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143A KR102009107B1 (ko) 2018-01-12 2018-01-12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76A KR20190086076A (ko) 2019-07-22
KR102009107B1 true KR102009107B1 (ko) 2019-08-08

Family

ID=6746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143A KR102009107B1 (ko) 2018-01-12 2018-01-12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4005B1 (en) * 2022-03-03 2023-03-14 Tuckemuck Technology, L.L.C. In-line device for controlling venti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3095A (ko) * 2012-05-02 2013-11-12 (주) 하이텍 Ac fan의 관리 및 제어 시스템
KR20140095245A (ko) * 2013-01-24 2014-08-01 김국진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선풍기
KR20160142605A (ko) * 2015-06-03 2016-12-13 (주)팬탑코리아 창문에 설치되는 실내공기 환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76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19358A1 (en) System for optimising an enclosed space
KR102009107B1 (ko) 스마트 환풍기 제어 시스템
US20130082115A1 (en) Remote Controlled Vent Register
JP2012145308A (ja) 空調・換気用の吹出装置
KR20100078637A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CN204370974U (zh) 智能窗户系统
KR20090004688U (ko) 난방 겸용 환기장치
CN207548894U (zh) 一种锂电隔膜分切机的收边料部件
CN210638116U (zh) 新风空调室内机
CN111720350A (zh) 一种粮仓用多模式通风排风机
CN110793121A (zh) 空调烘干卷帘系统
KR20190002613U (ko) 흡연부스
CN211057463U (zh) 一种智能家居用衣物干燥处理装置
CN211458208U (zh) 能够自动通风的花卉种植用温室大棚
CN207299372U (zh) 养殖场用智能新风系统
CN218850213U (zh) 一种电气箱运行微环境控制装置
KR101310251B1 (ko)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KR101147282B1 (ko) 풍량 및 풍향 자동조절식 라인 디퓨져
CN206073275U (zh) 一种落地式空调室内机
CN210279184U (zh) 一种恒温恒湿试验箱
CN113682657B (zh) 一种外延片的贮存方法及装置
CN205126942U (zh) 除味装置和冰箱
CN109506346A (zh) 风量调节结构、新风机及空气调节方法
CN209939137U (zh) 一种胶膜卷筒的槽式定位装置
CN203928317U (zh) 出风方向可变的出风装置及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