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695B1 -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695B1
KR102008695B1 KR1020180072298A KR20180072298A KR102008695B1 KR 102008695 B1 KR102008695 B1 KR 102008695B1 KR 1020180072298 A KR1020180072298 A KR 1020180072298A KR 20180072298 A KR20180072298 A KR 20180072298A KR 102008695 B1 KR102008695 B1 KR 102008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weight
semi
weigh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호성
Original Assignee
성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성 filed Critical 성호성
Priority to KR102018007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에 의한 행위만으로 봉상체 상에서 중량체의 위치 구속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당김과 같은 단순 조작에 의하여 탄성력을 보유한 관련 요소가 슬라이드 운용됨에 따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중량체를 취급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 편의가 극대화되고, 아울러 봉상체의 특정 두께나 크기에 국한됨이 없이 광범위하게 채택 가능하면서도 봉상체와 중량체의 상호 간극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진동 또한 미연에 방지되므로 저소음, 내구성, 안전성에 기여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110)을 포함하는 봉상체(100); 봉상체의 인입을 위한 축공(210)을 기준으로 복수의 손잡이부(220)가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중량체(200); 중량체와 봉상체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고정유닛(300);을 포함하고, 위 고정유닛(300)은 손잡이부(220) 상에서 돌출 배치되어 사용자의 당김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부(310) 및 조작부와 연계 형성되고 축공(210)을 기점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고정홀(110) 내부로의 개재 여부가 선택되는 고정부(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Semi-automatic fixed unit health equipment}
본 발명은 기구 조립체에 적용되는 반자동 고정수단의 제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에 의한 행위만으로 봉상체 상에서 중량체의 위치 구속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당김과 같은 단순 조작에 의하여 탄성력을 보유한 관련 요소가 슬라이드 운용됨에 따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중량체를 취급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 편의가 극대화되고, 아울러 봉상체의 특정 두께나 크기에 국한됨이 없이 광범위하게 채택 가능하면서도 봉상체와 중량체의 상호 간극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진동 또한 미연에 방지되므로 저소음, 내구성, 안전성에 기여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육 단련을 위해 각종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으며, 가령 덤벨이나 바벨 등을 포함한 통상의 운동기구는 무게 조정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면서 사용자의 개별 신체조건이나 개별 기호 등 사용자 니즈 충족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운동기구를 구현함에 있어 봉상체와 중량체의 고정방식 중 하나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08287호 "바벨 및 덤벨의 중량체 결합구조"가 게재되고 있다. 해당 구성을 개략적으로 기재하면, 중량체가 결합된 봉상체 양단에 고정유닛을 너트방식으로 회전시켜 결합하고, 봉상체 측면과 이에 맞닿는 고정유닛의 일면을 각각 요철부로 형성하여 요철부의 상호 마찰에 의해 고정유닛이 원치않게 봉상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기술사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사상은 운동 중 중량체 무게를 수시로 교체함에 있어 상당히 번거로울 뿐 아니라 너트방식으로 체결된 결합수단으로 하여금 과도한 시간이 요구되는바, 제한적인 시간 내에서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크나큰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중량체 교체를 위한 착탈시간과 교체 방식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727473호 "자동바를 이용해 고정된 덤벨"이 게재되고 있다.
해당 종래기술은 중량체 간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음 방지와 함께 중량체의 이탈 방지를 위해 제공되며, 이를 위해 봉상체 내부 공간으로 고정용 줄을 관통 삽입하고, 봉상체 양단에 중량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각각 화물용 자동 적재바를 중량체와 밀접하게 위치시킨 후, 고정용 줄을 화물용 자동 적재바의 조임부에 결부시켜 조임으로써 중량체를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키는 기술사상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중량체를 신속하게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기대될 수 있는 반면, 고정용 줄이 봉상체 내부 공간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유닛에 결부되므로 봉상체 외주연에 설치된 중량체의 교체가 불가능한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다만 한 쌍의 고정유닛 중 어느 하나의 고정유닛에서 고정용 줄을 풀어 대상 중량체를 교체할 수 있으나, 이는 결국 고정용 줄을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해 초래되는 불필요한 시간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중량체를 손으로 취급하는 과정에서 적정 수준의 가압력이 유발되는 방식에 기인하여 중량체와 봉상체의 상호 견고한 결합력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단순 슬라이드 운용되는 방식에 의해 봉상체와 중량체의 결합이 유도되므로 기존 대비 신속성, 정확성, 간편성 등에 기여할 수 있는 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특정한 것이 아닌 다양한 규격의 봉상체에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중량체와 봉상체 사이 공간으로 유발될 수 있는 간극 해소에 적극 기여함으로써 중량체의 위치 고정은 물론 소음 내지 마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봉상체에 결부된 수 개의 중량체 중 어느 하나의 중량체를 선택하여 고정 해제할 경우 이와 연동하여 타 중량체 또한 동시에 교체 가능하게 됨으로써 중량체 간 고정 해제에 대한 연동이 허용되는 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110)을 포함하는 봉상체(100);와, 봉상체의 인입을 위한 축공(210)을 기준으로 복수의 손잡이부(220)가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중량체(200);와, 중량체와 봉상체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고정유닛(300);을 포함하고, 위 고정유닛(300)은 손잡이부(220) 상에서 돌출 배치되어 사용자의 당김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부(310) 및 조작부와 연계 형성되고 축공(210)을 기점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고정홀(110) 내부로의 개재 여부가 선택되는 고정부(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고정유닛(300)은 조작부(310)와 고정부(320) 사이에 고정 체결되고, 조작부의 움직임을 고정부로 전달하는 연결부(330) 및 연결부 상에 체결되는 스토퍼(340)를 포함하고, 위 스토퍼(340)는 중량체(200) 내면에 위치 고정되어 연결부(330)가 중량체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조작부(310)는 손잡이부(220) 둘레면을 따라 안착되는 가이드(311) 및 가이드에서 손잡이부의 노출 영역까지 하향 돌출되는 그립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고정유닛(300)은 고정부(320)와 스토퍼(330) 사이에 배치되어 조작부(310)의 당김 조작에 의해 중량체(200) 내부로 인입된 고정부를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탄성체(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중량체(200)는 터널(231)이 형성되는 끼움공(230) 및 터널(231)에 삽입되는 끼움편(240)이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고정유닛(300)은 조작부(310)의 양면에서 중량체의 외부에 이르는 영역까지 돌출 형성되어 끼움공(230) 또는 끼움편(240)의 결합을 유도하는 입설대(361)를 포함하고, 위 입설대(361)는 조작부(310)의 당김 조작에 의한 상하 위치 이동을 끼움공(230) 또는 끼움편(240)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끼움공(230)과 끼움편(240)은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으로 구성되거나, 끼움공의 내벽 또는 끼움편의 표면이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중량체(200)는 입설대(361)의 상하 위치 가변 영역에 슬롯(20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봉상체(100)는 고정유닛(300)의 고정부(220)를 각각의 고정홀(110)에 위치 안내하기 위한 다색의 안내라인(12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유닛을 중량체와 일체로 구성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중량체의 파지부에 노출된 그립부를 단순히 누르는 동작만으로 중량체가 봉상체로부터 고정 및 해제가 시도되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봉상체의 양단부에 중량체가 결합되는 위치마다 구비된 고정홀 및 해당 고정홀에 중량체의 고정유닛이 결부됨에 따라 복수의 중량체가 고정홀에 의해 상시 밀접하게 배치가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중량체의 진동, 마찰 등에 의한 소음이 적극적으로 감소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중량체의 정면과 배면에 각각 끼움공과 끼움편이 구비되고, 위 끼움공과 끼움편은 중량체 내부에 삽입된 고정유닛과 결합되어 고정유닛의 조작에 대한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져 복수의 중량체가 해당 끼움공과 끼움편의 결합으로 상호 연동되며, 여기에서 복수의 중량체 중 어느 하나의 고정유닛을 조작하여도 그 외의 중량체에 구비된 고정유닛이 반응하여 동시다발적으로 봉상체에 결합된 중량체들의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위 끼움공과 끼움편을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 또는 끼움공의 내벽과 끼움편의 표면을 실리콘이나 우레탄으로 형성하여 상호가 마찰을 유도하여 더욱 견고하고 밀접한 결합을 유도하면서 사용상에 진동이나 마찰 등에 의한 소음이 적극적으로 감소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의 중량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고정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중량체 커버 함몰영역에 고정유닛이 안착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고정유닛이 중량체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봉상체가 중량체의 축공으로 삽입됨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중량체의 축공에 봉상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유닛의 당김 조작을 해제시켜 고정부가 봉상체의 고정홀에 결부됨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끼움공과 끼움편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끼움공과 끼움편의 상하 위치 이동을 위해 중량체 상에 슬롯이 구비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봉상체 상에 서로 다른 무게로 이루어진 중량체를 순차적으로 결부시키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봉상체 상에 결부된 복수의 중량체를 끼움공과 끼움편을 이용하여 일체화 연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중량체를 회전시켜 결부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 및 도 17은 도 14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기구 조립체에 적용되는 반자동 고정수단의 제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한 것이다.
무엇보다, 가압에 의한 행위만으로 봉상체 상에서 중량체의 위치 구속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당김과 같은 단순 조작에 의하여 탄성력을 보유한 관련 요소가 슬라이드 운용됨에 따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중량체를 취급할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상 편의가 극대화되고, 아울러 봉상체의 특정 두께나 크기에 국한됨이 없이 광범위하게 채택 가능하면서도 봉상체와 중량체의 상호 간극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진동 또한 미연에 방지되므로 저소음, 내구성, 안전성에 기여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의 중량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중량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량체(200)는 원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면의 중심선상을 기준으로 동일한 두께로 양분된 좌커버(201)와 우커버(202)가 상호 조립되어 중량체의 외형을 이룬다. 특히, 좌커버(201)와 우커버(202) 사이공간에는 고정유닛(300)이 더 포함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중량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220)에 고정유닛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를 통해 중량체의 고정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본 발명의 중량체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2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량체(200)는 크게 중량체의 외형을 이루는 좌커버(201)와 우커버(202) 및 봉상체(100)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고정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중량체(200)는 좌커버(201)와 우커버(202)를 맞닿게 배치한 뒤 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조립하여 중량체의 외형을 형성한다. 한편, 좌커버와 우커버의 내면에는 축공(210)을 기점으로 손잡이부(220)에 이르기까지 고정유닛(30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일정 깊이의 함몰영역(203)이 더 형성되어 추후 설명이 이루어질 고정유닛(200)의 안착을 유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고정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해당 고정유닛의 각 부품을 조립 순서대로 나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의 고정유닛(200)은 사용자의 파지 및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부(310)와, 조작부에 의해 축공(210)으로의 노출이 이루어져 봉상체(100)와의 결부여부가 결정되는 고정부(320)와, 조작부와 고정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30)와, 고정유닛을 중량체(200)의 함몰영역(203)에 고정시키는 스토퍼(340)와, 고정부와 스토퍼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350)로 구성된다.
위 조작부(310)는 좌커버(201) 및 우커버(202)의 함몰영역(203)에 안착하되, 손잡이부(220)의 둘레를 따라 안착할 수 있도록 사각의 틀로 이루어진 가이드(311) 및 가이드 내부면에서 손잡이부의 노출 영역까지 하향 돌출된 그립부(3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위 그립부(312)는 표면의 형태가 다면의 굴곡진 음각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유용하게 하는 인체 공학적인 외형을 가진다.
위 고정부(320)는 조작부(310)와 마찬가지로 함몰영역(203)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특히 축공(21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조작부(310)의 조작으로 하여금 축공의 외부영역과 중량체의 내부공간으로의 인출과 인입이 시도되게 함으로써, 추후 설명할 봉상체(100)의 고정홀(110)과의 결부 여부를 결정되게 한다. 한편, 위 고정부(320)는 측면에 단턱을 더 형성하여 축공의 외부영역과 중량체의 내부공간으로의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지는 거리를 제한한다.
위 연결부(330)는 위 조작부(310)와 위 고정부(320)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에 형성된 나사선으로 하여금 조작부와 고정부를 상호 연결하여 조작부의 당김 조작을 고정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스토퍼(340)는 본 발명에서 중앙에 홀이 관통 형성된 사각의 블록으로 표현하였으나, 형태를 여기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스토퍼(340)는 조작부(310)와 고정부(320) 사이에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를 좌커버(201)와 우커버(202)의 함몰영역(203)에 끼워넣어 고정유닛(300) 전체를 중량체에 고정한다. 다시말해, 스토퍼(340)는 중량체(300)의 내부공간에 완전 고정된 상태에서 스토퍼의 홀을 통해 조작부와 고정부 그리고 연결부가 수평 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확한 경로 안내를 도모한다.
위 탄성체(350)는 고정부(320)와 스토퍼(340) 사이공간에 배치되며, 조작부(310)를 당길시 고정부가 스토퍼 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부와 스토퍼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가 수축하여 탄성력이 충전되었다가 조작부의 당김 해제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부 및 연결부 그리고 고정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 내지 8은 우커버(202)의 함몰영역(203)에 고정유닛(300)이 안착 배치된 상태에서 중량체 고정유닛의 초기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또는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유닛(300)은 좌커버(201) 또는 우커버(202)의 함몰영역(203)에 스토퍼(340)에 의해 끼움 안착되는데, 이때 조작부(310)는 손잡이부(2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고정부(320)는 축공(21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유닛의 초기 배치 상태는 스토퍼(340)와 탄성체(350)의 탄성력에 의해 최대한 축공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조작부의 그립바(312)와 고정부는 각각 손잡이부(220)와 축공(210)에 각각 노출되게 배치된다.
도 7 또는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커버(201)의 손잡이부(220)에 손을 넣은 상태에서 돌출된 그립바(312)를 잡아당기게 되면 조작부(310)와 연결된 연결부(330)와 고정부(320)가 함께 당겨지게 되어 조작부와 고정부가 좌커버(201)의 내부공간으로 인입이 실시된다.
이때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위 탄성체(350)는 고정부(320)와 스토퍼(340) 사이공간에 배치되며, 조작부(310)를 당길시 고정부가 스토퍼 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부와 스토퍼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가 수축하여 탄성력을 충전한다.
도 9와 도 10은 고정유닛(300)을 잡아당겨 고정부(320)를 중량체의 내부공간으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중량체(200)의 축공(210)에 봉상체(100)를 인입시킨 뒤, 고정유닛(300)의 당김 조작을 해제하여 고정부를 원상복귀 시킴으로써 중량체와 봉상체를 서로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기구 조립체는 중량체(200)에 설치된 고정유닛(300)의 조작부(310)를 잡아당겨 고정부(320)를 중량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중량체의 축공(210)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봉상체(100)를 개방이 허용된 축공으로 진입시킨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봉상체(100)와 같이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홀을 주변으로 안내라인(120)이 더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홀(110)이란 중량체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고정부(320)가 당김 조작의 해제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봉상체(100)에 형성된 고정부로 삽입됨을 유도함에 따라 고정부와 고정홀로 하여금 봉상체 상에 중량체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위 안내라인(120)은 봉상체(100)에 삽입되는 중량체(200)에 의해 봉상체에 형성된 고정홀(110)의 형성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일종의 표식 역할이다.
도 10은 도 9의 설명에서 언급하였듯이 중량체(200)의 축공(210)으로 인입된 봉상체(100)의 고정홀(110)에 고정유닛(300)의 고정부(320)를 진입시켜 중량체와 봉상체를 상호 견고히 고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고정유닛에 형성된 입설대에 끼움공과 끼움편이 부가 설치되어 복수의 중량체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어느 하나의 중량체의 당김 조작 행위시 그 외의 중량체의 고정유닛이 동시다발적으로 당김 조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사용 상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고정유닛(300)의 조작부(310) 양면에 입설대(361)가 더 형성되고, 해당 입설대에 각각 끼움공(230)과 끼움편(240)이 볼트결합하여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조작부(310)는 양면에 소정이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입설대(361)가 돌출 형성되고, 입설대의 단부에는 끼움공(230) 또는 끼움편(240)이 조립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결합홀을 포함하는 결합편(361a)을 더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결합편(361a)의 면부에 끼움공(230) 또는 끼움편(240)을 밀착 배치하는데, 이때 끼움공 또는 끼움편은 결합편의 결합홀과 동일한 위치선상에 형성된 볼트홀을 통해 볼트를 삽입한 뒤 결합편과 견고하게 조립한다.
예컨대, 위 끼움공(230)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면은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면은 볼트의 나사부는 관통되지만 볼트머리는 간섭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끼움편(240)은 끼움공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나, 끼움공의 터널(231)에 삽입될 정도의 크기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위 끼움공(230)과 끼움편(240)은 중량체에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회전에 의해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지름의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위 끼움공(230)의 바깥쪽 면은 터널(231)에서 중심영역까지 장슬롯(232)이 더 형성되고, 장슬롯은 끼움편(240)의 터널 진입 시 끼움편의 입설대(361)가 끼움공에 간섭받지 않고 장슬롯의 안내에 따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상호 체결되는 복수 개의 중량체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끼움공과 끼움편의 상하 위치 이동을 위해 중량체 상에 슬롯이 구비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와 같이 좌커버(201)와 우커버(202)에 형성된 슬롯(204)은 손잡이부(220)와 근접한 위치에서 축공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형성된다.
위 슬롯(204)은 고정유닛(300)의 입설대(261)에 형성된 결합편(261a)의 지름보다 다소 확장된 지름으로 구성함으로써, 중량체(200)에 고정유닛을 조립시 입설대가 슬롯을 통해 중량체의 외부영역으로 노출될 수 있게 함은 물론, 고정유닛의 상하 위치 이동시 중량체로 하여금 입설대의 수직이동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중량체(200)는 좌커버(201)의 함몰영역에 고정유닛(300)을 설치한 뒤 우커버(202)를 포개어 조립하고, 좌커버와 우커버의 슬롯으로 노출된 입설대(261) 및 결합편(261a)에 끼움공(230)과 끼움편(24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완성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봉상체 상에 서로 다른 무게로 이루어진 중량체를 개별적 또는 일괄적으로 탈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봉상체(100)의 일측 단부에 20kg의 중량체(200)를 먼저 삽입한 뒤, 고정유닛을 통해 견고히 고정한 상태에서 15kg와 10kg의 중량체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과 같이 봉상체(100)에 결부된 20kg의 중량체(200)는 손잡이부(220)가 봉상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이에 따라 손잡이부 하단에 위치하는 끼움공(230) 역시 봉상체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15kg의 중량체(200)는 끼움편(240)이 20kg 중량체와 맞닿는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20kg 중량체에 구비된 끼움공의 위치를 피해 약 45° 내지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봉상체에 진입시켜야 15kg의 끼움편을 20kg의 끼움공으로 다시 역회전시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조립된 복수의 중량체들은 도 16과 같이 각각의 중량체가 구비한 고정유닛이 끼움공과 끼움편의 결합에 의해 순차 연결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고정유닛의 일체화 연결은 도 17과 같이 복수의 중량체들 중 어느 하나의 중량체에 구비된 고정유닛의 작동만으로도 나머지 중량체들의 고정유닛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진다.
혹은 20kg의 중량체를 준비한 후 또 다른 무게의 중량체를 준비된 20kg의 중량체 상단에 적층 배치한다. 그리고 각각의 중량체들을 회전시켜 끼움공과 끼움편이 결합되게하여 일체화시킨다. 일체화된 중량체가 목표로 하는 무게가 완성되면 봉상체에 삽입한 후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봉상체의 고정홀에 견고히 고정한다.
다시 말해, 위와 같이 끼움공과 끼움편을 통해 서로 연결된 중량체들은 사용자가 기구 조립체의 사용 후 중량체 무게의 교체 또는 보관을 위해 중량체를 봉상체로부터 제거시 개별로 탈거하거나, 단체로 탈거할 수 있다.
예컨대, 위 끼움공(230)과 끼움편(240)의 소재를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으로 제작하여 상호 결합시 자성을 통해 더욱 향상된 결합력을 유도하거나, 끼움공(230)의 내벽 또는 끼움편(240)의 표면을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구성하여 상호 간 마찰에 의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에 의하면, 고정유닛을 중량체와 일체로 구성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중량체의 파지부에 노출된 그립부를 단순히 누르는 동작만으로 중량체가 봉상체로부터 고정 및 해제가 시도되어 사용이 간편하다. 그리고 봉상체의 양단부에 중량체가 결합되는 위치마다 구비된 고정홀 및 해당 고정홀에 중량체의 고정유닛이 결부됨에 따라 복수의 중량체가 고정홀에 의해 상시 밀접하게 배치가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중량체의 진동, 마찰 등에 의한 소음이 적극적으로 감소하며, 더불어 본 발명은 중량체의 정면과 배면에 각각 끼움공과 끼움편이 구비되고, 위 끼움공과 끼움편은 중량체 내부에 삽입된 고정유닛과 결합되어 고정유닛의 조작에 대한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져 복수의 중량체가 해당 끼움공과 끼움편의 결합으로 상호 연동되며, 여기에서 복수의 중량체 중 어느 하나의 고정유닛을 조작하여도 그 외의 중량체에 구비된 고정유닛이 반응하여 동시다발적으로 봉상체에 결합된 중량체들의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위 끼움공과 끼움편을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 또는 끼움공의 내벽과 끼움편의 표면을 실리콘이나 우레탄으로 형성하여 상호가 마찰을 유도하여 더욱 견고하고 밀접한 결합을 유도하면서 사용상에 진동이나 마찰 등에 의한 소음이 적극적으로 감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봉상체 110. 고정홀
120. 안내라인 200. 중량체
201. 좌커버 202. 우커버
203. 함몰영역 204. 슬롯
210. 축공 220. 손잡이부
230. 끼움공 240. 끼움편
300. 고정유닛 310. 조작부
311. 가이드 312. 그립바
320. 고정부 330. 연결부
340. 스토퍼 350. 탄성체
361. 입설대 361a. 결합편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110)을 포함하는 봉상체(100)와, 봉상체의 인입을 위한 축공(210)을 기준으로 복수의 손잡이부(220)가 형성되는 원반 형상의 중량체(200)와, 중량체와 봉상체의 결합 여부를 결정하는 고정유닛(300)을 포함하고, 위 고정유닛(300)은 손잡이부(220) 상에서 돌출 배치되어 사용자의 당김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부(310) 및 조작부와 연계 형성되고 축공(210)을 기점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고정홀(110) 내부로의 개재 여부가 선택되는 고정부(320)로 구성되는 기구 조립체에 있어서,
    위 중량체(200)는 터널(231)이 형성되는 끼움공(230) 및 터널(231)에 삽입되는 끼움편(240)이 대응 형성되고,
    위 고정유닛(300)은 조작부(310)와 고정부(320) 사이에 고정 체결되고, 조작부의 움직임을 고정부로 전달하는 연결부(330) 및 연결부 상에 체결되는 스토퍼(340)를 포함하고,
    위 스토퍼(340)는 중량체(200) 내면에 위치 고정되어 연결부(330)가 중량체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위 조작부(310)는 손잡이부(220) 둘레면을 따라 안착되는 가이드(311) 및 가이드에서 손잡이부의 노출 영역까지 하향 돌출되는 그립부(312)를 포함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위 고정유닛(300)은 고정부(320)와 스토퍼(330) 사이에 배치되어 조작부(310)의 당김 조작에 의해 중량체(200) 내부로 인입된 고정부를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탄성체(350)를 더 포함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위 고정유닛(300)은 조작부(310)의 양면에서 중량체의 외부에 이르는 영역까지 돌출 형성되어 끼움공(230) 또는 끼움편(240)의 결합을 유도하는 입설대(361)를 포함하고,
    위 중량체(200)는 입설대(361)의 상하 위치 가변 영역에 슬롯(20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입설대(361)는 조작부(310)의 당김 조작에 의한 상하 위치 이동을 끼움공(230) 또는 끼움편(240)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위 끼움공(230)과 끼움편(240)은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위 끼움공(230)의 내벽 또는 끼움편(240)의 표면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위 봉상체(100)는 고정유닛(300)의 고정부(320)를 각각의 고정홀(110)에 위치 안내하기 위한 다색의 안내라인(120)이 더 포함되는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KR1020180072298A 2018-06-22 2018-06-22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KR102008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98A KR102008695B1 (ko) 2018-06-22 2018-06-22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98A KR102008695B1 (ko) 2018-06-22 2018-06-22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695B1 true KR102008695B1 (ko) 2019-08-08

Family

ID=6761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298A KR102008695B1 (ko) 2018-06-22 2018-06-22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11A (ko) * 2019-11-05 2021-05-13 윤우섭 바벨 봉에 자동설치 및 해리되는 바벨원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697U (ko) * 2010-04-06 2011-10-12 김지혜 중량 가변 아령
KR101115444B1 (ko) * 2011-04-14 2012-02-22 장춘섭 역도기구
JP3203764U (ja) * 2015-02-06 2016-04-14 旭宏祥有限公司 バーベル
US20180140889A1 (en) * 2007-11-29 2018-05-24 Tomas Svenberg Dumbbe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40889A1 (en) * 2007-11-29 2018-05-24 Tomas Svenberg Dumbbell
KR20110009697U (ko) * 2010-04-06 2011-10-12 김지혜 중량 가변 아령
KR101115444B1 (ko) * 2011-04-14 2012-02-22 장춘섭 역도기구
JP3203764U (ja) * 2015-02-06 2016-04-14 旭宏祥有限公司 バーベル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03764 UR
등록특허공보 제10-1115444호(2012.2.22. 공고) 1부.*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8/0140889호(2018.5.24.) 1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11A (ko) * 2019-11-05 2021-05-13 윤우섭 바벨 봉에 자동설치 및 해리되는 바벨원판
WO2021091044A1 (ko) * 2019-11-05 2021-05-14 윤우섭 바벨 봉에 자동설치 및 해리되는 바벨원판
KR102259260B1 (ko) 2019-11-05 2021-06-01 윤우섭 바벨 봉에 자동설치 및 해리되는 바벨원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719B2 (en) All in one fitness ball
US9550088B2 (en) Exercise roller
CN102574002B (zh) 便携式多功能全身训练装置
US7488277B1 (en) Compact weightlifting frame system
US10143881B2 (en) Mountable exercise machine
CA2257506C (en) Weight-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00152002A1 (en) Fitness training apparatus with weight and resistance features
US9925408B1 (en) Modular exercise device
JP3534409B2 (ja) 調整可能なダンベル
US9132316B2 (en) Weight-adjustable surface gli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purpose fitness
US7087000B1 (en) Collarless barbell sleeve
US20110177922A1 (en) Exercise Barbell
US20050170937A1 (en) Exercise apparatus
US9636538B2 (en) Full body multidirectional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EP3723872B1 (en) Exercise case with an adjustable resistance band system
KR102008695B1 (ko) 반자동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기구 조립체
US10532241B2 (en) Kettle b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H01158975A (ja) 運動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200188723A1 (en) Weightlifting accessory
US20190269981A1 (en) Exercise Ball with Internal Handle
US10065063B1 (en) Elastic exercise device
WO2017200743A1 (en) Elastic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20200061407A1 (en) Multi-use weight lifting bar
WO2019116060A1 (en) Gym tool
US8246525B2 (en) Dumbbell having rolling or sha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