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471B1 - Flood defende wall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is - Google Patents
Flood defende wall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8471B1 KR102008471B1 KR1020180148237A KR20180148237A KR102008471B1 KR 102008471 B1 KR102008471 B1 KR 102008471B1 KR 1020180148237 A KR1020180148237 A KR 1020180148237A KR 20180148237 A KR20180148237 A KR 20180148237A KR 102008471 B1 KR102008471 B1 KR 1020084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unit
- order
- formwork
- reinforcing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홍수방어벽과 이것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면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설치되어 지면과 하천을 구획하고,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의 유량이 급증하더라도 하천의 물이 지면 쪽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홍수방어벽과 이것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d barrier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ground and the river to partition the ground and the river, and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river is increased due to the heavy rain or the like, Flood barriers to prevent flooding to the ground and to install them.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등에는 모두 제방이 구비되어 있다. 제방은 강이나 하천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흐르도록 하고, 제방의 바깥으로 물이 범람하지 않도록 하여 수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Generally, all rivers, rivers, etc. are provided with levees. The dike allows rivers or rivers to flow along certain paths and prevents flooding by preventing water from overflowing the dike.
오늘날에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수관리를 위하여 물길을 바로잡고 강폭을 줄이는 대신에 제방을 높게 쌓는 하천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정비사업은 물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활용하고, 강물이 범람하여 수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수변 환경을 깨끗하고 아름답게 정비하여 관광이나 여가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oday, river maintenance project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to build high banks instead of straightening the waterways and reducing river widths for safe and efficient flood control. The river maintenance project has the advantages of efficiently managing and utilizing water, preventing floods from flooding of rivers, and maintaining clean and beautiful waterfront environment for tourism or recreational facilities.
하천정비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제방을 정비하는 것이다. 종전보다 강폭이 좁아지는 대신에 제방을 높이고 튼튼하게 쌓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제방을 높이는 과정의 강수량을 고려하여 집중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쌓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과거보다 강수량이 많아지거나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과거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된 종래의 제방으로는 이상기후로 인하여 집중호우나 폭우가 내릴 경우에 제방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The most important thing for river maintenance is to maintain the banks. Instead of narrowing the width of the river before, because the dike must be raised and firmly stacked. At this time, considering the precipitation of the process of raising the embankment, even if a heavy rain occurs, it is stacked enough to withstand. 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rapid climate change, the amount of precipitation or heavy rainfall is increasing more than in the pas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safety of the embankment in case of the heavy rain or heavy rain due to the abnormal weather in the conventional embankment installed according to the past standard.
그렇다고 종래에 만들어진 제방의 높이를 무작정 높이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제방의 높이가 높아지면, 그에 비례하여 폭도 넓어져야 하므로, 강이나 하천 주변의 토지를 수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정비사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급증할 뿐만 아니라 제방의 높이를 지나치게 높게 할 경우에 평상시에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기에는 사람들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주변경관을 해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종래의 제방에 홍수방어벽을 설치하여 집중호우로 인해 제방에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Nevertheless, there is a limit to simply raising the height of the conventional embankment. Because if the height of the dike increases, the width must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height of the dike, so that the land around the river or the river must be accommodated. In this case, not only the cost of the maintenance work increases, but the height of the dike is too high. This is because it is less accessible to people and hurts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refore, in recent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prevent flooding of rivers on the banks due to heavy rain by installing flood barriers on the banks of the related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지면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설치되어 지면과 하천을 구획하고,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의 유량이 급증하더라도 하천의 물이 지면 쪽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홍수방어벽과 이것의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it is installed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ground and the river partitions the ground and the river,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river surges due to the heavy rain, etc., the river water overflows to the ground It is to provide a flood barrier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to prevent them.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지면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립 배치되는 다수의 기둥유닛; 다수의 상기 기둥유닛 중 지면에서 돌출된 부분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베이스유닛; 및 인접한 두 기둥유닛 사이가 폐쇄되도록 상기 기둥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고정되는 차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유닛은, 상부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경계영역에 구비되는 기둥프레임; 상기 기둥프레임에 결합되는 철근망; 및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철근망이 내장되도록 기설정된 형상으로 타설되는 마감콘크리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illar units arranged upr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river; A base unit interconnecting lower portions of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ground of the pillar units; And an order unit fixed to the pillar unit and the base unit to close between two adjacent pillar units, wherein the pillar unit includes: a pillar frame provided at the boundary region such that an upper portion thereof protrudes from the ground; Reinforcing bar coupled to the pillar frame; And a finishing concrete that is pour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frame and the reinforcing bar network are embedded therein.
여기서,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차수유닛은, 상기 기둥유닛에 포함된 상기 철근망과 상기 마감콘크리트의 연장에 따라 상기 기둥유닛과 일체화된다.Here, the base unit and the order unit is integrated with the pilla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extens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concrete contained in the pillar unit.
여기서, 상기 기둥프레임에는, 상기 철근망 중 일부가 끼움 결합되는 철근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된다. 특히, 철근끼움홈부에는 상기 철근망 중 주철근 또는 배력근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pillar frame, a reinforcement fitting groove portion to which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 is fitted; is recessed. 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bar groove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can be coupl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 or reinforcement.
여기서, 상기 철근망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철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경계영역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철근에 결합되는 배력근;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력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용접에 의해 상기 기둥프레임에 결합된다.Here, the reinforcing bar network,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do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region, coupl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e lifting muscles are coupled to the pillar frame by welding.
여기서, 상기 철근망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철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경계영역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철근에 결합되는 배력근;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력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둥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철근지지클립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다.Here, the reinforcing bar network,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do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area, and coupl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where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bar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illar frame. Removably attached to the support clip.
여기서, 상호 인접한 두 기둥유닛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차수유닛의 측부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기둥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차수유닛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제1차수홈;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면에는, 상기 차수유닛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차수홈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제2차수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1차수홈과 상기 차수유닛 사이 및 상기 제2차수홈과 상기 차수유닛 사이는 각각 충진재에 의해 밀폐된다.Here, the first facing groove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rder unit is formed in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two adjacent adjacent column unit, the length of the column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ide edge of the order unit is fitted It is provide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is formed long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unit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order unit is fitted, the second order groov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first order groove; It is provided, and between the first order groove and the order unit, and between the second order groove and the order unit are each sealed by a filler.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상기 차수유닛의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기둥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차수유닛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차수결합홈이 구비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수결합홈과 상기 차수유닛 사이는 충진재에 의해 밀폐된다.Flood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each of the pillar unit and the base unit to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order unit, the connection bracket is provided with an order coupling groove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rder unit; And, between the order coupling groove and the order unit is sealed by a filler.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상기 기둥유닛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기둥마감캡; 및 상기 차수유닛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차수마감캡;을 더 포함한다.Flood defens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umn closing cap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unit; And an order closing cap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order unit is fitted.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은 지면과 하천이 사이의 경계영역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프레임을 설치하는 기둥설치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기둥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프레임에 철근망을 설치하고,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차수유닛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철근망을 연장 설치하는 철근망설치단계; 상기 기둥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철근망 및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연장 설치된 상기 철근망을 모두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 상기 거푸집설치단계를 거쳐 설치된 상기 거푸집 내부에 상기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타설단계; 및 상기 제1타설단계를 거친 다음, 양생된 상기 마감콘크리트로부터 상기 거푸집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제거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installing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a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pillar frame along a length direction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a ground and a river; A reinforcing bar network is installed in the pillar frame corresponding to the pillar unit to be formed, and the reinforcing bar network installed in the pillar frame is installed between two base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base unit and the order unit to be formed. Reinforcing bar network installation step;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formwork to surround all of the rebar network installed between the rebar network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and two adjacent pillar frames; A first placing step of pouring the finish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installed through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And a formwork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formwork installed in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from the cured concrete after the first pouring step.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은 상기 경계영역에 천단부를 형성하는 천단터파기단계; 및 상기 거푸집제거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천단부에 천단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타설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end break step of forming a top end in the boundary area; And a second pouring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at the top end after the form removing step.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은 지면과 하천이 사이의 경계영역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프레임을 설치하는 기둥설치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기둥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프레임에 철근망을 설치하고,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베이스유닛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철근망을 연장 설치하는 철근망설치단계; 상기 기둥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철근망 및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연장 설치된 상기 철근망을 모두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 상기 거푸집설치단계를 거쳐 설치된 상기 거푸집 내부에 상기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타설단계; 상기 제1타설단계를 거친 다음, 양생된 상기 마감콘크리트로부터 상기 거푸집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제거단계; 및 상기 거푸집제거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기둥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차수유닛을 결합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유닛 사이에 개구된 개구부를 폐쇄하는 측벽결합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installing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a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pillar frame along a length direction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a ground and a river; Rebar network is installed in the pillar frame corresponding to the pillar unit to be formed, and the rebar network is installed to extend the rebar network installed in the pillar frame between two adjacent pillar frames corresponding to the base unit to be formed. step;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formwork to surround all of the rebar network installed between the rebar network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and two adjacent pillar frames; A first placing step of pouring the finish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installed through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A formwork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formwork installed in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from the cured concrete after the first pouring step; And a sidewall coupling step of closing the openings opened between the two adjacent pillar units by coupling the order unit to the pillar unit and the base unit after the form removing step.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과 이것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지면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설치되어 지면과 하천을 구획하고,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의 유량이 급증하더라도 하천의 물이 지면 쪽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installation method, it is installed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ground and the river to partition the ground and the river,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river due to the heavy rain, the river floods toward the ground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홍수방어벽이 일체화됨으로써, 천단부에서 홍수방어벽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홍수방어벽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d barrier is integrated, thereby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of the flood barrier at the ceiling and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flood barrier.
또한, 본 발명은 철근끼움홈부를 통해 기둥유닛의 두께에 상관없이 주철근 또는 배력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철근망의 크기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of the main reinforcement or reinforcement,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column unit through the reinforcement fitting groove,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size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철근망과 기둥프레임 사이의 결합 구조를 통해 기둥프레임에서 철근망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철근망의 반생 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철근망의 세부 구조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배력근과 기둥프레임의 용접을 통해 배력근의 결합력을 향샹시킬 수 있고, 기둥유닛에서 배력근 및 철근망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근지지클립을 통해 배력근의 설치 위치를 한정할 수 있고, 철근망의 설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기둥프레임에서 철근지지클립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curely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in the column frame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column frame, simplify the rework of the reinforcing bar network,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bar network.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of the reinforcement muscles by welding the reinforcement muscles and the pillar fra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the reinforcement muscles and the reinforcing bar in the column un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imi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inforcement bar through the reinforcing bar support clip,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to secure the reinforcing bar support clip in the column frame.
또한, 본 발명은 기둥유닛과 베이스유닛에는 차수홈을 형성하고 차수유닛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차수유닛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clear th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order unit by forming the order groove in the column unit and the base unit and the order unit is fitted.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을 통해 차수유닛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명확하게 함은 물론 기둥유닛의 구성을 간편하게 하고, 차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pillar unit as well as clarify th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order unit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rder power.
또한, 본 발명은 기둥마감캡 및 차수마감캡을 통해 차수유닛과 기둥유닛의 연결 부위를 폐쇄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los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order unit and the column unit through the column closing cap and the order closing cap, it can be beautiful in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은 기둥마감캡을 통해 차수유닛의 두께에 대응하여 기둥마감캡이 차수유닛과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고, 기둥유닛의 상단부를 안정되게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lumn closing cap to be coupled to the order unit in a stable manner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order unit through the column closing cap, it is possible to stably wrap the upper end of the column unit.
또한, 본 발명은 차수마감캡을 통해 차수유닛과 기둥유닛 사이의 연결을 간편하게 하고, 차수유닛의 상단부에 차수마감캡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차수마감캡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order unit and the column unit through the order closing cap, and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order closing cap to the upper end of the order unit, as well as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order closing cap.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기둥유닛의 제1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제1예의 기둥유닛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기둥유닛의 제2예를 도시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제2예의 기둥유닛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 및 제2예의 기둥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제3예의 기둥유닛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 및 제3예의 기둥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 상태에서 기둥유닛에 보호케이스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기둥마감캡(a)과 이것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pillar unit in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llar frame applied to the pillar unit of the first example in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pillar unit in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pillar frame applied to a pillar unit of a second example and a pillar unit of a second example in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pillar frame applied to a pillar unit of a third example and a pillar unit of a third example in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ation of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on case is provided in the pillar unit 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pillar closing cap (a) in the flood defense w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수방어벽과 이것의 설치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flood barri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을 포함한다.1 to 6,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loo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기둥유닛(100)은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 또는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천단부(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된다. 기둥유닛(100)은 지면(S)에서 돌출되어 직립 배치된다.A plurality of
베이스유닛(200)은 다수의 기둥유닛(100) 중 지면(S)에서 돌출된 부분의 하부를 상호 연결한다.The
차수유닛(300)은 인접한 두 기둥유닛(100) 사이를 폐쇄한다. 차수유닛(300)은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에 고정된다.The
여기서, 기둥유닛(100)은 기둥프레임(10)과, 철근망(20)과, 마감콘크리트(30)를 포함한다.Here, the
기둥프레임(10)은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된다. 기둥프레임(10)의 상부는 지면(S)으로부터 돌출된다. 일예로, 기둥프레임(10)은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 구비되는 천공홀에 기둥프레임(10)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부가 지면(S)으로부터 돌출된 기둥프레임(10)을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천단부(G)에 기매설된 기둥프레임(10)을 인출함으로써, 상부가 지면(S)으로부터 돌출된 기둥프레임(10)을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illar frames 1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region or the top end G.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제1예의 기둥유닛(100)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1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또는 사각의 단면을 갖는 강관(11)과, 강관(11)의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강관(11)과 결합되는 마감캡(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예의 기둥유닛(100)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10)에는 용접에 의해 철근망(20)이 결합되도록 한다.The
이때, 제1예의 기둥프레임(10)에서 마감캡(12)은 강관(11)의 상단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마감판(12-1)과, 강관(11)의 상단 둘레면에 지지되도록 마감판(12-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측면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판(12-1)과 측면판(12-2)에 의해 마감캡(12)에는 강관(11)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마감홈(12-3)이 구비된다.In this case, in the
그러면, 강관(11)의 상단부에 마감캡(12)이 결합됨으로써, 마감캡(12)은 강관(11)의 상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강관(11) 또는 마감캡(12)에는 철근망(20)의 주력근(21)과 배력근(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n, 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제2예의 기둥유닛(100)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1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또는 사각의 단면을 갖는 강관(11)과, 강관(11)의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강관(11)과 결합되는 마감캡(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예의 기둥유닛(100)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10)에는 철근지지클립(40)을 매개로 철근망(20)이 결합되도록 한다.The
이때, 제2예의 기둥프레임(10)에서 마감캡(12)은 강관(11)의 상단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마감판(12-1)과, 기둥프레임(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철근지지클립(40)이 끼움 결합되도록 마감판(12-1)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그러면, 강관(11)의 상단부에 철근지지클립(40)이 결합된 상태에서 마감캡(12)이 결합됨으로써, 마감캡(12)은 강관(11)의 상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강관(11)의 상단부에 결합된 철근지지클립(40)에는 다수의 배력근(22) 중 어느 하나가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Then, 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제3예의 기둥유닛(100)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또는 사각의 단면을 갖는 강관(11)과, 강관(11)의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강관(11)과 결합되는 마감캡(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예의 기둥유닛(100)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10)에는 철근망(20)의 일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The
이때, 제3예의 기둥프레임(10)에서 마감캡(12)은 강관(11)의 상단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마감판(12-1)과, 강관(11)의 상단 둘레면에 지지되도록 마감판(12-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측면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판(12-1)과 측면판(12-2)에 의해 마감캡(12)에는 강관(11)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마감홈(12-3)이 구비된다. 또한, 제3예의 기둥프레임(10)에서 마감캡(12)은 마감판(12-1)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돌부(12-5)와, 마감판(12-1)의 상부면에 길게 함몰 형성되는 철근끼움홈부(1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돌부(12-5)에 의해 철근끼움홈부(12-6)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철근끼움홈부(12-6)에는 철근망(20) 중 주철근(21)의 수평부가 끼움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철근끼움홈부(12-6)에는 철근망(20) 중 배력근(22)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그러면, 강관(11)의 상단부에 마감캡(12)이 결합됨으로써, 마감캡(12)은 강관(11)의 상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철근끼움홈부(12-6)에는 철근망(20)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기둥유닛(100)의 두께에 상관없이 주철근(21) 또는 배력근(2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철근망(20)의 크기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Then, the
철근망(20)은 지면(S)으로부터 돌출된 기둥프레임(10)에 결합된다.Reinforcin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철근망(20)은 용접에 의해 제1예의 기둥유닛(100)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10)에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철근망(20)은 주철근(21)과, 배력근(22)을 포함하고, 타이바(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철근(21)은 기둥프레임(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주철근(21)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고, 기둥프레임(10)에서 이격 배치된다. 주철근(21)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주철근(21)의 자유단부는 지면(S)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배력근(22)은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배력근(22)은 복수 개가 기둥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다. 배력근(22)은 주철근(21)에 교차되도록 결합된다. 주철근(21)과 배력근(22)의 결합에 따라 철근망(20)은 격자 형태를 나타낸다. 이때, 복수의 배력근(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용접에 의해 기둥프레임(10)에 결합된다. 그러면, 철근망(20)은 기둥프레임(10)을 감싸는 형태를 나타낸다. 타이바(23)는 주철근(21)과 배력근(22)에 모두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타이바(23)는 주철근(21)과 배력근(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주철근(21)과 배력근(22)과 타이바(23)는 결속기를 이용한 반생 작업, 용접 작업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호 교차 결합된다.In the flood defense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철근망(20)은 철근지지클립(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고, 철근지지클립(40)은 제2예의 기둥유닛(100)에 적용되는 기둥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철근망(20)은 주철근(21)과, 배력근(22)을 포함하고, 타이바(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철근(21)은 기둥프레임(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주철근(21)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고, 기둥프레임(10)에서 이격 배치된다. 주철근(21)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주철근(21)의 자유단부는 지면(S)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배력근(22)은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배력근(22)은 복수 개가 기둥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다. 배력근(22)은 주철근(21)에 교차되도록 결합된다. 주철근(21)과 배력근(22)의 결합에 따라 철근망(20)은 격자 형태를 나타낸다. 이때, 복수의 배력근(22) 중 어느 하나는 철근지지클립(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철근지지클립(40)은 기둥프레임(10)의 강관(11)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다. 그러면, 철근망(20)은 기둥프레임(10)을 감싸는 형태를 나타낸다. 타이바(23)는 주철근(21)과 배력근(22)에 모두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타이바(23)는 주철근(21)과 배력근(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주철근(21)과 배력근(22)과 타이바(23)는 결속기를 이용한 반생 작업, 용접 작업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호 교차 결합된다.In the flood protection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철근지지클립(40)은 기둥프레임(10)의 강관(11) 상단부에 걸림 결합되고, 복수의 배력근(22) 중 어느 하나가 걸림 결합된다. 철근지지클립(40)은 기둥지지부(41)와, 기둥연장부(42)와, 걸림고리부(43)와, 탄성날개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지지부(41)는 강관(11)의 상단면에 지지된다. 기둥연장부(42)는 기둥지지부(4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된다. 기둥연장부(42)는 강관(11)의 상단 둘레면에 지지된다. 걸림고리부(43)는 배력근(22)이 안착되도록 기둥연장부(42)에서 고리 형태로 돌출된다. 탄성날개부(44)는 기둥연장부(42)와 마주보도록 기둥지지부(41)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된다. 탄성날개부(44)는 탄성을 가지고, 강관(11)을 탄성 가압할 수 있다. 기둥연장부(42)와 탄성날개부(44) 사이에는 강관(11)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45)을 형성하게 된다. 끼움홈(45)에 강관(11)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면, 탄성날개부(44)는 강관(11)을 탄성 지지하게 되어 강관(11)에서 철근지지클립(40)이 정위치 고정되도록 한다.Reinforcing
마감콘크리트(30)는 기설정된 형상으로 타설된다. 마감콘크리트(30)에는 지면(S)으로부터 돌출된 기둥프레임(10)의 상부와 철근망(20)이 내장된다.The finishing concrete 30 is pour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 finishing concrete 30 has the upper portion of the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이 일체화된 벽체 형태를 나타낸다. 좀더 자세하게,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은 기둥유닛(100)에 포함된 철근망(20)과 마감콘크리트(30)의 연장에 따라 기둥유닛(100)과 일체화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floo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기둥프레임(10)을 이격 배치시키고, 기둥프레임(10)을 철근망(20)으로 연결하여 홍수방어벽의 뼈대를 완성한 다음, 마감콘크리트(30)가 기둥프레임(10)과 철근망(20) 전체를 모두 감싸도록 타설함으로써,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이 일체화되어 하나의 벽체 형태를 나타낸다.In other words, the floo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다른 표현으로, 기둥유닛(100)은 기둥프레임(10)과 철근망(20)과 마감콘크리트(30)를 포함하고,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은 기둥유닛(100)의 철근망(20)에서 연장되는 연장철근망과, 기둥유닛(100)의 마감콘크리트(30)에서 연장되는 연장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미설명부호 GC는 천단부(G)에 타설되는 천단콘크리트이다. 천단콘크리트(GC)는 마감콘크리트(30)가 타설된 다음, 천단부(G)에 타설되어 천단부(G)를 충진시킨다.Unexplained code GC is the top-end concrete that is poured on the top-end part G. The top-end concrete GC is filled with the top-end part G after the finishing concrete 30 is poured and then placed on the top-end part G.
미설명부호 R은 홍수방어벽을 기준으로 하천 쪽에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천경사면이다. 하천경사면(R)의 슬로프는 1:2를 형성할 수 있다.Unexplained symbol R is a river slope inclined downward from the river based on the flood barrier. The slope of the river slope R may form 1: 2.
지금부터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A method of installing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은 기둥설치단계(S2)와, 철근망설치단계(S3)와, 거푸집설치단계(S4)와, 제1타설단계(S5)와, 거푸집제거단계(S5-1)를 포함하고, 천단터파기단계(S1)와, 제2타설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illar installation step (S2), the rebar network installation step (S3),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4), the first pouring step (S5), the formwork It may include a removing step (S5-1), and a top break breaking step (S1), and a second pouring step (S6).
천단터파기단계(S1)는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천단부(G)를 형성한다. 천단터파기단계(S1)는 경계영역을 기설정된 깊이와 폭으로 파내어 천단부(G)를 형성할 수 있다. 천단터파기단계(S1)는 기둥설치단계(S2)에 앞서,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천단부(G)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step breaker step S1, the tip end G is formed at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ground S and the stream. In the step breaker step S1, the edge area may be excavat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to form the tip end part G. In the step break step (S1), prior to the pillar installation step (S2), it is possible to form the top end portion (G)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round (S) and the river.
기둥설치단계(S2)는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기둥프레임(10)을 설치한다. 기둥설치단계(S2)는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 또는 경계영역에 형성된 천단부(G)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 기둥프레임(10)을 설치할 수 있다. 기둥설치단계(S2)에서는 기둥프레임(10)의 상부가 지면(S)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일예로, 기둥설치단계(S2)는 기둥프레임(1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 천공홀을 타공하는 천공단계(S21)와, 기둥프레임(10)의 상부가 지면(S)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천공홀에 기둥프레임(10)을 끼움 결합하는 기둥삽입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둥설치단계(S2)는 천단부(G)에 기매설된 기둥프레임(10)을 인출하는 기둥인출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프레임(10)이 천단부(G)에서 인출됨에 따라 기둥프레임(10)의 상부가 지면(S)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In the pillar installation step S2, the
철근망설치단계(S3)는 형성하고자 하는 기둥유닛(100)에 대응하여 기둥프레임(10)에 철근망(2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철근망설치단계(S3)는 형성하고자 하는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10) 사이에 기둥프레임(10)에 설치된 철근망(20)을 연장 설치한다. 철근망설치단계(S3)에서 철근망(20)에 포함되는 배력근(22)은 용접 또는 철근지지클립(40)을 매개로 기둥프레임(10)에 결합되도록 한다.Rebar network installation step (S3) is installed to the reinforcing
거푸집설치단계(S4)는 형성하고자 하는 기둥유닛(100)에 대응하여 철근망(20)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거푸집설치단계(S4)는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10)을 연결하는 철근망(20)을 감싸도록 추가로 거푸집을 설치한다.Formwork installation step (S4) installs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reinforcing
제1타설단계(S5)는 거푸집설치단계(S4)를 거쳐 설치된 거푸집 내부에 마감콘크리트(30)를 타설한다. 제1타설단계(S5)는 형성하고자 하는 기둥유닛(100)에 대응하여 거푸집 내부에 마감콘크리트(30)를 타설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타설단계(S5)는 형성하고자 하는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10) 사이의 철근망(20)을 감싸는 거푸집 내부에 마감콘크리트(30)를 타설할 수 있다.The first pouring step (S5) is to place the finishing concrete 30 in the formwork installed through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4). In the first pouring step S5, the finishing concrete 30 is poured into the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거푸집제거단계(S5-1)는 제1타설단계(S5)를 거친 다음, 양생된 마감콘크리트(30)로부터 거푸집설치단계(S4)에서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는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이 일체화를 이루는 벽체 형태의 홍수방어벽을 형성할 수 있다.Formwork removal step (S5-1) after the first pouring step (S5), and removes the formwork installed in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4) from the cured concrete (30). Accordingly, in the boundary area or the top end portion G, a flood barrier wall having a wall shape in which the
제2타설단계(S6)는 거푸집제거단계(S5-1)를 거친 다음, 천단부(G)에 천단콘크리트(GC)를 타설한다. 천단부(G) 및 천단콘크리트(GC)를 통해 홍수방어벽이 지면(S)에서 안정되게 지탱되도록 하고, 지면(S)과 홍수방어벽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In the second pouring step S6, after the die removing step S5-1, the top-end concrete GC is poured into the top end part G. The flood barrier wall is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S through the ceiling end G and the ceiling concrete GC, and may be sealed between the ground S and the flood barrier wall.
지금부터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을 포함한다.A flood barr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기둥유닛(100)은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 또는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천단부(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된다. 기둥유닛(100)은 지면(S)에서 돌출되어 직립 배치된다.A plurality of
베이스유닛(200)은 다수의 기둥유닛(100) 중 지면(S)에서 돌출된 부분의 하부를 상호 연결한다.The
차수유닛(300)은 인접한 두 기둥유닛(100) 사이를 폐쇄한다. 차수유닛(300)은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에 고정된다.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particular, the
다만, 기둥유닛(100)은 마감콘크리트(30)를 감싸는 보호케이스(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케이스(50)는 기둥유닛(100)의 둘레면을 형성한다. 기둥유닛(100)에 제1차수홈(110)이 형성되는 경우, 보호케이스(50)는 제1차수홈(110)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될 될 수 있다.However, the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에서 상호 인접한 두 기둥유닛(100) 사이에는 개구부(310)가 개구된다. 그리고 차수유닛(300)은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에 결합되어 개구부(310)를 폐쇄한다. 차수유닛(300)은 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 또는 불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판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차수유닛(300)은 강화유리패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패널(PC패널)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패널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차수유닛(300)은 도 7의 (a) 또는 (b)와 같이 차수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기둥유닛(100)의 측면에는 차수유닛(300)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제1차수홈(110)이 함몰 형성되고, 베이스유닛(200)의 상면에는 제1차수홈(110)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제2차수홈(210)이 함몰 형성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1차수홈(110)은 상호 인접한 두 기둥유닛(100)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인 기둥유닛(100)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1차수홈(110)은 차수유닛(300)의 측부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된다. 제1차수홈(110)은 기둥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1차수홈(110)과 차수유닛(300) 사이에는 도 7의 (a)와 같이 찬넬 형상의 단면을 갖는 충진재(700)가 삽입되어 기둥유닛(1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제1차수홈(110)과 차수유닛(300) 사이는 도 7의 (b)와 같이 띠 형상을 나타내는 충진재(700)가 삽입되어 기둥유닛(1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충진재(7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차수홈(110)과 차수유닛(30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충진재(700)는 대기 중에서 경화되는 액상 재질로 이루어져 제1차수홈(110)과 차수유닛(300)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와 같이 기둥유닛(100)과 차수유닛(3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마감재(800)를 도포하여 기둥유닛(1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충진재(700)와 마감재(800)를 모두 사용하여 기둥유닛(1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The
제2차수홈(210)은 베이스유닛(2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2차수홈(210)은 차수유닛(300)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된다. 제2차수홈(210)은 베이스유닛(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2차수홈(210)과 차수유닛(300) 사이는 도 7의 (a)와 같이 찬넬 형상의 단면을 갖는 충진재(700)가 삽입되어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제2차수홈(210)과 차수유닛(300) 사이에는 도 7의 (b)와 같이 띠 형상을 나타내는 충진재(700)가 삽입되어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충진재(7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2차수홈(210)과 차수유닛(30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충진재(700)는 대기 중에서 경화되는 액상 재질로 이루어져 제2차수홈(210)과 차수유닛(300)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와 같이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마감재(800)를 도포하여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충진재(700)와 마감재(800)를 모두 사용하여 베이스유닛(2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차수유닛(300)은 도 7의 (c)와 같이 연결브라켓(600)을 이용하여 기둥유닛(100) 및 베이스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브라켓(600)은 기둥유닛(100)의 측면과 베이스유닛(20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된다. 연결브라켓(600)은 차수유닛(300)의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된다. 연결브라켓(600)에는 차수유닛(300)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차수결합홈(621)이 구비된다. 좀더 자세하게, 연결브라켓(600)은 기둥유닛(100)의 측면 또는 베이스유닛(200)의 상면을 감싸는 찬넬 형상의 연결캡(610)과, 연결캡(610)에서 상호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차수브라켓(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차수브라켓(620) 사이에는 차수유닛(300)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차수결합홈(621)이 함몰 형성된다. 그러면, 차수유닛(300)의 가장자리는 차수결합홈(621)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충진재(700)가 차수결합홈(621)과 차수유닛(300)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브라켓(6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둥유닛(100)과 연결브라켓(600) 사이 및 베이스유닛(200)과 연결브라켓(600) 사이에도 충진재(700)가 삽입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은 기둥마감캡(400)과, 차수마감캡(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Flood defense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기둥마감캡(400)은 기둥유닛(100)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기둥마감캡(400)은 기둥유닛(100)의 상단면에 지지되는 기둥덮개부(410)와, 기둥덮개부(41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기둥유닛(100)의 둘레를 감싸는 기둥가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가림부(420)에는 날개절개부(421)와, 날개분리부(422)가 포함될 수 있다. 날개절개부(421)는 기둥유닛(100)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날개절개부(421)는 차수유닛(3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절개 가능하다. 날개분리부(422)는 날개절개부(421)의 상단을 연결한다. 날개분리부(422)는 날개절개부(421)의 절개에 따라 기둥가림부(420)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접거나 절개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기둥마감캡(400)과 기둥유닛(1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마감재(800)를 도포하여 기둥마감캡(400)과 기둥유닛(1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applying a finishing material 800 to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둥마감캡(400)은 연결브라켓(600)의 상단부를 감싸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기둥마감캡(400)과 연결브라켓(6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마감재(800)를 도포하여 기둥마감캡(400)과 연결브라켓(6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차수마감캡(500)은 차수유닛(300)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된다.The
차수마감캡(500)은 차수덮개부(510)와, 차수가림부(520)와, 차수탄성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수덮개부(510)는 차수유닛(300)의 상단면에 지지된다. 차수덮개부(510)는 상호 인접한 두 기둥유닛(100) 사이에서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차수가림부(520)는 차수덮개부(5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된다. 차수가림부(520)는 차수유닛(300)의 전면 또는 차수유닛(300)의 후면에 지지된다. 차수탄성부(530)는 차수가림부(520)와 마주보도록 차수덮개부(51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된다. 차수가림부(520)와 차수탄성부(530) 사이에는 차수유닛(300)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유닛홈을 형성하게 된다. 차수탄성부(530)는 탄성을 가지고 차수유닛(300)을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유닛홈에 차수유닛(300)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면, 차수탄성부(530)는 차수유닛(300)을 탄성 지지하게 되어 차수유닛(300)의 상단부에서 차수마감캡(500)이 정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차수마감캡(500)과 차수유닛(3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마감재를 도포하여 차수마감캡(500)과 차수유닛(3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기둥마감캡(400)과 차수마감캡(5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마감재(800)를 도포하여 기둥마감캡(400)과 차수마감캡(5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술한 마감재(80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지금부터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A method of installing a flood barr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은 기둥설치단계(S2)와, 철근망설치단계(S3)와, 거푸집설치단계(S4)와, 제1타설단계(S5)와, 거푸집제거단계(S5-1)와, 측벽결합단계(S7)를 포함하고, 천단터파기단계(S1)와, 제2타설단계(S6)를 더 포함하며, 마감단계(S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floo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illar installation step (S2), the rebar network installation step (S3),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4), the first pouring step (S5) and the formwork It may include a removing step (S5-1), sidewall coupling step (S7), and further includes a break end step (S1), a second casting step (S6), and may further include a finishing step (S8). have.
천단터파기단계(S1)는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천단부(G)를 형성한다. 천단터파기단계(S1)는 경계영역을 기설정된 깊이와 폭으로 파내어 천단부(G)를 형성할 수 있다. 천단터파기단계(S1)는 기둥설치단계(S2)에 앞서,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천단부(G)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step breaker step S1, the tip end G is formed at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ground S and the stream. In the step breaker step S1, the edge area may be excavat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to form the tip end part G. In the step break step (S1), prior to the pillar installation step (S2), it is possible to form the top end portion (G)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round (S) and the river.
기둥설치단계(S2)는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기둥프레임(10)을 설치한다. 기둥설치단계(S2)는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 또는 경계영역에 형성된 천단부(G)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 기둥프레임(10)을 설치할 수 있다. 기둥설치단계(S2)에서는 기둥프레임(10)의 상부가 지면(S)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일예로, 기둥설치단계(S2)는 기둥프레임(1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 천공홀을 타공하는 천공단계(S21)와, 기둥프레임(10)의 상부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천공홀에 기둥프레임(10)을 끼움 결합하는 기둥삽입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둥설치단계(S2)는 천단부(G)에 기매설된 기둥프레임(10)을 인출하는 기둥인출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프레임(10)이 천단부(G)에서 인출됨에 따라 기둥프레임(10)의 상부가 지면(S)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In the pillar installation step S2, the
철근망설치단계(S3)는 형성하고자 하는 기둥유닛(100)에 대응하여 기둥프레임(10)에 철근망(2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철근망설치단계(S3)는 형성하고자 하는 베이스유닛(200)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10) 사이에 기둥프레임(10)에 설치된 철근망(20)을 연장 설치한다. 철근망설치단계(S3)에서 철근망(20)에 포함되는 배력근(22)은 용접 또는 철근지지클립(40)을 매개로 기둥프레임(10)에 결합되도록 한다.Rebar network installation step (S3) is installed to the reinforcing
거푸집설치단계(S4)는 형성하고자 하는 기둥유닛(100)에 대응하여 철근망(20)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한다. 여기서, 거푸집은 보호케이스(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거푸집설치단계(S4)는 베이스유닛(200)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10)을 연결하는 철근망(20)을 감싸도록 추가로 거푸집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거푸집설치단계(S4)에는 제1차수홈(110)과 제2차수홈(210)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거푸집설치단계(S4)에는 보호케이스(50)의 설치에 따라 별도의 제1차수홈(110)과 제2차수홈(210)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생략할 수 있다.Formwork installation step (S4) installs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reinforcing
제1타설단계(S5)는 거푸집설치단계(S4)를 거쳐 설치된 거푸집 내부에 마감콘크리트(30)를 타설한다. 제1타설단계(S5)는 형성하고자 하는 기둥유닛(100)에 대응하여 거푸집 내부에 마감콘크리트(30)를 타설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타설단계(S5)는 형성하고자 하는 베이스유닛(200)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10) 사이의 철근망(20)을 감싸는 거푸집 내부에 마감콘크리트(30)를 타설할 수 있다.The first pouring step (S5) is to place the finishing concrete 30 in the formwork installed through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4). In the first pouring step S5, the finishing concrete 30 is poured into the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거푸집제거단계(S5-1)는 제1타설단계(S5)를 거친 다음, 양생된 마감콘크리트(30)로부터 거푸집설치단계(S4)에서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한다. 이때, 보호케이스(50)는 기둥유닛(100)을 형성하는 마감콘크리트(30)와 일체화되므로, 기둥유닛(10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는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이 일체화를 이루고, 상호 인접한 기둥유닛(100) 사이에 개구부(310)가 개구된 홍수방어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에는 각각 제1차수홈(110)과 제2차수홈(21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Formwork removal step (S5-1) after the first pouring step (S5), and removes the formwork installed in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S4) from the cured concrete (30). In this case, since the
제2타설단계(S6)는 거푸집제거단계(S5-1)를 거친 다음, 천단부(G)에 천단콘크리트(GC)를 타설한다. 천단부(G) 및 천단콘크리트(GC)를 통해 홍수방어벽이 지면(S)에서 안정되게 지탱되도록 하고, 지면(S)과 홍수방어벽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제2타설단계(S6)는 측벽결합단계(S7) 또는 마감단계(S8)를 거친 다음 실시되어도 무방하다.In the second pouring step S6, after the die removing step S5-1, the top-end concrete GC is poured into the top end part G. The flood barrier wall is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S through the ceiling end G and the ceiling concrete GC, and may be sealed between the ground S and the flood barrier wall. The second pouring step S6 may be performed after the sidewall coupling step S7 or the finishing step S8.
측벽결합단계(S7)는 거푸집제거단계(S5-1)를 거친 다음,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에 차수유닛(300)을 결합하여 개구부(310)를 폐쇄한다. 일예로, 측벽결합단계(S7)는 제1차수홈(110)과 제2차수홈(210)에 차수유닛(300)의 가장자리를 끼움 결합하고, 제1차수홈(110)과 제2차수홈(210)에 충진재(700)를 삽입하여 개구부(310)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재(800)로 차수유닛(300)의 가장자리를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벽결합단계(S7)는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에 연결브라켓(600)을 설치한 다음, 연결브라켓(600)의 차수결합홈(621)에 차수유닛(300)의 가장자리를 끼움 결합하고, 제1차수홈(110)과 제2차수홈(210)에 충진재(700)를 삽입하여 개구부(310)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재(800)로 차수유닛(300)의 가장자리를 마감 처리할 수 있다.The side wall coupling step S7 passes through the formwork removing step S5-1, and then closes the
측벽결합단계(S7)는 제2타설단계(S6)를 거친 다음 실시되어도 무방하다.The side wall joining step S7 may be performed after the second pouring step S6.
마감단계(S8)는 측벽결합단계(S7)를 거친 다음, 기둥유닛(100)의 상단부에 기둥마감캡(400)을 끼움 결합하고, 차수유닛(300)의 상단부에 차수마감캡(500)을 끼움 결합한다. 마감단계(S8)는 기둥유닛(100)과 기둥마감캡(4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 차수유닛(300)과 차수마감캡(5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 기둥마감캡(400)과 차수마감캡(5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마감재(800)를 도포하여 기둥유닛(100)과 기둥마감캡(400) 사이, 차수유닛(300)과 차수마감캡(500) 사이, 기둥마감캡(400)과 차수마감캡(5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Finishing step (S8) after the side wall coupling step (S7), and then fitting the
상술한 홍수방어벽과 이것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지면(S)과 하천 사이의 경계영역에 설치되어 지면(S)과 하천을 구획하고,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의 유량이 급증하더라도 하천의 물이 지면 쪽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lood barri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it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ground (S) and the river to partition the ground (S) and the river, and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river increases due to the heavy rain or the like, the river water is It can prevent flooding to the ground.
또한, 홍수방어벽이 일체화됨으로써, 경계영역 또는 천단부(G)에서 홍수방어벽의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홍수방어벽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flood barrier,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of the flood barrier at the boundary region or the ceiling G, and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flood barrier.
또한, 철근끼움홈부(12-6)를 통해 기둥유닛(100)의 두께에 상관없이 주철근(21) 또는 배력근(2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철근망(20)의 크기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또한, 철근망(20)과 기둥프레임(10) 사이의 결합 구조를 통해 기둥프레임(10)에서 철근망(2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철근망(20)의 반생 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철근망(20)의 세부 구조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배력근(22)과 기둥프레임(10)의 용접을 통해 배력근(22)의 결합력을 향샹시킬 수 있고, 기둥유닛(100)에서 배력근(22) 및 철근망(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근지지클립(40)을 통해 배력근(22)의 설치 위치를 한정할 수 있고, 철근망(20)의 설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기둥프레임(10)에서 철근지지클립(4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ing
또한, 기둥유닛(100)과 베이스유닛(200)에는 차수홈(110, 210)을 형성하고 차수유닛(300)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차수유닛(300)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연결브라켓(600)을 통해 차수유닛(300)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명확하게 함은 물론 기둥유닛(100)의 구성을 간편하게 하고, 차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또한, 기둥마감캡(400) 및 차수마감캡(500)을 통해 차수유닛(300)과 기둥유닛(100)의 연결 부위를 폐쇄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os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또한, 기둥마감캡(400)을 통해 차수유닛(300)의 두께에 대응하여 기둥마감캡(400)이 차수유닛(300)과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고, 기둥유닛(100)의 상단부를 안정되게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차수마감캡(500)을 통해 차수유닛(300)과 기둥유닛(100) 사이의 연결을 간편하게 하고, 차수유닛(300)의 상단부에 차수마감캡(50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차수마감캡(5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an be modified or changed.
S: 지면 G: 천단부 GC: 천단콘크리트
R: 하천경사면
10: 기둥프레임 11: 강관 12: 마감캡
12-1: 마감판 12-2: 측면판 12-3: 마감홈
12-4: 걸림홈 20: 철근망 21: 주철근
22: 배력근 23: 타이바 30: 마감콘크리트
40: 철근지지클립 41: 기둥지지부 42: 기둥연장부
43: 걸림고리부 44: 탄성날개부 45: 끼움홈
100: 기둥유닛 110: 제1차수홈 200: 베이스유닛
210: 제2차수홈 300: 차수유닛 310: 개구부
400: 기둥마감캡 410: 기둥덮개부 420: 기둥가림부
421: 날개절개부 422: 날개분리부 500: 차수마감캡
510: 차수덮개부 520: 차수가림부 530: 차수탄성부
600: 연결브라켓 610: 연결캡 620: 차수브라켓
621: 차수결합홈 700: 충진재 800: 마감재
S1: 천단터파기단계 S2: 기둥설치단계 S21: 천공단계
S22: 기둥삽입단계 S23: 기둥인출단계 S3: 철근망설치단계
S4: 거푸집설치단계 S5: 제1타설단계 S5-1: 거푸집제거단계
S6: 제2타설단계 S7: 측벽결합단계 S8: 마감단계S: Ground G: Temple of Heaven GC: Temple of Heaven Concrete
R: River Slope
10: pillar frame 11: steel pipe 12: closing cap
12-1: Finishing Plate 12-2: Side Plate 12-3: Finishing Groove
12-4: Hanging groove 20: Rebar network 21: Cast steel
22: Power Muscle 23: Tie Bar 30: Finished Concrete
40: reinforcing bar support clip 41: pillar support portion 42: pillar extension portion
43: hook portion 44: elastic wing portion 45: fitting groove
100: pillar unit 110: first order groove 200: base unit
210: second order groove 300: order unit 310: opening
400: pillar closing cap 410: pillar cover portion 420: pillar covering portion
421: wing section 422: wing separator 500: order closing cap
510: the order cover portion 520: the order rim portion 530: the order elastic portion
600: connecting bracket 610: connecting cap 620: order bracket
621: order coupling groove 700: filler 800: finishing material
S1: break stage of heaven stage S2: pillar installation stage S21: drilling stage
S22: Column insertion step S23: Column withdrawal step S3: Rebar network installation step
S4: Formwork installation step S5: First pouring step S5-1: Formwork removal step
S6: second pouring step S7: side wall joining step S8: finishing step
Claims (10)
다수의 상기 기둥유닛 중 지면에서 돌출된 부분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베이스유닛; 및
인접한 두 기둥유닛 사이가 폐쇄되도록 상기 기둥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고정되는 차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유닛은,
상부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경계영역에 구비되는 기둥프레임;
상기 기둥프레임에 결합되는 철근망; 및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철근망이 내장되도록 기설정된 형상으로 타설되는 마감콘크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망은,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주철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경계영역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철근에 결합되는 배력근;을 포함하고,
복수의 배력근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둥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철근지지클립에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며,
상기 철근지지클립은,
상기 기둥프레임의 상단면에 지지되는 기둥지지부;
상기 기둥프레임의 둘레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지지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기둥연장부;
복수의 배력근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도록 상기 기둥연장부에서 고리 형태로 돌출되는 걸림고리부; 및
상기 기둥연장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기둥지지부의 타측에서 돌출되는 탄성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
A plurality of pillar units disposed upr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river;
A base unit interconnecting lower portions of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ground of the pillar units; And
And a degree unit fixed to the pillar unit and the base unit so that the two adjacent pillar units are closed.
The pillar unit,
A pillar frame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 so that an upper portion protrudes from the ground;
Reinforcing bar coupled to the pillar frame; And
And a finishing concrete that is pour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frame and the reinforcing bar network are embedded therein.
The rebar network,
A plurality of cast iron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frame;
A plurality of do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region, and a back muscle coupl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is separably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support clip detachably coupled to the pillar frame,
The rebar support clip,
A pillar support portion suppor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illar frame;
A pilla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illar support portion to be support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frame;
A hook port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from the column extension portion so that any one of a plurality of power roots is seated; And
Flooding wall comprising a; elastic wings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support portion to face the pillar extension.
상기 기둥프레임에는,
상기 철근망 중 일부가 끼움 결합되는 철근끼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illar frame,
Flood protection wall,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상기 탄성날개부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기둥프레임을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wing portion,
Flood barrier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ity,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pillar frame.
상호 인접한 두 기둥유닛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차수유닛의 측부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기둥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차수유닛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제1차수홈;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면에는,
상기 차수유닛의 하부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차수홈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제2차수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1차수홈과 상기 차수유닛 사이 및 상기 제2차수홈과 상기 차수유닛 사이는 각각 충진재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sides facing each other in two adjacent column units,
A first degree of reces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unit so as to be coupled to the side edge of the order unit, the first order groove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rder un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A second degree of reces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unit so as to fit the lower edge of the order unit, the second degree of groov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first degree of groove;
Flood barrier wall,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first order groove and the order unit and between the second order groove and the order unit is sealed by a filler, respectively.
상기 차수유닛의 가장자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기둥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차수유닛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차수결합홈이 구비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수결합홈과 상기 차수유닛 사이는 충진재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
The method of claim 1,
A coupling bracket coupled to each of the pillar units and the base unit so that the edges of the order unit are fitted, the order brackets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rder unit;
Flood barrier wall,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order coupling groove and the order unit is sealed by a filler.
상기 기둥유닛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기둥마감캡; 및
상기 차수유닛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차수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A pillar closing cap that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unit; And
Flood protection wall further comprises a; a closing cap that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order unit.
지면과 하천이 사이의 경계영역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프레임을 설치하는 기둥설치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기둥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프레임에 철근망을 설치하고,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차수유닛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철근망을 연장 설치하는 철근망설치단계;
상기 기둥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철근망 및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연장 설치된 상기 철근망을 모두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
상기 거푸집설치단계를 거쳐 설치된 상기 거푸집 내부에 상기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타설단계; 및
상기 제1타설단계를 거친 다음, 양생된 상기 마감콘크리트로부터 상기 거푸집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claim 1,
A pilla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pillar frame along a length direction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river;
A reinforcing bar network is installed in the pillar frame corresponding to the pillar unit to be formed, and the reinforcing bar network installed in the pillar frame is installed between two base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base unit and the order unit to be formed. Reinforcing bar network installation step;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formwork to surround all of the rebar network installed between the rebar network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and two adjacent pillar frames;
A first placing step of pouring the finish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installed through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And
And a formwork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formwork installed in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from the cured concrete after the first pouring step.
상기 경계영역에 천단부를 형성하는 천단터파기단계; 및
상기 거푸집제거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천단부에 천단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타설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 top end breaker forming a top end at the boundary area; And
And a second placing step of placing the top-end concrete on the top end after the form removing step.
지면과 하천이 사이의 경계영역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프레임을 설치하는 기둥설치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기둥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프레임에 철근망을 설치하고,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베이스유닛에 대응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철근망을 연장 설치하는 철근망설치단계;
상기 기둥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철근망 및 상호 인접한 두 기둥프레임 사이에 연장 설치된 상기 철근망을 모두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설치단계;
상기 거푸집설치단계를 거쳐 설치된 상기 거푸집 내부에 상기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타설단계;
상기 제1타설단계를 거친 다음, 양생된 상기 마감콘크리트로부터 상기 거푸집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제거단계; 및
상기 거푸집제거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기둥유닛과 상기 베이스유닛에 차수유닛을 결합하여 상호 인접한 두 기둥유닛 사이에 개구된 개구부를 폐쇄하는 측벽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방어벽의 설치방법.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flood barrier according to claim 5 or 6,
A pilla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pillar frame along a length direction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river;
Rebar network is installed in the pillar frame corresponding to the pillar unit to be formed, and the rebar network is installed to extend the rebar network installed in the pillar frame between two adjacent pillar frames corresponding to the base unit to be formed. step;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formwork to surround all of the rebar network installed between the rebar network installed on the pillar frame and two adjacent pillar frames;
A first placing step of pouring the finish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installed through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A formwork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formwork installed in the formwork installation step from the cured concrete after the first pouring step; And
And a sidewall joining step of closing the openings opened between the two adjacent column units by coupling the order unit to the pillar unit and the base unit after the form removing step. 2.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8237A KR102008471B1 (en) | 2018-11-27 | 2018-11-27 | Flood defende wall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i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8237A KR102008471B1 (en) | 2018-11-27 | 2018-11-27 | Flood defende wall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i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8471B1 true KR102008471B1 (en) | 2019-08-07 |
Family
ID=6762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8237A KR102008471B1 (en) | 2018-11-27 | 2018-11-27 | Flood defende wall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i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847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89977B1 (en) | 2019-11-26 | 2021-01-12 | A.H. Beck Foundation Co. Inc. | Border security barrier |
CN113585174A (en) * | 2021-08-30 | 2021-11-02 | 杭州市地铁集团有限责任公司运营分公司 | Flood control device special for rail-mounted area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7311A (en) * | 2007-04-11 | 2008-03-13 | Esutekku Kk | Tide embankment |
KR101565147B1 (en) * | 2015-03-16 | 2015-11-06 | (주)에스엔비 | A transparent flood wall |
KR101619162B1 (en) | 2015-11-13 | 2016-05-18 | (주)리버앤텍 | Flood barriers |
JP2016113757A (en) * | 2014-12-11 | 2016-06-23 | ジオスター株式会社 | Wall shape structure |
-
2018
- 2018-11-27 KR KR1020180148237A patent/KR10200847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7311A (en) * | 2007-04-11 | 2008-03-13 | Esutekku Kk | Tide embankment |
JP2016113757A (en) * | 2014-12-11 | 2016-06-23 | ジオスター株式会社 | Wall shape structure |
KR101565147B1 (en) * | 2015-03-16 | 2015-11-06 | (주)에스엔비 | A transparent flood wall |
KR101619162B1 (en) | 2015-11-13 | 2016-05-18 | (주)리버앤텍 | Flood barrier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89977B1 (en) | 2019-11-26 | 2021-01-12 | A.H. Beck Foundation Co. Inc. | Border security barrier |
CN113585174A (en) * | 2021-08-30 | 2021-11-02 | 杭州市地铁集团有限责任公司运营分公司 | Flood control device special for rail-mounted are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8471B1 (en) | Flood defende wall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is | |
KR100760681B1 (en) | Precast concrete barrier and barrier system of bridge | |
KR100850799B1 (en) | Structure for establishment post of traffic sign board | |
CN100535369C (en) | Barriere | |
KR20130019483A (en) | Reinforced plat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protective wall for vehicle road using dsb method | |
KR101673823B1 (en) | Retaining wall system | |
KR101495997B1 (en) | 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 |
KR10197550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block and composite block | |
KR20090006315A (en) | L shaped water storage tank | |
KR100723646B1 (en) | Lattice block for retaining wall | |
EP2759672A1 (en) | Flood barrier and method of flood protection | |
CN213014373U (en) | Basement outer wall post-cast strip structure | |
KR100776810B1 (en) | Railing for a load having the plantable space | |
KR100515788B1 (en) | Slope protection breast of prefabricated for building development | |
KR100616245B1 (en) | breast foundation structure for development house a environmentally | |
KR100639061B1 (en) | Drainage canal structure for decrease of flow | |
KR101895753B1 (en) | Boundary stone carrying cables | |
KR100631155B1 (en) | A watertight door installation apparatus for the underground passage | |
JP6255430B2 (en) | Retaining wall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 |
KR102161396B1 (en) | Reinforced wall with plantation grid | |
CN212335693U (en) | Highway prevents stifled drainage system | |
KR20110070404A (en) | Eco-friendly breast wall for construction | |
KR100490959B1 (en) | A breast facilities of double for construction | |
CN208088481U (en) | Draining drain cover with anti-theft feature | |
KR100787592B1 (en) | Screen member of reducing lateral soil press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