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36B1 - 지하수 시료 채취기 - Google Patents

지하수 시료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36B1
KR102008236B1 KR1020180152639A KR20180152639A KR102008236B1 KR 102008236 B1 KR102008236 B1 KR 102008236B1 KR 1020180152639 A KR1020180152639 A KR 1020180152639A KR 20180152639 A KR20180152639 A KR 20180152639A KR 102008236 B1 KR102008236 B1 KR 10200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gas
fluid
groundwater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우
권형표
천정용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그린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그린21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그린21
Priority to KR102018015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다단으로 이루어진 지하수 시료 채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는 관정 내부에 배치되되 하단부에 역류를 방지하는 볼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관정 내부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제 1 모듈; 상기 제 1 모듈 내부의 유체가 상기 관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모듈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유체 배출관; 상기 관정 내부의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되, 소정 압력의 기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 1 기체 주입관이 연결된 관형의 제 2 모듈; 상기 제 2 모듈로 주입된 기체가 상기 제 1 모듈로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을 통하여 소정 압력의 기체를 상기 제 2 모듈 내부로 주입하는 기체 주입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수 시료 채취기 {Apparatus for collecting underground water sample}
본 발명은 다단으로 이루어진 지하수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공 내 결정질 암반에서 관심이 되는 매질의 수리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현장 수리시험 및 지화학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험 및 분석을 위해 지하수 시료 채취를 위한 지하수 양수용 지하수 채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지하수는 시추공의 깊이에 따라 특성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지하수 시료를 시추공의 특정 깊이에서 원상태 그대로 채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지하수 채취장치는 암반에 소정 직경과 깊이의 시추공을 형성하고, 시추공의 특정 깊이에 취수관을 삽입한 후 양수펌프를 이용하여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거나 간단한 지하수 시료 채취용 용기를 시추공에 삽입한 후 두레박 형식으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양수펌프 등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 시추공의 깊이가 깊고 여러 종류의 시추공의 시료를 채취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정한 취수관 확보와 선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80346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단으로 연결부위치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원하는 위치의 지하수 시료를 용이하게 채집할 수 있는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관정 내부에 배치되되 하단부에 역류를 방지하는 볼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관정 내부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제 1 모듈; 상기 제 1 모듈 내부의 유체가 상기 관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모듈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유체 배출관; 상기 관정 내부의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되, 소정 압력의 기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 1 기체 주입관이 연결된 관형의 제 2 모듈; 상기 제 2 모듈로 주입된 기체가 상기 제 1 모듈로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을 통하여 소정 압력의 기체를 상기 제 2 모듈 내부로 주입하는 기체 주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주입 수단에 의해 소정 압력의 기체는 상기 제 2 모듈 상부에서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을 통하여 상기 제 1 모듈 내부로 제공됨으로써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모듈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제 1 유체 배출관을 통하여 관정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면 및 상기 제 2 모듈의 하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강성의 연결 고리; 및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면 및 상기 제 2 모듈의 하부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성의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유체 배출관의 유체 유입구는 상기 제 1 모듈 내부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면 또는 측면을 통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유체 배출관의 유체 유입구에 설치되는 역류 방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 사이에 상기 제 1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모듈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 2 기체 주입관 및 상기 제 3 모듈 내부의 유체를 상기 관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유체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 및 상기 제 2 기체 주입관으로 동시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 3 기체 주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 및 상기 제 2 기체 주입관으로 동시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 3 기체 주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밸브 하부에는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복수개의 모듈을 사용하고 서로 플렉시블하게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 시료 채취 시 경제성과 효율성을 확보하여 시간과 비용 최소화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장비를 이용한 고품질 지하수 시료채취 방법 개발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가 관정에 설치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의 일부 구성요소인 플로팅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모듈 연결부에 적용될 수 있는 연성 파이프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시료 채취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시료 채취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모듈(120), 제1유체 배출관(122a)과, 제2모듈(130), 연결부, 그리고 기체주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모듈(12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관정(2) 내부에 배치되되 하단부에 역류를 방지하는 볼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관정(2) 내부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밸브 하부에는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망(111)을 갖는 필터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듈(12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하부의 하부몸체(121)와 상부의 상부몸체(122)가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몸체(121)와 상부 몸체(1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122)의 중앙에는 지하수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홀(1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홀(121a) 내측에는 볼 밸브의 볼(124)이 접촉할 수 있도록 경사면(12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하수 시료가 유입홀(121a)을 통하여 이동할 때에는 그 유입압력에 의해 볼(124)이 유입홀(121a)을 개방하도록 이격되고,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유입홀(121a)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124)과 상기 유입홀(121a)이 형성된 하부몸체(121)는 볼 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22)는 상기 하부몸체(121)와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상부몸체(122)에는 제1유체 배출관(122a)과 제1기체 주입관(12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모듈(120) 내부에 지하수 시료가 차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기체주입관(122b)으로 일정압력의 기체가 공급되며 그 압력에 의해 지하수 시료가 상기 제1유체 배출관(122a)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하수 시료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22)의 제1유체 배출관(122a)과 상기 제1기체 주입관(122b)은 상기 상부몸체(122)에 제1모듈(120)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관 형태로 관통 설치된다.
상기 제1유체 배출관(122a)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모듈(120) 내부의 유체가 상기 관정(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모듈(120)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유체 배출관(122a)의 유체 유입구는 상기 제 1 모듈(120) 내부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듈(120)의 상부면 또는 측면을 통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13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관정(2) 내부의 상기 제 1 모듈(120)의 상부에 배치되되, 소정 압력의 기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 1 기체 주입관(131b,133b)이 연결된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모듈(130)은 상기 제1모듈(120)의 상부몸체(122)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몸체(133)와 하부몸체(131)를 포함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관형의 중간몸체(1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모듈(130)의 상부몸체(133), 하부몸체(131) 그리고 중간몸체(132)는 모두 나사 결합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2모듈(130)의 하부몸체(131)는 상기 제1모듈(120)의 제1유체 배출관(122a)과 제1기체 주입관(122b)과 연결되도록 수 있도록 제2유체 배출관(131a)과 제2기체 주입관(1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모듈(130)의 상부몸체(133)에도 제2유체 배출관(133a)과 제2기체 주입관(13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몸체(131,133)의 제2유체 배출관들(131a,133a)은 내부관(1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모듈(120)로부터 상기 제1유체 배출관(122a)을 통하여 배출되는 지하수 시료는 상기 제2유체 배출관(131a,133a)과 내부관(170)을 통하여 계속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 2 모듈(130)로 주입된 기체가 상기 제 1 모듈(120)로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모듈(120) 및 상기 제 2 모듈(13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모듈(120)의 상부면 및 상기 제 2 모듈(130)의 하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강성의 연결 고리(123,140,134)와, 상기 제 1 모듈(120)의 상부면 및 상기 제 2 모듈(130)의 하부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성의 연결관(150,16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 고리(123,140,134)는 상기 제1모듈(120)의 상부몸체(122)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123)와, 상기 제2모듈(130)의 하부몸체(131)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134)와, 상기 고리들(123,134)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고리들(1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성의 연결관(150,160)은 상기 제1모듈(120)의 상부몸체(122)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1유체 배출관(122a)의 돌출부와 상기 제2모듈(130)의 하부몸체(131)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2유체 배출관(131a)의 돌출부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관(150)은 각 관들에 억지끼움식으로 외면에 삽입되어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제1기체 주입관(122b)과 상기 제2기체 주입관(131b)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성의 연결관(1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기체주입수단은,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122b)을 통하여 소정 압력의 기체를 상기 제 2 모듈(130) 내부로 주입한다.
이때, 상기 기체주입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을 제공하는 공기펌프(20)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펌프 외에도 압력공기가 채워진 압력탱크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가 관정(2)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부에 제1모듈(120)이 위치하고, 그 상부에 제2모듈(130)이 연달아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모듈 중 하나를 제3모듈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관정(2)의 지하수 시료는 지하수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모듈(120)과 제2모듈(130)들의 내부를 채울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최상부측의 모듈(130)의 기체 주입관은 펌프 연결관(190)에 의해 펌프(20)에 연결되고, 유체 배출관은 지하수 용기에 연결관(18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20)가 작동하게 되면 기체 압력이 상기 제1,2모듈(120,130) 모두에 전달되고, 전달된 압력에 의해 지하수가 유체 배출관(122a, 131a, 133a)을 따라 배출되어 지하수 용기(10)에 채워지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모듈(120)과 제2모듈(13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모듈(120)과 제2모듈(130)은 서로 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리들(140)과 연성의 연결관(150, 160)들에 의해 연결되어 관정(2)이 완전 직진이 아닌 경우에도 연결부의 작용에 의해 관정을 따라 걸리지 않고 잘 내려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모듈(120)과 제2모듈(130)의 내부 구성을 알 수 있다. 하단부에는 필터부재(110)가 상기 제1모듈(120)의 하부몸체(121)에 조립되어 유입홀(121a)로 지하수가 유입될 때 외부의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124)은 상기 유입홀(121a) 상단에 위치하여 유입홀(121a)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하수 시료 채취기가 관정(2)에 설치되면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유입홀(121a)을 통하여 지하수가 유입되고, 볼(124)은 상기 유입홀(121a)로부터 이격된다. 계속하여 지하수는 상기 제1모듈(120)과 제2모듈(130)을 채우게 되고, 제3, 4모듈이 계속 연결되어 있다면 그 지하수의 높이에 따라 다른 모듈 내부로 모두 채우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펌프(20)가 작동하게 되면 각 모듈(120,130)의 기체 주입관(122b,131b,133b)을 통하여 펌프(20)의 압력이 전달되게 되고, 모듈들(120,130)의 내부에는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지하수 시료는 상기 유체 배출관들(122a,131a,133a)과 연성의 연결관(150), 내부관(170)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다음 용기를 채우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하수 시료 채취기는, 제1모듈(220)과 제2모듈(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모듈(220)은 상부몸체(222)와 하부몸체(221)로 이루어지고, 하부몸체(221)에는 하부에 필터부재(210)가 조립되고 유입홀(221a)이 중앙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모듈(220)의 상부몸체(222)에는 제1유체 배출관(222a)과 제1기체 주입관(222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유체 배출관(222a)의 유체 유입구에 설치되는 역류 방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 밸브는,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유체 배출관(270)은 상기 제2모듈의 내측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고, 그 하단부 끝단 부근에 슬릿 홀(27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하수는 상기 슬릿 홀(270a)을 통하여 상기 제2유체 배출관 내부로 들어온 다음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2유체 배출관(270)의 외면에는 밀착하는 플로팅 밸브부재(29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모듈(220) 내부의 지하수가 빠져 나감에 따라 플로팅 밸브부재(290)는 하강하게 되고 거의 다 빠져 나가게 되면 상기 슬롯 홀(270a)을 막아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제1모듈도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모듈의 상부몸체(222)에 형성된 제1유체 배출관(222a)은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슬릿 홀이 형성되면, 외면에는 플로팅 밸브부재(290)가 외면에 밀착 삽입되어 있다. 그 외 제1모듈(220)의 기체 주입관(222b)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각 모듈의 연결도 고리들(223,240,23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제1모듈(220)의 제1유체 배출관(222a)과 상기 제2모듈(230)의 제2유체 배출관(270)은 서로 연통되지 않고 다른 연결관들(250)에 의해 지하수 용기까지 연장된다. 즉 모듈 각 내부의 지하수 시료를 다른 루트를 통하여 멀티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하수 시료를 원하는 위치 또는 높이 마다 다르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더욱 신속하게 지하수 시료 채취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하수 시료 채취기는, 제1모듈(320)과 제2모듈(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모듈(320)은 하부에 필터부재(311)가 하부몸체(321)가 조립되어 있고, 하부몸체(321)에는 유입홀(3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유입홀(321a)에는 볼(324)이 설치되어 볼 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상부몸체(322)는 하부몸체(321)와 결합되고, 제1유체 배출관(322a)과 제1기체 주입관(322b)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체 주입관(322a) 하단부에는 체크밸브 방식의 역류장지 밸브(390)가 설치되어 기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모듈(330)은 상기 1모듈(32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하부몸체(331)에 중간몸체(332)가 결합되고, 하부몸체(331)에는 유입홀(331a)이 형성되어 볼(324)과 함께 볼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상부몸체(333)는 상기 중간몸체(332)를 통하여 하부몸체(331)와 조립되어 있고, 상부몸체(333)에는 제1모듈(320)과 마찬가지로 제2유체 배출관(370)과 제2기체 주입관(333b)이 설치되고, 상기 제2기체 주입관(333b)의 끝단에는 체크밸브(390)가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1모듈(320)과 제2모듈(330)은 고리들(323,340,334)에 의해 연결되어 관정(2)이 휘어진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유체 배출관(322a)과 제2유체 배출관(370)은 모듈 내부가 아닌 외부의 연결관(350)을 통하여 하나로 합쳐져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1기체 주입관(322b)과 제2기체 주입관(333b)은 서로 다른 연결관(360,380)을 통하여 펌프(20)와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하수 시료를 원하는 위치 또는 높이 마다 다르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더욱 신속하게 지하수 시료 채취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하수 시료 채취기는, 제1모듈(420)과 제2모듈(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모듈(420)은 하부에 필터부재(411)가 하부몸체(421)가 조립되어 있고, 하부몸체(421)에는 유입홀(4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유입홀(421a)에는 볼(424)이 설치되어 볼 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상부몸체(422)는 하부몸체(421)와 결합되고, 제1유체 배출관(422a)과 제1기체 주입관(22b)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체 주입관(422a) 하단부에는 체크밸브 방식의 역류장지 밸브(491)가 설치되어 기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모듈(430)은 상기 1모듈(42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하부몸체(431)에 중간몸체(432)가 결합되고, 하부몸체(431)에는 유입홀(431a)이 형성되어 볼(424)과 함께 볼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상부몸체(433)는 상기 중간몸체(432)를 통하여 하부몸체(431)와 조립되어 있고, 상부몸체(433)에는 제1모듈(420)과 마찬가지로 제2유체 배출관(470)과 제2기체 주입관(433b)이 설치되고, 상기 제2기체 주입관(433b)의 끝단에는 체크밸브(491)가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1모듈(420)과 제2모듈(430)은 고리들(423,440,434)에 의해 연결되어 관정(2)이 휘어진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유체 배출관(422a)과 제2유체 배출관(470)은 모듈 내부가 아닌 외부를 통하여 각각 분리된 연결관(450)을 통하여 각각 지하수 용기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1기체 주입관(422b)과 제2기체 주입관(433b)도 서로 다른 연결관(460,180)을 통하여 펌프(20)와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하수 시료를 원하는 위치 또는 높이 마다 다르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더욱 신속하게 지하수 시료 채취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지하수 시료 채취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하수 시료 채취기는 지하수를 채취하여 공급하는 유체 배출관(550)이 모듈 삽입 시, 관정(2)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모듈(520,530)의 일부를 절개하고, 그 부분으로 유체 배출관(550)이 지나가도록 한 것이다.
즉 모듈들(520,530)에 절개부(520a)를 형성하고, 유체 배출관(550)을 맨 하부의 모듈(520)을 관통하여 연결한 다음 그로부터 절개부(520a)를 통하여 지하수 용기까지 연결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모듈(520)은 고리들(523,540)과 연성 연결관(5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절개부(520a)에는 유체 배출관(550)을 설치를 위한 가이드 부재(521,5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관정 삽입 시, 유체 배출관이나 기체 주입관이 관정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모듈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성 연결관(6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연성의 관(610) 내부 양단에 금속제의 너트(620,630)를 조립 고정하고, 모듈들에는 이에 조립되는 볼트가 형성되도록 치형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 : 관정
10 : 지하수 용기 20 : 펌프
120 : 제1모듈 121 : 하부몸체
122 : 상부몸체 122a : 제1유체 배출관
122b : 제1기체 배출관 130 : 제2모듈
131 : 하부몸체 132 : 중간몸체
133 : 상부몸체 140 : 고리
150, 160 : 연성 연결관 170 : 내부관

Claims (9)

  1. 관정 내부에 배치되되 하단부에 역류를 방지하는 볼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관정 내부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제 1 모듈;
    상기 제 1 모듈 내부의 유체가 상기 관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모듈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제 1 유체 배출관;
    상기 관정 내부의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되, 소정 압력의 기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제 1 기체 주입관이 연결된 관형의 제 2 모듈;
    상기 제 2 모듈로 주입된 기체가 상기 제 1 모듈로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을 통하여 소정 압력의 기체를 상기 제 2 모듈 내부로 주입하는 기체 주입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주입 수단에 의해 소정 압력의 기체는 상기 제 2 모듈 상부에서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을 통하여 상기 제 1 모듈 내부로 제공됨으로써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모듈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제 1 유체 배출관을 통하여 관정 외부로 배출되는 지하수 시료 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면 및 상기 제 2 모듈의 하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강성의 연결 고리; 및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면 및 상기 제 2 모듈의 하부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성의 연결관;
    을 포함하는 지하수 시료 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배출관의 유체 유입구는 상기 제 1 모듈 내부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듈의 상부면 또는 측면을 통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하수 시료 채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배출관의 유체 유입구에 설치되는 역류 방지 밸브를 더 포함하는 지하수 시료 채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 사이에 상기 제 1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모듈을 더 포함하는 지하수 시료 채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듈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 2 기체 주입관 및 상기 제 3 모듈 내부의 유체를 상기 관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유체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하수 시료 채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체 주입관 및 상기 제 2 기체 주입관으로 동시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 3 기체 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지하수 시료 채취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브 하부에는 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부재가 구비된 지하수 시료 채취기.
KR1020180152639A 2018-11-30 2018-11-30 지하수 시료 채취기 KR102008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39A KR102008236B1 (ko) 2018-11-30 2018-11-30 지하수 시료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39A KR102008236B1 (ko) 2018-11-30 2018-11-30 지하수 시료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36B1 true KR102008236B1 (ko) 2019-08-07

Family

ID=6762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639A KR102008236B1 (ko) 2018-11-30 2018-11-30 지하수 시료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4452A (zh) * 2020-01-09 2020-04-17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用于岩土地层的新型水气同步取样探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749A (ja) * 1996-07-01 1998-01-20 Shimizu Corp 地下水の採水装置
JPH10318889A (ja) * 1997-05-19 1998-12-04 Shimizu Corp 地下水の採水装置
KR101144289B1 (ko) * 2011-11-15 2012-05-11 (주)인텔리지오 채수장치
KR101144285B1 (ko) * 2011-11-15 2012-05-11 (주)인텔리지오 다단 채수장치 및 그 방법
KR200480346Y1 (ko) 2016-03-23 2016-05-13 주식회사 지오그린21 지하수 시료 채취용 접이식 다단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749A (ja) * 1996-07-01 1998-01-20 Shimizu Corp 地下水の採水装置
JPH10318889A (ja) * 1997-05-19 1998-12-04 Shimizu Corp 地下水の採水装置
KR101144289B1 (ko) * 2011-11-15 2012-05-11 (주)인텔리지오 채수장치
KR101144285B1 (ko) * 2011-11-15 2012-05-11 (주)인텔리지오 다단 채수장치 및 그 방법
KR200480346Y1 (ko) 2016-03-23 2016-05-13 주식회사 지오그린21 지하수 시료 채취용 접이식 다단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4452A (zh) * 2020-01-09 2020-04-17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用于岩土地层的新型水气同步取样探头
CN111024452B (zh) * 2020-01-09 2024-04-26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用于岩土地层的新型水气同步取样探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7514A1 (en) Columnar downhole gas separator and method of use
US5653286A (en) Downhole gas separator
CN101025082B (zh) 井下气体分离器
US10443369B2 (en) Gas separators and related methods
RU2000116624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величения добычи жидкости из подземных пластов
US2429043A (en) Bottom hole gas anchor
US10415360B2 (en) Downhole separation for well production operations
KR102008236B1 (ko) 지하수 시료 채취기
US5046568A (en) Driven groundwater sampling device
US9463424B2 (en) Actuatable flow conditioning apparatus
US7703509B2 (en) Gas anchor and solids separator assembly for use with sucker rod pump
RU2333386C2 (ru) Забойный насос
US7389816B2 (en) Three phase downhole separator process
KR200480346Y1 (ko) 지하수 시료 채취용 접이식 다단 용기
US20070020114A1 (en) Jet pump
US106339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gas from gas producing formations
KR101311000B1 (ko) 지하수 굴착공 국소배출 및 침전 토사 제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A003315B1 (ru) Система для добычи обезвоженной нефти из подземного месторождения
RU111577U1 (ru) Промывочный клапан
JP2018066117A (ja) 天然ガス採取方法
US1431006A (en) Sand trap for wells
RU46038U1 (ru) Муфта с перепускным клапаном для погружной насосной установки
CN203373808U (zh) 取水装置
KR100429018B1 (ko) 지하수 채수장치
CN112576233B (zh) 井筒内气液固分离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