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159B1 -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159B1
KR102008159B1 KR1020190005565A KR20190005565A KR102008159B1 KR 102008159 B1 KR102008159 B1 KR 102008159B1 KR 1020190005565 A KR1020190005565 A KR 1020190005565A KR 20190005565 A KR20190005565 A KR 20190005565A KR 102008159 B1 KR102008159 B1 KR 102008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mland
forest
control
terminal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선
서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Priority to KR102019000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159B1/ko
Priority to PCT/KR2020/000711 priority patent/WO20201496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요청하는 정부/지자체 단말;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요청하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수락하는 방제/방역자 단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과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과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중개하고,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에 의해 수락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에 따른 방제/방역 이력을 저장하는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를 통해 광역의 농지/산림들에 대한 방제/방역 용역을 발주하는 것은 물론 농지/산림나 그 농작물/수목의 특성과 환경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방제/방역 작업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역의 전체 농지/산림의 방제/방역 작업을 체계적이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BLOCKCHAIN BASED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OF INSECT PESTS/PREVENTINIG OF EPIDEMICS}
본 발명은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지/산림의 방제/방역은 주로 농지/산림 소유자 개인의 방제/방역 관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농지/산림마다 농지/산림의 농작물/수목마다 갖는 특성과 상태 그리고 환경 조건에 따라 방제/방역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전문적이고 적절한 방제/방역이 광역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특정 농지/산림에서 방제/방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주변의 다른 농지/산림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농지/산림의 방제/방역 작업은 광역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작은 개인 소유의 농지/산림별로 제각각 이루어지거나 방제/방역이 되지 않는 농지/산림도 있기 때문에 방제/방역에 어려움이 많게 된다.
최근에는 드론에 의한 방제/방역 작업이 확산되고 있는데, 보다 체계적이고 최적화된 방제/방역 작업은 물론, 계약에서부터 작업 후 피드백까지의 전반적인 과정의 표준화와 전문화가 요구되고 있다.
10-2016-0082773 10-1593476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은,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요청하는 정부/지자체 단말;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요청하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수락하는 방제/방역자 단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과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과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중개하고,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에 의해 수락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에 따른 방제/방역 이력을 저장하는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의 중개 하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과 농작물/수목 구매 계약을 수행하는 구매자 단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방법은, 정부/지자체 단말 또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이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방제/방역자 단말로 요청하는 단계;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과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과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중개하는 단계;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이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수락하는 단계;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에 따른 방제/방역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이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의 중개 하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과 농작물/수목 구매 계약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를 통해 광역의 농지/산림들에 대한 방제/방역 용역을 발주하는 것은 물론 농지/산림나 그 작물의 특성과 환경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방제/방역 작업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역의 전체 농지/산림의 방제/방역 작업을 체계적이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블록체인과 빅테이터를 이용하여 생산량을 조절함으로써, 농산물의 가격 안정과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농촌 인구 감소, 고령화, 곡물 자급률 하락, 기후 변화 등 국내 농업 환경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방식으로 농민, 정부/지자체 등이 방제/방역에 대한 용역 서비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용역 서비스가 원활하게 진행되고, 농민들의 드론 방제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VTOL을 이용하여 기상 관련 데이터, 토양 테이터, 쌀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농도 및 작물이 필요한 물, 영향, 빛의 정도를 측정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추수의 적기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업인의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토지정보 테이터, 토양, 작물 데이터, 재배 데이터, 추수기 예측 데이터, 유통업자와 연결하여 생산량 조절 데이터, 방제/방역데이터 등 빅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적은 자원으로 더 좋은 식량을 더 많이 생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100)은 정부/지자체 단말(110),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 방제/방역자 단말(130),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 농지/산림 센서(151), 구매자 단말(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부/지자체 단말(110)은 전국 또는 지방자지단체 단위의 광역의 농지/산림에 대한 방제/방역을 관리하기 위한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단말이다.
정부/지자체 단말(110)은 방제/방역 용역 계약을 발주하는 것은 물론, 계약에 따른 방제/방역 작업의 관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부/지자체 단말(110)은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를 통해 방제/방역자 단말(130)로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에는 다수의 방제/방역 용역업자들이 등록되어 온라인 상에 게시될 수 있다. 정부/지자체 단말(110)은 특정 방제/방역 용역업자를 지정하거나 입찰 형식 등으로 블록체인 기반 계약의 청약을 할 수 있다.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은 농지/산림의 소유자 또는 경작자의 단말로서, 정부/지자체 단말(110)와 마찬가지로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제/방역자 단말(130)은 방제/방역 용역 업자의 단말로서,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를 통해 정부/지자체 단말(110)이나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로부터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의 청약을 승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이 성립하여 블록체인 방식으로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약의 중개는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를 통해 수행되지만, 계약의 저장과 관리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다.
방제/방역 용역 업자는 계약의 내용에 따라 방제/방역을 수행하고, 방제/방역자 단말(130)은 그 수행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파일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제/방역자 단말(120)은 위의 방제/방역 이력을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로 업로드할 수 있으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이를 취합하여 방제/방역 빅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방제/방역 용역 업자는 사람에 의해 직접 방제/방역을 할 수도 있고, 드론을 이용하여 할 수도 있다.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에 의해 미리 지정된 토지 경계선 정보를 드론에 입력하여 드론이 해당 토지 경계선 내의 농지/산림에만 자동 비행 방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농지/산림에 대한 방제/방역 작업의 계약을 중개하고, 방제/방역 작업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부/지자체 단말(110)이나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 등에 제공하는 것은 물론, 농작물/수목의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취합하여 정부/지자체 단말(110)이나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 등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의 중개에 대해 해당 정부/지자체 단말(110),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 그리고 방제/방역자 단말(130)로부터 중개료를 지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개료는 현금, 암호화폐 또는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코인(coin)을 모두 망라한다.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은 농지/산림와 농작물/수목 그리고 그 환경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농지/산림 센서(151)는 농지/산림에 고정 설치되거나 빅데이터 관리자에 의해 소지되어 필요할 때마다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농지/산림 센서(151)는 VTOL(vertical take-off and landing)에 의해 수집될 수도 있다. 광역의 농지/산림들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VTOL에 의해 수집되는 방식이 용이할 수도 있다.
농지/산림 센서(151)는 농지/산림의 환경 즉,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기상 관련 데이터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농지/산림 센서(151)는 토양 수분, 지온, 토양 양분, PH 등의 토양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농지/산림 센서(151)는 농작물/수목에 필요한 물, 영양분, 빛의 양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농지/산림 센서(151)는 농작물/수목에 함량되어 있는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쌀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 함량은 추수 적기를 유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농지/산림 센서(151)는 농작물/수목을 촬영하여 방제/방역이 필요한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VTOL을 이용하여 광역 농지/산림의 곳곳의 해충 발생 여부나 농작물/수목의 생육 상태를 이미지 촬영하여 파악할 수 있다.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은 농지/산림 센서(151)에 의해 감지되는 데이터들을 해당 농지/산림의 농지 ID/산림 ID와 함께 취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은 농지/산림 센서(151)에 의해 감지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로 업로드할 수 있다.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에 의해 업로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간 및 농지/산림의 공간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여 농지/산림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의 데이터 업로드에 대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현금, 암호 화폐, 자체 코인 등의 형태로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60)은 소정의 농작물/수목에 대해 정부/지자체나 농지/산림 소유자와 농작물/수목 구매 계약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매자 단말(160)은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의 중개를 통해 정부/지자체 단말(110)이나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로 구매 계약의 청약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부/지자체 단말(110) 또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이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의 중개를 통해 승낙하면 구매 계약이 성립된다. 이러한 구매 계약은 블록체인 기반 구매 계약으로 성립될 수 있다.
구매자, 정부/지자체 또는 농지/산림 소유자는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의 중개에 대한 중개료를 다양한 지급 수단을 이용하여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블록체인 기반 구매 계약에 따라 구매료를 해당 농지/산림 소유자나 정부/지자체로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매료의 지급 역시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를 통해 중개될 수 있다. 암호 화페의 경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금융 기관의 개입없이도 암호 화폐의 지급을 직접 중개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60)은 구매 계약을 하지 않더라도 구매하고자 하는 농작물/수목에 대한 정보를 미리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이러한 구매 예정 정보를 취합하여 구매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의 경우에도 농지/산림 소유자가 파종할 농작물/수목을 미리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이를 이용하여 파종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는 앞서 가공된 다양한 빅데이터, 예를 들어 농지/산림 빅데이터, 방제/방역 빅데이터, 구매 빅데이터, 파종 빅데이터 등을 정부/지자체 단말(110),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 방제/방역자 단말(130),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 구매자 단말(16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정부/지자체 단말(110),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 방제/방역자 단말(130),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150), 구매자 단말(160)은 그 필요한 범위에서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에 코인을 지급하고 구매할 수 있다.
빅데이터의 수요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제/방역 빅데이터는 그 농지/산림, 농작물, 수목, 비료, 영양제, 살포량, 수목 건강 상태 등의 정보를 통해 방제/방역의 성과나 효율 등을 미리 알아보는 데 유용할 수 있다.
그리고 농지/산림 소유자가 다른 특정 지역의 농지/산림 정보가 궁금할 수도 있다. 농지/산림 소유자는 다른 농지/산림을 구매하고자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파종 빅데이터를 통해 내년의 농작물 수확량을 예상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이를 통해 선취 구매 계약을 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농지/산림 소유자들은 자신의 농지/산림에 대한 다양한 농지/산림 정보를 구매하여 농작물의 경작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수요는 다양하게 새롭게 창출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구매는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에서 운영하는 코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빅데이터 형성 이전의 다양한 데이터의 업로드시에는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가 코인을 보상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농촌 인구 감소, 고령화, 곡물 자급률 하락, 기후 변화 등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정부/지자체 차원에서도 전체 생산량을 조절하는 정책에 활용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향상된 품질의 농작물을 소비할 수 있고, 가격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부/지자체 단말(110) 또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이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방제/방역자 단말(130)로 요청한다(S101).
다음으로,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가 정부/지자체 단말(110)과 방제/방역자 단말(130)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또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과 방제/방역자 단말(130)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중개한다(S102).
다음으로, 방제/방역자 단말(130)이 정부/지자체 단말(110) 또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수락한다(S103).
다음으로,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가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에 따른 방제/방역 이력을 저장한다(S104).
다음으로, 구매자 단말(160)이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140)의 중개 하에 정부/지자체 단말(110) 또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120)과 농작물/수목 구매 계약을 수행한다(S105).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정부/지자체 단말
120: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
130: 방제/방역자 단말
140: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
150: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
151: 농지/산림 센서
160: 구매자 단말

Claims (4)

  1.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요청하는 정부/지자체 단말;
    소정 농지/산림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요청하는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수락하는 방제/방역자 단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과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과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간의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을 중개하고,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에 의해 수락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에 따른 방제/방역 이력을 저장하는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
    농지/산림에 고정 설치되거나 빅데이터 관리자에 의해 소지되도록 구성되며, 농지/산림의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로 구성되는 기상 관련 데이터를 감지하고 토양 수분, 지온 토양 양분, PH로 구성되는 토양 데이터를 수집하며 농작물/수목에 필요한 물, 영양분, 빛의 양을 측정하고 농작물의 추수 적기를 유추하기 위해 상기 농작물에 함량되어 있는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며 농지/산림의 해충 발생 여부 및 농작물/수목의 생육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농지/산림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농지/산림 센서;
    상기 농지/산림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기상 관련 데이터, 상기 농지/산림 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토양 데이터, 상기 농지/산림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단백질의 농도, 상기 농지/산림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농지/산림의 이미지를 취합하는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의 중개 하에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 또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과 농작물/수목 구매 계약을 수행하는 구매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는,
    다수의 방제/방역 용역업자를 등록하여 온라인 상에 게시하고,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은,
    상기 방제/방역 계약에 따라 방제/방역자에 의해 수행된 방제/방역의 수행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파일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파일을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업로드되는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계약 파일을 취합하여 방제/방역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농지/산림 센서는,
    상기 농지/산림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VTOL(vertical take-off and landing)로 구성되며,
    상기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은,
    상기 취합된 기상 관련 데이터, 토양 데이터, 단백질의 농도, 농지/산림의 이미지를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로 업로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에 의해 업로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시간 및 농지/산림의 공간에 따라 가공하여 농지/산림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의 데이터 업로드에 상응하는 보상으로서 코인(coin)을 상기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로 지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과 상기 정부 지자체 단말 간에 블록체인 기반 구매 계약을 중개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과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 간에 블록체인 기반 구매 계약을 중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매자 단말은,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의 중개에 대한 중개료를 코인으로 지급하고, 상기 블록체인 기반 구매 계약에 따른 구매료를 코인으로 해당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 또는 정부/지자체 단말에 지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매자 단말은,
    구매하고자 하는 농작물/수목에 대한 구매 예정 정보를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에 미리 업로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구매 예정 정보를 취합하여 구매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은,
    농지/산림 소유자가 파종하고자 하는 농작물/수목을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에 미리 업로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에 의해 업로드되는 농작물/수목을 취합하여 파종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제/방역 관리 플랫폼 서버는,
    상기 형성된 농지/산림 빅데이터, 방제/방역 빅데이터, 구매 빅데이터, 파종 빅데이터를 상기 정부/지자체 단말, 상기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 상기 방제/방역자 단말, 상기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 또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해당 정부/지자체 단말, 농지/산림 소유자 단말, 방제/방역자 단말, 농지/산림 정보 취합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코인을 지급받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제/방역 빅데이터는,
    농지/산림, 농작물, 수목, 비료, 영양제, 살포량 및 수목 건강 상태의 정보를 통해 방제/방역의 성과 및 효율을 미리 파악하는 데 활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종 빅데이터는,
    다음 해의 농작물 수확량을 예상하는 데 활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05565A 2019-01-16 2019-01-16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65A KR102008159B1 (ko) 2019-01-16 2019-01-16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0/000711 WO2020149625A1 (ko) 2019-01-16 2020-01-15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565A KR102008159B1 (ko) 2019-01-16 2019-01-16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159B1 true KR102008159B1 (ko) 2019-10-21

Family

ID=6846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565A KR102008159B1 (ko) 2019-01-16 2019-01-16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8159B1 (ko)
WO (1) WO20201496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625A1 (ko) * 2019-01-16 2020-07-23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8339A (ko) 2020-10-12 2022-04-19 민임숙 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4406A (ja) * 2007-10-23 2009-05-14 Yanmar Co Ltd 防除請負管理システム
KR101593476B1 (ko) 2015-10-15 2016-02-19 (주)한성티앤아이 농약방제기
KR20160082773A (ko) 2014-12-29 2016-07-1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공방제용 드론
KR20180022335A (ko) *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20190000747A (ko) * 2017-06-24 2019-01-03 박동화 블록체인기법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7637A (ko) * 2011-03-22 2012-10-04 (주)제이제이컨설팅엔비즈 용역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6681A (ko) * 2016-06-01 2017-12-12 주식회사 컨시어지코리아 고객과 판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159B1 (ko) * 2019-01-16 2019-10-21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4406A (ja) * 2007-10-23 2009-05-14 Yanmar Co Ltd 防除請負管理システム
KR20160082773A (ko) 2014-12-29 2016-07-1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공방제용 드론
KR101593476B1 (ko) 2015-10-15 2016-02-19 (주)한성티앤아이 농약방제기
KR20180022335A (ko) *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20190000747A (ko) * 2017-06-24 2019-01-03 박동화 블록체인기법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625A1 (ko) * 2019-01-16 2020-07-23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8339A (ko) 2020-10-12 2022-04-19 민임숙 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625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vaid et al. Enhancing smart farming through the applications of Agriculture 4.0 technologies
Sinha et al. Architecting user-centric internet of things for smart agriculture
Fisher et al. Drought tolerant maize for farmer adaptation to drought in sub-Saharan Africa: Determinants of adoption in eastern and southern Africa
Challinor et al. Current warming will reduce yields unless maize breeding and seed systems adapt immediately
Fraisse et al. AgClimate: A climate forecast infor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risk management in the southeastern USA
Kassie et al. Adapting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experiences from cereal-based farming in the Central Rift and Kobo Valleys, Ethiopia
Van Roekel et al. Agronomic responses of corn to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Ricome et al. Are subsidies to weather-index insurance the best use of public funds? A bio-economic farm model applied to the Senegalese groundnut basin
BR112020003688A2 (pt) modelagem digital e rastreamento de campos para implementação de testes de campo agrícola
US7275042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gricultural pesticide information
US20050125260A1 (en) Method for quoting and contracting for management of inputs and services under a commercial service agreement, with a service loss guaranty or insurance policy and using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oakye et al. Unravelling the pangolin bushmeat commodity chain and the extent of trade in Ghana
O'Donoghue et al. The changing organization of US farming
Takle et al. Climate forecasts for corn producer decision making
BR112020002112A2 (pt) dispositivo portátil para gerenciamento agrícola econômico
Ausseil et al. Mapping floral resources for honey bees in New Zealand at the catchment scale
JP6551943B2 (ja) 生育管理装置、生育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71036B1 (ko)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KR20210029893A (ko) 영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udsk et al. Experiences with implementation and adop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Denmark
Arnold et al. Beneficial insects are associated with botanically rich margins with trees on small farms
KR102008159B1 (ko) 블록체인 기반 방제/방역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566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rop Lifecycle Modeling
Hudson et al. Big landscapes meet big data: Informing grazing management in a variable and changing world
Singh et al. ‘Mentha Mitra’—An android app based advisory digital tool for menthol mint far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