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348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348B1
KR102007348B1 KR1020177007386A KR20177007386A KR102007348B1 KR 102007348 B1 KR102007348 B1 KR 102007348B1 KR 1020177007386 A KR1020177007386 A KR 1020177007386A KR 20177007386 A KR20177007386 A KR 20177007386A KR 102007348 B1 KR102007348 B1 KR 10200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chamber
baffle
dirt
waste collec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757A (ko
Inventor
조앤 케이티 미첼
피터 그레이엄 루엣치포드
케탄 파텔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4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04C5/187Dust collectors forming an integral part of the vortex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1)는 본체(2) 및 사이클론 분리 장치(3)를 포함한다. 분리 장치(3)는 오물 집결 챔버(8b) 및 배플(baffle) 장치(10)를 포함하고, 통상적인 사용 중에 오물 집결 챔버(8b)의 제 1 부분이 보이지 않으며 오물 집결 장치의 제 2 부분은 보이도록 분리 장치가 본체 내부(2)에 장착된다. 사용 중에, 오물 집결 챔버(8b) 내부에서 움직이는 공기 흐름이 배플 장치(10)의 방해를 받아 오물이 우선적으로 상기 제 2 부분에 모이도록 배플 장치(10)가 오물 집결 챔버(8b) 안에 위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오물이 우선적인 부분에 모이게 해주는 배플 장치를 갖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사이클론 분리 장치를 이용하는 진공 청소기는 잘 알려져 있다. EP2413767, EP2674087 및 EP2764810 각각에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를 이용하는 진공 청소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이클론 분리 장치는, 더러운 공기 흐름을 접선 방향 입구를 통해 사이클론 챔버 안으로 유입시켜 작동하며, 그 접선 방향 입구에 의해 공기 흐름은 사이클론 챔버 내부에서 나선형 또는 헬리컬 경로를 따르게 된다. 이리하여, 공기 흐름에 포함되어 있는 오물 및 부스러기가 분리되어 오물이 모여 제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리된 오물 및 부스러기는 사이클론 챔버 아래에 위치하는 오물 집결 챔버에 모이게 된다. 오물 집결 챔버는 투명하여, 사용자가 모인 오물과 부스러기의 양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오물 집결 챔버를 비울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오물 집결 챔버는 특히 통상적인 사용 중에 사용자에게 완전히 보이지는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사이클론 분리 장치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에 장착될 수 있어, 오물 집결 챔버의 일 부분은 통상적인 사용 중에 안 보이게 된다. 그래서, 안 보이는 그 부분에만 오물이 모이게 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를 계속 사용하여 오물 집결 챔버가 과충전되어 사이클론의 효율이 저하된다. 추가로, 오물이 깨끗한 공기의 유출 흐름에 다시 동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 및 사이클론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바, 상기 분리 장치는 오물 집결 챔버 및 배플(baffle)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 집결 챔버의 제 1 부분이 보이지 않으며 오물 집결 챔버의 제 2 부분은 보이도록 상기 분리 장치가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사용 중에, 오물 집결 챔버 내부에서 움직이는 공기 흐름이 상기 배플 장치의 방해를 받아 오물이 우선적으로 상기 제 2 부분에 모이도록 상기 배플 장치가 오물 집결 챔버 안에 위치되어 있다.
배플 장치에 의해 오물과 부스러기는 오물 집결 챔버에 불균일하게 모이게 된다. 특히, 배플 장치에 의해 오물과 부스러기는, 통상적인 사용 중에 보이는 오물 집결 챔버의 일 부분에 우선적으로 모이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오물 집결 챔버에 모인 오물과 부스러기의 양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배플 장치를 사용할 때의 단점은, 오물 집결 챔버의 전체 용량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즉, 오물과 부스러기의 총 가능한 양은, 오물과 부스러기가 오물 집결 챔버의 일 특정한 부분에 우선적으로 모이고 그 오물 집결 챔버 전체에 결쳐 모이지는 않기 때문에 감소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은, 오물과 부스러기가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에 모이므로 사용자는 오물 집결 챔버의 비움이 언제 필요한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에 의해 상쇄된다.
상기 오물 집결 챔버는 원통형이고 외벽 및 기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배플 장치는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고, 각 배플은 상기 기부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배플은 기부의 전체 이용가능한 반경을 따라 또는 그 반경의 일 부분 또는 일부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배플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배플은 사이클론 공기 흐름의 접선 방향에 직각으로 위치된다. 그러므로 각 배플은, 가능한 최대의 표면 영역이 공기 흐름에 노출되어 이 공기 흐름에 최대한의 방해가 주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배플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오물 집결 챔버의 기부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오물과 부스러기가 배플 아래를 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플은 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배플은 또한 오물 집결 챔버를 둘러싸는 벽들 중의 한 벽 또는 양 벽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배플은 더 잘 지지된다.
상기 배플은, 오물 집결 챔버 주위를 움직이는 공기 흐름이 배플 장치를 통과하면서 물결 모양의 경로를 따르도록 위치되어 있다. 공기가 회전할 때, 오물의 관성에 의해 오물이 배플과 충돌하고, 오물 집결 챔버에서 상기 배플 장치가 있는 영역에서 침강 된다.
분리 장치는 2개의 분리 스테이지, 즉 제 1 스테이지와 제 2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스테이지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제 2 스테이지가 제 1 스테이지의 하류에 위치된다. 그리고 오물 집결 챔버는 제 1 스테이지의 일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제 2 스테이지는 오물 집결 챔버에 의해 둘러싸이는 추가 오물 집결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큰 오물과 부스러기는 제 1 스테이지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오물 집결 챔버에서 공기 흐름으로부터 모일 수 있고, 더 작은 오물과 부스러기는 제 2 스테이지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추가 오물 집결 챔버에서 모이게 된다. 2개의 분리 스테이지를 갖는 것에 따른 이점은, 진공 청소기에서 나가는 공기 흐름이 더 깨끗하게 된다는 것이다. 제 1 분리 스테이지는 오물과 부스러기의 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입자는 일반적으로 공기 흐름으로부터 분리되기 쉬우며 그래서 배플 장치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모일 수 있다. 오물과 부스러기의 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제 1 분리 스테이지의 다른 이점은, 큰 입자가 오물 집결 챔버의 우선적인 부분에 모일 때 사용자가 그 큰 입자를 더 쉽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용자는 오물 집결 챔버를 언제 비워야 할지를 더 잘 알 수 있다.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 대해 컴팩트한 크기가 얻어질 수 있도록 오물 집결 챔버가 상기 추가 오물 집결 챔버를 둘러싸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그러나, 오물 집결 챔버의 일 부분은 추가 오물 집결 챔버의 경계를 이루는 내벽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배플 장치는, 상기 추가 오물 집결 챔버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에 오물과 부스러기가 모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물 집결 챔버는 원통형이고 내벽, 외벽 및 기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추가 오물 집결 챔버는 기부 및 내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배플 장치는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고, 각 배플은 오물 집결 챔버의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배플은 오물 집결 챔버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오물 집결 챔버에 대해 원통형 형상을 사용하는 것에 따른 일 이점은, 내벽을 상기 오물 집결 챔버 내부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추가 오물 집결 챔버가 쉽게 둘러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내벽은 오물 집결 챔버에 대한 원형 경계를 또한 제공하고, 배플은 여전히 오물 집결 챔버의 기부를 반경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어, 사이클론 공기 흐름의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 벽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사이클론 분리 장치에 대한 컴팩트한 크기가 쉽게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오물 집결 챔버는 원통형이고, 상기 배플 장치는 오물 집결 챔버의 일 영역에 위치되며, 그 영역은 90°내지 140°의 각도에 걸쳐 있다. 이 특별한 범위의 각도가 유리한데, 왜냐하면, 오물 집결 챔버의 우선적인 부분에 모인 오물과 부스러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넓은 시계를 제공하면서 임의의 크기의 진공 청소기의 본체 안에 쉽게 장착될 수 있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가 상기 각도로 인해 제공된다는 것이다.
상기 배플 장치는 3개 내지 6개의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범위 내의 어떤 수의(즉, 3개, 4개, 5개 또는 6개) 배플이라도 배플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배플의 수는 오물과 부스러기를 우선적으로 모으는 배플 장치의 효율에 의해 제한된다. 추가로, 배플은 배플 장치를 수용하는 기부의 영역 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배플의 총 수에 공간적 제한이 있음이 명백하다. 그래서, 배플 장치를 구성하는 배플의 수에 비례하여, 분리 및 오물 집결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오물 집결 챔버는 원통형이고, 상기 배플 장치는 3개의 배플을 포함하고, 제 1 배플과 제 3 배플은 90°내지 140°의 각도에 걸쳐 있고, 제 2 배플은 제 1 배플과 제 3 배플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특별한 배플 장치는 양호한 방해를 공기 흐름에 제공하고 또한 오물과 부스러기가 모이기에 충분한 영역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사이클론 공기 흐름은 배플 장치에 의해 지나치게 방해받지 않는다.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청소기, 예컨대 직립형 또는 캐니스터형 청소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자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기의 일 예는 가정용 로봇형 청소기를 포함한다. 가정용 로봇형 청소기는 가구 아래를 청소하기 위해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가정용 로봇형 청소기를 내려다 보는 사용자는 오물 집결 챔버의 제 2 부분만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사용 중에 청소기를 방해하거나 들어 올릴 필요 없이, 로봇형 청소기에 모인 오물과 부스러기의 레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배플 장치는, 서 있는 사용자에게 보이는 오물 집결 챔버의 그 부분에 오물과 부스러기가 우선적으로 모일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진공 청소기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사이클론 분리 장치의 오물 집결 챔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본체(2) 및 이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3)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를 나타낸다. 이 진공 청소기(1)는 자율 또는 로봇형 청소기고 그래서 진공 청소기(1)가 가구 아래를 청소할 수 있도록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2) 및 사이클론 분리 장치(3)는 저 프로파일 실린더를 형성하는데, 이 실린더의 직경은 높이 보다 크다.
사이클론 분리 장치(3)는 도 2 내지 4에 보다 자세히 나타나 있다. 사이클론 분리 장치(3)는 제 1 사이클론 스테이지 및 이 제 1 사이클론 스테이지의 하류에 위치되는 제 2 사이클론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제 1 사이클론 스테이지는 외벽(4), 내벽(5), 외벽(4)과 내벽(5) 사이에 위치되는 쉬라우드(shroud)(6), 및 기부(7)를 포함한다. 외벽(4), 내벽(5), 쉬라우드(6) 및 기부(7)는 함께 챔버(8)를 형성한다. 이 챔버의 상측 부분(즉, 일반적으로 외벽(4)과 쉬라우드(6)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사이클론 챔버(8a)를 형성하고, 상기 챔버의 하측 부분(즉, 일반적으로 외벽(4), 내벽(5) 및 기부(7)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오물 집결 챔버(8b)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제 1 사이클론 스테이지는 사이클론 챔버(8a) 및 이 사이클론 챔버(8a) 아래에 위치되는 오물 집결 챔버(8b)를 포함한다. 외벽(4)은 더러운 공기가 사이클론 챔버(8a)에 들어갈 때 통과하는 접선 방향 입구(9)를 포함하고, 쉬라우드(6)는 정화된 공기가 사이클론 챔버(8a)에서 나갈 때 통과하는 구멍 또는 메쉬를 포함한다.
제 1 사이클론 스테이지는 오물 집결 챔버(8b) 안에 위치되는 배플(baffle) 장치(10)를 포함한다. 이 배플 장치(10)는 오물 집결 챔버(8b)의 일 영역 주위로 환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3개의 배플(11, 12, 13)을 포함하고, 그 영역은 약 120°의 각도를 갖는다. 각 배플(11, 12, 13)은 평평하고, 내벽(5)과 외벽(4) 사이에서 기부(7)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배플(11) 및 제 3 배플(13)은 내벽(5)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외벽(4)에 못 미쳐 끝나 있다. 제 2 배플(12)은 제 1 배플(11)과 제 3 배플(13)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내벽(5)과 외벽(4) 모두에 못 미쳐 끝나 있다. 제 1 배플(11)과 제 3 배플(13)은 직사각형이고 제 2 배플(12)은 삼각형이다. 추가적으로, 제 1 배플(11)과 제 3 배플(13)은 제 2 배플(12) 보다 낮고 제 2 배플(12)이 더 길게 되어 있다. 이러한 특별한 구성을 취한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제 2 사이클론 스테이지는 복수의 사이클론 분리기(14) 및 추가 오물 집결 챔버(15)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이클론 분리기(14)는 절두 원추형이고, 입구, 오물 출구 및 공기 출구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오물은 오물 출구를 통해 나가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 출구를 통해 나가게 된다.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배출된 오물은 상기 추가 오물 집결 챔버(15)에 모이게 되는데, 이 추가 오물 집결 챔버는 제 1 사이클론 스테이지의 내벽(5)으로 둘러싸여 있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사용 중에, 더러운 공기는 입구(9)를 통해 제 1 스테이지의 사이클론 챔버(8a) 안으로 흡인된다. 공기는 사이클론 챔버(8a) 주위를 나선형으로 이동하여, 조대한 오물이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조대한 오물은 오물 집결 챔버(8b)에 모이고, 부분적으로 정화된 공기는 쉬라우드(6)를 통해 제 2 사이클론 스테이지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부분적으로 정화된 공기는 그런 다음에 분할되어 사이클론 분리기(14) 안으로 흡인되는데, 이 사이클론 분리기가 작용하여 미세한 오물을 공기로부터 분리시킨다. 미세한 오물은 오물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추가 오물 집결 챔버에 모이게 되며, 정화된 공기는 공기 출구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을 갖는 자율 청소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1) 위에 서 있을 때, 오물 집결 챔버(8b)의 전방 부분만 보이게 되는데, 이는 아마도 도 1에서 가장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1) 위에 서 있을 때, 오물 집결 챔버(8b)의 후방 부분은 본체(2)에 의해 보이지 않는다. 사이클론 분리 장치(3)의 제 1 스테이지는 공기로부터 비교적 조대한 오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어떤 종류의 오물은 오물 집결 챔버(8b) 주위에 고르게 모이지 않고, 내벽(4)과 외벽(5) 사이의 틈을 메꿀 수 있다. 그러면, 오물은 잡히게 되고, 오물 집결 챔버(8b) 주위로 순환하는 추가 오물 을 방해하는 장벽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오물은 이 지점에 모여 쌓이게 될 것이다. 오물이 오물 집결 챔버(8b)의 후방 부분에 모이면, 사용자는 그 오물 집결 챔버(8b)에 모인 오물과 부스러기의 양을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를 계속 사용하려 할 것이고, 그래서 오물 집결 챔버가 후방 부분에서 과충전된다. 그러면 오물은 사이클론 챔버(8a) 내부에서 나선형 운동하는 공기를 불리하게 방해할 것이고, 그 결과 분리 효율이 저하된다. 추가적으로, 오물 집결 챔버(8b) 내의 오물은 정화된 공기에 다시 동반되게 된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분리 장치(3)는 배플 장치(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제 설명하겠지만, 배플 장치(10)에 의해 오물은 우선적으로 오물 집결 챔버(8b)의 전방 부분에 모이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오물 집결 챔버가 꽉 차있고 비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더 잘 알 수 있게 된다.
배플 장치(10)는 오물 집결 챔버(8b)의 전방 부분(즉, 통상적인 사용 중에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1) 위에 서 있을 때 그 사용자에게 보이는 부분)에 위치된다. 사용 중에, 오물 집결 챔버(10) 주위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이 있다. 배플 장치(10)는 오물 집결 챔버(8b) 주위를 이동하는 공기 흐름을 방해하고 느리게 하며, 그래서, 오물 집결 챔버(8a)에서 침강된 오물은 챔버(8b) 주위에서 휩쓸려 오물 집결 챔버(8)의 후방 부분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추가로, 배플(11, 12, 13)은 오물이 오물 집결 챔버(8b) 주위를 지날 때 그 오물을 잡도록 성형되어 있다.
상기 배플(11, 12, 13)의 길이, 형상, 및 위치는, 배플 장치(10)를 통과하는 순환 공기 흐름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의 경로를 따르도록 되어 있다. 공기가 회전할 때, 오물의 관성에 의해 오물이 배플과 충돌하여, 오물 집결 챔버(8b)에서 상기 배플 장치(10)가 있는 상기 영역에서 침강 된다. 그 결과, 오물은 우선적으로 오물 집결 챔버(8b)의 전방 부분에 모이게 된다.
배플 장치(10)는 서로 다른 높이 및 길이를 갖는 배플을 포함한다. 제 1 배플(11)과 제 3 배플(13)은 직사각형이고, 내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쉬라우드(6)의 바로 아래까지 기부(7)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쉬라우드(6)의 바닥은 평평하지 않고, 대신에, 바깥쪽으로 벌어진 스커트를 포함한다. 제 1 배플(11)과 제 3 배플(13)의 길이와 높이는 배플(11, 13)이 쉬라우드(6)의 스커트 아래에 있도록 선택된다. 제 2 배플(12)은 삼각형이고 최고 지점이 외벽(4)에 더 가까이 있다. 내벽(5)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3 배플(11, 13)과는 달리, 제 2 배플(12)은 외벽(4)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 2 배플(12)이 길이가 더 짧고 또한 직사각형이면, 제 2 배플(12)은 불량한 지지를 받게 되고, 순환하는 공기 흐름 또는 그에 동반된 오물의 힘을 받으면 휘어져 부러질 수 있다. 그래서 제 2 배플(12)은 기부(7)에 의해 더 잘 지지되도록 제 1 및 3 배플(11, 13) 보다 길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배플 장치(10)를 통과하는 순환 공기를 위한 경로가 배플 사이에 제공되도록 제 2 배플(12)의 형상은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제 2 배플(12)은 제 1 및 3 배플(11, 13) 보다 높이가 낮다. 제 1 및 3 배플(11, 13)은 완전히 쉬라우드(6) 아래에 있지만, 제 2 배플(12)은 쉬라우드(6)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제 2 배플(12)이 제 1 및 3 배플(11, 13)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 배플(12)은 쉬라우드(6)의 바닥과 접촉하게 될 것이고 또한 사이클론 챔버(8a) 안에서 나선형 운동을 하는 공기를 불리하게 방해하는 차단물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제 2 배플(12)은 높이가 더 낮게 되어 있어, 배플(12)과 쉬라우드(6)의 바닥 사이에 틈이 생긴다.
사이클론 분리 장치의 오물 집결 챔버에 배플을 제공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배플은 다시 오물 집결 챔버의 바닥에서 순환 공기를 방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배플은 오물 집결 챔버 주위에 고르게 이격되어 있다. 배플은 오물이 나선형 운동을 하는 공기에 다시 동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배플은 오물이 오물 집결 챔버의 우선적인 부분에 모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사실 그렇게 하지 않는다. 사실, 그렇게 하는 것은 반직관적인데, 오물 집결 챔버의 전체 용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즉, 비움이 필요해지기 전에 오물 집결 챔버에 모일 수 있는 오물의 총 양이 감소될 것이다. 그러나, 사이클론 분리 장치가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는 경우, 이 단점은, 사용자가 오물 집결 챔버의 비움이 언제 필요한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에 의해 상쇄된다.

Claims (9)

  1. 본체 및 사이클론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분리 장치는 오물 집결 챔버 및 배플(baffle)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 집결 챔버의 제 1 부분이 보이지 않으며 오물 집결 챔버의 제 2 부분은 보이도록 상기 분리 장치가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사용 중에, 오물 집결 챔버 내부에서 움직이는 공기 흐름이 상기 배플 장치의 방해를 받아 오물이 우선적으로 상기 제 2 부분에 모이도록 상기 배플 장치가 오물 집결 챔버 안에 위치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집결 챔버는 원통형이고 외벽 및 기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배플 장치는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고, 각 배플은 상기 기부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오물 집결 챔버 주위를 움직이는 공기 흐름이 배플 장치를 통과하면서 물결 모양의 경로를 따르도록 위치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제 1 스테이지 및 제 2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제 2 스테이지는 제 1 스테이지의 하류에 위치되고, 제 1 스테이지는 상기 오물 집결 챔버를 포함하며, 제 2 스테이지는 추가 오물 집결 챔버를 포함하고, 오물 집결 챔버는 상기 추가 오물 집결 챔버를 둘러싸는, 진공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집결 챔버는 원통형이고 내벽, 외벽 및 기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추가 오물 집결 챔버는 기부 및 내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배플 장치는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고, 각 배플은 오물 집결 챔버의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집결 챔버는 원통형이고, 상기 배플 장치는 오물 집결 챔버의 일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영역은 90°내지 140°의 각도에 걸쳐 있는, 진공 청소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장치는 3개 내지 6개의 배플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집결 챔버는 원통형이고, 상기 배플 장치는 3개의 배플을 포함하고, 제 1 배플과 제 3 배플은 90°내지 140°의 각도에 걸쳐 있고, 제 2 배플은 제 1 배플과 제 3 배플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는 로봇형 진공 청소기인, 진공 청소기.
KR1020177007386A 2014-09-03 2015-08-11 진공 청소기 KR102007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15610.3A GB2529851B (en) 2014-09-03 2014-09-03 Vacum cleaner
GB1415610.3 2014-09-03
PCT/GB2015/052321 WO2016034841A1 (en) 2014-09-03 2015-08-11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757A KR20170042757A (ko) 2017-04-19
KR102007348B1 true KR102007348B1 (ko) 2019-08-05

Family

ID=5175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86A KR102007348B1 (ko) 2014-09-03 2015-08-11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81786B2 (ko)
EP (1) EP3188635B1 (ko)
JP (1) JP6116634B2 (ko)
KR (1) KR102007348B1 (ko)
CN (1) CN105380572B (ko)
AU (1) AU2015310720B2 (ko)
GB (1) GB2529851B (ko)
WO (1) WO2016034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49618S (en) 2012-09-24 2013-07-04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AU360979S (en) * 2014-08-28 2015-04-08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942S (en) * 2014-08-28 2015-04-07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vacuum cleaner
AU360825S (en) *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29S (en) *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27S (en) *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941S (en) * 2014-08-28 2015-04-07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vacuum cleaner
AU360887S (en) * 2014-08-28 2015-04-01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vacuum cleaner
AU360888S (en) * 2014-08-28 2015-04-01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vacuum cleaner
AU360860S (en) * 2014-08-28 2015-03-31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vacuum cleaner
AU360824S (en) *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07S (en) * 2014-08-28 2015-03-26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31S (en) * 2014-08-28 2015-03-3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AU360890S (en) * 2014-08-28 2015-04-01 Dyson Technology Ltd Part of vacuum cleaner
EP4159101A3 (en) 2016-05-20 2023-06-0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WO2017200350A1 (ko) *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D833094S1 (en) * 2016-07-27 2018-11-06 Lg Electronics Inc. Dust canister for robot vacuum cleaner
GB2563698B (en) * 2017-06-19 2022-02-23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214631951U (zh) * 2019-08-28 2021-11-09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用于机器人清洁器集尘杯的碎屑鳍片及集尘杯
JP7329729B2 (ja) * 2019-08-28 2023-08-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6469A1 (en) 2003-09-30 2005-03-3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20070266678A1 (en) 2006-05-18 2007-11-22 Royal Appliance Mfg. Co. Single stage cyclone vacuum cleaner
US7770256B1 (en) 2004-04-30 2010-08-10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multiple cyclonic dirt separators and bottom discharge dirt cup
KR101268565B1 (ko) * 2012-12-06 2013-05-28 이상영 싸이클론 집진기
JP2013240598A (ja) 2012-05-17 2013-12-05 Dyson Technology Ltd 自律型真空掃除機
JP2013240599A (ja) * 2012-05-17 2013-12-05 Dyson Technology Ltd 自律型真空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4745B (en) * 1998-12-18 2002-06-05 Notetry Ltd Vacuum cleaner
GB2344778A (en) * 1998-12-18 2000-06-21 Notetry Ltd Cyclonic separator and fan combination
KR20010001213A (ko) * 1999-06-02 2001-01-05 구자홍 싸이클론 집진장치
US6810557B2 (en) * 2002-01-28 2004-11-02 Bissell Homecare, Inc. Cyclone separator with vacillating debris inhibitor
AU2004284938B2 (en) * 2003-10-22 2010-07-01 Bissell Inc.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dirt separation and bottom discharge dirt cup with filter
GB2407784A (en) * 2003-11-08 2005-05-11 Dyson Ltd Separating apparatus
JP4070787B2 (ja) 2005-12-14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70068940A (ko) * 2005-12-27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청소기
GB2441300B (en) * 2006-09-01 2011-10-12 Dyson Technology Ltd A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US7743461B2 (en) * 2006-10-13 2010-06-29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large debris receptacle
GB2469055B (en) 2009-03-31 2013-01-0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pherical floor engaging arrangement
GB2469049B (en) 2009-03-31 2013-04-17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GB2503019B (en) 2012-06-14 2014-07-30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sealing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6469A1 (en) 2003-09-30 2005-03-3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7770256B1 (en) 2004-04-30 2010-08-10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multiple cyclonic dirt separators and bottom discharge dirt cup
US20070266678A1 (en) 2006-05-18 2007-11-22 Royal Appliance Mfg. Co. Single stage cyclone vacuum cleaner
JP2013240598A (ja) 2012-05-17 2013-12-05 Dyson Technology Ltd 自律型真空掃除機
JP2013240599A (ja) * 2012-05-17 2013-12-05 Dyson Technology Ltd 自律型真空掃除機
KR101268565B1 (ko) * 2012-12-06 2013-05-28 이상영 싸이클론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757A (ko) 2017-04-19
AU2015310720A1 (en) 2017-03-09
CN105380572B (zh) 2018-10-19
EP3188635B1 (en) 2020-10-14
JP2016052513A (ja) 2016-04-14
WO2016034841A1 (en) 2016-03-10
CN105380572A (zh) 2016-03-09
GB2529851B (en) 2017-02-22
AU2015310720B2 (en) 2019-01-24
EP3188635A1 (en) 2017-07-12
GB2529851A (en) 2016-03-09
GB201415610D0 (en) 2014-10-15
US9681786B2 (en) 2017-06-20
US20160058259A1 (en) 2016-03-03
JP6116634B2 (ja)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348B1 (ko) 진공 청소기
KR100612204B1 (ko)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EP2452604B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326741C2 (ru) Цикл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RU2261643C1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RU2337605C2 (ru) Мульти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RU2327413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а пыли в пылесосе
AU2005201267B2 (en)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U2004202416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Hand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271137C1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и пылесос с циклонным пылеуловителем
US9603498B2 (en) Separating apparatus in a vacuum cleaner
US9456724B2 (en) Separating apparatus in a vacuum cleaner
WO2015114332A1 (en) Separating apparatus in a vacuum cleaner
RU2362474C2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KR100546622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7000063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80066291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054662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