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253B1 - 코골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253B1
KR102007253B1 KR1020190043005A KR20190043005A KR102007253B1 KR 102007253 B1 KR102007253 B1 KR 102007253B1 KR 1020190043005 A KR1020190043005 A KR 1020190043005A KR 20190043005 A KR20190043005 A KR 20190043005A KR 102007253 B1 KR102007253 B1 KR 10200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wall
snoring
prevention devic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랩
Priority to KR102019004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53B1/ko
Priority to JP2021560080A priority patent/JP7177553B2/ja
Priority to CN202080027838.3A priority patent/CN113727683A/zh
Priority to US17/601,269 priority patent/US20220168133A1/en
Priority to PCT/KR2020/004960 priority patent/WO20202096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강에 삽입되며 비강 내면에 접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에 갈리진 영역부를 두고, 외벽부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비강 구조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깊숙하게 삽입이 가능 및 비강 확장력 향상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 외벽부 (201);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및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하측에 돌출부(205);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강에 삽입되며 비강 내면에 접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에 갈리진 영역부를 두고, 외벽부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비강 구조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깊숙하게 삽입이 가능 및 비강 확장력 향상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란 폐쇄성 호흡을 가리키는 속어로서, 비교적 유발률이 높은 것이 특징이며, 기도 생리학이 발전하면서 질병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코골이는 인체가 숨을 쉬는 동안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것으로 수면시 호흡곤란이 있음을 나타내는 하나의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 기타 원인으로 인해 공기 통로가 완전히 막히게 되면 공기가 폐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이러한 수면무호흡증 상태가 지속되면 폐가 신선한 공기를 얻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한 뇌가 우리 몸을 깨우고 근육을 수축시켜 공기 통로를 다시 열어주게 되고, 이로 인해 숨을 크게 한 번 몰아 쉰 다음에 호흡을 다시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하는 현상을 살펴보면, 내면이 점막으로 덮여 있는 비강의 비갑개부는 정맥총이 풍부하기 때문에 한기 등에 의해 종창되면서 비도를 폐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코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호흡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도가 좁아진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하면서 수면을 취하게 되면 설근이 목구멍의 안쪽으로 늘어져서 공기통로를 협소하게 하거나 폐쇄시키게 되고, 좁아진 통로를 통하여 공기를 들이마시게 되면 이완된 연구개가 진동하면서 코를 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면을 취하면서 무호흡 현상이 발생하거나 코를 심하게 골게 되면, 공기를 충분히 들이킬 수 없으므로 숙면을 취할 수 없게 되고, 수면 후에도 졸리거나 머리가 무겁고 개운하지 않아 집중력과 판단력이 저하됨은 물론, 졸음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또한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산소부족현상으로 인하여 심장이나 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며, 고혈압, 심장마비, 발작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본 2005013415 A
미국 공개본 US 05775335 A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강에 착용하여 비강을 확장시켜 줌으로써, 비강 호흡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골이 장치 외벽부 상부에 갈라진 영역부를 두어 비강 구조에 대응되어 유연하게 비강에 깊숙히 삽입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골이 장치 외벽부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외벽부를 보강을 통해 코골이 장치의 비강 확장력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골이 장치 외벽부 상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비강 확장, 비강에 착용시 고정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 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는, 몸체 외벽부 (201);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및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하측에 돌출부(20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 외벽부 (10); 상기 몸체 외벽부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몸체 내벽부 (20); 상기 몸체 외벽부와 상기 몸체 내벽부 사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되 하부는 차단된 '∪'자형 공간부를 형성한 콧물수용부(30); 상기 몸체 외벽부(10) 상부에는 외벽부 외측방향으로 돌기부(1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강 구조에 대응되어 비강 깊숙한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강에 착용하여 비강을 확장시켜 줌으로써, 비강 호흡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코골이 방지 장치 외벽부 상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비강 확장, 비강에 착용시 고정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측부 상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코골이 방지장치 외벽부의 비강 방향인 외측으로의 탄성 지지력 향상, 비강 확장력 향상, 비강에서의 고정력 향상등이 가능하다.
도 1 - 도 7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장치의 각 도면(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저면도)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몸체 외벽부 및 몸체 내벽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상기 도 8의 단면모양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1개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상기 도 8의 단면모양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2개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에 콧물누출방치(102)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내벽부에 콧물누출방치(103)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몸체 외벽부(201) 및 몸체 내벽부(20)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상기 도 16의 단면모양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1개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상기 도 16의 단면모양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2개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에 콧물누출방치(102)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된 것의 사시도.
도 21은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된 것의 정면도.
도 22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된 것의 평면도.
도 23은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된 것의 저면도.
도 24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26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좌/우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저면도.
도 29 - 도 35는 상기 도 24 - 도 28에 관련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코골이 방지장치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촉"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촉"된 경우에도 같은 기술적 사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구비, 형성 또는 구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특별하게 정의를 내리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각 도면을 인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 도 7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장치의 각 도면(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저면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 같이, 각각의 몸체 외벽부에 돌기부(101)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런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측부 상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코골이 방지장치 외벽부의 비강 방향인 외측으로의 탄성 지지력 향상, 비강 확장력 향상, 비강에서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써, 상기 돌기부는 몸체 외벽부에 각각 1개씩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몸체 외벽부 및 몸체 내벽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상기 도 8의 단면모양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1개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도 8의 단면모양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2개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에서의 코골이 방지장치의 크기는 남/녀 또는 비강크기에 따라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는 일반적으로 인체의 코 구멍에 대응되게 쌍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1개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 각각을 서로 연결해 주는 연결고리(50)가 각각의 코골이 방지장치 하부 일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때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에 접촉되는 연결고리 보강부 상단 부위의 폭 지름(60)은 연결고리 폭 지름(70)보다 3배-4배이상으로 하고, 형태는 역 삼각형 모양이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3배 미만의 경우에는 지지력/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4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력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폭을 차이나게 함으로써 비강에 삽입/착탈시 코골이 방지장치의 지지력을 향상하고, 파손등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코골이 방지장치는 실리콘이 주재료이기에 지지력이 부족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고 비강 내측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비강을 확장하고 비강내에서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벽부에 돌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실리콘 100 중량부에 대해 은가루 1-5 중량부를 추가하여 코골이 방지장치를 제작함으로써 항균효과 또는/및 세균박멸의 효과가 있다.
은가루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 초과의 경우에는 비용측면이나 효과면에서 실익이 부족하다.
도 11은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에 콧물누출방치(102)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내벽부에 콧물누출방치(103)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상기 콧물방지장치는 외벽부 또는/및 내벽부에 구비되어, 콧물이 비강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 각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각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 외벽부 (10);
상기 몸체 외벽부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몸체 내벽부 (20);
상기 몸체 외벽부와 상기 몸체 내벽부 사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되 하부는 차단된 '∪'자형 공간부를 형성한 콧물수용부(30); 및
상기 몸체 외벽부(10) 상부에는 외벽부 외측방향(비강에 접하는 방향)으로 돌기부(10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각각의 외벽부에 상기 돌기부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1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 외벽부(10)의 상부는 내벽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원추형), 비강에 삽입시 용이하게 되도록 하며, 상기 기울어지는 정도는 내벽부 상부를 상측으로 연장한 선(80)을 벗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소 벗어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
부연하면, 비강 깊숙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접차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공기의 원활환 소통을 위해 상부, 하부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실리콘(이중튜브, 외벽부/내벽부)의 구조와 형태를 보면, 비강 깊숙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직격이 점차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수면 호흡시 콧속 깊숙이 위치한 비강부분을 벌려주는 역활을 하면서 공기의 원활한 흐름으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실리콘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외측벽과 내측벽과 형성되어, 삽입시 완충작용과 관통공이 크게 형성되어 원활한 공기 소통과 착용감을 좋게 해주며, 비강쪽은 삽입시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콧속으로 들어갈수록 비강을 벌려주는 가능(보통 호흡시의 2배 가량의 공기를 흡입)을 해주기 때문에 코골이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호흡시에도 공기 소통의 보조기구로도 사용가능하다.
상기에서의 '∪'자형 공간부는 하나의 예이며, 삼각형, 항아리형 모양등 다양한 모양으로의 변경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
상기 몸체 내벽부의 길이는 상기 몸체 외벽부 길이 높이의 50-60% 길이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벽부를 통해 외벽부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외벽부의 길이가 50%미만의 경우에는 콧물수용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고,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강내를 너무 덮어 콧물 수용이 제대로 안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외벽부만의 가로폭의 길이는 코골이 방지구 몸체 하부 가로폭의 길이의 7-9% 길이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 내벽부만의 가로폭의 길이는 코골이 방지구 몸체 하부 가로폭의 길이의 6-8% 길이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지지력, 탄성력을 최상의 상태로 할 수 있다.
몸체 외벽부 내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콧물 방지부(102)를 구비하여, 콧물수용부(30)의 콧물이 비강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경사각도는 30-45도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콧물이 잘 수용되도록 하면서 또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30도 미만의 경우에는 콧물 누출방지가 제대로 안되고, 45도가 초과되는 경우에는 콧물 수용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는다.
즉, 몸체 내벽부 상단부 위치에 해당되는 외벽부 내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콧물 누출 방지부(102)를 구비하여, 콧물수용부(30)의 콧물이 비강으로 누출되지 않게한다.
또한 몸체 내벽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콧물삽입안내부/누출방지부(103)를 구비하여, 콧물수용부(30)의 콧물이 비강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콧물 누출방지부(103)는 외벽부 또는/및 내벽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코골이 방지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인 코골이 방지장치(200)의 몸체 외벽부 상부(201a)와 하부(201b)를 가지는 몸체 외벽부 (201)와, 상기 몸체 외벽부(201)를 U 또는 V 타입으로 갈라서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및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의 하부(203b) 하측에 돌출부(205);가 구비되도록 하며, 이때 갈라진 영역부(203)의 상부(203a)의 갈라진 가로 폭이 하부(203b)의 가로폭보다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같게 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써 그 반대(상부(203a)의 갈라진 가로 폭이 하부(203b)의 가로폭보다 작게)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의 하부 (203b) 하측에는 상기 외벽부 외측방향으로 반원형 타입의 돌출부(20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형태는 타원형, 둥그런 타입등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몸체 외벽부 상부 지름(미도시)이 돌출부(205)가 형성된 외벽부 지름(미도시)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골이 방지장치를 콧속에 삽입시 보다 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외벽부 상부(201a) 부분에 갈라진 영역부(203)를 형성한 이유는 콧속에 삽입시 외측으로 탄력성을 두어 비강을 확장도 하면서, 또한 유연성과 함께 비강 구조에 대응되어 비강 깊숙하게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를 U 또는 V 타입으로 형성한 이유는, 갈라진 영역부(203)의 상부(203a)의 갈라진 가로 폭이 하부(203b)의 가로폭보다 크게 해야 콧속에 삽입시 적당한 유연성에 의거 비강 구조에 대응되어 외벽부 상부 모양이 변형되어 깊숙한 삽입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비강 확장에 중점을 두는 경우라면, 갈라진 영역부(203)의 상부(203a)의 갈라진 가로 폭과 하부(203b)의 가로폭을 같게 하거나, 상부(203a)의 갈라진 가로 폭이 하부(203b)의 가로폭보다 작게 할 수도 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외벽부(201)의 갈라진 영역부 (203) 하부(203b) 하측에 형성된 돌출부(205)는 몸체 외벽부를 보강 및 지지하여 비강을 확장해 주고, 또한 상기 돌출부를 둥그런 타입 (반원형, 타원형 등 포함)으로 하는 이유는 코골이 방지장치를 비강에 삽입시 비강구조에 대응되어 부드럽고 원만하게 삽입되기 위함이다.
도 16은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몸체 외벽부(201) 및 몸체 내벽부(20)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의 도면과 비교되는 도면으로써, 몸체 갈라진 영역부 하측에 반원형 타입의 돌출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은 상기 도 16의 단면모양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1개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상기 도 9에 대응되는 다른 실시 예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도 16의 단면모양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2개에서 구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상기 도 10에 대응되는 다른 실시 예 도면이다
도 19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에 콧물누출방치(102)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상기 도 11에 대응되는 다른 실시 예 도면이며, 상기 도 11에서 기술된 목적 및 효과 내용이 같이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된 것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된 것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된 것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된 것의 저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에 언급된 도면 13 등 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가 그냥 뜨여 있는 상태보다는, 상기 몸체 외벽부(201)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외벽부(201)와 접촉된 상태로 갈라진 영역부(203)에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뜨여있는 양쪽의 외벽부(201)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되므로, 몸체가 비강에 삽입시에 외벽부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몸체 외벽부 두께(예를 들어 0.4-0.5mm)의 40-60% 범위의 두께가 되도록 한다. 이때 지지부재의 두께가 40%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몸체 외벽부(201)의 지지력 보완 목적이 실질적으로 영향이 없게되고, 60% 초과의 경우에는 외벽부(201)의 유연성이 감소하여 비강 삽입시 원활하지 않게된다.
부연하면, 몸체 외벽부가 비강에 삽입되어 접촉되며 또한 비강을 확장해주는 역활을 하는 것이기에, 외벽부가 너무 유연해서도 안되고, 지나치게 딱딱한 상태가 되어서도 안된다.
지지부재두께/외벽부두께 (%) 외벽부 지지력 외벽부 유연성
30%이하 지지부재 안한 상태와 같음 지지부재 안한 상태와 같음
40% 좋음 (급격히 지지력 향상됨) 상기 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
60% 상동 상동
70% 상동 나쁨 (급격히 유연성 감소됨)
본 발명에서, 몸체 및 지지부재 재료는 하나의 예로써, 실리콘,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재질을 포함한다.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강에 삽입되며 비강 내면에 접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벽부에 갈리진 영역부를 두고, 외벽부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비강 구조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깊숙하게 삽입이 가능 및 비강 확장력 향상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비강에 삽입되며 콧속(비강) 내면에 접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의 외측부 상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코골이 방지장치 외벽부의 탄성 지지력 향상, 비강 확장력 향상, 비강에서의 고정력 향상등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코골이 방지구(300)에 대해 설명한다.[도 24-도 36]
이하 각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실시 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그 도면들(도 9,10,11,12, 특히 도 13,14,17,20,21등)과 동일한 목적의 구성의 도면번호는 같이 사용하였다.
도 24 -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코골이 방지장치의 각 도면(사시도, 정면도, 측면도,측면도, 평면도, 저면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좌/우 측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 코골이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저면도이다.
도 29 - 도 35는 상기 도 24 - 도 28에 관련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코골이 방지장치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 외벽부 (201);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및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돌출부(205);가 구비된 코골이 방지장치
또는
몸체 외벽부 (201);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및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하측에 돌출부(205);가 구비된 코골이 방지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의 몸체 내벽부(20)가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비강에 삽입된 코골이 방지장치를 통해 들숨 또는 날숨시 공기 소통이 더욱 좋아졌으며, 특히 날숨시(공기 배출시) 상기 몸체 내벽부의 떨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체내벽부가 없어짐에 따른 코골이 방지장치의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몸체 외벽부 하부(201b) 내측에는 몸체 보강부(90)가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몸체 외벽부 하부(201b) 일측면에는 연결고리(50)가 접촉되고, 상기 연결고리 가운데의 가로폭(70)은 상기 몸체 외벽부 하부 일측면에 근접할 수록 착탈시 끊어짐등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위해 커지도록 하며(60), 상기 커진 가로폭의 단부(60)와 접촉(연결)되어 상기 몸체 외벽부 하부(201b) 내측에는 몸체 보강부 (90)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부(90)를 몸체 보강부라고 표현하였으나 고골이방지장치의 몸체 뿐만 아니라 연결고리(50)도 보강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 예의 몸체 내벽부가 없는 상태에서 코골이 방지장치의 상단부(비강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개구부 폭(A)(94)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하단부의 개구부 폭(B)(95)보다 작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필요시 개구부 폭(A)(94)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하단부의 개구부 폭(B)(95)을 같거나 비슷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몸체 외벽부 하부의 강도를 위해 코골이 방지장치의 하단부의 개구부를 두께게 하는 경우, 개구부 폭(A)(94)이 코골이 방지장치의 하단부의 개구부 폭(B)(95)보다 크게 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외벽부, 20 : 몸체 내벽부, 30 : 외벽부와 내벽부에 의한 공간
101 : 외벽부 돌출부, 102 : 콧물삽입안내부/누출방지부
200 : 제 2 실시 예의 코골이 방지구,
201 : 제 2실시예의 몸체 외벽부
201a : 제 2실시예의 몸체 외벽부 상부,
201b : 제 2실시예의 몸체 외벽부 하부
203 : 제 2 실시예 몸체에 형성된 U 형 또는 V형 타입의 갈라진 영역
203a : 제 2 실시예 몸체에 형성된 U 형 또는 V형 타입의 갈라진 영역의 상부
203b : 제 2 실시예 몸체에 형성된 U 형 또는 V형 타입의 갈라진 영역의 하부
205 : 제 2 실시예 몸체에 형성된 반원형 타입의 돌출부
207 : 지지부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몸체 외벽부 (201);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및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돌출부(205);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에는 상기 몸체 외벽부(201)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4. 몸체 외벽부 (201);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및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하측에 돌출부(205);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에는 상기 몸체 외벽부(201)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작은 상태로, 막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0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갈라진 영역부(203)의 형태는 U 형 또는 V형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6.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벽부(201)에 형성된 갈라진 영역부 (203) 하측에 상기 외벽부 외측방향으로 반원형 타입의 돌출부(20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몸체 외벽부 두께의 40-6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10.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벽부 하부(201b) 내측에는 몸체 보강부(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1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벽부 하부(201b) 일측면에는 연결고리(50)가 접촉되고, 상기 연결고리의 가로폭(70)은 상기 몸체 외벽부 하부 일측면에 근접할 수록 커지도록 하며(60), 상기 커진 가로폭의 단부(60)와 접촉되어 상기 몸체 외벽부 하부(201b) 내측에는 몸체 보강부 (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
  12. 삭제
KR1020190043005A 2019-04-12 2019-04-12 코골이 방지장치 KR10200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05A KR102007253B1 (ko) 2019-04-12 2019-04-12 코골이 방지장치
JP2021560080A JP7177553B2 (ja) 2019-04-12 2020-04-13 いびき防止装置
CN202080027838.3A CN113727683A (zh) 2019-04-12 2020-04-13 防止打鼾装置
US17/601,269 US20220168133A1 (en) 2019-04-12 2020-04-13 Anti-snoring device
PCT/KR2020/004960 WO2020209692A1 (ko) 2019-04-12 2020-04-13 코골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05A KR102007253B1 (ko) 2019-04-12 2019-04-12 코골이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253B1 true KR102007253B1 (ko) 2019-08-06

Family

ID=6761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005A KR102007253B1 (ko) 2019-04-12 2019-04-12 코골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68133A1 (ko)
JP (1) JP7177553B2 (ko)
KR (1) KR102007253B1 (ko)
CN (1) CN113727683A (ko)
WO (1) WO20202096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11B1 (ko) * 2019-08-16 2020-03-05 김흥수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기구
WO2020209692A1 (ko) * 2019-04-12 2020-10-15 주식회사 에어랩 코골이 방지장치
KR102298492B1 (ko) * 2020-08-18 2021-09-07 주식회사 에어랩 코골이 방지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3415A1 (en) 2003-07-14 2005-01-20 Atkinson Douglas A. Craft menu system using caller ID functionality for installation and testing
KR101112605B1 (ko) * 2009-04-15 2012-02-16 성백철 코골이 방지구
CN202446319U (zh) * 2012-01-16 2012-09-26 厦门溢顺工贸有限公司 止鼾器
KR101573322B1 (ko) * 2014-05-29 2015-12-02 메디코코(주)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
US9782289B1 (en) * 2014-03-21 2017-10-10 Farhoud Z. Rastegar Sinus passage expan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100927B4 (en) * 2004-11-01 2005-03-24 Richard Benson Snorenomore (anti-snoring device)
US6978781B1 (en) * 2005-03-11 2005-12-27 John Jordan Nasal dilator
JP2009507615A (ja) * 2005-09-12 2009-02-26 マージェネット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経鼻カニューレ
SE530707C2 (sv) * 2006-12-27 2008-08-19 Adactive Marketing Ab Näsvidgare
JP2010246832A (ja) * 2009-04-20 2010-11-04 Keytron:Kk 呼吸補助具
US20150047641A1 (en) * 2013-08-19 2015-02-19 Fred Frey Air filter equipped nose clip
NZ629495A (en) * 2014-06-20 2018-04-27 Asap Breatheassist Pty Ltd Nasal dilator devices
CN204106297U (zh) * 2014-09-28 2015-01-21 北京德默高科医药技术有限公司 防打鼾鼻腔塞
CN204379521U (zh) * 2014-12-29 2015-06-10 深圳市易特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保健用通鼻装置
WO2017165583A1 (en) * 2016-03-23 2017-09-28 Sanostec Corp Nasal insert having one or more sensors
CN108784912A (zh) * 2018-06-29 2018-11-13 天津博众纳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磁疗防打鼾装置
EP3840808A1 (en) * 2018-08-23 2021-06-30 Koninklijke Philips N.V. Nasal portion and patient interface device including same
KR102007253B1 (ko) * 2019-04-12 2019-08-06 주식회사 에어랩 코골이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3415A1 (en) 2003-07-14 2005-01-20 Atkinson Douglas A. Craft menu system using caller ID functionality for installation and testing
KR101112605B1 (ko) * 2009-04-15 2012-02-16 성백철 코골이 방지구
CN202446319U (zh) * 2012-01-16 2012-09-26 厦门溢顺工贸有限公司 止鼾器
US9782289B1 (en) * 2014-03-21 2017-10-10 Farhoud Z. Rastegar Sinus passage expansion device
KR101573322B1 (ko) * 2014-05-29 2015-12-02 메디코코(주)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92A1 (ko) * 2019-04-12 2020-10-15 주식회사 에어랩 코골이 방지장치
KR102085511B1 (ko) * 2019-08-16 2020-03-05 김흥수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기구
KR102298492B1 (ko) * 2020-08-18 2021-09-07 주식회사 에어랩 코골이 방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27683A (zh) 2021-11-30
JP7177553B2 (ja) 2022-11-24
JP2022528729A (ja) 2022-06-15
WO2020209692A1 (ko) 2020-10-15
US20220168133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253B1 (ko) 코골이 방지장치
US6651663B2 (en) Nasal mask and system using same
US10625039B2 (en) Infant nasal interface mask
EP1885424B1 (en)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DE112014003299T5 (de) Patientenanschluss und Erscheinungsformen davon
US20240009418A1 (en) Nasal pillows cushion for patient interface device
CN111374818A (zh) 鼻腔插入器
US20220378598A1 (en) Nasopharyngeal Airway Devices
US20160235577A1 (en) Nasal dilator
CN211068575U (zh) 三腔可冲洗鱼嘴型喉罩气道导管
KR102209183B1 (ko) 이관 삽입 기구
KR102298492B1 (ko) 코골이 방지기구
CN216934373U (zh) 一种医疗通气设备及其通气组件
AU2014204431A1 (en)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